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260U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260U
KR20100000260U KR2020080008730U KR20080008730U KR20100000260U KR 20100000260 U KR20100000260 U KR 20100000260U KR 2020080008730 U KR2020080008730 U KR 2020080008730U KR 20080008730 U KR20080008730 U KR 20080008730U KR 20100000260 U KR20100000260 U KR 201000002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late
product
movable
movabl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8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260U/ko
Publication of KR201000002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2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58Under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는 고정측에 설치되고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메인코어(24)가 형성되는 제 1형판(22)과, 상기 고정측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가동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메인코어(24)와 협력하여 제품(70)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 2메인코어(52)가 형성되는 제 2형판(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70)을 밀어 취출하는 밀핀이 설치되는 밀판(34)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경사코어(60)는 상기 제품(70)의 언더컷(72)을 성형한다. 상기 경사코어(60)에는 상기 경사코어(60)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68)가 상기 제 2형판(50)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코어(60)가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경사코어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성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언더컷의 두께가 일정하게 성형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igure P2020080008730
금형, 성형, 경사코어

Description

금형조립체{A mold assembly}
본 고안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언더컷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경사코어가 구비되는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금형조립체는 성형기에 장착되어 원하는 제품을 제작한다. 상기 금형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성형기의 고정측에 구비되는 상형과 가동측에 구비되는 하형에 각각 구비된 메인코어가 협력하여 제품을 제작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요부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금형조립체에는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측판의 제 1형판에는 제 1메인코어(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메인코어(2)는 제품(10)의 형상을 성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메인코어(4)와 협력하여 상기 제품(10)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측판의 제 2형판에는 제 2메인코어(4)가 구비된다. 상기 제 2메인코어(4)는 상기 제 1메인코어(2)와 협력하여 제품(10)의 형상을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측에는 경사코어(6)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코어(6)는 상기 제품의 언더컷(12)을 성형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경사코어(6)에는 상기 언더컷(10)에 대응되는 성형부(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코어(6)는 밀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제품(10)을 취출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언더컷(12)은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행면(12a)과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한 수직면(12b)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언더컷(12)은 상기 경사코어(6)의 성형부(8)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언더컷(12)의 두께는 상기 경사코어(6)의 설치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경사코어(6)의 후단에 연결되는 조임볼트를 작업자가 조정함에 있어서, 과도하게 조이거나 덜 조일 경우에 상기 경사코어(6)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경사코어(6)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면(12b)의 경우가 더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에 형성되는 언더컷의 두께를 일정하게 성형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금형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고정측에 설치되고,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메인코어가 있는 제 1형판과; 상기 고정측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가동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 2메인코어가 있는 제 2형판과; 상기 가동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을 밀어 취출하는 밀핀이 설치되는 밀판과; 상기 밀판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언더컷을 성형하는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코어에는 상기 경사코어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가 상기 제 2형판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코어가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부에는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평행면과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직교한 수직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코어의 선단에는 상기 제품의 언더컷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성형부 가 구비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성형부와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코어는, 상기 밀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블록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 2형판에 경사지게 형성된 로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품의 언더컷의 성형을 위한 코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판과 가동측에는 상기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이 연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경사코어의 조립시에 경사코어가 체결구에 의해 슬라이드블록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경사코어의 초기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부가 구비된다. 설정부는 경사코어가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 및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한다. 따라서, 경사코어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성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언더컷의 두께가 일정하게 성형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품이 취출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성형기의 고정측에는 고정측판(2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측판(20)은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측판에는 제 1형판(22)이 구비된다. 상기 제 1형판(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2형판(50)과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제품(70)을 형성하고 취출하게 된다.
상기 제 1형판(20)의 하면에는 제 1메인코어(24)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메인코어(24)는 제품(7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메인코어(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메인코어(52)와 협력하여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로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메인코어(24)가 상기 제 1형판(22)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1메인코어(24)가 상기 제 1형판(22)과 별개물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제 1형판(22)에는 주입구(26)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26)는 상기 제 1메인코어(24)와 제 2메인코어(52)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통로이다.
한편, 성형기의 가동측에는 가동측판(30)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30)의 일측에는 공구삽입공(31)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삽입공(31)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40)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공구를 삽입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동측판(30)에는 스페이서블록(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공간(32)에는 밀판(34)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34)은 제 1밀판(34a)과 제 2밀판(34b)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밀판(34)은 아래에서 설명될 경사코어(60) 및 밀핀(도시되지 않음)을 상기 고정측을 향해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판(34)은 상기 성형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과는 별개의 구동원에 의해 상기 이동공간(32)에서 이동된다.
상기 제 2밀판(34b)의 일측에는 공구삽입공(35)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삽입공(35)은 체결구(40)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공구를 삽입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공구삽입공(31)과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 1밀판(34a)에는 슬라이드채널(36)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채널(36)의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코어(6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채널(36)에는 슬라이드블록(38)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38)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40)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40)는 아래에서 설명될 경사코어(60)의 로드부(62)를 상기 슬라이드블록(38)에 체결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스페이서블록의 일단에는 받침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는 제 2형판(50)이 설치된다. 상기 제 2형판(50)의 상면에는 제 2메인코어(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메인코어(52)는 제품(70)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메인코어(24)와 함께 캐비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메인코어(52)는 상기 제 2형판(50)에 일체로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2메인코어(52)가 상기 제 2형판(50)과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블록(38)에는 경사코어(60)가 체결구(4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경사코어(60)는 제품(70)의 언더컷(72)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 상기 제 2형판(5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사코어(60)는 크게 로드부(62)와 상기 로드부(62)의 선단에 결합되는 코어부(66)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6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대략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드부(62)는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블록(38)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드부(62)는 상기 제 2형판(50)의 일측에 형성된 로드공(63)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로드공(63)은 상기 로드부(62)가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부(62)의 선단에는 볼트(64)가 구비되고, 상기 볼트(64)에 의해 코어부(66)가 상기 로드부(62)에 결합된다. 상기 코어부(66)는 제품(70)의 언더컷(72)을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어부(66)의 선단에는 제품(70)의 성형부(67)가 형성된다. 상기 성형부(67)는 제품(70)의 언더컷(7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언더컷(72)을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성형부(67)는 상기 코어부(66)의 선단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언더컷(72)에 삽입된다.
상기 코어부(66)에는 설정부(68)가 형성된다. 상기 설정부(68)는 제품(70)을 만들기 위해 용융 수지를 주입하기 전에 상기 경사코어(60)의 초기위치를 설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경사코어(60)는 상기 체결구(40)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8)에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구(40)의 조임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의 조임정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경사코어(60)의 코어부(66)의 위치가 약간 변경될 수 있고, 이는 언더컷(72)의 두께가 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 다. 따라서, 상기 설정부(68)는 상기 경사코어(60)의 초기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설정부(68)는 상기 제 2형판(50)에 대응되게 형성된 부분에 걸리게 된다. 상기 설정부(68)는 상기 성형부(67)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종단면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상기 설정부(68)에는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평행면(68a)과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직교한 수직면(68b)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평행면(68a)과 수직면(68b)는 상기 경사코어(60)의 초기위치를 설정할 때,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 및 이에 직교한 방향으로 경사코어(60)가 이동되는 규제하고 초기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판(34b)에는 리턴핀(75)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핀(75)은 상기 밀판(34)을 초기위치, 즉 상기 제 2형판(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턴핀(75)은 그 일단은 상기 밀판(34b)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2형판(5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형판(22)을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리턴핀(75)은 상기 밀판(34b)에 구비된 리턴스프링(76)의 탄성력에 의해 밀판(34)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스프링(76)은 상기 리턴핀(75)과 별도로 설치되었으나, 상기 리턴핀(75)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금형조립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경사코어(60)가 노후되어 유지보수 또는 교 체가 필요할 경우에 공구삽입공(31,35)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체결구(40)의 체결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코어(60)를 유지보수하거나 교체한 후에 다시 로드공(63)을 통해 삽입하고 이를 체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작업자가 공구삽입공(31,35)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고 상기 경사코어(60)를 체결구(40)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코어(60)가 조여질수록 도 2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코어(60)가 하방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설정부(68)가 제 2형판(50)의 일측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설정부(68)의 평행면(68a)과 수직면(68b)은 각각 경사코어(60)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코어(60)가 결합되었을 때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설정부(68)가 제 2형판(50)에 걸릴때까지 상기 체결구(40)를 조여주면 된다.
다음으로, 먼저 용융된 수지가 제 1,2메인코어(24,52)가 형성하는 캐비티로 유입된다. 상기 캐비티로 유입된 수지가 응고되면 제품(70) 및 언더컷(72)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언더컷(7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부(68)에 의해 코어부(66)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언더컷(72)의 두께가 변화되지 않고 설계조건대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품(70)의 성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성형기를 가동시켜 가동측을 고정측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동측이 이동되면, 상기 제품(70)은 상기 제 2메인코어(52)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품(70)이 상기 제 1메인코어(52)에서 분리되면 밀판(34)이 이동하여 상기 경사코어(60) 및 밀핀(도시되지 않음)을 이동시킨다. 상기 경사코어(60)는 경사지게 형성된 로드공(63)을 따라 이동되므로 경사코어(60)의 성형부(67)가 제품(70)의 언더컷(7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밀판(34)은 상기 리턴스프링(76)의 탄성력에 의해 리턴핀(75)을 따라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요부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품이 취출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고정측판 22 : 제 1형판
24 : 제 1메인코어 26 : 주입구
30 : 가동측판 31 : 공구삽입공
32 : 이동공간 34 : 밀판
35 : 공구삽입공 36 : 슬라이드채널
38 : 슬라이드블록 40 : 체결구
50 : 제 2형판 52 : 제 2메인코어
60 : 경사코어 62 : 로드부
63 : 로드공 64 : 볼트
66 : 코어부 67 : 성형부
68 : 설정부 68a : 평행면
68b : 수직면 70 : 제품
72 : 언더컷 75 : 리턴핀
76 : 리턴스프링

Claims (5)

  1. 고정측에 설치되고,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메인코어가 있는 제 1형판과;
    상기 고정측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가동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을 만드는 제 2메인코어가 있는 제 2형판과;
    상기 가동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을 밀어 취출하는 밀핀이 설치되는 밀판과;
    상기 밀판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언더컷을 성형하는 경사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사코어에는 상기 경사코어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가 상기 제 2형판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코어가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 및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에는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평행면과 상기 가동측의 이동방향에 직교한 수직면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코어의 선단에는 상기 제품의 언더컷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정부는 상기 성형부와 단차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코어는,
    상기 밀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블록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 2형판에 경사지게 형성된 로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품의 언더컷의 성형을 위한 코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과 가동측에는 상기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이 연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2020080008730U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KR201000002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730U KR20100000260U (ko)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730U KR20100000260U (ko)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260U true KR20100000260U (ko) 2010-01-07

Family

ID=4419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730U KR20100000260U (ko) 2008-06-30 2008-06-30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26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430B2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4001476A (ja) スライドコアユニット
KR200451367Y1 (ko) 파이프형 언더컷 처리 장치
KR100933545B1 (ko) 금형조립체
KR20100000260U (ko) 금형조립체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20100070889A (ko) 경사코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금형조립체
KR20100003508U (ko) 금형조립체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KR20070048043A (ko) 금형조립체
CN204997946U (zh) 一种具有侧抽芯的注塑模具
KR101370848B1 (ko) 파스너의 제조방법
KR100787192B1 (ko) 인서트 사출용 금형조립체
KR100736475B1 (ko) 사출 성형기의 몰드 섹션에서 몰드 공구를 클램핑하는 방법 및 몰드 섹션
KR100874977B1 (ko) 금형조립체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US20200171726A1 (en) Injection molding die
KR20090073829A (ko) 금형조립체
KR20100000255U (ko) 금형조립체의 인서트물고정장치
KR100874972B1 (ko) 금형조립체
KR200421063Y1 (ko) 경사면 언더컷 처리 구조
CN216100199U (zh) 一种注塑模具
JP2006056115A (ja) ランナーロックピン用固定具
KR20100012384A (ko) 금형조립체
KR200442921Y1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