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573A -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573A
KR20130108573A KR1020137008352A KR20137008352A KR20130108573A KR 20130108573 A KR20130108573 A KR 20130108573A KR 1020137008352 A KR1020137008352 A KR 1020137008352A KR 20137008352 A KR20137008352 A KR 20137008352A KR 20130108573 A KR20130108573 A KR 20130108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inertial mass
vehicle door
handle
do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993B1 (ko
Inventor
안토니오 로치
길러메 레슈어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3010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8Sill-buttons, garnish buttons or inner door lock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차량 도어 핸들(2)은 핸들 내의 관성 질량(18)이, 관성 질량이 도어가 개방되게 하는 휴지 구성으로부터, 관성 질량이 개방을 방지하는 로킹 구성으로 비가역적으로 이동하고, 로킹 구성으로부터 휴지 구성 및 로킹 구성과는 상이한 로킹 해제 구성으로 이동하며, 핸들은 로킹 해제 구성에의 관성 질량(18)의 배치가 도어의 개방을 다시 한번 허용하는 효과를 갖도록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Description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VEHICLE DOOR HANDLE COMPRISING AN INERTIAL MASS}
본 발명은 차량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측면 충돌의 경우에 그리고 가속 변화의 효과에 의해, 핸들의 메커니즘을 억제하여 도어의 임의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는 로킹 위치(locking position)를 취하도록 구성된 관성 시스템을 구비한 도어 핸들이 알려져 있다.
특히 가역적 유형의 관성 시스템 및 비가역적 유형의 관성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가역적 시스템은 충돌 후에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 복귀한다. 가역적 시스템은 충돌 후에 핸들에 의한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가역적 시스템은 양 방향에 있어서의 측방향 가속뿐만 아니라 반동에 일반적으로 매우 민감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충돌 동안에 가속 방향에 있어서의 변화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그것의 휴지 위치로 복귀하고 처음에 억제되었던 핸들의 메커니즘을 다시 활성화되게 만드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충돌의 영향 때문에 핸들의 이동으로, 그리고 도어의 개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가역적 관성 시스템은 충돌의 전체에 걸쳐 그리고 충돌 후에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비가역적 관성 시스템은 충돌 동안의 가속 변화에 또는 반동에 민감하지 않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핸들 메커니즘이 충돌의 전체에 걸쳐 적절히 억제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실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핸들 메커니즘이 충돌 후에 억제된 채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핸들의 조작에 의한 도어의 의도적인 개방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불리한 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둘 모두의 유형의 시스템의 불리한 점을 갖지 않고서 이들의 이점을 조합한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도어 핸들로서, 핸들 내의 관성 질량이, 관성 질량이 도어가 개방되게 하는 휴지 구성(rest configuration)으로부터, 관성 질량이 개방을 방지하는 로킹 구성(locking configuration)으로 비가역적으로 이동하고,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unlocking configuration)으로 그리고 이어서 휴지 구성으로 이동하는 차량 도어 핸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휴지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의 비가역적 변화로 인해, 핸들 메커니즘은 충돌의 전체에 걸쳐 억제된 채로 유지된다. 이는 따라서 충돌 동안에 도어의 의도하지 않은 임의의 개방을 방지한다. 그러나,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 그리고 이어서 휴지 구성으로 이동한 후에, 핸들 메커니즘은 다시 활성화되어, 도어는 점유자가 차량을 빠져나가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핸들은 전술된 두 유형의 시스템의 불리한 점을 완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이들 시스템의 이점들을 조합한다.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질량이 휴지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에 도달한 때 질량을 로킹 구성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클리핑 수단(clipping means)을 포함한다.
핸들은 유리하게는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이 클리핑 수단의 결합 해제로 이어지게 한다.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이 핸들의 외부 부재에 의해 명령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외부 부재에 의한 의도적인 행위를 조건으로, 핸들 메커니즘은 억제해제된다. 이러한 행위는 차량의 점유자에 의해 또는 적절한 바와 같은 외부의 사람에 의해 그리고 핸들에 대해 선택된 실시예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개방이 안전하게 실행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외부 부재는 유리하게는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따라서, 그것은 메커니즘의 억제해제가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 자체의 작동 부재이다.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이 사전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힘의 인가에 의해서만 명령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핸들의 메커니즘의 의도하지 않은 로킹 해제의 위험이 감소된다. 도어를 개방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이러한 의미에서 특정 힘을 인가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은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 동안에 변형되도록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한다.
이는 세기 임계치에 관련된 전술된 특징을 구현하기에 특히 간단한 방법이다.
핸들은 유리하게는 질량을 휴지 구성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체 및 질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요소 중 하나의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램프(ramp)를 포함하고, 지지체 및 질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요소 중 다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램프에 기대도록 구성된 종동자(follower)를 포함하여, 램프 및 종동자가 휴지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 그리고 이어서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서, 질량은 특히 핸들의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해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의 과정에서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핸들의 작동에 있어서의 3개의 각각의 단계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핸들의 3개의 수평 단면도,
도 4 내지 도 9는 핸들의 작동에 있어서의 여러 단계들을 도시하는, 동일한 핸들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이전의 도면들로부터의 핸들 내의 램프(ramp)에 대한 종동자(follower)의 궤적을 도시하는 정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차 도어 핸들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어는 전방 도어, 후방 도어 또는 뒷문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외부로부터 로킹 해제하고 개방하도록 도어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 핸들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내부 핸들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수평 방향 X 및 Y가 각각 평행하고 차량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방향 Z가 수직방향인 축 XYZ의 직교계가 이하에 사용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핸들(2)은 도어의 구조물에 단단히 고정된 지지체 또는 프레임(4)을 포함한다.
그것은 차량 외부로부터 도어를 개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외부 유지 부분(6)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 부분(6)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지 않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수단에 의해 수직방향 샤프트(8)를 중심으로 지지체(4)에 관절로 연결된다. 유지 부분(6)은 방향 Y로 연장되는 연장부(10)에 의해 핸들 및 도어 내부로 연장된다.
핸들(2)은 수직방향 샤프트(14)를 중심으로 지지체(4)에 대해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레버(12)를 포함한다. 이 레버는 특히 연장부(10)의 에지의 궤적 상에 아암(16)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유지 부분(6)을 방향 Y로 외측으로 조작할 때, 연장부(10)가 아암(16)을 끌고 가며, 이는 레버(12)가 회전하게 한다. 레버(12)의, 그것의 축 주위의 2개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레버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을 방식으로 핸들 메커니즘의 다른 부분, 특히 견인 케이블에 연결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차량의 본체에 대해 도어를 로킹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핸들(2)은 또한 수직방향 샤프트(20)를 중심으로 지지체(4)에 대해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질량을 형성하는 부분(18)을 포함하는 관성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부분은 2개의 프로파일링된(profiled) 부분(22, 24)을 포함하여, 이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의 단면에서 볼 때 대체로 V-형상이다.
질량(18)은 그것의 샤프트(20) 주위의 여러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휴지 위치에서, 로킹 부분(22)은 레버(12)의 궤적 상에 있지 않고, 이에 따라 레버가 회전하게 하고 도어가 유지 부분(6)의 작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로킹 위치에서, 질량(18)의 압축 부분(24)은 지지체(4)에 단단히 고정된 받침대(26)에 기댄다. 로킹 부분(22)은 레버(12)의 궤적 상에 있고, 이에 따라 로킹 부분은 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 결과 로킹 부분은 핸들 메커니즘을 억제한다. 이 때문에, 로킹 부분은 유지 부재(6)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고 도어의 개방을 방지한다.
압축 부분(24)은 로킹 부분(22)의 질량보다 더 큰 질량을 갖는다.
질량을 그것의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19)이 한편으로는 질량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체(4)에 기댄다.
핸들의 작동의 개념이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이미 얻어질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하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모든 부분들의 휴지 구성에 있는 핸들을 도시하고 있다. 로킹 부분(22)은 레버의 궤적 상에 있지 않고, 그것의 압축 부분(24)은 받침대(26)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다.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연장부(10)에 의해 레버(12)를 끌고 가는 유지 부분을 그것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작동시켜 도어를 로킹 해제한다. 연장부(10)가 레버를 자유롭게 끌고 갈 수 있도록 복귀 스프링(19)이 질량(18)을 레버(12)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유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에 대한 측방향 충돌이 방향 Y로 발생하고, 이러한 충돌은 관성을 통해 유지 부분(6)이 차량의 외부를 향한 이동을 시작하게 하는 것이라고 가정된다. 관성 질량(18)은 부분(24)이 받침대(26)에 기대게 될 때까지 그것의 도 1 위치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미리 이동하였다. 이 로킹 구성에서, 부분(22)은 레버(12)의 궤적 상에 있으며, 연장부(1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도 불구하고, 부분(22)은 레버(12)의 임의의 추가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유지 부분은 충돌의 가속에 의해 발생된 힘에 대항하여 적절한 위치에 보유된다. 따라서 이는 도어의 임의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한다. 이하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 1의 휴지 구성으로부터 도 2의 로킹 구성으로의 질량(18)의 이동은 비가역적 방식으로 실행되며, 그 결과 이 질량은 충돌의 전체에 걸쳐 그리고 충돌 후에 로킹 구성에 유지된다.
도 3에서, 충돌 단계가 종료되고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도어를 개방하기를 원한다고 가정된다. 사용자는 유지 부분(6)을 작동시켜, 사전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세기를 갖는 힘을 인가하며, 레버(12)에 의해 질량(18)으로 전달되는 하중은 질량(18)이 받침대(26)를 변형시키도록 가압한다. 이러한 이동은 질량(18)이 도 2의 로킹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로킹 해제 구성으로 이동하게 한다.
사용자는 유지 부분을 해제하며, 이는 질량(18)이 스프링의 영향 때문에 휴지 구성으로 복귀하게 한다.
유지 부분(6)을 다시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이와 같이 도어를 정상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핸들(2)의 일부 태양이 이제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질량(18)의 압축 부분(24)은 그것의 자유 단부에서 샤프트(20)에 평행한 텅(tongue)(28)을 갖는다. 텅은 그것의 하부 단부 영역에 의해 그리고 그것의 하부 단부 영역에 의해서만 부분(24)에 단단히 고정되어, 질량(18)의 나머지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요성이다. 그것이 이 부분의 나머지에 대해 가장 큰 크기의 이동을 갖는 것은 그것의 상부 자유 단부의 높이에서이다.
지지체(4)는 상부 벽(32) 상에 종동자로서 기능하는 텅(28)을 위한 램프(ramp)를 형성하는 융기된 패턴(34)을 갖는다. 융기된 패턴(34)은 볼록하게 만곡된 전방 면(face)(36), 내부 면(38), 전방 면(40), 내부 면(42) 및 후방 면(44)을 갖는다. 면(38, 40, 42, 44)은 평면이며 수직이다. 면(38, 42)은 방향 Y에 수직인 반면, 면(40, 44)은 방향 X에 수직이다.
융기된 패턴 및 텅은 다음과 같이 협력하도록 구성된 클리핑 수단(clipping means)을 형성한다.
융기된 패턴(34)에 대한 텅(28)의 자유 단부의 다양한 위치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지 위치에서, 텅(28)의 단부는 융기된 패턴 및 만곡된 면(36)의 후방 부분에 면한다.
질량(18)이 휴지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 이동할 때, 텅(28)은 면(36)의 후방 부분과 접촉하고, 그 후에 램프 영향에 의해 텅(28)은 그것의 내측 단부에서 위치 b까지 램프를 따른다. 이러한 접촉은 텅의 변형을 고려해 볼 때 텅에 의해 융기된 패턴에 인가되는 탄성 하중 때문에 면(36)을 따라 유지된다. 텅이 면(36)의 내측 단부를 넘어 통과한 후에, 텅은 면(40)에 맞대어져 탄성적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복귀되고, 위치 c에서 면(40)과 면(38) 둘 모두에 대해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단계에서 로킹 구성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맞닿음을 고려해 볼 때, 질량(18)은 가역적인 이동에 의해 로킹 구성으로부터 휴지 구성으로 바로 이동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방금 기술된 이동을 비가역적으로 만든다.
로킹 구성으로부터 시작해, 사용자가 받침대(26)에 대항하여 질량의 회전을 강제하도록 유지 부분(6)을 작동시키면, 텅(28)은 방향 Y로 위치 c로부터 위치 d로 이동하며, 여기서 텅(28)은 더 이상 방향 X에서 소면(facet)(40)에 대해 맞닿지 않는다. 텅(28)은 면(38)에 면하지만 더 이상 면(40)에 면하지 않는다. 이어서 텅의 변형으로부터 유래하는 탄성 복귀력이 텅을 방향 X로 면(42)을 넘어 통과한 후에, 면(44)을 넘어, 위치 e로 이동시킨다. 텅이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로킹 해제 위치를 넘어서는 질량의 이동의 확실한 방지를 위해 추가의 가성 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지 부분(6)을 해제하면, 반시계방향으로의 레버(12)의 회전은 스프링(19)에 의한 시계방향으로의 질량(18)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러한 회전은 융기된 패턴(34)이 더 이상 텅의 궤적 상에 있지 않기 때문에 허용된다. 따라서 텅은 면(44)의 전방에서 방향 Y로 이동하여 위치 a로 복귀한다.
이러한 작동 동안에, 텅의 단부의 궤적은 루프(loop)를 형성하며, 동일한 위치를 2회 통과하지 않는다. 특히 이로부터, 질량(18)이 휴지 구성으로 복귀할 수 있기 위해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을 경유해 이동하여야 한다는 결과가 된다.
받침대(26)는 탄성적이다. 그것의 치수 및 그것이 형상은 질량(18)이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인가해야 하는 힘의 세기를 조절한다.
텅(28) 및 융기된 패턴(34)이 클리핑 수단을 형성함에 유의한다. 결합된 또는 클리핑된 위치는 로킹 구성에 대응한다.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은 클리핑 수단의 결합 해제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들은 비가역적인 관성 시스템 - 따라서 충돌의 전체에 걸쳐 그리고 충돌 후에 로킹 구성에 유지됨 - 을 제공하는 것과, 충돌 후에 사용자의 제어 하에서 도어의 의도적인 개방을 허용하는 것 둘 모두의 이점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킹 구성으로부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은 핸들의 외부 유지 부분 또는 내부 유지 부분 이외의 부재에 의해,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에 전용인 부재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변형가능한 받침대는 관성 질량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지지체에 의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성 질량의 회전 샤프트는 사용되는 강성 받침대(26)에 대해 충분히 변형가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이 변형가능성은 받침대(26) 주위의 질량(18)의 탄성 회전을 위한 샤프트의 변형가능성에 의해 제공되는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텅(28)은 지지체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융기된 패턴은 관성 질량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로킹 해제 구성은 본질적으로 외부 유지 부재의 작동에 의한 도어의 개방이 허용되는 구성이다.
이는 특히 관성 질량(18)이 레버(12)의 궤적 밖으로 강제로 이동가능하여 그 레버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그것의 위치에 도달하게 하는 때의 경우이다. 휴지 위치로의 복귀는 그 후에 허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휴지 위치로의 복귀는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해 기술된 수단에 의해 허용된다.
충돌의 영향 때문에 하나 이상의 탄성 받침대에 기대게 되지만 임의의 강성 받침대에 대해 기대게 되지 않는 관성 질량을 제공함으로써 관성 질량(18)의 수축이 동등하게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로킹 해제 위치에의 질량의 확실한 정지를 위해 그러한 추가의 강성 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는 전술된 실시예와는 대조적이다.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재료의 받침대(26)는 그때 레버(12)에 의해 관성 질량으로 전달되는 바와 같은 충돌의 관성의 영향 때문에 관성 질량의 수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강성을 갖지만, 핸들의 외부 유지 부재에 인가되는 수동 견인의 효과 때문에 받침대(26)의 압착에 의한 관성 질량의 수축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가능한 받침대(18)는 강성 및 운동거리가 동일한 목적에 맞추어 조정되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변형가능한 받침대(26)는, 핸들 지지체에 고정되고, 그것의 변형가능성은 핸들이 개방되도록 강제될 때 관성 질량이 더 이상 개방을 억제하지 않게 하는 탄성중합체 슈(shoe)의 형태로 동등하게 제조될 수 있지만, 특히 전달 레버를 통해 관성 질량으로 전달된 관성력의 영향 때문에 관성 질량을 로킹 구성에 정지시키기에 충분히 단단하다. 그러한 탄성중합체 받침대의 위치설정은 예를 들어 전술된 탄성 받침대(26)의 위치설정과 동일하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레버(12)의 궤적 밖으로의 관성 질량의 회전을, 그러나 관성 질량(18)의 회전 샤프트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관성 질량의 이동을 허용하는 정도의 변형가능성을 갖는 관성 질량(18)의 회전 샤프트와 함께 질량(18)을 위해 강성 또는 탄성 받침대가 제공된다. 샤프트는 그때 유리하게는 핸들의 강제된 개방이 뒤따르는 충돌 후에 핸들의 초기 작동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복귀 수단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회전 샤프트는 예를 들어 강성 유형의 받침대(26)가 관성 질량을 위해 채택되기에 충분히 변형가능하도록 선택되며, 이 변형가능성은 샤프트 자체의 변형가능성에 의해 제공되는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샤프트는 유리하게는 관성력 단독의 영향 때문에 관성 질량을 로킹 구성에 보유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Claims (13)

  1. 차량 도어 핸들(2)에 있어서,
    상기 핸들 내의 관성 질량(inertial mass)(18)은, 상기 관성 질량이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는 휴지 구성(rest configuration)으로부터 상기 관성 질량이 개방을 방지하는 로킹 구성(locking configuration)으로 비가역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로킹 구성으로부터 상기 휴지 구성 및 상기 로킹 구성과는 상이한 로킹 해제 구성(unlocking configuration)으로 이동하며,
    상기 핸들은 상기 로킹 해제 구성에의 상기 관성 질량(18)의 배치가 도어의 개방을 다시 허용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해제 구성에의 상기 관성 질량의 배치는 상기 관성 질량을 상기 휴지 구성으로 복귀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해제 구성에서 상기 관성 질량은 상기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 핸들은 외부 유지 부분(6) 및 상기 외부 유지 부분에 의해 작동되는 전달 레버(12)를 포함하고, 상기 관성 질량은 상기 관성 질량이 상기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전달 레버의 궤적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관성 질량은 상기 관성 질량이 상기 로킹 해제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전달 레버의 궤적 밖으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핸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18)이 상기 휴지 구성으로부터 상기 로킹 구성에 도달할 때 상기 관성 질량(18)을 상기 로킹 구성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클리핑 수단(clipping means)(28, 34)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구성으로부터 상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은 상기 클리핑 수단(28, 34)의 결합 해제로 이어지는
    차량 도어 핸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구성으로부터 상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은 상기 핸들의 외부 부재(6)에 의해 명령될 수 있는
    차량 도어 핸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명령하기 위한 부재(6)인
    차량 도어 핸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구성으로부터 상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은 사전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힘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만 명령될 수 있는
    차량 도어 핸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구성으로부터 상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 동안에 변형되도록 구성된 받침대(abutment)(26)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18)을 상기 휴지 구성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부재(19)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 및 상기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요소 중 하나의 요소(4)는 램프(ramp)(36, 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및 상기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요소 중 다른 요소(18)는 상기 램프에 기대도록 구성된 종동자(follower)(28)를 포함하여, 상기 램프 및 상기 종동자가 상기 휴지 구성으로부터 상기 로킹 구성으로 그리고 이어서 상기 로킹 해제 구성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차량 도어 핸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질량(18)은 상기 핸들의 지지체(4)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 도어 핸들.
KR1020137008352A 2010-09-02 2011-09-02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KR101869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0A001598 2010-09-02
IT001598A ITMI20101598A1 (it) 2010-09-02 2010-09-02 Maniglia di battente di veicolo comprendente una massa inerziale
PCT/EP2011/004425 WO2012028325A2 (fr) 2010-09-02 2011-09-02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comprenant une masse inertie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573A true KR20130108573A (ko) 2013-10-04
KR101869993B1 KR101869993B1 (ko) 2018-06-26

Family

ID=4373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352A KR101869993B1 (ko) 2010-09-02 2011-09-02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10005B2 (ko)
EP (1) EP2611978B1 (ko)
JP (1) JP2013536905A (ko)
KR (1) KR101869993B1 (ko)
BR (1) BR112013004996B1 (ko)
IT (1) ITMI20101598A1 (ko)
WO (1) WO20120283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1617A1 (de) 2011-07-06 2013-01-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ichere Türgriffeinheit
ITMI20112367A1 (it) * 2011-12-22 2013-06-23 Valeo Sp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a maniglia di portiera di veicolo.
US9404292B2 (en) * 2012-07-11 2016-08-02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deployable latch connection
US9394729B2 (en) * 2012-07-11 2016-07-19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electrically deployable latch connection
US9062477B2 (en) * 2012-11-28 2015-06-23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inertial secondary catch position
JP2014190094A (ja) * 2013-03-27 2014-10-06 Teru Inc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5934159B2 (ja) * 2013-09-02 2016-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アウタハンドル
KR101491312B1 (ko) * 2013-09-09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1481352B1 (ko) * 2013-12-19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CN103790448B (zh) * 2014-02-24 2015-12-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外开手柄支架
DE102014004550A1 (de) * 2014-03-31 2015-10-01 Kiekert Aktiengesellschaft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schloss
EP2942460B1 (en) * 2014-05-05 2017-09-27 U-Shin Italia S.p.A. Vehicle latch activation system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vehicle latch activation system
US10577837B2 (en) * 2014-05-28 2020-03-03 U-Shin France Lock for a motor vehicle
CN106394419A (zh) 2015-07-17 2017-02-15 福特环球技术公司 中控台支撑板以及中控台总成
US10550610B2 (en) * 2016-06-22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ide override emergency handle for door release
EP3556975A1 (en) * 2018-04-17 2019-10-23 U-Shin Italia S.p.A.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FR3084390B1 (fr) * 2018-07-27 2021-01-01 U Shin Italia Spa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munie d’un systeme de securite inertiel
CN108843158A (zh) * 2018-07-31 2018-11-20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把手惯性锁止结构
CN108843162A (zh) * 2018-08-10 2018-11-20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隐藏式汽车门把手
CN108979368A (zh) * 2018-09-13 2018-12-11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门外把手的隐藏式结构
FR3096710B1 (fr) * 2019-05-29 2022-11-1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u mécanisme d'ouverture d'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US11873667B1 (en) * 2019-08-07 2024-01-16 Global Link Distribution, Corp. Door handle and locking system
EP3945191B1 (en) * 2020-07-28 2024-07-10 Minebea AccessSolutions Italia S.p.A. Electronic handle for a vehicle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3307A1 (en) * 2008-03-31 2009-10-01 Lee Joel R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9022C2 (de) * 1999-06-25 2001-06-07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FR2869937B1 (fr) * 2004-05-05 2007-12-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a securite renforcee en cas de choc, et procede de montage du dispositif sur l'ouvrant
ITRM20040337A1 (it) * 2004-07-07 2004-10-0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di portiera, in particolare di autoveicolo, con sistema di sicurezza inerziale.
FR2876135B1 (fr) * 2004-10-06 2011-04-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u mecanisme d'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montage du dispositif
DE102005049142A1 (de) * 2005-10-14 2007-04-19 Volkswagen Ag Bowdenzuganbindung mit integrierter Massensperre
DE102008062214B4 (de) * 2008-12-13 2023-07-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griffeinrichtung
DE102008062213A1 (de) * 2008-12-13 2010-06-17 Dr.Ing.H.C.F.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griffeinrichtung
IT1392505B1 (it) * 2009-01-08 2012-03-09 Valeo Spa Maniglia di apertura per autoveicoli
IT1392678B1 (it) * 2009-01-19 2012-03-16 Valeo Sp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maniglie di veicoli e maniglia di veicoli comprendente questo dispositivo di sicurezza
US8894108B2 (en) * 2009-02-13 2014-11-25 Adac Plastics, Inc. Release handle assembly having inertial blocking member with blocking member retainer
DE102009013324A1 (de) * 2009-03-18 2010-09-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baugruppe
KR101163461B1 (ko) * 2010-11-03 2012-07-18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3307A1 (en) * 2008-03-31 2009-10-01 Lee Joel R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4996A2 (pt) 2016-05-31
KR101869993B1 (ko) 2018-06-26
EP2611978A2 (fr) 2013-07-10
BR112013004996B1 (pt) 2020-04-07
US20130221690A1 (en) 2013-08-29
EP2611978B1 (fr) 2015-06-17
ITMI20101598A1 (it) 2012-03-02
JP2013536905A (ja) 2013-09-26
WO2012028325A2 (fr) 2012-03-08
US9810005B2 (en) 2017-11-07
WO2012028325A3 (fr)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8573A (ko) 관성 질량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
CN105421909B (zh) 具有双拉件的用于闭合板的闩锁
CN106168089B (zh) 具有双致动的闩锁及其构造方法
US9534424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063386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및 그 엑츄에이터
JP6593020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751436B2 (en) Arm rest having a crash protection
US20140292005A1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JP5604533B2 (ja) 長手レールガイド
US20130234455A1 (en) Handle for a movable panel of a vehicle including an inertial body and a fuse
WO2012107026A3 (de)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20120222360A1 (en) Collapsible door trim pull handle
JP4886695B2 (ja) 安全装置
JP2010534157A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のロック装置
JP5463707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20040016781A (ko) 자동차의 설치부
CN108394325B (zh) 带有螺栓机构的可枢转肘靠
CN111794614B (zh) 具有安全装置的手柄系统
KR101542689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JP6176715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868004B1 (ko) 시트벨트 시스템용 벨트 버클
EP3401472B1 (en) Resettable locking system for a door handle assembly
US8839691B2 (en) Motor vehicle parking brake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KR101595332B1 (ko)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