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88B1 -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혈압 강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혈압 강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88B1
KR100732888B1 KR1020050126879A KR20050126879A KR100732888B1 KR 100732888 B1 KR100732888 B1 KR 100732888B1 KR 1020050126879 A KR1020050126879 A KR 1020050126879A KR 20050126879 A KR20050126879 A KR 20050126879A KR 100732888 B1 KR100732888 B1 KR 10073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rhubarb
active compounds
rhei rhiz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104A (ko
Inventor
김영섭
유시용
연규환
이병호
오광석
서호원
유미영
이정원
권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7006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104A/ko
Publication of KR10073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65Diphenyl-substituted acyclic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황(Rhei Rhizoma) 추출물, 피세아타놀(piceatannol), 입실론비니페린(ε-viniferin), 피시온(physcion) 또는 에모딘(emod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관 평활근 이완작용을 통해 우수한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내므로, 고혈압 및 고혈압의 합병증으로 인한 각종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뿐만 아니라 식품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HYPERTENSIVE EFFECT COMPRISING A RHEI RHIZOMA EXTRACT OR ACTIV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도 1은 흰쥐(rat)의 적출혈관에 대한 대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종의 활성성분(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및 에모딘) 각각의 혈관 평활근 이완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또는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압이란 맥관속을 흐르는 혈류의 압력, 즉 동맥압을 말하는 것으로, 어떤 원인에 의해 수축기 혈압이 120 mmHg(최대혈압) 이상이고 확장기 혈압이 80 mmHg(최저혈압)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이라고 한다.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크게 나뉘는데, 본태성 고혈압은 가족력을 비롯한 생활습관에 의해 발병되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반면, 이차성 고혈압은 다른 질환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병하는 질환으로서, 그 원인 질환이 치유되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이러한 고혈압은 기본적으로 교감신경계의 이상 활성, 세포막의 기능 이상, 신장에서의 물 및 Na 배설 장애, PGE2, PGI2, ANP 및 EDRF 등과 같은 혈압 강하제(antihypertensive agent)의 분비 저하, 또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또는 레닌-안지오텐신(renin-angiotensin) 등의 고혈압 조절기능의 이상 등이 원인이 된다. 즉, 신경계, 내분비계, 세포계의 이상은 말초 저항혈관의 압력증가를 가져오고 고혈압을 유발한다. 또한, 고혈압은 그 자체보다는 신부전증, 동맥경화, 뇌출혈, 뇌졸중, 실명, 심부전증 및 심장마비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인해서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서 이뇨제, 베타 차단제, 칼슘통로 억제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고혈압은 아직까지도 치료에 의한 완치보다는 고혈압을 조절하는 조절제로서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고혈압 치료를 시작하는 동시에 평생 동안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직특이성이나 내성에 따른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황(Rhei Rhizoma)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하품(下品)에 "미 고한(味苦寒)"으로 처음 기록된 이후 여러 본초서에 수록되어져 왔는데, 사하통편(瀉下通便), 청열해독(淸熱解毒), 파어통경(破瘀通經)의 효능으로 임상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대황은 마디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류인 장군풀,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 및 근경으로서 약 15종의 식물이 존재하는데, 이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장군풀(Rheum coreanum Nakail), 종대황(Rheum undulatum Linne) 등의 건조한 근 및 근경을 기원식물로 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장엽대황(Rheum palmatum Linne), 당고특대황(Rheum tanguticum Maxim) 및 약용대황(Rheum offcinale Baill) 등의 건조한 근 및 근경을 그 기원으로 삼고 있다.
대황은 주요 성분으로서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로서 레인(rhein), 에모딘(emodin), 알로에-에모딘(aloe-emodin), 크리소파놀(chrysophanol), 피시온(physcion), 이들의 배당체, 및 세노사이드(sennoside) A, B, C, D, E, F 등의 성분을 함유하며, 그 외에도 탄닌(tannin), 갈산(gallic acid), 시나몬산(cinnamonic acid), 리포산(lipoic acid), 프럭토즈(fructose) 및 다량의 전분(starch)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대황의 주된 약리작용은 사하작용이며, 이외에도 대황은 소화기계에 대해 소화효소 분비 억제작용, 이담작용을 나타내며, 항균작용, 지혈작용, 항암작용, 이뇨작용, 간기능 보호, 혈청지질 강하작용, 면역조절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황은 임상적으로 소화불량, 변비, 급성염증, 전염병, 기생충병, 출혈, 혈소판 감소증, 화상 및 피부병의 치료에 응용된다.
이와 같이, 대황의 효능과 관련하여 대황이 혈관의 이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서는 이제까지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관 평활근의 이완을 유도하여 고혈압 및 이로부터 야기되는 각종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 강하효과를 갖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세아타놀(piceatannol), 입실론비니페린(ε-viniferin), 피시온(physcion), 에모딘(emod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대황(Rhei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혈관 평활근 이완작용을 통해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내는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대황 추출물은 대황 또는 이의 건조물을 용매 추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건하여 세절한 대황에 대황 부피의 2 내지 20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고, 10 내지 30℃에서 1 내지 20일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일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함으로써 대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부탄올, 다이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80 내지 100% 메탄올 또는 메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이 얻어진 대황 추출물을 부탄올, 다이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재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재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따르면, 대황 또는 이의 건조물을 100% 메탄올을 사용하여 7일간 냉침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동량의 다이클로로메탄으로 분획하여 분리한 물층을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감압 농축함으로써 대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황 추출물로부터, 혈관 이완작용을 통해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내는 특정 활성성분을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역상 또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1 내지 2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상으로는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100:1 ∼ 1:1) 또는 헥산/에틸아세테이트(7:1 ∼ 1:1)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한 용매는 농도를 비극성에서 극성으로 순차적으로 올려주는 농도구배 용출방식(gradient elution)으로 용출 분리하며, 수집된 분리물의 혈압 강하효과를 측정하 여 원하는 활성 분획을 수득할 수 있다.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낸 활성 분획을 다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혈관 평활근 이완작용을 통해 우수한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내는, 하기 화학식 1의 피세아타놀(piceatannol), 화학식 2의 입실론비니페린(ε-viniferin), 화학식 3의 피시온(physcion) 및 화학식 4의 에모딘(emodin)을 수득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및 에모딘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5074940801-pat00001
Figure 112005074940801-pat00002
Figure 112005074940801-pat00003
Figure 112005074940801-pat00004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혈관 평활근 이완작용을 통해 우수한 혈압 강하효과를 나타내므로, 고혈압 또는 고혈압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고혈압이란 안정상태에서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 또는 평균 동맥압 등이 정상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하며, 통상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2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80mmHg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때를 말한다. 고혈압 합병증은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발생하는 질병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대동맥질환, 신장기능장애, 심부전증 및 시력장애가 포함된다. 상기 관상동맥질환의 예로는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을 들 수 있으며, 뇌혈관질환의 예로는 중풍, 뇌출혈, 뇌경색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종류의 혈압 강하제와 혼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활성성분으로서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절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상기한 기능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 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정제, 알약, 분말, 새세이(sachet), 엘릭서(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대황 추출물은 10 내지 3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체중의 범위이고,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1 내지 1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체중의 범위이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고혈압 및 고혈압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면 각종 식품류, 음료수, 스넥류, 과자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티백차, 인스턴트차, 과립, 향료,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식품 제조시 원료 물질에 첨가하거나 조리된 식품에 적절히 혼합하여 상기한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또는 음료 중에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에모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각각 0.01 내지 3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는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보완하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생약재 또는 이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생약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목단피, 삼백초, 귀전우, 상백피 및 연자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생약재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황 추출물의 제조 및 활성성분의 분리
건조된 대황 6 kg을 상온에서 메탄올 20 L에 일주일간 냉침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 650 g을 얻었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20 L에 현탁시킨 후, 동량의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분리된 물층을 다시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재추출하고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재추출물 117 g을 얻었으며, 남은 물층을 동결 건조시켰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재추출물 44 g을,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용액을 이동상으로서 3 ml/분의 유속으로 흘려주면서 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의 혼합비를 100:1에서부터 1:1까지 순차적으로 올려주는 농도구배 용출방식의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총 5개의 분획(제1분획 내지 제5분획)으로 나누었다. 이 중 제2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으로서 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7:1, 5:1, 1:1, 유속 3 ml/분)로 정제하여, 제2-2분획으로부터 30 mg의 피시온 및 90 mg의 에모딘을 분리하고, 제2-3분획 및 제2-4분획에 대해 다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50∼60% 메탄올)를 실시하여 120 mg의 피세아타놀 및 80 mg의 입실론비니페린을 분리하였다.
피세아타놀(담적색의 침상 결정)
MS m/z : 244[M]+; 1H-NMR (500 MHz, DMSO-d6) : 6.11 (1H, t, J = 2.0 Hz, H-4), 6.40 (2H, d, J = 2.0 Hz, H-2, 6), 6.74 (1H, d, J = 8.0 Hz, H-5'), 6.74 (1H, d, J = 16.0 Hz, olefinic H), 6.89 (1H, d, J = 16.0 Hz, olefinic H), 6.83 (1H, dd, J 2', 6' = 2.0 Hz, J 5', 6' = 8.0 Hz, H-6'), 6.97 (1H, d, J = 2.0 Hz, H-2'); 13C-NMR(125MHz, DMSO-d6) : 139.7 (C-1), 104.7 (C-2), 158.9 (C-3, 5), 102.1 (C-4), 104.7 (C-6), 129.0 (C-1'), 116.1 (C-2'), 145.9 (C-3'), 146.0 (C-4'), 113.4 (C-5'), 119.0 (C-6'), 125.9 (C-α), 128.7 (C-β).
입실론비니페린(담갈색의 무정형)
MS m/z : 455[M]+; 1H-NMR (500 MHz, DMSO-d6) : δ 6.07 (3H, br s, H-10a, 12a, 14a), 6.23 (1H, d, J = 2.0 Hz, H-12b), 6.54 (1H, d, J = 16.4 Hz, H-8b), 6.55 (1H, d, J = 2.0 Hz, H-14b), 6.67 (2H, d, J = 8.5 Hz, H-3b, 5b), 6.74 (2H, d, J = 8.5 Hz, H-3a, 5a), 6.84 (1H, d, J = 16.4 Hz, H-7b), 7.11 (4H, d, J = 8.5 Hz, H-2a, 6a, 2b, 6b), 9.37 (5H, br, D2O exchangeable OH); 13C-NMR (125MHz, DMSO-d6) : δ 131.7 (C-1a), 127.0 (C-2a, 6a), 115.2 (C-3a, 5a), 157.2 (C-4a), 92.3 (C-7a), 55.0 (C-8a), 146.0 (C-9a), 105.5 (C-10a, 14a), 158.6 (C-11a, 13a), 101.0 (C-12a), 127.9 (C-1b), 127.7 (C-2b, 6b), 115.4 (C-3b, 5b), 157.3 (C-4b), 128.9 (C-7b), 122.0 (C-8b), 134.8 (C-9b), 118.5 (C-10b), 160.7 (C-11b), 95.9 (C-12b), 158.4 (C-13b), 103.1 (C-14b).
피시온(황색 고체)
MS m/z : 284[M]+; 1H-NMR (500 MHz, DMSO + CDCl3) : δ 2.42 (3H, s, CH3), 3.92 (3H, s, OCH3), 6.74 (1H, s, H-7), 7.09 (1H, s, H-2), 7.32 (1H, s, H-5), 7.64 (1H, s, H-4), 12.06, 12.19 (1H each, s, OH); 13C-NMR(125MHz, DMSO + CDCl3) : δ 164.7 (C-1), 120.7 (C-2), 148.0 (C-3), 124.0 (C-4), 107.8 (C-5), 161.9 (C-6), 106.1 (C-7), 166.1 (C-8), 190.2 (C-9), 181.6 (C-10), 132.7 (C-4a), 110.2 (C-8a), 113.1 (C-9a), 134.7 (C-10a), 55.7 (OCH3), 21.7 (CH3).
에모딘(보라색 결정)
MS m/z : 270[M]+; 1H-NMR (500 MHz, DMSO-d6) : δ 2.38 (3H, s, CH3), 6.56 (1H, s, H-7), 7.07 (1H, s, H-2), 7.11 (1H, s, H-5), 7.42 (1H, s, H-4), 11.96, 12.04 (1H each, s, OH); 13C-NMR(125MHz, DMSO-d6) : δ 164.4 (C-1), 120.4 (C-2), 148.2 (C-3), 124.0 (C-4), 108.8 (C-5), 161.4 (C-6), 107.9 (C-7), 165.6 (C-8), 189.6 (C-9), 181.2 (C-10), 132.7 (C-4a), 108.7 (C-8a), 113.3 (C-9a), 135.0 (C-10a), 21.5 (CH3).
<실시예 2> 대황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들의 혈관 이완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대황의 메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재추출물,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및 에모딘 각각의 적출혈관 이완효과(즉, 혈압 강하효과로서 혈관수축제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스프라그-도우리(SD, 웅성)계 흰쥐 (오리엔트(Orient)사, 한국)를 항온(22.5±1℃), 항습 (55±5%) 및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자동 조절되는 청정 동물 사육실에서 최소한 2주 이상 안정화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SD계 흰쥐의 후두부를 강타하여 기절시킨 후 경동맥을 잘라 혈액을 유실시켰다. 흉곽을 절개한 후 하행성 대동맥을 신속하게 적출하고 내피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지방조직 및 주위조직을 제거하였다. 이로부터 혈관을 2 내지 3 mm 길이로 잘라 크렙스-헨셀레이트 생리용액 (Krebs-Henseleit 또는 Krebs' bicarbonate buffer: NaCl 118.0 mM, KCl 4.7 mM, CaCl2 2.5 mM, MgSO4 1.2 mM, KH2PO4 1.2 mM, NaHCO3 25.0 mM 및 글루코스 11.0 mM, 준세(Junsei)사, 일본, 이하 "K-H 생리용액"이라 함)이 담긴 조직 챔버(tissue chamber) 내에 현수하였다. 이때, 챔버 내의 온도는 37℃를 유지하였으며, O2/CO2 혼합 기체(O2:CO2=95:5)로 포화시켜 pH를 7.4로 유지하였다. 2 g의 초기장력으로 1시간 동안 평형화시켰으며, 15분 간격으로 신선한 K-H 생리용액으로 교환하였다. 혈관의 수축/이완성은 힘 변위 변환기(force displacement transducer, 제품명: 그라스(Grass) FT03, 그라스(Grass)사, 미국)를 통해 차트 기록기(chart recorder, 제품명: 멀티코더(Multicorder) MC 6625, 휴고 삭스(Hugo Sachs)사, 독 일)로 기록하였다.
적출혈관을 조직 챔버 내에서 적응시키기 위하여, 0.3 μM의 페닐에프린(phenylephrine, 시그마-알드리치사(Sigma-Aldrich Co.), 미국)으로 수축시킨 후, K-H 생리용액으로 45분에 걸쳐 3회 세척하였다. 상기 적출혈관을 다시 페닐에프린으로 수축시켜 안정상태에 도달한 후, 1 μM 아세틸콜린 클로라이드(acetylcholine chloride, 시그마 알드리치사, 미국)를 가해 혈관이 완전히 이완되는 것으로 혈관내피가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검체시료(대황의 메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재추출물,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및 에모딘 각각)는 디메틸설폭시드(DMSO)에 용해시킨 후 K-H 생리용액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최고농도에서의 DMSO 농도는 0.03%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약물 및 시약들은 실험 개시 직전에 조제하였다.
혈관 이완측정은 페닐에프린에 의해 수축된 혈관에 농도 누적법(1, 3, 10 및 30 ㎍/㎖)으로 시료를 가해 혈관의 이완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실험결과는 페닐에프린에 의해 수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이완되는 정도를 퍼센트(%)로 나타냈으며,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EC50 수치(50% 이완시키는 농도)를 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고,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및 에모딘 각각의 혈관 평활근 이완효과를 그래프로서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4940801-pat00005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정제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및 에모딘 모두가 우수한 혈관 이완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실시예 1에서 대황 메탄올 추출물을 다이클로로메탄 및 물로 각각 분획하여 얻은 다이클로로메탄 분획 및 물 분획을 검체시료로 하여 본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혈관 이완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이클로로메탄 분획 및 물 분획에 비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틸아세테이트 재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혈관 이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산제
하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산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대황 건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정제된 활성성분 2 g
유당 1 g
<제조예 2> 정제
하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대황 건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정제된 활성성분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제조예 3> 캡슐제
하기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대황 건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정제된 활성성분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제조예 4> 주사제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하기 나머지 성분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대황 건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정제된 활성성분 100 ㎎
주사용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제조예 5> 선식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대황 추출물 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대황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과립을 만들었다.
곡물류 : 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찹쌀 9 중량%,
종실류 : 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대황 추출물 건조 분말 3 중량%, 영지 0.5 중량%, 지황 0.5 중량%
<제조예 6> 츄잉껌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비스켓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늄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₁0.0001 중량%, 비타민 B₂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1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건강 음료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98.7362 중량%와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건강보조식품
스피루리나 55 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 중량%, 비타민 B₁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 중량%, DL-메티오닌 0.23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 중량%, 유당 22.2 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 중량%와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1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황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정제된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피시온 및 에모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혈관의 평활근 이완작용을 통한 혈압 강하효과가 우수하므로,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뿐만 아니라, 고혈압으로 야기되는 합병증, 즉 뇌졸중, 동맥경화, 허혈성 심장질환 및 울혈성 심부전 등과 같은 각종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피세아타놀(piceatannol), 입실론비니페린(ε-vinifer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대동맥질환, 신장기능장애, 심부전증 또는 시력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피세아타놀, 입실론비니페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압상승을 억제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음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6. 삭제
  7. 삭제
KR1020050126879A 2005-12-21 2005-12-21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혈압 강하용 조성물 KR10073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879A KR100732888B1 (ko) 2005-12-21 2005-12-21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혈압 강하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879A KR100732888B1 (ko) 2005-12-21 2005-12-21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혈압 강하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104A KR20070066104A (ko) 2007-06-27
KR100732888B1 true KR100732888B1 (ko) 2007-06-27

Family

ID=3837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879A KR100732888B1 (ko) 2005-12-21 2005-12-21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혈압 강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866B2 (en) 2008-01-18 2014-05-27 Yang Ji Chemical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31B1 (ko) * 2007-08-16 2009-01-14 한국식품연구원 포도나무 수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999458B1 (ko) * 2008-05-27 2010-12-09 한국화학연구원 피지온 글루코피라노사이드 또는 피지온을 포함하는조골세포 활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KR101048475B1 (ko) 2008-12-03 2011-07-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박테리아 사이토크롬 피450을 이용한 피세아타놀의 신규한 생산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723A (ko) * 2001-05-16 2002-11-23 김호철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대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40027100A (ko) * 2002-09-27 2004-04-01 배형섭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치료제 조성물
KR20050094278A (ko) * 2004-03-22 2005-09-27 광동제약 주식회사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성인병 예방 또는 치료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723A (ko) * 2001-05-16 2002-11-23 김호철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대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40027100A (ko) * 2002-09-27 2004-04-01 배형섭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치료제 조성물
KR20050094278A (ko) * 2004-03-22 2005-09-27 광동제약 주식회사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성인병 예방 또는 치료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4866B2 (en) 2008-01-18 2014-05-27 Yang Ji Chemical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104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029A (ko) 신규한 화합물 살비아놀릭산 l,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074839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역류성 식도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JP6517206B2 (ja) 新規肺線維症治療剤、その調整方法
KR102226119B1 (ko) 백수오, 한속단 및 참당귀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89093B1 (ko) 생강나무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32888B1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혈압 강하용 조성물
KR100732886B1 (ko) 목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KR100833652B1 (ko) Bace-1의 활성을 저해하는 파고지 종자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3560A (ko)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090079650A (ko) 큰까치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20045591A (ko)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2151B1 (ko) 돌나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을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182199B1 (ko) 단삼 추출물 또는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16273886B2 (en) A novel compound (KS 513)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y disease, inflammatory disease,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he use thereof
KR100860540B1 (ko) 포도나무 수피로부터 분리된 bace-1 저해 효과를 갖는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937394B1 (ko) 유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KR100633096B1 (ko) 데커신 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하는 혈관이완제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30222B1 (ko) 포도 줄기 껍질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60306A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2535526B1 (ko) 벌개미취에서 분리된 신규한 화합물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80064238A (ko) 삼백초 뿌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