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781B1 -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781B1
KR100736781B1 KR1020050087844A KR20050087844A KR100736781B1 KR 100736781 B1 KR100736781 B1 KR 100736781B1 KR 1020050087844 A KR1020050087844 A KR 1020050087844A KR 20050087844 A KR20050087844 A KR 20050087844A KR 100736781 B1 KR100736781 B1 KR 10073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plate
seat
rotating plate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551A (ko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7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2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vehicl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3Front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시트의 이동량이 큰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차체에 고정되고 전면 상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안내바(10)와, 상기 안내바(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이동 플레이트(20)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을 지지하도록 이동 플레이트(20)에 설치된 힌지축(40)과, 상기 힌지축(40)에 설치되어 시트벨트(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차량, 시트벨트. 회전판, 스프링, 이동 플레이트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Set belt lower part fixing device for car}
도1은 종래의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내바 11 : 걸림홈
20 : 이동 플레이트 21 : 스프링
30 : 회전판 31 : 걸림돌기
40 : 힌지축 50 : 지지부재
60 : 시트벨트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시트의 이동량이 큰 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벨트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시트 벨트의 하부는 차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량중 프론트 시트의 이동량이 큰 경우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벨트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차체에 로우 엥커(100)가 설치되어 있는바, 그 로우 엥커(100)의 하부 양단부는 체결부재(101)를 매개로 차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에는 시트 벨트(200)가 이동할 수 있는 안내봉(10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가 이동하면, 상기 시트벨트(200)의 하부는 안내봉(10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시트벨트(200)의 하측 고정부가 변경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트가 이동할 때 시트벨트(200)의 하부가 안내봉(102)을 따라서 이동하여 시트벨트(200)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시트벨트(200)의 하부가 안내봉(102)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돌 할 경우에는 상기 시트벨트(200)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시트벨트(200)의 하부가 주행 방향으로 이동되어 승객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트벨트의 하부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한편, 충격력이 전달될 경우 상기 시트벨트의 하부를 고정시켜 승객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는 차체에 고정되고 전면 상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안내바와, 상기 안내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지지하도록 이동 플레이트에 설치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어 시트벨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의 작동상태 정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안내바(10)가 마련되어 있되, 그 안내바(10)의 전면 상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1)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내바(10)의 내부에는 이동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그 이동 플레이트(20)에는 회전판(30)이 힌지(4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30)의 상면 일측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에는 회전판(3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40)에는 시트벨트(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시트벨트(60)를 착용할 때에는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가 설치된 이동 플레이트(20)가 안내바(10)의 내부를 이동하게 되므로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지지부재(50)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시트벨트(6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할 경우에는 탑승객에 충격력이 전달되어 시트벨트(6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시트벨트(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가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40)가 회전될 때 그 힌지(40)에 설치된 회전판(30)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스프링(21)은 압축된다.
상기 회전판(30)이 회전되면 상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1)가 걸림홈(11)에 끼워지게 되므로 주행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시트벨트(60)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제거되면 회전판(30)은 스프링(21)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기상태로 회전되므로 걸림돌기(31)는 걸림홈(11)에 분리되어 이동 플레이트(20)가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시트의 이동량이 큰 차량의 시트벨트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시트의 위치에 따라서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함은 물론,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할 경우 시트벨트의 하부를 지 지하는 지지부재가 회전되어 회전판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안내바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면서 이동 플레이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되므로, 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에 고정되고 전면 상측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안내바(10)와, 상기 안내바(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 이동 플레이트(20)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 회전판(30)과, 상기 회전판(30)을 탄력 지지하도록 이동 플레이트(2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1)과, 상기 회전판(30)을 지지하도록 이동 플레이트(20)에 설치된 힌지축(40)과, 상기 힌지축(40)에 설치되어 시트벨트(6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2. 삭제
KR1020050087844A 2005-09-21 2005-09-21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KR10073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844A KR100736781B1 (ko) 2005-09-21 2005-09-21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844A KR100736781B1 (ko) 2005-09-21 2005-09-21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551A KR20070033551A (ko) 2007-03-27
KR100736781B1 true KR100736781B1 (ko) 2007-07-09

Family

ID=4156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844A KR100736781B1 (ko) 2005-09-21 2005-09-21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98Y1 (ko) 2009-05-25 2011-05-02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차량용 슬라이딩 시트의 시트벨트버클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957B1 (ko) * 2006-09-11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시트의 시트벨트 버클 고정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3151U (ko) * 1988-12-19 1990-06-27
KR19980044217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차량의 안전 시트 벨트 장치
KR19990010430U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로워 앵커 플레이트 지지구조
JPH11170972A (ja) * 1997-11-10 1999-06-29 Takata Europ Vehicle Safety Technol Gmbh 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3151U (ko) * 1988-12-19 1990-06-27
KR19980044217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차량의 안전 시트 벨트 장치
KR19990010430U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로워 앵커 플레이트 지지구조
JPH11170972A (ja) * 1997-11-10 1999-06-29 Takata Europ Vehicle Safety Technol Gmbh シートベルトのアンカ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98Y1 (ko) 2009-05-25 2011-05-02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차량용 슬라이딩 시트의 시트벨트버클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551A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5463B1 (en) Middle side airbag confined between arm-rest and seat
KR20130108573A (ko)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JP6130345B2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07076948A3 (de) Kopfstütz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2010179705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736781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하부 고정구조
JP2007001395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101199715B1 (ko) 자동차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CN109094513B (zh) 安全带卷收器及其车感组件
KR102152621B1 (ko) 차량 차륜부의 스몰 오버 랩 충돌 대응구조
KR20170025659A (ko) 자동차의 패시브 후드 래치 구조
JP553014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EP3266659B1 (en) Holding member for curtain airbag tether, curtain airbag device,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KR102251713B1 (ko) 특히 차량 대시보드용 보관 기기 및 대응하는 차량
KR20130051828A (ko)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CN112943069B (zh) 汽车卷帘碰撞锁止机构
KR100329507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센서
KR101827423B1 (ko) 차량 시트의 액티브 사이드
US11254282B2 (en) Cinch locking tongu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2007038934A (ja) 乗員保護装置
KR200209011Y1 (ko) 운전자 목 보호용 헤드레스트 구조
KR10074787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해제 방지구조
KR100228123B1 (ko)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JPH1016680A (ja) 車両のフロント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装置
KR100666543B1 (ko) 차량용 시트벨트 상부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