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737B1 -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737B1
KR100736737B1 KR1020060064277A KR20060064277A KR100736737B1 KR 100736737 B1 KR100736737 B1 KR 100736737B1 KR 1020060064277 A KR1020060064277 A KR 1020060064277A KR 20060064277 A KR20060064277 A KR 20060064277A KR 100736737 B1 KR100736737 B1 KR 10073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valve
push rod
hole
ped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우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0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by spring or weigh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고유 역할을 이상 없이 수행하면서 페달 스위치 내부에 페달의 리턴 충격을 감소시키는 댐핑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는, 자동차용 페달의 리턴시에 상측으로 밀려 실린더 상부로 상승하는 푸시로드에 의해 접점판과 접촉단자와의 접점이 떨어지고, 압축된 제1스프링의 복원에 의해 접접판과 접촉단자와의 접점이 형성되는 접점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2) 내부에 횡으로 형성된 격벽(14)을 기준으로 해서 하부에 상기 접점수단(30)이 구비되고 상부에 댐핑수단(20)이 구비되되, 상기 댐핑수단(20)은 격벽(14) 상부의 실린더(12) 내부는 밀폐되어 충전제로 채워지고, 그 충전제로 채워진 실린더(12) 내부의 도중에는 충전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밸브(22)가 상기 푸시로드(31)의 헤드(31b)에 형성된 밸브공(31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댐핑수단, 랙로드, 밸브, 페달 스위치.

Description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Damping Structure of Pedal Switch for Vehicle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페달 스위치 12: 실린더
14: 격벽 20: 댐핑수단
21: 랙로드 21a,22b: 기어
22: 밸브 23,24,33: 스프링
31: 푸시로드 31b: 헤드
31c: 밸브공 31d: 랙로드홀
32: 접점판 34: 접촉단자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는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고유 역할을 이상 없이 수행하면서 페달 스위치 내부에 페달의 리턴 충격을 감소시키는 댐핑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는 차량의 증가한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차량의 운전석 바닥에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스위치가 접촉되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등이 점등됨에 따라 후방에서 진행하고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내연기관은 부하를 건 상태에서 시동할 수가 없고, 또한 변속기의 기어 변환시에도 무부하로 할 필요가 있으며, 발진시에는 엔진의 동력을 서서히 구동바퀴에 전달해야 하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클러치가 사용되는데, 이 클러치는 차량의 시동시나, 변속기의 기어 변환시에 엔진의 동력을 구동바퀴에 대하여 임의로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운전석에 설치된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이 모든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상부 및 디젤 차량의 클러치 페달 상부에는 페달 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는 제동등을 점등시키는 스위치이고, 디젤 차량의 클러치 페달 스위치는 클러치의 접속을 인식해 ECU가 연료량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차량의 실내전방에 구비된 브라켓(1)에는 운전자가 발로 밟을 수 있 는 페달(2)이 힌지축(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페달(2)의 일측에는 스톱퍼(4)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스톱퍼(4)의 상부에는 일측이 마운팅 브라켓(5)에 의해 브라켓(1)에 고정된 페달 스위치(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페달 스위치(6)의 하부에는 상기 스톱퍼(4)에 접촉되어 페달 스위치(6)를 온/오프시키도록 돌기(7)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페달 스위치는 운전자가 발로 페달(2)을 아래방향으로 밟을 때, 상기 스톱퍼(4)와 접촉하고 있던 돌기(7)와 떨어지면서 페달 스위치(6)를 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페달(2)이 리턴되는 부위에 페달 스위치(6)가 구비되어, 페달 스위치(6)는 페달(2)의 리턴 여부만 판단하고, 페달 스위치(6)의 장착 부위에서 스톱퍼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페달 스위치(6)는 페달(2)을 발로 밟은 후에 페달(2)에서 발을 떼는 페달의 리턴 과정에서 페달(2)의 리턴되는 힘에 의해 페달 스위치의 스톱퍼(4)가 부딪치면서 '텅' 하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위치의 내부에 리턴 충격을 감소시키는 댐핑수단을 구비하여 리턴시의 충격을 줄이고, 충격성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는, 자동차용 페달의 리턴시에 상측으로 밀려 실린더 상부로 상승하는 푸시로드에 의해 접점판과 접촉단자와의 접점이 떨어지고, 압축된 제1스프링의 복원에 의해 접접판과 접촉단자와의 접점이 형성되는 접점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부에 횡으로 형성된 격벽을 기준으로 해서 하부에 상기 접점수단이 구비되고 상부에 댐핑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댐핑수단은 격벽 상부의 실린더 내부는 밀폐되어 충전제로 채워지고, 그 충전제로 채워진 실린더 내부의 도중에는 충전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밸브가 상기 푸시로드의 헤드에 형성된 밸브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페달이 하는 경우에는 밸브공이 닫혀 푸시로드가 천천히 눌려지고, 페달을 밟는 경우에는 밸브공이 열려 신속하게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a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2a는 페달 스위치가 리턴되는 경우, 도 2b는 페달 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스위치(10)는 실린더(12) 내부에 횡으로 형성된 격벽(14)을 기준으로 상부의 댐핑수단(20)과 하부의 접점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점수단(30)은 종래의 페달 스위치에도 구비된 구성요소로 푸시로드(31), 접점판(32), 제1스프링(33) 및 접촉단자(34)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14)과 페달이 브레이크 페달인 경우에 제동등(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34)는 실린더(12) 내부에 고정되고, 접접판(32)은 격벽(14)과 접촉단자(34) 사이에 위치되어 제1스프링(33)에 의해 탄력지지된다.
상기 푸시로드(31)는 접접판(32)을 관통하여 실린더(12) 내부로 승강하고, 외측으로 걸림돌기(31a)가 형성되어 푸시로드(31)가 눌러지는 경우에 접접판(32)을 상승시킨다.
상기 댐핑수단(20)은 격벽(14), 랙로드(21), 밸브(22) 제2스프링(23) 및 제3스프링(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격벽(14)은 실린더(12) 내부에 횡으로 밀폐되게 형성되고 격벽(14) 상부의 실린더(12) 내부는 공기 또는 오일 등의 충전제로 채워진다.
상기 접점수단(30)의 푸시로드(31)는 격벽(14)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고, 그 상단부의 헤드(31b)에는 밸브(22)가 회전되게 설치되도록 밸브공(31c)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밸브(22)에서 푸시로드 헤드(31b)의 내측으로 레버(22a)가 연장되어 기어(22b)의 중앙에 축삽된다.
상기 푸시로드(31)는 길이방향의 중앙 내부에 랙로드(21)가 삽입되어 소정거리 승강할 수 있도록 랙로드홀(31d)이 상부에 여유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이때 랙 로드(21)의 하단부는 푸시로드(31)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푸시로드 헤드(31b)에 위치되는 랙로드(21)의 상부에는 사방으로 기어(21a)가 형성되어 밸브(22)에 연결된 기어(22b)와 치합된다.
따라서 랙로드(21)가 푸시로드(31)의 랙로드홀(31d)을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에 랙로드(21)의 기어(21a)에 맞물린 밸브(22)의 기어(22b)가 회전하여 밸브공(31c)이 밸브(22)에 의해 열고 닫히게 된다.
또한, 랙로드홀(31d)의 도중에는 확장홀(31e)이 형성되고 제3스프링(24)이 개재되되, 랙로드(21)에 걸림돌기(21b)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페달의 리턴시 스톱퍼가 푸시로드(31)를 누르는 경우에 먼저 랙로드(21)가 접촉되어 랙로드홀(31d)에서 소정거리 상승하면서 제3스프링(24)이 압축되고, 이후에 페달을 발로 밟아 페달 스위치(10)가 리턴시에 압축되었던 제3스프링(24)이 팽창하면서 랙로드(21)의 하단부가 푸시로드(31) 하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 헤드(31b) 상부의 실린더(12) 내부에는 제2스프링(23)이 개재되어 푸시로드(31)가 탄력지지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페달과 페달 스위치(10)는 서로 반대로 동작을 하게 된다.
즉, 페달이 리턴되는 경우에 페달 스위치(10)는 눌러지고, 페달을 밟는 경우에 페달 스위치(10)는 리턴된다.
먼저, 페달을 발로 밟은 상태에서 페달에서 발을 떼는 리턴 동작에서 페달의 스톱퍼가 페달 스위치(10)의 푸시로드(31)를 누르게 된다.
이때 푸시로드(31) 하부로 랙로드(21)의 하단부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스톱퍼 가 먼저 랙로드(21)와 밀어 랙로드(21)를 푸시로드(31)의 랙로드홀(31d) 여유공간 상부로 상승시킨다.
상기 랙로드(21)가 상승하면서 제3스프링(24)은 압축되고, 랙로드(21)의 기어(21a)와 맞물린 밸브(22)의 기어(22b)가 회전함에 따라 밸브(22)가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위치가 바뀌어 밸브공(31c)을 막게 된다.
이후 스톱퍼는 푸시로드(31)를 밀어 상승시키기 때문에 밸브공(31c)이 닫혀 충전제의 유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2스프링(23)이 압축되면서 천천히 눌러지게 된다.
이때 접점판(32)도 푸시로드(31)의 걸림돌기(31a)에 걸려 푸시로드(31)와 함께 상승하면서 제1스프링(33)은 압축되고 접촉단자(34)와의 접점이 떨어져 제동등은 소등된다.
다음 페달을 발로 밟은 경우 즉, 페달 스위치(10)가 리턴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페달을 발로 밟아 스톱퍼가 하강하면, 압축되어 있던 제1스프링(33), 제2스프링(23), 제3스프링(24)이 팽창하는 것에 의해 푸시로드(31)가 하강하면서 푸시로드(31)의 랙로드홀(31d) 내에서 랙로드(21)도 하강하게 된다.
제3스프링(24)이 팽창하면서 푸시로드(31)에서 랙로드(21)가 하강하는 경우에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밸브공(31c)을 막고 있던 밸브(22)가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바뀌게 되고 이에 의해 밸브공(31c)은 열린 상태가 되어 충전제의 유동이 자유로워 페달 스위치(10)의 리턴시 신속한 리턴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푸시로드(31) 내부로 들어가 있던 랙로드(21)의 하단부는 푸시로 드(31)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1스프링(33)과 제2스프링(23)이 팽창하면서 푸시로드(31)가 하강하는 경우에 걸림돌기(31a)에 걸려있던 접점판(3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접접판(32)이 하강하면서 접촉단자(34)와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제동등은 점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페달을 발로 밟는 경우에 밸브공(31c)이 열려 페달 스위치(10)의 신속한 리턴이 가능하고, 페달에서 발을 떼는 페달 리턴시에 밸브공(31c)이 닫혀 페달 스위치(10)가 천천히 눌러지는 것에 의해 '텅' 하고 발생하는 충격성 소음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페달 스위치의 내부에 리턴 충격을 감소시키는 댐핑수단을 구비하여 리턴시에 충격을 줄이고, 충격성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자동차용 페달의 리턴시에 상측으로 밀려 실린더 상부로 상승하는 푸시로드에 의해 접점판과 접촉단자와의 접점이 떨어지고, 압축된 제1스프링의 복원에 의해 접접판과 접촉단자와의 접점이 형성되는 접점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2) 내부에 횡으로 형성된 격벽(14)을 기준으로 해서 하부에 상기 접점수단(30)이 구비되고 상부에 댐핑수단(20)이 구비되되,
    상기 댐핑수단(20)은 격벽(14) 상부의 실린더(12) 내부는 밀폐되어 충전제로 채워지고, 그 충전제로 채워진 실린더(12) 내부의 도중에는 충전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밸브(22)가 상기 푸시로드(31)의 헤드(31b)에 형성된 밸브공(31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페달이 리턴하는 경우에 밸브공(31c)이 닫혀 푸시로드(31)가 천천히 눌려지고, 페달을 밟는 경우에 밸브공(31c)이 열려 신속하게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31)의 길이방향 중앙 내부에 형성된 랙로드홀(31d)에 랙로드(21)가 삽입되어 랙로드(21)의 상부가 푸시로드(31)의 헤드(31b)에 상측으로 여유공간을 갖고 위치되고, 상기 밸브(22)에 레버(21a)를 통해 연결된 기어(22b)와 치합되도록 상기 랙로드(21)의 상부에 기어(21a)가 형성되어, 랙로드(21)가 랙로드 홀(31d)을 따라 하강하거나 상승하면 그에 따라 밸브(22)가 회전하여 밸브공(31c)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공(31c)은 푸시로드 헤드(31b)의 4방에 형성되어 각 밸브공(31c)에 회전하게 설치된 밸브(22)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로드(21)의 하단부는 푸시로드(31)의 하부로 돌출되게 삽입되어 푸시로드(31)가 상측으로 밀리는 경우에 먼저 랙로드(21)가 랙로드홀(31d)을 따라 상승하여 밸브공(31c)이 밸브(22)에 의해 닫히면서 푸시로드(31)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 헤드(31b)는 페달을 밟는 경우에 스스로 리턴될 수 있도록 제2스프링(23)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랙로드홀(31d)의 도중에는 확장홀(31e)이 형성되어 제3스프링(24)이 개재되고, 상기 랙로드(21)에는 랙로드(21)가 랙로드홀(31d)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21b)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확장홀(31e)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KR1020060064277A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KR10073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277A KR100736737B1 (ko)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277A KR100736737B1 (ko)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737B1 true KR100736737B1 (ko) 2007-07-09

Family

ID=3850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277A KR100736737B1 (ko)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18B1 (ko) 2011-04-20 2013-02-1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러치페달 실린더의 반발 증대 리턴스프링
CN112721691A (zh) * 2021-01-14 2021-04-30 张书敏 一种收线式新能源充电桩
CN112849107A (zh) * 2021-02-25 2021-05-28 吉林大学 一种分级制动踏板模拟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81A (ko) 1996-11-28 1998-08-17 양재신 멈춤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JPH10250542A (ja) 1997-03-13 1998-09-22 Mitsubishi Motors Corp 減速度付加制御装置
KR19980085402A (ko) 1997-05-29 1998-12-05 양재신 차량의 이동식 발판
KR100259211B1 (ko) * 1994-12-28 2000-06-15 김승신 공기식 배력제동장치의 마그네트 스위치
KR100262059B1 (ko) * 1996-01-29 2000-07-15 오. 아델브레흐트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
KR20020034363A (ko) 2000-11-01 2002-05-09 이계안 조작상태 유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브레이크시스템
JP2003178651A (ja) * 2001-12-12 2003-06-27 Kawasaki Heavy Ind Ltd 車輌用ブレーキスイッチ
KR20040021742A (ko) 2002-09-04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제동등 스위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211B1 (ko) * 1994-12-28 2000-06-15 김승신 공기식 배력제동장치의 마그네트 스위치
KR100262059B1 (ko) * 1996-01-29 2000-07-15 오. 아델브레흐트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
KR19980039881A (ko) 1996-11-28 1998-08-17 양재신 멈춤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스톱램프 스위치
JPH10250542A (ja) 1997-03-13 1998-09-22 Mitsubishi Motors Corp 減速度付加制御装置
KR19980085402A (ko) 1997-05-29 1998-12-05 양재신 차량의 이동식 발판
KR20020034363A (ko) 2000-11-01 2002-05-09 이계안 조작상태 유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브레이크시스템
JP2003178651A (ja) * 2001-12-12 2003-06-27 Kawasaki Heavy Ind Ltd 車輌用ブレーキスイッチ
KR20040021742A (ko) 2002-09-04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제동등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18B1 (ko) 2011-04-20 2013-02-1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러치페달 실린더의 반발 증대 리턴스프링
CN112721691A (zh) * 2021-01-14 2021-04-30 张书敏 一种收线式新能源充电桩
CN112849107A (zh) * 2021-02-25 2021-05-28 吉林大学 一种分级制动踏板模拟器
CN112849107B (zh) * 2021-02-25 2022-03-08 吉林大学 一种分级制动踏板模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361Y2 (ja) 液圧式テンシヨナ
US7064285B2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5122109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統合タイプエンジンブレーキ
KR100736737B1 (ko)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KR20050062387A (ko) 리드의 개폐장치
JPH03175108A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CN109488411B (zh) 发动机制动装置
CN110566308B (zh) 一种用于发动机制动的重置滑阀式摇臂机构及其制动方法
JP2014234152A (ja) 自動車のアクセル装置
US7140339B1 (en) Foot operated electric starter modification kit
JP201102589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CN110329064B (zh) 油门踏板辅助装置
KR20100046653A (ko) 차량용 플로어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1617154B1 (ko)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KR100534877B1 (ko) 자동차용 급가속 방지 장치
KR200319309Y1 (ko) 자동차용 파킹포지션스위치
KR100392012B1 (ko) 자동차용 주유구 도어의 잠금장치
CN101234634A (zh) 防止错踏油门缩短刹车时间的汽车刹车改进结构
KR20070056735A (ko)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KR200301860Y1 (ko) 자동차엔진 구동정지장치
KR100527785B1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개폐장치
CN116238329A (zh) 油门踏板及车辆
JP2001099342A (ja) キャブチルト装置
JP3174243U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シフト用スイッチユニット
KR100428203B1 (ko) 브레이크 오일량 부족시의 차량주행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