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448A - 전조등전구 - Google Patents

전조등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448A
KR20040039448A KR10-2004-7004610A KR20047004610A KR20040039448A KR 20040039448 A KR20040039448 A KR 20040039448A KR 20047004610 A KR20047004610 A KR 20047004610A KR 20040039448 A KR20040039448 A KR 20040039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headlight
receptacle
plastic r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546B1 (ko
Inventor
게르하르트 베어
페터 헬비히
우베 칸팀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4003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5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9/00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 H01K9/08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to provide selectively different light effects, e.g. for automobile head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01K1/46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c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7/00Lamps for purposes other than general lighting
    • H01K7/02Lamps for purposes other than general lighting for producing a narrow beam of light; for approximating a point-like source of light, e.g. for searchlight, for cinematographic proj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조등전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조등전구의 소켓(9)이 플라스틱 링(13)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 링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콘택 러그(13a-13c)가 삽입된다. 상기 콘택 러그(13a-13c)는 공통 평면 내에서 링 축(A)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13)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각각 돌출한다.

Description

전조등전구{HEADLAMP BULB}
상기 방식의 전조등전구는 예컨대 독일 특허 공보 DE 199 51 203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에는 리셉터클(receptacle), 리셉터클 내에 배치된 필라멘트, 리셉터클이 고정되어 있는 전구소켓, 그리고 전구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리셉터클로부터 돌출하는 필라멘트용 서플라이 리드를 접촉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두 개의 콘택 러그를 구비한 전조등전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바이어넷 로크(bayonet lock) 방식으로 전조등 내에 전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전구소켓은 플랜지를 갖는데, 상기 플랜지는 탄성을 가지며 기준 노우즈와 상호작용하는 세 개의 러그를 갖는다. 전원에 대한 전조등전구의 전기 접속은 플러그를 이용한 바이어넷 로크와 별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플러그는 전조등 내에 전구를 설치한 후에 콘택 러그에 꽂아진다.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조등전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조등전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콘택 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플라스틱 링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전구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전기 단자를 갖는 전조등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전구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로부터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서플라이 리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이 내부에 고정되고 있으면서 전조등과 함께 바이어넷 로크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금속 소켓부분을 포함하는 전구소켓, 그리고 콘택 러그로 형성되고 서플라이 리드와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전기 단자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전구소켓은 금속 소켓부분과 연결되는 플라스틱 링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 링 내부에 적어도 두 개의 콘택 러그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콘택 러그는 공통 평면 내에서 링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경우에 플라스틱 링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한다.
전구소켓 및 콘택 러그의 상기에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형태 및 배열에 의해서, 전구와 전조등 간의 바이어넷 로크의 체결과 동시에 전조등 내 전구의 전기적 접촉도 달성된다. 이러한 바이어넷 로크를 체결하기 위해서 전구가 그의 종축을 중심으로 대략 1/4 만큼 회전함으로써, 이와 동시에 플라스틱 링 밖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콘택 러그가 전조등의 전기 홀더 콘택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전구의 콘택 러그와 전기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추가의 플러그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구의 콘택 러그가 공통 평면 내에 배열되고 플라스틱 링 내에 삽입되며, 상기 플라스틱 링은 콘택 러그를 고정시키고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전구의 설치가 매우간소화된다. 상기 콘택 러그는 공통 평면 내에 배열됨으로써 플라스틱 링 내에 삽입되고 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천공된 시트 금속에 의해 제조된 후에, 상기 천공된 시트 금속이 플라스틱 링 내에 고정될 때 콘택 러그 간의 연결 웨브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콘택 러그를 플라스틱 링 내에 가능한한 간단한 방식으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플라스틱 링이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로부터 떨어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전구의 소켓 단부는 플라스틱 링의 직경을 따라서 연장되는 웨브를 갖는다. 이러한 웨브가 전조등 내에 전구를 삽입하기 위해 그립(grip)으로서 형성되면 전구 교체가 더 쉬워진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전조등 내에 삽입되도록 제공된 이중 필라멘트 할로겐 백열전구가 다루어진다. 이러한 전구는 거의 원통형 유리질 리셉터클(1)을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1) 내에 두 개의 필라멘트(2, 3)가 형성되며, 상기 필라멘트 중 하나는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전구의 종축(A)에 대해 또는 리셉터클(1)의 실린더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축방향으로 배치된 필라멘트(2)는 리셉터클(1) 내부에 배치된 하향전조등 실드(4)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필라멘트(2, 3) 및 하향전조등 실드(4)를 고정시키고 거기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3개의 서플라이 리드(5, 6, 7)가 사용되며, 상기 서플라이 리드는 리셉터클(1)의 소켓 가까이에 있는 단부로부터 리드된다. 상기 리셉터클(1)의 소켓 가까이에 있는 단부는 클램핑 피트(clamping fit)에 의해서 금속 홀더(8)의 리세스 내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8)는 전구소켓(9)의 구성부품이다. 상기 금속 홀더(8)는 금속 조정 링(10) 내에 고정되며, 상기 조정 링(10)은 기준 링(11)과 용접 결합된다. 상기 기준 링(11)은 종축(A)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방사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공통 평면 내에 놓인 기준 노우즈(11a, 11b, 11c)를 갖는다. 이러한 기준 노우즈(11a-11c)는 기준 링(11)의 주변을 따라서 120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전조등 내 전구의 설정방향 또는 설치위치를 정하기 위해서, 기준 노우즈(11a)는 다른 두 개의 기준 노우즈(11b, 11c)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종래의 조정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이러한 두 개의 필라멘트(2, 3)가 금속 소켓 부분(8, 10, 11)의 용접시에 3개의 기준 노우즈(11a-11c) 및 이들에 의해 정해진 기준 평면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됨으로써, 전조등 내에 전구가 삽입될 때 3개의 기준 노우즈(11a-11c)의 전조등 반사경 내에서의 설정방향 및 설치위치에 의해서 반사경 내에서의 필라멘트(2, 3)의 배열상태도 명확하게 정해질 수 있다. 기준 링(11)은 고리형 금속 소켓플랜지(12)와 용접 결합되고, 상기 소켓플랜지의 플랜지 평면은 종축(A)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기 소켓플랜지(12)는 탄성을 갖는 3개의 러그(12a, 12b, 12c)를 가지는데, 상기 러그는 소켓플랜지의 고리형 둘레를 따라서 균일하게 배열되고 전구의 종방향(A)으로 탄성작용을 전개한다. 탄성 러그에 대한 대향 베어링으로서 기준 노우즈(11a-11c)가 사용된다. 상기 기준 노우즈(11a-11c)는 소켓플랜지(12) 및 그의 러그(12a-12c) 및 전구 홀더로서 형성된, 전조등 반사경의 개구와 함께 바이어넷 로크(bayonet lock)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조등 반사경의 개구의 림(rim)은 바이어넷 로크의 체결후에 클램핑 피트에 의해서 기준 노우즈(11a-11c)와 러그(12a-12c) 사이에 배치된다. 전조등 반사경의 림에 전구를 가로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압축 스프링(16)이 사용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은 소켓플랜지(12)의 고리형 칼라(12d) 내에 있는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한다.
금속 소켓플랜지(12)에는 사출성형 부품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링(13)이 이어지며 상기 플라스틱 링으로부터 3개의 금속 콘택 러그(13a, 13b, 13c)가 돌출하며, 상기 금속 콘택 러그는 각각 서플라이 리드(5, 6, 7)와 각각 도전 접속되고 전조등 전구의 전기적 콘택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플라스틱 링(13) 내에 배열된, 콘택 러그(13a-13c)의 단부들은 서플라이 리드(5, 6, 7)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 하나의 관통구(15a, 15b, 15c)를 갖는다. 상기 서플라이 리드(5, 6, 7)의 단부들은 관통구(15a-15c) 내에서 콘택 러그(13a-13c) 중 하나와 각각 용접 결합된다. 세 개의 콘택 러그(13a-13c) 및 특히 그의 접촉면은 공통 평면 내에서 플라스틱 링(13)의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종축(A)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기 콘택 러그(13a-13c)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플라스틱 링(13)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세 개의 콘택 러그(13a-13c)는 플라스틱링(13)의 둘레를 따라서 각각 60도의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소켓 설치시에 기준 노우즈(11a-11c)에 대한 콘택 러그(13a-13c)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플라스틱 링(13)은 위치설정 보조부로서 사용되고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우브(16)를 갖는다. 중간 콘택 러그(13b)는 폭이 넓은 기준 러그(11a)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배치된다. 바이어넷 로크의 체결시 나타나는 회전 운동에 의해, 콘택 러그(13a-13c)가 전조등의 이에 상응하는 전기 홀더 콘택과 접촉한다.
리셉터클(1)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구소켓(9)의 단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그립 부분(14)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 부분은 분리불가능한 플러그-인 커넥션에 의해서 플라스틱 링(13) 및 소켓플랜지(12)에 고정된다. 상기 그립 부분(14)은 종축(A)에 대해 수직으로, 플라스틱 링(13)의 직경을 따라서 연장되는 웨브(14a)를 갖는다. 상기 웨브(14a)는 그립으로서 형성되어서 전구 교체시에 바이어넷 로크의 체결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제한된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나의 필라멘트 또는 하나의 발광수단, 이에 상응하여 단지 두 개의 콘택 러그 만을 갖는 전조등전구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단지 하나의 필라멘트 및 두 개의 콘택 러그를 갖는 상기 방식의 전조등전구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두 개의 콘택 러그(113a, 113b)를 가지며, 상기 콘택 러그는 각각 서플라이 리드(5, 7) 중 하나와 연결된다. 상기 콘택 러그(113a, 113b)는 플라스틱 링(113) 내에 직경방향으로 배치되어서,방사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라스틱 링(113)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콘택 러그의 접촉면은 링 축 또는 램프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다. 플라스틱 링(113)은 웨브 형태의 그립 부분(114)을 가지며, 상기 그립 부분은 플라스틱 링(113)의 직경을 따라 연장된다.

Claims (3)

  1. -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1)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2, 3)이 형성되고,
    -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로부터 돌출한 적어도 두 개의 서플라이 리드(5, 6, 7)를 포함하며, 상기 서플라이 리드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수단(2, 3)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고,
    - 금속 소켓 부분(8, 10, 11, 12)을 갖는 전구소켓(9)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소켓 부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이 고정되고 상기 금속 소켓 부분은 전조등과 함께 바이어넷 로크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11a, 11b, 11c, 12a, 12b, 12c)을 가지며,
    - 콘택 러그(13a, 13b, 13c)로서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전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단자는 상기 서플라이 리드(5, 6, 7)와 연결되는, 전조등전구로서,
    - 상기 전구소켓(9)이 상기 금속 소켓 부분(8, 10, 11, 12)과 연결되는 플라스틱 링(13)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 링 내에 적어도 두 개의 콘택 러그(13a, 13b, 13c)가 삽입되고,
    - 상기 콘택 러그(13a, 13b, 13c)는 공통 평면 내에서 링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13)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13)이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소켓(9)이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서 상기 플라스틱 링(13)의 직경을 따라서 연장되는 웨브(14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전구.
KR1020047004610A 2001-09-28 2002-09-25 전조등전구 KR100864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8114.4 2001-09-28
DE10148114A DE10148114A1 (de) 2001-09-28 2001-09-28 Scheinwerferlampe
PCT/DE2002/003619 WO2003030213A2 (de) 2001-09-28 2002-09-25 Scheinwerferla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448A true KR20040039448A (ko) 2004-05-10
KR100864546B1 KR100864546B1 (ko) 2008-10-20

Family

ID=770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610A KR100864546B1 (ko) 2001-09-28 2002-09-25 전조등전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981793B2 (ko)
EP (1) EP1430502A2 (ko)
JP (1) JP4124733B2 (ko)
KR (1) KR100864546B1 (ko)
CN (1) CN1291436C (ko)
AR (1) AR036647A1 (ko)
BR (1) BR0206085A (ko)
DE (1) DE10148114A1 (ko)
HU (1) HUP0501115A2 (ko)
TW (1) TW563165B (ko)
WO (1) WO20030302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8115A1 (de) * 2001-09-28 2003-04-17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einwerferlampe
DE10200831A1 (de) * 2002-01-02 2003-07-1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Lampe und Scheinwerfer zur einfachen Montage
DE102004007150A1 (de) 2004-02-12 2005-08-25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Sockel für eine Scheinwerferlampe und Scheinwerferlampe
DE102004025268A1 (de) * 2004-05-19 2005-12-08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Fahrzeuglampe
DE102004062990A1 (de) * 2004-12-22 2006-07-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einrichtung mit mindestens einer Leuchtdiode und Fahrzeugscheinwerfer
DE102005024435A1 (de) * 2005-05-24 2006-12-0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nsockel und Lampe
DE202006002888U1 (de) * 2006-02-21 2006-05-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Lampensockel und Lampe mit einem Lampensockel
KR100756939B1 (ko) 2006-06-26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 벌브 고정구조
EP2054663A1 (en) * 2006-08-18 2009-05-06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Fastening system and lamp having a fastening system
DE102008059495B4 (de) * 2008-11-28 2010-12-02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ntegrierte Gasentladungslampe
DE202009003604U1 (de) * 2009-03-13 2009-06-18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Lampenfassung
FR2957656B1 (fr) * 2010-03-17 2015-08-14 Tbi Systeme de montage d'une lampe halogene automobile dite " h1 " sur un reflecteu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7617A (en) * 1922-06-17 1925-02-24 C D Tuska Company Dial knob
US4812703A (en) * 1985-12-19 1989-03-14 Koito Seisakusho Co., Ltd. Electric lamp assembly
DE3602234A1 (de) * 1986-01-25 1987-07-30 Hella Kg Hueck & Co Fahrzeugscheinwerfer
JPH0617003U (ja) * 1992-06-12 1994-03-0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の電球取付部
KR100437557B1 (ko) 1996-01-11 2004-07-16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접착제없이캡이씌워지는전기램프
DE19951203A1 (de) * 1999-10-22 2001-04-26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weinwerferla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2187A1 (en) 2005-01-06
TW563165B (en) 2003-11-21
US6981793B2 (en) 2006-01-03
DE10148114A1 (de) 2003-04-17
EP1430502A2 (de) 2004-06-23
KR100864546B1 (ko) 2008-10-20
BR0206085A (pt) 2003-12-23
AR036647A1 (es) 2004-09-22
JP2005505113A (ja) 2005-02-17
WO2003030213A3 (de) 2003-09-25
CN1291436C (zh) 2006-12-20
HUP0501115A2 (en) 2006-03-28
JP4124733B2 (ja) 2008-07-23
WO2003030213A2 (de) 2003-04-10
CN1561529A (zh)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8019B2 (ja) ランプベースおよびランプベースを備えるランプ
KR100970879B1 (ko) 장착이 단순한 헤드라이트
KR100864546B1 (ko) 전조등전구
JP4662524B2 (ja) 前照灯用ランプ
CN1880842B (zh) 灯头与灯
KR100855118B1 (ko) 전조등램프
JP4746386B2 (ja)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KR20060054046A (ko) 자동차 분야용 조명 유닛
US7712938B2 (en) Socket for a lamp
CA2189602C (en) Electric lamp with a variably keyed base
US7341469B2 (en) Adapter for a recessed lamp
KR100621263B1 (ko) 전기 램프 및 전기 램프를 가진 조명 시스템
EP1690282B1 (en) Lamp socket with improved heat conduction
US20100194259A1 (en) Fastening system and lamp having a fastening system
US8177410B2 (en) Lamp base and lamp
CN115371021A (zh) 具有用于灯的保持夹的灯座
WO2010086765A1 (en) Bur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