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861A - 자동차용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861A
KR20110066861A KR1020100124316A KR20100124316A KR20110066861A KR 20110066861 A KR20110066861 A KR 20110066861A KR 1020100124316 A KR1020100124316 A KR 1020100124316A KR 20100124316 A KR20100124316 A KR 20100124316A KR 20110066861 A KR20110066861 A KR 2011006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housing
outer housing
inner housing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우치야마
이즈미 스즈키
마사아키 나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의 접속부측의 형상 등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를 포함하여 벌브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는, 외측 하우징(60)과 내측 하우징(40)은, 스프링 부재(32)의 압박력에 의해 내측 하우징(40)이 벌브(20)의 장착측으로 변위되고, 규제부(70, 55)에 의해 규제된 상태로 조립되며, 내측 하우징(40)에 대해서 벌브(20)의 수형 단자(25)측이 접속된다. 벌브(20)는 리플렉터(10)의 삽입 구멍(12)에 삽입되고, 플랜지(24)가 구멍 가장자리부(12A)에 접촉한 후에 외측 하우징(60)이 밀어 넣어져 부착통(13)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다. 벌브(20)는, 스프링 부재(32)의 탄력에 의해 내측 하우징(40)을 매개로 하여 삽입 구멍(12)의 구멍 가장자리부(12A)에 밀어붙여져 부착되고, 또한 규제부(70, 50)가 이격됨으로써, 내측 하우징(40)은 외측 하우징(60) 내에서 회동 가능하고 또한 틸팅(tilting)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VEHICULAR HEADLAMP}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 특히 벌브의 부착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자동차용 헤드램프에서의 벌브의 부착 구조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등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플렉터에 벌브의 발광부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구멍이 개구되는 한편, 그 삽입 구멍의 후방에, 벌브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마련된 단자와 끼워 맞춤 접속된 커넥터 하우징을 부착하는 부착부가 마련된 구조로서, 벌브의 후면의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접속된 후, 벌브의 발광부가 리플렉터의 삽입 구멍에 이면측으로부터 삽입 관통되고, 벌브의 플랜지가 삽입 구멍의 이면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밀어붙여졌을 때에, 하우징이 소정의 부착부에 부착됨으로써, 벌브가 리플렉터에 대해서 덜거덕거림 없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73509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헤드램프에서는, 벌브가 끊어지거나, 또는 휘도 등의 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다른 벌브로 갈아 끼우는 일이 때때로 행해지고, 그때, 다른 벌브 메이커 제조의 벌브를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
벌브에 관해서는 치수 등에 대해서도 규격이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특히 단자를 포함한 접속부측에 있어서 규격이 엄하지 않다고, 즉 비교적 공차가 크다고 말해지고 있다. 예컨대 벌브의 단자의 돌출 길이나 상기 단자의 배치, 나아가서는 벌브의 플랜지에서의 삽입 구멍의 입구 가장자리에 닿는 부분의 형상이나, 플랜지로부터 접속부의 바닥면(단자 돌출면)까지의 치수 등에 대해서, 메이커마다 차이가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사정하에, 벌브를 교환할 때에, 벌브의 단자의 돌출 치수나, 플랜지로부터 접속부의 바닥면까지의 치수가, 원래의 벌브의 치수와 차이가 있으면, 벌브를 리플렉터의 삽입 구멍에 삽입 관통시켜 그 구멍 가장자리부에 플랜지를 닿게 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이 소정의 부착 위치까지 닿지 않아 부착을 할 수 없거나, 반대로 하우징을 소정의 부착 위치에 부착할 수 있지만서도, 벌브의 접속부측이 리플렉터의 이면과 하우징 사이에서 움직이는, 즉 덜거덕거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벌브의 플랜지의 외주에는 3장의 위치 결정용 클로가 돌출 형성되고, 리플렉터의 이면측에 마련된 위치 결정 오목부와 결합함으로써, 벌브의 부착시의 회동 자세가 정해지도록 되어 있으나, 이 위치 결정용 클로의 위치와 단자의 위치의 둘레방향의 배치 관계가, 원래 벌브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으면, 하우징과 함께 벌브를 삽입 구멍에 삽입 관통한 경우에, 하우징도 정규 자세로부터 축선 둘레로 어긋나 회동한 상태가 되어, 하우징을 부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플랜지에서의 삽입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닿는 부분의 형상으로 인해, 벌브를 축선이 기울어진 자세로 부착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에는 접속된 하우징의 축선도 기울어지게 되어, 마찬가지로 하우징을 부착할 수 없게 되는 등, 수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벌브의 접속부측의 형상 등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를 포함하여 벌브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벌브를 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부착하는 벌브 부착부를 마련한 등기구와, 상기 벌브 부착부의 후측에 부착되는 외측 하우징과, 이 외측 하우징 내에서 직경방향의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상기 벌브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내측 하우징과, 이 내측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벌브의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 금구(金具)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와, 상기 내측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벌브의 바닥부에 접촉 가능한 벌브 가압부와, 상기 외측 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을 상기 벌브측으로 변위 압박하고, 상기 내측 하우징이 상기 벌브측으로 소정량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벌브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벌브의 플랜지를 상기 등기구의 상기 벌브 부착부에 밀어붙이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외측 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이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소정량을 넘어서 상기 벌브측으로 변위된 경우에 서로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은,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내측 하우징이 벌브의 장착측으로 변위되고 규제부에 의해 변위 규제된 상태로 조립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내측 하우징에 대해서 벌브의 단자측이 접속된다. 그 후, 벌브가 등기구에 마련된 벌브 부착부에 삽입되고, 벌브의 플랜지가 접촉한 후 외측 하우징이 밀어 넣어져, 외측 하우징은 벌브 부착부의 후측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가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그 복원 탄력에 의해 내측 하우징이 벌브측으로 변위 압박되며, 내측 하우징의 벌브 가압부가 벌브의 바닥부를 눌러 플랜지가 벌브 부착부에 탄성적으로 밀어붙여짐으로써 벌브가 부착된다. 또한 규제부가 이격됨으로써, 내측 하우징은 외측 하우징 내에서 회동 가능하고 또한 틸팅(tilting) 가능하게 된다.
벌브의 단자의 돌출 길이나 플랜지로부터 후방 부분의 길이 치수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의 탄성적인 신축을 수반하는 내측 하우징의 전후 방향의 변위를 통해 상기 차이를 흡수할 수 있고, 바꿔 말하면 벌브의 플랜지로부터 외측 하우징의 부착 지점까지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벌브를 정규적으로 부착할 뿐만 아니라, 외측 하우징도 정규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벌브의 회동 자세를 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클로에 대한 단자의 둘레방향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내측 하우징이 축선 둘레로 회동하여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한, 플랜지의 형상에 의해 벌브가 축선을 기울인 자세로 부착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내측 하우징이 축선이 기울어진 형태를 취하면서, 외측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의 부착이 담보된다.
이상과 같이, 단자의 길이나 배치, 나아가서는 접속부측의 형상 등에 차이가 있는 벌브를 장착하는 경우도, 이러한 차이를 흡수하면서 커넥터를 포함하여 벌브를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주면 또는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부가 직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대 하우징의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 관통이 가능한 삽입 관통로가, 상기 상대 하우징의 끼워 맞춤측 단부면으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안쪽 단부가 둘레방향으로 굴곡된 후 상기 끼워 맞춤측 단부면의 앞쪽까지 축선방향을 따라 되돌아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은, 상기 걸림부를 상기 삽입 관통로를 따르게 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를 탄성적으로 수축하면서 상기 외측 하우징 안으로 눌려 돌려진 후 압입력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의 복원 탄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를 상기 삽입 관통로의 리턴부를 따르게 하면서 되밀어내어지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리턴부의 앞쪽측의 면에 걸려 되밀림이 정지된 형태로 상기 외측 하우징과 조립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로의 상기 리턴부 내에 폭방향으로 클리어런스를 갖고서 삽입 관통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은, 걸림부를 삽입 관통로를 따르게 하여 스프링 부재를 탄성적으로 수축하면서 외측 하우징 내에 밀어 넣어지고, 안쪽 단부에 이르렀을 때에 돌려져 걸림부가 리턴부로 돌아 들어갔을 때에 압입력이 제거되면, 스프링 부재의 복원 탄력에 의해 걸림부가 리턴부 내를 앞쪽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앞쪽으로 되밀어내어지고, 걸림부가 리턴부의 앞쪽측의 면에 닿아 정지된 형태로 외측 하우징과 조립된다.
단적으로는, 내측 하우징은 스프링 부재를 사이에 두고 눌려 돌려짐으로써, 외측 하우징과 조립된다. 조립 후에, 내측 하우징이 안쪽측으로 눌려져 걸림부가 리턴부의 앞쪽측의 면으로부터 이격되면, 걸림부가 리턴부 내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측 하우징 내에서 내측 하우징이 축선 둘레로 회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2) 상기 등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리플렉터에는, 상기 벌브의 발광부측이 삽입 가능하고, 또한 상기 벌브의 상기 플랜지를 이면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접촉 가능하게 한 삽입 구멍이 개구됨으로써 상기 벌브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플렉터의 이면에서의 상기 삽입 구멍의 주위에는 부착통이 돌출 형성되고, 이 부착통에 상기 외측 하우징이 끼워 맞춤 가능하며, 이 외측 하우징에는, 상기 부착통의 피(被)걸림부에 탄성적으로 걸려 빠짐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를 통해 조립된 양 하우징 중 내측 하우징에 접속된 벌브는, 리플렉터의 이면의 부착통 내부를 지나 삽입 구멍에 삽입되고, 벌브의 플랜지가 삽입 구멍의 이면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접촉한 후, 또한 스프링 부재를 탄성적으로 수축하면서 외측 하우징이 밀어 넣어져, 벌브의 플랜지를 삽입 구멍의 이면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밀어붙여 벌브를 부착하는 한편, 외측 하우징이 부착통 내의 소정 위치까지 밀어 넣어졌을 때에, 외측 하우징의 로크 부재가 부착통의 피걸림부에 탄성적으로 걸림으로써, 외측 하우징이 빠지지 않게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브의 접속부측의 형상 등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넥터를 포함하여 벌브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조립 전의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외측 하우징과 내측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의 조립 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벌브의 부착 동작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벌브의 부착 완료시의 일부 절제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램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플렉터(10)에 광원인 벌브(20)가 부착되고, 이 벌브(20)에 급전용 코드의 단말에 마련된 커넥터(30)가 접속되어 소정 위치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벌브(20)는 할로겐 램프(H4 벌브)이며, 발광부(21)의 후방에 접속부(22)가 연달아 마련된 구조이다. 접속부(22)는 전체적으로 발광부(21)보다 한층 크고,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대직경의 끼워 맞춤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22)의 후면에는, 탭(tab) 형상을 이루는 3개의 수형 단자(25)가, 대략 반원주(半圓周)의 영역에 걸쳐 90도 간격을 두고 돌출하게 마련되어 있고, 그 후면에서의 수형 단자(25)의 돌출 위치의 직경방향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반구형의 돌기부(26)가, 후면의 중심과 동심원상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22)에서의 끼워 맞춤부(23)의 후면에는 한층 큰 플랜지(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24)의 외주에는, 도시는 하지 않으나, 상기 벌브(20)의 회동 자세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3개의 위치 결정용 클로가, 소정의 각도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리플렉터(10)는 등기구의 등실 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측 정상부에는, 벌브(20)의 접속부(22)에서의 끼워 맞춤부(23)가 거의 긴밀하게 삽입 관통되는 삽입 구멍(12)(본 발명의 벌브 부착부에 해당)이 개구되며, 상기 삽입 구멍(12)의 이면측의 구멍 가장자리부(12A)에 플랜지(24)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측 정상부의 이면에 있어서 플랜지(24)와는 간섭하지 않는 삽입 구멍(12) 주위의 위치로부터, 원통형을 이루는 부착통(13)이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부착통(13)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벌브(20)의 플랜지(24)에 형성된 3개의 위치 결정용 설편(舌片)을 각각 삽입 관통 가능하게 한 위치 결정홈(14)이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착통(13)의 외주면에는, 상하 2지점에 있어서, 후술하는 커넥터(30)의 외측 하우징(60)을 부착하기 위해서 로크용의 피걸림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하우징(60)의 끼워 맞춤을 안내하기 위해서 3개의 가이드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내측 하우징(40)과 외측 하우징(60)을, 원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32)를 사이에 두고 조립 형성되어 있다.
내측 하우징(40)은, 도 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원형을 이루는 단자 수용부(41)의 전단부면에 원통형의 후드부(42)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후드부(42)의 전단에는, 스프링 부재(32)의 소직경부(33A)의 단부면을 받는 외향의 칼라(collar)(42A)[이하, 외측 칼라(42A)라고 함]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41) 내에는, 상기한 벌브(20)의 수형 단자(25)와 접속 가능한 암형 단자(35)가 수용되는 3개의 캐비티(44)가, 벌브(20)의 수형 단자(25)와 대응된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캐비티(44)가 형성된 대략 T자형을 이루는 영역의 전면(前面)이 소정 치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한 T자부(45)(본 발명의 벌브 가압부에 해당)의 전면이, 상기한 벌브(20)의 후면의 돌기부(26)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형 단자(35)는, 내부에 탄성 접촉편(37)을 구비한 대략 각통(角筒)형을 이루는 접속부(36)의 후방에, 직각으로 방향을 바꾼 형태로 배럴(38)이 마련된 형상이다. 접속부(3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벌브(20)에 마련된 수형 단자(25)의 돌출 길이에 다소의 차이가 있어도, 상기 수형 단자(25)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서 탄성 접촉편(37)과의 사이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담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암형 단자(35)는, 배럴(38)을 코킹함으로써, 전선(w)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선(w)의 축선방향에 대해서 직각을 이루어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캐비티(44)는 후방으로 개구되며, 한쪽의 측면에, 전선(w)을 도피시키는 도피홈(44A)이 절입 형성되어 있다. 암형 단자(35)는 대응하는 캐비티(44) 내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삽입의 종반이 되면 전선(w)이 도피홈(44A) 내에 삽입되면서 밀어 넣어지며, 정규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면, 캐비티(44) 내에 마련된 랜스(lance; 46)에 탄성적으로 걸림으로써, 빠지지 않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각 캐비티(44)의 전면벽에는, 벌브(20)의 수형 단자(25)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구(47)가 개구되어 있다.
외측 하우징(6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40)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진 내통부(61)와, 상기 내통부(61)의 전반 부분으로부터 더 전방의 소정 영역에 걸쳐 직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외통부(62)로 구성되어 있다. 내통부(61)의 내부 직경은, 상기한 내측 하우징(40)의 외측 칼라(42A)의 직경보다 소정 치수 크게 설정되고, 바꿔 말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60)에서의 내통부(61)의 내주면과, 내측 하우징(40)에서의 외측 칼라(42A)의 외주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C1)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61)의 후단의 내주에는, 내향의 칼라(64)[이하, 내측 칼라(64)라고 함]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측 칼라(64)의 전면에, 스프링 부재(32)의 대직경부(33B)의 단부면을 끼우는 수용홈(receiving groove; 65)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하우징(60)에서의 내통부(61)와 외통부(62) 사이에는, 상기한 리플렉터(10)에서의 부착통(13)이 거의 긴밀하게 끼워 맞춰지는 환형의 끼워 맞춤 공간(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 공간(63)에는, 리플렉터(10)의 각 가이드 돌출부가 삽입 관통되는 3개의 가이드홈(63A)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공간(63)의 상하 2위치에는, 리플렉터(10)의 부착통(13)의 상하 양면에 형성된 피걸림부(15)를 전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한 팽출부(63B)가 형성되어 있고, 내통부(61)의 후부측의 외주면에 있어서 팽출부(63B)의 후방 위치에는, 로크 아암(66)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아암(66)은, 피걸림부(15)에 마련된 피(被)로크 돌기부(15A)에 걸릴 수 있는 로크부(67)가 선단측에 마련되어 시소 형상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로크 아암(66)의 로크부(67)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팽출부(63B) 내에 면해 있다.
내측 하우징(40)과 외측 하우징(60)의 조립 구조를 더 설명한다. 외측 하우징(60)의 내통부(61)의 후단에 마련된 내측 칼라(64)의 내주에는, 도시하는 3개의 걸림부(70)가 소정의 각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걸림부(7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또한 내측 칼라(64)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두꺼운 형상을 이루고, 상기 내통부(61)의 중심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부(70)의 돌출단 및 후면은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다.
한편, 내측 하우징(40)에서의 단자 수용부(41)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외측 하우징(60)의 걸림부(70)를 삽입 관통 가능하게 한 3개의 홈 형상을 이루는 삽입 관통로(50)가, 대응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로(50)는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41)의 후단부면에 개구되어 후드부(42)의 밑동 부분까지 축선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 도입부(51)와, 이 도입부(51)의 안쪽 단부로부터 후방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진 굴곡부(52)와, 이 굴곡부(52)의 선단을 안쪽 단부로 하여, 상기 도입부(51)와 평행하게 후방을 향하여 단자 수용부(41)의 후단면의 약간 내측에까지 되돌아가도록 형성된 리턴부(53)를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리턴부(53)의 막다른 곳 형상으로 된 후단부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어 상기한 걸림부(70)를 닿게 하는 걸림면(55)으로 되어 있다.
또한, 삽입 관통로(50)의 리턴부(53)는 걸림부(70)보다 소정 치수 넓게 형성되고, 즉 걸림부(70)는 리턴부(53) 내에 폭방향으로 소정의 클리어런스(C2)를 가지고 끼워 맞춰져 있으며, 따라서 내측 하우징(40)은, 외측 하우징(60) 내에 있어서, 상기한 클리어런스(C2)만큼 상대적인 축선 둘레로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30)가 조립되고,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외측 하우징(60) 내에 스프링 부재(32)가 삽입되며, 대직경부(33B)측의 단부가 수용홈(65)에 끼워진다. 계속해서, 내측 하우징(40)이 스프링 부재(32) 내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40)의 외측 칼라(42A)의 이면에 스프링 부재(32)의 소직경부(33A)측의 단부가 닿게 되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40)이, 3개의 삽입 관통로(50)의 도입부(51)를, 각각 외측 하우징(60)의 대응하는 걸림부(70)에 정합(整合)시킨 회동 자세가 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내측 하우징(40)은, 스프링 부재(32)를 탄성적으로 수축하여, 도 3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70)를 삽입 관통로(50)의 도입부(51)를 따르게 하면서 외측 하우징(60) 내에 밀어 넣어지고, 걸림부(70)가 도입부(51)의 안쪽 단부에 이르렀을 때에, 도 3의 화살선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40)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각 걸림부(70)가 굴곡부(52)를 지나 리턴부(53)의 안쪽 단부로 돌아 들어갔을 때에 압입력을 제거하면, 내측 하우징(40)은, 스프링 부재(32)의 복원 탄력에 의해 각 걸림부(70)가 리턴부(53) 내에서 앞쪽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앞쪽으로 되밀어내어지고, 걸림부(70)가 리턴부(53)의 걸림면(55)에 닿았을 때에 되밀리는 것이 정지된다. 이 동안에, 걸림부(70)는, 삽입 관통로(50) 내부에서 도 5의 화살선으로 나타내는 경로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 부재(32)를 사이에 두고 내측 하우징(40)과 외측 하우징(60)이 조립된 커넥터(30)가 형성된다.
커넥터(30)가 조립되면, 내측 하우징(40)의 각 캐비티(44) 내에 전선(w)의 단말에 접속된 암형 단자(35)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랜스(46)에 의해 빠지지 않게 수용된다. 이와 아울러, 벌브(20)의 접속부(2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마련된 3개의 수형 단자(25)가, 내측 하우징(40)의 전면에서의 각 캐비티(44)의 단자 삽입구(47)에 삽입되고, 벌브(20)의 접속부(22)의 후면의 돌기부(26)가, 내측 하우징(40)의 T자부(45)의 전면에 닿았을 때에 접속이 완료된다. 이와 함께 각 수형 단자(25)는, 캐비티(44) 내에 수용된 암형 단자(35)의 접속부(36) 내에 삽입되어, 수형, 암형의 단자(25, 35)끼리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커넥터(30)에 대해서 벌브(20)가 장착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벌브(20)가 등기구의 리플렉터(10)에 마련된 삽입 구멍(12)에 부착된다. 벌브(20)는, 발광부(21)가 부착통(13) 안을 지나 삽입 구멍(12)에 삽입되고, 도중에서부터 플랜지(24)의 외주의 위치 결정용 클로가 부착통(13)의 내주의 위치 결정홈(14)에 끼워져 회동 자세가 정해져 밀어 넣어진다. 벌브(20)의 접속부(22)의 끼워 맞춤부(23)가 삽입 구멍(12)에 끼워지고, 플랜지(24)가 삽입 구멍(12)의 이면측의 구멍 가장자리부(12A)에 닿은 후 더 밀어 넣어지면, 스프링 부재(32)가 탄성적으로 수축되면서 외측 하우징(60)만이 밀어 넣어지고, 이 동안에 로크 아암(66)이 탄성 변위되어 피로크 돌기부(15A)에 걸리며, 소정 위치까지 밀어 넣어지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66)이 복원 변위되어 로크부(67)가 피로크 돌기부(15A)에 걸림으로써, 외측 하우징(60)이 부착통(13)에 대해서 빠짐 방지 상태로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32)가 탄성적으로 수축되고 그 복원 탄력에 의해 내측 하우징(40)이 전방으로 변위 압박되며, 내측 하우징(40)의 T자부(45)가 벌브(20)의 접속부(22)의 후면을 누르고, 플랜지(24)가 삽입 구멍(12)의 이면의 구멍 가장자리부(12A)에 탄성적으로 밀어붙여짐으로써 벌브(20)가 부착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하우징(60)의 걸림부(70)가, 내측 하우징(40)의 삽입 관통로(50)의 걸림면(55)으로부터 이격되고, 또한 걸림부(70)가 리턴부(53)에 대해서 폭방향의 클리어런스(C2)를 가지고 끼워져 있기 때문에, 내측 하우징(40)은 외측 하우징(60)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틸팅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는 본 실시형태의 헤드램프의 초기의 부착 상태이지만, 사용의 경과와 아울러, 벌브(20)가 끊어지거나, 또는 휘도 등의 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다른 벌브(20)로 갈아 끼우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양 로크 아암(66)의 조작부(68)를 잡아 로크를 해제한 후, 벌브(20)와 함께 커넥터(30)를 후방으로 빼내고, 벌브(20)를 내측 하우징(40)의 전면에 갈아 끼운 후, 이미 기술한 요령에 의해 벌브(20)를 리플렉터(10)의 삽입 구멍(12)에 부착하고, 커넥터(30) 중 외측 하우징(60)을 부착통(13)의 소정 위치에 로크하여 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벌브 교환시, 다른 벌브 메이커 제조의 벌브(20)를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 벌브(20)에 관해서는 치수 등에 대해서도 규격이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특히 수형 단자(25)를 포함한 접속부(22)측에 있어서 비교적 공차가 크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벌브(20)에서의 각종 차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벌브(20)의 수형 단자(25)의 돌출 길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내측 하우징(40)의 캐비티(44)에 수용된 암형 단자(35)에서, 탄성 접촉편(37)을 구비한 접속부(36)가, 수형 단자(25)의 돌출 길이의 다소의 대소에 관계없이 그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서 탄성 접촉편(37)과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형, 암형의 단자(25, 35)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담보된다.
벌브(20)에 있어서 플랜지(24)로부터 접속부(22)의 후면의 돌기부(26)의 정상부까지의 길이 치수(L)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도 1의 화살선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32)의 탄성적인 신축을 수반하는 내측 하우징(40)의 전후 방향의 변위를 통해 상기 차이를 흡수할 수 있고, 바꿔 말하면 벌브(20)의 플랜지(24)로부터 외측 하우징(60)에서의 로크 지점까지의 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벌브(20)를 삽입 구멍(12)에 정규적으로 부착할 뿐만 아니라, 외측 하우징(60)도 부착통(13)에 대해서 정규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벌브(20)의 회동 자세를 정하기 위해서 플랜지(24)에 마련된 위치 결정용 클로에 대한 수형 단자(25)의 둘레방향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걸림부(70)와 삽입 관통로(50)의 리턴부(53) 사이의 폭방향의 클리어런스(C2)만큼, 내측 하우징(40)이 외측 하우징(60) 내에서 축선(S)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의 화살선 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하우징(40)이 축선(S) 둘레로 회동하여 어긋남이 흡수된다.
벌브(20)의 플랜지(24)에서의 표면측의 밑동 부분의 형상의 차이에 의해, 도 7의 화살선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브(20)가 축선(T)을 기울인 자세로 부착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내측 하우징(40)이 도 7의 화살선 z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선(S)이 벌브(20)의 축선(T)과 정합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를 취하면서, 외측 하우징(60)의 부착통(13)에 대한 부착이 담보된다.
이상과 같이, 수형 단자(25)의 길이나 배치 나아가서는 접속부(22)측의 형상 등에 차이가 있는 벌브(20)를 장착하는 경우도, 이들의 차이를 흡수하면서 커넥터(30)를 포함하여 벌브(20)를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내측 하우징과 외측 하우징의 조립 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내측 하우징의 외주에 걸림부를, 외측 하우징의 내주에 삽입 관통로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하우징을 부착하는 지점을 리플렉터의 삽입 구멍의 주위에 마련한 부착통으로 설정하였으나, 다른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3) 본 발명은, 커넥터측에 있어서 벌브의 수형 단자의 삽입 깊이에 제한이 있는 형식의 것에서, 수형 단자의 돌출 길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그 차이를 흡수하도록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하우징의 캐비티에 수용된 암형 단자에 접속된 전선이, 직각으로 굴곡되어 캐비티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캐비티의 후방으로 똑바로 인출되는 것이어도 된다.
10: 리플렉터(등기구)
12: 삽입 구멍(벌브 부착부)
12A: 구멍 가장자리부
13: 부착통
15: 피걸림부
15A: 피로크부
20: 벌브
21: 발광부
25: 수형 단자[벌브(20)의 단자]
30: 커넥터
32: 스프링 부재
35: 암형 단자(단자 금구)
40: 내측 하우징
41: 단자 수용부
44: 캐비티
45: T자부(벌브 가압부)
50: 삽입 관통로
51: 도입부
52: 굴곡부
53: 리턴부
55: 걸림면(규제부)
60: 외측 하우징
66: 로크 아암
67: 로크부
70: 걸림부(규제부)
C1: [외측 하우징(60)과 내측 하우징(40) 사이의] 클리어런스
C2: [리턴부(53) 내의 폭방향의] 클리어런스
S: [내측 하우징(40)의] 축선
T: [벌브(20)의] 축선

Claims (3)

  1. 벌브를 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부착하는 벌브 부착부를 마련한 등기구와,
    상기 벌브 부착부의 후측에 부착되는 외측 하우징과,
    이 외측 하우징 내에서 직경방향의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상기 벌브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내측 하우징과,
    이 내측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벌브의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 금구(金具)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와,
    상기 내측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벌브의 바닥부에 접촉 가능한 벌브 가압부와,
    상기 외측 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을 상기 벌브측으로 변위 압박하고, 상기 내측 하우징이 상기 벌브측으로 미리 정해놓은 양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벌브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벌브의 플랜지를 상기 등기구의 상기 벌브 부착부에 밀어붙이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외측 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내측 하우징이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미리 정해놓은 양을 넘어서 상기 벌브측으로 변위한 경우에 서로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주면 또는 상기 내측 하우징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에는, 걸림부가 직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대 하우징의 둘레면에는, 상기 걸림부의 삽입 관통이 가능한 삽입 관통로가, 상기 상대 하우징의 끼워 맞춤측 단부면으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삽입 관통로는 그 안쪽 단부가 둘레방향으로 굴곡된 후 상기 끼워 맞춤측 단부면의 앞쪽까지 축선방향을 따라 되돌아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하우징은, 상기 걸림부를 상기 삽입 관통로를 따르게 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를 탄성적으로 수축하면서 상기 외측 하우징 안에서 눌려 돌려진 후 압입력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부재의 복원 탄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를 상기 삽입 관통로의 리턴부를 따르게 하면서 되밀어내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리턴부의 앞쪽측의 면에 걸려 되밀림이 정지된 형태로 상기 외측 하우징과 조립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 관통로의 상기 리턴부 내에 폭방향으로 클리어런스를 갖고서 삽입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리플렉터에는, 상기 벌브의 발광부측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벌브의 상기 플랜지를 이면측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접촉 가능하게 한 삽입 구멍이 개구됨으로써, 상기 벌브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플렉터의 이면에서의 상기 삽입 구멍의 주위에는 부착통이 돌출 형성되고, 이 부착통에 상기 외측 하우징이 끼워 맞춰질 수 있으며, 이 외측 하우징에는, 상기 부착통의 피(被)걸림부에 탄성적으로 걸려 빠짐을 방지하는 로크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20100124316A 2009-12-11 2010-12-07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110066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2041 2009-12-11
JP2009282041A JP5186473B2 (ja) 2009-12-11 2009-12-11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861A true KR20110066861A (ko) 2011-06-17

Family

ID=4361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316A KR20110066861A (ko) 2009-12-11 2010-12-07 자동차용 헤드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6744B2 (ko)
EP (1) EP2333406B1 (ko)
JP (1) JP5186473B2 (ko)
KR (1) KR20110066861A (ko)
CN (1) CN1020951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3626A (zh) * 2012-05-24 2013-12-0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金卤灯
JP2014116191A (ja) * 2012-12-10 2014-06-26 Koito Mfg Co Ltd バルブ取付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灯具
CN103148455B (zh) * 2013-02-27 2014-12-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Led光源配光装置和具有其的汽车前灯、汽车
US9285093B2 (en) * 2013-03-15 2016-03-15 Federal-Mogul Corporation Self-locating light source module
CN103162149A (zh) * 2013-03-28 2013-06-19 李惠远 可旋转调节的led工作灯
EP3421882B1 (en) * 2017-06-27 2020-03-18 OSRAM GmbH Universal adapter device for vehicle headlights and headlight assembly including this adapter device
CN107859920B (zh) * 2017-10-27 2020-06-16 东莞市孚朗仕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高性能防火防水led照明装置
CN115479252B (zh) * 2022-10-09 2023-10-20 常州市永光车业有限公司 对接式具有缓冲缝隙结构的车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7956A (en) * 1939-08-26 1941-04-08 Arras George Electric fixture
US3302195A (en) * 1965-01-08 1967-01-31 Korry Mfg Co Relampable cap assembly with camseated lamp holder members
GB1148536A (en) * 1966-10-04 1969-04-16 Carr Fastener Co Ltd Lampholder
US3614712A (en) * 1969-05-09 1971-10-19 Essex International Inc Appliance mounting apparatus
DE2124930C3 (de) * 1971-05-19 1980-05-2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Glühlampenfass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Leuchten
DE2149267C3 (de) * 1971-10-02 1981-05-2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Pneumatisch arbeitende Regelvorrichtung zur selbsttätigen Ausrichtung von Kraftfahrzeugscheinwerfern
JPS5740281U (ko) * 1980-08-18 1982-03-04
US4851976A (en) * 1989-01-27 1989-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bulb retaining arrangement
US5010455A (en) * 1990-05-07 1991-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assembly
US5160281A (en) 1990-10-01 1992-11-03 Gte Products Corporation Automotive headlamp socket
EP0766036B1 (de) 1995-09-29 2004-08-04 Robert Bosch Gmbh Lampenfassung für Kraftfahrzeugscheinwerfer und Kraftfahrzeugscheinwerfer, in den die Lampenfassung eingesetzt ist
DE19547718A1 (de) 1995-12-20 1997-06-26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 für Fahrzeuge
FR2783593B1 (fr) * 1998-09-21 2000-12-29 Valeo Visio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e lampe a decharge et de moyens perfectionnes de blindage electromagnetique
DE10217843B4 (de) * 2001-04-24 2007-08-02 Koito Manufacturing Co., Ltd. Infrarotstrahlungsleuchte für ein Automobil
JP2002373509A (ja) * 2001-06-13 2002-12-26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および放電バルブ交換キット
JP4010449B2 (ja) * 2002-08-19 2007-11-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のバルブ挿着構造
DE10312806A1 (de) * 2003-03-21 2004-09-3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
JP3994991B2 (ja) * 2004-07-30 2007-10-24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5149A (zh) 2011-06-15
EP2333406B1 (en) 2013-08-14
EP2333406A1 (en) 2011-06-15
CN102095149B (zh) 2013-05-15
US20110141756A1 (en) 2011-06-16
US8616744B2 (en) 2013-12-31
JP2011124150A (ja) 2011-06-23
JP5186473B2 (ja)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861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4194949B2 (ja) ランプおよびヘッドライト
JP2008144968A (ja) ボールジョイント装置
KR960002303B1 (ko) 복합 전조등의 전구 유지 장치
KR20100118142A (ko)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캡
US72643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a lamp in a reflector housing
US20060152940A1 (en) System for fixing a lamp to a headlight lamp holder for an automobile
JP4746386B2 (ja)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WO2015053295A1 (ja) メス端子
US6970636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optical component to a second optical component
US621734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40039447A (ko) 전조등전구
KR20040039448A (ko) 전조등전구
KR100416425B1 (ko) 차량용 등기구
JP4554339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相手部品に光源を装着する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H09167502A (ja) 自動車ヘッドライト用のランプソケット及び自動車ヘッドライト
JP4091045B2 (ja) ランプソケット
US582380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light source
JP5208754B2 (ja) 成形されたランプソケット
JP2011187397A (ja) 車両用灯具のワイヤーハーネス保持構造
KR20060004989A (ko) 차량 전조등
JPH10172302A (ja) 車輌用灯具におけるバルブ取付構造
JP2010277890A (ja) 車両用灯具
JP2000215725A (ja) ランプソケット
JP2006310145A (ja) 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