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508U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508U
KR20100003508U KR2020080012786U KR20080012786U KR20100003508U KR 20100003508 U KR20100003508 U KR 20100003508U KR 2020080012786 U KR2020080012786 U KR 2020080012786U KR 20080012786 U KR20080012786 U KR 20080012786U KR 20100003508 U KR20100003508 U KR 201000035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od
washer
product
mol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형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2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508U/ko
Publication of KR20100003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58Under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금형조립체가 장착되는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20)에는 제2형판(28)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측과 가동측의 상대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밀판(22)에는 경사코어(3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코어(30)는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한다. 상기 경사코어(30)는 그 일단이 상기 밀판(22)에 결합되는 로드부(31)와, 상기 로드부(31)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품(m)의 언더컷부(m')를 형성하는 코어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31)와 마주보는 상기 코어부(32)의 일면에는 삽입홈(3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5)에는 와셔(W)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와셔(W)는 상기 경사코어(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코어(30)의 높이를 조절할 때 경사코어(30)를 교체할 필요 없이 경사코어(30)를 구성하는 로드부(31)와 코어부(32)를 분리하여 와셔(W)만 체결하면 되므로 금형조립체의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금형조립체, 경사코어, 로드부, 코어부, 와셔

Description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본 고안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언더컷 부분을 형성하는 경사코어가 구비되는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조립체는 고정측과 상기 고정측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가동측을 구비하는 성형기에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금형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성형기의 고정측에 구비되는 제1형판(미도시)과 가동측에 구비되는 제2형판(1)에 각각 제1 및 제2메인코어(미도시, 2)가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 및 제2메인코어(2)는 금형이 닫혀 있을 때, 제품(m)과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티(4)로 용융된 수지가 유입된 후 응고되면 제품(m)의 성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조립체에는 경사코어(5)가 금형이 열리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경사코어(5)는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m')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품(m)을 밀어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경사코어(5)가 경사지게 이동하여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m')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제 품(m)을 밀어 취출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코어(5)는 크게 로드부(6)와 제2메인코어(2)에 형성된 코어포켓(2')에 설치되는 코어부(8)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6)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드부(6)의 일단은 연결핀(P)에 의해 상기 코어부(8)와 연결되고, 타측은 가동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코어부(8)는 제품(m)의 언더컷부(m')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언더컷부(m')와 마주보는 일측면에는 언더컷형성돌기(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언더컷형성돌기(8')의 외면이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m')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품(m)의 생산 중에 제품(m)의 개량 및 품질 개선을 위해 제품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거나 형상이 다른 제품(m)을 생산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제1메인코어 및 제2메인코어(2)와 경사코어(5) 중 변경이 필요한 부분을 교체해 주어야 한다.
특히 상기 경사코어(5)의 높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상기 경사코어(5)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로드부(6)와 코어부(8)는 상기 연결핀(P)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경사코어(5) 전체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결구(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코어부(8) 및 로드부(6)를 교체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로드부(6) 및 코어부(8) 자체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사코어를 교체할 필요없이 경사코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금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고정측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가동측에 구비되어 제품의 형상 일부를 구성하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의 상대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을 밀어 취출하는 밀핀이 설치되는 밀판; 그리고 상기 밀판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경사코어는 그 일단이 상기 밀판에 결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품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코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와 마주보는 상기 코어부의 일면에는 삽입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코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와셔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코어부의 삽입홈은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의 상대 이동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부의 선단 일부는 상기 코어부의 삽입홈에 삽입된다.
상기 와셔는 상기 코어부 및 상기 로드부와 함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와셔에는 고정핀이 설치되는 핀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와셔의 핀공과 마주보는 상기 코어부 및 로드부에는 각각 고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양단이 상기 코어부 및 로드부의 고정홈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경사코어는 로드부와 제품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코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의 일단과 마주보는 코어부의 일면에는 삽입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와셔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코어의 높이를 조절할 때 경사코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경사코어의 로드부와 코어부를 분리하여 상기 와셔만 체결하면 되므로 금형조립체의 유지 및 보수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경사코어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성형기의 고정측에는 고정측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판은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측판의 일면에는 제1형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은 상기 고정측판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로 고정된다.
상기 제1형판에는 제1메인코어(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는 아 래에서 설명될 캐비티(38)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품(m)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는 상기 제1형판과 별개물로 형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1형판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측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가동측에는 가동측판(20)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20)은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동측판(20)의 일면에는 한 쌍의 스페이서블럭(21)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럭(21)의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밀판(22)이 이동하는 이동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측판(20)에서 상기 이동공간(21')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밀판(22)이 설치된다. 상기 밀판(22)은 상기 이동공간(21')에서 이동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밀핀(미도시) 및 경사코어(3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판(22)은 상기 성형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과는 별개의 구동원에 의해 상기 이동공간(21')에서 이동된다.
상기 밀판(22)은 제1밀판(23)과 상기 제1밀판(23)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밀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밀판(23)에는 관통공(2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블럭(26)에 연결된 경사코어(3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23')의 내부에는 지지블럭(26)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블럭(26)은 상기 경사코어(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블럭(26)은 도 2를 기준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럭(26)의 내부에는 슬라이드채널(26')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채널(26')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채널(26')은 상기 가동측판(20)과 상기 고정측판이 상대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채널(26')에는 경사코어(30)와 연결된 슬라이드블럭(27)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럭(27)은 경사코어(30)와 연결되어 경사코어(30)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채널(26')을 따라 이동한다. 즉, 상기 밀판(22)의 이동시 경사코어(30)가 상기 밀판(22)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블럭(27)은 상기 슬라이드채널(26')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블럭(21)의 일단에는 제2형판(28)이 설치된다. 상기 제2형판(28)에는 제2메인코어(29)가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29)는 상기 제품(m)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메인코어와 함께 캐비티(38)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메인코어(29)와 상기 제2형판(28)이 별개물로 형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제2메인코어(29)가 상기 제2형판(28)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메인코어(29)에는 코어포켓(29')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코어포켓(29')은 아래에서 설명될 경사코어(30)의 코어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포켓(29')에 경사코어(30)가 설치된다.
상기 코어포켓(29')의 일측에는 로드공(29a)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공(29a)은 아래에서 설명될 경사코어(30)의 로드부(31)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부 분으로 상기 로드공(29a)은 경사코어(30)가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공(29a)은 상기 가동측판(20)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이동공간(21')과 연통된다.
상기 코어포켓(29')에는 경사코어(30)가 설치된다. 상기 경사코어(30)는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P')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품(m)을 밀어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경사코어(30)가 경사지게 이동하여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m')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제품(m)을 밀어 취출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코어(30)는 크게 로드부(31)와 상기 로드부(31)에 결합되는 코어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3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드부(31)는 그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블럭(27)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로드부(31)의 선단 일부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에서 설명될 코어부(32)의 삽입홈(35)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로드부(31) 및 코어부(32)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경사코어(30)가 상기 제품(m)을 밀어 취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어부(32)가 상기 로드부(31)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31)의 타단에는 고정홈(31a)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1a)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핀(P)이 압입되는 부분으로, 고정핀(31a)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와셔(W)가 상기 로드부(31)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홈(32')이 형성된 상기 로드부(31)의 타단에는 코어부(32)가 결합 된다. 상기 코어부(32)는 제품(m)의 언더컷부(m')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체결구(B)에 의해 상기 로드부(31)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m')와 마주보는 상기 코어부(32)의 일측면에는 언더컷형성돌기(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언더컷형성돌기(33)의 외면이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m')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코어부(32)에는 체결공(34)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4)은 체결구(B)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로드부(31)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구(B)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31)에 죄어져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공(34)에 상기 체결구(B)가 삽입되어 상기 로드부(3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코어부(32)가 상기 로드부(31)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B)에는 공구(미도시)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29)와 접하는 상기 코어부(32)의 바닥면에는 삽입홈(3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5)은 아래에서 설명될 와셔(W)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5)에는 와셔(W)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홈(35)의 내면에는 고정홈(35a)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5a)은 상기 로드부(31)의 고정홈(3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35a)은 고정핀(P)이 압입되는 부분으로, 고정핀(P)에 의해 와셔(W)가 상기 코어부(32)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삽입홈(35)에는 와셔(W)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셔(W)의 직경은 상기 삽입홈(35)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와셔(W)는 상기 경사코어(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와셔(W)의 두께만큼 상기 로드부(31)가 상기 코어부(32)를 지지하는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셔(W)는 삽입홈(35)에 한 개만 구비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와셔(W)는 삽입홈(35)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W)의 중앙에는 체결공(W')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W')은 상기 체결구(B)가 통과하여 상기 코어부(32)의 삽입홈(35)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와셔(W)가 상기 코어부(32)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와셔(W)에는 핀공(Wa)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핀공(Wa)은 상기 로드부(31) 및 코어부(32)의 고정홈(31a,35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핀공(Wa)은 고정핀(P)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핀(P)은 상기 와셔(W)의 핀공(Wa)을 통과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각각 코어부(32)와 로드부(31)에 체결되도록 상기 로드부(31) 및 코어부(32)의 고정홈(31a, 35a)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금형조립체가 닫힌 상태에는 상기 제1메인코어 및 제2메인코어(29)와 상기 경사코어(30)에 의해 캐비티(38)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티(38)는 상기 제품(m)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 상기 캐비티(38)에 용융된 수지가 유입된 후 응고되면 제품(m)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용융된 수지를 상기 캐비티(38)로 유입시킨다. 상기 캐비티(38)로 유입 된 수지가 응고되면 제품(m)의 성형이 완료된다. 상기 제품(m)의 성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성형기를 가동시켜 가동측을 고정측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상기 가동측이 이동되면, 상기 제품(m)은 상기 고정측의 제1메인코어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품(m)이 상기 제1메인코어에서 분리되면, 밀판(22)이 이동하여 경사코어(30) 및 밀핀을 이동시킨다. 상기 경사코어(30)는 로드공(29a)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드공(29a)을 따라 경사지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사코어(30)가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코어(30)의 코어부(32)의 언더컷형성돌기(33)가 상기 제품(m)의 언더컷부(m')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상기 제품(m)을 밀어 상기 제품(m)을 상기 제2메인코어(29)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품(m)이 제2메인코어(29)에서 분리되어 다음의 제품을 제작할 준비를 마치게 된다. 그리고는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반복하면서 제품(m)을 계속적으로 생산한다.
한편, 상기 금형조립체에서 상기 경사코어(30)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상기 경사코어(30)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경사코어(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경사코어(30)에 체결된 상기 체결구(B)의 공구삽입홈에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구(B)를 상기 경사코어(3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경사코어(30)의 코어부(32)에 형성된 삽입홈(35)에 와셔(W)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와셔(W)의 핀공(Wa)을 통과한 상기 고정핀(P)의 양단이 각각 상기 코어부(32) 및 로드부(31)의 고정홈(31a,35a)에 압입되므로, 상 기 와셔(W)는 상기 코어부(32) 및 로드부(31)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경사코어(30)의 높이가 상기 와셔(W)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높아지게 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상기 경사코어(30)를 교체할 필요 없이 상기 와셔(W)만을 이용하여 상기 경사코어(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금형조립체의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경사코어(30)가 제2메인코어(29)에 설치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경사코어(30)는 제2메인코어(29)가 아닌 제2형판(28)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경사코어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가동측판 21: 스페이서블럭
21': 이동공간 22: 밀판
23: 제1밀판 23': 관통공
24: 제2밀판 26: 지지블럭
26': 슬라이드채널 27: 슬라이드블럭
28: 제2형판 29: 제2메인코어
29': 코어포켓 29a; 로드공
30: 경사코어 31: 로드부
31a: 고정홈 32: 코어부
33: 언더컷형성돌기 34: 체결공
35: 삽입홈 35a: 고정홈
38: 캐비티 W: 와셔
W': 체결공 Wa: 핀공
m: 제품 m': 언더컷부
B: 체결구 P: 고정핀

Claims (5)

  1. 고정측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가동측에 구비되어 제품의 형상 일부를 구성하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의 상대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을 밀어 취출하는 밀핀이 설치되는 밀판; 그리고
    상기 밀판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형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경사코어는 그 일단이 상기 밀판에 결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품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코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와 마주보는 상기 코어부의 일면에는 삽입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코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와셔가 분리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삽입홈은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의 상대 이동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의 선단 일부는 상기 코어부의 삽입홈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코어부 및 상기 로드부와 함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에는 고정핀이 설치되는 핀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와셔의 핀공과 마주보는 상기 코어부 및 로드부에는 각각 고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양단이 상기 코어부 및 로드부의 고정홈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2020080012786U 2008-09-23 2008-09-23 금형조립체 KR201000035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86U KR20100003508U (ko) 2008-09-23 2008-09-23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786U KR20100003508U (ko) 2008-09-23 2008-09-23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08U true KR20100003508U (ko) 2010-04-01

Family

ID=4929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786U KR20100003508U (ko) 2008-09-23 2008-09-23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50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486B1 (ko) * 2016-03-04 2016-08-05 삼보오토 주식회사 변형밀핀이 구비된 금형
AT518285A2 (de) * 2015-11-27 2017-09-15 David Erz Führungsvorrichtung für Gießwerkzeu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8285A2 (de) * 2015-11-27 2017-09-15 David Erz Führungsvorrichtung für Gießwerkzeuge
DE102016107502B4 (de) * 2015-11-27 2018-07-05 David Erz Führungsvorrichtung für Gießwerkzeug
AT518285A3 (de) * 2015-11-27 2018-08-15 David Erz Führungsvorrichtung für Gießwerkzeuge
AT518285B1 (de) * 2015-11-27 2018-08-15 David Erz Führungsvorrichtung für Gießwerkzeuge
KR101646486B1 (ko) * 2016-03-04 2016-08-05 삼보오토 주식회사 변형밀핀이 구비된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7911B (zh) 由两个构件构成的系统以及用于制造具有凹部的构件的方法
KR200451367Y1 (ko) 파이프형 언더컷 처리 장치
KR20100003508U (ko) 금형조립체
KR100933545B1 (ko) 금형조립체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1179388B1 (ko) 금형조립체
KR101203985B1 (ko) 금형장치
KR20090084269A (ko) 금형조립체 및 형상코어의 교체방법
KR20100070889A (ko) 경사코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금형조립체
JP4247761B1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200451368Y1 (ko) 슬라이드 블록을 이용한 성형품 내/외측 언더컷 처리 장치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100864251B1 (ko) 금형조립체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KR100874977B1 (ko) 금형조립체
KR100852788B1 (ko) 금형조립체의 웰드라인 방지구조
KR20090009961U (ko) 금형조립체의 스프루장치
KR100582818B1 (ko) 이중 각도의 언더컷 빼기용 슬라이드코어 구조
KR20200007348A (ko) 2 캐비티 주조기용 4 슬라이드 금형
KR200444215Y1 (ko) 금형조립체
KR200440522Y1 (ko) 금형조립체
KR100838772B1 (ko) 금형조립체
KR100804280B1 (ko) 형상코어 조립체
KR200418299Y1 (ko)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
KR20100000260U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