KR102592572B1 -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2572B1 KR102592572B1 KR1020200132085A KR20200132085A KR102592572B1 KR 102592572 B1 KR102592572 B1 KR 102592572B1 KR 1020200132085 A KR1020200132085 A KR 1020200132085A KR 20200132085 A KR20200132085 A KR 20200132085A KR 102592572 B1 KR102592572 B1 KR 1025925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lockout
- rail
- support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과 대비되는 비교예인 가드레일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드레일에 차량이 충돌시 가드레일이 강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파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지주부와 블록아웃부의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와 대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블록아웃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차량이 충돌시 가드레일이 강성을 유지하여 충돌차량을 잘 선회시킨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3: 블록아웃부재 4: 보조 장치
100: 지주부 200: 레일부
300: 블록아웃부 300U: 블록아웃유닛
300U-1: 제1 블록아웃유닛 300U-2: 제2 블록아웃유닛
310: 전면고정판 310-1: 제1 전면고정판
310-2: 제2 전면고정판 330: 완충지지판
330-1: 제1 완충지지판 330-2: 제2 완충지지판
350: 체결판 350-1: 제1 체결판
350-2: 제2 체결판 D1: 전후방향
D2: 좌우방향 D3: 높이방향
P: 설치지점 S1: 제1 설치폭
S2: 제2 설치폭 T1: 제1 체결부
T2: 제2 체결부 θ1: 제1 설치각도
θ2: 제2 설치각도
Claims (9)
- 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을 이탈을 방지하는 레일부; 및
상기 지주부와 상기 레일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지주부와 상기 레일부 사이에서 복수 개의 탄성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블록아웃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아웃부는,
상기 지주부의 전방에 복수 개의 블록아웃유닛이 중첩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블록아웃유닛은 각각 1개의 금속판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블록아웃유닛은,
상기 지주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면고정판;
상기 전면고정판의 양단부에서 상기 레일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주부와 상기 레일부의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 쌍의 완충지지판; 및
각각 상기 완충지지판에서 좌우방향 외측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와의 체결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아웃부는,
상기 지주부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부의 후면에 제1 설치폭으로 양단부가 고정되는 제1 블록아웃유닛; 및
상기 제1 블록아웃유닛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부의 후면에 상기 제1 설치폭보다 작은 제2 설치폭으로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블록아웃유닛과 상기 레일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제2 블록아웃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아웃유닛의 제1 전면고정판 및 상기 제2 블록아웃유닛의 제2 전면고정판이 중첩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에 제1 체결부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지주부, 상기 제1 전면고정판 및 상기 제2 전면고정판을 일체로 고정하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구성되는 가드레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유닛은 각각 1개의 금속판이 롤포밍 방식에 의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형성되는 가드레일.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아웃유닛은 상기 제2 블록아웃유닛에 비해 두꺼운 소재로 구성되는 가드레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는,
상기 제1 블록아웃유닛의 제1 완충지지판과 상기 레일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이루는 예각이 제1 설치각도이고,
상기 제2 블록아웃유닛의 제2 완충지지판과 상기 레일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이루는 예각이 제2 설치각도일때,
상기 제1 설치각도는 상기 제2 설치각도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는,
상기 제1 블록아웃유닛의 제1 완충지지판과 상기 레일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이루는 예각인 제1 설치각도는 54 ~ 60도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블록아웃유닛의 제2 완충지지판과 상기 레일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이루는 예각인 제2 설치각도는 82 ~ 88도의 범위를 가지는 가드레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아웃유닛의 제2 설치폭은 상기 지주부의 설치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085A KR102592572B1 (ko) | 2020-10-13 | 2020-10-13 | 가드레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2085A KR102592572B1 (ko) | 2020-10-13 | 2020-10-13 | 가드레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8795A KR20220048795A (ko) | 2022-04-20 |
KR102592572B1 true KR102592572B1 (ko) | 2023-10-23 |
Family
ID=8140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2085A KR102592572B1 (ko) | 2020-10-13 | 2020-10-13 | 가드레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25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4129A (ko) * | 2020-10-23 | 2022-05-02 | (주)데크 | 차량 방호 안전 펜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661B1 (ko) * | 2006-11-07 | 2007-09-13 | 한국도로공사 | 도로 가이드레일용 블록아웃 |
KR101938143B1 (ko) * | 2018-06-26 | 2019-04-1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강성 케이블 방호울타리 및 이에 사용되는 비대칭 블록아웃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37969A (ko) | 1995-04-13 | 1996-11-19 | 윤영호 | 토목용 가드레일의 연결장치 |
-
2020
- 2020-10-13 KR KR1020200132085A patent/KR1025925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8661B1 (ko) * | 2006-11-07 | 2007-09-13 | 한국도로공사 | 도로 가이드레일용 블록아웃 |
KR101938143B1 (ko) * | 2018-06-26 | 2019-04-1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강성 케이블 방호울타리 및 이에 사용되는 비대칭 블록아웃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8795A (ko) | 2022-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33823B2 (en) | Bump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energy dissipation in the event of a head-on collision | |
CN102741106B (zh) | 用于轨道车辆的碰撞模块及相应的轨道车辆 | |
US6793246B2 (en) | Knee support for occupants | |
KR100813160B1 (ko) | 차량용 크래쉬박스 | |
RU2703380C1 (ru) | Элемент для поглощения удара | |
KR20190073193A (ko) | 충격흡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 |
KR102592572B1 (ko) | 가드레일 | |
EP1992525A1 (en) | The mounting bracket for frontal protection system | |
EP3246468B1 (en) | Traffic barrier structure | |
JP2008013124A (ja) | 対人保護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 | |
KR102355897B1 (ko) | 허니컴을 이용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 |
JP6027448B2 (ja) | 車体前部構造 | |
JP4473537B2 (ja) | 対人保護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 | |
JP4967523B2 (ja) | 衝撃吸収部材 | |
KR101170330B1 (ko) |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 |
KR20130012452A (ko) | 가이드레일의 보강구조 및 그 방법 | |
KR101089910B1 (ko) | 분리형 가드레일 | |
KR200391835Y1 (ko) | 복합형 차량 방호책 | |
KR20130068744A (ko) |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는 도로용 가드레일 | |
KR102185578B1 (ko) |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 |
CN114644046A (zh) | 一种汽车车架与汽车 | |
KR200422841Y1 (ko) | 충격 흡수용 연결브라켓 | |
KR100676457B1 (ko) | 이중 충격 흡수판이 교차 설치된 가드레일 | |
KR200353244Y1 (ko) | 하중분산형 저충격도 가이드 레일 | |
JP5318661B2 (ja) | 衝撃吸収装置及び車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3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3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1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5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