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694A -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694A
KR20190126694A KR1020180077716A KR20180077716A KR20190126694A KR 20190126694 A KR20190126694 A KR 20190126694A KR 1020180077716 A KR1020180077716 A KR 1020180077716A KR 20180077716 A KR20180077716 A KR 20180077716A KR 20190126694 A KR20190126694 A KR 20190126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grooves
fine patter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494B1 (ko
Inventor
추민석
Original Assignee
추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민석 filed Critical 추민석
Publication of KR2019012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2Dies; Accessories
    • B44B5/026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2700/00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for artistic work
    • B44B2700/09Machines or apparatus for making model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를 투입하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1홈과 제1돌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금형; 제1금형에 대응되어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제2홈과 제2돌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금형; 제1금형의 제1홈과 제2금형의 제2홈에 결합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피스 몰드; 제1금형과 제2금형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부측에 조형물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내주면에 대응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코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피스 몰드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지지부에 대응되어 조형물의 표면을 형성하는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에는 돌기와 문양을 형성하도록 돌기홈과 문양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술잔, 컵의 형상이면서 환턱과, 표면에 다양한 돌기들이 형성되고,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이 형성된 작은 조형물을 주조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피스 몰드가 조합되어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 탈형과정에서도 형상을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Molding device of molding with fine pattern on the surface}
개시되는 내용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상이 복잡한 미세문양을 갖는 조형물을 쉽고 빠르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금속 조형물은 금형에 의해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되고 있다.
예를들어 술잔, 컵의 형상이면서 환턱과, 표면에 다양한 돌기들이 형성되고,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이 형성된 작은 조형물을 주조하는 작업은 종래 금형의 구조로는 제작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 금형은 상하부 몰드로 구성되고, 내부에 성형홈이 형성된 것이었으나 상하부 몰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환턱과 그 하부에 형성된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미세 돌기의 형상은 탈형과정에서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지므로 작고 세밀한 조형물은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기 어려웠다.
한국 등록특허 10-1372619호
개시되는 내용은 술잔이나 컵과 같이 외면이 일정하지 않고 오목한 부위와 볼록한 부위가 존재하여 형상이 다소 비정형화되어 있고, 또 표면에 다양한 작은 돌기들이 환형으로 형성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물체를 주조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피스 몰드가 조합되어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 탈형과정에서도 형상을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원료를 투입하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1홈과 제1돌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금형; 제1금형에 대응되어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제2홈과 제2돌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금형; 제1금형의 제1홈과 제2금형의 제2홈에 결합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피스 몰드; 제1금형과 제2금형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부측에 조형물이 성형되는 과정에서 내주면에 대응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코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피스 몰드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지지부에 대응되어 조형물의 표면을 형성하는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에는 돌기와 문양을 형성하도록 돌기홈과 문양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금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술잔, 컵의 형상이면서 환턱과, 표면에 다양한 돌기들이 형성되고,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이 형성된 작은 조형물을 주조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피스 몰드가 조합되어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어 탈형과정에서도 형상을 온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하부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는, 원료를 투입하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1홈(120)과 제1돌부(110)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금형(100); 제1금형(100)에 대응되어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제2홈(220)과 제2돌부(210)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금형(200); 제1금형(100)의 제1홈(120)과 제2금형(200)의 제2홈(220)에 결합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피스 몰드(300); 제1금형(100)과 제2금형(20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피스 몰드(300)의 일부분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성형지지부(420)가 형성된 코어부(400);를 포함한다.
코어부(400)의 성형지지부(420)와 복수의 피스 몰드(3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하 '캐비티(T)'라 함)에 원료가 주입되어 성형품(3)이 완성된다.
제1금형(100)은 중심부에 센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천공되어 원료주입공(102)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이송로(10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료이송로(104)의 단부는 코어부(400)의 성형지지부(420)에 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금형(100)은 저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1돌부(110)가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각 제1돌부(110) 사이에는 제1홈(120)이 다수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부(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면이 경사지도록 하여 제1경사면(111)이 형성된다.
각 제1홈(120)에는 피스 몰드(300)가 각기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제1금형(100)에는 복수의 고정핀(180)이 각기 하방으로 관통 결합된다. 각 고정핀(180)은 피스 몰드(300)에 결합됨으로써 피스 몰드(300)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금형(200)은 제1금형(100)의 하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것이며, 제1금형(100)의 제1돌부(110)가 결합되는 제2홈(220)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각 제2홈(220) 사이에는 제2돌부(210)가 형성되어 제2돌부(210)와 제2홈(220)이 교호 형성된다.
제2홈(220)에는 피스 몰드(300)가 결합된다.
피스 몰드(300)는 다수개가 원주방향으로 조합되어 원형을 이루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 몰드(300)는 일부분(제1,2금형(100)(200)의 외주연에 근접되는 부위)은 일정 깊이로 요입되어 단차부(33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코어부(400)의 지지부(420)에 대응되어 조형물(3)의 표면을 형성하는 성형부(320)가 형성된다.
단차부(330)는 제1돌부(110)의 제1경사면(111)에 대응되도록 제2경사면(3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금형(100)이 하방으로 가압하면 제1경사면(111)과 제2경사면(332) 간의 미는 작용으로 인해 피스 몰드(300)는 안쪽으로 모아지게 되고, 아울러 복수의 피스 몰드(300)가 모여서 원형 배열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예에 따르면 피스 몰드(300)는 8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하고, 성형품(3)의 외면을 360˚로 기준하였을때 1개의 피스 몰드(300)는 약 45˚에 대응하는 면적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1개 피스 몰드(300)는 차지하는 면적이 협소하고, 다수의 피스 몰드(300)가 균등하게 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한 것이므로, 다수의 피스 몰드(300)가 분리되면 각 피스 몰드(300)가 차지하는 면적이 작기때문에 성형품(3)의 외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탈형작업이 깨끗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 몰드(300)의 성형부(320)에는 돌기와 문양을 형성하도록 돌기홈(321)과 문양홈(323)이 형성된다.
다수의 피스 몰드(300)가 원형으로 조립되면 각 성형부(320)는 코어부(400)의 성형지지부(420)와 대응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렇게 성형지지부(420)와 성형부(320) 간의 이격된 공간이 캐비티(T)가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성형지지부(420)는 성형품(3)의 내면을 형성하게 되고, 성형부(320)는 성형품(3)의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성형품(3)의 외면에 원하는 형상을 구현해낼 수 있도록 성형부(320)의 돌기홈과 문양홈을 정교하게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성형품(3)의 외면에 특정 형상의 돌기와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코어부(400)는 제2금형(200)의 중심홈(205)에 끼움결합되는 베드(410)와, 상기 베드(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피스 몰드(300)의 성형부(32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성형지지부(420)가 형성된다.
제2금형(200)의 중심홈(205)은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꼭맞게 결합되도록 베드(410)도 육각형으로 형성되며, 성형지지부(42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성형지지부(42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한편 제1금형(100)과 제2금형(200)의 센터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부재(600)가 포함된다.
연결부재(600)는 제1금형(100), 제2금형(200) 및 코어부(400)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이며, 제1금형(100), 제2금형(200), 코어부(400)가 견고하게 일체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금형(100)과 제2금형(200)을 상,하부에 각기 배치하고, 그 사이에 복수의 피스 몰드(300)를 결합한다.
복수의 피스 몰드(300) 각각은 제1홈부(120) 및 제2홈부(220)에 결합된다. 제1금형(100)에는 복수의 고정핀(180)이 각기 하방으로 관통 결합되고 각 고정핀(180)이 대응되는 피스 몰드(300)에 결합됨으로써 피스 몰드(300)가 분산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2금형(200)의 중심부에 코어부(400)를 결합한다.
이후 제2금형(200), 코어부(400), 제1금형(100)의 중심을 관통하여 연결부재(600)를 결합하고, 연결부재(600)를 조여서 제1,2금형(100,200)과 코어부(400)가 견고하게 일체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원료주입공(102)으로 원료를 주입하면 원료이송로(104)를 따라 캐비티(T)로 주입된다.
이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연결부재(600)를 분리하고, 제1금형(100)을 상부로 분리하고, 각 피스 몰드(300)를 분리하면 성형품(3)이 코어부(400)에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후 코어부(400) 및 제2금형(200)을 분리하여 성형품을 취출한다.
따라서 성형품(3)은 성형부(320)에 형성된 돌기와 문양이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미세하고 정교한 돌기와 문양을 각 피스 몰드(300)를 통해 정교하게 표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제1금형 200 : 제2금형
300 : 피스 몰드 400 : 코어부
3 : 조형물 420 : 지지부

Claims (10)

  1. 원료를 투입하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1홈과 제1돌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금형;
    상기 제1금형에 대응되어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제2홈과 제2돌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2금형;
    상기 제1금형의 제1홈과 상기 제2금형의 제2홈에 결합되는 복수의 피스 몰드;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피스 몰드의 일부분과 이격되어 성형지지부가 형성된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피스 몰드 각각은,
    상기 코어부의 지지부에 대응되어 조형물의 표면을 형성하는 성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에는 돌기와 문양을 형성하도록 돌기홈과 문양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은
    중심부에 형성된 센터공과, 상부에 형성된 원료주입공과,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이송로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이송로의 단부는 코어부의 성형지지부에 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은 저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제1돌부가 등간격으로 돌출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각 제1돌부 사이에 제1홈이 다수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면이 경사지도록 하여 제1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에는 복수의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고,
    각 고정핀은 피스 몰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 몰드는 일부분은 요입되어 단차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코어부의 지지부에 대응되어 조형물의 표면을 형성하는 성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제1돌부의 제1경사면에 대응되도록 제2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코어부의 성형지지부와 이격되고,
    상기 성형지지부와 성형부 간의 이격 공간인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성형지지부는 성형품의 내면을 형성하게 되고, 성형부는 성형품의 외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제2금형의 중심홈에 끼움결합되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피스 몰드의 성형부와 이격되어 성형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을 결합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KR1020180077716A 2018-05-02 2018-07-04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KR102106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0896 2018-05-02
KR1020180050896 2018-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94A true KR20190126694A (ko) 2019-11-12
KR102106494B1 KR102106494B1 (ko) 2020-05-04

Family

ID=6857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716A KR102106494B1 (ko) 2018-05-02 2018-07-04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47A1 (ko) * 2021-12-03 2023-06-08 (주)진양오일씰 전자기기 외장커버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57B1 (ko) * 2007-06-11 2008-07-07 정지영 단거리 골프공 제조방법
KR20100131191A (ko) * 2009-06-05 2010-12-15 (주)성산정공 구면의 지압 돌기 형성을 위한 금형 장치
KR101203985B1 (ko) * 2011-07-19 2012-11-22 박대규 금형장치
KR101372619B1 (ko) 2012-08-19 2014-03-11 조형진 다분할 금형 및 그 조형물
KR20150051701A (ko) * 2013-11-05 2015-05-13 이중재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20180032325A (ko) * 2016-09-22 2018-03-30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림 제조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57B1 (ko) * 2007-06-11 2008-07-07 정지영 단거리 골프공 제조방법
KR20100131191A (ko) * 2009-06-05 2010-12-15 (주)성산정공 구면의 지압 돌기 형성을 위한 금형 장치
KR101203985B1 (ko) * 2011-07-19 2012-11-22 박대규 금형장치
KR101372619B1 (ko) 2012-08-19 2014-03-11 조형진 다분할 금형 및 그 조형물
KR20150051701A (ko) * 2013-11-05 2015-05-13 이중재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20180032325A (ko) * 2016-09-22 2018-03-30 현대성우메탈 주식회사 림 제조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47A1 (ko) * 2021-12-03 2023-06-08 (주)진양오일씰 전자기기 외장커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494B1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9356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Ice Vessel
JP2011530462A5 (ko)
BR0013881B1 (pt) dispositivo para moldar um número de objetos com paredes fina por meio de um processo de termomoldagem.
WO2006027979A1 (ja) 発泡成形用の金型及び発泡成形方法
KR20190126694A (ko)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US7008211B2 (en) Molding assembly
KR20160000996U (ko) 사출 성형용 금형
KR100741657B1 (ko) 사출성형용 금형
US2087470A (en) Method of making buttons from plastic material
CN113474103A (zh) 在金属铸造时使用的一件式的冒口主体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JP2002052581A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KR100933497B1 (ko) 조립식 도자기 뚜껑 성형틀
KR200486819Y1 (ko) 금형
CN207724744U (zh) 一种网格面罩的成型模具
RU2302338C2 (ru)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пластмасс
KR200235741Y1 (ko) 압축성형 가공용 이젝터 핀
JPH0550467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品
EP25510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vex goblets
US447556A (en) George w
US996978A (en) Pattern for casting finger-rings.
KR200350786Y1 (ko) 합성수지제 안경코받침의 제조장치
KR101380027B1 (ko) 사출금형의 캐비티와 코어의 형합 위치를 설정하는 인로우의 설치구조
KR200143678Y1 (ko) 디스트리뷰터에 연결되는 호스제조용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