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3560A -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560A
KR20240023560A KR1020240017894A KR20240017894A KR20240023560A KR 20240023560 A KR20240023560 A KR 20240023560A KR 1020240017894 A KR1020240017894 A KR 1020240017894A KR 20240017894 A KR20240017894 A KR 20240017894A KR 20240023560 A KR20240023560 A KR 2024002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ter buckwheat
extract
low temperature
buckwheat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김율호
손황배
홍수영
남정환
장동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4001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560A/ko
Publication of KR2024002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5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쓴메밀 추출물은 일반메밀 추출물에 비해 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루틴 함량 및 퀘세틴 함량이 높아 항산화능, 항염증 효과 및 NO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쓴메밀 추출물은 항염증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extract from Tartary buckwheat}
본 발명은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밀은 마디풀과(Poyon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캐나다, 이탈리아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량 또는 경관용 작물이다. 메밀은 생육기간이 60-80일로 짧고 토양과 재배지역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 작부체계상 유용한 작물로 활용되고 있다. 메밀의 대표적인 재배종으로는 일반메밀(단메밀, common buckwheat, sweet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과 쓴메밀(달단메밀, bitter buckwheat,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L. Gaertn)이 있다. 일반메밀은 중국 윈난성 지역이 원산지로 작물 또는 밀원식물로 5세기 중엽 이전부터 오랫동안 재배되어 왔으며, 쓴메밀은 중국 쓰촨성, 티베트, 카슈미르와 파키스탄 북부 지역에서 야생종으로 주로 발견되며 재배역사도 비교적 짧다.
메밀은 쓰임새가 다양하여 종자는 메밀가루 또는 국수로 이용되며, 어린순은 메밀싹으로 주로 메밀국수, 비빔밥, 메밀묵과 함께 요리된다. 또한 껍질을 제거한 후 메밀쌀을 로스팅한 후 차로도 이용된다.
메밀의 종자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루틴(rutin), 퀘세틴(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물질과 카테킨(catechins),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s)과 같은 페놀화합류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은 항산화, 항당뇨, 위 질환 효능, 항진균 및 항균활성,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 개선, 모세혈관 건강 향상, 미백개선, 비만 예방, 항암 및 항염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틴 성분은 quercetin-3-rutinoside 또는 sophorin이라 불리며 퀘세틴(quercetin)에 루티노스(rutinose)가 결합된 물질로서 강력한 항산화능, 항염증, 항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루틴은 알츠하이머를 유발시킨 마우스(mouse)에서 인지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학습과 기억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게다가 퀘세틴은 사람 구강 암세포 성장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이미 잘 알려진 항산화물질로는 butylated hydroxyanisole(BHA), butylated hydroxytoluene(BHT), tert-butylhydroquinone(TBHQ) 그리고 propylgallate(PG)와 같은 합성 항산화제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인지질 등의 천연 항산화제가 있으나, 최근에는 합성 항산화제의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는 물론 안전성과 부작용이 검증된 천연 항산화제 개발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 항산화제는 대부분 천연자원 유래의 항산화성 화합물로 줄기, 잎, 뿌리, 꽃, 종자 등의 많은 부분에 존재한다.
천연 항산화제는 주로 페놀화합물로서 자유라디칼(free radical) 및 활성산소의 생성억제나 활성을 저해하여 항산화 물질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염증반응이란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세균감염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의 하나로 손상된 조직을 재생시키는 기전이다. 염증이 만성으로 진행되면 조직을 손상하여 암으로의 진행을 유도할 수 있다.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는 대식세포(macrophage)로 알려져 있으며, 자극이나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 등에 의해 활성화되어, 염증성 사이토카인, NO, prostaglandin E2 (PGE2), histamine, serotonine, bradykinin, hydroxyeicosatetraenoic acid (HETE) 및 leukotriene를 생성함으로써 통증, 부종 및 열 등의 염증을 유발한다. 염증반응의 조절에는 비정상적인 자극에 다양한 면역세포가 관여하지만, 그 중 대식세포는 monocyte의 형태로 모든 조직 내에 분포하고 있어, 이상 자극에 즉각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염증을 유도하고 확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기존 연구에서 대식세포는 염증 유발물질 LPS에 의해 iNOS/NO의 생성이 증가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 분비가 증가된다고 보고 되었으며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도 구명되었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률과 사망률 증가에 따른 건강식에 대한 요구로 메밀에 대한 생산과 소비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메밀의 다양한 용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나(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2708), 쓴메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용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의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쓴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NO 생성 억제 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 및 iNOS mRNA 발현 감소효과를 통해 항염증 용도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쓴메밀(Tartary buckwhea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루틴의 함량이 증진된 쓴메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쓴메밀(Tartary buckwhea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쓴메밀(Tartary buckwheat)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쓴메밀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억제를 통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TNF-α 또는 IL-1β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쓴메밀을 증숙한 후 로스팅하는 단계; (b)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분쇄하여 쓴메밀 가루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루에 용매를 통과시켜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틴의 함량이 증진된 쓴메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a) 단계의 전처리 과정으로 쓴메밀을 증숙한 후 탈곡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로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c)단계에서 용매를 통과시키는 것은 상기 가루를 여과필터에 넣고 92~96℃의 용매에 통과시켜 5~15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c)단계에서 용매를 통과시키는 것은 상기 가루를 추출기에 넣고 상온의 용매를 2~8시간 동안 통과시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쓴메밀 추출물은 일반메밀 추출물에 비해 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루틴 함량 및 퀘세틴 함량이 높아 항산화능, 항염증 효과 및 NO 생성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쓴메밀 추출물은 항염증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메밀(양절메밀)과 쓴메밀(대관 3-7호) 2종의 메밀 종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표준물질과 쓴메밀 추출물 샘플의 루틴과 퀘세틴 표준물질의 피크에 대한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RT)을 비교한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Multi-mode microplate reader로 쓴메밀 추출물의 DPPH, ABTS,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표준물질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농도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반메밀 추출물(Common buckwheat, CB)과 쓴메밀 추출물(Tartary buckwheat, TB)의 농도별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것으로, 도 4a는 DPPH 소거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RAW 264.7 세포에 일반메밀 및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을 확인함으로써 세포독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RAW 264.7 세포에 일반메밀 및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고, NO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RAW 264.7 세포에 일반메밀 및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량을 비교한 것으로, 도 7a는 일반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TNF-α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TNF-α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7c는 일반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1β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7d는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1β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7e는 일반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6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7f는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6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LPS가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일반메밀 및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고 iNOS mRNA 발현을 비교한 것으로, 도 8a는 일반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NOS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NOS mRNA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LPS가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일반메밀 및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량을 비교한 것으로, 도 9a는 일반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TNF-α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TNF-α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9c는 일반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1β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9d는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1β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9e는 일반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6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9f는 쓴메밀 에탄올 추출물의 IL-6 생산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쓴메밀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0a는 탈곡된 쓴메밀 및 껍질이 있는 쓴메밀 및 탈곡된 일반메밀(알곡)의 가공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0b는 탈곡된 쓴메밀(알곡), 껍질이 있는 쓴메밀 및 탈곡된 일반메밀(알곡)의 알갱이 또는 가루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쓴메밀 추출방식에 관한 것으로, 도 11a는 침출식(기존 고온추출방식, 콜드블루방식) 및 여과식(더치방식, 핸드드립방식) 쓴메밀 추출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1b는 추출 방식에 따른 과정 및 실제 쓴메밀 추출 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c는 탈곡된 쓴메밀 가루 핸드드립 및 껍질이 있는 쓴메밀 가루 핸드드립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추출방식에 따른 유효성분(루틴, 퀘세틴,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추출방식에 따라 쓴메밀 추출물의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의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쓴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NO 생성 억제 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 및 iNOS mRNA 발현 감소효과를 통해 항염증 용도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쓴메밀(Tartary buckwhea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물질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침지 추출법, 고온 및 고압 증기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물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과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용매일 수 있으나,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쓴메밀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억제를 통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모든 사이토카인에 있어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TNF-α, IL-1β 또는 IL-6인 것이 바람직하고, TNF-α 또는 IL-1β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쓴메밀 추출물의 항염증 용도를 규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반메밀에 비해 쓴메밀 추출물에서 루틴의 함량이 약 65 내지 78 배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퀘세틴의 경우 일반메밀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쓴메밀 추출물에서만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법으로 쓴메밀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으며(실시예 3 참조), LPS를 처리한 RAW 264.7 염증을 유도하고 NO를 과다 생성하는 조건에서 쓴메밀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고(실시예 5 참조),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억제(실시예 6 참조) 및 mRNA 발현 조절(실시예 8 참조)을 확인함으로써 쓴메밀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쓴메밀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iNOS 단백질 및 mRNA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 참조).
상기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쓴메밀 추출물이 ABTS radical 소거 활성, NO 생성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억제, iNOS 단백질 및 mRNA 발현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쓴메밀 추출물은 염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의 형태인 경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쓴메밀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축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축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축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1 내지 5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형태인 경우, 특정보건용 식품,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및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으로 제조 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은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으로 혼용될 수 있으며,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가루,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 톨루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쓴메밀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 대상의 상태, 구체적인 병증의 종류,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품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피부 외용으로 사용하거나, 경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쓴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상기 쓴메밀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쓴메밀 추출물 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쓴메밀을 증숙한 후 로스팅하는 단계; (b)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분쇄하여 쓴메밀 가루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루에 용매를 통과시켜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루틴의 함량이 증진된 쓴메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쓴메밀은 껍질을 포함하는 쓴메밀 또는 껍질을 제거하여 탈곡된 쓴메밀을 알곡을 로스팅한 다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쓴메밀을 알곡형태로 사용하거나 분쇄하여 가루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쓴메밀은 용매에 직접 추출하는 침출식과 필터 등에 걸러서 추출하는 여과식으로 추출 할 수 있으며 추출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침출식 방식은 기존 고온 추출과 저온 추출인 콜드블루 방식을 포함하여, 여과식 추출방식은 콜드블루, 더치 및 핸드드립 방식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핸드드립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콜드블루" 추출방식은 물질을 상온 또는 차가운 물에 장시간 우려내 쓴맛이 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추출방식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탈곡된 다음 로스팅한 쓴메밀 및 껍질이 있는 상태로 로스팅한 쓴메밀을 가루 및 알곡 형태로 실온에서 추출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더치" 추출방식은 상온 또는 차가운 물을 속도조절을 하며 물질에 투여해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추출방식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탈곡된 다음 로스팅한 쓴메밀 및 껍질이 있는 상태로 로스팅한 쓴메밀을 가루 및 알곡 형태로 실온에서 추출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핸드드립" 추출방식은 중력의 원리를 이용해 필터에 뜨거운 물을 천천히 통과시켜 추출하는 여과식 추출방식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탈곡된 다음 로스팅한 쓴메밀 및 껍질이 있는 상태로 로스팅한 쓴메밀을 가루 형태로 고온(92~96℃)에서 추출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재료 준비 및 방법
1-1. 메밀 종자 준비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북위 37.40°, 동경 128.45°, 800 m)에 위치한 실험포장에서 2018년 7월에 파종하여 10월에 수확하고 20±5℃ 조건에서 한달간 자연건조한 일반메밀('양절메밀')과 쓴메밀('대관 3-7호') 2종의 종자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2종의 종자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건조된 종자를 분쇄기(Grinder SFM-555 SP, Shinil Co, Seoul, Korea)에서 마쇄하고 40 mesh체로 거른 후 가루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루 시료 50 g을 측정하여 70℃의 초저온냉동고에 보관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다시 건조하였다. 동결건조한 가루시료에 100배 가량의 80% 에탄올을 첨가하고 속슬렛추출기(Soxhlet heater DH-43, Jisico Sci, Seoul, Korea)를 활용하여 80℃ 항온수조에서 2시간 환류냉각추출(reflux extraction) 하여 유용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No. 6, Whatman, Maidstone, UK) 1장을 깔고 진공펌프(Vacuum Pump, GAST)로 여과한 후 볼륨 플라스크로 옮겨 100 mL로 정용하였다. 추출시료는 40℃에서 rotary evaporator(EYELA N-1000, EYELA Co, Tokyo, Japan)로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후에 70℃ 초저온에서 급속으로 동결 건조하였다. 건조된 추출물 시료의 무게를 평량하는 방법으로 추출 수율을 계산하고 일정 농도로 희석한 후 사용하였다.
1-2. 시약 준비
표준물질은 순도 99%의 루틴(Extrasynthese, Genay, France)과 퀘세틴(Extrasynthese, Genay, France) 2종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시약으로는 HPLC 순도의 아세토니트릴과 메탄올(Tedia Co. Cincinnati, OH, USA)과 포름산(formic acid,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증류수는 초순수증류수제조기(Milli-Q system, Millipore, Bedford, MO, USA)에서 정제한 초순수 물을 사용하였다.
1-3. 루틴 및 퀘세틴 분석
추출 시료는 초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UPLC) 분석을 위해 멤브레인 필터(PTFE 13mm 0.20 μm, PALL Life Sciences, Ann Arbor, MI, USA)로 다시 여과한 후 분석전까지 -2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UPLC분석은 Kim 등(2017b)의 방법으로 플라보노이드 정량 분석을 위해 UV detector를 장착한 UPLC(Acquity UPLC I-Class,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 기기와 분석 칼럼(Acquity UPLC CSH C18, 2.1 mm i,d, 100 mm length, 1.7 μm particle size,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으로는 용매 A(1% formic acid in water, v/v)와 용매 B(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v/v)를 사용하여 유속은 0.25 mL/min으로 일정하게 흘려주었다. 용매 이송은 gradient 방식으로, 용매 B를 7%의 농도로 처음 시작하여 2분에서 11분까지 17%로 증가시켰다. 이후 11분에서 13분까지 25%로 증가시킨 후 19분까지 그 농도를 유지시켰다. 이 후 용매 B를 19분에서 21분까지 25%에서 7%로 감소시켰으며 23분까지 2분간 7%의 농도로 안정화시켰다. 기기 내 칼럼 온도는 30℃로 설정하였고, 샘플 온도는 20℃로 각각 설정하였다. 관측에 사용된 검출 파장(detection wavelength)은 259 nm이고, 시료주입량은 1 μL로 하였다. 도 2에 사용된 표준물질 루틴과 퀘세틴의 피크와 추출물 샘플의 각 피크를 표준물질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RT)과 비교하여 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내었다. 표준물질의 루틴과 퀘세틴 RT는 각각 9.23와 18.51 min이었다. 루틴과 퀘세틴 함량(mg/100 g, 동결건조한 종자 기준)을 표준물질의 UPLC 피크 면적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루틴과 퀘세틴 검량선의 선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물질 농도별로 UPLC로 분석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회귀식과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를 하였다. 회귀식의 y를 피크 면적, x를 표준물질 농도로 하고, a를 기울기(slope), b를 절편(intercept)으로 하여 y=ax+b값을 계산하였다.
1-4. 항산화 활성 분석
시료의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루틴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2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항산화 분석은 UV/VIS absorbance를 장착한 Multimode microplate reader(Cytation 5 cell imaging multimode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 기기로 측정하였다. Multi-mode microplate reader로 분석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Aldrich) radical 소거법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인해 환원되어 보라색이 탈색에 의해 나타내는 정도를 지표로 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96 well plate에 표준물질과 샘플 추출물 50 μL를 첨가한 후 0.2 mM DPPH 용액(99.9% ethanol에 용해) 200 μ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반응 후 520 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시료 100 g당 mg T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로 표현하였다. DPPH 보정선의 선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물질 농도별(0.000, 0.023, 0.034, 0.045, 0.056, 0.083 mg/mL)로 6반복으로 multi-mode microplate reader로 분석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회귀식과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0.9974)를 하였다. 회귀식의 y를 피크 면적, x를 표준물질 농도로 하고, a를 기울기(slope), b를 절편(intercept)으로 하여 y=ax+b값(y=15.511x+1.4871)을 계산하였다.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igma-Aldric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에 의해 ABTS+가 소거되어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ABTS 7.4 mM과 potassium persulphate 2.6 mM을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1.4-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Х104 M1·cm1)를 이용하여 메탄올로 희석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96 well plate에 표준물질과 샘플 추출물 50 μL를 넣고, 희석된 ABTS 용액 200 μ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60분간 반응 후 734 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시료 100 g당 mg TE로 표현하였다. ABTS 보정선의 선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물질 농도별(0.000, 0.023, 0.034, 0.045, 0.056, 0.083 mg/mL)로 6반복으로 multi-mode microplate reader로 분석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회귀식과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0.9997)를 하였다. 회귀식의 y를 피크 면적, x를 표준물질 농도로 하고, a를 기울기(slope), b를 절편(intercept)으로 하여 y=ax+b값(y=13.918x+1.3175)을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주황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 96 well plate에 표준물질과 샘플 추출물 50 μL에 증류수 100 μL와 5% NaNO2 15 μL를 넣은 다음, 5분 후 10% AlCl36(H2O) 30 μL를 가하여 6분 반응시키면 표준물질이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 때 1 N NaOH 100 μL를 첨가하고, 11 분 후 표준물질이 주황색으로 변한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510 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rutin(Sigma-Aldrich)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시료 100 g당 mg rutin equivalent (RE, dry basis)로 나타내었다. 플라보노이드 보정선의 선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물질 농도별(0.000, 0.025, 0.050, 0.100, 0.200, 0.400 mg/mL)로 6반복으로 multi-mode microplate reader로 분석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회귀식과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0.9997)를 하였다. 회귀식의 y를 피크 면적, x를 표준물질 농도로 하고, a를 기울기(slope), b를 절편(intercept)으로 하여 y=ax+b값(y=1.7424x+0.038)을 계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가 추출물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96 well plate에 표준물질과 샘플 추출물 50 μL와 2% Na2CO3 용액 200 μL를 가한 후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50% Folin-Ciocalteu reagent (Sigma-Aldrich) 20μL를 가하였다. 30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50 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인 갈릭산(Sigma-Aldrich)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시료 100 g당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 dry basis)로 나타내었다. 폴리페놀 보정선의 선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물질 농도별(0.000, 0.025, 0.050, 0.100, 0.200, 0.400 mg/mL)로 6번 반복하며 multi-mode microplate reader로 분석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회귀식과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0.9963)를 하였다. 회귀식의 y를 피크 면적, x를 표준물질 농도로 하고, a를 기울기(slope), b를 절편(intercept)으로 하여 y=ax+b값(y=1.776x+0.0565)을 계산하였다.
1-5. 세포배양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에서 분양을 받아 실험에 이용하였다. RAW 264.7 세포주는 배양용기에 Dulbecco's modified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DMEM, Life Technologies Inc, Brand Island, NY, USA), 10% fetal bovine serum(FBS, HycloneTM, GE healthcare life sciences, Chicago, IL, USA), 100 U/mL penicillin(HycloneTM, GE healthcare life sciences) 및 100 μg/mL streptomycine (HycloneTM, GE healthcare life sciences)을 첨가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배양기에서 37℃와 5% CO2를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메밀 시료 추출물은 dimethyl sulfoxide(DMSO, Sigma-Aldrich)에 녹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NO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확인하기 위해 LPS 1 μg/mL(Sigma Aldrich Co.)를 처리하여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유도하였다.
1-6. 세포독성 측정
시료의 세포독성은 MTT assay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세포를 96 well plate에 1Х105 cells/m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고 시료를 6.25-40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후 24시간 배양 후 MTT solution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igma-Aldrich)]을 첨가하였다.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suction하고, 형성된 formazan에 DMSO (Sigma-Aldrich)를 200 μL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흔들면서(shaking) 녹인 다음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다.
1-7. NO 생성량 측정
NO 생성량은 배양액 내의 nitrite 농도를 Griess reactio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는 배지를 이용하여 2×105 cells/m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1시간 후 세포에 1 μg/mL의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재 배양한 후, 배양액을 수거하였다. 배양액 상층액을 동량의 Griess reagent(Promega Co, Madison, WI, USA)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의 NO의 생성량은 표준물질인 sodium nitrite (NaNO2)의 농도별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NO의 positive control로는 LNIL (40 μM)을 사용하였다.
1-8.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분비량 측정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분비량 측정 RAW 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한 후 생성된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24 well plate에 2×105 cells/m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킨 뒤에 시료를 농도 별로 전처리한 뒤 1시간 후에 LPS를 1 μg/mL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enzyme immunoassay(EIA) kits (BD Bio-science, Sand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kit에 제시된 실험방법대로 수행하였다.
1-9. 웨스턴블랏 분석
시료를 100, 200, 400 μg/mL로 1시간 전처리 후, LPS를 1 μg/mL이 되도록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RAW 264.7 세포를 1×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용액으로 씻어 낸 뒤, lysisbuffer [50 mM HEPES (pH 7.4), 150 mM NaCl, 5 mM EDTA, 1% deoxycholate, 5 mM phenyl-metylsulfonylfluride (PMSF), 1 μg/mL aprotinin, 1% Triton X-100, and 0.1% NP-40]인 PROPREP protein extraction solution(Intron Biotechnology, Sungnam, Korea)에 용해하였다. 세포 용해액을 4℃에서 30분 반응 후, 15,000 rpm에서 30분 원심 분리하여 세포막 성분을 제거하고, 상등액만 회수하였다. 단백질의 정량은 Bradford protein assays (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595 nm의 흡광도로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standard로는 bovine serum albumin (BSA)를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 후 sample buffer에 넣고 5분간 끓인 뒤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을 이용하여 전개하였다. 전개된 gel을 PVDF membrane에 transfer한 후, 비특이적인 단백질에 대해 5% 탈지분유(non-fat milk block solution)에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membrane에 각각의 1차 항체를 첨가하여 4℃에서 over night시켰다. 이후 Tween 20/TBS로 10분간 3번씩 세척하고, 2차 항체로는 anti-rabbit 또는 antimouse IgG-horseradish peroxidase (HRP)를 사용하여 반응시켰다. 이어서 단백질은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solution (American Pharmacia Biotech, NY, USA)을 감광시켜 Chemi-DocTM Imaging Systems (Bio-Rad)을 이용하여 발현을 확인하였다.
1-10. Quantiative real-time RT-PCR에 의한 mRNA 분석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1 mL EasyBlue reagent (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로 세포를 분리한 후, 200 μL chloroform을 첨가하여 15,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 500 μL를 분취 한 후 동량의 isopropanol을 첨가한 뒤, 15,000 rpm으로 5분 동안 4℃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1 mL DEPC-EtOH을 첨가하여 세척한 뒤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DEPC-DW를 첨가하여 RNA를 녹이고 Nanodrop을 이용하여 RNA 농도를 측정하였다. TOPscript TM cDNA synthesis kit (Enzynomics,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m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다. 타깃 mRNA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real-time PCR은 SYBR Premix Ex Taq (Takara Bio Inc. Shiga, Japan)을 이용하여 한 후 SYBR Thermal Cycler Dice Real-Time PCR System (Takara Bio Inc.)에서 수행하였다. 각 mRNA의 primer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Gene Sequence
iNOS forward 5'-CATGCTACTGGAGGTGGGTG-3'
reverse 5'-CATTGATCTCCGTGACAGCC-3'
IL-6 forward 5'-GAGGATACCACTCCCAACAGACC-3'
reverse 5'-TGCAGAGTTCCCCAACTGGTACATC-3'
TNF-α forward 5'-AGCACAGAAAGCATGATCCG-3'
reverse 5'-CTGATGAGAGGGAGGCCATT-3'
IL-1β forward 5'-GTGCTGCCTAATGTCCCCTTGAATC-3'
reverse 5'-TGCAGAGTTCCCCAACTGGTACATC-3'
β-actin forward 5'-ATCACTATTGGCAACGAGCG-3'
reverse 5'-TCAGCAATGCCTGGGTACAT-3'
1-11. 통계 분석
모든 실험 결과의 측정값은 반복 실시한 결과를 평균±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었고, 각 평균치간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Graphpad prism software t-test와 one way ANOVA 분석을 수행하였고, 평균값의 유의성은 p-value로 검정하였다.
실시예 2. 루틴 및 퀘세틴 함량 확인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루틴과 퀘세틴 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쓴메밀의 루틴 함량은 85.1-1,386.1 mg/100 g로 일반메밀의 루틴 함량보다 65-78배 높았다. 퀘세틴 성분은 쓴메밀에서만 검출(19.6-286.4 mg/100 g) 되었다.
Species Cont.
(μg/mL)
Rutin
(mg/100g)
Quercetin
(mg /100g DW)
CB 1)


TB 2)
100
200
400
100
200
400
1.3±0.13)
4.6±0.4
17.8±0.3
85.1±0.8
329.7±2.5
1,386.1±13.7
N.D.
N.D.
N.D.
19.6±4.4
68.1±3.1
286.4±14.9
1)CB; common buckwheat. 2)TB; Tartary buckwheat.
3)Mean±S.D. (n=6).
실시예 3. 항산화 활성 확인
일반메밀과 쓴메밀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은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법으로 평가한 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PH radical 소거 활성(400 μg/mL)은 일반메밀 추출물이 223-1,138 mg TE/100 g, 쓴메밀 추출물은 292-2,317 mg TE/100 g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메밀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400 μg/mL)은 910 mg TE/100 g과 쓴메밀 추출물은 1,076 mg TE/100 g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보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2.0배, ABTS radical 소거능은 1.2배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c 및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쓴메밀 추출물은 일반메밀 추출물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에서도 각각 최대 2.0배(1,655 mg/100 g)와 1.8배(1,370 mg/100 g)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4. 세포독성 평가
항염증 평가에 사용된 RAW 264.7 세포를 대상으로 메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을 대상으로 6.25-400 μg/mL의 다양한 농도범위에서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의 생존율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100% 가까운 것으로 조사되어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NO 생성 억제 확인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LPS를 처리하여 RAW 264.7 세포에 염증을 유도하고 NO를 과다 생성하는 조건을 만들었다. 여기에 메밀 추출물을 처리하여 NO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 (1 μg/mL) 단독 처리군은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생성된 NO의 양에서 약 10배 이상의 증가를 보여 염증반응이 충분히 활성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의 각 시료를 100, 200 및 400 μg /mL 농도로 처리한 뒤, NO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일반메밀 추출물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인 NO 생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쓴메밀 추출물에서는 NO 생성량이 LPS 처리군와 비교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쓴메밀 추출물 100 μg/mL 처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200 μg/mL과 400 μg/mL 농도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400 μg/mL 농도에서 LPS군 대비 10.86±4.31% 감소하였다. 쓴메밀 추출물에 의한 NO 생성 감소는 루틴(100 μM) 처리군 (7.27±2.18%)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생성 억제 효과 확인
메밀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 메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TNF-α와 IL-1β 생성은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 처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일반메밀 추출물(TNF-α IC50: >400 μg/mL; IL-1β IC50: 271.24 μg/ mL)에 비해 쓴메밀 추출물(TNF-α IC50: 118.31 μg/mL: IL-1β IC50: <100 μg/mL)의 억제 효과가 현저했다. IL-6 생성은 쓴메밀 추출물(IC50: 239.07 μg/mL)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일반메밀 추출물에서는 생성 억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쓴메밀 추출물은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바, 초기 염증 뿐만 아니라 후천성 면역과 관련된 염증의 억제에도 효과가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실시예 7. iNOS 단백질과 mRNA 발현 확인
일반 메밀 및 쓴메밀 추출물을 이용하여 iNOS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쓴메밀 추출물에서는 LPS에 의한 iNOS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일반 메밀 추출물은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단백질 발현에서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쓴메밀 추출물에 의한 iNOS 단백질 감소가 유전자 전사 억제를 통해 나타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iNOS mRNA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쓴메밀 추출물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iNOS mRNA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나, 일반 메밀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iNOS mRNA 발현 저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쓴메밀 추출물은 iNOS mRNA발현 억제를 통해 iNOS 단백질에 의한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앞선 실험에서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에 비해 NO 저해 효과가 우수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8.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및 IL-6) mRNA 발현에 대한 영향 확인
메밀 추출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즉, TNF-α, IL-1β 및 IL-6 생성 억제가 유전자의 발현 단계에서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NF-α, IL-1β 및 IL-6의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메밀 추출물의 경우 TNF-α와 IL-1β의 mRNA 발현은 감소되었으나, IL-6의 mRNA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쓴메밀 추출물에서는 TNF-α, IL-1β 및 IL-6의 mRNA 발현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반메밀과 쓴메밀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량 억제효과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쓴메밀 추출물이 일반메밀 추출물에 비해 TNF-α, IL-1β 및 IL-6의 mRNA를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추출조건(온도 및 방법)에 따른 쓴메밀의 루틴 함량 확인
쓴메밀을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처리는 크게 원료이용 단계, 스팀 단계, 메밀쌀 단계, 로스팅 단계를 포함하는 가공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원료이용 단계는 메밀 수확 후 선발작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고, 스팀단계는 선발된 종자를 고압에서 증숙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스팀처리한 종자는 루틴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메밀쌀 단계는 선별기에 종자를 투입하여 분류과정을 거쳐 쭉정이를 제거하고 멧돌방식으로 껍질을 분리하여 메밀쌀을 얻는 과정이며, 로스팅 단계는 로스팅 기계에 원적외선으로 70-80 ℃에서 2-3분 동안 로스팅하면 알곡이 갈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게 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b 종류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밀 시료의 종류를 쓴메밀을 탈곡시킨 후 볶는 탈곡 쓴메밀 및 껍질째 볶는 껍질이 있는 쓴메밀로 수행하였으며, 껍질을 제거한 탈곡 쓴메밀 및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껍질 쓴메밀 각각의 구체적인 가공 과정을 하기에 나타내었다.
9-1. 탈곡 쓴메밀(껍질을 제거한 쓴메밀) 가공
쓴메밀 종자를 25℃ 온도의 물에 3~4시간 동안 불리고, 스팀찜기를 사용하여 100℃에서 30~40분간 쪄서 증숙된 쓴메밀을 제조하였다. 상기 증숙된 메밀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30~40℃ 온도에서 2일 내지 3일간 건조시키고, 껍질제거기를 이용하여 껍질을 제거하여 탈곡된 메밀쌀을 제조하였다. 상기 메밀쌀을 열풍식 로스터기를 사용하여 70~80℃에서 2~3분간 중배전하여 로스팅하였다.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은 추출방법에 따라 알곡 또는 가루형태로 사용하였으며, 쓴메밀을 가루형태로 사용할 경우 분쇄기(R-300, FujiRoyal, Osaka, Japan)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9-2.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쓴메밀 가공
쓴메밀 종자를 25℃ 온도의 물에 3~4시간 동안 불리고, 스팀찜기를 사용하여 100℃에서 30~40분간 쪄서 증숙된 메밀을 제조하였다. 상기 증숙된 메밀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30~40℃ 온도에서 2일 내지 3일간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쓴메밀을 열풍식 로스터기에서 70~80℃에서 2~3분간 중배전하여 로스팅하였다.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은 추출방법에 따라 알곡 또는 가루형태로 사용하였으며, 쓴메밀을 가루형태로 사용할 경우 분쇄기(R-300, FujiRoyal, Osaka, Japan)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9-3. 쓴메밀 추출 방식에 따른 유효성분(루틴, 퀘세틴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확인
메밀의 추출온도 및 추출방법에 따른 루틴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껍질을 제거한 탈곡 쓴메밀 및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껍질쓴메밀의 가공단계를 달리하고 침출식 또는 여과식 추출방식으로 추출한 쓴메밀 추출물의 루틴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때, 도 11a 나타낸 바와 같이, 추출방식을 다양하게 분석하기 위해 물에 직접 담가서 추출하는 침출식과 필터 등에 걸러서 추출하는 여과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여과식 추출방식으로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드블루, 더치 및 핸드드립 방식을 이용하였다.
먼저, 콜드블루 방식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탈곡된 쓴메밀 및 껍질이 있는 쓴메밀의 알곡과 가루형태를 망에 담아 용기에 넣고 실온의 물을 투여한 뒤 2, 4, 6, 8시간 동안 천천히 우려낸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또한, 더치 방식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2, 4, 6, 8시간 동안 속도조절을 통해 실온의 물을 물방울 형태로 떨어지게 하여 탈곡된 쓴메밀 및 껍질이 있는 쓴메밀의 알곡 또는 가루에 서서히 스며들며 침출시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이에 더하여, 핸드드립 방식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탈곡된 쓴메밀 및 껍질이 있는 쓴메밀의 알곡 또는 가루를 종이필터에 투여하고, 정수기 물을 이용한 저온(10~26℃) 및 고온(80~96℃)의 물을 통과시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추출방식, 온도 및 가공형태에 따라 조건을 달리하여 탈곡된 쓴메밀 또는 껍질이 있는 쓴메밀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방식에 따라 우러난 물의 루틴, 퀘세틴 및 플라보노이드의 평균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 [표 3]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구분 처리방법 처리온도 시간 시료 동결건조기준 평균(mg/100g)
순서 Rutin Quercetin Flavonoid
탈곡 쓴메밀 로스팅( 쓴메밀 알곡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1-a 257.0 1.9 258.9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b 133.4 0.6 134.0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1-c 30.7 0.1 30.8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d 15.7 0.1 15.8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2-a 270.2 3.4 273.6
저온 4시간 처리2-b 307.6 1.4 309.1
저온 6시간 처리2-c 276.9 1.3 278.2
저온 8시간 처리2-d 248.2 1.0 249.2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3-a 74.8 0.1 74.9
저온 4시간 처리3-b 57.3 0.1 57.4
저온 6시간 처리3-c 62.3 0.1 62.4
저온 8시간 처리3-d 94.4 0.1 94.5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4-a 237.1 0.7 237.8
저온 4시간 처리4-b 305.2 0.9 306.1
저온 6시간 처리4-c 243.1 0.7 243.8
저온 8시간 처리4-d 218.9 0.7 219.7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5-a 495.8 4.5 500.3
저온 4시간 처리5-b 495.5 6.8 502.3
저온 6시간 처리5-c 415.0 4.8 419.7
저온 8시간 처리5-d 313.4 2.6 315.9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6-a 1060.0 7.2 1067.2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6-b 257.0 1.7 258.8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6-c 137.3 0.5 137.8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6-d 125.3 0.1 125.4
껍질이 있는 쓴메밀 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7-a 48.4 1.0 49.4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7-b 26.9 0.8 27.7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7-c 87.9 1.3 89.1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7-d 15.2 0.1 15.2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8-a 57.8 0.3 58.1
저온 4시간 처리8-b 60.4 0.1 60.5
저온 6시간 처리8-c 75.4 0.3 75.7
저온 8시간 처리8-d 86.0 0.3 86.3
가루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9-a 79.2 0.5 79.8
저온 4시간 처리9-b 145.1 0.7 145.8
저온 6시간 처리9-c 127.2 0.7 127.9
저온 8시간 처리9-d 163.5 0.9 164.5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0-a 21.6 0.1 21.6
저온 4시간 처리10-b 18.5 0.1 18.5
저온 6시간 처리10-c 22.7 0.2 22.9
저온 8시간 처리10-d 20.4 0.1 20.5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1-a 637.2 5.0 642.2
저온 4시간 처리11-b 717.5 5.8 723.3
저온 6시간 처리11-c 535.6 4.8 540.4
저온 8시간 처리11-d 430.4 2.1 432.6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12-a 646.2 14.4 660.6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12-b 32.9 0.7 33.6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12-c 299.3 3.1 302.4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12-d 24.6 0.2 24.7
탈곡된 일반메밀 로스팅(일반메밀 알곡 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13-a 3.0 0.1 3.1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3-b 2.2 0.1 2.3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13-c 2.8 0.1 2.8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3-d 2.0 0.1 2.1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14-a 3.3 0.1 3.4
저온 4시간 처리14-b 2.9 0.1 3.0
저온 6시간 처리14-c 4.6 0.1 4.7
저온 8시간 처리14-d 4.9 0.1 5.0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15-a 2.3 0.1 2.4
저온 4시간 처리15-b 2.4 0.1 2.5
저온 6시간 처리15-c 3.0 0.1 3.0
저온 8시간 처리15-d 3.3 0.1 3.4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6-a 2.1 0.1 2.2
저온 4시간 처리16-b 2.2 0.1 2.3
저온 6시간 처리16-c 2.1 0.1 2.2
저온 8시간 처리16-d 2.3 0.1 2.3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7-a 8.4 0.1 8.5
저온 4시간 처리17-b 8.2 0.1 8.3
저온 6시간 처리17-c 11.4 0.1 11.5
저온 8시간 처리17-d 9.5 0.1 9.5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18-a 7.1 0.1 7.1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18-b 2.8 0.1 2.8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18-c 4.8 0.1 4.9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18-d 2.1 0.1 2.2
대조 쓴메밀 시료 종자     쓴메밀 시료 종자 455.0 14.6 469.6
일반메밀 시료 종자     일반메밀 시료 종자 214.9 21.9 236.7
쓴메밀 시료 가루     쓴메밀 시료 가루 1414.4 37.5 1451.9
일반메밀 시료 가루     일반메밀 시료 가루 843.2 63.8 907.0
상기 결과로부터, 종류에 있어서는 탈곡된 쓴메밀(쓴메밀 알곡), 껍질이 있는 쓴메밀, 일반메밀 추출물 순으로 루틴 추출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침출식(콜드블루, 고온추출)에 비해 여과식(핸드드립, 더치방식)이 루틴 추출 효율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추출방식에 따르면 핸드드립, 더치방식, 콜드블루방식, 기존 고온 침출 방식 순으로 루틴 추출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처리 온도는 저온보다는 고온이 효과적이며,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교적 루틴 추출이 잘 이루어 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메밀 형태별로는 알갱이에 비해 가루가 루틴 추출 효율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탈곡 쓴메밀 추출방식에 있어서는 가루형태로 고온에서 핸드드립으로 추출하는 방식(처리 6-a)이 루틴, 퀘세틴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껍질 쓴메밀의 경우 가루형태의 더치 추출방식(처리 11-a) 및 핸드드립 추출방식(처리 12-a)으로 추출한 경우에 루틴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탈곡된 쓴메밀의 핸드드립 추출방식의 경우 대조군인 알곡 침출식 추출방식에 비해 루틴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5배 이상, 퀘세틴 함량이 약 3배 정도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9-4. 쓴메밀 추출 방식에 따른 색도색차계 분석
추출방식에 따라 우러나온 추출물의 우림색을 분석하기 위하여 색도색차계 결과를 확인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처리방법 처리온도 시간 시료 색도색차계
밝기 L 적색도 a 황색도 b
탈곡 쓴메밀 로스팅( 쓴메밀 알곡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1-a 25.8 0.0 9.6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b 35.0 -1.8 11.7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1-c 36.4 -3.0 6.9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d 38.4 -1.4 3.6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2-a 28.8 1.1 11.8
저온 4시간 처리2-b 27.1 2.1 10.8
저온 6시간 처리2-c 24.2 3.2 9.5
저온 8시간 처리2-d 22.7 3.7 8.5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3-a 37.0 -2.5 10.8
저온 4시간 처리3-b 39.0 -2.9 11.1
저온 6시간 처리3-c 37.0 -2.6 11.5
저온 8시간 처리3-d 33.0 -1.4 12.0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4-a 31.0 -0.4 12.5
저온 4시간 처리4-b 26.6 2.8 10.7
저온 6시간 처리4-c 26.8 2.4 10.7
저온 8시간 처리4-d 28.1 2.1 11.7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5-a 20.7 5.1 6.3
저온 4시간 처리5-b 18.9 5.2 4.2
저온 6시간 처리5-c 19.3 5.5 4.6
저온 8시간 처리5-d 18.9 5.5 4.5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6-a 17.6 4.3 2.5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6-b 24.4 2.0 9.8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6-c 20.0 4.4 5.8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6-d 32.6 -1.7 11.2
껍질이 있는 쓴메밀 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7-a 29.1 3.1 11.6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7-b 37.1 -1.5 9.8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7-c 29.5 2.0 11.8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7-d 40.7 -1.6 5.3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8-a 34.0 0.9 13.0
저온 4시간 처리8-b 33.0 1.4 12.7
저온 6시간 처리8-c 29.5 2.8 12.4
저온 8시간 처리8-d 28.1 3.7 11.9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9-a 32.3 0.2 12.1
저온 4시간 처리9-b 28.6 2.6 11.3
저온 6시간 처리9-c 27.6 2.7 11.5
저온 8시간 처리9-d 24.8 3.9 9.8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0-a 39.0 -1.4 7.1
저온 4시간 처리10-b 39.8 -1.6 7.4
저온 6시간 처리10-c 38.2 -1.5 8.5
저온 8시간 처리10-d 38.3 -1.5 8.8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1-a 18.7 5.5 3.4
저온 4시간 처리11-b 18.2 5.4 3.2
저온 6시간 처리11-c 17.7 5.7 3.1
저온 8시간 처리11-d 15.7 4.6 1.8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12-a 18.3 5.6 2.4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12-b 32.8 -0.6 11.7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12-c 22.8 4.3 7.9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12-d 37.1 -1.8 8.6
탈곡된 일반메밀 로스팅(일반메밀 알곡 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13-a 31.7 0.0 5.2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3-b 32.5 0.1 1.9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13-c 28.4 0.3 2.8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3-d 32.1 0.5 0.2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14-a 32.0 -0.3 6.5
저온 4시간 처리14-b 29.1 0.0 7.0
저온 6시간 처리14-c 31.8 -0.1 7.9
저온 8시간 처리14-d 28.5 0.1 7.3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15-a 29.2 0.4 1.9
저온 4시간 처리15-b 26.1 0.5 2.7
저온 6시간 처리15-c 30.0 0.2 3.8
저온 8시간 처리15-d 27.1 0.4 4.1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6-a 41.2 0.2 0.6
저온 4시간 처리16-b 40.6 0.0 0.3
저온 6시간 처리16-c 39.6 0.0 0.7
저온 8시간 처리16-d 38.2 -0.2 1.9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7-a 29.0 -0.2 4.0
저온 4시간 처리17-b 29.0 -0.1 6.2
저온 6시간 처리17-c 27.5 0.4 7.1
저온 8시간 처리17-d 26.7 1.0 8.1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18-a 22.6 1.1 4.6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18-b 35.0 0.4 7.6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18-c 31.1 -0.6 8.9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18-d 35.7 0.1 0.8
상기 색도색차계 결과로부터, 탈곡 쓴메밀 로스팅 또는 껍질이 있는 쓴메밀 로스팅 모두 가루 더치 방식에서 우림색이 가장 진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9-4. 쓴메밀 추출 방식에 따른 식미 평가
탈곡 쓴메밀, 껍질이 있는 쓴메밀 및 일반메밀 추출물의 추출방식에 따른 추출물의 식미를 구수한맛, 단맛, 쓴맛으로 분류하여 하기 [표 5]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식미 평가는 0 내지 5점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0 : 느끼지 못함, 1 : 매우 약하게 느껴짐, 2 : 약하게 느껴짐, 3 : 상당히 느껴짐, 4 : 강하게 느껴짐, 5 : 매우 강하게 느껴짐).
구분 처리방법 처리온도 시간 시료 디테일한 맛 선호도
구수한맛 단맛 쓴맛
탈곡 쓴메밀 로스팅( 쓴메밀 알곡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1-a 2.0 3.0 2.0 2.0 2.0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b 1.0 1.0 1.0 0.0 2.0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1-c 2.0 2.0 3.0 1.0 3.0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d 2.0 1.0 1.0 1.0 3.0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2-a 3.0 3.0 3.0 0.0 4.0
저온 4시간 처리2-b 3.0 2.0 2.0 1.0 3.3
저온 6시간 처리2-c 3.0 2.0 1.0 1.0 3.7
저온 8시간 처리2-d 3.0 3.0 3.0 2.0 3.7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3-a 2.0 2.0 2.0 1.0 2.0
저온 4시간 처리3-b 2.0 2.0 2.0 1.0 2.0
저온 6시간 처리3-c 3.0 3.0 3.0 2.0 3.0
저온 8시간 처리3-d 3.0 3.0 4.0 2.0 4.7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4-a 2.0 3.0 3.0 2.0 4.7
저온 4시간 처리4-b 2.0 2.0 2.0 3.0 3.3
저온 6시간 처리4-c 2.0 2.0 2.0 2.0 3.3
저온 8시간 처리4-d 2.0 1.0 1.0 2.0 2.0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5-a 4.0 4.0 1.0 3.0 2.0
저온 4시간 처리5-b 4.0 4.0 1.0 4.0 2.0
저온 6시간 처리5-c 4.0 4.0 3.0 4.0 3.0
저온 8시간 처리5-d 5.0 5.0 2.0 5.0 2.3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6-a 4.3 4.0 1.0 5.0 3.0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6-b 4.3 4.0 2.0 2.0 3.0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6-c 4.0 3.0 3.0 3.0 2.0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6-d 3.0 3.0 2.0 1.0 2.0
껍질이 있는 쓴메밀 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7-a 2.0 3.0 2.0 1.0 2.0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7-b 3.0 3.0 1.0 2.0 2.0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7-c 2.0 1.0 1.0 3.0 1.0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7-d 1.0 1.0 0.0 0.0 1.0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8-a 3.0 0.0 1.0 3.0 1.0
저온 4시간 처리8-b 3.0 0.0 1.0 3.0 1.0
저온 6시간 처리8-c 4.0 0.0 1.0 3.0 1.0
저온 8시간 처리8-d 4.0 2.0 2.0 3.0 1.0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9-a 1.0 1.0 1.0 1.0 2.0
저온 4시간 처리9-b 2.0 1.0 2.0 2.0 2.0
저온 6시간 처리9-c 2.0 1.0 2.0 3.0 3.0
저온 8시간 처리9-d 3.0 2.0 2.0 2.0 1.0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0-a 1.0 1.0 1.0 4.0 1.0
저온 4시간 처리10-b 1.0 1.0 1.0 3.0 1.0
저온 6시간 처리10-c 1.0 2.0 2.0 3.0 2.0
저온 8시간 처리10-d 1.0 2.0 2.0 2.0 2.0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1-a 3.0 3.0 3.0 4.0 3.0
저온 4시간 처리11-b 3.0 1.0 1.0 4.0 1.0
저온 6시간 처리11-c 4.0 3.0 2.0 4.0 2.0
저온 8시간 처리11-d 4.0 3.0 2.0 4.0 1.0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12-a 4.0 4.0 2.0 4.0 2.0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12-b 2.0 4.0 2.0 2.0 2.0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12-c 3.0 4.0 3.0 1.0 5.0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12-d 3.0 4.0 3.0 1.0 4.0
탈곡된 일반메밀 로스팅(일반메밀 알곡 로스팅) 알갱이고온추출(대조) 고온 10분 처리13-a 1.0 2.0 2.0 0.0 1.0
알갱이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3-b 0.0 1.0 1.0 0.0 0.0
가루고온추출 고온 10분 처리13-c 1.0 1.0 2.0 0.0 0.0
가루 저온추출 저온 10분 처리13-d 0.0 0.0 1.0 0.0 0.0
알갱이콜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14-a 3.0 3.0 2.0 0.0 2.0
저온 4시간 처리14-b 2.0 3.0 2.0 0.0 1.0
저온 6시간 처리14-c 3.0 3.0 2.0 0.0 2.0
저온 8시간 처리14-d 3.0 4.0 3.0 0.0 4.0
가루골드블루 저온 2시간 처리15-a 1.0 1.0 1.0 0.0 0.0
저온 4시간 처리15-b 1.0 1.0 1.0 0.0 0.0
저온 6시간 처리15-c 1.0 2.0 1.0 0.0 1.0
저온 8시간 처리15-d 2.0 3.0 2.0 0.0 2.0
알갱이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6-a 1.0 1.0 1.0 0.0 1.0
저온 4시간 처리16-b 1.0 1.0 1.0 0.0 1.0
저온 6시간 처리16-c 1.0 1.3 1.0 0.0 1.0
저온 8시간 처리16-d 1.0 1.3 1.0 0.0 1.0
가루더치방식 저온 2시간 처리17-a 3.0 4.0 3.0 0.0 3.0
저온 4시간 처리17-b 3.0 4.0 3.0 0.0 3.0
저온 6시간 처리17-c 2.0 2.0 2.0 0.0 2.0
저온 8시간 처리17-d 2.0 2.0 2.0 0.0 2.0
가루 드립 고온 10분 처리18-a 2.0 3.0 2.0 0.0 3.0
알갱이 드립 고온 10분 처리18-b 1.0 2.0 1.0 0.0 1.0
가루드립 저온 10분 처리18-c 2.0 2.0 1.0 0.0 2.0
알갱이드립 저온 10분 처리18-d 1.0 2.0 1.0 0.0 0.0
상기 결과로부터, 탈곡 쓴메밀 또는 껍질이 있는 쓴메밀 모두 가루 더치방식, 드립, 콜드블루 6~8시간에서 가장 향이 진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맛의 경우 탈곡 쓴메밀 가루 콜드블루 방식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쓴맛의 경우 탈곡 쓴메밀 알곡로스팅 또는 껍질이 있는 쓴메밀 모두 가루 더치방식이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메밀에 비해 쓴메밀이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쓴메밀 중에서도 쓴메밀 가루 핸드드립 저온 10분(처리 12-c)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이밖에도 탈곡된 쓴메밀 알곡 로스팅의 알갱이 콜드블루 저온 처리(처리 2-a), 쓴메밀 알곡 로스팅의 가루 콜드블루 저온 처리 8시간(처리 3-d), 쓴메밀 알곡로스팅의 알갱이 더치 저온 처리 2시간(처리 4-a), 껍질이 있는, 껍질이 있는 쓴메밀의 알갱이 드립 저온 10분(처리 12-d)가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a) 쓴메밀(Tartary buckwheat)을 탈곡하여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탈곡된 쓴메밀을 증숙한 후 로스팅하는 단계; 및
    (c-1)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용기에 넣고 92~96℃의 물을 투여하여 5~15분 동안 추출하여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c-2)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용기에 넣고 상온의 물을 투여하여 5~15분 동안 추출하여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c-3)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망에 담아 용기에 넣고 상온의 물을 투여하여 2~8시간 동안 추출하여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c-4)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추출기에 넣고 상온의 물을 통과시켜 2~8시간 동안 추출하여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c-5)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분쇄하여 쓴메밀 가루를 수득하고, 상기 가루를 여과필터에 넣고 92~96℃의 물을 통과시켜 5~15분 동안 추출하여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c-6)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여과필터에 넣고 92~96℃의 물을 통과시켜 5~15분 동안 추출하여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거나,
    (c-7) 상기 로스팅된 쓴메밀을 여과필터에 넣고 상온의 물을 통과시켜 2~8시간 동안 추출하여 쓴메밀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쓴메밀 추출물의 루틴 함량 증가방법.
  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루틴 함량이 증가된 쓴메밀(Tartary buckwheat) 추출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쓴메밀(Tartary buckwheat)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억제를 통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쓴메밀 추출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TNF-α 또는 IL-1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쓴메밀 추출물.
KR1020240017894A 2020-06-05 2024-02-06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40023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7894A KR20240023560A (ko) 2020-06-05 2024-02-06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48A KR20210151478A (ko) 2020-06-05 2020-06-05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220159678A KR20220163330A (ko) 2020-06-05 2022-11-24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240017894A KR20240023560A (ko) 2020-06-05 2024-02-06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9678A Division KR20220163330A (ko) 2020-06-05 2022-11-24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560A true KR20240023560A (ko) 2024-02-22

Family

ID=7893517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348A KR20210151478A (ko) 2020-06-05 2020-06-05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220159678A KR20220163330A (ko) 2020-06-05 2022-11-24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240017894A KR20240023560A (ko) 2020-06-05 2024-02-06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348A KR20210151478A (ko) 2020-06-05 2020-06-05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220159678A KR20220163330A (ko) 2020-06-05 2022-11-24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1514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919A (ko)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디자인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478A (ko) 2021-12-14
KR20220163330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23560A (ko) 쓴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20170094903A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35500B1 (ko) 고함량 아베난쓰라마이드의 발아 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2535353A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KR101673204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20210048933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0904859B1 (ko) 보라밸리 감자의 생즙 및 전분을 이용한 위염, 위궤양 및십이지장궤양 환자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KR20070033236A (ko) 엘라그산, 엘라지탄닌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KR101403355B1 (ko)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Lim et al. Fagopyrum esculentum
KR102158661B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1714B1 (ko) 오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86633B1 (ko)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50928B1 (ko) 능실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임산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67702B1 (ko) 천궁 추출물 및 남가새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04862B1 (ko) 레드킹밸리 감자의 생즙 및 전분을 이용한 위염, 위궤양 및십이지장궤양 환자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KR20220157172A (ko) 두충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