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985B1 -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3985B1 KR101203985B1 KR1020110071462A KR20110071462A KR101203985B1 KR 101203985 B1 KR101203985 B1 KR 101203985B1 KR 1020110071462 A KR1020110071462 A KR 1020110071462A KR 20110071462 A KR20110071462 A KR 20110071462A KR 101203985 B1 KR101203985 B1 KR 101203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fixed
- movable
- mold
- locking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고 금형장치의 작동 중 설정된 슬라이드코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가열을 통해 녹은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장치 속에 사출시킨 뒤 고화 또는 경화시켜 성형품을 만드는 가공방법으로 압출성형과 함께 열가소성수지의 중요한 성형법 중 하나이며 열경화성수지에서도 압축성형법에 비해 생산 속도가 빨라 대량생산에 널리 이용되는 가공방법이다.
도 1은 사출성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성형재료는 호퍼를 통해 실린더에 공급되고, 실린더 내부에서 용융된 성형재료는 스크류를 통해 금형장치 내부로 공급된다.
금형장치는 실린더와 연결된 고정측 금형과 고정측 금형에 착탈 가능한 가동측 금형으로 구비되며,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 사이에는 성형코자하는 제품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성형공간 즉 캐비티(cavity)가 존재한다.
금형장치에 공급되는 성형재료는 캐비티 내부를 채운 뒤 경화되며 성형재료가 경화되면 가동측 금형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작업자가 경화된 성형재료(제품)을 금형장치로부터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금형장치의 구조 중 캐비티를 형성하는 코어의 구조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언더컷(undercut)이 구비된 제품의 경우 캐비티의 일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금형분야에서 말하는 언더컷은 제품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홀, 제품의 외주면에 절곡되어 구비된 홈, 제품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기와 같이 가동측 금형의 분리만으로 제품을 금형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을 의미하고, 슬라이드코어는 가동측 금형이 고정측 금형에서 분리될 때 캐비티에서 멀어지고, 가동측 금형이 고정측 금형에 결합할 때 캐비티 방향으로 이동하여 캐비티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품을 말한다.
따라서 가동측 금형이 고정측 금형에 결합할 때 슬라이드코어의 이동거리에 따라 제품의 불량이 유발될 가능성이 크다.
가동측 금형이 고정측 금형에 결합될 때 슬라이드코어가 설계된 위치에 못 미치게 이동하여 캐비티를 구성하면 제품에 설계된 두께보다 두꺼운 제품이 성형될 것이고, 슬라이드코어가 설계된 위치보다 더 이동하여 캐비티를 구성하면 제품에 설계된 두께보다 얇은 제품이 성형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2는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금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금형장치는 캐비티(C)를 형성하는 고정측 코어(91)와 가동측 코어(92), 고정측 코어가 고정되는 고정측 형판(93), 가동측 코어가 고정되는 가동측 형판(94), 캐비티를 형성하되 가동측 코어가 고정측 코어에서 분리되면 캐비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코어(95)를 포함하였다.
상기 슬라이드코어(95)는 고정측 형판에 결합된 로킹블록(9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로킹블록은 고정측 형판(93)을 관통하는 볼트(B)를 통해 고정측 형판(93)에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제품의 두께 조절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렌치나 드라이버(D)를 통해 볼트(B)를 회전시켜 슬라이드코어(95)의 위치를 소정거리(l) 이동시킬 수 있었다.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 제품의 크기나 두께의 허용 오차범위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한 양이고, 앵귤러핀(97)이 삽입되는 슬라이드코어(95)의 관통홀 사이에는 공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로킹블록(96)의 위치조정을 통해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였다.
즉 상술한 종래 금형장치에서 사용자가 허용 오차범위 내의 외형을 가진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슬라이드코어 위치를 조정하려면 볼트(B)를 통해 로킹블록(96)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하는데 그 단위가 마이크로미터와 같이 매우 미세한 길이이므로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금형장치는 가동측 코어와 고정측 코어가 가동측 형판(94)에 의해 접합과 분리를 반복하면서 제품을 성형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통해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하더라도 제품성형 중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볼트(B)가 풀려 슬라이드코어의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은 제품불량과 직결되기 때문에 금형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에서 오랜 시간 숙원과제였으나 종래 금형장치 중 상술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금형장치는 개발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각고의 노력 끝에 상술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 가능한 금형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성형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슬라이드코어의 위치가 금형장치의 작동 중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되어 용융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고정측 코어 및 가동측 코어, 상기 고정측 코어가 고정되는 고정측 형판, 상기 가동측 코어가 고정되며 상기 가동측 코어를 상기 고정측 코어와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가동측 형판, 상기 고정측 코어와 상기 가동측 코어가 결합되면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가동측 코어가 상기 고정측 코어에서 분리되면 상기 가동측 형판에 지지되어 상기 캐비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코어, 상기 고정측 형판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 코어와 상기 가동측 코어가 결합된 때 상기 슬라이드코어를 상기 캐비티 방향으로 지지하는 로킹블록, 상기 로킹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측 코어와 상기 가동측 코어가 결합할 때 상기 슬라이드코어가 상기 캐비티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를 조절하는 판재형상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로킹블록은 상기 슬라이드코어에 접촉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는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블록은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한 착탈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되 상기 착탈면에 의해 상기 로킹블록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금형장치는 상기 고정측 형판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동측 형판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블록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킹블록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는 고정면, 상기 슬라이드코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킹블록은 고정면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구비되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로킹블록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정된 슬라이드코어의 위치가 금형장치의 작동 중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사출성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금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금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코어, 로킹블록 및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로킹블록과 블록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로킹블록과 조절부의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금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금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코어, 로킹블록 및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로킹블록과 블록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로킹블록과 조절부의 결합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금형장치(100)는 성형재료가 공급되는 장치에 연결되는 고정측 금형(1), 상기 고정측 금형에 결합되되 분리 가능한 가동측 금형(2), 고정측 금형과 가동측 금형 내부에 위치한 성형이 완료된 제품을 가동측 금형에서 분리하는 이젝터(3)를 포함한다.
고정측 금형(1)은 성형재료가 공급되는 실린더(19)에 연결되는 고정측 부착판(11), 성형재료가 유입되어 경화되는 공간인 캐비티(C)를 형성하는 고정측 코어(15), 상기 고정측 코어와 상기 고정측 부착판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측 코어(15)를 고정하는 고정측 형판(1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측 부착판(11)과 상기 고정측 형판(13)에는 상기 실린더(19)에 연통하여 성형재료를 상기 캐비티(C)에 공급하는 스프루부쉬(17)가 구비된다.
스프루부쉬(17)에는 실린더(19)에서 공급되는 성형재료가 유동하는 스프루(S)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루(S)로 유입된 성형재료는 런너(R)와 게이트(G)를 통해 상기 캐비티(C)에 공급된다.
한편 성형이 완료된 뒤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에 잔류하는 성형재료는 캐비티 내부의 성형재료가 가동측 금형에서 배출될 때 함께 배출되며 자세한 과정은 후술한다.
가동측 금형(2)은 상기 고정측 코어(15)에 결합하여 캐비티(C)를 형성하는 가동측 코어(21), 상기 가동측 코어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측 형판(13)과 접촉하는 가동측 형판(23), 상기 가동측 형판을 지지하는 받침판(25)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25)은 스페이스블록(27)을 통해 가동측 부착판(29)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과 가동측 부착판 사이의 공간에는 캐비티(C)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캐비티에 주입되어 경화된 성형재료)을 가동측 코어(21)로부터 분리시키는 이젝터(3)가 구비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가동측 금형(2)은 외부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고정측 금형(1)에서 분리 가능하다.
즉, 외부에서 가동측 금형에 동력이 제공되면 가동측 부착판(29)은 가동측 코어(21)가 고정측 코어(15)와 분리되는 방향(도면 상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받침판(25)은 가동측 형판(23)에 결합되어 있고, 받침판(25)은 스페이스블록(27)을 통해 가동측 부착판(29)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측 부착판(29)의 이동에 따라 가동측 형판에 부착된 가동측 코어(21)도 고정측 코어(15)에서 분리되게 된다(도 4 (a) 참고).
상기 이젝터(3)는 스페이스블록(27)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이젝트 플레이트(31), 일단은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캐비티(C)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에 접촉하는 이젝트 핀(33), 일단은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런너에 접촉하는 런너 이젝트 핀(35)을 포함한다.
상기 이젝트 플레이트(31)는 가동측 부착판(29)을 관통하는 축(311)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축(311)은 가동측 금형(2)의 외부에 구비된 동력전달수단(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동측 금형(2)이 고정측 금형(1)에서 분리된 뒤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축(311)을 캐비티(C) 방향으로 밀어주면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제품은 이젝트 핀(33)에 의해 가동측 코어(21)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도 4 (b) 참고).
또한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에 경화되어 잔류하는 성형재료는 런너 이젝트 핀(35)에 의해 가동측 형판(23)에서 분리된다.
한편 표면에 홈이나 구멍(또는 홀),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가 구비된 제품의 경우에는 고정측 코어와 가동측 코어만을 구비한 금형장치로는 제품을 성형하기 어렵다.
이는 가동측 금형(2)의 이동만으로 캐비티 내부에 위치한 제품을 금형장치에서 분리할 수 없는 언더컷(under cut) 때문이며 언더컷이 존재하는 제품의 성형을 위해서는 가동측 금형(2)이 고정측 금형(1)에서 분리되면 캐비티(C)에서 멀어지고, 가동측 금형(2)이 고정측 금형(1)에 결합하면 캐비티(C)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코어(4)가 요구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코어(4)는 고정측 금형(1)과 가동측 금형(2)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캐비티(C)를 형성하지만 가동측 금형(2)이 고정측 금형(1)에서 분리되면 캐비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측 금형이 고정측 금형을 향해 이동하면 캐비티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앵귤러핀(5, angular pin)은 슬라이드코어(4)의 상술한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례가 된다. 앵귤러핀(5)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고정측 형판(13) 또는 고정측 부착판(11)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측 형판(13)과 슬라이드코어(4)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가동측 금형(2)이 고정측 금형(1)에서 분리되면 슬라이드코어(4)는 상기 앵귤러핀(5)의 경사를 따라 캐비티(C)에서 멀어지는 방향(도면 상 우측방향)으로 가동측 형판(23)의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가동측 금형(2)이 고정측 금형(1) 방향으로 이동하면 앵귤러핀(5)에서 분리되었던 슬라이드코어(4)가 다시 앵귤러핀과 결합하므로 슬라이드코어는 앵귤러핀의 경사를 따라 캐비티 방향(도면 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코어(4)는 캐비티(C)의 일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제어하지 못하면 제품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즉 가동측 금형(2)이 고정측 금형(1)에 결합될 때 슬라이드코어(4)가 설계된 위치보다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캐비티(C)를 구성하면 설계된 두께보다 두꺼운 제품이 성형될 것이고, 슬라이드코어(4)가 설계된 위치보다 긴 거리를 이동하여 캐비티(C)를 구성하면 설계된 두께보다 얇은 제품이 성형되거나 구멍난 제품이 성형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라이드코어(4)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은 금형장치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코어를 캐비티 방향으로 지지하는 로킹블록(6) 및 조절부(8)가 필요한데 상기 로킹블록(6)은 고정측 형판(13)에 직접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고정부(7)를 통해 고정측 형판(13)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킹블록이 블록고정부를 통해 고정측 형판에 고정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블록고정부(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귤러핀(5)이 관통하는 핀홀(71), 볼트 등의 부재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홀(73), 상기 가동측 형판(23)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부(7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로킹블록(6)은 블록고정부(7)의 돌출부(75)에 고정되는데 상기 돌출부(75)에 결합하는 고정면(67)과 슬라이드코어(4)에 접촉하는 경사면(61)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코어(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귤러핀(5)이 관통하는 핀관통홀(41)과 상기 로킹블록(6)의 경사면(61)과 접촉하는 코어경사면(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8)는 슬라이드코어(4)와 로킹블록(6) 사이에 판재형상으로 구비되어 고정측 금형(1)과 가동측 금형(2)이 결합할 때 슬라이드코어(4)가 캐비티(C)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앵귤러핀(5)이 슬라이드코어(4)를 관통하기 때문에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크게 변화시키는 것은 어렵지만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 제품의 크기나 두께의 허용 오차범위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한 크기이기 때문에 상기 조절부(8)는 앵귤러핀(5)과 슬라이드코어에 구비된 핀관통홀(41) 사이의 공차를 활용하여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다.
상기 조절부(8)는 로킹블록(6)의 경사면(61) 또는 고정면(67)에 착탈 가능한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양한 두께(5, 10, 20㎛ 등)의 금속판을 로킹블록(6)에 고정하면서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허용오차 범위 내의 크기나 두께를 가진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금속판으로 구비된 조절부(8)를 통해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를 조절하면 제품의 대량생산 시 금형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충격(가동측 코어와 고정측 코어의 결합충격, 가동측 코어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이나 열에 의해 슬라이더코어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코어의 위치 변경에 따른 제품불량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금속은 연성이 있기 때문에 금속판으로 구비되는 조절부(8)를 로킹블록의 경사면(61)이나 고정면(67)에 단순히 결합하면 금속판의 두께가 변경되어 슬라이드코어의 위치변경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되는 로킹블록(6)은 도 7 내지 도 9에 개시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7에 개시된 로킹블록과 조절부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킹블록(6)은 경사면(61)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65)을 포함하고, 조절부(8)는 상기 수용홈에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8)가 수용홈(65) 내부에 삽입되면 금속판 또는 그 이외의 재질로 구비되는 조절부(8)가 금형장치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열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8)의 두께는 수용홈(65)의 깊이보다 더 두껍게 구비되어 수용홈에 삽입된 조절부(8)가 소정길이(L1)만큼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로킹블록의 경사면(61)에서 돌출된 조절부(8)의 길이(L1)만큼 슬라이드코어(4)를 캐비티(c)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수용홈(65)은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8)의 마주보는 양단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7 (b)와 같이 조절부(8)의 외주면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로킹블록(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65)에 착탈 가능한 착탈면(63)을 더 포함하여 수용홈(65)에 안착된 조절부(8)가 상기 착탈면(63)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착탈면(63)이 수용홈(65)에 안착된 조절부(8)의 상부에 구비되면 조절부(8)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착탈면(63)의 두께는 수용홈(65)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수용홈의 깊이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조절부(8)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수용홈(65)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착탈면(63)의 두께와 조절부(8)의 두께 합은 수용홈(65)의 깊이보다 더 크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드코어(4)는 로킹블록의 경사면(61)에서 착탈면(63)이 돌출된 높이(L2)만큼 캐비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8에 개시된 조절부(8) 및 로킹블록(6)의 결합구조는 조절부(8)의 외주면이 모두 수용홈(65)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로킹블록(6)의 배면 즉 블록고정부(7)의 돌출부(75)에 접하는 면에 조절부(8)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수용홈(65)은 로킹블록의 고정면(67)에 절곡되어 구비되고, 금속판 또는 기타의 재질로 구비되는 조절부(8)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조절부(8)의 두께는 수용홈(65)의 깊이보다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로킹블록(6)은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고 조절부(8)가 수용홈(65)에 위치한 경우 조절부(8)의 상부에 위치하는 착탈면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착탈면의 구조 및 특징은 도 8에서 설명한 구조 및 특징에 상당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금형장치: 100 고정측 금형: 1
고정측 부착판: 11 고정측 형판: 13
고정측 코어: 15 스프루부쉬: 17
실린더:19 가동측 금형: 2
가동측 코어:21 가동측 형판: 23
받침판: 25 스페이스블록: 27
가동측 부착판: 29 이젝터: 3
이젝트 플레이트: 31 이젝트 핀: 33
런너 이젝트 핀: 35 탄성부: 37
슬라이드코어: 4 앵귤러핀: 5
로킹블록: 6 경사면: 61
착탈면: 63 수용홈: 65
고정면: 67 블록고정부: 7
돌출부: 75 조절부: 8
고정측 부착판: 11 고정측 형판: 13
고정측 코어: 15 스프루부쉬: 17
실린더:19 가동측 금형: 2
가동측 코어:21 가동측 형판: 23
받침판: 25 스페이스블록: 27
가동측 부착판: 29 이젝터: 3
이젝트 플레이트: 31 이젝트 핀: 33
런너 이젝트 핀: 35 탄성부: 37
슬라이드코어: 4 앵귤러핀: 5
로킹블록: 6 경사면: 61
착탈면: 63 수용홈: 65
고정면: 67 블록고정부: 7
돌출부: 75 조절부: 8
Claims (6)
- 상호 결합되어 용융된 성형재료가 주입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고정측 코어 및 가동측 코어;
상기 고정측 코어가 고정되는 고정측 형판;
상기 가동측 코어가 고정되며 상기 가동측 코어를 상기 고정측 코어와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가동측 형판;
상기 고정측 코어와 상기 가동측 코어가 결합되면 상기 캐비티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가동측 코어가 상기 고정측 코어에서 분리되면 상기 가동측 형판에 지지되어 상기 캐비티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코어;
상기 고정측 형판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 코어와 상기 가동측 코어가 결합된 때 상기 슬라이드코어를 상기 캐비티 방향으로 지지하는 로킹블록;
상기 로킹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측 코어와 상기 가동측 코어가 결합할 때 상기 슬라이드코어가 상기 캐비티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를 조절하는 판재형상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블록은 상기 슬라이드코어에 접촉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는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블록은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한 착탈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되 상기 착탈면에 의해 상기 로킹블록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형판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동측 형판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블록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킹블록은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는 고정면, 상기 슬라이드코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고정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블록은 고정면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로킹블록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1462A KR101203985B1 (ko) | 2011-07-19 | 2011-07-19 | 금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1462A KR101203985B1 (ko) | 2011-07-19 | 2011-07-19 | 금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3985B1 true KR101203985B1 (ko) | 2012-11-22 |
Family
ID=4756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1462A KR101203985B1 (ko) | 2011-07-19 | 2011-07-19 | 금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398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092B1 (ko) | 2013-10-18 | 2015-03-26 |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 자동차 연료펌프 상부바디용 사출 성형장치 |
KR20190126694A (ko) * | 2018-05-02 | 2019-11-12 | 추민석 |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
CN110681766A (zh) * | 2019-10-17 | 2020-01-14 | 诸暨市润拓机械自动化科技有限公司 | 哈夫模红冲装置 |
JP2022086427A (ja) * | 2020-11-30 | 2022-06-09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射出成形金型 |
-
2011
- 2011-07-19 KR KR1020110071462A patent/KR1012039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092B1 (ko) | 2013-10-18 | 2015-03-26 | 주식회사 케이엠에프 | 자동차 연료펌프 상부바디용 사출 성형장치 |
KR20190126694A (ko) * | 2018-05-02 | 2019-11-12 | 추민석 |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
KR102106494B1 (ko) | 2018-05-02 | 2020-05-04 | 추민석 |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
CN110681766A (zh) * | 2019-10-17 | 2020-01-14 | 诸暨市润拓机械自动化科技有限公司 | 哈夫模红冲装置 |
JP2022086427A (ja) * | 2020-11-30 | 2022-06-09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射出成形金型 |
JP7348158B2 (ja) | 2020-11-30 | 2023-09-20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射出成形金型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3985B1 (ko) | 금형장치 | |
JP5650385B2 (ja) | 射出成形金型 | |
KR20180099488A (ko) | 언더컷 처리 기구, 성형용 금형 및 성형품 | |
US20190118440A1 (en) | Resin shaping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resin molded product | |
US20100178376A1 (en) | Injection mold device | |
KR101646640B1 (ko) |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 |
JP2024036480A (ja) | 樹脂成形品、成形装置、成形方法及び金型 | |
EP3461612A1 (en) |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molding die assembly and molded article | |
JP2013000774A (ja) |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 |
WO2018179028A1 (ja) |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成形用金型及び成形品 | |
KR101179388B1 (ko) | 금형조립체 | |
KR102493406B1 (ko) | 금형 | |
JP7094912B2 (ja) |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射出成形品成形用の金型装置 | |
JP2006297663A (ja) | 金型装置 | |
JP2005262472A (ja) | 射出成形金型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並びにプラスチック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 | |
JP2010247385A (ja) | 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装置 | |
KR100864252B1 (ko) | 금형조립체 | |
JP6699138B2 (ja) | 樹脂成形金型 | |
JP7348158B2 (ja) | 射出成形金型 | |
CN216400410U (zh) | 一种环形连接器生产用模具 | |
KR20100003508U (ko) | 금형조립체 | |
JPH068286A (ja) | 金型装置 | |
KR20220085302A (ko) | 사출 성형품 취출 장치 | |
JP2003053793A (ja) | 射出成形金型用スライド | |
KR100823338B1 (ko) | 금형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