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173B1 -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 Google Patents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173B1
KR100740173B1 KR1020050105267A KR20050105267A KR100740173B1 KR 100740173 B1 KR100740173 B1 KR 100740173B1 KR 1020050105267 A KR1020050105267 A KR 1020050105267A KR 20050105267 A KR20050105267 A KR 20050105267A KR 100740173 B1 KR100740173 B1 KR 10074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rod
protrusion
forming bod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460A (ko
Inventor
히로시 아사쿠라
나오키 오노
야스히코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우페
산쿄카세이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우페, 산쿄카세이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6005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돌기 형성체의 이면을 보행면에 접착시킴에 있어서, 양면 사이로 들어가버리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일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한 쪽에 대한 연접부(2a)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다른 쪽에 대한 연접부(2a)로 하여, 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걸쳐놓은 모양으로 구비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기 형성체(2)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 형성체(2)는 그 이면(2c)을 접착제(S)에 의해 보행면(M)에 접착되는 접착면(2d)으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연접부(2a)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2)와 막대모양 지지체(1)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돌기 형성체(2)에 그 표면(2b)과 이면(2c)을 연락하는 작은 구멍(2e)이 형성되어 있다.
시각 장애자, 유도용, 돌기, 공기, 보행면

Description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UNIT FOR FORMING VISUALLY HANDICAPPED PERSON INDUCEMENT PROJECTION}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평면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측면도로서, 도 1의 오른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저면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측면도로서, 도 1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에 따른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T)의 부설공정(敷設工程)의 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되는 공정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돌기유닛(Y)에 따른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T)의 부설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요부 평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일부 파단 요부 측면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요부 저면도.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평면도.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일부 파단 측면도로서, 도 10의 오른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저면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일부 파단 측면도로서, 도 10의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에 따른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T)의 부설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되는 공정에 이어서 이루어지는, 돌기유닛(Y)에 따른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T)의 부설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Y : 돌기유닛(unit)
M : 보행면(步行面)
S : 접착제
1 : 막대모양 지지체
2 : 돌기 형성체
2a : 연접부(連接部)
2b : 표면
2c : 이면(裏面)
2d : 접착면
2e : 작은 구멍
본 발명은, 보행면(步行面)에 부설(敷設)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unit)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와, 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 사이에 연접부에서 분리를 가능하게 한 상태로 걸쳐놓은 모양으로 구비되는 돌기 형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돌기 형성체의 이면(裏面)을 보행면에 접착시킨 후, 상기 분리를 행하여 보행면 위에 남겨진 돌기 형성체에 의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도록 한 돌기유닛이,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돌기 형성체의 이면(접착면)을 만곡시키도록 하고 있고, 이 이면을 보행면에 접착시킴에 있어서 이 이면과 보행면의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기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양면 사이에 공기가 가능한 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이 양면 사이에 전혀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는 없어, 들어간 공기는 이 양면 사이에 남게 되어 버린다. 이는 접착면 면적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 2004-176529호 공보(9페이지 단락 0066 및 006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 종류의 돌기유닛을 구성하는 돌기 형성체의 이면을 보행면에 접착시킴에 있어서, 양면 사이로 들어가버린 공기가 효과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이 양면의 접착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이 이하의 (1)∼(5)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1)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와,
(2)일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의 한 쪽에 대한 연접부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의 다른 쪽에 대한 연접부로 하여, 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 사이에 걸쳐놓은 모양으로 구비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기 형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3)돌기 형성체는 그 이면을 접착제에 의해 보행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으로 함과 아울러,
(4)연접부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와 막대모양 지지체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고,
(5)또한, 돌기 형성체에, 그 표면과 이면을 연락하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막대모양 지지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보행면에 돌기유닛을, 돌기 형성체의 접착면을 아래로 하여 배치시킴과 아울러, 접착제에 의해 이 접착면을 보행면에 접착시킴으로써, 돌기 형성체를 보행면의 소정의 위치에, 돌 기 형성체의 방향 내지 배열을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에 확보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고착 후, 상기 연접부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와 막대모양 지지체를 분리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고착된 돌기 형성체에 의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보행면에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기 형성체에는, 그 표면과 이면을 연락하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행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돌기 형성체의 이면을 이 접착제가 도포된 보행면에 상기 접착을 위하여 압착시킨 때에 양면 사이로 들어간 공기를 상기 작은 구멍을 통하여 이 양면 사이에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여, 이러한 양면 사이에 가능한 한 공기가 남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에 휘발성 용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접착제로부터 그 경화까지의 사이에 생기는 가스를 마찬가지로 상기 작은 구멍을 통하여 이 양면 사이에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여, 이러한 양면 사이에 가능한 한 가스가 남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양면 사이에 상기 공기 등으로 기인한 틈 등이 가능한 한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돌기 형성체를 보행면에, 강고하면서도 마무리 좋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 형성체의 이면에, 이 이면측의 작은 구멍의 구멍 입구로 이어지도록 뻗고, 또한 이 구멍 입구에 연통한 홈을 형성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돌기 형성체의 이면과 보행면의 사이로 들어간 상기 공기 등을 이 홈을 통하여 작은 구멍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 양면의 각 부위에 있어서 이러한 공기 등이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홈이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키는 홈 폭을 갖도록 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홈에 접착제를 골고루 미치도록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홈에 들어가서 경화되는 접착제에 의해 돌기 형성체의 이면과 보행면과의 접착상태를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기 형성체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를 형성시켜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로 되는 돌기 형성체에 보행면의 미끄럼방지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 형성체를, 연접편을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에 연접된 점모양 돌기로 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로 구성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보행면에 돌기유닛을 상기와 같이 접착시킨 후, 연접부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와 막대모양 지지체를 분리함으로써, 보행면에 용이하면서도 적절하게 선모양 돌기를 설치할 수 있다.
돌기 형성체를, 선모양 돌기로 되는 선모양 돌기체로 구성하여 두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보행면에 돌기유닛을 상기와 같이 접착시킨 후, 연접부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와 막대모양 지지체를 분리함으로써, 보행면에 용이하면서도 적절하게 선모양 돌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을 각각 도시하고 있고, 또한, 도 7 내지 도 9는 이러한 돌기유닛(Y)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 중 하나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돌기유닛(Y)을 보행면(M)에 설치하는 각 공정을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하고 있으며, 도 5, 도 6의 순서대로 이 설치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돌기유닛(Y)과 구성의 일부를 다르게 한 돌기유닛(Y)의 다른 예의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돌기유닛(Y)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행면(M)에 접착제(S)를 통하여 접착된 후,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모양 지지체(1)와 돌기 형성체(2)를 분리함과 아울러,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각 점모양 돌기체(21)끼리를 분리하여 최종적으로 보행면(M)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은 보행면(M)에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T)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보행면(M)으로서는, 포장된 보도의 포장면, 횡단보도의 포장면, 역(驛) 통로의 통로면, 역의 플랫폼(platform)의 가장자리 면 등이 예정된다.
이러한 돌기유닛(Y)은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기 형성체(2)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 형성체(2)는 일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중 한 쪽에 대한 연접부(2a)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중 다른 쪽에 대한 연접부(2a)로 하여, 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걸쳐놓은 모양 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돌기 형성체(2)는 그 이면(2c)을 접착제(S)에 의해 보행면(M)에 접착되는 접착면(2d)으로 하고 있다. 접착제(S)로서는, 통상의 접착제(S) 이외에, 접착효과를 갖는 도료, 도료와 접착제(S)를 혼합한 것이지만, 접착제(S)에 안료 등을 혼합하여 도료로서의 기능을 함께 갖는 접착제(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접부(2a)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2)와 막대모양 지지체(1)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돌기유닛(Y)에 따르면, 막대모양 지지체(1, 1)를 파지한 상태에서, 보행면(M)에 돌기유닛(Y)을, 돌기 형성체(2)의 접착면(2d)을 아래로 하여 배치시킴과 아울러, 접착제(S)에 의해 이 접착면(2d)을 보행면(M)에 접착시킴으로써, 돌기 형성체(2)를 보행면(M)의 소정의 위치에, 돌기 형성체(2)의 방향 내지 배열을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에 의해 확보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고착 후, 상기 연접부(2a)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2)와 막대모양 지지체(1)를 분리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고착된 돌기 형성체(2)에 의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T)를 보행면(M)에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이러한 돌기유닛(Y)을,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돌기유닛(Y)을 구성한 경우, 돌기유닛(Y)을 용이하면서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돌기유닛(Y)을 경량화시켜서 상기 보행면(M)에 대한 설치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속건성(束乾性)의 접착제(S)로서는, 돌기유닛(Y)을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예컨대 메타크릴 수지액과 각종 안료로 이루어지고 조정한 점성을 갖는 주제(主劑)를 과산화물로 경화시키도록 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돌기 형성체(2)를, 제1연접편(210)을 통하여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에 연접된 점모양 돌기로 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 …)로 구성하여 두면, 보행면(M)에 돌기유닛(Y)을 상기와 같이 접착시킨 후, 연접부(2a)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2)와 막대모양 지지체(1)를 분리함으로써, 보행면(M)에 용이하면서도 적절하게 복수의 점모양 돌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돌기 형성체(2)를, 선모양 돌기로 되는 선모양 돌기체(22)로 구성하여 두면, 보행면(M)에 돌기유닛(Y)을 상기와 같이 접착시킨 후, 연접부(2a)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2)와 막대모양 지지체(1)를 분리함으로써, 보행면(M)에 용이하면서도 적절하게 선모양 돌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기 형성체(2)에는, 그 표면(2b)과 이면(2c)을 연락하는 작은 구멍(2e)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행면(M)에 접착제(S)를 도포한 후, 돌기 형성체(2)의 이면(2c)을 이 접착제(S)가 도포된 보행면(M)에 상기 접착을 위해 압착할 때에 양면(2c, M) 사이에 들어간 공기를 상기 작은 구멍(2e)을 통하여 이 양면(2c, M) 사이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여, 이러한 양면(2c, M) 사이에 가능한 한 공기가 잔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S)에 휘발성 용제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접착제(S)로부터 그 경화까지의 사이에 생기는 가스를 마찬가지로 상기 작은 구멍(2e)을 통하여 이 양면(2c, M) 사이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여, 이러한 양면(2c, M) 사이에 가능한 한 이러한 가스가 잔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양면(2c, M) 사이에 상기 공기 등으로 기인한 틈 등이 가능한 한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돌기 형성체(2)를 보행면(M)에 강고하면서도 마무리 좋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기 형성체(2)의 이면(2c)에, 이 이면(2c)측에서의 작은 구멍(2e)의 구멍 입구로 이어지도록 뻗어있고, 또한 이 구멍 입구에 연통한 홈(2f)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기 형성체(2)의 이면(2c)과 보행면(M)의 사이에 들어간 상기 공기 등을 이 홈(2f)을 통하여 작은 구멍(2e)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어, 양면(2c, M)의 각 부위에서 이러한 공기 등이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홈(2f)이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홈 폭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2f)에 접착제(S)를 골고루 퍼지도록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홈(2f)에 들어가서 경화되는 접착제(S)에 의해 돌기 형성체(2)의 이면(2c)과 보행면(M)과의 접착상태를 더욱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기 형성체(2)의 표면(2b)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2g)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T)로 되는 돌 기 형성체(2)에 보행면(M)의 미끄럼 방지기능을 함께 갖출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기(2g)는, 돌기 형성체(2)의 표면(2b)에 하단을 일체로 연접시켜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짧은 길이의 기둥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기둥 상면을 둘러싸는 가장자리부(2g')를 에지(edge)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미끄럼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는, 돌기 형성체(2)를 상기 점모양 돌기(2g)로 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에 의해 구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는, 돌기유닛(Y)을 구성하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는 한 쪽의 막대모양 지지체(1)와 다른 쪽의 막대모양 지지체(1)가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되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다섯 개의 돌기 형성체(2, 2…)가 걸쳐 놓여지는 모양으로 구비되어 있다.
각 돌기 형성체(2)는 어느 것이나,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점모양 돌기체(21)가 막대모양 지지체(1)의 길이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곧바로 배열되도록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끼리를 제1연접편(210)에 의해 연접시킴으로써 한 개의 돌기 형성체(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돌기 형성체(2)의 일단측에 있는 점모양 돌기체(21)와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중 한 쪽을 제2연접편(211)을 통하여 연접시킴과 아울러, 이러한 돌기 형성체(2)의 타측단에 있는 점모양 돌기체(21)와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다른 쪽을 제2연접편(211)을 통하여 연접시킴으로써,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각 돌기 형성체(2)를 걸쳐놓은 모양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는, 각 돌기 형성체(2)는 거의 같은 치수,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는 어느 것이나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 사이의 피치를 거의 같게 하도록, 상기 제1연접편(210)에 의해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에 연접시켜 맞추어져 있다. 또한, 다섯 개의 돌기 형성체(2)에서의 이웃하는 돌기 형성체(2) 사이의 간격은 어느 것이나 거의 같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배열되는 다섯 개의 돌기 형성체(2)에 의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는 이 막대모양 지지체(1)와 거의 평행을 이루는 가상의 직선과, 이 막대모양 지지체(1)에 거의 직교하는 가상의 직선이 교차하는 교점에 각각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1) 사이에 걸쳐놓은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섯 개의 돌기 형성체(2, 2…)에 의해 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바둑판 눈금형상으로 점모양 돌기체(21)가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예에 있어서는, 돌기유닛(Y)을 상기와 같이 보행면(M)에 접착시킴으로써, 이 보행면(M)에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를 정확한 바둑판 눈 금형상을 이루도록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보행면(M)에 병행 배열한 점모양 돌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다섯 개의 돌기 형성체(21, 21…)에서의 점모양 돌기체(21)의 배열을 어긋나게 하면, 보행면(M)에 물떼새 배열 점모양 돌기를 형성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한 개의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21, 21…)를 연접시켜 맞추는 상기 제1연접편(210)은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의 한 쪽에 하단(210b)을 분리가능하게 연접시켜 위쪽으로 뻗는 한 쪽 팔(210a)과,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의 다른 쪽에 하단(210b)을 분리가능하게 연접시켜 위쪽으로 뻗는 다른 쪽 팔(210a)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 있어서는, 한 쪽 팔(210a)과 다른 쪽 팔(210a)은 이들의 상단 사이로 뻗는 상부 접속편(210c)에 의해 접합시켜 맞추어져 있다. 이 예에서는, 이 상부 접속편(210c)은, 수평방향을 따라 뻗는 막대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쪽 팔(210a)과 다른 쪽 팔(210a)도 곧바른 막대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예에서는 양 팔(210a, 210a)과 함께, 그 상측단으로 가까워질수록 점차로 그 하단(210b)을 연접시키고 있는 점모양 돌기체(21)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하여 위쪽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각 점모양 돌기체(21)는 어느 것이나,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거의 원형의 외곽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점모양 돌기체(21)는 어느 것이나 접착면으로 되는 원형의 이면(2c)과, 이 이면(2c) 보다 소경(小經)의 원형의 표면(2b)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이면(2c)과 표면 (2b) 사이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이루는 테이퍼(taper)면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이러한 점모양 돌기체(21)의 대략 중심에 상기 작은 구멍(2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은 구멍(2e)은 점모양 돌기체(21)의 이면(2c)으로부터 표면(2b)을 향할수록 점차로 그 구멍 직경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점모양 돌기체(21)의 이면(2c)에는, 이 이면(2c)측의 작은 구멍(2e)의 구멍 입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홈(2f, 2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홈(2f)은 점모양 돌기체(21)의 중심으로 향할수록 점차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홈(2f) 사이는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막대모양 지지체(1)의 이면이 돌기 형성체(2)의 접착면(2d)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막대모양 지지체(1)와 돌기 형성체(2)의 연접부(2a)가 제2연접편(211)을 통하여 연접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걸쳐놓은 형상으로 배치되는 다섯 개의 돌기 형성체(2, 2…)의 이면(2c)이 가상의 한 개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이면이 이 가상의 한 개의 평면보다 위쪽에 위치되는 다른 가상의 한 개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끼리를 연접시키는 제1연접편(210)에서의 상기 상부 접속편(210c)의 이면도,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이면(2c)이 위치되는 다른 가상의 한 개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와 함께, 돌기 형성체(2)의 단부, 즉 연접부(2a)와 막대모양 지지체(1)가 돌기 형성체(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위쪽으로 뻗도록 형성된 제2연접편(211)에 의해 연접되도록 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제2연접편(211)의 상단과 막대모양 지지체(1)는 또한 수평방향으로 뻗는 막대모양 연접편(211a)을 통하여 연접되어 맞추어져 있다.
이에 의해, 이 예에 있어서는 막대모양 지지체(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착제(S)를 도포한 보행면(M)에 돌기 형성체(2)의 접착면(2d)을 압착시키도록 세팅(setting)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돌기 형성체(2)를 보행면(M)에 세팅하여 접착한 후,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연접편(211)의 하단(211b)과 돌기 형성체(2)의 단부와의 접합부위를 단절하도록 하고 있다(도 5 내지 도 6).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돌기 형성체(2)를 보행면(M)에 고착시킨 후, 더욱이, 이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21)를 연접시켜 맞추는 상기 제1연접편(210)과 이 점모양 돌기체(21)를 이 제1연접편(210)의 한 쪽 팔(210a)의 하단(210b)과 이 제1연접편(210)의 다른쪽 팔(210a)의 하단(210b)으로 각각 분리하여, 보행면(M)에 이 점모양 돌기체(21)만이 남겨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이러한 제1연접편(210)은 양 팔(210a, 210a)의 하단(210b)을 점모양 돌기체(21)에 연접시켜 위쪽에 위치되므로, 보행면(M)에는 접착되는 일은 없고, 돌기 형성체(2)를 보행면(M)에 고착시킨 후 지장없이 이러한 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연접편(210)은 상기 양 팔(210a, 210a)을 가지므로, 이 양팔(210a, 210a) 사이의 간격을 약간 넓히고, 또는 좁히는 변형을 허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보행면(M)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경우라도 돌기 형성체(2)를 보행면(M)에 세팅함에 있어서 이러한 요철에 관계없이 각 점모양 돌기체(21)의 접착면(2d)이 어느 것이나 보행면(M)에 대하여 밀착하도록 각 점모양 돌기체(21)의 접착면(2d)을 약간 경사시키는 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허용은 전형적으로는 돌기유닛(Y)을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 사출성형품으로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이 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일단 사이와 타단 사이에 각각 막대모양 접속체(212)가 걸쳐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와 막대모양 접속체(212)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의 틀형상체에 의해 상기 다섯 개의 돌기 형성체(2, 2…)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되는 예에 있어서는, 돌기 형성체(2)를 상기 선모양 돌기로 되는 복수의 선모양 돌기체(22, 22…)에 의해 구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는, 돌기유닛(Y)을 구성하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와 다른 쪽의 막대모양 지지체(1)가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되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네 개의 돌기 형성체(2, 2…)가 걸쳐놓은 모양으로 구비되어 있다.
각 돌기 형성체(2)는 어느 것이나 막대모양 지지체(1)의 길이방향에 거의 직 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른 막대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돌기 형성체(2)의 일단(연접부(2a))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한 쪽을 연접편(220)을 통하여 연접시킴과 아울러, 이러한 돌기 형성체(2)의 타단(연접부(2a))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다른 쪽을 연접편(220)을 통하여 연접시킴으로써,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각 돌기 형성체(2)가 걸쳐놓은 모양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는, 각 돌기 형성체(2)는 거의 같은 치수,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네 개의 돌기 형성체(2, 2…)에서의 이웃하는 돌기 형성체(2) 사이의 간격은 어느 것이나 거의 같게 되도록 하고 있다.
각 돌기 형성체(2)는 어느 것이나 이면(2c)을 접착면(2d)으로 함과 아울러, 표면(2b)보다 이면(2c)을 폭넓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폭방향의 단면형상을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각 돌기 형성체(2)는 거의 같은 치수, 같은 형상의 세 개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로 구분되어 있고, 중앙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일단과 우측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일단을 힌지(hinge)형 접속편(222)에 의해 접속시킴과 아울러, 중앙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타단과 좌측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일단을 힌지형 접속편(222)에 의해 접속시킴으로써, 이들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에 의해 돌기 형성체(2)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폭방향을 따른 변부(邊部)와 길이방향을 따른 양 변부의 사이의 양 구석부에 있어서, 이 중앙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이면(2c)측과, 좌우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폭방향을 따른 변부와 길이방향을 따른 양 변부의 사이의 양 구석부에 있어서, 이 좌우의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이면(2c)측이 상기 힌지형 접속편(222)에 의해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 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힌지형 접속편(222)을 굴곡시킴으로써,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각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이면(2c), 즉 접착면(2d)을 약간 경사시킬 수 있고, 보행면(M)에 대한 세팅에 있어서, 이 보행면(M)에 약간의 요철이 있는 경우라도, 이러한 요철에 관계없이 각 돌기 형성체(2)를 구성하는 각 선모양 돌기 형성체(221)의 접착면(2d)이 어느 것이나 보행면(M)에 대하여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형 접속편(222)을 굴곡가능하게 하는 것은, 전형적으로는 돌기유닛(Y)을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 사출성형품으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도, 돌기유닛(Y)을 상기와 같이 보행면(M)에 접착시킴으로써, 이 보행면(M)에 복수의 선모양 돌기체(22)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 보행면(M)에 복수의 선모양 돌기를 소정의 배열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이러한 선모양 돌기체(22)의 폭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복수의 작은 구멍(2e)이, 이웃하는 작은 구멍(2e)의 사이에 이 선모양 돌기체(2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작은 구멍(2e)은 선모양 돌기체(22)의 이면(2c)으로부터 표면(2b)을 향할수록 점차로 그 구멍 직경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선모양 돌기체(22)의 이면(2c)에는, 이 선모양 돌기체(22)의 폭방향을 따른 복수의 제1 홈(2f', 2f'…)이, 이웃하는 제1 홈(2f')과의 사이에 이 선모양 돌기체(2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제1 홈(2f')끼리는 선모양 돌기체(22)의 폭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어서, 이 선모양 돌기체(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는 제2 홈(2f")에 의해 연통되어 맞추어지고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제1 홈(2f')의 일부에 상기 작은 구멍(2e)의 구멍 입구가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홈(2f')은 선모양 돌기체(22)의 폭방향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가까울수록 점차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홈(2f")은 상기 작은 구멍(2e)의 구멍 입구에 가까울수록 점차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막대모양 지지체(1)의 이면이 돌기 형성체(2)의 접착면(2d)보다 위쪽에 위치되도록, 막대모양 지지체(1)와 돌기 형성체(2)의 연접부(2a)가 연접편(220)을 통하여 연접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 사이에 걸쳐놓은 형상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돌기 형성체(2, 2…)의 이면(2c)이 가상의 한 개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1, 1)의 이면이 이 가상의 한 개의 평면보다 위쪽에 위치되는 다른 가상의 한 개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와 함께, 돌기 형성체(2)의 단부, 즉 연접부(2a)와 막대모양 지지체(1)가 돌기 형성체(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위쪽으로 뻗도록 형성된 연접편(220)에 의해 연접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 예에 있어서는, 막대모양 지지체(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접착제(S)를 도포한 보행면(M)에 돌기 형성체(2)의 접착면(2d)을 압착시키도록 세팅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돌기 형성체(2)를 보행면(M)에 세팅하여 고착한 후,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접편(220)의 하단(220a)과 돌기 형성체(2)의 단부와의 접하여 만나는 부위를 절단하도록 하고 있다(도 14 내지 도 15).
본 발명에 의한 돌기유닛에 따르면, 이 돌기유닛을 구성하는 돌기 형성체의 이면을 보행면에 접착시킴에 있어서, 양면 사이로 들어가버리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빼낼 수 있어, 이 양면의 접착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보행면에 돌기 형성체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와,
    일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의 한 쪽에 대한 연접부(連接部)로 하고, 또한, 타단부를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의 다른 쪽에 대한 연접부로 하여, 이 한 쌍의 막대모양 지지체 사이에 걸쳐놓은 모양으로 구비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돌기 형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돌기 형성체는, 그 이면을 접착제에 의해 보행면(步行面)에 접착되는 접착면으로 함과 아울러,
    연접부에 있어서, 돌기 형성체와 막대모양 지지체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고,
    또한, 돌기 형성체에, 그 표면과 이면을 연락하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성체의 이면에, 이 이면측에서의 작은 구멍의 입구로 이어지도록 뻗고, 또한 이 입구에 연통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키는 홈 폭을 갖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성체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성체가 연접편을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점모양 돌기체에 연접된 점모양 돌기로 되는 복수의 점모양 돌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형성체가, 선모양 돌기로 되는 선모양 돌기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KR1020050105267A 2004-11-10 2005-11-04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KR100740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7113A JP4486479B2 (ja) 2004-11-10 2004-11-10 敷設されて視覚障害者誘導用突起を形成させる突起ユニット
JPJP-P-2004-00327113 2004-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460A KR20060052460A (ko) 2006-05-19
KR100740173B1 true KR100740173B1 (ko) 2007-07-16

Family

ID=3661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267A KR100740173B1 (ko) 2004-11-10 2005-11-04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486479B2 (ko)
KR (1) KR100740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7302A (ja) * 2007-11-23 2009-06-11 Michael Japan Co Ltd 点字部材及び誘導ブロック
JP4981752B2 (ja) * 2008-06-10 2012-07-25 積水樹脂株式会社 視覚障害者誘導用突起フィルム及びその敷設方法
JP5463535B2 (ja) * 2011-11-22 2014-04-09 草竹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視覚障害者用床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385A (ja) * 2008-06-27 2010-01-14 Fujitsu Ltd 電子機器
JP2023002757A (ja) * 2021-10-28 2023-01-10 ベイジン バイドゥ ネットコム サイエンス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高精度地図作成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45Y2 (ja) * 1989-09-26 1995-07-05 株式会社リコー 多出力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ータ
JPH03224903A (ja) * 1990-01-31 1991-10-03 Atom Chem Paint Co Ltd 路面標示材料および該材料よりなる路面標示体
JPH0668820U (ja) * 1993-03-12 1994-09-27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路面点字形成用型枠
JPH11209935A (ja) * 1998-01-27 1999-08-03 Nippon Haatobiru Kogyo Kk 点状歩行誘導鋲
JP2001081742A (ja) * 1999-09-10 2001-03-27 Nihon Kogyo Co Ltd 点字誘導ブロック
JP3629469B2 (ja) * 2002-02-25 2005-03-16 株式会社丸エム製作所 床用点字鋲における誘導鋲
JP3708930B2 (ja) * 2002-10-01 2005-10-19 株式会社トウペ 敷設されて視覚障害者誘導用突起を形成させる突起ユニット、および、この突起ユニットによる視覚障害者誘導用突起の敷設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385A (ja) * 2008-06-27 2010-01-14 Fujitsu Ltd 電子機器
JP2023002757A (ja) * 2021-10-28 2023-01-10 ベイジン バイドゥ ネットコム サイエンス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高精度地図作成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09385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32757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3289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38085A (ja) 2006-06-01
JP4486479B2 (ja) 2010-06-23
KR20060052460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2733B1 (de) Bauelement zur herstellung von boden- oder wandverkleidungen
KR100740173B1 (ko) 부설되어 시각장애자 유도용 돌기를 형성시키는 돌기유닛
CA2625955A1 (en) System for setting tiles, tile assembly and joining element for use in the system, method for setting tiles, and tile floor repair method
SE503917C2 (sv) Anordning för sammanfogning medelst not och spånt av angränsande stycken av golvbeläggningsmaterial samt ett golvbeläggningsmaterial sammansatt av ett antal mindre stycken
EP1705309A3 (en) Flooring and floorboard
DK0839973T3 (da) Trappetrinkantliste til laminatgulve
US10472832B2 (en) Kits of parts for trimming step edges
KR101877455B1 (ko) 종합경기장 육상트랙 시공방법
EP1635008A3 (de) Befestigung von Bohlen an einer Unterkonstruktion
US6365258B1 (en) Method of floor laying and flocked underlay and floor material to be used with the method
WO2004025044A3 (en) Interlaced panels for support surfaces
EP1388317A3 (de) Bodenebene Duschtasse
JP3708930B2 (ja) 敷設されて視覚障害者誘導用突起を形成させる突起ユニット、および、この突起ユニットによる視覚障害者誘導用突起の敷設方法
DE19620134A1 (de) Fliese zum Verlegen auf einem durch eine Wand oder einen Boden gebildeten Tragkörper und Einrichtung zur Aufnahme und zur Lagefixierung der Fliese
CN109267506B (zh) 金属与树脂溶合形成的盲导标示及安装方法
JPH07300808A (ja) プラスチック製床材
JP3053479U (ja) 連結可能なゴム製の路面用平板
DE50201128D1 (de) Bodenbelagelement zur Bildung einer Bodenrinne
JP5457170B2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ならびに突起形成体およびブロック体
BE1019179A3 (nl) Podo-tactiele nop.
JP2694409B2 (ja) タイル壁面の施工方法および用いる下地基板およびタイル
CN107044197A (zh) 一种装修饰板装置及装修饰板装置安装方法
JP3091945U (ja) 長 靴
KR101919923B1 (ko) 도로포장매트 및 도로포장구조체
JP2007169884A (ja) ドレイン排水溝部材、及びドレイン排水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