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972B1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972B1
KR100874972B1 KR1020070078767A KR20070078767A KR100874972B1 KR 100874972 B1 KR100874972 B1 KR 100874972B1 KR 1020070078767 A KR1020070078767 A KR 1020070078767A KR 20070078767 A KR20070078767 A KR 20070078767A KR 100874972 B1 KR100874972 B1 KR 10087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c
mill
pin
mol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10)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20)과, 상기 가동측판(20)과 이에 구비된 제2원판(40) 사이에 위치하여 그 사이에 이동공간(S)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22)과, 상기 이동공간(S)에 위치하여 상기 제2원판(4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고정측판(10)에 구비된 제1원판(12) 방향으로 직교하게 밀핀(50)이 구비되는 밀판(25)과, 일단은 상기 제2원판(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밀판(25)의 일측에 걸어지는 분리방지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방지구(30)에 의해 밀판(25)이 제2원판(40)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리턴핀(60)에 구비된 리턴스프링(7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밀핀(5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금형조립체, 리턴핀, 밀판, 분리방지구

Description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을 통해 완성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밀핀이 구비되는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조립체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에 용융된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응고시킴으로써,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금형조립체는 고정측과 가동측으로 나누어지고, 고정측과 가동측에는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형상코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형상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 내부에 주입된 수지가 응고되면 둘 사이가 멀어지면서 제품이 취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품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밀핀이 사용된다. 상기 밀핀은 상기 가동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이 서로 멀어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제품을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품은 취출되고, 상기 밀핀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밀핀은 상기 고정측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밀판에 그 일단이 고정 되어 상기 밀판과 함께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을 밀어내고 난 후에는, 상기 고정측에 구비된 리턴핀과 이를 감싸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밀판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밀핀 역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밀핀은 상기 금형조립체 내에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유지보수를 위해 이들 밀핀을 금형조립체로부터 분리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리턴핀을 감싸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이러한 분리작업은 매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밀판을 항상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 상태이므로, 상기 가동측의 고정판을 분리하는 순간 상기 밀판 역시 탄성력에 의해 튀어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금형조립체가 손상되거나 작업자가 다칠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을 분리하기에 앞서 상기 밀판을 임시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매우 크므로 이러한 작업 역시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조립체를 구성하는 가동측의 고정판을 분리하여도 밀판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에 구비되고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1원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원판과 상대이동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원판과, 상기 가동측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위치하여 그 사이에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과, 상기 승간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제2원판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제1원판 방향으로 직교하게 밀핀이 구비되는 밀판과, 일단은 상기 제2원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밀판의 일측에 걸어지는 분리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방지구는 바아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단차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밀판의 일측에 걸어지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원판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방지구의 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구는 상기 제2원판에 나사체결된다.
상기 밀판에는 고정측판 방향으로 리턴핀이 직교하게 구비되어 그 선단이 상기 제1원판에 의해 눌려 상기 가동측판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판을 원위치시킨다.
상기 밀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는 상기 리턴핀의 외주면을 감싸고,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밀판과 제2원판에 연결되어 상기 밀판에 상기 가동측판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은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는 제1밀판 및 제2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핀 및 리턴핀은 상기 제2원판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구비되는 제1밀핀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밀판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1 및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둘 사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구의 일단에 단차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헤드부가 상기 단차면에 걸어진다.
상기 분리방지구의 헤드부는 그 횡단면의 직경이 상기 분리방지구의 몸체부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원판에 고정되는 행정제어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밀판의 이동범위가 상기 행정제어부재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측에 구비되는 제2원판과 밀판 사이가 분리방지구에 의해 연결되어, 밀핀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고정측판을 분리하더라도 밀판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밀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방지구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행정제어부재에 연결되어 밀판의 이동행정을 줄이게 되므로 밀판 및 이에 연결된 밀핀이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고, 따라서 가동측의 전체적인 동작시간이 단축되어 금형조립체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측과 가동측이 분리된 상태의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판과 제2원판을 서로 분리한 상태의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밀핀이 제품을 취출하는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성형기의 고정측에는 고정측판(10)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측판(10)에는 제1원판(12)이 구비된다. 상기 제1원판(12)은 상기 고정측판(10)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1원판(12)에는 제1메인코어(15)가 설치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15)는 제품(m)의 성형을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메인코어(45)와 협력하여 제품(m)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제품(m)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제1메인코어(15)에는 별도의 형상코어(도시되지 않음)가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 다.
가동측판(20)은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20)도 상기 고정측판(1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가동측판(20)에는 리프터통공(21)이 형성되는데, 상기 리프터통공(21)은 아래에서 설명될 밀판(25)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터(21')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동측판(20)에는 스페이서블록(22)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에는 밀판(25)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25)은 가동측판(20)에 구비된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품(m)을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판(25)에는 후술할 밀핀(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밀판(25)은 제1 및 제2밀판(25a,25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밀판(25a)은 상기 제2밀판(25b)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고정측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으로, 두 밀판(25a,25b)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밀판(25a,25b)에는 각각 제1 및 제2관통공(25a',25b')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5a',25b')은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방지구(30)가 관통하는 부분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공(25a')의 직경은 상기 제2관통공(25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두 관통공(25a',25b') 사이에는 단차면(26)이 형성되고 이러한 단차면(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방지구(30)의 헤드부(32)가 걸어진다. 즉, 분리방지구(30)의 헤드부(32)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25a')의 직경보다는 크나, 상기 제2관통공(25b')의 직경보다는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밀판(25)의 일측에는 분리방지구(30)가 걸어진다. 상기 분리방지구(30)는 그 일측은 상기 밀판(25)에 걸어지고,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원판(40)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측판(20)을 분리하더라도 상기 밀판(25)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밀판(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턴핀(60)의 리턴스프링(70)에 의하여 상기 가동측판(20)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받는 상태이므로 가동측판(20)을 분리하였을 때 밀판(25)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동측판(20)을 분리하는 순간 리턴핀(60)의 리턴스프링(70)에 의하여 상기 밀판(25)이 튀어나가려는 힘을 받게 되고, 이렇게 되면 작업자의 부상이나 금형조립체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분리방지구(3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리방지구(30)의 골격은 몸체부(3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1)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대략 바아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밀판(25a)의 제1관통공(25a')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
상기 몸체부(31)의 일단에는 헤드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32)는 상기 몸체부(31)와 단차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25a',25b')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면(26)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헤드부(32)가 상기 단차면(26)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분리방지구(30)가 실질적으로 밀판(25)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31)의 타단에는 체결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4)는 제2원판(40)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 써 상기 제2원판(40)과 나사체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행정제어부재(36)가 상기 제2원판(40)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34)가 상기 행정제어부재(36)에 체결된다. 물론, 상기 체결부(34)는 상기 제2원판(4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고, 나사체결이 아닌 압입이나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방지구(30)의 체결부(34)에는 행정제어부재(36)가 결합된다. 상기 행정제어부재(36)는 상기 분리방지구(30)와 제2원판(40) 사이에 위치하여 둘 사이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밀판(25)의 이동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행정제어부재(36)는 그 외경이 상기 제1밀판(25a)의 제1관통공(25a')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밀판(25)이 상기 고정측을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행정제어부재(36)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밀판(25)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밀핀(50)이 보다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 금형조립체의 공정속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행정제어부재(36)의 높이(h)만큼 상기 밀판(25)의 이동거리가 절약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행정제어부재(36)는 상기 제2원판(40)에 나사체결되고, 동시에 상기 분리방지구(30)의 체결부(34)와 나사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행정제어부재(36)는 다양한 길이(h)를 갖는 다른 행정제어부재(36)로 교체됨으로써 상기 밀판(25)의 이동행정을 작업자가 원하는 대로 제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행정제어부재(36)는 상기 분리방지구(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블록(22) 상에는 상기 제1원판(12)과 마주보게 제2원판(4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원판(12)과 제2원판(40)은 제품(m)의 성형시에 서로 밀착되었다 가, 성형된 제품(m)의 취출시에는 분리된다. 이는 성형기의 가동측이 고정측에 대해 이동됨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페이서블록(22)과 상기 제2원판(40) 사이에는 별도의 받침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원판(40)에는 제2메인코어(4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45)는 상기 제1메인코어(1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1메인코어(15)와 협력하여 제품(m)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밀판(25)에는 밀핀(50)이 결합된다. 상기 밀핀(50)은 상기 밀판(25)으로부터 상기 고정측판(10)을 향해 직교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품(m)을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두 개의 밀핀(5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품(m)의 형상에 따라 다수개의 밀핀(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핀(50)의 일단은 상기 제1밀판(25a)에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밀핀(50)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제1밀판(25a)에 고정되는데, 상기 밀핀(50)의 조립은 상기 제2밀판(25b)이 상기 제1밀판(25a)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2밀판(25b)이 분리되면, 상기 밀핀(5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밀판(25)에는 리턴구(55)가 설치된다. 상기 리턴구(55)는 상기 밀판(25)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리턴핀(60)과 리턴스프링(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턴핀(60)은 상기 밀판(25)에 상기 고정측을 향해 직교하게 구비된다. 상기 리턴핀(60)은 상기 고정측판(10)과 가동측판(20)이 서로 멀어진 상태에서 제 품(m)이 취출되고 난 후에, 다시 고정측판(10)과 가동측판(20)이 서로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원판(12)에 의해 눌려져 상기 밀판(25)을 가동측판(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턴핀(60)은 상기 제1밀판(25a)에 고정된다. 즉, 상기 밀핀(50)과 마찬가지로 상기 리턴핀(60) 역시 상기 제1밀판(25a)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리턴핀(6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리턴스프링(70)이 구비된다. 상기 리턴스프링(70)은 상기 리턴핀(60)이 보다 자연스럽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밀판(25)에 상기 가동측판(2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측판(10) 방향으로 이동하였던 밀판(25)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밀판(25)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스프링(70)은 압축코일스프링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금형조립체로부터 밀핀(50)을 교체하는 작업을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밀핀(5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가동측판(20)을 분리해야 한다. 상기 가동측판(20)은 상기 스페이서블록(22)과 함께 볼트 등에 의해서 상기 제2원판(4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우선 이러한 볼트의 체결을 해제해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동측판(20)과 스페이서블록(22)의 결합물은 상기 제2원판(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밀판(25b)을 제1밀판(25a)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제2밀 판(25b)은 상기 제1밀판(25a)과 볼트에 의해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볼트의 체결을 해제하고 상기 제2밀판(25b)을 분리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밀판(25a)은 상기 제2원판(40) 혹은 상기 가동측판(20)에 결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제1밀판(25a)은 분리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는 상기 리턴핀(60)을 감싸고 있는 리턴스프링(70)이 상기 제1밀판(25a)을 가동측판(20) 방향으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1밀판(25a)은 상기 제2원판(4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분리방지구(3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분리방지구(30)의 헤드부(32)가 상기 제1밀판(25a)에 걸어진 상태이고, 상기 분리방지구(30)의 체결부(34)는 상기 제2원판(40)에 행정제어부재(36)에 의해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밀판(25a)은 상기 제2원판(40)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가동측판(20)을 분리하더라도 상기 제1밀판(25a)이 리턴스프링(70)에 의해 강한 탄성력을 받아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밀핀(50)의 유지보수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밀핀(50)을 상기 제1밀판(25a)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밀핀(50)을 교체 혹은 보수하여 다시 제1밀판(25a)에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가동측판(20)을 다시 결합시켜 마무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금형조립체가 작동하여 제품(m)을 취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캐비티에 재료가 주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상기 재료는 고화되어 제품(m)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동측은 상기 고정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품(m)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밀판(25)이 상기 리프터(21')에 의해 상기 고정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밀판(25)에 고정된 밀핀(50) 역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밀핀(50)의 선단이 상기 제품(m)을 밀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밀판(25)은 상기 고정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행정제어부재(36)에 걸어지게 된다. 즉, 상기 행정제어부재(36)가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기 밀판(25)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밀판(25)의 이동거리는 상기 행정제어부재(36)의 높이(h)만큼 짧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밀판(25)의 원위치 역시 단축된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어 금형조립체의 작동시간이 전체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동측판(20)이 다시 상기 고정측판(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리턴핀(60)의 선단은 상기 제1원판(12)의 저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가동측판(20)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원판(12)에 의해 눌려져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리턴핀(60)을 감싸고 있는 상기 리턴스프링(70)에 의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턴핀(60)이 원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상기 밀판(25) 역시 원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밀핀(50) 역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융된 상태의 재료가 다시 상기 캐비티에 주입되어 제품(m) 가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측과 가동측이 분리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동측판과 제2원판을 서로 분리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밀핀이 제품을 취출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측판 12: 제1원판
15: 제1메인코어 20: 가동측판
22: 스페이서블록 25: 밀판
30: 분리방지구 31: 몸체부
32: 헤드부 34: 체결부
36: 행정제어부재 40: 제2원판
45: 제2메인코어 60: 리턴핀
70: 리턴스프링

Claims (7)

  1.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에 구비되고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1원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원판에 대해 상대이동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원판과,
    상기 가동측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위치하여 그 사이에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블록과,
    상기 이동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제1원판 방향으로 연장되게 밀핀이 구비되는 밀판과,
    상기 밀판과 상기 제2원판 사이에 위치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상기 고정측판 방향으로 이동된 밀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구와,
    일단은 상기 제2원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밀판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밀판이 상기 이동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형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구는
    바아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단차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상기 밀판의 일측에 걸어지고, 그 횡단면의 직경이 상기 분리방지구의 몸체의 횡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원판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구의 체결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구는 상기 제2원판에 나사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구는
    상기 밀판으로부터 상기 고정측판 방향으로 직교하게 구비되는 리턴핀과,
    상기 리턴핀의 외주면을 감싸고,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밀판과 제2원판에 연결되어 상기 밀판에 상기 가동측판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는 제1밀판 및 제2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핀 및 리턴핀은 상기 제2원판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구비 되는 제1밀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밀판에는 서로 연통되는 제1 및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둘 사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구의 일단에 단차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헤드부가 상기 단차면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판과 상기 분리방지구 사이에는 행정제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밀판의 이동범위가 상기 행정제어부재에 의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1020070078767A 2007-08-06 2007-08-06 금형조립체 KR10087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67A KR100874972B1 (ko) 2007-08-06 2007-08-06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67A KR100874972B1 (ko) 2007-08-06 2007-08-06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972B1 true KR100874972B1 (ko) 2008-12-19

Family

ID=4037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67A KR100874972B1 (ko) 2007-08-06 2007-08-06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613B1 (ko) 2009-12-17 2012-06-22 주식회사 신창전기 사출금형
CN105034287A (zh) * 2015-06-20 2015-11-11 张向荣 一种注塑机顶杆顶出注塑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371A (ja) 2000-01-12 2001-07-17 Fuji Photo Optical Co Ltd 成形体の突き出し方法および突き出し装置
JP2001269969A (ja) 2000-03-27 2001-10-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371A (ja) 2000-01-12 2001-07-17 Fuji Photo Optical Co Ltd 成形体の突き出し方法および突き出し装置
JP2001269969A (ja) 2000-03-27 2001-10-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613B1 (ko) 2009-12-17 2012-06-22 주식회사 신창전기 사출금형
CN105034287A (zh) * 2015-06-20 2015-11-11 张向荣 一种注塑机顶杆顶出注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537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及びカラー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2007176074A (ja) 成形品の金型
KR100874972B1 (ko) 금형조립체
US8186994B2 (en) Sucker pin bushing
JP2007083273A (ja) 鋳造用金型装置
US8434546B1 (en) Casting mold core retention device and method
JP2007331248A (ja) 射出成形金型
JP3006834B2 (ja) 射出成形機
KR20090073851A (ko) 금형조립체
JP6137232B2 (ja) 射出成形金型
KR100922153B1 (ko) 금형조립체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JP2006248055A (ja) 射出成形金型の2段突き出し機構
JP2004338127A (ja) 射出成形金型
KR101378703B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처리장치
JP2006056115A (ja) ランナーロックピン用固定具
KR100541746B1 (ko) 다공성 핀홀을 갖는 금형 사출물의 제작방법
KR20080104689A (ko) 금형장치
KR100787197B1 (ko) 금형조립체
KR101760571B1 (ko) 핫러너 사출금형의 사이드 게이트 밸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 방법
JP2007190696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の射出成形用金型を備える射出成形機
US20210213661A1 (en) Abrupt ejector plate stop
JP2006062336A (ja) 金型構造
JPH09201855A (ja) 射出成形機
KR100823338B1 (ko) 금형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