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142A -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캡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142A
KR20100118142A KR1020107020968A KR20107020968A KR20100118142A KR 20100118142 A KR20100118142 A KR 20100118142A KR 1020107020968 A KR1020107020968 A KR 1020107020968A KR 20107020968 A KR20107020968 A KR 20107020968A KR 20100118142 A KR20100118142 A KR 2010011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der
lamp
guid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노 무숑
필립쁘 드 몽뛰르
젤르 –y즈마
앙또니우스 엔. 떼엘렁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0011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램프 커넥터(32)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6); 전원에 배면 접속되도록 적응되는 정면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홀더(5); 및 전기 램프와 홀더를 인터페이스하고, 램프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과 홀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하측 사이에 탑재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조명 시스템이 조립되는 경우에 램프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캡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하기 위해 하측과 상측 사이에 연장하는 축방향 구멍들을 구비하는 캡(7)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이 개시된다. 캡은 캡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홀더는 홀더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캡 가이드와 홀더 가이드는 탑재 방향으로 접합됨으로써 서로 협력하도록 적응되며, 따라서 탑재 방향에 수직인 방향들로의 캡의 어떠한 현저한 이동도 홀더 가이드에 의해 방지되어, 캡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의 전기적 접촉 단계 전에 홀더에 대한 캡의 배치 단계가 보장된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캡{LIGHTING SYSTEM AND CAP FOR SUCH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명 시스템 및 캡, 및 조명 시스템을 위한 캡핑된 램프에 관한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전원 위에 전기 램프를 탑재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으로서,
전기 램프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
전원에 배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정면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홀더;
전기 램프와 홀더를 인터페이스하고, 램프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과 홀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하측 사이에 탑재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조명 시스템이 조립되는 경우에 램프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캡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하기 위해 하측과 상측 사이에 연장하는 축방향 구멍들을 구비하는 캡
을 포함하고,
캡 및 홀더는 캡과 홀더를 탑재하고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탑재 방향으로 서로 협력하도록 구성된 부착된 수단을 구비하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조명 시스템은 예를 들어 WO-A-2004/01533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설명된 조명 시스템은 만족할 만하지만, 이러한 타입의 조명 시스템들이 일반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은 캡과 홀더의 전기적 접속이 실패하여 홀더 상의 캡의 잼잉(jamm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개량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위에 전기 램프를 탑재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으로서,
전기 램프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
전원에 배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정면(front) 전기 홀더 커넥터를 구비하는 홀더;
전기 램프와 홀더를 인터페이스하고, 램프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과 홀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하측 사이에 탑재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캡 본체를 구비하고, 조명 시스템이 조립되는 경우에 램프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캡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하기 위해 하측과 상측 사이에 연장하는 축방향 구멍들을 구비하는 캡
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이 제안된다.
캡은 캡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홀더는 홀더 가이드를 더 구비하며, 캡 가이드와 홀더 가이드는 홀더가 캡에 접속될 때 탑재 방향으로 서로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캡 가이드 및 홀더 가이드는 함께 접합되어, 탑재 방향을 따르는 이동시에 캡을 안내하도록 더 특별히 설계되며, 따라서 탑재 방향에 수직인 방향들로의 캡의 어떠한 현저한 움직임도 홀더 가이드에 의해 방지되어, 캡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의 전기적 접촉 단계 전에 홀더에 대한 캡의 배치 단계가 보장된다.
이러한 특징들 덕분에, 캡 가이드 및 홀더 가이드는 홀더 위의 캡의 몽타주(montage) 동안 홀더에 대한 캡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안내를 제공하며(이는 사용자가 다음 전기 접속 동안에 홀더에 대해 캡을 양호하게 배치하는 것을(즉, 탑재 축을 따라 캡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를 정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캡과 홀더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보장한다.
따라서, 캡과 홀더 사이의 전기 접속 안전성이 개선된다.
이러한 개선은 홀더가 차량에 고정되는 경우에 그리고 사용자가 캡핑된 램프(즉, 램프 + 캡)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특히 흥미롭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해 그리고 차량 전기 시스템에 대해 이러한 동작의 안전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 캡 가이드는 탑재 방향에 평행한 하측으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캡의 폭(탑재 축에 수직인 평면도에서 측정된 캡의 폭)은 최소화된다. 따라서, 조명 시스템은 덜 방해가 되며, 이는 차량 제조자들에게 매우 중요할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은 헤드라이트 및/또는 백업 라이트에서 크기를 줄이거나 새로운 광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게다가 이러한 특징은 홀더의 폭을 줄이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 캡 가이드는 하나의 피메일(female) 또는 메일(male)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홀더 가이드는 상보적인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 캡 가이드는 2개의 메일, 2개의 피메일 또는 하나의 피메일과 하나의 메일 가이드 부재들인 2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홀더 가이드는 상보적인 가이드 부재들을 포함한다.
- 캡 가이드 및 홀더 가이드는, 홀더 상의 캡핑된 램프(즉, 램프 + 캡)의 부적절한 결합(pairing)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캡핑된 램프 타입과 홀더 타입을 각기 코딩하도록 제공되는 상보적인 릴리프들(reliefs)을 포함하며, 따라서 캡핑된 램프가 홀더 상에 적절한 위치에 탑재되는 것이 보장된다.
- 캡 및 홀더는 전기 절연체로 제조되는데, 특히 캡 가이드 및 홀더 가이드가 전기 절연체로 제조되며, 이는 홀더 상의 캡의 배치 동안에 전기적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즉 탑재 기능이 전기 접속의 기능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 메일 가이드 부재들은, 캡 본체에 속하고, 홀더를 향해 캡 커넥터보다 멀리 돌출하는 레그들(legs)이고, 피메일 가이드 부재들은, 홀더 본체 내에 형성되고, 레그들을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측면 그루브들이며, 이러한 특징은 특히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홀더 상에서 캡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적어도 캡과 홀더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까지 캡이 홀더에 대해 안내되는 것을 보장한다.
- 레그들 및 그루브들은, 캡과 홀더의 부적절한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캡 타입과 홀더 타입을 각기 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상보적인 릴리프들을 포함한다.
- 캡 본체 및 홀더 본체는 전기 절연체로 제조된다.
- 홀더는 홀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원에 배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추가적인 전기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 램프는 캡 상에 비분리형으로 수용되며, 캡은 홀더 상에 분리형으로 탑재된다.
- 조명 시스템은 홀더 본체가 고정되는 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램프는 하우징 내에 위치한다.
- 캡 및 홀더는 전기적 접촉 단계가 발생할 때 홀더 상에 캡을 고정하도록 배열되는 탑재 수단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전기 램프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
홀더 가이드, 및 전원에 배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정면 전기 홀더 커넥터를 구비하는 홀더
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위한 램프 캡으로서,
전기 램프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 홀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하측, 및 전기 캡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하기 위해 하측과 상측 사이에 연장하는 축방향 구멍들을 구비하는 캡 본체;
캡이 홀더 위에 탑재될 때 탑재 방향으로 홀더 가이드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캡 가이드
를 포함하고,
캡 가이드는 홀더 가이드와 접합되어 탑재 방향을 따르는 이동시에 안내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탑재 방향에 수직인 방향들로의 램프 캡의 어떠한 현저한 움직임도 홀더 가이드에 의해 방지되어, 캡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의 전기적 접촉 단계 전에 홀더에 대한 램프 캡의 배치 단계가 보장되는 램프 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램프 캡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 캡 가이드는 탑재 방향에 평행한 하측으로부터 연장하고, 구체적으로 캡 가이드는 하측의 에지로부터 연장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캡 가이드는 가이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가이드 부재의 볼륨은 X축에 평행한 큰 표면들 및 작은 표면들에 의해 제한되고, 각각의 가이드 부재의 큰 표면들 중 하나는 하측의 에지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캡의 폭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조명 시스템은 덜 방해가 되며, 이는 차량 제조자들에게 매우 중요할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은 헤드라이트 및/또는 백업 라이트에서 크기를 줄이거나 새로운 광학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구나 이러한 캡 크기의 감소는 종래 기술의 캡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차량에 고정된) 홀더에 접근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시스템들에 매우 유용한다.
- 캡 가이드는 예를 들어 강도 및/또는 레그 두께가 요구되는 경우에 1, 2, 3 또는 그 이상의 레그들이다.
- 램프 캡은 축방향 구멍들을 통해 램프 커넥터와 홀더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캡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 표면은, 홀더 가이드의 상보적 릴리프와 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캡핑된 램프(즉, 전기 램프 + 램프 캡)와 홀더의 부적절한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캡핑된 램프 타입을 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릴리프를 포함한다.
- 캡 가이드 중 하나는 탑재 방향으로 제2 캡 커넥터보다 멀리 돌출하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램프 캡, 및 램프와 램프 캡을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전기 램프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를 포함하는 캡핑된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익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면에서:
도 1은 하우징 내에 탑재된 캡핑된 램프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방향 II에서 바라본 도 1의 캡핑된 램프 조립체의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캡핑된 램프 조립체의 사시도.
도 4 및 5는 2개의 대향 방향에서 바라본 도 3의 캡핑된 램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들.
도 6 및 7은 도 1의 VI-VI 및 VII-VII 라인들을 따라 각각 취한 단면도들.
도 8은 홀더에 대한 캡핑된 램프의 접속 동안의 중간 위치에서의 캡핑된 램프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홀더에 대한 캡핑된 램프의 접속 동안의 도 8의 위치에서의 캡핑된 램프 조립체를 나타내는 VI-VI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홀더 상에 캡핑된 램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내는, VI-VI 라인을 따르는 조명 시스템의 3D 단면도.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 참조 번호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지시한다.
도 1은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된 조명 시스템(1)을 나타낸다. 조명 시스템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헤드 램프들 중 하나 또는 후미 램프 등일 수 있다.
조명 시스템(1)은 하우징(2)을 포함하며, 하우징 내에는 캡핑된 램프 조립체(3)가 탑재된다.
캡핑된 램프 조립체는 홀더(5)에 접속되는 캡핑된 램프(4)를 포함한다. 캡핑된 램프(4)는 캡(7)에 접속되는 전기 램프(6)를 포함하며, 캡(7)은 홀더(5)에 접속된다.
전기 램프(6)는 예를 들어 백열 또는 할로겐 램프와 같은 임의 타입일 수 있다.
조명 시스템(1)은 도 1-9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2), 홀더(5), 램프(6) 및 캡(7)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표현은 더 일반적으로는 그러한 요소들의 일부, 예를 들어 캡(7) 및 홀더(5)만을 지칭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우징(2)은 배면 벽(8), 예컨대 반사기 및 정면 벽(9), 예컨대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함께 내부 볼륨(10)을 정의하며, 그 안에는 캡핑된 램프(4)가 배치된다. 배면 벽(8)은 캡핑된 램프 조립체(3)에 의해 횡단되는 구멍(11)을 포함하며, 이 구멍 안에는 홀더(5)의 본체(5a)가 고정된다.
홀더 본체(5a)는 예를 들어 전기 절연체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단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사용 중에 램프(6)에 의해 생성되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다.
도면들의 예에서, 홀더 본체(5a)는 캡핑된 램프 조립체(3)의 중심 X축에 대해 밖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주변 플랜지(12)를 구비하며, 플랜지(12)는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단단한 접합에 의해 구멍(11) 내에 고정된다.
도 2-5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본체(5a)는 배면 전기 커넥터(15)를 포함하는 개방 배면 단부(14)까지 X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하는, (이 특정 예에서는 타원형 단면의) 실질적 원통 형상을 갖는 배면부(13)를 더 포함한다. 배면 커넥터(15)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원 회로에 속하는 외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커넥터(15)의 접속을 허가하기 위해 X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개방 배면 단부(14)를 통해 접근 가능한 2개의 금속 핀(16)을 포함한다.
홀더 본체(5a)는, 플랜지(12)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실질적 정사각 단면을 구비하는 외측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정면부(17)를 더 포함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본체(5a)의 정면부(17)는 X축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앞 방향으로, 즉 캡(7) 및 램프(6)를 향해 개방된 2개의 중앙 리세스(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들(18)은, 앞 방향으로 또한 개방되고, 함께 정면 홀더 커넥터(20)를 형성하는 2개의 금속 접촉 포크(19)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포크들(19) 각각은 핀들(16) 각각과 한 단위로 사용되며, 따라서 홀더 커넥터(20)는 배면 커넥터(15)와 영구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홀더 본체(5a)의 정면부(17)는 그의 두 대향 측 상에 홀더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홀더 가이드는 도면들의 예에서 X축에 평행한 2개의 측면 그루브(21)로 구성된다.
또한, 측면 그루브들(21) 중 적어도 하나 내에는 X축에 평행한 축방향 리브(22)가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홀더 본체(5a)의 정면부(17)의 단부면(23)의 에지들은 또한 서로 정렬된 노치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캡(7)은 전기 절연체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단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캡 본체(7a)를 구비한다. 이러한 재료는 사용 중에 램프(6)에 의해 생성되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다.
캡 본체(7a)는 캡(7)이 홀더(5)에 접속될 때 홀더 본체(5a)의 정면부(17)의 단부면(23)에 대해 축방향으로 접촉하는 중심부(25)를 포함한다(도 4-7 참조).
X축을 가로지르는 리브(26)는 중심부(25)의 정면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가로 리브(26)의 두 단부는 중심부(25)로부터 돌출하며(후자 상에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우), 캡이 홀더에 접속될 때 홀더의 노치들(24) 내에 끼워진다.
가로 리브(26)는 2개의 축방향 구멍(27)에 의해 횡단되며, 그 용도는 나중에 설명된다.
또한, 캡 본체(7a)의 중심부(25)는 후방으로 개방된 두 쌍의 리세스들(28)을 포함하며, 이들 리세스 안에는 2개의 U자형 금속 접촉 부재(29)가 강제로 끼워진다.
U자형 접촉 부재들은, 그들의 브랜치들(29a)이 리세스들(28) 내에 각각 강제로 끼워지고, 그들의 베이스들(29b)이 가로 리브(26)를 후방에서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캡이 홀더에 접속될 때, U자형 접촉 부재들(29)은 홀더 커넥터(20)의 포크들(19) 내에 삽입된다.
또한, U자형 접촉 부재들(29)의 베이스들(29b) 각각은 X축에 평행한 구멍(30)을 포함한다. U자형 접촉 부재들(29)의 2개의 각각의 구멍(30)은 캡 본체(7a)의 구멍들(27)과 정렬되며, 이들 구멍(30)은 램프가 캡(7)에 접속될 때 전기 램프(6)의 2개의 금속 핀(31)을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2개의 구멍(30)은 램프의 2개의 핀(31)에 의해 형성되는 램프 커넥터(32)에 접속될 수 있는, 캡의 제1 전기 캡 커넥터를 구성하며, U자형 접촉 부재들의 브랜치들(29a)은 제1 캡 커넥터(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홀더 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제2 전기 캡 커넥터(33)를 구성한다.
캡 본체(7a)는 또한 중심부(25)로부터 X축에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하는 하측(41)을 포함한다. 하측(41)은 도면들의 예에서 홀더의 측면 그루브들(21)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고 캡 본체의 중심부(2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면 레그(34)로 구성되는 캡 가이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2개의 측면 레그는 캡이 홀더 상에 탑재될 때 캡(7)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캡이 홀더 상에 탑재된 경우에 캡에 대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홀더의 2개의 그루브(21) 내에 틈새 없이 또는 작은 틈새를 두고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2개의 레그(34) 중 하나는 그의 내측면 상에 축방향 슬롯(35)을 포함하며, 따라서 홀더의 축방향 리브(22)는 도 7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슬롯(35)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7a)는 또한 램프(6)의 방향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공동(hollow) 소켓을 형성하는 상측(36)을 포함한다. 이 정면부(36)는 4개의 슬롯(37)에 의해 중단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주변 벽을 포함하며, 따라서 주변 벽은 4개의 탄성 탭(38, 39)을 형성한다. 이러한 탄성 탭들(38, 39)은 그들의 자유 단부에 복수의 내측 에지(40)를 포함한다. 램프(6)가 캡(7)에 접속될 때, 탄성 탭들(38, 39)은 램프(6)의 기부에 형성된 림(42) 상에 스냅 방식으로 끼워지며, 따라서 탄성 탭들(38, 39)의 내측 에지들(40)은 림(41)과 협력하여 캡(7) 상에 램프(6)를 비분리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캡핑된 램프(4)는 잠금 수단에 의해 홀더(5) 상에 분리형으로 유지된다. 기술자는 그러한 잠금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잠금 수단의 일례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데, 홀더(5)는 레그(34)가 그루브(21) 내에 끼워질 때 캡핑된 램프(4)의 대응 측면 레그(34)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해 홀더(5)의 각각의 그루브(21)의 2개의 측면 에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하나의 유연한 탭(80)을 구비한다. 더구나, 이 유연한 탭(80)과 홀더(5)의 플랜지(12) 사이에 갭(81)이 제공되며, 갭(81)에 인접하는 유연한 탭(80)의 단부는 정면 벽(83), 및 정면 벽(83)으로부터 그리고 X축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배면 경사부(ramp)(90)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측면 탭(34)의 단부 부분의 외측면은, 갭(81)에 의해 하우징될 수 있고, 측면 탭(34)이 플랜지(12)에 접하고 있을 때 정면 벽(83)에 접할 수 있는 배면 벽(91), 및 정면 벽 또는 정면 경사부(93)를 갖는 돌출부(92)를 구비한다. 또한, 홀더(5) 위의 캡핑된 램프(4)의 몽타주 동안 측면 탭(34)의 돌출부(92)로의 경로를 허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유연한 탭(80)의 내측면의 전체 길이 상에서 X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리세스(82)가 각각의 유연 탭(8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조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램프(6)와 캡(7)은 사전에 서로 접속되어, 전술한 캡핑된 램프(4)를 형성할 수 있다. 캡(7)의 사용으로 인해, 램프(6)는 대형 시리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램프가 탑재될 예정인 홀더(5)에 따라 여러 타입의 캡(7)에 접속될 수 있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된 램프(4)가 홀더(5) 상에 탑재될 때, 캡(7)의 2개의 레그(34)에 의해 형성되는 캡 가이드는 홀더의 2개의 측면 그루브(21)에 의해 형성되는 홀더 가이드 내에 먼저 끼워지며, 이어서 캡 가이드는 적어도 제2 캡 커넥터(30)가 홀더 커넥터(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때까지 홀더 내에서 탑재 방향을 따라 앞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캡 램프는 적어도 캡 램프가 홀더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까지 탑재 방향(X축)을 따르는 이동시에 매우 정확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안내는 탑재 방향에 수직인 방향들로의 현저한 움직임을 방지한다.
제2 캡 커넥터(30)와 홀더 커넥터(20) 사이의 전기적 접촉 후에, 캡핑된 램프(4)는 캡(7)의 2개의 레그(34)의 자유 단부들이 플랜지(12)를 향해 나올 때까지 탑재 방향(X축)을 따라 앞으로 계속 미끄러진다. 이 위치에서, 각각의 측면 탭(34)의 돌출부(92)(도 10 참조)는 유연 탭(80)의 배면 경사부(90) 및 정면 벽(83)을 지났으며, 갭(81)에 의해 하우징된다. 배면 벽들(91)과 정면 벽들(83) 사이의 접촉은 X축을 따라 캡핑된 램프를 당기려고 시도되는 경우에 홀더(5)로부터 캡핑된 램프(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캡핑된 램프(4)는 먼저 X축으로부터 유연 탭(80)을 밀어내고, 이어서 홀더(5)로부터 떨어지게 캡핑된 램프(4)를 당김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잠금 위치 전에 각각의 돌출부(92)는 대응하는 유연 탭(80)의 리세스(82) 내로 미끄러지며, 따라서 유연 탭(80)은 홀더(5) 상의 캡핑된 램프(4)의 안내에 의해 당겨지지 않으며, 따라서 홀더(5)에 대한 캡핑된 램프(4)의 배치의 품질은 그러한 잠금 요소들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홀더의 축방향 리브(22) 및 캡의 축방향 슬롯(35)(또는 홀더에 대한 캡핑된 램프의 접속 동안 X축을 따르는 미끄럼 관계로 서로 접합되는 캡 및 홀더의 임의의 다른 대응하는 릴리프들)은 캡과 홀더의 부적절한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캡 타입 및 홀더 타입을 각각 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 캡을 구비하는 다른 조명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기술자는 1, 3, 4 또는 그 이상의 측면 레그(34)는 물론, 홀더(5) 상의 그들의 상보적인 부분들을 갖기 위해 조명 시스템을 어떻게 적응시킬지를 안다.

Claims (15)

  1. 전원 위에 전기 램프를 탑재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으로서,
    전기 램프 커넥터(32)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6);
    홀더 본체, 및 전원에 배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정면(front) 전기 홀더 커넥터(15)를 구비하는 홀더(5); 및
    상기 전기 램프(6)와 상기 홀더(5)를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램프 커넥터(32)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36)과 상기 홀더 커넥터(15)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하측(41) 사이에 탑재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캡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 시스템이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램프 커넥터(32)와 상기 홀더 커넥터(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캡 커넥터(33)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측과 상기 상측 사이에 연장하는 축방향 구멍들(27)을 구비하는 캡(7)
    을 포함하고,
    상기 캡(7)은 캡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홀더(5)는 홀더 가이드를 더 구비하며, 탑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캡(7)의 어떠한 현저한 움직임도 상기 홀더 가이드에 의해 방지되어, 상기 캡 커넥터(33)와 상기 홀더 커넥터(15)의 전기적 접촉 단계 전에 상기 홀더(5)에 대한 상기 캡(7)의 배치 단계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캡 가이드와 상기 홀더 가이드는 함께 접합(fit)되어, 상기 탑재 방향을 따르는 이동시에 상기 캡(7)을 안내하도록 설계되는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는 하나의 피메일(female) 또는 메일(male)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가이드는 상보적인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는 2개의 메일, 2개의 피메일, 또는 1개의 피메일과 1개의 메일 가이드 부재들인 2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가이드는 상보적인 가이드 부재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 및 상기 홀더 가이드는, 상기 홀더(5) 상의 캡핑된 램프(즉, 램프(6) + 캡(7))의 부적절한 결합(pairing)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캡핑된 램프 타입 및 홀더 타입을 각각 코딩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보적인 릴리프들(reliefs)(22; 35)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7) 및 홀더 본체(5)는 전기 절연체로 제조되는 조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캡 상에 비분리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캡은 상기 홀더 상에 분리형으로 탑재되는 조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홀더는 상기 전기적 접촉 단계가 발생할 때 상기 홀더 상에 상기 캡을 고정(locking)하도록 배열되는 탑재 수단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8. 조명 시스템용 램프 캡(7)으로서,
    상기 조명 시스템은
    전기 램프 커넥터(32)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6), 및
    홀더 가이드, 및 전원에 배면 접속되도록 구성된 정면 전기 홀더 커넥터(15)를 구비하는 홀더(5)
    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캡은
    상기 전기 램프를 수용하기 위한 상측(41), 상기 홀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대향 하측(42), 및 전기 캡 커넥터(33)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측과 상기 상측 사이에 연장하는 축방향 구멍들(27)을 구비하는 캡 본체(7a);
    탑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램프 캡(7)의 어떠한 현저한 움직임도 상기 홀더 가이드에 의해 방지되어, 상기 캡 커넥터(33)와 상기 홀더 커넥터(15)의 전기적 접촉 단계 전에 상기 홀더(5)에 대한 상기 램프 캡(7)의 배치 단계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홀더 가이드와 접합되어, 상기 탑재 방향을 따르는 이동시에 안내되도록 설계되는 캡 가이드
    를 포함하는 램프 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는 상기 탑재 방향에 평행한 상기 하측으로부터 연장하는 램프 캡.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는 상기 하측의 에지에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램프 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는 가이드 부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가이드 부재의 볼륨은 상기 탑재 방향에 평행한 큰 표면들 및 작은 표면들에 의해 제한되고, 각각의 가이드 부재의 큰 표면들 중 하나는 상기 하측의 에지로부터 연장하는 램프 캡.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는 1, 2, 3개 또는 그 이상의 레그(leg)인 램프 캡.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구멍들을 통해 상기 램프 커넥터(32)와 상기 홀더 커넥터(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전기 캡 커넥터(33)를 더 포함하는 램프 캡.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 가이드는, 상기 홀더 가이드의 상보적인 릴리프(22)와 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캡핑된 램프(즉, 램프 캡 + 전기 램프)와 홀더(5)의 부적절한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캡핑된 램프 타입을 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릴리프(35)를 포함하는 램프 캡.
  15. 제8항에 따른 램프 캡(7), 및
    전기 램프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램프 커넥터는 상기 램프와 상기 램프 캡(7)을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캡핑된 램프(4).
KR1020107020968A 2008-02-19 2009-02-18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캡 KR20100118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0103 2008-02-19
EP08300103.2 2008-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142A true KR20100118142A (ko) 2010-11-04

Family

ID=4084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968A KR20100118142A (ko) 2008-02-19 2009-02-18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26440B2 (ko)
EP (1) EP2245708B1 (ko)
JP (1) JP2011515004A (ko)
KR (1) KR20100118142A (ko)
CN (1) CN101953035B (ko)
AT (1) ATE545973T1 (ko)
WO (1) WO20091041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473B1 (ko) * 2015-10-12 2017-03-27 한국원자력연구원 핫셀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45973T1 (de) * 2008-02-19 2012-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eleuchtungssystem und kappe für dieses beleuchtungssystem
IT1403019B1 (it) * 2010-11-18 2013-09-27 Automotive Lighting Rear Lamps Italia S P A Portalampada per lampadine ad incandescenza e fanale automobilistico provvisto di tale portalampada
CN103851590B (zh) * 2012-12-06 2016-02-03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组合式航空维修灯
CN103742877B (zh) * 2014-01-25 2018-05-01 漳州立达信光电子科技有限公司 灯头电连接结构
US9719638B1 (en) * 2016-07-24 2017-08-01 Xiamen Eco Lighting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lamp cap
US9970599B2 (en) * 2016-07-24 2018-05-15 Xiamen Eco Lighting Co. Ltd. Light bulb apparatus
TWI656301B (zh) * 2017-03-20 2019-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11611183B2 (en) * 2017-07-27 2023-03-21 Ledvance Gmbh Lamp socket, lamp bas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10020626B1 (en) * 2017-10-18 2018-07-10 Huiyang Zing Ear Industry Co., Ltd. Adapter
US10627086B1 (en) 2019-01-22 2020-04-21 Juniper Design Group Inc. Low-profile track lighting system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5025A (en) * 1993-05-10 1995-11-07 Litetronics International, Inc. Lamp with removable base and replaceable bulb capsule
DE29924240U1 (de) 1998-07-20 2002-09-19 Holzer Walter Berührungssicheres Sockel-/Fassungssystem für Leuchten
EP1537356A1 (en) 2002-08-07 2005-06-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placing a lamp in a reflector
KR100542626B1 (ko) 2003-06-21 2006-01-1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벌브용 커넥터
EP1646116B1 (de) * 2004-10-11 2008-01-23 ULO Fahrzeugtechnik GmbH Leuchteinheit für den Automotivebereich
US7025490B1 (en) 2004-11-15 2006-04-11 Wei-Jen Tseng Error-proof mounting assembly for twinkle light set to prevent mounting of a light bulb holder into an incorrect socket
DE102004060918A1 (de) 2004-12-17 2006-06-22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PAR-Lampenanordnung
US7284895B2 (en) * 2005-02-21 2007-10-23 Tyco Electronics Canada, Ltd. Potted lamp socket
DE602007010110D1 (de) 2006-03-10 2010-12-0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tomobillampe mit einer an der abdeckung der lampe montierten glühbirne
DE202006009052U1 (de) 2006-06-07 2006-08-1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nsockel und Lampe mit einem Lampensockel sowie Beleuchtungssystem
ATE545973T1 (de) * 2008-02-19 2012-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eleuchtungssystem und kappe für dieses beleuchtungs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473B1 (ko) * 2015-10-12 2017-03-27 한국원자력연구원 핫셀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3035A (zh) 2011-01-19
EP2245708B1 (en) 2012-02-15
WO2009104140A1 (en) 2009-08-27
US20100311267A1 (en) 2010-12-09
CN101953035B (zh) 2013-10-23
US8226440B2 (en) 2012-07-24
EP2245708A1 (en) 2010-11-03
ATE545973T1 (de) 2012-03-15
JP2011515004A (ja)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8142A (ko)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용 캡
KR101830422B1 (ko) 차량용 커넥터
US600415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plates
CN107863649B (zh) 杆式连接器
US8616744B2 (en) Vehicle headlamp
JP2014220075A (ja) 端子金具の保持構造
JP2009104837A (ja) コネクタ
KR101830421B1 (ko) 차량용 커넥터
KR101979923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US20140113479A1 (en)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US20090117770A1 (en) Connector
CN110073553B (zh) 带橡胶盖的连接器
US7261470B2 (en) Optical receptacle adapted for connection to an optical plug
US20140148037A1 (en) Connector having insertion detection
KR20150105993A (ko) 밀봉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07634379B (zh) 连接器
JP2017120735A (ja) 車輌用灯具
US9362651B2 (en) Locking structure of terminal fitting and bulb socket
JP2014102951A (ja) プラグ、該プラグを用いた照明器具、該照明器具を用いた照明システム、及び、治具
CN219040829U (zh) 一种电连接器组件
KR101758674B1 (ko) 커넥터조립체용 오조립 방지장치
KR101830423B1 (ko) 차량용 커넥터
CN219677635U (zh) 连接器端盖、连接器端盖组件和连接器
CN215771663U (zh) 一种分体式电插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