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99B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 Google Patents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499B1
KR100736499B1 KR1020040036739A KR20040036739A KR100736499B1 KR 100736499 B1 KR100736499 B1 KR 100736499B1 KR 1020040036739 A KR1020040036739 A KR 1020040036739A KR 20040036739 A KR20040036739 A KR 20040036739A KR 100736499 B1 KR100736499 B1 KR 10073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utput
bmin
bmax
digital data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557A (ko
Inventor
미야케가츠유키
아사이도시타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4010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4Conversion in steps with each step involving the same or a different conversion means and delivering more than one b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617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 H03M1/0619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by dividing out the errors, i.e. using a ratiometric arrangement
    • H03M1/0621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by dividing out the errors, i.e. using a ratiometric arrangement with auxiliary conversion of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arameter(s) to be compensat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8/00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 G01D18/008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with calibration coefficients stored in memo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2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
    • G01F25/24Testing proper functioning of electronic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Indication And Record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And Tariff Metering Device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계기 ECU에 포함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는, 전위차계(RS)의 출력 전압(VB)과 배터리(B)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VA)을 검출하여, 이 전압(VB, VA)을 별개의 상이한 디지털 데이터(VDB, VDA)로 변환한다. 이 변환회로(1)는, 또한 조정용 저항기(RSMIN, RSMAX)와 조정용 배터리(BT)로부터 출력된 기준 전압(VBMIN , VBMAX, VAT)을 검출하여, 이것들(VBMIN, VBMAX, VAT)을 별개의 상이한 디지털 데이터(VD BMIN, VDBMAX, VDAT)로 변환한다. 이어서, 이 변환회로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VDBMIN, VDBMAX , VDAT)에 따라서, 점퍼선(jumper line)에 의한 검출 오차 및 전원 전압(VA)의 전압 변동을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SH)를 연산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ANALOG TO DIGITAL CONVERTER CIRCU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계기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 제어 유닛)의 회로도.
도 2A는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계기 ECU에 사용된 기판의 사시도.
도 2B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자부품이 실장된 기판의 사시도.
도 2C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라서 계기 ECU가 포함된 계기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계기 ECU에 포함된 마이크로컴퓨터(MC)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마이크로컴퓨터(MC)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의 나머지 부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관련 기술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5: 저항기 C1, C2: 커패시터
D1, D2: 다이오드 10: 정전압 회로
20: 불휘발성 메모리 30: 마이크로컴퓨터
본 발명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는, 차량에서, 탱크내의 연료 잔량을 나타내는 센서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변환회로는 또한 이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지침(指針)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제어하여 연료량을 표시한다. 표면에 점퍼선(jumper line)이 인쇄된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상에 변환회로를 형성하는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점퍼에 관련된 검출 오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PCB는 US-A-5466893(JP-B-2763951)에 제안되어 있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PCB는, 기판(51), 및 그 기판(51)에 인쇄된 동(銅) 페이스트 점퍼(53)를 포함한다. 점퍼(53)는 제1랜드(land)(52a)와 제2랜드(52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박판(薄板)의 형태로 실크 인쇄되어 있다. 점퍼(53)와 랜드(52a 및 52b)는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된 오버코트(overcoat)(54) 및 언더코트(undercoat)(55)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점퍼(53)의 실크 인쇄 공정에 있어서, 점퍼(53)의 인쇄 영역은 기판마다 상이하다. 결과적으로, 점퍼(53)의 저항치도 기판마다 상이하다. 저항치의 변화로 인하여 검출 오차가 발생하고 디지털 데이터로의 변환에 있어서 정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정확하게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회로는, 검출수단, 디지털 변환수단, 및 연산수단을 포함한다.
A/D 변환회로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점퍼선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상에 실장된다. 검출수단은 검출 대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 출력을 검출한다. 디지털 변환수단은 센서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연산수단은, 센서 출력에 포함된,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연산한다.
검출수단은, 센서 출력의 디지털 데이터로의 변환에 앞서서, 소정의 레벨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기준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디지털 변환수단은 기준 센서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연산수단은, 기준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연산한다. 검출 오차가 센서 출력으로부터 제거되어 있으므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는 정확하게 연산된다. 따라서, 검출 대상의 상태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정확하게 연산된다.
또한, A/D 변환회로는 제1검출수단 및 제2검출수단을 포함한다. 제1검출수단은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에 따라서 검출 대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 출력을 검출한다. 제2검출수단은 전원 전압을 검출한다. 디지털 변환회로는 센서 출력과 전원 전압을 별개의 상이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연산수단은, 센서 출력에 포함된,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 및 전원 전압의 변동을 보정함으로써, 보정 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연산한다.
제1 및 제2검출수단은, 기준 센서 출력과 기준 전원 전압을 각각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센서 출력과 전원 전압의 디지털 데이터로의 변환에 앞서서, 기준 센서 출력과 전원 전압을 검출한다. 디지털 변환수단은 기준 센서 출력과 기준 전원 전압을 별개의 상이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연산수단은, 기준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 및 기준 전원 전압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연산한다.
센서 출력에서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 및 전원 전압의 변동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정확하게 연산된다. 따라서, 검출 대상의 상태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정확하게 연산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계기 전자 제어 유닛(ECU)에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회로를 사용한다. 계기 ECU는, 저항기(R1~R5, RS), 커패시터(C1, C2), 다이오드(D1, D2), 정전압 회로(10), 불휘발성 메모리(EEPROM)(20), 및 마이크로컴퓨터(30)를 포함하고 있다.
저항기(R1, R2, R3)는 시동 스위치(IG)의 출력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서 센서의 출력을 검출한다. 이 직렬 회로는 제1검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시동 스위치(IG)의 입력 단자는, 내장된 배터리(B)의 정(正)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는 시동 스위치(IG)로써 계기 ECU를 동작시키고 또한 차단할 수 있다.
가변 저항기인 전위차계(RS)는, 저항기(R1 및 R2)의 공통 접속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위차계(RS)는, 연료 탱크내의 연료 잔량을 판단하는, 즉, 검출 대상의 상태를 판단하는 센서로서 사용된다. 전위차계(RS)의 저항치는 연료량이 변화함에 따라서 연료 표면상의 플로트(float)와 동시적으로 변화한다. 연료 탱크는 차량의 구동에 사용되는 가솔린 등, 액체 연료를 저장한다.
저항기(R2 및 R3)의 공통 단자에서 측정된, 전위차계(RS)의 출력 전압 VB는 A/D 단자(31)를 통하여 MC(30)에 입력된다. 시동 스위치(IG)의 출력 단자에서의 전압이 VIG+이고, 저항기(R2)의 저항치와 저항기(R3)의 저항치의 비가 1:1이면, 전압 VB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된다.
RS ×(VIG+)/{(R1+RS)×2}
커패시터(C1)는 A/D 단자(31)와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기(R4와 R5)는 시동 스위치(IG)의 출력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서 배터리(B)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을 검출한다. 이 직렬 회로는 제2검출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저항기(R4 및 R5)의 공통 단자에서 측정된, 전압 VA는 MC(30)의 A/D 단자(32)에 입력된다. 전압 VA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된다.
R5 ×(VIG+)/{(R4+R5)}
커패시터(C2)는 A/D 단자(32)와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전압은 다이오드(D2), 또는 시동 스위치(IG)와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배터리(B)의 정의 단자로부터 정전압 회로(10)에 입력된다. 정전압 회로(10)는 전원 전압을 정전압, 예로서, 5V로 변환하여, 그것을 MC(30)에 출력한다.
MC(30)는, A/D 변환기, ROM, RAM, 및 CPU를 포함하고 있다. CPU는, 전압 VB와, R4 및 R5의 공통 단자에서 측정된, 배터리(B)의 출력 전압 VA를 기본으로 연료 잔량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의 연산을 실행한다. CPU는 또한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연료 게이지(40)의 제어를 실행한다. 연료 게이지(40)는 지침 장치와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연료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A/D 변환기는 전압 VA 및 VB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수단이다. ROM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RAM에는 CPU가 실행하는 처리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불휘발성 메모리(20)에는 전위차계(RS)의 출력에 포함된,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의 보정에 사용되는 보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불휘발성 메모리(20)로서 EEPROM을 사용할 수도 있다.
계기 ECU에 사용된 PCB는 페이스트 인쇄회로기판이다. 전자부품 R1~R5, C1, C2, D1, D2, 10, 20, 30 중의 어느 2개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실행하기 위하여 도전 페이스트로 된 점퍼선을 사용한다. 점퍼선의 저항치는 기판마다 상이하다. MC(30)에 입력된 전압 VA 및 VB는 검출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B)는 엔진이 동작하는 동안에 교류발전기에 의해서 충전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은 배터리(B)의 충전 상태, 즉, 배터리(B)의 축적된 에너지 레벨에 따라서 변동한다.
전원 전압의 변동으로 인하여, 전압 VB는 점퍼 저항치에 관련된 검출 오차 뿐만 아니라, 상기 변동에 관련된 검출 오차도 포함한다. 전위차계(RS)를 이용하여 연료량 디지털 데이터를 정확하게 연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2 종류의 검출 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계기 ECU는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제조한다. 상기 계기 ECU의 제조방법을 도 2A~2C,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점퍼선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인쇄회로기판(PCB)을 준비한다. 전자부품 R1~R5, C1, C2, D1, D2, 10, 20, 및 30을 상기 PCB상에 실장하여, 계기 ECU의 PCB 조립체를 완성한다.
이어서, 계기 ECU에는 조정용 배터리(BT)를 접속한다. 조정용 배터리(BT)는 테스터로서, 배터리(B)를 대신한다. 조정용 배터리(BT)는 계기 ECU를 제조하는 동안 테스터로서 이용된다. 이것은, 그 정(正)의 단자로부터, 배터리(B)의 정격 전압인, 소정의 정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계기 ECU에 조정용 저항기(RSMIN)를 접속한다. 조정용 저항기(RSMIN)는 기준 센서로서 이용되는 테스터로서, 검출 오차 보정용 전위차계(RS)를 대신한다. 상기 저항기(RSMIN)는, 전위차계(RS)의 가변 저항치 범위 중에서 최소 저항치를 갖는다. 따라서, RSMIN과 R1의 공통 접속 단자에는, 전위차계(RS)의 출력의 가변 범위의 최소 레벨의 미리 결정된 전압 VBMIN이 출력된다.
이어서, 검출 오차 보정용 MC(30)에 조작 스위치 SW를 접속한다. 작업자가 실행하는 스위치 SW의 조작에 따라서 데이터 보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MC(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MC(30)는, 조정용 저항기 전압(테스터 전압) VBMIN을 디지털 데이터 VDBMIN으로 변환하고(S100), 또한 전압 VAT를 디지털 데이터 VDAT로 변환한다(S110). 이어서,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비 HMIN을 연산한다.
HMIN = VDBMIN/VDAT (1)
데이터 비 HMIN은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비 HMIN으로부터 검출 오차를 제거하여 얻은 데이터 비 HKMIN을 ROM에 저장한다. 데이터 비 HKMIN은 기대치이다. MC(30)는, 데이터 비 HKMIN과 HMIN의 차 ΔH MIN, 즉, HKMIN-HMIN을 연산한다. 이 차 ΔHMIN은 저항기(RSMIN)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를 나타낸다.
이어서, 조정용 저항기(RSMIN)를 제거하고, 조정용 저항기(RSMAX)를 계기 ECU에 접속한다. 조정용 저항기(RSMAX)는 기준 센서로서 이용되는 테스터로서, 검출 오차 보정용 전위차계(RS)를 대신한다. 상기 저항기(RSMAX)는, 전위차계(RS)의 가변 저항치 범위 중에서 최대 저항치를 갖는다. 따라서, RSMAX과 R1의 공통 접속 단자에는, 전위차계(RS)의 출력의 가변 범위의 최대 레벨의 미리 결정된 전압 VBMAX이 출력된다.
이후, 스위치 SW를 조작하여 조정용 저항기(RSMAX)의 접속이 완료된 것을 MC(30)에 통지한다. MC(30)는, 조정용 저항기 전압(테스터 전압) VBMAX을 디지털 데이터 VDBMAX으로 변환하고(S100), 전압 VAT를 디지털 데이터 VDAT로 변환한다(S110). 이어서,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비 HMAX을 연산한다.
HMAX = VDBMAX/VDAT (2)
데이터 비 HMAX은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비 HMAX으로부터 검출 오차를 제거하여 얻은 데이터 비 HKMAX을 ROM에 저장한다. 데이터 비 HKMAX은 기대치이다. MC(30)는, 데이터 비 HKMAX과 HMAX의 차 ΔH MAX, 즉, HKMAX-HMAX을 연산한다. 이 차 ΔHMAX은 저항기(RSMAX)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를 나타낸다.
이어서, MC(30)는,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ΔHMAX와 ΔHMIN의 평균치 ΔHAVE를 연산한다(S120).
ΔHAVE = {ΔHMIN + ΔHMAX}/2
이후, MC(30)는 평균치 ΔHAVE를 보정 데이터로서 불휘발성 메모리(20)에 기록한다(S130).
이러한 공정을 완료한 후에, 지침,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스테핑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계기 ECU에 조립한다. 이러한 계기 조립체를 차량 제조 공정중에 차량에 설치한다. 이어서, 계기 ECU를 전위차계(RS) 및 배터리(B)에 접속한다.
시동 스위치가 도통되면, MC(30)는 ROM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단계는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실행된다. MC(30)는, 전압 VB를 디지털 데이터 VDB로 변환하고(S200), 전압 VA를 디지털 데이터 VDA로 변환한다(S210). 이어서,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비 H를 연산한다.
H = VDB/VDA
또한, MC(30)는 메모리(20)로부터 보정 데이터 ΔHAVE를 판독하여, 데이터 비 H를 보정 데이터 ΔHAVE로써 차감함으로써 데이터 비 SH(=H-ΔHAVE)를 연산한다. 데이터 비 H를 보정 데이터 ΔHAVE로써 차감함으로써,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가 제거된다. 이어서, MC(30)는 데이터 비 SH를 소정의 계수 k로써 곱셈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 SZ(=SH×k)를 연산한다(S220). 디지털 데이터 SZ는 연료 잔량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값을 포함한다.
데이터 비 H는 배터리(B)의 정의 단자 전압과 전위차계(RS)의 출력 전압과의 사이의 비이다. 즉, 데이터 비 H는 정의 단자 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항상 연료 잔량을 나타낸다. 디지털 데이터 SZ는, 데이터 비 H에 따라서 연산되므로, 정의 단 자 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연료 잔량을 정확하게 나타낸다. 이어서, 디지털 데이터 SZ는 연료 게이지(40)에 출력되어서 연료 잔량을 표시하고, 운전자는 연료 게이지(40)상에서 정확한 연료 잔량을 알 수 있다.
출력 VB로부터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와 전원 전압의 변동이 제거되므로, 센서 출력 VB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가 정확하게 연산된다. 따라서, 탱크내의 연료 잔량(검출 대상의 상태)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 SZ가 정확하게 연산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로서, 내장된 장치(검출 대상)의 온도, 압력 또는 습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계기 ECU는, 전원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위차계(RS)에 인가하는 정전압 회로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에, 계기 ECU는, 검출 기능, 디지털 변환 기능, 및 연산 기능을 포함한다. 검출 기능은 전위차계(RS)의 전압을 검출하여 연료 잔량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디지털 변환 기능은 검출 기능에 의해서 검출된 출력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전위차계(RS) 대신에 조정용 저항기(테스터)(RSMIN, RSMAX)를 접속한다. 검출 기능은 조정용 저항기(RSMIN, RSMAX)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고, 디지털 변환 기능은 상기 전압을 별개의 상이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연산 기능은 보정된 출력 전 압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서 연산한다. 보정된 출력 전압은, 전위차계(RS)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점퍼선의 검출 오차를 제거함으로써 연산된다. 보정된 출력 전압은 검출 오차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디지털 데이터가 정밀하게 연산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센서 출력에서 점퍼선에 의한 검출 오차 및 전원 전압의 변동이 제거되므로, 센서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정확하게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가 제공된다.

Claims (12)

  1.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점퍼선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는
    검출 대상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RS)의 출력(VB)을 검출하는 검출수단(R1, R2, R3)과,
    센서 출력(VB)을 디지털 데이터(VDB)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수단과,
    센서 출력(VB)에 포함된, 점퍼선에 기인한 검출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SZ)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수단(R1, R2, R3)은, 센서 출력(VB)의 디지털 데이터(VDB)로의 변환에 앞서서, 소정의 레벨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을 더 검출하고,
    상기 디지털 변환수단은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을 디지털 데이터(VDBMIN, VDBMAX)로 변환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점퍼선에 기인한 검출 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에 대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VDBMIN, VDBMAX)에 따라서 상기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R1, R2, R3)은, 상이한 레벨의 2개의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의 레벨은, 센서 출력(VB)의 가변 범위의 최소 레벨(VBMIN) 및 최대 레벨(VBMAX)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에 포함된 검출 오차의 평균치(ΔHAVE)를 연산하는 수단(S120)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연산수단이 상기 평균치(ΔHAVE)를 이용하여 센서 출력(VB)에 포함된 검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SH)에 따라서 표시치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SZ)를 연산하여 검출 대상의 상태에 대한 시각적(視覺的)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S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은, 검출 오차 보정을 위하여 센서(RS)를 대신하여 접속된 테스터(RSMIN, RSMAX)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대상은 차량의 구동 중에 사용되는 차량의 내장 장치(onboard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7.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점퍼선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1)는
    배터리(B)로부터 출력된 전원 전압(VA)에 의한 검출 대상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RS)의 출력을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R1, R2, R3)과,
    센서 출력(VB)과 전원 전압(VA)을 별개의 상이한 디지털 데이터(VDB, VDA)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수단과,
    센서 출력(VB)에 포함된, 점퍼선에 기인한 검출 오차와 전원 전압(VA)의 변동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SZ)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검출수단(R1, R2, R3)은, 센서 출력(VB)의 디지털 데이터(VDB)로의 변환에 앞서서, 소정의 레벨을 갖는 최소한 하나의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을 더 검출하고,
    제2검출수단(R4, R5)은, 전원 전압(VA)의 디지털 데이터(VDA)로의 변환에 앞서서, 최소한 하나의 기준 전원 전압(VAT)을 더 검출하고,
    상기 디지털 변환수단은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과 상기 기준 전원 전압(VAT)을 별개의 상이한 디지털 데이터(VDBMIN, VDBMAX, VDAT)로 변환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점퍼선에 기인한 검출 오차를 보정하고,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에 대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VDBMIN, VDBMAX) 및 상기 기준 전원 전압(VAT)에 대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VDAT)에 따라서 상기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수단(R1, R2, R3)은, 상이한 레벨의 2개의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을 검출하고,
    상기 기준 센서 출력의 레벨은, 센서 출력(VBMIN, VBMAX)의 가변 범위의 최소 레벨(VBMIN) 및 최대 레벨(VBMAX)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에 포함된 검출 오차의 평균치(ΔHAVE)를 연산하는 수단(S120)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평균치(ΔHAVE)를 이용하여 센서 출력(VB)에 포함된 검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보정된 센서 출력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SH)에 따라서 표시치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SZ)를 연산하여 검출 대상의 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S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센서 출력(VBMIN, VBMAX)과 상기 기준 전원 전압(VAT)은, 검출 오차 보정을 위하여 센서(RS)와 배터리(B)에 대신하여 접속된 테스터(RSMIN, RSMAX, BT)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대상은 차량의 구동 중에 사용되는 차량의 내장 장치(onboard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
KR1020040036739A 2003-06-10 2004-05-2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KR100736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5111A JP3855969B2 (ja) 2003-06-10 2003-06-10 車載電子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3-00165111 2003-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557A KR20040108557A (ko) 2004-12-24
KR100736499B1 true KR100736499B1 (ko) 2007-07-06

Family

ID=3350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39A KR100736499B1 (ko) 2003-06-10 2004-05-2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70119B2 (ko)
JP (1) JP3855969B2 (ko)
KR (1) KR100736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3771A1 (de) * 2005-03-22 2006-09-28 Siemens Ag Ansteuerschaltung für einen Tanksensor
KR100867215B1 (ko) 2007-03-29 2008-11-06 화남전자 주식회사 전원 출력전압 오차에 따른 센서 출력전압의 오차의 보정방법
JP4710891B2 (ja) * 2007-09-19 2011-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FR2924287B1 (fr) * 2007-11-22 2010-04-16 Schneider Electric Ind Sas Module d'entrees analogiques pour equipement d'automatisme
JP2011044920A (ja) * 2009-08-21 2011-03-03 Denso Corp Ad変換装置
CN103057419B (zh) * 2011-10-19 2015-06-17 吉林省启明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数字化汽车组合仪表的可关断输入电压自动调节控制装置
JP2013095320A (ja) * 2011-11-02 2013-05-20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計器
JP5783497B2 (ja) * 2012-01-16 2015-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レベル検出装置
CN105103071B (zh) * 2013-04-12 2017-11-0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基于分压器输出电压的比确定适配器的属性
JP6561792B2 (ja) * 2015-11-20 2019-08-21 日本精機株式会社 残燃料検出装置
JP6451692B2 (ja) * 2016-05-13 2019-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EP3555646A4 (en) * 2016-12-16 2021-01-13 ABB Schweiz AG COMPENSATION OF DIFFERENCES IN EAR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63A (ja) * 1994-07-19 1996-02-02 Nippondenso Co Ltd 抵抗値検出装置
JPH08130472A (ja) * 1994-11-01 1996-05-21 Nippondenso Co Ltd A/d変換装置
JP2000009530A (ja) 1998-06-23 2000-01-14 Denso Corp 信号処理装置
KR20000015023A (ko) * 1998-08-26 2000-03-15 김영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6893A (en) 1989-02-21 1995-11-14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nhanced EMI suppression
JPH09196889A (ja) * 1996-01-16 1997-07-31 Toyota Motor Corp 空燃比検出装置
US6211505B1 (en) * 1997-12-25 2001-04-03 N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sha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63A (ja) * 1994-07-19 1996-02-02 Nippondenso Co Ltd 抵抗値検出装置
JPH08130472A (ja) * 1994-11-01 1996-05-21 Nippondenso Co Ltd A/d変換装置
JP2000009530A (ja) 1998-06-23 2000-01-14 Denso Corp 信号処理装置
KR20000015023A (ko) * 1998-08-26 2000-03-15 김영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05861A (ja) 2005-01-06
US6970119B2 (en) 2005-11-29
KR20040108557A (ko) 2004-12-24
US20040254754A1 (en) 2004-12-16
JP3855969B2 (ja)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499B1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US6578416B1 (en) Fuel system
US7114391B2 (en) Liquid level detection apparatus
US8181516B2 (en) Measuring a liquid level in a tank with two measurement capacitors and two reference capacitors
US8513950B2 (en) Current sensor
US20120035824A1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for detection circuit and electric circuit, and detection system and electronic system which uses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US20070000319A1 (en) Liquid condition sensing apparatus
US4789946A (en) System for measuring the level of filling
US20070046419A1 (en) Temperature sensor control apparatus
US20090224768A1 (en) Shunt resistor with measurement circuit
JP6498920B2 (ja) 二次電池状態検出装置および二次電池状態検出方法
KR102303226B1 (ko)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 차량 배터리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차량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JP5112915B2 (ja) バッテリ状態推定装置及びバッテリ状態推定方法
US5309759A (en) Pedal calculator
JP4641181B2 (ja) バッテリ状態管理装置及びバッテリ状態管理方法
CN106595805A (zh) 一种车辆油箱油量测量方法
JP5094480B2 (ja) バッテリ状態推定装置及びバッテリ状態推定方法
EP1596167A1 (en) Method for adjusting a control signal of an electronic sensor
KR20140122625A (ko) 오일의 열화 감지 센서를 구비한 오일 딥 스틱
JPS5812111Y2 (ja) 浮子式可変抵抗型液面計の液面検出装置
JPH0439914B2 (ko)
KR100559629B1 (ko) 자동차용 연료량 감지 장치 및 방법
CN114167140B (zh) 直流系统绝缘对地电阻的检测方法和系统
JPH0350429Y2 (ko)
CN101535782B (zh) 用于测量料箱中液面水平的方法以及相关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