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368B1 -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368B1
KR100734368B1 KR20050035940A KR20050035940A KR100734368B1 KR 100734368 B1 KR100734368 B1 KR 100734368B1 KR 20050035940 A KR20050035940 A KR 20050035940A KR 20050035940 A KR20050035940 A KR 20050035940A KR 100734368 B1 KR100734368 B1 KR 10073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receivers
digital
digital broadcasting
aband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3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079A (ko
Inventor
조남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3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368B1/ko
Priority to JP2006112033A priority patent/JP4351685B2/ja
Priority to US11/413,384 priority patent/US7711076B2/en
Priority to CNB2006100778278A priority patent/CN100568751C/zh
Publication of KR2006011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1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based on current reception conditions, e.g. switching to different antenna when signal level is below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두 개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시스템 E 방식의 디지털 방송 단말기에서 수신 환경에 따라 상기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디지털 방송, 다이버시티, 천이, BER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A power saving device for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시스템 E 방식의 디지털 방송 단말기 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한 수신부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전력제어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전력제어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전력제어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의 전력제어장치 및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환경이 좋은 곳에서 1 개의 안테나만을 사용함으로써 수신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E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안정적인 수신을 위해 2개의 안테나(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기를 구성하고 있다. 물론, 안테나를 2개 사용함으로 인해, 튜너(Tuner)부가 상당한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되며 전력 소모량도 클 수밖에 없다.
그러나,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유는 안테나 1개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론적으로 일반적 백색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이 있는 채널에서 3dB정도 이득(Gain)이 있으며, 무선 환경의 성격상 두 안테나의 무선환경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는 그 이상의 이득(Gain)을 얻을 수도 있다.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튜너(Tuner)부를 2개 모두 동작시키고, 기저대역(Baseband)단도 무조건 이에 맞춰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2개의 안테나를 모두 동작시킴으로 인해, 전력 소모량이 크다. 또한, 무선환경에 따라서는 굳이 2개의 안테나를 동작시키지 않고, 1개의 안테나를 동작시켜도 되는 좋은 무선환경들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시청·청취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제2 수신부와; 수신환경에 따라 상기 제1,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수신환경이 나쁜 경우 제 1 수신부와 제 2 수신부 모두 동작하고, 수신환경이 좋은 경우 두 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제1, 제2 수신부는 각각 안테나와, 튜너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두 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시킬 때, 다른 수신부의 튜너부(Tuner) 또는 튜너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수신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동작중인 어느 하나의 수신부에서 다른 수신부로 천이될 때,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는 시기를 거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CDM(Code Division Multilplexing) 채널을 복호하기 위한 CDM 복조기와; 상기 CDM 복조기에서 두 안테나의 신호대잡음비(Signal Noise Ratio: SNR)를 추출하기 위한 SNR 추출부와;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ing) 이전의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을 검출하기 위한 BER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BER 검출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SNR 추출부의 출력신호와, 동기 기준이 되는 핑거(finger)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500㎳ 또는 1초를 주기로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비트에러율을 검출하여 수신부의 천이 조건을 판단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은 두 개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시스템 E 방식의 디지털 방송 단말기에서 수신 환경에 따라 상기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모두 동작시키거나,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시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수신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동작중인 어느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다른 디지털 방송 수신부로 천이될 때,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는 수신모드 과정을 거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비터비 디코딩(Viterbi decoding) 이전의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과, CDM 복조부에서 얻어지는 두 안테나의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와, 동기 기준이 되는 핑거(finger)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모두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BER이 천이조건을 만족하고,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 중 SNR이 큰 값을 갖는 하나의 수신부만을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로 천이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모두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BER이 천이조건을 만족하고, 기준 핑거(Reference Finger)가 할당된 안테나의 SNR이 안테나 1개를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로 천이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BER이 임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모두 동작시키기 위한 수신모드로 천이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다른 구성의 특징은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비트 에러율(BER)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된 비트 에러율(BER)이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을 동작시켜도 무방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와 기준 핑거(finger)의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핑거들의 동기 기준으로 할당된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가 천이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조건을 만족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수신 경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의 또 다른 구성의 특징은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비트 에러율(BER)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된 비트 에러율(BER)이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을 동작시켜도 무방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더 큰 값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가 천이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천이 조건을 만족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수신 경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이버시티 기법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다이버시티 기법이 적용된 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이들 안테나에서 수신된 각각 의 신호를 적절히 선택(selection or switching)하거나 합성(combining)함으로써, 안테나를 하나만 사용하는 기존의 수신 장치보다 수신 신호 품질의 향상을 얻는다.
도 1은 시스템 E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 1 수신부(110)와, 제 2 수신부(120)와, 두 수신부(110, 120)을 통해 제공된 신호를 CDM 방식으로 복조하는 CDM 복조기(130)와, 복조 과정을 거친 신호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하고 디코딩하는 디코딩부(140, 150)와, 디코딩부를 통해 제공된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먹스단(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수신부(110, 120)는 다이버시티 안테나(111, 121)와 튜너부(112, 12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부라 칭함)(113, 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디코딩부(140, 150)는 비트 디인터리버(bit deinterleaver)(141,151)와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142,152)와, 바이트 디인터리버(byte deinterleaver)(143,153) 및 리드 솔로몬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144, 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디코딩부(140, 150)의 구분은 데이터 신호와 제어신호의 구분에 의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제2 수신부(110, 120)와; CDM 복조기로부터 제공된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와 디코딩부(140)로부터 비트에러율 검출신호(Bit Error Rate)을 제공받아 수신환경을 판단하고, 수신환경에 따라 상기 제1, 제2 수신부(110, 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주된 관심사는 상기 두 수신부(110, 120)를 이루는 튜너부(Tuner)(112, 122)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13, 123)의 운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 1 수신부(110)와 제 2 수신부(120) 모두 동작하며, 수신 환경이 좋아서 하나의 수신부만으로도 수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제 1 수신부 또는 제 2 수신부 하나만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한다.
즉, 하나의 수신부만으로 수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수신경로를 수신기의 상황에 따라 튜너부(Tuner) 또는 튜너부 및 A/D부 모두를 동작시키지 않음으로써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태 천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디지털 방송 수신부 또는 제 2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을 동작하는 상태를 갖거나,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1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 2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 동작하는 상태로의 바로 천이는 불가능하다. 제 1 수신부에서 제 2 수신부로의 바로 천이를 막는 것은 제 1 수신부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2 수신부가 동작하지 않음으로 인해 제 2 수신부의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수신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동작중인 어느 하나의 수신부에서 다른 수신부로 천이될 때,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는 시기를 거치게 된다. 두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에서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제 1 수신부 또는 제 2 수신부로의 천이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Paramter들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수신부천이 조건을 판단하게 된다.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이전의 비트에러율(BER)
·CDM 복조부에서 얻어지는 제 1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
·CDM 복조부에서 얻어지는 제 2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
·핑거(Finger)들의 동기 기준이 되는 기준 핑거가 어느 수신부의 안테나에 할당이 되어있는지의 정보를 이용한다.
수신부의 상태 천이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그 수신부의 상태에 대해 빨리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 자동이득제어 루프(Auto Gain Control loop)가 빨리 수렴하도록 자동이득제어 관련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또한, 제 1 수신부 또느 제 2 수신부 (only one)에서 두 수신부(Both)로 오는 경우에는 타 수신부의 자동이득 제어값을 현재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수신부의 값으로 초기화하여 타 수신부가 조기에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전력제어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고 있는 상태(S41)에서의 천이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주기적으로 대략 500㎳ 또는 1초마다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이전의 비트에러율(BER)을 검출한다(S42).
검출된 비트에러율(BER)이 수신기 하나만을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Th_1_change)이 되는지 판단한다. 이때의 수신조건은 수신기의 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소정 임계값(Th_1_change)보다 비트 에러율이 작다면 현재 수신 환경이 상당히 우수한 것이기에 수신기 하나만을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이다(S43).
이후,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와 핑거(finger)들의 동기 기준이 되는 기준 핑거(Reference Finger)가 어느 안테나에 할당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4). 이 때, 수신부(즉, 안테나) 1개만을 구동하여도 문제가 없는지를 살핀 후, 문제가 없는 경우에만 하나의 수신부만을 구동하도록 한다. 이런 조건을 사용하는 것은 보다 안정적으로 동기 획득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조건에 의해 수신부 1로 갈지 수신부 2를 선택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기준핑거가 제 1(또는 제2) 수신부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 해당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가 하나의 안테나를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Th_SNR) 이상이 되는지 판단한다(S46, S47).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만을 동작하는 상태로 천이된다(S48, S49). 만일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두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전력제어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 또한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고 있는 상태(S51)에서의 천이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 이전의 비트에러율(BER)을 검출하여(S52), 검출된 비트에러율(BER)이 수신기 하나만을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Th_1_change)이 되는지 판단한다(S5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 잡음비(SNR)을 획득하여(S54) 그 크기를 비교한다(S55).
더 큰 값을 갖는 수신부(안테나)의 신호대잡음비가 하나의 안테나를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Th_SNR) 이상이 되는지 판단한다(S56, S57).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만을 동작하는 상태로 천이된다(S58, S59). 만일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두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나, 수신 환경이 상당히 우수한 경우에, 한 수신부의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크고, Th_SNR(안테나 1개를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이상인 경우 하나의 수신부만 구동하도록 한다. 위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경우는 때때로 핑거(Finger)들이 동기를 놓쳐 천이하는데 시간이 상대적으로 도 4의 실시예에 비해 오래 걸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디지털 방송 단말기 전력제어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하나의 수신부만을 이용하여 수신(S61)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천이 흐름도를 보여준다. 주기적으로 대략 500㎳ 또는 1초마다 비터비 디코더 이전의 비트에러율(BER)을 검출한다(S62).
비터비 디코더 이전의 비트에러율(BER)이 유지조건(Th_1_steady)보다 작은 경우는 수신 환경이 상당히 우수한 경우이므로 계속 수신부 하나만을 구동한다. 그러나, Th_1_steady보다 큰 경우는 바로 두 개의 수신부 모두(Both)를 구동시킨다. 이 때 다른 안테나를 구동시킴에 있어, 빨리 다른 안테나가 안정화될 수 있도록 현재 수신부의 자동이득제어(AGC) 값을 읽어 다른 수신부에 반영시킨다. 실제적으로 두 수신부의 수신 환경은 거의 유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안테나 2개를 설치함으로 인해 수신 환경이 나쁜 경우에 대해 대비할 수 있으며, 수신 환경 품질에 따라 안테나를 자동 조절함에 따라 수신 환경이 좋은 경우에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무조건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큰 전력 소모 감소를 가져올 수 있으며, 안테나를 1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면적을 많이 참가하지만, 더 좋은 수신 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1)

  1. 삭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각각 안테나와, 튜너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 제2 수신부와;
    수신환경이 나쁜 경우 제 1 수신부와 제 2 수신부 모두 동작시키고, 수신환경이 좋은 경우 두 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도록 제1,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두 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시킬 때, 다른 수신부의 튜너부(Tuner) 또는 튜너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동작중인 어느 하나의 수신부에서 다른 수신부로 천이될 때,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는 시기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의 수신부만 동작하는 상태에서 두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로 천이될 때, 빠른 전환을 위해 자동이득제어 루프(Auto Gain Control loop)를 변환시켜 튜너부를 빨리 안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의 수신부만 동작하는 상태에서 두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로 천이될 때, 비동작중인 수신부의 튜너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자동이득제어 관련값을 동작중인 수신부와 동일한 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두 수신부 중 어느 하나로 천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CDM(Code Division Multilplexing) 채널을 복호하기 위한 CDM 복조기와;
    상기 CDM 복조기에서 두 안테나의 신호대잡음비(Signal Noise Ratio: SNR)를 추출하기 위한 SNR 추출부와;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ing) 이전의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을 검출하기 위한 BER 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터비 디코딩(Viterbi decoding) 이전의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과, CDM 복조부에서 얻어지는 두 안테나의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와, 동기 기준이 되는 핑거(finger)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부의 천이 조건을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비트에러율 검출의 주기는 500㎳ 내지 1초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모두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BER이 천이조건을 만족하고,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 중 SNR이 큰 값을 갖는 하나의 수신부만을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BER이 임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모두 동작시키기 위한 수신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모두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BER이 천이조건을 만족하고, 기준 핑거(Reference Finger)가 할당된 안테나의 SNR이 안테나 1개를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안테나와, 튜너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두 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부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 단말기에서, 수신 환경에 따라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모두 동작시키거나,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수신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동작중인 어느 하나의 수신부에서 다른 수신부로 천이될 때,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는 시기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갖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하나의 수신부만 동작하는 상태에서 두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로 천이될 때, 빠른 전환을 위해 자동이득제어 루프(Auto Gain Control loop)를 변환시켜 튜너부를 빨리 안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하나의 수신부만 동작하는 상태에서 두 수신부 모두 동작하는 상태로 천이될 때, 비동작중인 수신부의 튜너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자동이득제어 관련값을 동작중인 수신부와 동일한 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두 수신부가 모두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두 수신부 중 어느 하나로 천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동작 제어는 비터비 디코딩(Viterbi decoding) 이전의 비트에러율(Bit Error Rate: BER)과, CDM 복조부에서 얻어지는 두 안테나의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와, 동기 기준이 되는 핑거(finger)의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천이 조건을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비트에러율 검출 주기는 500㎳ 내지 1초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모두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BER이 천이조건을 만족하고,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 중 SNR이 큰 값을 갖는 하나의 수신부만을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가 모두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BER이 천이조건을 만족하고, 기준 핑거(Reference Finger)가 할당된 안테나의 SNR이 안테나 1개를 구동하여도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수신부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BER이 임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모두 동작시키기 위한 수신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30.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비트 에러율(BER)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된 비트 에러율(BER)이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을 동작시켜도 무방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와 기준 핑거(finger)의 할당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핑거들의 동기 기준으로 할당된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가 천이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조건을 만족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수신 경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31. 비터비 디코딩 이전의 비트 에러율(BER)을 검출하는 과정과;
    검출된 비트 에러율(BER)이 하나의 디지털 방송 수신부만을 동작시켜도 무방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두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더 큰 값을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신호대잡음비(SNR)가 천이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천이 조건을 만족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를 수신 경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의 전력 제어방법.
KR20050035940A 2005-04-29 2005-04-29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73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5940A KR100734368B1 (ko) 2005-04-29 2005-04-29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06112033A JP4351685B2 (ja) 2005-04-29 2006-04-14 デジタル放送受信端末機の電力制御装置
US11/413,384 US7711076B2 (en) 2005-04-29 2006-04-28 Power control for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NB2006100778278A CN100568751C (zh) 2005-04-29 2006-04-29 用于数字广播接收终端的功率控制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5940A KR100734368B1 (ko) 2005-04-29 2005-04-29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79A KR20060113079A (ko) 2006-11-02
KR100734368B1 true KR100734368B1 (ko) 2007-07-03

Family

ID=3719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35940A KR100734368B1 (ko) 2005-04-29 2005-04-29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1076B2 (ko)
JP (1) JP4351685B2 (ko)
KR (1) KR100734368B1 (ko)
CN (1) CN1005687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0580A1 (en) * 2006-03-16 2009-03-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versity receiver
US20080151871A1 (en) * 2006-12-22 2008-06-26 Nokia Corporation Power-Efficient Multi-Branch Reception
US8005446B2 (en) * 2007-02-05 2011-08-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operating upon received data at a receiving station capable of diversity operation
KR100893443B1 (ko) * 2007-06-14 2009-04-17 한국방송공사 중첩지역에서의 dmb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호 처리 방법및 장치
US8693579B2 (en) * 2007-10-10 2014-04-08 Newport Media, Inc. Switchable DVB-H receiver
KR100967846B1 (ko) * 2008-01-30 2010-07-05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이동 방송용 다이버시티 수신 방법 및 디지털 이동방송 수신기
JP2009273085A (ja) * 2008-05-12 2009-11-19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CN102088663B (zh) * 2009-12-04 2013-09-04 工业和信息化部电信传输研究所 一种实现多媒体广播组播业务的方法和装置
US8472943B1 (en) * 2010-06-03 2013-06-2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ultiple channel elements
US8498656B2 (en) * 2011-05-02 2013-07-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dle mode antenna switching
WO2013106950A1 (en) * 2012-01-21 2013-07-25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for controlling receiving diversity of a receiver and a mobile station
CN106612125B (zh) * 2015-10-22 2020-09-25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接收广播的设备和方法
CN106961294B (zh) * 2016-01-11 2020-12-2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通信装置和天线选择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506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파워 절약을 위한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2246B2 (ja) 1996-07-12 2002-04-08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199039B2 (ja) 1998-11-02 2001-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消費電力低減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消費電力低減方法
JP4160198B2 (ja) 1999-03-01 2008-10-01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0332665A (ja) 1999-05-20 2000-11-30 Toyota Motor Corp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および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
US6678508B1 (en) * 2000-02-07 2004-01-13 Ericsson Inc. Power conserv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two receivers
JP4167464B2 (ja) 2002-01-17 2008-10-1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デジタル通信受信装置
US7146134B2 (en) * 2002-02-09 2006-12-05 Dsp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diversity based upon receiver-side assessment of link quality
CN1723633B (zh) 2002-12-09 2011-10-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交叉耦合信道参数估计的分集接收器
JP3843077B2 (ja) 2003-03-26 2006-11-08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アダプティブアレイ処理制御方法、およびアダプティブアレイ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2004320528A (ja) 2003-04-17 2004-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KR100613566B1 (ko) 2004-07-01 2006-08-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응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506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파워 절약을 위한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5740A (zh) 2006-11-01
KR20060113079A (ko) 2006-11-02
JP4351685B2 (ja) 2009-10-28
CN100568751C (zh) 2009-12-09
US7711076B2 (en) 2010-05-04
JP2006311539A (ja) 2006-11-09
US20060245525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36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4220549B2 (ja) 受信装置
US20050254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diversity
US848333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process method
US8131235B2 (en) Radio receiver for hybrid broadcast systems
US20080250463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WO2007113902A1 (ja)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及び受信方式切替方法
US20060164563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05167873A (ja) 受信機、受信方法、受信制御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4015089A (ja) アンテナダイバシティ方式のデジタル無線受信機
US7535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diversity
JP2007116454A (ja)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
JP200513007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193384A (ja) 受信装置
JP2006352187A (ja) 受信装置及び受信アンテナ設定方法
JP2001285156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JP4381669B2 (ja) 受信装置
JP2002033687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信号の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
JP4841988B2 (ja) 感度設定装置を有する移動体搭載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82388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ttenuation function in cable broadcast receiver
KR100719117B1 (ko) 복수개의 안테나와 연결된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송 수신방법
JP2002033688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
JP2003304182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JP2006157148A (ja) 受信機
JP2005136820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における周波数ダイバシ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