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28Y1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Google Patents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6228Y1 KR200216228Y1 KR2020000007956U KR20000007956U KR200216228Y1 KR 200216228 Y1 KR200216228 Y1 KR 200216228Y1 KR 2020000007956 U KR2020000007956 U KR 2020000007956U KR 20000007956 U KR20000007956 U KR 20000007956U KR 200216228 Y1 KR200216228 Y1 KR 20021622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ouble
- ribs
- double pipe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PIPE)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스텐 기타 경금속, 합성수지로서 인발, 압출 성형한 복합 중공형태의 관재로서 특히 교량상부구조물인 난간. 차량방호책, 가드레일 등의 시공에 유효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게한 것이다.
그 구성은 특히 알루미늄으로서 관재를 인발셩형하되 외관에 내관을 형성하고 그 외관과 내관사이에 리브를 일체화하는 이중 관재를 형성하는 것을 개시되어 그 실시예를 타원, 원, 사각형태, 삼각형태등 다양한 형태 및 리브를 양측리브 단일측리브, 쌍리브로 구사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여타 재질이나 단면 형태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이중 관재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PIP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스텐 기타 경금속, 합성수지로서 인발, 압출 성형한 복합 중공형태의 관재로서 특히 교량상부구조물인 난간. 차량방호책, 가드레일 등의 시공에 유효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교량난간이나 토목건축용 시설물에 사용되는 관재의 구조에 있어서, 첫째 그 재질이 주철관, 강관, 동관, 알루미늄관, 프라스틱관으로 제조된 것이며 거의 원형 내지 각형의 파이프형태로 성형되고 일부 내부에 구조를 복합시킨 것은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관재는 측면강도가 미약함으로 교량난간인 경우 차량의 미소한 충격에도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그렇다고 파이프형태가 아닌 봉재형태로 성형 한다면 그 중량과 시설원가가 엄청나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수는 없다.
결국 파이프의 두께를 약 6t정도로 성형하고 있는데 이 두께 정도로서도 측면 충돌에대한 내구력은 미흡하다.
국가 경제발전에 맞추어 수많은 교량과 고속도로 산업도로가 신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INFRA시설은 공익성문제가 심각함으로 저렴한 원가와 최대의 안전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주철관, 강관, 단순알루미늄관, 스텐관 프라스틱관의 형태와 강도로서는 종래되는 각종 사고에 대한 방어수단으로서나 미려한 외관을 갖는 시각적 기능에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교량난간용 부재등 토목건축용 관재에 대하여 상기한 문제점에 별다른 대책이 없이 단순한 원형 파이프식 단일 관재를 시공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는 실정 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히 알루미늄 및 스텐으로서 관재를 인발성형하되 외관에 내관을 형성하고 그 외관과 내관사이에 리브를 일체화하는 이중 관재를 형성하는 것을 개시되어 그 실시예를 타원형태, 원형태, 사각형태, 삼각형태등 다양한 형태 및 리브를 양측리브 단일측리브, 쌍리브로 구사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여타 재질이나 단면 형태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이중 관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완성되어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도 3 은 본 고안의 유사형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후면 (2)(2´) : 곡면
(3) : 외관 (4) : 내관
(5)(5´) : 리브 (6) : 홈
(7) : 야광반사체 (A) : 이중관재
상기한 바와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유사형태도인바,
외관과 내관이 리브로 연결된 이중관재에 있어서,
그 형상이, 전후면(1)(1´)은 직선, 상하면은 곡면(2)(2´)인 전체의 타원형 외관(3)과 내관(4) 및 상하리브(5)(5´)를 일체화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재로 인발성형한 이중관재(A)를 제조하여 교량용 난간 기타 토목건축용 시설부재로 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에 외관(3)은 두께 3mm 이내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 2 와 같이 전면의 일부에 홈(6)을 형성시키는 형태로 하여 이 홈(6)에 야광반사체(7)을 길이방향으로 끼워 설치하는 것으로서 야간에 발광되게 함으로서 교통안전 표시의 기능을 부여하게 하였다.
또한 도 3과 같이 그 형상이, 원형(11)(11')(11'), 사각형(12)(12')(12'), 삼각형(13)(13')(13')인 것을 포함한다.다시 그 다른 실시예로서 리브를 양측, 단일측, 쌍리브로 구성 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주철관, 강관, 동관, 스텐관, 플라스틱관 등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의 본 고안은 외관과 내관이 이중적으로 형성되고 사이에 리브로서 연결된 형태를 가지므로 강도시험에서 측면 충돌에 대한 내구력과 충격흡수력이 단일 관재에 비하여 월등히 상승되었다.
이것은 외관과 내관의 이중관으로 된 것이여서 별도의 구조 해석이 없어도 그 강도가 향상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므로 그의 상세한 자료제시는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야광반사판을 전 길이에 끼워서 부착함으로서 안전지역에 대한 야간 표시가 명확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교량, 도로 이탈방지에도 기여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단관은 1차 충돌에 의하여 바로 휘어져서 안전장비로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지만 본 고안 이중관은 2차 3차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안전장비로서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주로 알루미늄으로 3mm 이내의 두께로 인발성형 함으로서 종래 6t구조의 관재에 비해 재료의 소요는 적게 들고 원가나 중량 면에서도 싸고 가볍다.
그리고 강도나 내구성에 있어 두께 6mm 구조보다 우수하다.
반면에 이중관재로 된 관계로 측면 충돌시의 내구력은 훨씬 뛰어나며 특히 야간의 안전표시기능도 부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중관재는 특히 교량 상부구조물인 난간이나, 도로에 즉시 시공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4)
- 외관과 내관이 리브로 연결된 이중관재에 있어서,그 형상이, 전후면(1)(1´)은 직선, 상하면은 곡면(2)(2´)인 두께 3mm 이내의 타원형 외관(3)과 그 외관의 동일형상의 내관(4)을 상하리브(5)(5´)와 일체화되게 알루미늄재로 인발성형한 이중관재(A)와,그 형상이, 외관(3)의 전면의 일부에 홈(6)을 형성시킨 이중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제1항에 있어서,외관과 내관이 리브로 연결된 이중관재의 외관 및 내관의 형상이 원형(11)(1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제1항에 있어서,외관과 내관이 리브로 연결된 이중관재의 외관 및 내관의 형상이 사각형(12)(12')(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제1항에 있어서,외관과 내관이 리브로 연결된 이중관재의 외관 및 내관의 형상이 삼각형(13)(13')(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7956U KR200216228Y1 (ko) | 2000-03-21 | 2000-03-21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7956U KR200216228Y1 (ko) | 2000-03-21 | 2000-03-21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7262U Division KR20000016041U (ko) | 2000-03-14 | 2000-03-14 | 토목 건축용 이중관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6228Y1 true KR200216228Y1 (ko) | 2001-03-15 |
Family
ID=7305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7956U KR200216228Y1 (ko) | 2000-03-21 | 2000-03-21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6228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9475A (ko) * | 2001-10-05 | 2001-11-09 | 이효진 | 다기능성 가드레일 구조 |
KR100741558B1 (ko) * | 2005-09-23 | 2007-07-20 | 주식회사 태건 | 가드레일 |
KR101947962B1 (ko) | 2017-07-18 | 2019-02-13 | 김승수 | Cft 휨부재에 의한 반강성 가드레일 충격흡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강성 가드레일 |
KR20220152919A (ko) * | 2021-05-10 | 2022-11-17 | 가현실 | 항복강도가 향상된 도로시설물 프레임 |
KR20230035017A (ko) * | 2021-04-07 | 2023-03-10 | 가현실 |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프레임구조체 시설물 |
KR20230035554A (ko) * | 2021-04-07 | 2023-03-14 | 가현실 | 도로시설물 프레임 |
-
2000
- 2000-03-21 KR KR2020000007956U patent/KR20021622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9475A (ko) * | 2001-10-05 | 2001-11-09 | 이효진 | 다기능성 가드레일 구조 |
KR100741558B1 (ko) * | 2005-09-23 | 2007-07-20 | 주식회사 태건 | 가드레일 |
KR101947962B1 (ko) | 2017-07-18 | 2019-02-13 | 김승수 | Cft 휨부재에 의한 반강성 가드레일 충격흡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강성 가드레일 |
KR20230035017A (ko) * | 2021-04-07 | 2023-03-10 | 가현실 |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프레임구조체 시설물 |
KR20230035554A (ko) * | 2021-04-07 | 2023-03-14 | 가현실 | 도로시설물 프레임 |
KR102550003B1 (ko) | 2021-04-07 | 2023-06-29 | 가현실 | 도로시설물 프레임 |
KR102549997B1 (ko) * | 2021-04-07 | 2023-06-29 | 가현실 |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프레임구조체 시설물 |
KR20220152919A (ko) * | 2021-05-10 | 2022-11-17 | 가현실 | 항복강도가 향상된 도로시설물 프레임 |
KR102479106B1 (ko) | 2021-05-10 | 2022-12-16 | 가현실 | 항복강도가 향상된 도로시설물 프레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265780A1 (en) | Traffic noise barrier system | |
KR101567029B1 (ko) |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 |
US20090178318A1 (en) | Extruded plastic u-channel sign post covers | |
CN102803613A (zh) | 护栏及固定装置 | |
KR200216228Y1 (ko)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
JP5342168B2 (ja) | 交通安全標識物 | |
KR200189757Y1 (ko)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
CN209066347U (zh) | 一种混凝土防撞护栏附着结构的锚固装置 | |
KR20000016041U (ko) | 토목 건축용 이중관재 | |
KR20000017665A (ko)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
KR20000011312U (ko)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
CN205804142U (zh) | 一种钢架人行天桥 | |
KR19990048466A (ko) |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 |
KR100986255B1 (ko) |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용 가이드캡 | |
JP4359522B2 (ja) | 道路用防眩板 | |
CN206815237U (zh) | 一种道路防撞护栏 | |
KR101066260B1 (ko) |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 |
KR100710877B1 (ko) |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 |
KR200195733Y1 (ko) | 난간용 보강 파이프 | |
JP3131624U (ja) | 透光型遮音壁 | |
JP2010059697A (ja) | 防護柵 | |
CN213476719U (zh) | 一种护栏结构 | |
KR200268539Y1 (ko) | 가드레일용안전표시판고정구 | |
KR200384154Y1 (ko) | 지주형 도로 표시판 구조 | |
KR200228359Y1 (ko) | 가드레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1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