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493B1 - 화상공급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인쇄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공급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인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493B1
KR100738493B1 KR1020050076105A KR20050076105A KR100738493B1 KR 100738493 B1 KR100738493 B1 KR 100738493B1 KR 1020050076105 A KR1020050076105 A KR 1020050076105A KR 20050076105 A KR20050076105 A KR 20050076105A KR 100738493 B1 KR100738493 B1 KR 10073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image
information
fil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156A (ko
Inventor
마사오 카토
후토시 사사키
류이치 코바야시
노부오 오누마
루리코 미카미
아키노리 호리우치
요시로 우다가와
켄지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인쇄시스템에 의하면, 프린터는 DSC와 프린터 사이의 통신 접속에 의거하여 프린터의 기능 정보를 DSC에 공급하고, DSC는 공급된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UI를 구축하여 DSC에 표시한다. DSC는 UI에 의거하여 설정된 인쇄 조건과 프린터의 기능 정보에 따라,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화상 파일을 프린터에 송신한다.
Figure 112005045610779-pat00001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인터페이스, 기능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쇄 조건, 기능 분담

Description

화상공급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인쇄시스템{IMAGE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IN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조작 패널의 개관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제어와 관련된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DSC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시스템에서, DSC로부터 PD 프린터에 대하여 인쇄 요구를 발행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의 대략적인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DSC)와 PD 프린터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DSC로부터 PD 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DSC의 화상 파일 작성처리(단계 S10)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처리(단계 S28)를 설명하 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인쇄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DSC와 PD 프린터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DSC로부터 PD 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여 n-up 레이아웃 인쇄를 수행할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조작 패널 1011 : 뷰어
3000 : 제어부 3001 : ASIC
3002 : DSP 3003 : 메모리
3003a : 프로그램 메모리 3004 : 프린터 엔진
3008 : USB HUB 3010 : PC
3011 : PC 카드 3019 : 전원
본 발명은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프린터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시스템 및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이하, "DSC"라 함)를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접속하고, DSC의 기억매체(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사진화상을 프린터에 송신하여 인쇄하는 소위, 디지털 카메라 다이렉트 인쇄시스템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인쇄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쇄 대상 화상의 JPEG 파일이 DSC로부터 프린터에 송신되고, 프린터 측에서, 상기 JPEG 파일이 압축 복원되고, 색 변환 및 리사이징이 수행되어, 인쇄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인쇄를 행하고 있다.
DSC에 관하여, 촬영된 화상을 인쇄 전용으로 처리한 다음, 프린터에 송신하여 인쇄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8-32911호는 일반적이지 않은 고유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DSC로부터의 화상과, 프린터 측의 용지 크기 등의 인쇄 형태에 따른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다이렉트 인쇄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10-290470호에 관하여, 그 목적은 프린터에서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고, DSC에 의해 JPEG 파일이 압축 복원되고, 색 변환 및 리사이징이 수행되어 인쇄 가능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므로, 상기 변환된 데이터가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서 프린터에 송신되어, 프린터에서의 화상처리 부하를 감소시킨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3-134457호에 관하여, 각 프린터의 색 재현 특성의 변동이 DSC 측에서 보정되어, JPEG 등의 일반적인 화상 파일로 변환되어 프린터에 송신된다. 이에 따라, 그 설명에 따르면, 각 프린터의 인쇄 특성에 의존하 지 않는 안정된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디지털 카메라 다이렉트 인쇄시스템의 통신 절차를 규정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인해, 디지털 카메라 다이렉트 인쇄시스템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또한, DSC의 화상 품질의 개선에 대해서도 현저한 진보가 있다. DSC에 의해 촬상되고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몇 년 전까지는 화상당 최대 100만 내지 200만 화소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화상당 800만 화소 이상의 고해상도의 화상을 촬영하여 기억할 수 있는 DSC가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DSC의 화소수의 증가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전술한 디지털 카메라 다이렉트 인쇄시스템에 대한 아래와 같은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였다.
(1) 프린터 측에서 처리해야 할 화소수가 증가하므로, 프린터 측의 부하가 증가한다.
(2) 화소수에 비례하여 화상 파일의 크기가 더 커지므로, DSC와 프린터 사이의 화상 파일의 전송 부하가 증가한다.
이들 요인으로 인해, 인쇄시에 인쇄 속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전술한 공지 예와 같이, 처리의 부하 분담을 목적으로 하여, 인쇄용의 화상 데이터의 화상처리의 일부를 DSC 측에서 수행할 경우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임의의 공지 예에서는, 프린터의 인쇄 사양 및 인쇄 특성이 프린 터로부터 취득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되어 있지만, 프린터의 인쇄 특성에 관한 정보를 프린터와 DSC 사이에서 통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있다. 예를 들어, PictBridge에 의해 프린터의 인쇄 능력을 DSC에 전달하는 기술의 경우에는, 프린터에서의 인쇄시의 크기 및 레이아웃을 프린터의 능력(capability) 내에서 DSC 측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및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프린터의 인쇄 조건은 프린터로부터의 능력만으로 항상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일본 특개평8-32911호에서는, 프린터는 현재 인쇄 가능한 조건을 DSC에 통지하고, DSC는 이에 따라 인쇄 조건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A4 용지가 프린터에 설정되어 있으면, 종이 크기 검출기능을 가지는 프린터는 자동적으로 DSC에 대하여 A4의 종이 크기를 통지한다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프린터가 종이 크기 검출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프린터의 패널에서 용지 크기가 선택되어, 그 선택 결과가 DSC에 통지된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나, 프린터에 의해 인식된 현재의 인쇄 가능한 조건만 DSC에 통지되며, DSC 측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 특성은 인쇄 결과에 항상 반영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프린터에 설정된 A4 용지를 가지며, 프린터의 해상도로 인쇄될 경우에 A4보다 더 큰 크기로 인쇄될 화상 데이터를 DSC로부터 송신할 경우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너무 커서 A4의 크기가 될 수 없고, 그 주변이 잘라진 상태로 인쇄된다.
일본 특개평10-290470호 및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3-134457호에서는, 프린터의 인쇄 특성이 프린터로부터 취득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프 린터에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취득된 인쇄 특성에 의거하여 변환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처리 및 인쇄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프린터로부터의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공급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 프린터에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공급 디바이스에서 처리한 후, 상기 화상 데이터와 기능 정보를 프린터에 송신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 그 인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프린터를 가지며,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상기 프린터 사이의 통신에 따라, 상기 프린터의 기능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UI를 구축하고, 상기 UI를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UI를 이용하여 설정된 인쇄 조건과 상기 기능 정보에 따라, 인쇄 대상인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프린터는 상기 데이터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모든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명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디지털 카메라(DSC)와 프린터 사이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구현하는 PictBridge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 다이렉트 프린터(이하, "PD 프린터"라 함)(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PD 프린터(1000)는 호스트 컴퓨터(P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인쇄 출력하는 일반적인 PC 프린터 기능과,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거나,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 PD 프린터(1000)의 외관으로서의 본체는 하부 케이스(1001), 상부 케이스(1002), 액세스 커버(access cover)(1003) 및 배출 트레이(1004)를 가지고 있다. 하부 케이스(1001)는 PD 프린터(1000)의 대략 하반부를 구성하고, 상부 케 이스(1002)는 본체의 대략 상반부를 구성한다. 양쪽 케이스의 조합에 의해, 후술하는 각 기구를 위한 수납 공간을 가지는 중공체 구조가 만들어진다. 상기 구조는 그 상부면 및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배출 트레이(1004)는 그 일단부가 하부 케이스(100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 트레이(1004)의 회전에 의해, 하부 케이스(1001) 전면의 개구부가 개폐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기록 동작의 실행시에, 배출 트레이(1004)가 전면 측으로 회전하여 개구부가 열리게 함으로써, 이 개구부로부터 인쇄 시트가 배출될 수 있고, 배출된 인쇄 시트가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배출 트레이(1004)는 2개의 보조 트레이(1004a, 1004b)를 포함한다. 배출 트레이(1004)의 시트 지지 면적은 필요에 따라 각 트레이를 인출함으로써, 3단계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10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액세스 커버(1003)는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본체에 수납되어 있는 인쇄헤드 카트리지(도시하지 않음), 잉크 탱크(도시하지 않음) 등이 교환될 경우에는, 액세스 커버(1003)가 열린다. 한편, 여기서는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액세스 커버(1003)가 개폐될 경우에는, 액세스 커버(1003)의 뒷면에 형성된 돌기가 마이크로 스위치 등에 의해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액세스 커버(1003)의 개폐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02)의 상부면에는 전원 키(10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2)의 우측에는, 액정 표시부(1006), 각종 키 스위치 등을 가지는 조작 패널(101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101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번호 1007은, 시트를 장치 본체에 자동적으로 급송하는 자동 급송부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008은, 인쇄헤드와 인쇄 시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종이간격 선택 레버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1009는, 메모리 카드가 장착 가능한 어댑터가 삽입되는 카드 슬롯을 나타낸다. 상기 어댑터를 통해,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직접 판독되어 인쇄 출력된다. 메모리 카드(PC)로서는, 컴팩트 플래시(등록상표) 메모리,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번호 1011은 PD 프린터(1000) 본체에 착탈 가능한 뷰어(액정 표시부)를 나타낸다. PC 카드에서 인쇄 대상 화상이 검색될 경우에는, 상기 뷰어 상에 1프레임 단위로 화상이 표시되거나, 인덱스 화상이 표시된다. 도면번호 1012는 후술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접속하기 위한 USB 단자를 나타낸다. 또한, PD 프린터(1000)의 뒷면에는, 퍼스널 컴퓨터(PC)와 접속하기 위한 USB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조작 패널(1010)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서, 액정 표시부(1006)는 좌우에 인쇄되는 항목에 관한 데이터의 각종 설정을 위한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항목은 예를 들어, 복수의 화상 파일 중에서 인쇄 대상 선두 사진번호, 지정 프레임 번호(시작 프레임 지정/인쇄 프레임 지정), 인쇄 대상 최후 사진번호(종료), 인쇄 부수(부수), 인쇄에 사용되는 용지(인쇄 시트)의 종류(용지종류), 1장의 시트에 인쇄되는 사진의 수(레이아웃), 인쇄 품질의 지정(품질), 촬영 날짜를 인쇄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지정(날짜인 쇄), 인쇄하기 전에 사진 보정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지정(화상보정), 필요한 인쇄 시트의 수(용지매수) 등을 포함한다. 각 항목은 커서 키(2001)에 의해 선택 또는 지정된다. 도면번호 2002는 모드 키를 나타낸다. 모드 키(2002)를 누를 때마다, 인쇄 종류(인덱스 인쇄, 전체 프레임 인쇄, 1프레임 인쇄 등)가 변경되며, LED(2003)의 대응하는 LED가 점등된다. 도면번호 2004는 인쇄헤드의 클리닝 등의 프린터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키를 나타내고, 도면번호 2005는 인쇄의 시작을 지시하거나, 유지보수의 설정을 확립하기 위해 눌러지는 인쇄시작 키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2006은 인쇄를 중지시키거나, 유지보수 처리의 중지를 지시하기 위해 눌러지는 인쇄중지 키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제어에 관련된 주요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전술한 도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동일한 도면번호를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서, 도면번호 3000은 제어부(제어 기판)를 나타내고, 도면번호 3001은 ASIC(전용 LSI)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3002는 CPU를 내장하여 후술하는 각종 제어처리와, 휘도신호(RGB)로부터 농도신호(CMYK)로의 변환, 스케일링(scaling), 감마변환 및 오차확산 등의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DSP(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003은, DSP(3002)의 CPU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3003a)와, 프로그램 실행시에 변수 등을 기억하는 RAM 영역과,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작업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영역을 가지는 메모리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004는 복수의 컬러 잉크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잉 크젯 인쇄형 프린터 엔진인 프린터 엔진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3005는 디지털 카메라(DSC)(3012)와 접속하기 위한 포트로서 작용하는 USB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006은 뷰어(1011)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008은, PD 프린터(1000)가 PC(30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를 수행할 때, PC(3010)로부터의 데이터를 USB(3021)를 통해 프린터 엔진(3004)에 송신하는 USB 허브(hub)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PC(3010)는 프린터 엔진(3004)과 직접 데이터 및 신호를 교환하여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일반적인 PC 프린터로서 기능함). 도면번호 3009는 전원(3019)으로부터 상용 AC 전압에서 변환된 DC 전압을 받아들이는 전원 커넥터를 나타낸다. PC(3010)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이고, 도면번호 3011은 전술한 메모리 카드(PC 카드)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012는 디지털 카메라(DSC : Digital Still Camera)를 나타낸다.
한편, 제어부(3000)와 프린터 엔진(3004) 사이의 신호 교환은 전술한 USB(3021) 또는 IEEE 1284 버스(3022)를 통해 수행된다.
<디지털 카메라의 개요 설명>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DSC(디지털 카메라)(30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면번호 3100은 전체 DSC(3012)를 제어하는 CPU를 나타내고, 도면번호 3101은 CPU(3100)에 의한 처리 절차를 보유하는 ROM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3102는 CPU(3100)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3103은 각종 스위치 및 커서 키를 포함하는 각종 조작을 위한 스위치군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2700은 현재 촬상되고 있는 영상이나, 촬상에 의해 이미 얻어져서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표시하거나, 각종 설정(UI 화상)을 행하기 위한 액정 표시부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105는 렌즈 및 그 구동계를 주로 포함하는 광학 유닛을 나타내며, 도면번호 3106은 CCD 소자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107은 CPU(3100)의 제어하에서 광학 유닛(3105)을 구동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108은 기억매체(3109)(컴팩트 플래시(등록상표) 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등)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면번호 3110은 PC 또는 본 실시예의 PD 프린터(1000)와 접속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USB 슬레이브 측)를 나타낸다.
<다이렉트 인쇄의 개요 설명>
도 5는 전술한 PictBridge를 채용한 인쇄시스템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요구를 발행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의 대략적인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절차는, PD 프린터(1000)와 DSC(3012)가 USB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후,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서로 DPS 사양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한 후에 이행된다. 우선, DSC(3012)는 "ConfigurePrintService"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여, PD 프린터(1000)의 상태를 검사한다(600). 이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는 그 시점의 PD 프린터(1000)의 상태(이 경우에는, "Idle" 상태)를 DSC(3012)에 통지한다(601). 이 경우에는 "Idle" 상태이므로, DSC(3012)는 PD 프린터(1000)의 Capability(인쇄기능)를 문의하고(602), 그 Capability에 따른 인쇄 시작 요구(StartJob)를 발행한다(603). 이 인쇄 시작 요구는, 601에서, 후술하는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상태 정보 중에서 "newJobOK"가 "True(참)"인 조건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발행된다.
이 인쇄 시작 요구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는 인쇄 지시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 ID에 의거하여 DSC(3012)로부터 파일 정보(파일의 정보)를 요구한다(GetFileInfo)(604). 그 응답으로, DSC(3012)로부터 파일 정보가 송신된다. 이 파일 정보는 파일 용량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PD 프린터(1000)는 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프린터가 처리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면, 프린터는 파일을 DSC(3012)에 대해 요구한다(GetFile)(605). 이에 따라, 요구된 파일의 화상 데이터(ImageFile)가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PD 프린터(1000)가 인쇄 처리를 시작하면, 606에서, "Printing(인쇄중)"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NotifyDeviceStatus"에 의해 송신된다. 1페이지의 인쇄 처리가 완료되면, 다음 페이지의 처리 시작시에 PD 프린터(1000)로부터 "NotifyJobStatus"(607)에 의해 통지된다. 1페이지만 인쇄할 경우에는, 인쇄 요구된 1페이지의 인쇄를 완료한 후, 다음으로, "NotifyDeviceStatus"(608)에 의해 PD 프린터(1000)가 이제 "Idle" 상태라는 것이 통지된다(NotifyDeviceStatus(Idle)).
예를 들어, 1페이지에 다수(N)의 화상을 레이아웃하여 인쇄하는 N-up 인쇄의 경우에는, N개의 화상이 인쇄될 때마다 "NotifyJobStatus"(607)이 PD 프린터(1000) 로부터 DSC(3012)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NotifyJobStatus" 및 "NotifyDeviceStatus"의 발행 타이밍과 화상 데이터 취득의 순서는 단지 일례이며, 제품의 구현에 따라서는 여러 경우가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DSC)(3012)와 PD 프린터(100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단계 S1 내지 S15는 DSC(3012)의 처리를 나타내고, 단계 S21 내지 S31은 PD 프린터(1000)의 처리를 나타낸다.
단계 S1 및 S21에서는,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서로 DPS 사양을 따르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 상태에서,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프린터의 상태와 디바이스 정보를 문의한다. 이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는 그 시점의 PD 프린터(1000)의 상태와 디바이스 정보를 통지한다.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접속 프로토콜의 버전과, 프린터의 벤더(vendor)명 및 기종의 통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단계 S2에서는, DSC(3012)가 프린터 상태 및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로서 "정보1"을 RAM(3102)에 기억한다. 상기 "정보1"은 DSC(3012)에서 화상 파일을 변환할 때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DSC(3012)는 도 5의 도면번호 602에 의해 표시한 것과 같이,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Capability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단계 S22에서, PD 프린터(1000)는 PD 프린터(1000)의 인쇄 기능에 관한 능력 정보(Capability)를 작성하여 DSC(3012)에 송신한다. DSC(3012)는 이 Capability를 수신한다(단계 S3). 그리고, 단계 S4에서, DSC는 이 Capability에 의거하여 UI를 구축하고, 표시부(2700)에 표시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용지 크기가 A4 및 B5이고, PD 프린터(1000)는 보통지와 사진용 용지를 장착하고 있으며, 1-up, 2-up 및 4-up의 레이아웃 인쇄가 "여백 없음" 또는 "여백 있음"으로 가능하며, 또한, 날짜인쇄가 가능한 경우에는, 전술한 항목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항목은 선택할 수 없도록 한 UI 화면이 표시부(2700)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계 S5에서, DSC(3012)의 사용자는 구축된 UI화면을 참조하여, 인쇄 대상 화상을 선택하며, 그 화상의 인쇄형식 및 인쇄조건을 설정한다. 화상의 인쇄형식 및 인쇄조건의 설정은, 인쇄 매수, 용지 크기, 레이아웃 및 날짜인쇄의 유무 등의, 단계 S3에서 수신된 PD 프린터(1000)의 Capability를 근거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단계 S6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2"를 RAM(3102)에 기억한다. "정보2"는 UI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용지 크기 및 레이아웃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UI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인쇄 시작이 지시되면, 단계 S7로 진행하여, 인쇄 지시를 행하는 인쇄 작업(JOB) 파일을 작성하고, 단계 S8에서, 작성된 인쇄 작업 파일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인쇄 작업 파일은 단계 S23에서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신된다. 다음으로, 단계 S24에서, PD 프린터(1000)는 수신된 인쇄 작업 파일을 해석하여 인쇄를 준비한다. 그리고, 프린터는 인쇄 작업 파일에 기재되어 있는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 정보 요구"(화상 파일명, 화상 파일 크기, 디렉토리, 화상 파일 날짜 등)를 DSC(3012)에 대하여 발행한다.
PictBridge와 같은 USB 상의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화상 파일 정보 요구"가 PTP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GetObjectInfo"와 동등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화상 파일 정보 요구"는 화상 파일의 작성 타이밍을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파일 정보 요구"가 화상 파일의 작성 타이밍을 송신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전용 명령이나 기존의 통신 명령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는 "인쇄 대상 화상 파일 작성"의 타이밍을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단계 S9에서, "화상 파일 정보의 요구"가 DSC(3012)에 의해 수신되면,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본 실시예의 특징인,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송신되는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의 작성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0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에서, 작성된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의 정보(ObjectInfoDataset : 화상 파일명, 데이터 크기, 디렉토리, 날짜 등을 포함)가 PD 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단계 S25에서, 화상 파일 정보를 수신하면, PD 프린터(1000)는 지정된 인쇄 대상 화상 파일 그 자체에 대한 요구를 DSC(3012)에 송신한다(단계 S26). 화상 파일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12), DSC(3012)는, 단계 S13에서, 요구된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단계 S27에서 화상 파일을 수신하면, PD 프린터(1000)는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형식의 화상으로 변환한다(단계 S28). 그리고, 단계 S29에서, 프린터는 변환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최후까지 인쇄가 완료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된다. 여기서 인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PD 프린터(1000)에서,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버퍼 영역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없고, 단계 S27에서,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가 분할되어 수신 및 처리되기 때문이다. 그 경우에는, 단계 S24로 돌아와서, "화상 파일 정보 요구"가 다시 DSC(3012)에 송신되어, 단계 S27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이용하여,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부분 데이터를 수신 및 인쇄한다.
이와 같이, 단계 S30에서,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완료하면, 처리 흐름은 단계 S31로 진행하여, 화상 파일의 인쇄 완료를 DSC(3012)에 통지한다.
인쇄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DSC(3012)는 단계 S10에서 작성된 화상 파일을 RAM(3102)으로부터 삭제하여(단계 S15) 처리를 종료한다. 그러나, 메모리 카드(3109)에 기억되어 있는 원래의 화상 파일은 그대로 기억되어 있다.
전술한 단계 S29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즉, 예를 들어, 인쇄헤드의 1주사에 의해 기록되는 데이터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단계 S28의 화상처리가 가능하더라도, 단계 S29의 인쇄처리가 수행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단계 S29의 인쇄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단계 S30의 판정을 행하고, 단계 S24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화상 파일의 작성을 완료한 후, DSC(3012)는, 단계 S11에서, "화상 파일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이것은 전술한 단계 S24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화상 파일 정보 요구"(GetObjectInfo)(단계S24)에 대한 응답이다. "화상 파일 정보 요구"와 마찬가지로, "화상 파일 정보"도 DSC(3012)에서 화상 파일의 변환 및 작성의 완료를 PD 프린터(1000)에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파일 정보"의 송신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전용 명령이나 기존의 통신 명령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DSC(3012)의 화상 파일 작성처리(단계 S10)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41에서, 메모리 카드(3109)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 대상인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다음으로, 단계 S42에서, 화상 데이터가 리사이징(축소), 회전 및 색 변환 등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는, 전술한 단계 S2에서, RAM(310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1"에 의거하여 PD 프린터(1000)의 해상도 및 메모리 용량을 취득하고, 단계 S6에서 기억된 "정보2"에 의거하여 실제로 인쇄 대상 화상의 해상도 및 크기를 취득하여, 인쇄 대상 화상 데이터가 처리를 필요로 하는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한다. 예를 들어, 원래의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8백만 화소이고, PD 프린터(1000)의 인쇄 해상도가 720dpi이며, 인쇄 대상 화상 크기가 대략 3×5 mm인 경우에는, 8백만 화소의 원래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그대로 전송되지 않고, DSC(3012)에 의해 축소(리사이징)된 다음, PD 프린터(1000)에 송신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외에도, PD 프린터(1000)의 인쇄 모드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회전 및 색 변환이 필요한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된다.
이와 같이, 단계 S42에서, 원래의 화상 데이터가 약간의 변환을 필요로 한다고 판정되면,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43에서는, 예를 들어, JPEG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는 원래의 화상 파일을 복호하여 가공전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단계 S44에서는, 화상의 리사이징이 필요한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된다. 필요하면, 단계 S45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축소한다. 단계 S45를 이행한 후, 또는 단계 S44에서 화상의 리사이징이 필요하지 않으면, 단계 S46으로 진행하여, 화상의 회전이 필요한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된다. 필요하면, 단계 S47에서, 화상 데이터의 회전을 이행하고, 단계 S48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대로 단계 S48로 진행한다. 단계 S48에서는, 화상의 색 변환이 필요한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된다. 필요하지 않으면, 단계 S50으로 진행한다. 필요하면, 단계 S49에서, 화상의 색 변환을 이행한 다음, 단계 S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50에서는,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다시 JPEG 부호화한다. 다음으로, 단계 S51로 진행하여, 화상 데이터가 "EXIF" 태그를 가지는지 판정한다. 그렇다면, 단계 S52에서, "EXIF"태그를 단계 S45, S47 및 S49에서 변환된 내용에 따라 갱신한다. 단계 S51에서, 화상 데이터가 "EXIF" 태그를 가지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 S53으로 진행하여, 화상방향을 나타내는 방위(orientation) 정보와, 변환 후의 화상 크기 등의 필요한 정보를 "EXIF" 태그로서 화상 데이터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단계 S52에서는, EXIF로 사용되는 TIFFRev.6.0의 부속 정보로서 화상방향(태그 번호 "274" : Orientation)이 규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하면, "1"(디폴트)은 "0번째의 행은 화상의 상부 라인(래스터(raster) 화상의 가장 상부 라인)이고, 0번째의 열은 화상의 가장 좌측 열이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1"에 의해 화상방향이 규정된 화상이 좌측으로 90°회전하게 되면, 화상의 "EXIF" 태그의 화상방향은 "8", 즉, "0번째의 행이 화상의 가장 좌측 행이 되고, 0번째의 열이 화상의 가장 하부의 라인이 된다"로 변경된다. "EXIF" 태그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JEIDA 표준의 "Image format standards for digital cameras and still cameras(Exif)"를 참조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DSC(3012)는 프린터의 디바이스 정보 등의 "정보1"을 취득할 수 있고, 프린터의 기능에 따른 UI에 의거하여 카메라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로서 "정보2"를 취득하여 메모리에 기억할 수도 있다. DSC(3012)는 이러한 정보에 의거하여 인쇄 대상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프린터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SC로부터 프린터에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양 및 화상 데이터의 포맷을 프린터의 인쇄 조건과 부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린터에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화상 데이터의 처리시에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린터에서의 인쇄에 따라, 미리 화상 데이터를 축소하여 프린터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화상 데이터처리(단계 S28)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61에서, 프린터는 DSC(3012)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복호한다. 다음으로, 단계 S62에서, 복호된 데이터를 프린터 엔진(3004)의 인쇄헤드(잉크젯 헤드)에 출력하기 위하여, 프린터는 화상 데이터를 재배열한다. 그리고, 단계 S63에서, 프린터는 재배열된 데이터를 인쇄 버퍼에 로드(load)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PD 프린터(1000)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처리시에, 화상 데이터의 리사이징, 회전 및 색 변환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PD 프린터(1000)에서의 화상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DSC(3012)에서 화상 데이터의 회전 및 리사이징 등의 처리를 수행한 후, PD 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가 송신된다. 그러므로, PD 프린터(1000)에 특별하고 고가인 화상처리기능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외에도, 화상처리가 단순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속으로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2) DSC(3012)에서 처리된 화상 파일을 작성할 때, PD 프린터(1000)로부터 취득되는 기능 정보에 의거한 UI가 DSC(3012)에 의해 작성 및 표시되어, 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쇄 조건을 설정한다. 그러므로, PD 프린터(1000)의 인쇄 기능에 의거하여 인쇄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작성 시작 타이밍을 통지하고, 화상 파일의 작성 완료를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통지 하여 화상 파일을 송신 및 인쇄함으로써, 상호 간의 처리를 동기화시키는 신뢰성이 높은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4) 메모리 카드(3109)에 기억된 화상 파일로부터 작성된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은 화상 파일의 PD 프린터(1000)로의 송신이 종료하면 소거되므로, 이미 인쇄된 화상 파일이 DSC(3012)의 메모리에 잔존하여 메모리 잔량을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1장의 용지에 다수의 화상 데이터를 레이아웃(n-up)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하드웨어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인쇄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는 1장에 행(라인)방향(N=4)×열방향(M=4)의 합계 16개의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16-up 인쇄)를 도시한 것이다. 각 화상의 (N, M)(N=1 내지 4, M=1 내지 4)은 각 화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DSC)(3012)와 PD 프린터(100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여, n-up 레이아웃 인쇄를 수행할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전술한 도 6a 및 도 6b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단계 S5에서 생성된 UI는 레이아웃으로서 16-up 기능을 포함한다. 단계 S6에서 기억되는 "정보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16-up을 가지며, 단계 S7에서 작성되는 인쇄 작업 파일은 16-up의 레이아웃 인쇄를 포함한다.
이하, PD 프린터(1000)에서의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계 S23에서, DSC(3012)로부터 n-up 인쇄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 파일을 수신하면, 용지상의 화상위치를 관리하는 행방향 변수 N 및 열방향 변수 M을 모두 "1"로 초기화한다. 이들 변수는 메모리(3003)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단계 S72에서, 단계 S23에서 수신된 인쇄 작업 파일에 기재된 레이아웃 지정 정보로부터, 행방향 최대 화상수 Nmax와, 열방향 최대 화상수 Mmax를 취득하여 메모리(3003)에 설정한다. 도 9의 예에서는, Nmax=Mmax=4이다.
다음으로, 단계 S73에서, N행M열(처음에는 1행1열)의 "화상 파일 정보 요구"를 DSC(3012)에 송신한다. 단계 S9에서, "화상 파일 정보 요구"를 수신하면, DSC(3012)는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요구된 화상 파일로부터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을 작성한다.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을 작성할 때에는, 전술한 도 6a 및 도 6b의 경우와 같이, 전술한 "정보1" 및 "정보2"가 참조된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 DSC는 작성된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의 파일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단계 S74에서, 화상 파일 정보(N행M열의 화상 파일)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75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 상 파일 취득 요구"를 DSC(3012)에 발행하여, N행M열의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을 취득한다. 이것을 수신하면(단계 S12), DSC(3012)는 단계 S10에서 작성된 화상 파일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단계 S13). 제2실시예에서는, 단계 S75에서 송신된 "화상 파일 요구"가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한 화상 전송 요구이다. 이것은 DSC(3012)에서 작성된 화상 파일과,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신된 화상 파일을 동기화시킨다. 단계 S76에서 화상 파일을 수신하면, PD 프린터(1000)는 단계 S77로 진행하여, 화상이 Mmax번째(도 9의 예에서 4번째) 열의 화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것은, 도 9의 예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프린터 엔진(3004)에서 인쇄헤드에 의한 인쇄를 수행할 때, 적어도 인쇄헤드의 1주사 분량의 화상 데이터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4번째 열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수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Mmax 이하이면, 단계 S81로 진행하여, 변수 M에 1을 가산하고, 단계 S73으로 진행하여, 1행2열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시작한다. 이와 같이, 단계 S77에서 Mmax 열의 화상 데이터를 가지면, 단계 S78로 진행하고, N행에 위치되어 있는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인쇄헤드에 출력될 데이터로 변환하고, 단계 S79에서 N행의 화상을 인쇄한다. 이와 같이, 도 9의 예에서는, 화상(1, 1), 화상(1, 2), 화상(1, 3) 및 화상(1, 4)이 인쇄된다. 그리고, 단계 S80에서는, N=Nmax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82에서, 변수 M=1, 변수 N=N+1로 설정하고, 단계 S73으로 진행하여, 다음 행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인쇄헤드의 길이와 화상의 폭이 정수배의 관계가 아닐 경우에는, 화상(1, 1), 화상(1, 2), 화상(1, 3) 및 화상(1, 4)의 라인을 포함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동안, 다음 라인의 화상, 즉, 화상(2, 1), 화상(2, 2), 화상(2, 3) 및 화상(2, 4)를 병행하여 인쇄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 경우에는, 단계 S78 다음에 단계 S80 및 S82를 이행함으로써, 다음 행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단계 S80에서, N행M열의 모든 화상이 인쇄되면, 단계 S83으로 진행하고, "인쇄 완료 통지"를 DSC(3012)에 송신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단계 S14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인쇄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DSC(3012)는, 단계 S15에서, 그때까지 작성된 인쇄 대상인 모든 화상 파일을 모두 삭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n-up 인쇄 도중에, DSC(3012)는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각 화상의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을 작성한다. 이 경우, 이들 n-up 화상에 n개의 화상 분량의 화상 파일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화상이 있으면, 기억되어 있는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DSC(3012)의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DSC(3012)의 메모리 용량이 제한될 경우에는, n개의 화상 분량의 화상 파일을 동시에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로부터 "N행M열의 화상 파일 정보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9), 그 전에 인쇄된 화상 파일을 소거하고, 단계 S10에서, 새롭 게 다음의 신규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을 작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설명에서, PD 프린터(1000)의 수신 버퍼 또는 인쇄 버퍼의 메모리 용량이 작을 경우에는, 완전히 수신된 데이터만으로 단계 S79의 인쇄처리를 중간 정도 이행한 다음, 누락된 화상의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기타 실시예]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동일한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동일한 인쇄 조건에 의해 반복적으로 인쇄할 경우에는, DSC(3012)가 단계 S9에서 수신된 "화상 파일 정보 요구"에 대하여 동일한 화상 파일이 요구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동일한 화상 파일인 경우에는, DSC(3012)의 RAM(3102)에 이미 로드되어 있으므로, 화상을 판독하여 단계 S13에서 PD 프린터(1000)에 송신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의 작성처리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고속의 인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가장 나중의 것과 동일한 화상의 인쇄임을 나타내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PD 프린터(1000)는 이전에 프린터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화상을 인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신 횟수를 더욱 줄이면서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예의 기능을 이행하는 소프트웨어 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매체를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하여,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에 의해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및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이행하므로,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는,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ROM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 및 실행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이행할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컴퓨터 상에서 가동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가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이행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확장 유닛에 구비된 메모리에 기록된 다음,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확장 보드나 확장 유닛에 구비된 CPU가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이행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공중에게 알리기 위하여, 아래의 청구범위가 작성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로부터의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공급 디바이스에서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 프린터에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공급 디바이스에서 처리하여 프린터에 송신하므로, 프린터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낭비를 줄이고, 프린터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처리에 있어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프린터를 가지며,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는,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상기 프린터 사이의 통신에 따라, 상기 프린터의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인쇄 대상의 호상의 인쇄 조건을 유저에게 설정시키는 인쇄 설정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와, 상기 인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인쇄 조건에 따라, 인쇄 대상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파일 정보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파일 정보를 상기 프린터에 송신하는 파일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파일 정보 송신 수단에 의한 상기 파일 정보의 송신 후,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린터는,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에 의한 변환은 화상 데이터의 리사이징, 색 변환 및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상기 파일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변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스템.
  4. 프린터와 직접 통신하며, 상기 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로서,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상기 프린터 사이의 통신 접속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의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UI를 구축하여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UI에 의거하여 설정된 인쇄 조건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따라,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파일 정보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파일 정보를 상기 프린터에 송신하는 파일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파일 정보 송신 수단에 의한 상기 파일 정보의 송신 후,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에 의한 변환은 화상 데이터의 리사이징, 색 변환 및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상기 파일 정보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변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
  7. 프린터와 직접 통신하며, 상기 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화상공급 디바이스와 상기 프린터 사이의 통신 접속에 따라, 상기 프린터의 기능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UI를 구축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UI에 의거하여 설정된 인쇄 조건과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정보에 따라,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단계와,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파일 정보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파일 정보를 상기 프린터로 송신하는 파일 정보 송신단계와,
    상기 파일 정보 송신단계에서의 상기 파일 정보의 송신 후,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에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에서의 변환은 화상 데이터의 리사이징, 색 변환 및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프린터로부터의 상기 파일 정보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 대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변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 상기 프린터의 벤더(vendor) 정보, 상기 프린터의 기종 정보, 상기 프린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조건은 용지 사이즈, 레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파일로서 일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인쇄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어 있던 인쇄 대상 파일을 소거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시스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정보는 통시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 상기 프린터의 벤더 정보, 상기 프린터의 기종 정보, 상기 프린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정보는 용지 사이즈, 레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 화상 파일로서 일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인쇄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 화상 파일을 소거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정보는 통신 프로토콜 버전 정보, 상기 프린터의 벤더 정보, 상기 프린터의 기종 정보, 상기 프린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정보는 용지 사이즈, 레이 아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 화상 파일로서 메모리에 일시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상기 인쇄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 화상 파일을 소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050076105A 2004-08-20 2005-08-19 화상공급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인쇄시스템 KR100738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1203 2004-08-20
JP2004241203A JP4574282B2 (ja) 2004-08-20 2004-08-20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と印刷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156A KR20060053156A (ko) 2006-05-19
KR100738493B1 true KR100738493B1 (ko) 2007-07-11

Family

ID=3511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105A KR100738493B1 (ko) 2004-08-20 2005-08-19 화상공급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인쇄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90555B2 (ko)
EP (1) EP1628464B1 (ko)
JP (1) JP4574282B2 (ko)
KR (1) KR100738493B1 (ko)
CN (1) CN10040173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162A (ja) * 2005-09-16 2007-03-29 Toshiba Corp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情報送信方法
JP4244985B2 (ja) * 2005-10-31 2009-03-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745713B2 (en) * 2006-03-28 2010-06-29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direct print interface
JP2007271861A (ja) * 2006-03-31 2007-10-18 Yamaha Corp 電子楽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4102847B2 (ja) * 2006-06-30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049641A (ja) * 2006-08-28 2008-03-06 Canon Inc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4709246B2 (ja) * 2008-04-23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US8675224B2 (en) * 2009-06-19 2014-03-18 Xerox Corporation Mutualistic engine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printer non-volatile memory
US8547577B2 (en) * 2009-06-19 2013-10-01 Xerox Corporation Mutualistic engine controller having sensor communication
JP5782725B2 (ja) * 2011-02-03 2015-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US9087287B2 (en) 2013-03-13 2015-07-21 Xerox Corporation Individualizing reduction of original pages in N-up copying or printing
CN104346109A (zh) * 2013-08-09 2015-02-11 华为终端有限公司 家庭共享打印方法及装置
CN104714762A (zh) * 2013-12-16 2015-06-17 施耐德电器工业公司 能够直接打印图片的人机界面产品及其方法
JP5937055B2 (ja) * 2013-12-19 2016-06-22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334579B2 (ja) * 2019-10-31 2023-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30033533A (ko) * 2021-09-01 2023-03-08 세메스 주식회사 제팅 드라이버,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512A (ko) * 2002-06-04 2003-1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515A (en) * 1988-04-29 1995-04-18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Ground-to-air telephone call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directing a call to a particular passenger
US5651050A (en) * 1988-04-29 1997-07-22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Ground-to-air telephone call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establishing a telephone link between a ground-based caller and a passenger on board an aircraft
JP2865675B2 (ja) * 1988-09-12 1999-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US5212804A (en) * 1990-08-02 1993-05-18 Gte Airfone, In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ple base stations and multiple mobile units
US5123112A (en) * 1990-08-02 1992-06-16 Gte Airfone Incorporated Air-to-ground communication system
US5636316A (en) * 1990-12-05 1997-06-03 Hitachi, Ltd. Picture signal digital processing unit
US5134709A (en) * 1990-12-14 1992-07-28 At&T Bell Laboratories Process and apparatus for flexible channel assignment in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s
US6009330A (en) * 1992-01-27 1999-12-28 Highwaymaster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delivery to a mobile unit
US7113780B2 (en) * 1992-03-06 2006-09-26 Aircell, Inc. System for integrating an airborne wireless cellular network with terrestrial wireless cellular networks and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6788935B1 (en) * 1992-03-06 2004-09-07 Aircell, Inc. Aircraft-based network for wireless subscriber stations
US5432841A (en) * 1992-07-10 1995-07-11 Rimer; Neil A. System for locating and communicating with mobile vehicles
US6393281B1 (en) * 1993-03-26 2002-05-21 At&T Wireless Services Inc Seamless hand-off for air-to-ground systems
US5590395A (en) * 1993-11-10 1996-12-31 Motorola, Inc. Satellite cellular network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JPH07298340A (ja) * 1994-03-02 1995-11-10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US5555444A (en) * 1994-03-11 1996-09-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US5519761A (en) * 1994-07-08 1996-05-21 Qualcomm Incorporated Airborn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JP3510342B2 (ja) 1994-07-20 2004-03-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US5659304A (en) * 1995-03-01 1997-08-19 Eat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warning based on dynamic deceleration capability using predicted road load
US5678174A (en) * 1995-04-24 1997-10-14 Motorola Communication system which predicts good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US6104926A (en) * 1995-07-31 2000-08-15 Gte Airfone, Incorporated Call handoff
US5740535A (en) * 1996-01-19 1998-04-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mobile station presence verification
US6324398B1 (en) * 1996-02-26 2001-11-27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irborne base station
US5805683A (en) * 1996-04-17 1998-09-08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ground-to-air telephone calls
FR2755327B1 (fr) * 1996-10-28 1998-12-31 Aerospatiale Dispositif pour permettre l'utilisation dans un aeronef de moyens de radiocommunication
US6002944A (en) * 1996-11-04 1999-12-14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Vehicular telephone and method inclu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TE258346T1 (de) * 1996-11-11 2004-02-15 Nokia Corp Aeronautisches zellulares netzwerk
JP3625345B2 (ja) 1996-12-06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US6115137A (en) * 1996-12-06 2000-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digital camera, and printing apparatus
US5950129A (en) * 1996-12-09 1999-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wo-way in-flight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940541B1 (en) 1997-04-04 2005-09-06 Eastman Kodak Company Printer parameter compensation by a host camera
US5995833A (en) * 1997-04-21 1999-11-30 Gte Mobilnet Service Corp. Control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for subscriber-provide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residing in a miniature cellular environment
US5956644A (en) * 1997-07-28 1999-09-21 Motorola, Inc. Multiple-user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5995805A (en) * 1997-10-17 1999-11-30 Lockheed Martin Missiles & Space Decision-theoretic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US6263206B1 (en) * 1998-02-02 2001-07-17 At&T Corp Method providing coordination of multiple call switching centers for a wireless service
US6144338A (en) * 1998-03-17 2000-11-07 Prc Public Sector. Inc. Predictive drop and load algorithm for an object-bas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US6760778B1 (en) * 1998-09-09 2004-07-06 At&T Wireless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airborne and ground-based entities
JP3861964B2 (ja) * 1998-09-16 2006-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該プリンタにおける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
US6889042B2 (en) * 1998-10-28 2005-05-03 Alcatel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able on board a passenger transport vehicle
US6577419B1 (en) * 1998-12-18 2003-06-10 Christopher J. Hall Optical-frequency communications system for aircraft
US6392692B1 (en) * 1999-02-25 2002-05-21 David A. Monroe Network communication techniques for security surveillance and safety system
FR2791849B1 (fr) * 1999-03-31 2001-06-29 Cit Alcatel Noeud et station embarquee permettant d'etablir a tout moment une communication vers un passager d'un vehicule
US6932523B1 (en) * 1999-08-31 2005-08-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 system including a printer and client devices connected by a network
US6580915B1 (en) * 1999-09-24 2003-06-17 Kroll Family Trust Aircraft internal EMI detection and location
JP2001112051A (ja) * 1999-10-08 2001-04-20 Ddi Corp 通信トラヒック量予測装置を有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
AU2001252489A1 (en) * 2000-04-14 2001-10-30 Stratos Global Limited Mobile telephony with a fixed network forwarding calls to a movable network in an active state
US6970263B2 (en) 2000-06-30 2005-11-29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system, printing method, and server
JP2002014781A (ja) 2000-06-30 2002-01-18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印刷装置、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US6735438B1 (en) * 2000-08-14 2004-05-11 Sprint Spectrum, L.P. Antenna for air-to-ground communication
FR2814874B1 (fr) * 2000-10-03 2002-12-06 Thomson Csf Procede de selection d'une station sol au sein d'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aeronautique
FR2821707B1 (fr) * 2001-03-01 2003-05-23 Cit Alcatel Dispositif de radiotelephonie cellulaire utilisable a bord d'un vehicule
US7333887B2 (en) * 2003-08-08 2008-02-19 Baiada R Michael Method and system for tactical gate management by aviation entities
US6873903B2 (en) * 2001-09-07 2005-03-29 R. Michael Baiada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prediction of aircraft trajectories
JP4059027B2 (ja) * 2001-10-03 2008-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印刷条件設定方法
JP2003134457A (ja) 2001-10-29 2003-05-0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JP3763466B2 (ja) * 2001-12-11 2006-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コマンド制御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該装置に接続するプリンタ、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323748B2 (ja) * 2002-02-21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
EP1659772A1 (en) 2002-06-04 2006-05-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printing system and direct printing control method
US6735500B2 (en) * 2002-06-10 2004-05-11 The Boeing Company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actile cueing flight control
JP3673779B2 (ja) 2002-08-05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US7206588B2 (en) * 2002-09-13 2007-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GB2395843B (en) * 2002-11-29 2006-04-26 Motorola Inc Wireless subscriber communication unit and antenna arrangement therefor
US7400421B2 (en) * 2002-12-12 2008-07-1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4264920A (ja) * 2003-02-26 2004-09-24 Sony Corp サムネイル画像を作成すると共にサイズ変更された画像の画像品質を改善する装置及び方法
JP4086731B2 (ja) 2003-07-16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リン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919716B2 (ja) 2003-08-08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2005066988A (ja) 2003-08-22 2005-03-17 Canon Inc 画像供給装置と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7936373B2 (en) 2003-08-22 2011-05-0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device,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030517A1 (en) * 2005-08-04 2007-02-08 Staccato Communications, Inc. Smart wireless dong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512A (ko) * 2002-06-04 2003-12-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90555B2 (en) 2011-08-02
KR20060053156A (ko) 2006-05-19
US20060039021A1 (en) 2006-02-23
JP4574282B2 (ja) 2010-11-04
EP1628464B1 (en) 2017-10-11
CN100401737C (zh) 2008-07-09
JP2006060594A (ja) 2006-03-02
EP1628464A1 (en) 2006-02-22
CN1738345A (zh)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493B1 (ko) 화상공급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과, 인쇄시스템
US7929172B2 (en) Image supply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and printing system
KR100622581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프린터
EP1448396B1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7907291B2 (en) Image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inting system
US7515309B2 (en) Recording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968888B2 (ja) 印刷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060039020A1 (en) Image supply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inting system
JP4926644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09246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8073882A (ja) ダイレクトプリントシステム
JP4612822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4350615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6229361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
JP2006086587A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6086588A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456673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6060593A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7004715A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5066987A (ja) 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180031A (ja) 記録装置
JP2010141575A (ja) 印刷システム、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