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661B1 - 자수틀 - Google Patents

자수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661B1
KR100740661B1 KR20057021248A KR20057021248A KR100740661B1 KR 100740661 B1 KR100740661 B1 KR 100740661B1 KR 20057021248 A KR20057021248 A KR 20057021248A KR 20057021248 A KR20057021248 A KR 20057021248A KR 100740661 B1 KR100740661 B1 KR 10074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support frame
pizza
frame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2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180A (ko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2차원적으로 구동되는 틀체(19)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23)을 자수 가능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이다. 피자수물(23)의 자수 범위에 대응되는 개구부(2)가 형성된 지지틀(1)과, 지지틀(1)에 세트한 심지(24)를 이 지지틀(1)에 대해 유지하기 위한 협지 부재(13)와, 지지틀(1)에 세트한 피자수물(23)을, 적어도 개구부(2)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자수 범위(E)에 있어서 평탄하게 펼쳐지도록, 이 지지틀(1)에 대하여 유지하기 위한 피자수물 유지 부재(3, 8)를 구비한다. 피자수물(23)이 지지틀(1)의 표면에 세트되며, 심지(23)가 지지틀(24)의 이면(裏面)에 세트된다.

Description

자수틀{EMBROIDERY FRAME}
본 발명은,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의 적어도 자수 범위를, 자수틀의 2차원적 이동에 의해 자수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예를 들면, 모자의 구성요소와 같은 것)에 자수를 행할 때는, 이른바 「얹어놓고 재봉하기」에 의해 행하고 있었다. 이 「얹어놓고 재봉하기」란 원단 틀에 소정의 시트재를 유지하는 동시에, 이 시트재에 피자수물의 형태나 크기에 맞춘 빼냄 구멍을 형성하고, 이 빼냄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상에 피자수물을 얹어놓으며, 또한 이 피자수물이 시트재 위에서 쳐지지 않도록, 또한 자수 범위(자수 재봉의 대상으로 하는 범위)를 평탄하게 유지하도록,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그리고 나서 소정의 자수 재봉 데이터에 따라 원단 틀을 X, Y 방향으로(2차원 평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자수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재에 세트한 피자수물에의 자수가 종료되면, 자수가 행해진 피자수물을 시트재로부터 떼어내고, 다음의 피자수물을 시트재에 세트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자수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음의 피자수물을 세트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자수의 작업 효율이 나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의 필요한 자수 범위를 평탄하게 유지하여 이 피자수물을 세트 가능하게 하고, 또한 X, Y 구동 틀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한 자수틀이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거기에 개시된 자수틀은, 지지틀과, 누름 틀과, 잠금(lock)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틀은 X, Y 방향으로 구동되는 틀체에 설치 가능한 동시에, 피자수물의 자수 범위에 대응한 치수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누름 틀은, 피자수물과 그 이면측에 첨부한 심지(芯地)를 지지틀에 대하여, 적어도 자수 범위를 평탄하게 유지하도록 억누를 수 있고, 지지틀에 대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심지용 누름 부재와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를 가지고 있다. 심지용 누름 부재는 지지틀 위에 둔 심지의 위에 넘어뜨릴 수 있고,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는 심지 위에 겹친 피자수물의 위에 넘어뜨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에 의해, 피자수물을 심지용 누름 부재와 함께 억누를 수 있다. 잠금 수단은,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를 피자수물과 심지용 누름 부재(심지)를 지지틀에 대해 억누른 상태로 잠그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특개2001-316969호
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자수틀에 의하면, 지지틀 위에 심지를 두고 심지용 누름 부재를 심지 위에 넘어뜨린 후, 그 위로부터 피자수물을 겹쳐서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를 넘어뜨려서 잠금 수단에 의해 잠금으로써,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을 심지와 함께 간단히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자수기에 장착된 어떤 제1의 자수틀 상의 피자수물에 대한 자수 재봉 동작에 병행하여, 다른 제2의 자수틀(자수기에 장착되어 있지 않음)에 대한 피자수물 세트(준비 작업)를 행함으로써, 이 제1의 자 수틀 상의 피자수물에 대한 자수 재봉이 종료되면, 새로운 피자수물이 세트된 이 제2의 자수틀을 자수 완료된 이 제1의 자수틀과 교환하여 자수기에 장착하면 되어, 자수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지지틀 위에 둔 심지의 위에 심지용 누름 부재를 넘어뜨리고, 그 위에 피자수물을 겹친 후에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를 넘어뜨려서 피자수물과 심지용 누름 부재를 억누른 상태로 잠그고 있다. 바꿔 말하면, 심지는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의 억누름이 행해짐으로써 처음으로 확실히 유지되게 되며, 이제까지는 심지용 누름 부재의 자중만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피자수물을 겹쳐서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에 의해 억누를 때까지 심지가 느슨해지거나, 심지 위에 겹친 피자수물의 위치를 조정할 경우에 함께 움직이거나 하여 심지가 적절히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이 때의 심지의 상태는 위에 겹친 피자수물의 존재에 의해 확인할 수 없으므로, 심지가 적정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피자수물용 누름 부재는, 대형의 레버 형상의 부재로 피자수물의 옆을 위로부터 억누르는 것과 같은 구조이며, 컴팩트한 구성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의 적어도 자수 범위를, 자수틀의 2차원적 이동에 의해 자수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로서, 피자수물의 이면에 배치되는 심지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게 한 것을 제공하려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컴팩트하면서,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을 확실히 유지하여 필요한 자수 범위를 평탄하게 세트할 수 있도록 한 자수틀을 제공하려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자수틀은, 2차원적으로 구동되는 틀체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을 자수 가능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로서, 피자수물의 자수 범위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에 세트한 심지를 이 지지틀에 대해 유지하기 위한 심지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틀에 세트한 피자수물을, 적어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자수 범위에 있어서 평탄하게 펴지도록, 상기 지지틀에 대하여 유지하기 위한 피자수물 유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피자수물이 상기 지지틀의 상부면에 세트되고, 상기 심지가 상기 지지틀의 이면에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자수물 유지 부재와 심지 유지 부재를 개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심지 유지 부재에 의해 심지를 지지틀에 확실히 유지한 후에, 피자수물을 지지틀에 세트하여 피자수물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심지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피자수물과는 독립적으로, 심지 유지 부재에 의해 심지가 지지틀에 유지되기 때문에, 피자수물을 유지할 때에 그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지지틀의 상부면에 둔 피자수물의 위치를 조정했을 때 등에 심지가 함께 움직이거나 하지 않고, 심지는 적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심지를 지지틀의 이면에 세트하도록 하면, 보다 한층, 피자수물을 유지할 때에 그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심지는 적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자수틀은, 2차원적으로 구동되는 틀체에 대해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피자수물을 자수 가능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로서, 피자수물의 자수 범위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 상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소에 각각 적어도 1개씩 설치된 바인더 또는 클립식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틀에 세트한 피자수물을,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소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각각 유지함으로써, 이 피자수물이 만곡된 면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도, 이 개구부에 대응하는 자수 범위에 있어서 이 피자수물을 평탄하게 펼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지지틀 상의 피자수물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로서, 지지틀 상에 있어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소에 각각 적어도 1개씩 설치된 바인더 또는 클립식의 유지 부재를 사용하도록 했기 때문에, 유지 부재를 분산하여 설치한 것에 의해 각 유지 부재를 소형화하고,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지지틀에 세트한 피자수물을,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소에 있어서 이 유지 부재에 의해 각각 유지하도록 했으므로, 피자수물을 팽팽하게 펼칠 수 있고, 이 피자수물이 만곡된 면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이 개구부에 대응하는 자수 범위에 있어서 이 피자수물을 평탄하게 펼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의 평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의 정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의 측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을 자수 미싱의 원단 틀에 대해 착탈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에 심지를 세트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자수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의 평면도.
도 8은 이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에 심지 및 피자수물을 세트하기 위해, 각 부재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A 화살표에서 본 확대 단면도로서,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잠금 클립(lock clip)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이 잠금 클립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이 잠금 클립의 레버 부재의 움직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에 심지 및 피자수물을 세트하여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제2의 실시예와 같은 협지 부재 및 유지 부재(잠금 클립)를 사용하며, 지지틀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차이에 따라 잠금 클립의 배치를 이 제2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의 평면도, 도 2는 이 자수틀의 정면도, 도 3은 이 자수틀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지지틀(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평면부(1b)의 중앙에는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는, 자수 재봉 동작시에 상하 이동하는 재봉 바늘의 관통을 허용함으로써 그 부분에서의 자수 재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구부(2)의 사이즈는 피자수물의 자수 가능 범위를 규정한다. 즉, 이 개구부(2)는 적어도, 피자수물에 있어서 자수하려고 하는 원하는 자수 범위(자수 재봉의 대상으로 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넓이를 가진다. 개구부(2)의 전방 및 후방에는 피자수물을 유지하기 위한 바인더식의 누름 부재(3 및 8)가 설치되어 있다. 두 누름 부재(3 및 8)는 각각, 지지틀(1)의 상부면에 고정된 베이스(4 및 9)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5 및 10)와, 이 레버(5 및 10)의 회동에 의해 스프링 부재(6 및 11)를 통하여 연동하는 가압체(7 및 12)를 구비한 레버 바인드 형식의 구조로 되어 있다. 레버(5 또는 10)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면, 가압체(7 또는 12)가 베이스(4 또는 9)의 상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반대로 레버(5 또는 1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가압체(7 또는 12)가 베이스(4 또는 9)의 상부면에 강하게 억눌려지며, 가압체(7 또는 12)와 베이스(4 또는 9)에 의해 피자수물의 일부를 사이에 끼워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레버(5 또는 10)는 베이스(4 또는 9)측에 잠글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지틀(1)의 평면부(1b)의 좌우측에 있어서 측벽(1a)이 각각 주어진 조건의 높이로 일어서 있고, 양 측벽(1a)에는 각각, 심지를 유지하기 위한 협지(狹持) 부재(13)가 핀(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받이(軸支) 되어 있다. 협지 부재(13)는 측벽(1a)과 대략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갖는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협지 부재(13)의 선단부에는 손잡이(15)가 설치되어 있다. 협지 부재(13)는 측벽(1a)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협지편(13a)을 구비하고 있고, 이 협지편(13a)의 아래쪽 부분은 쌍을 이루는 다른 쪽의 협지편(13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협지 부재(13)가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유지 위치)에 있을 때에, 한 쌍의 협지편(13a)과 측벽(1a)의 좌우면으로 심지의 일부를 사이에 끼워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유지 위치로부터 협지 부재(13)를 위쪽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3의 가상선으로 예시하는 것과 같은 개방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협지편(13a)의 아래쪽 부분의 경사는 협지 부재(13)를 도 3의 가상선으로 예시하는 것과 같은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밀어 넣어서 도 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유지 위치까지 회동시킬 때에, 측벽(1a)이 한 쌍의 협지편(13a) 사이에 원활하게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또한 유지 위치에서 확실한 협지 작용을 얻기 위한 것이다. 즉, 한 쌍의 협지편(13a)의 끝이 퍼지는 형상의 간격에 의해, 이 협지 부재(13)를 아래쪽으로 밀어 넣어서 측벽(1a)을 협지할 때, 처음에는 측벽(1a)을 원활하게 협지할 수 있고, 아래쪽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보다 강한 협지 작용이 양 협지편(13a)에 의해 측벽(1a)에 미치게 된다.
도 4는, 도 1∼도 3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수틀에 피자수물(23) 및 심지(24)를 세트한 상태로, 이 자수틀을 자수 미싱의 원단 틀(즉, 틀체)(19)에 대해 착탈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자수틀에 피자수물(23) 및 심지(24)를 세트하는 순서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자수 데이터에 의거하여 X, Y 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구동되는 원단 틀(19)에는 받침 부재(20)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수틀의 지지틀(1)에는, 원단 틀(19)의 받침 부재(2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16)가 고정되어 있다. 받침 부재(20)에는 연결 부재(16)가 끼워 넣어지는 수용부(21)가 설치되어 있고, 수용부(21)의 안쪽 벽에는 자석(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21)에 연결 부재(16)를 꽂아 넣으면, 연결 부재(16)의 선단부에 고정된 철판(17)이 자석(22)에 흡착되어 연결 부재(16)가 받침 부재(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틀(1)은 원단 틀(19)에 대해 원터치로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지지틀(1)의 전방부에는 손잡이(18)가 고정되어 있고, 이 손잡이(18)를 가지고 지지틀(1)을 원단 틀(19)에 탈착할 수 있다. 공지와 같이, 원단 틀(19)이 자수 재봉 데이터에 따라 2차원적으로(X-Y) 구동되며, 그와 함께 지지틀(1)도 2차원적으로(X-Y) 구동된다.
도 6은 피자수물(23)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하나의 피자수물(23)을 실선으로 나타내며, 이 피자수물(23)을 일 부품으로 사용하여 제작되는 모자(C)의 완성 형상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피자수물(23)은, 도 6의 (a)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모자(C)를 제작하기 위한 부채꼴 형상의 파트(C1)를 2개 봉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만곡된 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만곡된 면을 갖는 피 자수물(23)을 전개 상태로 하여 그 외주를 억눌러도,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체를 평탄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필요한 일부의 범위에 대해서는, 자수 재봉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의 평탄도(平坦度)를 낼 수는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수틀은,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23)에 있어서의 필요한 자수 범위(자수 재봉의 대상으로 하는 범위)(E)를 평탄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평탄」이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것일 필요는 없고, 원단 틀(19)의 X, Y 구동에 따른 상대적인 평면 이동에 따르는 자수 재봉을 지장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평탄도이면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수틀에 피자수물(23) 및 심지(24)를 세트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먼저 심지(24)를 지지틀(1)에 세트하고, 다음에 피자수물(23)을 지지틀(1)에 세트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자수틀에 심지(24)를 세트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협지 부재(13)의 손잡이(15)를 가지고, 양 협지 부재(13)를 위쪽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심지(24)를 지지틀(1)의 이면에 깔고, 그 양 단부를 측벽(1a)에 감는다. 그리고, 양 협지 부재(13)를 아래쪽으로 밀어 내려서, 도 3에서 가상선으로 예시한 개방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유지 위치까지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심지(24)의 양 단부가 한 쌍의 협지편(13a)과 측벽(1a)의 좌우면으로 사이에 끼워져서 유지된다. 이 심지(24)를 유지할 때는, 한쪽의 단부를 유지한 상태로, 타단부를 잡아당겨서 심지(24)를 핀과 팽팽하게 펼친 상태로 타단부를 유지하도록 하면, 용이하게 심지(24)를 적 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양 협지 부재(13)를 유지 위치까지 밀어 내려서 심지(24)를 확실히 유지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다음에, 누름 부재(3, 8)의 레버(5, 10)를 위쪽으로 회동시켜서, 가압체(7, 12)를 들어올리고, 피자수물(23)을 지지틀(1)의 상부면에 두며(도 4 참조), 피자수물(23)의 단부를 누름 부재(3, 8)의 베이스(4, 9)와 가압체(7, 12)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피자수물(23)의 자수 범위(E)를 평탄하게 하고, 레버(5, 1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켜서, 가압체(7, 12)와 베이스(4, 9)에 의해 피자수물(23)의 양 단부를 각각 사이에 끼워서 유지한다. 이렇게 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지(24) 및 피자수물(23)이 각각 개별의 유지 수단(협지 부재(13)와 누름 부재(3, 8))에 의해 자수틀(지지틀(1))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심지(24), 피자수물(23)이 유지된 자수틀(제1의 자수틀)은, 지지틀(1)의 연결 부재(16)를 원단 틀(19)의 받침 부재(20)에 결합하는 것으로 피자수물(23)에 대한 자수 재봉이 가능해진다. 이 자수 재봉과 병행하여, 다른 자수틀(제2의 자수틀)에 새로운 피자수물(23) 및 심지(24)를 세트하는 준비 작업을 행해 두고, 자수 재봉이 종료되면 이 새로운 피자수물(23)을 세트한 이 제2의 자수틀을 자수 완료된 제1의 자수틀과 교환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피자수물(23)을 누름 부재(3, 8)에 의해, 심지(24)를 협지 부재(13)에 의해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자수물(23)과 심지(24)를 각각 개별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심지(24)를 적정하게 유지한 후에, 피자수물(23)을 지지틀(1)의 상부면에 두고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게 심지 (24)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심지(24)를 유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피자수물(23)과는 독립적으로 협지 부재(13)에 의해 심지(24)가 지지틀(1)에 유지되기 때문에, 피자수물(23)을 유지할 때에 그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지지틀(1)의 상부면에 둔 피자수물(23)의 위치를 조정했을 때 등에 심지(24)가 함께 움직이거나 하지 않고, 심지(24)는 적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심지(24)를 지지틀(1)의 이면에 세트하도록 하면, 보다 한층, 피자수물(23)을 유지할 경우에 그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심지(24)는 적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 심지(24)의 상태를 눈으로 보고 확인하고 싶은 경우, 지지틀(1)을 이면으로부터 보면 심지(24)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심지(24)를 지지틀(1)의 상부면에 세트하고 협지 부재(13)로 유지하도록 해도 되며, 그 경우라도 피자수물(23)과는 독립적으로, 협지 부재(13)에 의해 심지(24)가 지지틀(1)에 유지되기 때문에, 피자수물(23)을 유지할 경우에 그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또, 피자수물(23)을 그 위에 겹치기 전이라면, 협지 부재(13)의 유지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다.
또, 피자수물(23)을 유지하는 누름 부재(3, 8)(피자수물 유지 수단) 및 심지(24)를 유지하는 협지 부재(13)(심지 유지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자수물(23) 및 심지(24)의 지지틀(1)에의 유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지지틀(1)의 형상도 직사각형에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또, 피자수물(23)은 모자(C)의 파트(C1)를 2개 봉합한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만곡면을 가진 것이면 뭐든지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물론, 심지(24)를 사용하지 않고 (따라서 협지 부재(13)를 사용하지 않고), 피자수물(23)에 대해서만 자수 재봉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지지틀(1)의 개구부(2)는, 미싱 앞에 선 조작자로부터 보아 앞쪽의 한 변이 짧고 뒤쪽의 한 변이 길다. 이에 수반하여, 앞쪽에 배치된 누름 부재(8)의 길이가 짧고, 뒤쪽에 배치된 누름 부재(3)의 길이가 길다. 이는, 피자수물인 모자의 파트의 형상에 대략 맞춘 것이며, 이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자 파트의 정상부를 앞쪽으로 하여 세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치에 한하지 않고, 지지틀(1)의 개구부는 미싱의 앞에 선 조작자로부터 보아 앞쪽의 한 변이 길고, 뒤쪽의 한 변이 짧은 것이라도 무방하다. 그 경우는, 긴 길이(長尺)의 누름 부재(3)를 개구부의 앞쪽에 배치하고, 짧은 길이의 누름 부재(8)를 뒤쪽에 배치한다. 이 경우, 모자 파트의 정상부를 뒤쪽으로 하여 세트한다.
또한, 개구부의 긴 쪽의 변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누름 부재를 긴 길이로 하지 않고, 짧은 길이의 누름 부재를 2개 또는 그 이상 나란히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도 7∼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의 평면도이며, 지지틀(1A)은 도 1에 나타낸 지지틀(1)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그 평면부(1Ab)의 중앙에는 개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A)는, 도 1에 나타낸 개구부(2)와 같이 미싱의 앞에 선 조작자로부터 보아, 앞쪽의 한 변이 짧고 뒤쪽의 한 변이 길다. 다만, 이 개구부(2A)의 뒤쪽의 장변은 직선이 아니라, 중앙에서 약간 구부러져 있다. 도 8은 이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자수틀에 심지 및 피자수물을 세트하기 위해, 각 부재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지틀(1A) 상에 있어서, 개구부(2A)의 전방(단변(短邊) 쪽의 개소)에는 피자수물을 유지하기 위한 잠금 클립식의 유지 부재(이하, 잠금 클립이라 한다)(30)가 1개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2A)의 후방(장변 쪽의 개소)에는 동일한 잠금 클립식의 유지 부재(이하, 잠금 클립이라 한다)(31, 32)가 2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잠금 클립(31, 32)은 직선으로 늘어서 있는 것은 아니고, 개구부(2A)의 장변의 곡선에 따라 안쪽 방향으로, 즉 개구부(2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개의 잠금 클립(30)의 쪽을 지향하여, 약간 각도를 이루며 늘어서 있다. 이것에 의해, 피자수물의 전후를 잠금 클립(30, 31, 32)으로 유지했을 때, 대향하는 잠금 클립(30과 31)의 사이에서 보다 강한 팽창력을 일으키게 할 수 있고, 또 대향하는 잠금 클립(30과 32)의 사이에서 보다 강한 팽창력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각 잠금 클립(30, 31, 32)은 도시한 바와 같은 소정의 배치로, 지지틀(1A)의 평면부(1Ab) 상에 나사 죄임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틀(1A)의 평면부(1Ab)의 좌우 양측에는 수직으로 일어선 측벽(1A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측벽(1Ab)의 각 일단에는 지축(支軸)(34)을 통하여 막대 형상의 협지 부재(33)가 각각 피벗 지지되어 있다. 이 협지 부재(33)는 측벽(1Aa)에 따라 기다란 형상으로 뻗은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선단은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그립부(grip portion)(33a)로 되어 있어서, 손가락으로 집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지지틀(1A)의 평면부(1Ab)에 있어서의 측벽(1Aa) 쪽의 소정 개소에는 탄성 금속제의 고정구(35)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협지 부재(33)의 그립부(33a)의 근원의 곡선 부분을 각 고정구(35)에 각각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피자수물의 바탕(심지(24))의 측부를 측벽(1Aa)과 협지 부재(33)의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의 협지 부재(33)를 위쪽으로 들어 올려서 측벽(1Aa)으로부터 떼어놓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피자수물의 바탕(심지(24))을 평면부(1Ab)의 아래쪽에 세트하고 그 양 단부를 위쪽으로 세워서 측벽(1Aa) 위에 덮여지도록 배치하며, 그 후, 그 위로부터 협지 부재(33)를 밀어 내려서 그 그립부(33a)의 근원의 곡선 부분을 고정구(35)에 맞물리게 하여 측벽(1Aa) 쪽으로 강하게 밀어붙임으로써, 피자수물의 바탕(심지(24))을 이 지지틀(1A)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A-A 화살표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며, 하나의 잠금 클립(3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에 있어서는 각 잠금 클립(30, 31, 32)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각 잠금 클립(30, 31, 32)은 동일 구성이므로, 이하 하나의 잠금 클립(30)에 대해 그 상세를 설명한다.
잠금 클립(30)은, 베이스 부재(41)와, 이 베이스 부재(41)에 가교된 클립 지지 샤프트(42)와, 이 샤프트(42)에 피벗 지지된 스프링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클립 부재(43)와, 이 샤프트(42)에 감겨지고 이 클립 부재(43)를 개방 방향(도 9에서 위쪽 방향)으로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44)과, 클립 부재(43)의 위쪽에 있어서 이 베이스 부재(41)에 피벗 지지된 레버 지지 샤프트(45)와, 이 레버 지지 샤프트(45)에 고정된 조작 레버 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 레버 부재(46)는, 피벗축부(樞軸部)(샤프트(45))로부터의 거리가 긴 쪽의 일단에 형성된 조작 부위(46a)와, 이 조작 부위(46a)와 피벗축부(샤프트(45))의 사이에 위치하며 도 9에 나타내는 클립 상태(클립 온)에 있어서 클립 부재(43)에 맞닿아 접하는 접촉 부위(46b)와, 피벗축부(샤프트(45))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쪽의 타단에 형성된 잠금 부위(46c)로 구성된다. 이 클립 상태(클립 온)에 있어서는, 잠금 부위(46c)의 최하부(단부)가 클립 부재(43)의 표면을 가압하고, 또, 접촉 부위(46b)도 클립 부재(43)의 상부면에 맞닿아 접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 있어서 클립 부재(43)는 잠금 부위(46c)에 가압되어서 약간의 변형을 수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클립 부재(43)가 클립 상태(클립 온)로 잠긴다. 클립 부재(43)의 선단에는 적절한 미끄럼방지 부재(43a)(예를 들면, 고무 혹은 샌드 페이퍼 등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가 부착되어 있고, 또 베이스 부재(41) 상의 클립 부재(43)의 선단과 대향하는 개소에도 미끄럼방지 부재(41a)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미끄럼방지 부재(43a, 41a)의 존재에 의해, 이 잠금 클립(30)에 있어서 클립 부재(43)의 선단과 베이스 부재(41)의 사이에서 피자수물을 클립했을 때, 이 피자수물의 유지를 확실히 한다.
도 10은 잠금 클립(3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개방 상태에서는, 비틀림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클립 부재(43)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서 열리고, 조작 레버 부재(46)의 피벗축부(샤프트(45) 주위)에 맞닿아 접하여 멈추며, 조작 레버 부재(46)는 자중에 의해, 베이스 부재(41)에 설치된 스토퍼부(47)에 닿아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넘어져 버리지 않는 자세로 정지하고 있다. 이 개방 상태로부터 클립을 닫을 때는, 조작 레버 부재(46)의 조작 부위(46a)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 부재(46)의 잠금 부위(46c)가 클립 부재(43)의 상부면에 닿으며, 비틀림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 클립 부재(43)를 아래쪽으로 내리누르게 된다. 조작 레버 부재(46)의 조작 부위(46a)를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동시키면, 마침내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 부위(46c)의 최하단이 클립 부재(43)의 상부면을 가압하고, 이 잠금 부위(46c)가 클립 부재(43)의 상부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일어선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립 부재(43)는 잠금 부위(46c)로 가압되어서 약간의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탄발력이 발생하고 있으나, 잠금 부위(46c)에 의해 데드 록(dead lock)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부재(43)는 잠금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움직임이 잠가진 클립 부재(43)는 그 스프링 강판의 탄발력에 의해, 이 클립 부재(43)의 선단과 베이스 부재(41)의 사이에서 피자수물을 확실히 클립한다.
잠금 클립(30)의 잠금을 해제하는데는, 도 9의 상태에서 조작 레버 부재(46)의 조작 부위(46a)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잠금 부위(46c)의 최하단이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고,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는, 비틀림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클립 부재(43)가 위쪽 으로 밀어 올려져서 열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 부재(46)가 스토퍼부(47)에 맞닿아 접하는 위치까지 오면 움직임이 멈춘다.
도 12는, 도 7∼도 11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와 동일하게 심지(24) 및 피자수물(23)을 지지틀(1A)에 세트하고, 심지(24)를 협지 부재(33)로 유지하며, 피자수물(23)을 3개의 잠금 클립(30, 31, 32)으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심지(24)를 사용하지 않고 (따라서 협지 부재(33)를 사용하지 않고), 피자수물(23)만을 세트하여 자수 재봉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협지 부재(33)는 생략할 수 있다.
또, 이 잠금 클립(30, 31, 32)을 사용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틀의 개구부를, 미싱 앞에 선 조작자로부터 보아 앞쪽의 한 변이 길고 뒤쪽의 한 변이 짧은 것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틀(1B) 상에 있어서, 개구부의 후방(단변 쪽의 개소)에는 피자수물을 유지하기 위한 잠금 클립(30)이 1개 설치되고, 개구부의 전방(장변 쪽의 개소)에는 동일한 잠금 클립(31, 32)이 2개 나란히 설치된다. 또, 협지 부재(33)의 방향(그립부(33a)와 피벗축의 위치)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 등과는 반대라도 되고 같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의 적어도 자수 범위를, 자수틀의 2차원적 이동에 의해 자수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2차원적으로 구동되는 틀체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만곡된 면을 갖는 피자수물을 자수 가능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로서,
    피자수물의 자수 범위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에 세트한 심지를 이 지지틀에 대해 유지하기 위한 심지 유지 부재와,
    상기 지지틀에 세트한 피자수물을, 적어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자수 범위에 있어서 평탄하게 펴지도록, 상기 지지틀에 대해 유지하기 위한 피자수물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피자수물이 상기 지지틀의 상부면에 세트되고, 상기 심지가 상기 지지틀의 이면에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평면부와, 이 평면부의 좌우측에 있어서 주어진 조건의 높이로 각각 일어선 1쌍의 측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심지 유지 부재는, 상기 지지틀의 상기 측벽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1쌍의 협지 부재를 포함하며, 이 각 협지 부재는 이 협지 부재와 그것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틀의 상기 측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심지의 부분을 각각 끼워 넣는 것으로, 이 심지를 이 지지틀에 대해 유지하도록 한 것인 자수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측벽을 따라 기다란 형상으로 뻗은 부재로 구성되며, 이 부재의 일단이 상기 측벽에 피벗 지지되고 타단이 그립부(grip portion)로 되어 있으며, 이 그립부를 조작자의 손을 가지고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측벽으로부터 떨어지는 해방 위치와, 이 측벽을 따라 밀착하는 유지 위치의 어느 쪽에 설정되는 자수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 측에, 상기 유지 위치에 설정된 상기 협지 부재의 일부에 맞물려서 이 협지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는 자수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자수물 유지 부재는, 상기 지지틀 상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설치된 바인더 또는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자수틀.
  7. 삭제
  8. 2차원적으로 구동되는 틀체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피자수물을 자수 가능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로서,
    피자수물의 자수 범위에 대응되며 대향하는 단변과 장변을 포함한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개구부의 단변 쪽의 개소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짧은 길이의 바인더 또는 클립과, 상기 개구부의 장변 쪽의 개소에서 이 장변에 따라 설치된 적어도 1개의 긴 길이의 바인더 또는 클립을 포함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틀에 세트한 피자수물을, 상기 개구부의 단변 쪽의 개소와 장변 쪽의 개소에서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각각 유지함으로써, 이 피자수물이 만곡된 면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도, 이 개구부에 대응하는 자수 범위에 있어서 이 피자수물을 평탄하게 펼칠 수 있도록 한 자수틀.
  9. 2차원적으로 구동되는 틀체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피자수물을 자수 가능하게 세트하기 위한 자수틀로서,
    피자수물의 자수 범위에 대응되며 대향하는 단변과 장변을 포함한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틀과,
    상기 개구부의 단변 쪽의 개소에 설치된 적어도 1개의 바인더 또는 클립과, 상기 개구부의 장변 쪽의 개소에서 이 장변에 따라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바인더 또는 클립을 포함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틀에 세트한 피자수물을, 상기 개구부의 단변 쪽의 개소와 장변 쪽의 개소에서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각각 유지함으로써, 이 피자수물이 만곡된 면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도, 이 개구부에 대응하는 자수 범위에 있어서 이 피자수물을 평탄하게 펼칠 수 있도록 한 자수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장변 쪽의 개소에 설치된 2개의 바인더 또는 클립은, 내측 방향으로 약간 각도를 이루어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틀.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클립은,
    개방 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된 스프링 강판으로 이루어지면,
    피벗 운동 가능한 조작 레버 부재로서, 피벗축부를 사이에 끼워서 일단이 조작 부위, 타단이 잠금 부위로 되어 있고, 또한 이 피벗축부와 이 조작 부위의 사이에 접촉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작 부위를 한 방향에 회동시켜서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스프링 강판을 강하게 억눌러서 클립 상태로 했을 때 상기 잠금 부위와 접촉 부위의 이 클립 부재에의 맞닿아 접함에 의해 잠금 상태로 되고, 다른 한편, 이 잠금 상태로부터 이 조작 부위를 다른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잠금 해제함으로써, 상기 클립 부재의 스프링 가압력에 의해 이 클립 부재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틀.
KR20057021248A 2004-06-08 2005-06-08 자수틀 KR100740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9932A JP2005348795A (ja) 2004-06-08 2004-06-08 刺繍枠
JPJP-P-2004-00169932 2004-06-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772U Division KR200415918Y1 (ko) 2004-06-08 2005-11-09 자수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180A KR20060054180A (ko) 2006-05-22
KR100740661B1 true KR100740661B1 (ko) 2007-07-23

Family

ID=3550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21248A KR100740661B1 (ko) 2004-06-08 2005-06-08 자수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348795A (ko)
KR (1) KR100740661B1 (ko)
CN (1) CN1774535A (ko)
WO (1) WO2005121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1644B (zh) * 2009-06-01 2014-09-17 Vsm集团股份公司 织构圈夹具
CN111411459A (zh) * 2020-05-18 2020-07-14 三门比忠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电脑绗缝机的布夹装置
JP2022057874A (ja) * 2020-09-30 2022-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刺繍枠及び押え部材
JP2022057873A (ja) 2020-09-30 2022-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刺繍枠及びミシ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257A (ja) * 1994-05-09 1995-11-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枠
JP2001029678A (ja) * 1999-07-16 2001-02-06 Barudan Co Ltd ミシンのポケット枠
JP2001316969A (ja) * 2000-05-11 2001-11-16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211Y1 (ko) * 1971-07-07 1978-06-03
US4831753A (en) * 1988-09-12 1989-05-23 Inteso Ronald N Embroidery frame for hats
IT1231079B (it) * 1988-10-20 1991-11-12 Kochs Adler Ag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cucire un colletto su un corpo di un capo di abbigliamento.
JP2000334190A (ja) * 1999-05-27 2000-12-05 Brother Ind Ltd 帽子用刺繍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257A (ja) * 1994-05-09 1995-11-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枠
JP2001029678A (ja) * 1999-07-16 2001-02-06 Barudan Co Ltd ミシンのポケット枠
JP2001316969A (ja) * 2000-05-11 2001-11-16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535A (zh) 2006-05-17
KR20060054180A (ko) 2006-05-22
JP2005348795A (ja) 2005-12-22
WO2005121431A1 (ja)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661B1 (ko) 자수틀
KR102102989B1 (ko) 락킹 플라이어
KR200415918Y1 (ko) 자수틀
JPH0248229Y2 (ko)
JP4288861B2 (ja) 綴じ具
JP3096428B2 (ja) 綴込具
CN112188858A (zh) 擦拭板
JP3079138U (ja) ペット用トイレ
JP3015958U (ja) ファイル
JP3610856B2 (ja) 綴じ具
JP4293102B2 (ja) 部材の取付構造、ファイル、及び取付補助部材
US4343253A (en) Lid and hinge arrangement for a convertible sewing machine
JP3849894B2 (ja) 畳製造用の作業台
JP3571895B2 (ja) ステープラー装置
CN210397493U (zh) 一种拖拉机副离合器手柄结构及拖拉机
JP2004306573A (ja) 綴込具
JPS5856151Y2 (ja) 綴封機
JP2701708B2 (ja) 用箋挟
JP372971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固定構造
JPH0313987U (ko)
JP2001316969A (ja) 刺繍枠
JPH0443344Y2 (ko)
JP3760367B2 (ja) 綴じ具
JP3049662U (ja) 脚部の組立容易なカード立て
JPH03201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