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475B1 -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는 방법 및 몰드 섹션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는 방법 및 몰드 섹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475B1
KR100736475B1 KR1020020048065A KR20020048065A KR100736475B1 KR 100736475 B1 KR100736475 B1 KR 100736475B1 KR 1020020048065 A KR1020020048065 A KR 1020020048065A KR 20020048065 A KR20020048065 A KR 20020048065A KR 100736475 B1 KR100736475 B1 KR 10073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frame
mold
bottom stamp
adjust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9864A (ko
Inventor
라인하르트 란트베어
Original Assignee
크뢰크너 데스마 슈마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뢰크너 데스마 슈마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뢰크너 데스마 슈마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1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29D35/001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6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moul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29C45/2675Mounting of exchangeable mould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나의 좌측 및 우측 공구 프레임으로부터 그리고 또 하나의 저면 스탬프로부터 되어 있으며, 2개의 부분으로 된 조절 프레임 내에서 그리고 또 저면 스탬프를 반송하는 조절판 상에 고정된 몰드 공구를 구비하는 구두 및/또는 구두창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기의 몰드 구간에서 몰딩 공구를 스탬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프레임 부품은 각각의 조절 프레임 내로 삽입되며, 여기서 공구 프레임 부품은 조절 프레임을 가지고 자동적으로 형상 체결 및/또는 압입 체결되며, 저면 스탬프는 조절판 상에 압입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는 방법 및 몰드 섹션{METHOD FOR CLAMPING THE MOULDING TOOLS IN A MOULD SECTION OF AN INJECTION MOULDING MACHINE, AND A MOULD SECTION}
도 1은 도입된 반쪽의 공구와 삽입된 압축기를 구비한 반쪽의 조절 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사시도로 도시된 도 1에 따른 장치의 도면이다.
도 3은 반쪽의 공구 프레임에 설치된 정지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다른 사시도로 도시된 도 3에 따른 장치의 도면이다.
도 5는 사시도로 도시된 반쪽의 조절 프레임의 도면이다.
도 6은 약간 다른 사시도로 도시된 도 5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좌측 및 우측 공구 프레임과 하나의 저면 스탬프로 형성되며, 2개의 부분으로 된 조절 프레임 내에서 그리고 저면 스탬프를 반송하고 있는 조절판 상에 고정되는 몰드 공구를 구비하는 구두 및/또는 구두창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몰드 섹션에 관한 것이다.
구두 및/또는 구두창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기는 일반적으로 라운드 테이블로 형성되며, 이러한 라운드 테이블의 주위에는 30개 이상의 몰드 섹션이 배치되며, 이는 차례 차례로 기계의 가소성화 및 사출 유닛으로 접근하여 이동되며, 이 유닛은 액상 내지 액화된 합성 수지를 개별적인 몰드 섹션 내에 형성된 몰드 공극으로 사출한다.
구두의 제조시에는 다수의 구두 모델 내지 구두 크기에 따라서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가 자주 교체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몰드 공구는 이의 개별적인 부품으로 별도로 몰드 섹션, 또는 조절 프레임 측면, 또는 조절판 상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고정되는데, 이는 하나의 단일 기계에 다수의 몰드 섹션이 있는 경우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공구 교체 내지 공구 클램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속할 수 있는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공구 프레임이 각각의 조절 프레임으로 삽입되며, 여기서 공구 프레임은 조절 프레임과 자동으로 형상 체결 및/또는 압입 체결되고, 저면 스탬프는 조절판 상에 압입 체결되어 고정되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해서 달성된다.
따라서, 몰드 공구의 조립시에는 공구가 완전히 필요없어질 수가 있는데, 왜냐하면 고정은 자동적인 걸림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인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따르면, 먼저 좌측 및 우측 공구 프레임과 저면 스탬프로 형성된 몰드 공구가 하나의 공구 패키지(tool package)로 일측면이 개방된 몰드 공극을 형성하면서 조립된 다음에 안내부를 거쳐서 폐쇄된 조절 프레임 내로 삽입되며, 여기서 공구 프레임은 조절 프레임과 자동으로 형상 체결 및/또는 압입 체결되고, 저면 스탬프는 조절판 상에 압입 체결되어 고정된다.
교체되어야 할 몰드 공구의 제거시에는 이러한 방법은 반대 순서로 행해진다.
이러한 방법의 이점은, 공구 교체를 위해서 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몰드 섹션 내지 조절 프레임의 상향 이동이 필요 없다는 점이다. 조절 프레임 내에서 몰드 공구의 이러한 자동 걸림은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몰드 공구 부품의 곤란한 수작업 조립을 대체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몰드 공극은 조절 프레임 내로 삽입 후에 일측이 개방된다. 이러한 개구부는 구두 생산 내지 구두창 생산의 경우에 소위 압축기에 의하거나(구두창 생산의 경우에) 또는 목부분을 가지고 덮혀진 구두골에 의해 폐쇄되며, 이에 의해 구두창은 직접 목부분에 사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압축기 지지판이 공구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해 짧게 위로 이동되는 것이 물론 필수적이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따르면, 압축기는 조절 프레임의 재결합의 경우에 조절 프레임에 설치된 클램핑 요소에 의해 자동으로 로킹된다.
구두창의 가공시에는 합성 수지에 의한 공극의 충진 후에 저면 스탬프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구두창을 사출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의 개폐력은 조절 프레임 시스템의 내부에서 수취된다.
이러한 방법에 적합한 몰드 섹션이 특허청구범위 제4항 내지 제11항에 기재되어 있다.
조절 프레임에 대한 몰드 공구의 결합 내지 고정은 걸림 요소에 의해 상관적으로, 즉 자동으로 일어난다.
이에 관하여, 특허청구범위 제6항에 의한 몰드 섹션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반쪽인 각각의 조절 프레임의 밀어 넣기 방향에서 후방의 접합면에는 중심 조정 및 지지 슬리브가 설치되며, 이 슬리브 속으로 반쪽인 각각의 공구 프레임의 후방의 접합면에 배치된 중심 조정핀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반쪽인 각각의 조절 프레임의 몰드 공구 밀어 넣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범위에는 반쪽인 각각의 공구 프레임에 형성되고 홈 횡단면에 대해 상보형인 저널을 위한 홈 안내부가 배치되며, 여기서 홈에도 저널에도 서로 상호작용하며 서로에 대해 상보적인 걸림 요소가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홈 안내부는 밀어 넣기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어 넣기 개구부 쪽으로 개방된 채널을 형성하며, 여기서 해당 저널은 하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공구 프레임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 기술상의 간단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허청구범위 제8항에 따르면, 조절 프레임 내에서의 원활한 안내와 양호한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서, 안내 홈의 횡단면이 T자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수직 T자 비임은 밀어 넣기 개구부를 가리킨다.
특허청구범위 제9항에 따르면, 몰드에 적합하고 힘에 적합한 결합을 위해서, 홈 입구 앞에 측면으로 지지 슬리브가 조절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 슬리브 내에는 저널 앞에 측면으로 배치된 탄성의 압력 피스(pressure piece)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반구 형상의 걸림은 구조상으로 고정 문제의 간단한 해소 방안이 된다.
특허청구범위 제10항에 따르면, 압력 피스의 예비 응력이 조절될 수 있게 형성된다.
특허청구범위 제11항에 따르면, 폐쇄된 조절 프레임 내로 몰드 공구 패키지의 공급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조절 프레임의 밀어 넣기 개구부 속으로 공구 패키지의 공급을 위해 안내 강판이 설치되며, 이 안내 강판 내에는 반쪽의 공구 프레임에 설치된 저널에 대한 그리고 저면 스탬프의 고정 버섯 형상부에 대한 요홈이 형성되며, 이 요홈은 홈 안내부와 그리고 조절 프레임 내에 있는 저면 스탬프의 고정 버섯 형상부에 대한 공극과 일직선 상에 정렬된다.
이때 안내 강판 상에 놓여 있는 공구 패키지는 로봇에 의해 밀어 넣기 개구부속으로 삽입되며, 이어서 압력 피스의 예비 응력의 극복에 의해 조절 프레임 내에서 공구의 고정 및 중심 조정이 이루어진다.
공구 패키지를 끄집어내기 위해서, 먼저 예비 응력이 다시 극복되어야 하며, 이어서 공구 패키지의 제거가 상응하게 간단히 이루어진다.
반쪽의 공구 프레임은 자동으로 반쪽의 조절 프레임과 체결되는 한편, 저면 스탬프의 고정 버섯 형상부는 공압 저면 스탬프 클램핑 시스템에 의해 지지된다. 공구 패키지의 공급 전에 클램핑 시스템은 이완되어야 한다(클램핑 행정 = 2.5 ㎜). 공구 패키지가 종단 위치에 도달하면(즉, 공구 프레임이 걸려 있으면), 클램핑 공구는 공압식으로 당겨지며, 그 결과 저면 스탬프는 조절판 상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 섹션의 구성에 의해 공구 교체는 훨씬 더욱 자동화된다.
완전히 조립된 몰드 공구 패키지는 로봇 시스템에 의해 공구 저장소로부터 끄집어낼 수 있으며, 안내 강판 상에 놓여지고 상응하는 조절 프레임 속으로 밀어 넣어지거나 또는 반대 순서로 다시 되돌아 놓일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신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조립된 상태에 있는 사출 성형기의 하나의 몰드 섹션의 주요 부품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몰드 섹션은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기되어 있다.
명확한 도시를 위해서, 단지 몰드 섹션(1)의 반쪽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에는 도면 부호 2로 표기된 몰드 공간의 하부 경계를 형성하는 저면 스탬프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반해서, 압축기 지지판(4)을 구비한 압축기(3)로 되어 있는 몰드 공간의 상부 경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몰드 공간(2)의 측면은 서로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 공구 프레임(5)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반쪽인 좌측 및 우측의 공구 프레임(5)과 도시되지 않은 저면 스탬프로 구성되는 공구 패키지는 하나의 조절 프레임(6) 내에 삽입되며,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면에서는 그 반쪽만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반쪽부는 서로에 대해 대칭으로 구성되며, 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반쪽인 각각의 조절 프레임(6)은, C자형으로 절단된 기초부(7)와, 이 기초부(7)에 탑재되어 있는 측벽(8)과, 이 측벽(8)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며 반쪽의 공구 프레임(5)의 후측벽에 대한 후방의 부착편으로서 역할을 하는 후벽(9)으로 구성된다. 이 후벽(9) 내에는 하나의 중심 조정 및 지지 슬리브(10)가 구비되며, 이 중심 조정 및 지지 슬리브 속으로 몰드 공구 패키지를 삽입하는 때에는 반쪽인 각각의 공구 프레임(5)의 후측벽에 있는 중심 조정 핀이 체결된다. 이로 인해 공구 프레임의 후방 접촉부가 중심 조정되고 압입 체결되어 수용된다.
전방을 향해 개방된 조절 프레임(6)은 측면으로 기초부(7)의 상부 가장자리의 범위에 측벽(8) 이외에 하나의 T자형 홈 안내부(11)를 가지며, 이러한 홈 안내부(11)의 T자형 횡단면은 밀어 넣기 개구부 쪽으로 개방된 채널을 형성하며, 여기서 수직 T자형 비임은 공구를 가리킨다. T자형 홈 안내부(11)로의 입구 앞에는 지지 슬리브(12)가 있으며, 이 지지 슬리브 내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축수된 반구 형상의 압력 피스(13)가 체결될 수 있으며, T자형 홈 안내부(11)와 상보형의 T자형 홈 스톤(stone)[저널(14)]은 일체로 설치된다.
밀어 넣기 운동의 경우에 최종 위치 제한은 조절 프레임의 후벽(9)의 접착부에서 반쪽의 공구 프레임(5)의 후측벽의 접착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구 패키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저면 스탬프가 설치되며, 공구 패키지의 밀어 넣기 후에 저면 스탬프를 위해 설치된 조절판 상에서 공압식으로 압입 고정되어 있는 곳에서 공구 패키지가 조절 프레임(6) 속으로 밀어 넣어져 들어가 걸리자마자, 조절 프레임(6)은 압축기(3)가 상부로부터 몰드 공구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올라가게 된다. 조절 프레임(6)이 재결합될 경우에는 조절 프레임(6)에 접합된 클램핑 요소(16)가 압축기 지지판(4)의 측면의 가장자리를 거쳐 지나가며, 그 결과 구두창의 제조시 저면 스탬프가 합성 수지의 압축을 위해 상부를 향해 이동되면 조절 프레임 시스템의 내부에서 개폐력이 흡수된다.
조절 프레임(6)으로부터 공구 패키지를 제거하기 위해 이러한 방법은 역으로 된 순서로 행해진다. 즉, 맨 먼저 저면 스탬프 클램핑 시스템이 해제되며, 압력 피스(13)의 힘이 극복되어야 하며, 그 결과 로봇 시스템에 의해 자동화되어 행해지는 것으로서 전체의 공구 패키지가 조절 프레임(6)으로부터 끄집어 내어질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몰드 공구 저장소 내로 운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기 위한 방법 및 몰드 섹션에 의하면, 하나의 방법을 가지고 공구 교체 내지 공구 클램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속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나의 좌측 및 우측 공구 프레임과 하나의 저면 스탬프로 형성되며, 2개의 부분으로 된 조절 프레임 내에 그리고 저면 스탬프를 반송하는 조절판 상에 고정되는 몰드 공구를 구비하는 구두 또는 구두창의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스탬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공구 프레임(5)은 각각의 조절 프레임 내로 삽입되며, 상기 공구 프레임(5)은 조절 프레임(6)과 자동으로 형상 체결 또는 압입 체결되고, 상기 저면 스탬프는 조절판 상에 압입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공구는 좌측 및 우측 공구 프레임(5)으로부터 그리고 저면 스탬프로부터 하나의 공구 패키지로 일측면이 개방된 몰드 공극(2)을 형성하면서 조립되고 나서 하나의 안내부를 거쳐서 폐쇄된 조절 프레임(6) 내로 삽입되며, 여기서 공구 프레임(5)은 조절 프레임(6)과 자동으로 형상 체결 또는 압입 체결되고, 저면 스탬프는 조절판 상에 압입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패키지의 삽입 후에 그리고 상기 공구 패키지의 걸림 후에 조절 프레임(6)의 반쪽부는 서로의 사이를 이동되고 나서 공구 프레임(5) 내로 압축기(3)가 차단되는 몰드 공극 경계로 들어보내지며, 상기 압축기는 조절 프레임(6)의 재결합의 경우에 조절 프레임에 설치된 클램핑 요소(16)에 의해 자동으로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하나의 좌측 및 우측 공구 프레임과 하나의 저면 스탬프로 형성되며, 2개의 부분으로 된 조절 프레임 내에서 그리고 저면 스탬프를 반송하는 조절판 상에 고정될 수 있는 몰드 공구를 구비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의 실시를 위한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 있어서,
    공구 프레임(5)은 걸림 요소들인 중심 조정 및 지지 슬리브(10), 지지 슬리브(12) 및 압력 피스(13)에 의해 자동으로 형상 체결 및 압입 체결되어 각각의 조절 프레임(6)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공구는 조립된 상태에서 폐쇄된 조절 프레임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거나 또는 조절판 위로 밀어 올려질 수 있고 걸림 요소들인 중심 조정 및 지지 슬리브(10), 지지 슬리브(12) 및 압력 피스(13)에 의해 자동으로 형상 체결 및 압입 체결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6. 제4항에 있어서,
    반쪽인 각각의 조절 프레임(6)의 밀어 넣기 방향에서 후벽(9)의 접합면에는 하나의 중심 조정 및 지지 슬리브(10)가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 속으로 반쪽인 각각의 공구 프레임(5)의 후방의 접합면에 배치된 중심 조정핀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고, 반쪽인 각각의 조절 프레임(6)의 몰드 공구 밀어 넣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범위에는 반쪽인 각각의 공구 프레임(5)에 형성되고 홈 횡단면에 대해 상보형인 저널(14)을 위한 홈 안내부(11)가 배치되며, 여기서 홈 안내부(11)에도 저널(14)에도 서로 상호 작용하며 서로에 대해 상보적인 걸림 요소들인 지지 슬리브(12) 및 압력 피스(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 안내부(11)는 밀어 넣기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밀어 넣기 개구부쪽으로 개방된 채널을 형성하며, 해당 저널(14)은 하부를 향해 돌출하면서 공구 프레임(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안내부(11)의 횡단면은 T자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수직 T자 비임은 밀어 넣기 개구부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프레임(6)에 홈 입구 앞에 측면으로 지지 슬리브(12)가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 내에는 저널(14) 앞에 측면으로 배치된 탄성의 압력 피스(13)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피스(13)의 예비 응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프레임(6)의 밀어 넣기 개구부 속으로 공급 패키지의 공급을 위해 안내 강판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 강판 내에는 공구 프레임(5)에 설치된 저널(14)에 대한 그리고 저면 스탬프의 고정 버섯 형상부에 대한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은 홈 안내부(11)와 그리고 조절 프레임(6) 내에 있는 저면 스탬프의 고정 버섯 형상부에 대한 공극과 일직선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섹션.
KR1020020048065A 2001-08-31 2002-08-14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는 방법 및 몰드 섹션 KR100736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2753A DE10142753B4 (de) 2001-08-31 2001-08-31 Verfahren zum Formwerkzeugspannen in einer Formstation einer Spritzgießmaschine, sowie Formstation
DE10142753.0-16 2001-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864A KR20030019864A (ko) 2003-03-07
KR100736475B1 true KR100736475B1 (ko) 2007-07-06

Family

ID=769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065A KR100736475B1 (ko) 2001-08-31 2002-08-14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는 방법 및 몰드 섹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287963B1 (ko)
KR (1) KR100736475B1 (ko)
CN (1) CN1181960C (ko)
AT (1) ATE427823T1 (ko)
DE (2) DE10142753B4 (ko)
DK (1) DK1287963T3 (ko)
ES (1) ES2324982T3 (ko)
MX (1) MXPA02008130A (ko)
PT (1) PT1287963E (ko)
TW (1) TW5754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6138A1 (de) * 2005-09-27 2007-03-29 Uhlsport Gmbh Sportschuh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1804686A (zh) * 2010-03-17 2010-08-18 陈达金 二次一体成型鞋及制鞋模具和制造方法
CN102294786B (zh) * 2011-08-06 2013-07-17 浙江任浪鞋材有限公司 鞋跟单钉天皮模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0748A (en) * 1965-07-27 1967-11-07 United Shoe Machinery Corp Quick change mold assemblies
EP0413149A2 (de) * 1989-08-12 1991-02-20 KlÀ¶ckner Desma GmbH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Formenteile von Spritzgiess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98602A (fr) * 1966-09-07 1967-10-20 Perfectionnement aux dispositifs de moulage utilisés pour la fabrication de chaussures et articles similaires
DE3516486A1 (de) * 1985-05-08 1986-11-13 Klöckner Ferromatik Desma GmbH, 7831 Malterdingen Vorrichtung zum direkten anformen von sohlen an schuhschaefte
FR2714866B1 (fr) * 1994-01-07 1996-03-29 Rivabel Ensemble de moulage pour chaussures.
FR2768029A1 (fr) * 1997-09-11 1999-03-12 Etabissements Jean Petit Et Ci Machine et procede de fabrication d'articles chaussants tels que pantoufles et articles chaussants ainsi realises
DE19910190C2 (de) * 1999-03-01 2002-11-14 Kloeckner Desma Schuhmaschinen Schnellspannein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0748A (en) * 1965-07-27 1967-11-07 United Shoe Machinery Corp Quick change mold assemblies
EP0413149A2 (de) * 1989-08-12 1991-02-20 KlÀ¶ckner Desma GmbH Schnellspannvorrichtung für Formenteile von Spritzgiess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7963A1 (de) 2003-03-05
ATE427823T1 (de) 2009-04-15
DE10142753A1 (de) 2003-04-10
CN1181960C (zh) 2004-12-29
ES2324982T3 (es) 2009-08-21
DE50213425D1 (de) 2009-05-20
DK1287963T3 (da) 2009-07-27
PT1287963E (pt) 2009-07-13
CN1406734A (zh) 2003-04-02
MXPA02008130A (es) 2005-09-08
EP1287963B1 (de) 2009-04-08
DE10142753B4 (de) 2004-04-22
TW575490B (en) 2004-02-11
KR20030019864A (ko) 200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48616B (zh) 用于工件一体式成型设备
KR100736475B1 (ko)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는 방법 및 몰드 섹션
JPH02153725A (ja) ジッパー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55288B1 (ko) 인서트 자동이송식 사출금형
US5112207A (en) Self-releasing mold
KR101808112B1 (ko) 케이블 일체형 그로메트 성형장치의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EP0923444B1 (en) Sealing ejector pin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US9539743B2 (en) Insertable aperture molding
KR100787192B1 (ko)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1378703B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처리장치
KR20100002981A (ko)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서트물고정방법
JP2671356B2 (ja) 成形装置
KR20080003601U (ko) 인서트 삽입용 지그
KR102494506B1 (ko) 사출 금형용 금형 블록 구조체
CN219600266U (zh) 一种注塑模具防断差结构
CN114043688B (zh) 一种倒装模具及其开模方法
CN218985580U (zh) 将灯具固定在壳体上的注塑模具
CN114734589B (zh) 挡块机构和注塑模具
JPS56161136A (en) Automatic inserting injection molding metal mold
CN214000443U (zh) 一种连接器的注塑模具
KR20000007337U (ko) 사출성형용 금형
KR20100003508U (ko) 금형조립체
KR20100000260U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