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059B1 -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 - Google Patents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059B1
KR100262059B1 KR1019960066582A KR19960066582A KR100262059B1 KR 100262059 B1 KR100262059 B1 KR 100262059B1 KR 1019960066582 A KR1019960066582 A KR 1019960066582A KR 19960066582 A KR19960066582 A KR 19960066582A KR 100262059 B1 KR100262059 B1 KR 10026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pet
slider
switch
catch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284A (ko
Inventor
야콥 한스-울리히
Original Assignee
오. 아델브레흐트
테에르베 파르조이그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베. 쿠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 아델브레흐트, 테에르베 파르조이그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베. 쿠아스트 filed Critical 오. 아델브레흐트
Publication of KR97006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6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3/166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 H01H2003/167Self-adjusting mountings, transmissions and the like with locking of the adjusted parts in the adjusted position by a separate 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시킬 하나 이상의 접점 요소(7, 19)의 수납을 위한 하우징(3)과, 하나 이상의 접점 요소(7, 19)의 작동을 위해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작동 요소(5, 27)를 구비하며, 작동 요소(5, 27)가 탄성 요소(11)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된 중립 위치에 유지되고, 하우징 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더(5) 및 작동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더(5)에 결합된 태핏(27)을 포함하는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태핏(27)은 제1 맞물림 고정 수단(45)을 구비하며, 제1맞물림 고정 수단은 태핏(27)을 그 종축 둘레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작동 요소인 태핏(27)과 슬라이더(5) 사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위치(조절 위치)로부터 슬라이더의 제2 맞물림 고정 수단(29a)과 맞물리는 각도 위치(맞물림위치)로 옮겨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태핏(27)과 슬라이더(5)사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self-adjustion tappet switch)에 관한 것이다.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는 선행 기술에서 이미 다수의 여러 실시 형태로 공지된 것이다. 예컨대,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는 차량에서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스위치는 스위치 장착시의 공차 또는 브레이크 페달과 같은 조작 부재의 조작 행정 거리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는 하나 이상의 접점 요소를 작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스위치의 하우징 내에서 조절 가능하게 안내되는 작동 요소를 구비하며, 이러한 작동요소는 하우징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더 및 작동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태핏으로 구성된다. 태핏은 통상 맞물림식으로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 내에서 태핏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스위치의 점멸 시점을 얻을 수 있다.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는 우선 차량 내의 원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이와 같이 장착할 때 태핏은 슬라이더로부터 최대한 멀리 돌출된 위치에서 슬라이더에 맞물린다. 스위치의 장착 후, 조작 부재,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 방향으로 강략하게 이동되며, 이에 의해 먼저 슬라이더가 그 단부 위치로 이동되고, 이어서 태핏의 맞물림 영역이 상응하는 거리만큼 슬라이더 안으로 밀려들어간다. 이로써, 스위치 조립시의 공차 또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행정 거리상의 공차가 보정된다. 또한, 이에 의해 주어지는 장점은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의 맞물림 영역이 충분히 크게 됨으로써 조작 행정 거리, 예컨대 페달의 행정 거리에 변동이 있는 경우 스위치의 손상이 확실히 방지된다는 점이다.
DE 35 27 874 Al은 판의 구멍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원통형 샤프트 부재를 구비한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를 개시하고 있다. 샤프트 부재는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캐치 노즈(catch nose)를 그 내측면에 구비하며, 이 캐치 노즈는 샤프트의 나선부에 맞물린다. 샤프트는 스위치 장치의 구성 요소로서, 일측으로 스위치 버튼을, 타측으로 스위치 하우징을 구비하며, 스위치 하우징 내에서 접점 요소가 배치된다. 스위치 장치의 조절을 위해, 조작 요소,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스위치 버튼이 구동되며, 샤프트는 스위치 버튼이 조작 요소에 대해 원하는 간격을 가질 때까지 부재 내로 압박되어 복귀한다.
DE 29 21 439 Al로부터 특히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태핏스위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태핏 스위치는 태핏이 브레이크 페달에 접촉하고 샤프트의 단부면이 페달이 맞대어 접할 때까지 조립 개구부 내에서 스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슬리브를 통해 압박된다. 그후, 스위치는 제한된 각도만큼 슬리브에 대해 회전되어, 스위치의 리브와 홈이 슬리브의 대응 리브와 대응 홈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위치가 슬리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공지의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는 스위치 부품의 열팽창 또는 맞물림 영역의 마모나 손상이 원인이 되어 특정 환경에서 원하지 않게 태핏과 슬라이더사이의 소정의 맞물림 위치의 변위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스위치 영역의 취급에 수반하여(자기 조절의 수행 이후에)소정의 맞물림 위치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의해, 점멸 시점이 연기되어,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이 특정 상태가 된 이후에야 브레이크 램프가 점등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이미 상당한 제동 작용이 달성된 시점의 상태이다. 이러한 점멸 시점에 도달하기 전에는, 제동 중인 차량을 뒤따르는 차량은 이미 개시된 제동 과정에 대해 전혀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핏의 자기 조절이 수행된 이후에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의 상대 위치가 확실하게 고정되는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태핏 스위치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a도는 내부에 태핏이 장착된 제1도에 따른 슬라이더의 부분 절취된 측면도.
제2b도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취한 제2a도의 단면도.
제2c도는 제2b도도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2d도는 태핏이 90°회전된 상태의 제2c도에 따른 도면.
제3a도는 태핏의 측면도.
제3b도는 그 종축 둘레로 90°회전된 태핏의 측면도.
제3c도는 제3a도의 I-I선을 따라 취한 태핏의 단면도.
제3d도는 제3b도의 II-II선을 따라 취한 태핏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하우징 5 : 슬라이더
7, 19 : 접점요소 11 : 코일스프링
25 : 축방향 중공부 27 : 태핏
27a : 부분 영역 29 : U자형 스프링
29a : 스피링 아암 37a : 제3스토퍼면
39 : 부분 측면 45 : 캐치
47 : 종방향 홈 51 : 캐치 노즈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에서, 태핏에는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이 설치되고 이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은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위치(조절 위치)에서 슬라이더에 설치된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에 맞물리지 않음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간단한 자기 조절이 확보된다.
그러나, 자기 조절이 수행된 이후에는, 태핏에 설치된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은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어 슬라이더에 설치된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에 맞물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위치에서는, 태핏을 슬라이더에 대해 더 이상 조절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이러한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 확실히 배제된다.
또한, 이와 같은 맞물림 방식은 태핏을 조절 위치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새로운 조절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새로운 조절은 예컨대 브레이크 장치의 후속 조절 및 그에 따른 페달 행정 거리의 변경을 수행할 경우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태핏은 공지의 방식대로 슬라이더의 축방향 중공부 내에 맞물리며,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은 슬라이더에 맞물리는 태핏의 영역에 설치되고,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은 슬라이더의 대응하는 부분 영역에 설치된다.
그러나, 반대로 태핏이 축방향 중공부를 구비하고, 이 중공부에 슬라이더의 연장부가 상응하게 맞물리는 것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은 전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2 맞물림 고정 수단은 하나 이상의 캐치(catch) 및 이와 협동하는 하나 이상의 대응 캐치를 구비하며, 이들은 로킹(locking)기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은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캐치의 오목부에 맞물리는 스프링 아암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특히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이 제공되며, 개개의 스위치 요소의 간단한 조립이 달성된다.
하나 이상의 캐치의 오목부의 측면 중 적어도 작동 방향으로 향한 측면의 경사는 캐치와 스피링 아암이 적어도 태핏의 작동 방향에 로크(lock)로서 작용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맞물림 위치에서 태핏이 슬라이더에 대해 작동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배제된다. 반면에, 충분한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태핏이 작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태핏/슬라이더 시스템용 조작 부재가 그 출발 상태에서 태핏의 외측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이격되는 경우에도, 태핏이 그 맞물림 위치로 재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캐치의 양 측면의 경사는 모두 캐치와 스프링 아암이 양쪽 방향으로 로크로서 작용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맞물림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축방향 중공부의 내벽과 태핏 또는 캐치가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의 반경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여 태핏의 종축 방향으로 로킹 작용이 수행되도록,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의 하나 이상의 캐치의 영역에서의 태핏의 반경이 선택된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 아암과 협동하여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의 맞물림식 이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캐치의 경사가 선택될지라도, 맞물림 위치에서 스프링 아암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로킹 작용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태핏과 슬라이더의 축방향 중공부의 내벽에 의해 슬라이더에 대한 태핏의 조절이 가능할 정도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의 반경 방향 이동이 확보되도록, 태핏의 하나 이상의 부분 측면 영역에서의 태핏의 반경이 선택되며, 태핏의 하나 이상의 부분 측면은 태핏의 조절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과 협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절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과 협동하는 태핏의 하나 이상의 부분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과 협동하여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의 맞물림식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조절 캐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태핏은 하나 이상의 평탄한 부분 측면이 있는 대체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이 평탄한 부분 측면은 조절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과 협동한다. 이 경우, 태핏이 맞물리는 슬라이더의 중공부는 예컨대 직경이 태핏의 최대 직경과 일치하는 원형 횡단면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맞물림 위치에서 스프링 아암은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캐치의 오목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납되거나, 태핏의 맞물림이 확보되도록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이동 방향이 확실히 제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U자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며, 태핏은 서로 대향된 평탄면을 구비한 대략 원통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 평탄한 부분 측면이 U자형 스프링의 2개의 스프링 아암에 대략 평행하게 놓이는 각도 위치로 태핏이 배치될 때 조절 위치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2개의 스프링 아암은 슬라이더에 대한 태핏의 맞물림식 조절이 가능할 정도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휠 수 있다.
태핏을 90°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스프링 아암이 태핏의 원주 오목부 내에 남게 되지만, 이 상태에서 2개의 스프링 아암은 확대된 직경에 의해 아암의 추가적인 반경 방향으로의 탄성 이동이 저지되는 정도만큼 반경 방향 외측으로 휜다. 이에 의해, 태핏의 확실한 맞물림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은 그 전방 영역이 약간 구부러지고 이러한 구부러진 영역이 태핏의 하나 이상의 평탄한 측면의 배후에 맞물리게 되며, 이에 의해 스피링의 이탈이 저지된다. 그 결과, 태핏이 회전할때 스프링이 퉁겨 나오지 않도록 방지될 뿐 아니라, 태핏이 슬라이더에 후크식으로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태핏은 하나 이상의 종방향 홈을 구비하며, 이들 종방향 홈은 슬라이더의 축방향 중공부의 내벽에 있는 하나 이상의 캐치 노즈 또는 돌출부와 협동하여, 맞물림 위치 및/또는 조절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회전 이동을 맞물림식으로 속박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캐치 노즈는 슬라이더 벽부의 부분 영역에 설치되는 탄성 설형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캐치 노즈는 태핏이 태핏의 작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더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피(stopper)로서의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태핏에 설치된 스토퍼면과 협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특허 청구 범위의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1)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내부에서 하나의 작동 요소인 슬라이더(5)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하우징(3)으로 구성된다. 하우징(3) 내에는 맞물림식 접점 요소(7)가 배치되며, 그 접속 단부(7a)는 하우징(3)의 부시 부재(1a) 내에서 외측으로 안내되어 적절히 형성된 플러그(도시 생략)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슬라이더(5)는 탄성 요소인 코일 스프링(11)의 단부를 수납하기 위한 중공부(9)를 하측부에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11)의 타단부는 하우징(3)의 바닥부(13)에서 지지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5)는 이 슬라이더(5) 또는 하우징(3)의 제1 및 제2 스토퍼면(15, 17)에 의해 맞물리는 그 중립 위치로 유지되도록 코일 스프링(11)에 의해 압박된다. 슬라이더(5)에는 스위치의 종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이동형 접점 요소(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형 접점 요소(19)는 2개의 구형부(19a)를 구비하며, 이들 구형부(19a)는 각각 2개의 고정형 접점 요소(7)의 표면을 활주한다. 따라서, 슬라이더(5)의 출발 위치에서는 2개의 고정형 접점 요소(7) 사이의 접촉 및 이에 따른 2개의 접속 단부(7a) 사이의 접촉이 폐쇄된다.
코일 스프링(11)의 힘에 반대 방향인 힘에 의해 슬라이더가 압박되면, 슬라이더(5)는 2개의 스토퍼 단부(21)가 하우징(3)의 바닥부(13)에 접할 때까지 코일스프링(11)의 힘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에서, 특정한 위치 이후에 이동형 접점 요소(19)는 2개의 고정형 접점 요소(7) 사이에 형성된 융기부(23)에 의해 고정형 접점 요소(7)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라이더의 미리 정해진 위치 이후에, 2개의 고정형 접점 요소(7) 사이 및 이에 따른 2개의 접속 단부(7a) 사이의 접촉이 개방된다.
그러나, 접점 요소가 이와는 다르게 임의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컨대, 접점 요소는 셔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다수의 접점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5)에 있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축방향 중공부(25)에는 다른 작동 요소인 태핏(27)이 배치되며, 태핏(27)은 캐치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27a)을 구비하며, 이 부분 영역은 태핏(27)의 종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치의 원주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캐치 및 이와 협동하는 스프링(29)(도 2)에 의해, 태핏(27)은 슬라이더(5)의 중공부(25) 내에서 맞물림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하는 자기 조절 기능이 확보된다.
좀 더 설명하면, 태핏(27)의 헤드부(31)와 하우징(3) 사이에는 오물 방지 수단인 가요성 밀봉 벨로즈(33; bellows)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재로 구성된 벨로즈(33)는 양 단부에 볼록부가 있으며, 이들 볼록부는 태핏(27)의 헤디부(31) 내지 하우징(3)의 상측부에 있는 대응하는 홈에 맞물린다.
이하,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슬라이더(5) 내에서의 태핏(27)의 맞물림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태핏(27)은 샤프트(35), 헤드부(31) 및 다리부(37)로 구성되며, 이 샤프트(35)에는 전술한 캐치를 가진 부분 영역(27a)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31) 및 다리부(37)는 각각 대략 원통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샤프트(35)는 서로 대향된 평탄한 부분 측면(39)을 부분 영역(27a)에 구비한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의 원주에 형성된 캐치는 추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평탄한 부분 측면(39)에 조절 캐치(41)를 형성하고, 잔여 부분의 원통형 외면(43)에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인 캐치(45)를 형성할 수 있다(도3a 및 3c 참조).
태핏(27)은 샤프트(35)의 잔여 부분에서 대략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좁은 부분 측면에 제1 캐치 수단인 종방향 홈(47)이 형성되어 있다.
도2a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태핏(27)을 수납하기 위한 중공부(9)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5) 부분은 원통형 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29)을 수납하기 위한 영역(49)을 구비한다. 스프링(29)은 U자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슬라이더(5)의 원통형 벽에 있는 대응하는 개구부를 통해 태핏(27)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인 꺽여진 스프링 아암(29a)을 구비한다. 스프링 아암(29a)의 양호한 안내를 위해, 중공부(9)의 내벽에 안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도2b의 I-I선을 따라 취해진 도2c 및 2d도에 도시된 횡단면에서, 슬라이더(5)의 원통형 벽의 대향된 측면에는 스프링(29)의 수납을 위한 영역(4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2c 및 2d로부터 찾아 볼 수 있는 쐐기형 브리지(49a)는 스프링 아암(29a)의 단부를 중공부(49b)내에 용이하게 도입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5)의 대향된 측면에 스프링(29)의 수납을 위한 영역49)이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태핏(27)의 맞물림을 위해서는 단지 하나의 스프링만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스프링은 각각의 영역(49)에 의해 수납될 수 있다.
스프링(29)은 꺽여진 U자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면 슬라이더(5)에 간단히 조립되고 간단히 유지되는 장점이 주어지며, 이 경우 부가적으로 스프링 아암, 즉 꺽여진 아암(29a) 및 이에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 부재를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하면, 실질적으로 각각의 원하는 스프링 정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예컨대, 스위치를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로서 장착할 때, 태핏(27)은 조절 캐치(41)의 제1 오목부가 스프링(29)의 아암(29a)에 맞물릴 때까지 스프링(29)이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더(5) 내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서, 태핏(27)은 부분 영역(27a)의 평탄한 부분 측면(39)이 아암(29a)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슬라이더(5)의 중공부(9)내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절 위치에서, 태핏(27)과 슬라이더(5)로 구성되는 완성된 시스템은 차량의 원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장착 완료 후에, 스위치용 조작 부재,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을 강력하게 압박하면 전술한 형태 및 방식으로 슬라이더에 대한 태핏의 자기 조절이 수행된다.
자기 조절의 완료 후에, 태핏(27)은 수동으로 90°만큼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시 슬라이더(5) 중공부(9)의 하부 영역에 설치된 제2 캐치 수단인 캐치 노즈(51; catch nose)(도 2a참조)가 태핏(27)의 영역(27b)의 좁은 측면에 있는 종방향 홈과 맞물려 고정된다. 영역(27b)에서의 샤프트(35)의 횡단면은 태핏의 회전 이동 및 캐치 노즈(51)와의 맞물림에 바람직한 힘의 진로가 생성되도록 형성된다. 물론,이를 위해서는 스프링 아암(29a)의 스프링력 및 스프링 아암(29a)의 영역(27a)과의 협동 작용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인자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의 고정이 실현된다. 그 이유는 도2a에 따른 바와 같이, 스프링 아암(29a)이 슬라이더(5)의 중공부(9)의 내벽 또는 그 내벽에 설치된 안내 홈에 맞대어 가압되도록, 부분적인 원통형 외면(43) 또는 맞물림 캐치(45)의 영역에서 태핏의 직경이 선택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도, 종방향 홈(47)과 캐치 노즈(51) 사이의 맞물림은 맞물림 위치로부터 조절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각각 태핏을 90°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2a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치 노즈(51)는 샤프트(35)의 영역(27b)의 폭방향 측면의 영역에 있는 다리부(37)의 제3 스토퍼면(37a)과 협동하여 조절 위치에서 태핏(27)이 슬라이더(5)의 중공부(9)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스토퍼로서의 기능도 역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에서는 간단한 자기 조절이 확보되는 한편, 자기 조절이 수행된 후에 태핏과 슬라이더 사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위치에서는, 의도하지 않게 슬라이더에 대해 태핏의 위치가 변위되는 것이 확실히 배제된다.
또한, 이와 같은 맞물림 방식은 태핏을 조절 위치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예컨대 브레이크 장치의 사후 조절 및 이에 따른 페달 행정 거리의 변경을 수행할 경우에 필요한 새로운 조절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6)

  1. 작동시킬 하나 이상의 접점 요소(7, 19)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3)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 요소(7, 19)의 작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작동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요소는 탄성 요소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된 중립 위치에 유지되며, 하우징 내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더(5) 및 작동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5)에 결합된 태핏(27; tappet)을 포함하는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태핏(27)은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을 구비하며, 태핏(27)이 그 종축 둘레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되면, 상기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은 태핏(27)과 슬라이더(5) 사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위치(조절 위치)로부터 슬라이더의 제2 맞물림 고정 수단과 맞물리는 각도 위치(맞물림 위치)로 옮겨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태핏(27)과 슬라이더(5) 사이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조절식 태핏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27)은 그 부분 영역(27a)이 슬라이더의 축방향 중공부(25)에 맞물리고 상기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은 태핏(27)의 상기 부분 영역(27a)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5)의 대응하는 부분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은 하나 이상의 캐치(45, catch) 및 이와 협동하는 하나 이상의 대응 캐치의 형태로 형성되며, 이들 캐치(45) 및 대응 캐치는 로킹(locking)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아암(29a)은 상기 제1 맞물림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상기 캐치(45)의 오목부 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 고정 수단은 U자형 스프링(29)으로 형성되며, 상기 U자형 스프링(29)은 그 아암(29a)이 상기 태핏(27)의 대향된 부분 측면에 있는 상기 각각의 캐치(45)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캐치(45)의 오목부의 측면 중 적어도 작동 방향으로 향한 측면의 경사는, 캐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이 적어도 상기 태핏(27)의 작동 방향으로 로킹 수단으로서 작용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캐치(45)의 영역에서 상기 태핏(27)의 반경은, 태핏(27) 및 상기 슬라이더(5)의 축방향 중공부(25)의 내벽이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을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한하여 태핏(27)의 종축 방향으로 로킹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27)의 조절 위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과 협동하는 태핏(27)의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측면(39)의 영역에서 태핏(27)의 반경은, 태핏(27) 및 상기 슬라이더(5)의 축방향 중공부(25)의 내벽이 슬라이더(50에 대해 태핏(27)을 조절할 수 있을 정도까지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의 반경 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9. 제8항에 있어서, 조절 위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과 협동하는 상기 태핏(27)의 하나 이상의 부분 측면(39)에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과 협동하여 태핏(27)과 상기 슬라이더(5) 사이의 맞물림식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조절 캐치(4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중공부(25)는 대체로 원통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27)은 하나 이상의 평탄면이 있는 대체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평탄한 부분 측면(39)은 조절 위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아암(29a)은 단부가 용이하게 꺽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27)은 조절 위치 및/또는 맞물림 위치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캐치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캐치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5)에 마련된 제2 캐치 수단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치 수단이 하나 이상의 종방향 홈(47)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방향 중공부(25)의 내벽에 형성된 제2 캐치 수단인 하나 이상의 캐치 노즈(51; catch nose)와 협동하거나, 또는 상기와 반대의 관계로 제1 및 제2 캐치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캐치 노즈(51)는 탄성 설형부로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5)의 부분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캐치 노즈(51)는 상기 태핏(27)의 작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태핏(27)이 상기 슬라이더(5)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태핏(27)에 설치된 제3 스토퍼면(37a; stopper surface)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19960066582A 1996-01-29 1996-12-17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 KR100262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3135.4 1996-01-29
DE19603135A DE19603135C1 (de) 1996-01-29 1996-01-29 Selbstjustierender Stößelscha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84A KR970060284A (ko) 1997-08-12
KR100262059B1 true KR100262059B1 (ko) 2000-07-15

Family

ID=778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582A KR100262059B1 (ko) 1996-01-29 1996-12-17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26709A (ko)
EP (1) EP0786787B1 (ko)
JP (1) JP3145328B2 (ko)
KR (1) KR100262059B1 (ko)
BR (1) BR9700800A (ko)
CZ (1) CZ285226B6 (ko)
DE (2) DE19603135C1 (ko)
ES (1) ES2136935T3 (ko)
PL (1) PL184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37B1 (ko) * 2006-07-10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KR100759735B1 (ko) 2005-12-29 2007-09-20 주식회사 신창전기 페달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5058C1 (de) * 1996-10-31 1997-10-23 Trw Fahrzeugelektrik Selbstjustierender Stößelschalter, insbesondere KFZ-Bremslichtschalter
DE19645059C1 (de) * 1996-10-31 1997-10-30 Trw Fahrzeugelektrik Selbstjustierender Stößelschalter, insbesondere KFZ-Bremslichtschalter
US5929407A (en) * 1998-02-19 1999-07-27 Eaton Corporation Plunger actuated switch with single adjustment features
DE19814750A1 (de) * 1998-04-02 1999-10-07 Eaton Controls Gmbh Elektrischer Schalter
DE19906036C1 (de) 1999-02-12 2000-03-16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Schalter, insbesondere Kfz-Bremslichtschalter
US6118090A (en) * 1999-12-20 2000-09-12 U.S. Controls Corporation Self-aligning lid switch for laundry machines
US6204463B1 (en) * 1999-12-21 2001-03-20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Self-adjusting switch mechanism with anti-adjustment protection
JP4007187B2 (ja) * 2002-08-23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トップランプスイッチ及びその装着方法
JP2005104214A (ja) * 2003-09-29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トップランプ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1971A (en) * 1964-04-06 1966-05-17 United Carr Inc Adjustable door switch
IT1166232B (it) * 1978-05-30 1987-04-29 Bonnella Switches Ltd Mezzi di posizionamento per un interruttore elettrico
US4239947A (en) * 1978-11-09 1980-12-16 Stewart-Warner Corporation Cruise control switch assembly
US4604506A (en) * 1985-07-10 1986-08-05 Switches, Inc. Self-adjusting switch mechanism
DE3527874A1 (de) * 1985-08-02 1987-02-05 Gefra Licence Ag Heerbrugg Ein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schalteinrichtung
FR2633443B1 (fr) * 1988-06-27 1995-06-09 Bendix France Contacteur electrique pour servomoteur pneumatique de freinage
DE4215515C1 (ko) * 1992-05-12 1993-08-05 Merit-Elektrik Gmbh, 5270 Gummersbach, De
JP3109635B2 (ja) * 1993-09-17 2000-1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ランジャスイッ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35B1 (ko) 2005-12-29 2007-09-20 주식회사 신창전기 페달 스위치
KR100736737B1 (ko) * 2006-07-10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86787A3 (de) 1997-08-06
ES2136935T3 (es) 1999-12-01
BR9700800A (pt) 1998-11-03
DE19603135C1 (de) 1997-03-20
EP0786787B1 (de) 1999-08-11
CZ285226B6 (cs) 1999-06-16
US5826709A (en) 1998-10-27
DE59602710D1 (de) 1999-09-16
EP0786787A2 (de) 1997-07-30
JP3145328B2 (ja) 2001-03-12
CZ26097A3 (cs) 1999-02-17
JPH09326215A (ja) 1997-12-16
PL318092A1 (en) 1997-08-04
PL184187B1 (pl) 2002-09-30
KR970060284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059B1 (ko) 자기 조절식 태핏스위치
EP0796780B1 (en) Interlocking device for opposed racks in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JP3165669B2 (ja) 自動調節式タペットスイッチ
EP0753275A1 (en) Improved fastening unit for quick fastening of iron fittings, and iron fittings with such fastening unit
JPH0155331B2 (ko)
US5970588A (en) Unlockable snap fastener
JP2007035592A (ja)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EP1156231B1 (en) Brake cable connecting apparatus for drum brake
KR20110066861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US4314124A (en) Pushbutton contact
KR100296890B1 (ko) 작동케이블용체결장치
EP1479928A1 (en) End connection device for an operating cable, with system for ensuring correct assembly
JP3227416B2 (ja) 自動調節式タペットスイッチ
US5953963A (en) Cable-to-lever connection for motion-transmitting mechanism
JP3832639B2 (ja) ストップランプスイッチ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4276835B2 (ja) スイッチ
KR101435529B1 (ko) 차량 시트의 조정 장치용 단계식 자체-잠금 기구
US6548777B2 (en) Switch apparatus
US5411119A (en) Internal shoe-drum brake adjuster cam with leverage projections for brake disengagement
AU590053B2 (en) Safety lampholder
US20040265051A1 (en) Connection device for an end of a control cable
JP3241930B2 (ja) スイッチの操作レバー取付装置
MXPA97000719A (en) Punzon switch with automat adjustment
KR920001343Y1 (ko) 가열기구의 조작장치
JP200618587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