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633B1 -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633B1
KR102486633B1 KR1020200103471A KR20200103471A KR102486633B1 KR 102486633 B1 KR102486633 B1 KR 102486633B1 KR 1020200103471 A KR1020200103471 A KR 1020200103471A KR 20200103471 A KR20200103471 A KR 20200103471A KR 102486633 B1 KR102486633 B1 KR 10248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mposition
ergosterol peroxide
obesi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118A (ko
Inventor
박영진
정용운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0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ergosterol peroxide; EP)를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는 3T3-L1 세포의 분화, 증식 및 지방생성과 관련된 PPARγ, C/EBPα, FAS, FAT, ACC, SREBP-1, ERK, JNK 및 p38의 발현을 우수하게 억제하므로 지방축적억제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섯가지 복합천연추출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현저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Description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or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ergosterol peroxid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ergosterol peroxide; E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또는 항비만 (anti-obesity)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이다. 세계 보건기구 (WHO)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인구의 39%가 과체중이고 6억 5천만 명 중 13% 이상이 비만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비만은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암 및 뇌졸중을 포함한 많은 질병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에너지 소비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지방 조직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한다. 지방 조직의 증가는 분화된 지방 세포 수의 증가 및 지질 축적으로 인한 지방 세포 크기의 증가로 야기된다. 따라서 지방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는 것은 비만 및 관련 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3T3-L1지방 전구 세포 (preadipocytes)에서 지방세포 (adipocytes)로의 분화는 세포의 성장 정지, 체세포 복제에 의한 증가 및 분화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세포간 접합에 의해 성장이 중지된 지방 전구 세포 (preadipocytes)의 세포주기는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및 인슐린 (insulin)을 함유하는 세포 분화 유도 배지에 의해 분화가 시작된다. 세포 분열에 의한 세포 수의 증가는 세포외 신호조절 인산화효소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및 p38을 포함하는 유사분열물질 단백질 인산화 효소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경로의 활성화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 과정은 또한 CCAAT/증강제-결합 단백질 베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β) 및 CCAAT/증강제-결합 단백질 델타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delta; C/EBPδ)를 포함한 초기 지방 생성 전사 인자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전사 인자는 또한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및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를 자극하는데, 이는 분화 과정을 매개하는 필수적인 전사 인자이다. 전사 인자에 의해 발현된 PPARγ 및 C/EBPα는 서로 상호 작용하고, 각각은 서로의 발현을 촉진시킨다. 각각의 독립적인 역할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PPARγ의 역할이 더 지배적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PPARγ와 C/EBPα의 상호 작용은 지방산 합성 효소 (fatty acid synthase; FAS), stearoyl-coenzyme A desaturase 1 (SCD-1), 아세틸조효소A 카르복실라아제 (acetyl-coenzyme A carboxylase; ACC) 및 fatty acid translocase (FAT)를 포함하는 지방 세포 특이적 아디포카인 (adipokines)의 발현을 유도하고 스테롤 조절인자 결합단백질-1c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전사 인자 또한 지방 세포 분화를 조절한다.
한편,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ergosterol peroxide)는 염증 및 암세포 증식을 억제 할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세포사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는 1947년 누룩곰팡이속인 아스퍼질러스 (Aspergillus)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조류 (algae), 지의류 (lichens), 산호 (corals) 및 버섯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체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영지버섯 (Ganoderma lucidum), 잔나비불로초 (Ganoderma applanatum),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및 동충하초 (Cordyceps militaris)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버섯 자실체 또는 균사체 추출물이 비만과 관련 대사 질환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ergosterol peroxide) 자체에 의한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 및 지방 축적억제 효과에 대하여 연구 내지 기재는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이용하여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용도를 확인하였고, 즉, 이를 이용하여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지방축적 억제 또는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가 효과적인 지방축적 억제 또는 항비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20086599238-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및 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세포 분화 및 지방 생성 전사인자PPARγ 및 C/EBPα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세포 지방 생성 인자인 FAS, FAT, ACC, SCD-1 및 SREBP-1c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세포 증식 및 분화 전사인자인 ERK, JNK 및 p38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세포 지방 생성 인자인 FAS, FAT, ACC, SCD-1 및 SREBP-1c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는 5μM 내지 25μ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ergosterol peroxide)는 분화된 3T3-L1 세포의 지방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축적을 감소시키고, 3T3-L1 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인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 및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지방 세포의 지방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fatty acid synthase (FAS), fatty acid translocase (FAT), 및 acetyl-coenzyme A carboxylase (ACC)의 발현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지방 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경로의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terminal kinase (JNK) 및 p38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실질적으로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지방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지방세포에 대한 지방생성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지방세포에 대한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및 CC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의 발현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지방세포에 대한 지방 생합성 관련 유전자 (adipokines) 발현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지방세포에 대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경로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포함한 복합천연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에 대한 지방생성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 내지 도 6e는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포함한 천연추출물 각각의 지방생성억제 결과이고, 도 6f 내지 도 6i는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포함한 복합천연추출물의 여러조합의 지방생성억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86599238-pat00002
본 발명의 유효물질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표현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유효물질의 염기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떨어뜨리지 않는 유효물질의 염기 화합물의 어떠한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이들 염은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질산, 황산, 과염소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산, 푸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타타르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옥살산, (D) 또는 (L) 말산, 말레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4-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시트르산, 벤조산 또는 말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염은 알칼리 금속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 및 알칼리 토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산부가염으로는 아세테이트, 아스파테이트, 벤즈에이트, 베실레이트,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보레이트, 캄실레이트, 시트레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실레이트, 포메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큐로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하이벤제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디드/요오디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2-나프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나이트레이트, 오로테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수소 포스페이트/이수소 포스페이트, 사카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알루미늄, 알기닌, 벤자틴,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올아민, 글라이신, 라이신, 마그네슘, 메글루민, 올아민,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아연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유효물질을 유기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하여 제조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하거나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 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유효물질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및 분무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으며, 주사 제형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과 결합하여 사용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용어는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조성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여러 요소, 예를 들면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 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동물실험을 통해 결정한 유효량으로부터 인간에 사용되는 양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한 양의 결정시 고려할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Hardman and Limbir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2001), Pergamon Press; 및 E.W. Martin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1990), Mack Publishing Co.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생물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 전달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 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이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 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주사 제형으로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0.0001 ~ 10 ㎎/㎖이며, 바람직하게는 0.0001 ~ 5 ㎎/㎖이며, 하루 일 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다양한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항비만 약학적 조성물과 함께 투여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병용 투여는 기존의 항비만 조성물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항비만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 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화장품학적 유효량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화장수 등의 화장품 및 샴푸, 비누 등의 세정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 (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천연추출물은 구인 추출물, 왕겨 추출물, 양파껍질 추출물, 토끼풀 추출물 및 강낭콩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구인 (蚓, Lumbricus)’은 지렁이과 (Mrgascilecidae) 동물인 지렁이 (Pheretima communisima Goto et Hatai)를 말린 것으로 비옥한 습지대의 땅 속에 있는 지렁이를 봄부터 가을 사이에 잡아 배를 갈라 흙을 씻어내고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 것이다. 구인에는 많은 종류의 생리활성 물질이 있다. 구인은 열을 내리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며 독을 제거한다. 지렁이에는 용혈 (溶血) 성분인 럼브리틴 (lumbritin), 해열 성분인 럼브리페브린 (lumbrifebrine), 기관지 평활근 이완 성분인 히포크산틴, 독성분 등이 들어 있으며 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이 몹시 나면서 경련이 이는 데 주로 쓰며, 황달, 후두염, 배뇨 장애, 관절통, 반신불수, 기관지 천식, 고혈압증, 회충증에도 쓰인다. 현재까지 알려진 구인에 대한 연구 결과로는 평활근에 대한 작용, 해열작용, 항경련 작용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항혈전 작용, 항고혈압작용 및 뇌혈류량 증가 등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져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325004호에 지렁이 건조 분말을 사용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제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814201호에 지렁이를 습식분쇄하고 원침시킨 뒤 그 상등액을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유효성분으로 룸브로키나제를 함유하는 항위궤양용 또는 위궤양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557892호에 황토 지렁이 분말, 이를 이용하는 의약부외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의 ‘왕겨 (rice hull)’는 조섬유 35~46%, 가용성 당질 22~35%, 회분 13~21%, 조단백질 2~3% 및 다양한 무기물들이 들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활성상태의 비타민 B군을 비롯하여 Na, Mg, Ca, K, Mn, Zn, Fe, Al, Si와 같은 다양한 미네랄과 폴리페놀과 같은 항산화물질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왕겨에는 특히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활성상태의 비타민 B군이 풍부하여 이를 제대로 활용한다면 비타민 B군이 결핍된 백미식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현미식에 가까운 효과를 얻게 되고, 이를 통해 비만, 당뇨, 변비, 고혈압, 심근경색과 같은 대사와 관련된 질병을 개선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양파껍질’은 퀘르세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퀘르세틴은 양파껍질에 양파알맹이 보다 약 300배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퀘르세틴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이다. 최근 밝혀진 연구 결과에 따르면 퀘르세틴은 우리 몸에서 항산화 작용, 항암, 항혈전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퀘르세틴 영양제가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토끼풀 (Trifolium repens L)’은 유럽이 원산이며, 목초로 심던 것이 번져 나와 귀화식물로 야생화하였다. 상기 토끼풀은 ‘클로버 (Clover)’라고도 불리운다. 높이는 20~30cm이며, 포기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잎자루는 길이 5~15cm로서 길다. 작은 잎은 3개이지만 4개가 달린 것도 있으며 거꾸로 된 심장모양이고 길이 15~25mm, 너비 10~25mm 정도이다. 전초에는 올타코자놀, 트리아칸타놀, 리나마린, 피니톨, 로타우스트랄린, 쿠메스테롤, 멜리스산, 트리페르펜사포닌 (아글루콘은 소야사포게놀 A, B, C), 다프노레틴, 트리폴레올, 비쿠올, 움벨레페론, 아데닌, 크산틴, 히포크산틴, 180mg%의 아스코르브산, 1.4~6.7mg%의 카로틴이 있다. 잎에는 쿠에르세틴-3-글루코시드, 포르모노네틴, 7,4-디히드록시플라본, 7,3,4-트리히드록시플라본, 씨에 미리세틴, 꽃에 타닌질, 트리폴린, 이소트리폴린, 정유가 있다. 지상부에는 여성호르몬과 amino acid 성분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토끼풀에 대한 항비만 작용기전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의 ‘강낭콩’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콩과 식물이다. 키가 작은 종류와 덩굴을 뻗으면서 자라는 종류가 있다. 덩굴을 뻗는 강낭콩은 수확기간이 길고, 키 작은 종류는 여름 장마철 이전에 수확한다. 강낭콩에는 단백질, 지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기질과 비타민과 같은 영양분을 고루 함유한 영양식품이다. 특히, 비타민 B 복합체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을 높혀주며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 로이신, 트립토판이 풍부해서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빈혈에도 좋고, 사포닌이 들어 있어서 항암작용이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 세포 독성 확인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가 3T3-L1 지방 전구 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MTT [3-(4,5-dimethrylthiazol-2-yl)-2,5-dipheyltetrazolium bromide]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3T3-L1 세포를 NBCS10 % NBCS (소 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2 × 104 cells/well로 동일하게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EPO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다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용액을 최종 0.5mg/ml 농도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배지를 제거하고 1ml의 DMSO (dimethyl sulfoxide; DaeJung, Korea)로 MTT-formazan crystal을 용해시킨 후 96-well plate에 200μl씩 옮겨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3회 반복 측정한 값을 평균 및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농도 (10, 20, 40, 60, 80 및 100μM)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는 3T3-L1의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 세포 분화 및 지방 생성 억제능 확인
본 실험을 통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가 3T3-L1 지방 전구 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지방생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지방 전구 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위해 3T3-L1 세포를 NBCS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6-well plate에 1.2 × 105 cells/well로 동일하게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새로운 배지로 교환 후 72시간 후-배양 (post-confluent)을 통해 세포 성장 정지를 유도하고, 10% FBS 및 MDI [0.5mM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 1μM Dexamethasone, 1μg/ml insulin]를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3T3-L1 세포 분화 유도는 2일 마다 배지를 교환하며 총 8일 동안 지속하였다. 이후 분화 2일차에는 FBS와 1μg/ml의 insulin만을 처리하였고, 4일차부터는 FBS만을 처리하여 3T3-L1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시료의 처리는 분화 개시와 함께 2일 마다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10μM 또는 20μM로 처리하고 최종적으로 40 (10μM × 4회)μM 또는 80 (20 μM × 4회)μM의 EPO를 처리하였다. 또한 분화된 지방세포가 생성한 지방의 도식화 및 정량적 분석을 위해 Oil red O 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 및 분화가 유도된 성숙한 지방세포의 배양 배지를 제거한 뒤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 formalin 2ml을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 후 포르말린 (formalin)을 제거하고 다시 PBS로 2회 세포를 세척한 뒤 0.35% Oil red O 를 2ml씩 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후 3차 증류수로 세포를 3회 세척한 후, 100 배율 역상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100% isopropanol을 가하여 oil red O를 용해시킨 뒤 96-well plate에 200μl씩 옮겨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염색 된 지방 소립의 정량적 분석은 3회 반복 측정한 값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분화군에서는 지방 소립이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분화 유도 약물인 MDI를 처리한 분화군 에서는 다량의 염색된 지방 소립이 관찰되었다. 또한, 분화 유도와 함께 10μM 및 20μM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군에서는 지방 소립이 분화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Oil red O 염색에 의한 상대적 정량 값은 좌측 그래프부터 각각 23.52±0.31%, 100.00±0.59%, 74.94±0.55%, 48.32±0.40%로 나타났다. 즉, MDI 처리에 의해 분화된 지방 세포의 지방 소립 축적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10μM 및20 μM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처리는 MDI에 의한 지방 소립 축적의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 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전사인자 PPARγ 및 C/EBPα 발현 억제능 확인
본 실험을 통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가 3T3-L1 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 전사인자인 PPARγ 및 C/EBP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 및 분화가 유도된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1ml TRIzol reagent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하여 세포를 용해하였다. 반응 후 200μl의 chloroform을 첨가하여 10회 vortex한 후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하였다. 4℃, 14,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 200μl를 회수하였다. 동량의 이소프로필 알콜 (isopropyl alcohol)을 첨가하여 inverting하고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하였다. 이후 4℃, 14,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RNA pellet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RNA pellet에 1ml의 70% ethanol을 첨가하고 inverting 후 4℃, 14,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뒤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얻어진 RNA pellet은 50μl의 DEPC-treated water에 용해한 뒤 nano-drop UV/Vis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total RNA의 농도 및 순도를 결정하였다. 1μg의 total RNA에 2μl의 50μM oligo-dT primer를 혼합하여 DEPC-treated water로 총 부피를 17μl로 보정한 다음 70℃에서 5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후 2μl의 10mM dNTP, 5μl의 5 × RT buffer 및 1μl의 200 unit/μl M-MLV RTase를 첨가하고 25℃에서 5분, 42℃에서 60분, 70℃에서 15분 동안 반응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합성한 cDNA를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 100ng에 0.1mM forward 및 reverse primer (표 1) 각각 1μl, 2 × SensiFast SYBR NO-ROX kit buffer를 10μl 첨가한 뒤 DEPC-treated water로 총 부피를 20μl로 보정하였다.
Primer 정방향 (Forward) 프라이머 (5’-3’) 역방향 (Reverse) 프라이머 (5’-3’)
GAPDH AAGAAGGTGGTGAAGCAGGCATC CGAAGGTGGAAGAGTGGGAGTTG
PPARγ TTCAGCTCTGGGATGACCTT CGAAGTTGGTGGGCCAGAAT
C/EBPα GTGTGCACGTCTATGCTAAACCA GCCGTTAGTGAAGAGTCTCAGTTTG
ACC GCGTCGGGTAGATCCAGTT CTCAGTGGGGCTTAGCTCTG
FAS TTGCTGGCACTACAGAATGC AACAGCCTCAGAGCGACAAT
FAT TAGTAGAACCGGGCCACGTA CAGTTCCGATCACAGCCCAT
SCD1 CATCGCCTGCTCTACCCTTT GAACTGCGCTTGGAAACCTG
SREBP-1c ATCGCAAACAAGCTGACCTG AGATCCAGGTTTGAGGTGGG
qRT-PCR 반응은 RotorGene 6000를 이용하여 three step method에 따라 50℃ 10분, 95℃ 5분 반응 후, 95℃ 10초, 60℃ 30초, 72℃ 20초의 조건으로 49 cycle 동안 반응하였다. qRT-PCR 분석은 동일한 조건으로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를 기준으로 ΔCt 값을 산출하고 2-ΔΔCt 값으로 절대 정량 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또한, 단백질 발현 분석을 위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 및 분화가 유도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cell scraper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는 12,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protease inhibitor cocktail solution, 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 solution가 포함된 RIPA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를 100μl 분주하여 4℃에서 30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14,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해 단백질을 수득하였다. 단백질의 정량을 위해 수득한 단백질 5μl를 bradford solution 495μl에 혼합하여 96-well plate에 200μl씩 옮겨 담아 59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 검량 곡선에 따라 같은 농도로 표준화 후 4 × SDS-PAGE loading dye [40% glycerol, 8% SDS, 0.04% bromophenol blue, 5% β-mercaptoethanol, 240mM Tris-HCl buffer (pH 6.8)]와 혼합하여 10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Western blot 분석을 위해 total protein을 12% SDS-PAGE gel에 10μg씩 분주하여 80V, 500mA에서 40분, 200V, 500mA에서 80분 동안 전기영동 하였다. 이후 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에 45V, 500mA에서 90분 동안 전개된 단백질을 전이하였다. 전이가 완료된 membrane은 5% BSA (bovine serum albumin)과 함께 상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Blocking된 membrane은 3% BSA용액에 PPARγ, C/EBPα, FAS, SCD-1, FAT 및 ACC 및 β-actin 1차 항체를 각각 1:1,000으로 희석하여 4℃에서 1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1차 항체 부착을 마친 membrane은 TBS-T buffer로 10 분씩 3회 세척 후 1% BSA 용액에 표적 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ion 2차 항체를 1:5,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한 뒤 TBS-T buffer [25mM Tris, 192 mM glycine, 0.1% (v/v) tween 20 (pH 7.6)]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 표적 단백질은 AmershamTM ECLTM prime과 3분 동안 암반응 후 C-Digit blot scanner의 chemiluminescence 방법을 이용하여 표적 단백질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Image J software를 이용하여 수치화 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처리에 의해 PPARγ 및 C/EBPα 단백질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 μM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반복 처리시 PPARγ 및 C/EBPα의 단백질 및 mRNA의 발현이 매우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 세포 지방 생성 인자 FAS, FAT, ACC, SCD-1 및 SREBP-1c의 발현 억제능 확인
본 실험을 통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가 3T3-L1 세포의 지방 생성 인자인 FAS, FAT, ACC, SCD-1 및 SREBP-1c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 및 분화가 유도된 세포로부터 total RNA 및 단백질을 분리하고 qPCR 및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FAS의 단백질 및 mRNA의 발현이 10μM 및 20μM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FAT 단백질 발현은 10μM 및 20μM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20μM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 시 FAT mRNA의 발현 또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ACC의 단백질 및 mRNA의 발현도 20μM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SREBP-1c는 10μM 및 20μM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에 의해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20μM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 시 mRNA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3T3-L1 세포 증식 및 분화 전사인자인 ERK, JNK 및 p38의 발현 억제능 확인
본 실험을 통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가 3T3-L1 세포의 증식 및 분화 전사인자인 ERK, JNK 및 p38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처리 및 분화가 유도된 세포로부터 total RNA 및 단백질을 분리하고 qPCR 및 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MDI 처리에 따라 ERK, JNK 및 p38 단백질의 인산화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MDI 처리에 의해 증가된 ERK 단백질의 인산화는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20μM의 처리에 따라 15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MDI 처리에 의해 증가된 JNK 단백질의 인산화는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20μM의 처리에 따라 45분 이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MDI 처리에 의해 증가된 p38 단백질의 인산화는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20μM의 처리에 따라 15분에 증가 하였지만, 30분, 45분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의 처리는 MDI에 의해 활성화된 MAPK 경로를 부분적으로 억제하여 3T3-L1 세포 수의 증가와 분화에 따른 중성지방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및 복합천연추출물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확인
6.1 복합천연추출물의 제조
6.1.1 구인 추출물의 제조
70%(v/v) 에탄올 추출은 3g의 구인 분말의 중량에 10배의 70%(v/v) 에탄올(30㎖)을 가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진탕하면서 추출하였다. 이후, 여과지(Whatman no. 1)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과정을 거쳐 고형화된 구인 추출물을 얻었다.
6.1.2 왕겨 추출물의 제조
왕겨 (300 g)을 정량화한 후 3 L 물에 담그고 밤새 방치했다. 그 다음, 왕겨를 1 시간 동안 끓여서 물 추출물을 Whatman No. 1 여과지 (filter paper)로 여과시켰다. 여과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과정을 거쳐 고형화된 왕겨 추출물을 얻었다.
6.1.3 양파껍질 추출물의 제조
양파껍질 (Fomitopsis pinicola(Sw.ex Fr.)Karst.)을 23cm 정도로 잘게 썰어 건중량 100g 당 2L의 60% (v/v) 에탄올을 넣고 60℃에서 추출한 다음, 체 (0.054mm)와 여과지 (와트만 No 2)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과정을 거쳐 고형화된 양파껍질 추출물을 얻었다.
6.1.4 토끼풀 추출물의 제조
토끼풀 (Trifolium repens L)을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그늘에서 건조한 후, 믹서기 (Waring사, US)를 이용하여 분말화시켰다. 분말화된 토끼풀 200g에 2L의 물을 넣고 4시간 열수 추출한 후,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과정을 거쳐 고형화된 토끼풀 추출물을 얻었다.
6.1.5 강낭콩 추출물의 제조
강낭콩을 깨끗이 수세한 후 동결 건조한 다음, 동결건조 된 강낭콩을 각각 100 g씩을 분쇄한 후 70% 에탄올 0.5L를 넣고 80℃에서 일정시간 간격 (3 h, 6 h와 12 h)으로 3회 반복하여 환류 냉각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과정을 거쳐 고형화된 강낭콩 추출물을 얻었다.
6.1.6 복합천연추출물의 제조
상기 6.1.1 내지 6.1.5에서 제조된 각각의 천연추출물을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20μM을 추가로 혼합하여 비만 개선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EPO (μM) 구인 (중량비) 왕겨 (중량비) 양파껍질 (중량비) 토끼풀 (중량비) 강낭콩 (중량비)
대조군 (con) 20 - - - - -
KKU 1 20 1 - - - -
KKU 2 20 - 1 - - -
KKU 3 20 - - 1 - -
KKU 4 20 - - - 1 -
KKU 5 20 - - - - 1
KKU 6 20 1 1 - - -
KKU 7 20 1 1 1 - -
KKU 8 20 1 1 1 1 -
KKU 9 20 1 1 1 1 1
6.2 3T3-L1 세포 분화 및 지방 생성 억제능 확인
본 실험을 통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을 포함하는 복합천연추출물이 3T3-L1 지방 전구 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하여, 지방생성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지방 전구 세포의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위해 3T3-L1 세포를 NBCS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6-well plate에 1.2 × 105 cells/well로 동일하게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새로운 배지로 교환 후 72시간 후-배양 (post-confluent)을 통해 세포 성장 정지를 유도하고, 10% FBS 및 MDI [0.5mM IBMX (3-isobutyl-1-methylxanthine), 1μM Dexamethasone, 1μg/ml insulin]를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3T3-L1 세포 분화 유도는 2일 마다 배지를 교환하며 총 8일 동안 지속하였다. 이후 분화 2일차에는 FBS와 1μg/ml의 insulin만을 처리하였고, 4일차부터는 FBS만을 처리하여 3T3-L1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시료의 처리는 분화 개시와 함께 2일 마다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을 포함하는 복합천연추출물 50, 100 또는 200㎍/㎖로 처리하였다. 또한 분화된 지방세포가 생성한 지방의 도식화 및 정량적 분석을 위해 Oil red O 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을 포함하는 복합천연추출물 처리 및 분화가 유도된 성숙한 지방세포의 배양 배지를 제거한 뒤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 formalin 2ml을 가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고정 후 포르말린 (formalin)을 제거하고 다시 PBS로 2회 세포를 세척한 뒤 0.35% Oil red O 를 2ml씩 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후 3차 증류수로 세포를 3회 세척한 후, 100 배율 역상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100% isopropanol을 가하여 oil red O를 용해시킨 뒤 96-well plate에 200μl씩 옮겨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염색 된 지방 소립의 정량적 분석은 3회 반복 측정한 값을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6a 내지 도 6e의 결과를 살펴보면,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EPO)를 포함한 천연추출물 각각은 유의미한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도 6f 내지 도 6i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포함한 2이상의 천연추출물의 조합에서 유의미한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도 6i의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 및 다섯가지 천연추출물의 조합에서 가장 높은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구인, 왕겨, 양파껍질, 토끼풀 및 강낭콩의 복합천연추출물과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함께 투여하는 경우 현저한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7. 제조예
7.1 약제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제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유효물질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유효물질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유효물질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4> 주사제의 제조
유효물질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5> 경비흡수제 (Nasal spray)의 제조
유효물질 1.0 g
아세트산나트륨 0.3 g
메틸파라벤 0.1 g
프로필파라벤 0.02 g
염화나트륨 적량
HCl 또는 NaOH pH 조정 적량
정제수 적량
통상의 경비흡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염수 (0.9% NaCl, w/v, 용매는 정제수) 1 mL당 유효물질 3 mg이 포함되도록 제조하고, 이를 불투명한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경비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6> 액제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7.2 건강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식품 제조예 1>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유효물질 0.01-1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건강식품 제조예 2>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유효물질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4 중량부, 율무 19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유효물질 (2 중량부),
영지(1.5 중량부), 및
지황(1.5 중량부).
7.3 건강가능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성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2> 건강 기능 음료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구연산 100 mg
올리고당 100 mg
매실농축액 2 mg
타우린 100 m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7.4 화장료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유효물질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화장료 제조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유효물질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구인, 왕겨, 양파껍질, 토끼풀 및 강낭콩로 이루어진 복합천연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및 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인,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구인, 왕겨, 양파껍질, 토끼풀 및 강낭콩로 이루어진 복합천연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및 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인,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4. 구인, 왕겨, 양파껍질, 토끼풀 및 강낭콩로 이루어진 복합천연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및 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인,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5. 삭제
  16. 구인, 왕겨, 양파껍질, 토끼풀 및 강낭콩로 이루어진 복합천연추출물 및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및 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인, 지방축적억제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03471A 2020-02-07 2020-08-18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 KR102486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4860 2020-02-07
KR1020200014860 2020-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18A KR20210101118A (ko) 2021-08-18
KR102486633B1 true KR102486633B1 (ko) 2023-01-10

Family

ID=7746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471A KR102486633B1 (ko) 2020-02-07 2020-08-18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6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42B1 (ko) * 2010-09-17 2012-03-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에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가나도마난디올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성분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42B1 (ko) * 2010-09-17 2012-03-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에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가나도마난디올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성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18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234B1 (ko)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10136387A (ko) 치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0080A (ko)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9464B1 (ko)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080138384A1 (en) Oral hair growth stimulants comprising orthosiphon
KR20210048933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6826B1 (ko) 으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6633B1 (ko)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축적억제 또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80114783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134657A (ko) 유자 유래 항염증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2673407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632060B1 (ko) 발아 흑미 및 발효 돼지감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102095265B1 (ko) 식용곤충 유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14766B1 (ko) 컴파운드 케이의 함량이 증진된 새싹삼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644047B1 (ko)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열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25588A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