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014B1 - 화질보정회로 - Google Patents

화질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014B1
KR100732014B1 KR1020007013488A KR20007013488A KR100732014B1 KR 100732014 B1 KR100732014 B1 KR 100732014B1 KR 1020007013488 A KR1020007013488 A KR 1020007013488A KR 20007013488 A KR20007013488 A KR 20007013488A KR 100732014 B1 KR100732014 B1 KR 10073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counter
output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934A (ko
Inventor
고바야시마사유끼
나카지마마사미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9201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00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063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033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922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2553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Publication of KR2001004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2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global imag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복수화소마다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10)와, 이 평균치산출부(10)에서 산출된 복수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를 소정의 수준마다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에 의거하여 직선보간하여 보정특성선을 형성하는 직선보간부(15)와, 이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고, 직선보간부(15)에서는 횡축이 휘도수준, 종축이 출현수로서 순차직선으로 연결되어 직선보간된 절선으로 연속된 보정특성선을 얻고,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직선보간된 보정특성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한다.

Description

화질보정회로{IMAGE QUALITY CORRECTING CIRCUIT}
본 발명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이나 액정디스플레이패널(LCD패널)등을 표시패널로 하는 표시장치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영상내용에 대응하여 화질의 보정(예를 들면 계조보정(階調補正))을 하는 화질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질보정회로는 제1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입력단자(12) 영상신호의 1프레임(또는 1필드)마다 평균치산출부(10)에 의해서 평균영상수준(APL)을 검출하고 이 APL을 어드레스로서 ROM(14)에서 대응된 보정데이터를 읽어 내고, 이 보정데이터에 대응된 입출력변환특성곡선에 따라서 화질보정부(16)에서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고, 출력단자(18)에서 출력하도록 하고 있었다. APL은 예를 들면 1프레임(또는 1필드)의 전표시도트수에 관해서 휘도수준마다 분포빈도수를 곱한 수를 가산하고, 전표시도트수에서 제산하여 구하여 진다.
그러나 제1도에서 표시한 종래의 예에서는 APL에 의거하여 화질보정데이터를 정하고 있기 때문에 밝기가 평균적으로 분포된 영상내용의 표시개선은 되지만, 휘도수준의 히스토그램(휘도분포)에 관해서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상내용에 알맞은 보정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제2도(a)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휘도수준이 밝은 쪽에 집중되 고 있는 휘도분포(1)의 경우와, 동도(b)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휘도수준이 어두운 쪽에 집중하고 있는 휘도분포(2)의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분포상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APL가 동일했다고 한다면 제2도(a)의 경우에는 밝은 쪽의 해상도가 낮게 되고, 또 동도(b)의 경우에는 어두운 쪽의 해상도가 낮게된다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제3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휘도수준이 어두운 쪽의 좁은 범위에 집중되고 있는 휘도분포의 경우 보정특성선이 제4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극단적인 경사를 가지는 부분이 출현되고, 영상이 실제보다도 극단적으로 밝게되고, 밝은 쪽의 해상도가 낮게된다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휘도수준이 밝은 쪽에 집중되고 있는 휘도분포의 경우도 동일하다.
상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제5도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영상신호보정회로(特開平8-23460)를 제안했다. 이 회로에 의하면 아날로그의 R(적), G(록), B(청)신호로 되는 입력영상신호SO를 A/D(아날로그· 디지털변환기)(20)에서 디지털의 R, G, B신호로 변환하고, 하위어드레스로서 ROM(리드 온리 메모리)(22)에 입력하고, 테이블룩압방식에서 입출력변환 즉 계조보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매트릭스회로(24)에 의해서 아날로그 R, G, B신호에서 Y신호(휘도신호)를 생성하고, 이 Y신호를 A/D(26)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히스토그램회로(28)에 입력한다. 히스토그램회로(28)는 휘도수준을 복수의 영역(예를 들면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각 영역에 관해서 휘도수준의 빈도수(분포수)를 계수한다. 데코다(30)는 히스토그램회로(28)의 계수결과를 데코다, 상위어드레스로서 ROM(22)에 입력하고, ROM(22)내에 미리 기억된 계조보정특성데이터를 선택하고, 입력된 디지 털의 R, G, B신호가 계조보정되어 디지털R, G, B신호 S1이 출력된다.
제5도에서 나타낸 영상신호보정회로에서는 입력영상신호의 휘도수준의 빈도분포에 따라서 계조보정이 얻어지지만 의연하게 각 휘도수준의 출현수에 맞춘 적절한 보정특성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휘도수준의 출현수에 맞추어 적절한 보정특성을 얻고, 어떠한 영상에도 알맞은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 있는 화질보정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복수화소마다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10)와, 이 평균치산출부(10)에서 산출된 복수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를 소정의 수준마다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에 의거하여 직선보간하여 보정특성선을 형성하는 직선보간부(15)와, 이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는 평균치산출부(10)에서 복수화소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출력하고, 각각의 수준에 대응된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가 계수된다. 직선보간부(15)에서는 횡축이 휘도수준, 종축이 출현수로서 순차직선으로 연결되어 직선보간된 절선으로 연속된 보정특성선을 얻을 수 있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전기한 직선보간부(15)에 의한 보정특성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추출된 복수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를 소정수준마다에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데이테와 이 계수점의 사이에 삽입된 이미 설정된 설정점데이터에서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25)와, 이 보정곡선생성부(25)에서의 보정곡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화질보정회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출현수데이터를 하나 건너 하나를 사용하고, 이것과는 별도로 개시점과 종점을 연결된 직선상등, 이미 설정된 휘도수준에 대응하는 설정데이터를 입력하고,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사이를 보완하도록 휘도수준순으로 바꾸어 개시점과 종점을 통하는 베지에곡선을 생성한다.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전기한 베지에곡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을 하고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는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N프레임(N은 1이상의 정수)내의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를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에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와, 이 출현수카운터의 계수치의 변화를 N프레임기간의 복수배의 기간에 있어서 변화에 억제되어 출력하는 변화억제부와, 이 변화억제부에서 출력된 계수치에 의거하여 직선보간에서 보정특성선을 형성하는 직선보간부와, 이 직선보간부에서 형성된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를 구비하여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가 출현수카운터에 입력하면, 이 출현수카운터에 의해서 N프레임내의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가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 계수된다. 이 출현수카운터의 계수치는 이 변화가 변화억제부에서 N프레임기간의 복수배의 기간에 있어서의 변화에 억제되어 직선보간부에 입력하기 때문에 이 직선보간부에서 형성되는 보정특성선의 변화도 억제된다. 화질보정부에서는 이 변화의 억제된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N프레임내의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를 복수의 설정수준의 범위마다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와, 이 출현수카운터의 계수치의 변화를 N프레임기간의 복수배의 기간에 있어서의 변화에 억제되어 출력하는 변화억제부와, 이 변화억제부에서 출력된 계수치와 이미 설정된 설정치에서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와, 이 보정곡선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정곡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가 출현수카운터에 입력하면, 이 출현수카운터에 의해서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가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 계수된다. 이 출현수카운터의 계수치는 이 변화가 변화억제부에서 N프레임기간의 복수배의 기간에 있어서의 변화에 억제되어 보정곡선생성부에 입력하기 때문에 이 보정곡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보정곡선의 변화도 억제된다. 화질보정부에서는 이 변화의 억제된 보정곡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한다.
출현수카운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m화소마다에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를 설치하여 출현수카운터가 평균치산출부에서 산출된 휘도수준의 출현수가 이미 설전된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 계수한다.
출현수카운터를 가산기불요로서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출현수카운터를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각 화소의 휘도수준이 복수의 설정수준범위의 각각에 상당하는 가 안 하는 가를 판정하는 복수개의 판정기와, 이 판정기의 판정횟수를 계수하는 복수개의 제1카운터와, 이 제1카운터의 계수치와 이미 설정된 비교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출력에서 전기한 제1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복수개의 비교기와, 이 비교기의 출력횟수를 계수하여 출현수로 하는 복수개의 제2카운터로 구성한다.
출현수카운터를 가산기불요로서 구성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출현수카운터를 평균치산출부에서 산출된 휘도수준이 복수의 설정수준범위의 각각에 상당하는 가 안 하는 가를 판정하는 복수개의 판정기와, 이 판정기의 판정횟수를 계수하는 복수개의 제1카운터와, 이 제1카운터의 계수치와 이미 설정된 비교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출력에서 제1의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복수개의 비교기와, 이 비교기의 출력회수를 계수하여 출현수로 하는 복수개의 제2의 카운터로 구성한다.
변화억제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변화억제부를 차분기, 계수기, 가산기 및 N프레임지연기로 구성하고, 차분기가 출현수카운터의 계수치와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수와의 차분을 출력하고, 계수기가 차분기의 출력치에 1/X(X는 2이상의 정수)의 계수를 곱하여 출력하고, 가산기가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치에 계수기의 출력치를 가산하고, N프레임지연기가 가산 기에 의한 가산치를 N프레임분지연시켜 차분기 및 가산기에 출력함과 동시에 변화가 억제되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추출된 복수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를 소정의 수준마다에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에서 출력된 보정특성점의 계수치가 이미 설정된 상한치보다 많을 때에는 상한치를, 하한치보다 적을 때에는 하한치를, 상한치와 하한치의 범위내일 때에는 계수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정특성점억제회로(29)와, 이 보정특성점억제회로(13)의 출력에 따라서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48)와,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 생성된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질보정회로이고, 보정특성점의 계수치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an + w와 an - w에 설정하도록 된 화질보정회로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는 제5실시 예에 있어서 보정특성점의 계수치의 상한치와 하한치를 직교하는 한 쪽의 축을 입력휘도수준으로 하고 다른 한 쪽의 축을 출력휘도수준으로 하는 보정특성선도에 있어서 개시점과 종점을 통하여 중간에서 곡선으로 변화하는 상한선YHn과 하한선YLn에 설정하도록 한 화질보정회로이다.
제1도는 종래의 화질보정회로의 블록도이다.
제2도는 영상신호의 휘도수준의 빈도분포도이고, (a)는 휘도수준이 약 중간에 치우친 예를 나타내고, (b)는 휘도수준이 낮은 쪽에 치우친 예를 나타내는 것이 다.
제3도는 영상신호의 휘도수준이 낮은 쪽이 좁은 범위에 집중된 예를 나타내는 휘도분포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경우의 보정특성선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화질보정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1실시 예의 전체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7도는 제6도, 제9도, 제12도, 제15도에 있어서 출현수카운터(13)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보정특성선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블럭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보정특성선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다른 보정특성선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블럭도이다.
제13도는 제12도 중에서 변화억제부(31)의 상세한 블럭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 중에서 변화억제부(310)의 작용을 설명하는 타임차트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블럭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블럭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보정특성선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6실시 예를 나타내는 전체의 블럭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한 보정특성선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1실시 예를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12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영상신호입력단자, 10은 m(2이상의 정수)점의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 13은 0수준에서 서로 다른 수치에 설정된 수준 사이의 출현수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카운터하는 출현수카운터, 11은 비교기준치를 입력하는 비교기준치입력단자, 15는 출현수데이터에 의거하여 보정특정점도를 얻기위한 직선보간부, 16은 직선보간부에 의거하여 화질을 보정하는 화질보정부, 18은 보정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이다.
제7도는 전기한 출현수카운터(13)의 구체적 회로이다.
전기한 평균치산출부(10)는 예를 들면 화소16개의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 후속의 출현수카운터(13)에 있어서 히트수를 소멸하고 있다.
전기한 출현수카운터(13)는 예를 들면 16개의 판정기(170, 171, · · · 1715) 와, 이 판정기(170, 171, · · · 1715)에 각각 순차직열접속된 제1의 카운터 (190, 191, · · · 1915)와, 비교기(210, 211, · · · 2115)와, 제2의 카운터 (230, 231, · · · 2315)와, 전기한 비교기(210, 211, · · · 2115)의 다른 쪽의 입력 측에 접속된 전기한 비교기준치입력단자(11)로 이루어지고, 전기한 비교기(210, 211, · · · 2115)의 출력은 전 단계의 제1의 카운터(190, 191, · · · 1915)에 초기화신호로서 되돌아오고, 또 제2의 카운터(230, 231, · · · 2315)의 출력은 전기한 직선보간부(15)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제1실시 예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는 평균치산출부(10)에서 화소16개의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순차출력한다.
이 평균치는 각각의 수준에 대응된 판정기(170, 171, · · · 1715)에 입력하여 각각의 수준에 상당하는 가 안 하는 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1프레임 속의 전 출현수를 255로하고 휘도수준을 16단계로 구분하여 검출한다. 판정기(170)에서는 0수준에서 제1수준까지 상당하는 가 안 하는 가를 판정하고, 판정기(171)에서는 0수준에서 제2수준까지 상당하는 가 안 하는 가를 판정하고, 이하 동일하게, 판정기(1715)에서는 0수준에서 제16수준까지 상당하는 가 어떠한 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이미 0수준에서 상당수준까지 상당하는 가 어떠한 가가 판정된다. 상당할 때에는 후속의 어느 것인 가의 제1카운터(190, 191, · · · 1915)에서 출현수가 계수된다.
각 제1카운터(190, 191, · · · 1915)에서 계수된 출현수데이터는 각각 후속의 비교기(210, 211, · · · 2115)의 한 쪽의 입력으로서 추가되어진다. 또 다른 한 쪽의 입력으로서 비교기준치입력단자(11)에서 비교기준데이터가 입력되고 있다. 따라서 각 비교기(210, 211, · · · 2115)에서는 각 제1의 카운터(190, 191, · · · 1915)에서 계수된 출현수가 비교기준치를 넘어서면 각 제2의 카운터(230, 231, · · · 2315)에서 계수되고, 각 제1의 카운터(190, 191, · · · 1915)를 초기화한다.
전기한 비교기준치입력단자(11)에서의 비교기준치는 1프레임의 전화소수를 평균치산출부(10)의 평균산출의 샘플수m으로 나눈 수를 넘어섰을 때에 제2의 카운터(2315)의 수치(보정특성점)가 255(FFH)가 되도록 다음의 식에 의해서 설정된다.
비교기준치=(1프레임의 전화소수/m)/FFH
=w(횡방향화소수)×h(종방향화소수)÷16÷255
전기한 각 제2의 카운터(230, 231, · · · 2315)의 출현수는 다음과 같이 되었다고 한다.
c0:수준00∼10(0F:16진표시)의 사이의 제2의 카운터(230)의 출현수
c1:수준00∼20(1F:16진표시)의 사이의 제2의 카운터(231)의 출현수
· · · · · ·
cE:수준00∼F0(EF:16진표시)의 사이의 제2의 카운터(2315)의 출현수
이것들의 제2의 카운터(230, 231, · · · 2315)의 각 출현수(c0, c1, · · · cE)를 횡축이 휘도수준, 종축이 출현수로서 나타내면 제8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보정특성점으로서 출력된다.
각 출현수 c0, c1, · · · cE에 개시점00와 출현총수(일정치)를 추가하여 16단계의 데이터가 전기한 직선보간부(15)에 보내져 이 직선보간부(15)에서는 각 출현수00, c0, c1, · · · cE, cF를 순차직선으로 연결시켜 직선보간된 절선으로 연속된 보정특성선을 얻을 수 있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전기한 직선보간부(15)에 의한 보정특성선에 의거 화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수준이 x일 때에는 보정특성선에 의거하여 보정후의 휘도수준y가 되도록 화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하면 각 수준의 출현수데이터에 맞추어 가장 적절한 보정특성을 얻을 수 있고, 어떠한 영상에서도 알맞은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가 있다.
또 전기한 제1실시 예에 있어서는 평균치산출부(10)의 평균치를 구하는 샘플수를 16개, 출현수카운터(13)의 출현수데이터를 구하는 프레임수를 1프레임, 휘도수준의 단계수(16)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하면 각 수준의 출현수데이터에 맞추어 가장 적절한 보정특성을 얻을 수 있고, 어떠한 영상에서도 맞는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가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 있어서 영상신호입력단자(12), 평균치산출부(10), 출현수카운터(13), 화질보정부(16), 영상신호출력단자(18)는 전기한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제1실시 예의 경우의 구성과 다른 부분은 없다. 제2실시 예의 특징으로 하는 부분은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하고, 평균치산출부(10)를 통하여 출현수카운터(13)에서 계수된 영상신호의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27)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점데이터에서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25)를 전기한 출현수카운터(13)와 화질보정부(16)와의 사이에 삽입한 것이다.
이 보정곡선생성부(25)는 예를 들면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를 번갈아 배치된 복수점을 기초로 하여 개시점 00과 종점TF를 통하는 베지에곡선(Bezier)을 생성하도록 한 회로가 이용되어진다.
제2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1)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가 제2도(a)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약 중앙으로 기울어진 휘도분포1과 같은 특성을 가진 것으로 한다. 출현수카운터(13)의 출현수데이터를 제8도의 경우와 상이하고, 하나 띄운 수준 10, 30, 50, 70, 90, B0, D0, F0에 대응하는 c0, c2, c4, c6, c8, cA, cC, cE를 사용한다. 이 출현수데이터에서 c0∼c6과 c8∼cE에서는 출현수가 적고, c6과 c8의 사이에서 출현수가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개시점 00과 종점TF를 연결한 직선상의 수준 00, 20, 40, 60, 80, A0, C0, E0에 대응하는 T0, T2, T4, T6, T8, TA, TC, TE를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27)에 서 설정데이터로하여 입력한다.
이것들을 휘도수준순으로 바꾸어 놓으면 T0, c0, T2, c2, T4, c4, T6, c6, T8, c8, TA, cA, TC, cC, TE, cE가 되고, 제1실시 예와 같이 직선보간하면 점선으로 나타내는 절선의 보정선이 된다.
그런데 제2실시 예에서는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해서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와 번갈아 배치된 복수점을 기초로 하여 개시점 00과 종점TF를 통하는 베지에곡선을 생성하면 예를 들면 제10도의 실선과 같이 개시점 00과 종점TF가 연결된 직선에 대하여 수준이 높은 부분에서는 직선보다 상방으로 조금 부플고, 수준이 낮은 부분에서는 직선보다 조금 하방으로 부프는 S자형의 보정곡선이 얻어진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전기한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한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2)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가 제2도(b)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낮은 수준으로 기울어진 휘도수준2와 같은 특성이 있었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 c0∼c2와 c4∼cE에서는 출현수가 적고 c2와 c4사이에서 출현수가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기한 T0, c0, T2, c2, T4, c4, T6, c6, T8, c8, TA, cA, TC, cC, TE, cE순으로 바꾸어 놓으면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해서 이것들의 점을 기점으로 개시점 00과 종점TF를 통하는 베지에곡선을 생성하면 예를 들면 제11도의 실선과 같이 개시점 00과 종점TF을 연결한 직선에 대하여 수준이 높은 부분에서는 약 직선상태로, 수준이 낮은 부분에서는 직선보다 조금 하방으로 부프는 보정곡선이 얻어진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전기한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한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전기한 실시 예에서는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27)에서 설정점데이터를 개시점 00과 종점TF가 연결된 직선에서 추출했지만, 이것에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10도의 실선특성선과 같이 수준이 높은 부분에서는 직선보다 상방으로 조금 부플고, 수준이 낮은 부분에서는 직선보다 조금 하방으로 부프는 S자형에서 설정점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보다 한층 강조하도록 하고 역특성의 설정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명암을 너무 강조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를 번갈아 배치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를 2대1의 비율으로하여 영상신호의 데이터를 강조하도록 한다든지,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를 1대2의 비율으로하여 설정점데이터를 강조하도록 한다든지 하는 등 임의의 비율을 할 수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하면 각 수준의 출현수데이터에 맞추어서 매우 적당한 보정특성을 얻을 수 있고, 어떠한 영상에서도 맞는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가 있다. 또 임의의 보정특성상의 점에 의해서 극단적인 보정곡선의 변화를 억제한다든지 곡선에 목적이나 원하는 것에 따라서 변화를 추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3실시 예를 제12도∼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제6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2도에 있어서 12는 영상신호입력단자, 10은 평균치산출부, 13은 출현수카운터, 11은비교기준치입력단자, 15는 직선보간부, 16은화질보정부, 18은 영상신호출력단자, 31은 변화억제부이다.
전기한 변화억제부(31)는 제13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15개의 변화억제부(310, 311, · · · 3114)로 이루어지고, 전기한 변화억제부(310) 차분기(330), 계수기(350), 가산기(370) 및 N프레임지연기(390)로 구성하고, 전기한 변화억제부(311)는 차분기(331), 계수기(351), 가산기(371) 및 N프레임지연기(391)로 이루어지고 이하 동일하게 구성되고 전기한 변화억제부(3114)는 차분기(3314), 계수기(3514), 가산기(3714) 및 N프레임지연기(3914)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한 차분기(330, 331, · · · 3314)는 전기한 출현수카운터(13)내의 제2의 카운터(230, 231, · · · 2314)에서 출력하는 출현수(계수치)와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390, 391, · · · 3914)의 출력치와의 차분을 출력하고 전기한 계수기(350, 351, · · · 3514)는 전기한 차분기(330, 331, · · · 3314)의 출력치에 1/X(X는 2이상의 정수로 예를 들면 X = 2)의 계수를 곱하여 출력하고 전기한 가산기(370, 371, · · · 3714)는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390, 391, · · · 3914)의 출력치에 전기한 계수기(350, 351, · · · 3514)의 출력치를 가산하고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390, 391, · · · 3914)는 전기한 가산기(370, 371, · · · 3714)에 의한 가산치를 N프레임분 지연시켜 전기한 차분기(330, 331, · · · 3314) 및 가산기(370, 371, · · · 3714)에 출력함과 동시에 변화에 억제된 출력으로서 전기한 직선보간부(15)에 출력한다. 전기한 출현수카운터(13)내의 제2의 카운터(2315)에서 출력하는 출현수는 변화억제부(31)를 통하지 않고 직선보간부(15)에 출력한다.
이상의 제3실시 예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제14도, 제8도를 겸용하여 설명한다.
N은 1이상의 정수, m은 2이상의 정수, X는 2이상의 정수이면 되지만 설명의 편의상 N = 1, m = 16, X = 2의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1)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는 평균치산출부(10)에서 화소16개의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순차출력한다.
(2) 평균치산출부(10)에서 산출된 평균치가 출현수카운터(13)에 입력하면 이 출현수카운터(13)는 제6도∼제7도에 나타낸 제1실시 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설명의 편의상 출현수카운터(13)내의 각 제2 카운터(230, 231, · · · 2315)의 출현수가 c0, c1, · · ·, cE, cF이었다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c0, c1, · · ·, cE, cF는 이하의 출현수를 나타낸다.
c0: 수준00∼10(10은 16진표시이다.)의 사이의 제2의 카운터(230)의 출현수.
c1: 수준00∼20(20은 16진표시이다)의 사이의 제2의 카운터(231)의 출현수.
· · · · · · .
cE: 수준00∼F0(F0은 16진표시이다)의 사이의 제2의 카운터(2314)의 출현수.
cF: 수준00∼100(100은 16진표시이다)의 사이의 제2의 카운터(2315)의 출현수(고정치).
(3) 이것들의 제2의 카운터(230, 231, · · · 2315)의 각 출현수(c0, c1, · · · cF)에 개시점00이 추가된 16단계의 데이터가 변화억제부(31)에 보내지면 이 변화억제부(31)에서는 각 출현수(c0, c1, · · · cF) 의 1프레임기간(N = 1의 경우)에 있어서의 변화를 복수프레임기간(N프레임의 복수배의 한 예)에 있어서의 변화에 억제되어 출력한다. 단 cF는 고정치이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의 카운터(230)의 출현수(c0)가 제14도(a)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연속하는 각 프레임에서 「2」, 「2」,「2」,「2」,「2」,「16」,「16」,「16」,「16」,「16」,「16」,「16」이 되고, t6시 전후의 프레임기간FT, FT에서「2」에서「16」으로 급격히 변화된 것으로 하면 동도(b)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변화억제부(31)의 억제작용에 의해서, t6시에서 1 프레임기간FT를 경과한 t7시 직후의 1프레임기간 FT에서「2」에서「9」로 변화하고, 계속해서 t8, t9, t10시 직후의 각 1프레임기간 FT에서 「13」, 「15」, 「16」으로 변화하고 「16」에 수속된다. 즉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가 4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완만한 변화로 억제되어진다.
전술의 변화억제부(31)의 억제작용을 제13도의 회로를 겸용하여 설명하면 다음의 ①∼⑤에 기재한 것처럼 된다.
설명의 편의상 제2 카운터(230)의 출현수(보정특성점)를 P0 , N프레임지연기(390)의 출현수(보정특성점)를 PD0로한다.
① 제14도(a)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t6시전후의 1프레임기간FT에서 P0가「2」에서 「16」으로 변화한 것으로 하면 이 1프레임기간FT에서는 P0 = 16, PD0= 2가 되기 때문에 변화억제부(310)에서 출력하는 출현수는 「2」가 된다.
이 때에 차분기(330)의 출력(P0 - PD0)이 14 (= 16-2), 계수기(350)의 출력{(P0 - PD0)×1/2}가 7 (= 14 / 2), 가산기(370)의 출력{PD0 + (P0 - PD0)×1/2}가 9 (= 2 + 7)가 되고 있다.
② t6시보다 1프레임기간FT 경과된 t7시 직후의 1프레임기간FT에서는 전기한 ①의 가산기(370)의 출력을 1프레임지연 시킨 데이터가 N프레임지연기(390)의 출력(즉 PD0 )이 되기 때문에 변화억제부(310)에서 출력하는 출현수는 「9」가 된다.
이 때에 차분기(330)의 출력(P0 - PD0)이 7 (= 16 - 9), 계수기(350)의 출력{(P0 - PD0)×1/2}가 4 (= 7 / 2의 소수점이하는 4사5입한 수치), 가산기(370)의 출력{PD0 + (P0 - PD0)×1/2}가 13 (= 9 + 4)이 되고 있다.
③ t7시보다 1프레임기간FT 경과된 t8시 직후의 1프레임기간FT에서는 전기한 ②와 동일하게 변화억제부(310)에서 출력하는 출현수는 「13」이 된다.
이때에 가산기(370)의 출력은 전기한 ②와 동일하게15 ( =13 + 2)가 되고 있다.
④ t8시보다 1프레임기간FT 경과된 t9시 직후의 1프레임기간FT에서는 전기한 ②와 동일하게 변화억제부(310)에서 출력하는 출현수는 「15」가 된다.
이때에 가산기(370)의 출력은 전기한 ②와 동일하게 16 ( =15 + 1)이 되고 있다.
⑤ t9시보다 1프레임기간FT 경과된 t10시직후의 1프레임기간FT에서는 전기한 ②와 동일하게 변화억제부(310)에서 출력하는 출현수는 「16」이 된다.
이때에 가산기(370)의 출력은 전기한 ②와 동일하게 16 ( =15 + 0)이 되고 있다.
(4) 그 밖의 제2의 카운터(231, · · · 2314)의 출현수가 c1, · · ·, cE의 변화도 제2의 카운터(230)의 출현수(c0)와 동일하게 변화억제부(31)의 억제작용에 의해서 복수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완만한 변화가 되어 출력한다.
이것을 제13도의 회로에 적용시켜보면 제2 카운터(231, · · · 2314)의 출현수가 P1 (= c1), · · · , P14 (= cE)가 되고, N프레임지연기(391, · · · 3914)의 출력치가 PD1, · · · PD14 가 되고, P1, · · · , P14 가 어떤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급격하게 변화된 경우, 대응하는 PD1, · · · PD14 가 복수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완만하게 변화에 억제된다.
(5) 제2의 카운터(230, 231, · · · 2314)의 출현수가 c0 (=P0), c1(=P1),· · ·, cE(=P14)의 변화가 변화억제부(31)에서 완만하게 변화에 억제되어 직선보간부(15)에 보내지면 이 직선보간부(15)에서는 변화의 억제된 각 출현수 00, c0, c1, · · · , cE, cF를 순차직선으로 연결하여 직선보간된 보정특성선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변화억제부(31)가 없는 이미 제안한 제6도의 직선보간부(15)에서 얻어진 보정특성선이 어떤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제8도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보정특성선U1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보정특성선U2에 급격하게 변화된 경우에 관해서 생각하면, 변화억제부(31)가 어떤 제12도에서 나타냈던 본 발명에 의한 회로에서는 보정특성선U1에서 U2로 변화가 복수프레임기간에걸쳐서 완만한 변화로 억제된다.
즉 변화억제부(31)의 작용에서 출현수 c0, c1, · · · , cE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기 때문에 직선보간부(15)에서 생성되는 보정특성선은 제8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복수프레임기간(예를 들면 4∼6프레임기간)에 걸쳐서 U1, U11, U12 (도시는 생략), U2와 완만히 변화하고, U2에 수속된다.
이 때에 출현수 c0에 관해서는 전기한 ①∼⑤에 기술한 것처럼 4프레임기간에 걸쳐서 완만하게 변화했지만, 출현수c1, · · · , cE에 관해서는 그 변화량에 따라서 4프레임기간에 걸쳐서 변화한다든지, 4이외의 복수(예를 들면 5, 6)프레임기간에 걸쳐서 완만하게 변화한다.
제8도중에서 보정특성선 U11은 제14도의 t6시에서 1프레임기간 경과된 t7시 직후의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보정특성선에 상당하고, 이 보정특성선 U11상의 c0(제2의 카운터(230)의 출현수)은 전기한 ②의 「9」에 상당한다. (6)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직선보간부(15)에 의한 보정특성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하여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수준이 x일 때에는 보정특성선에 의거하여 보정후의 휘도수준y가 되도록 화 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하면 N프레임내의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에 맞춘 최적의 보정특선에 의한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면을 변경시킬 때 또는 동화표시시에 휘도수준의 출현수의 분포상태가 크게 변화하여도 이 변화를 억제하여 화질의 저하를 가져오는 일이 없이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4실시 예를 제1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5도에 있어서 영상신호입력단자(12), 평균치산출부(10), 출현수카운터(13), 화질보정부(16), 영상신호출력단자(18) 및 변화억제부(31)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제3실시 예의 경우의 구성과 다른 부분은 없다. 이 제4실시 예의 특징으로 하는 부분은 제12도의 직선보간부(15)를 대신해서 보정곡선생성부(25)를 설정한 점이다.
이 보정곡선생성부(25)는 출현수카운터(13)에서 계수되어 변화억제부(31)에서 변화의 억제된 출현수와,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27)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에서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변화억제부(31)와 화질보정부(16)와의 사이에 삽입된 것이다.
전기한 보정곡선생성부(25)는 예를 들면 출현수와 설정점데이터를 번갈아 배치된 복수점을 기점로하여 개시점 00과 종점TF를 통하는 베지에곡선을 생성하도록 한 회로가 이용되어진다.
이상의 제4실시 예의 작용을 제2도, 제9도, 제10도, 제11도를 겸용하여 설명 한다.
(1)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가 제2도(a)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약 중앙으로 기울어진 휘도분포1과 같은 특성이 이었다는 것으로 한다.
출현수카운터(13)의 출현수로서 제9도의 제2실시 예와 동일하게, 하나 띄운 수준 10, 30, 50, 70, 90, B0, D0, F0에 대응하는 c0, c2, c4, c6, c8, cA, cC, cE를 사용한다.
또 개시점 00과 종점TF를 연결한 직선상의 수준 00, 20, 40, 60, 80, A0, C0, E0에 대응하는 T0, T2, T4, T6, T8, TA, TC, TE를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27)에서 설정데이터로하여 입력한다.
그렇게 하면 변화억제부(31)가 없는 제9도의 이미 제안한 예에서는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해서 출현수데이터 c0, c2, c4, c6, c8, cA, cC, cE와, 설정점데이터 T0, T2, T4, T6, T8, TA, TC, TE를 서로 번갈아 배치한 복수점을 기점로하여 제10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도록 한 S자형의 보정곡선V(베지에곡선)가 얻어져 출현수 c0, c2, c4, c6, c8, cA, cC, cE가 급격히 변화된 경우 이것에 대응하여 보정곡선 V도 V1에서 V2에 급격히 변화한다 (V1, V2의 도는 생략).
그러나 변화억제부(31)의 어떤 제15도의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출현수 c0, c2, c4, c6, c8, cA, cC, cE의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변화가 복수프레임기간에 걸쳐서 완만한 변화에 억제되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여 보정곡선생성부(25)에서 생성된 보정곡선V도 각 1프레임기간마다에 V1, V11, V12, · · · , V2와 완만하게 변화하고, V2에 수속된다( V11, V12도 도시는 생략).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전기한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한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2)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가 제2도(b)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낮은 수준으로 기울어진 휘도분포2와 같은 특성이 이었다는 것으로 한다.
전기한 (1)과 동일하게 변화억제부(31)가 없는 제2실시 예에서는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해서 출현수데이터 c0, c2, c4, c6, c8, cA, cC, cE와, 설정점데이터 T0, T2, T4, T6, T8, TA, TC, TE와 번갈아 배치된 복수점을 기점으로 하여 제11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 같은 보정곡선W(베지에곡선)가 얻어지고, 출현수 c0, c2, c4, c6, c8, cA, cC, cE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 이것에 대응하여 보정곡선W도 W1에서 W2로 급격하게 변화한다(W1, W2는 도시를 생략).
그러나 변화억제부(31)의 어떤 제4실시 예에서는 출현수데이터 c0, c2, c4, c6, c8, cA, cC, cE의 1프레임기간에 있어서 변화가 복수프레임기간에 걸쳐서 완만한 변화에 억제되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여 보정곡선생성부(25)에서 생성되는 보정곡선W도 각 1프레임기간마다에 W1, W11, W12, · · · , W2와 완만하게 변화하고, W2에 수속된다( W11, W12도 도시 생략).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전기한 보정곡선생성부(25)에 의한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화질보정처리를 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18)에서 출력한다.
제4실시 예에서는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27)에서 설정점데이터를 개시점00과 종점TF를 연결한 직선에서 추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10도의 실선특성선과 같이 수준이 높은 부분에서는 직선보다 상방으로 조금 부플고, 수준이 낮은 부분에서는 직선보다 조금 하방으로 부픈 S자형에서 설정점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보다 한층 강조하도록 한다든지, 역특성의 설정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명암을 너무 강조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를 번갈아 배치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를 2대1의 비율로 하여 영상신호의 데이터를 강조하도록 한다든지, 출현수데이터와 설정점데이터를 1대2의 비율로 하여 설정점데이터를 강조하도록 한다든지 하는 등 임의의 비율을 설정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4실시 예에 의하면 각 수준의 출현수데이터에 맞춘 매우 적당한 보정특성에 의한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의 분포상태가 크게 변화하여도 화질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는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가 있다. 또 임의의 보정특성상의 점에 의해서 극단적인 보정곡선의 변화를 억제한다든지 곡선에 목적이나 원하는 것에 따라서 변화를 추가시킬 수 있다.
전기한 제3 및 제4실시 예에서는 출현수카운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평균치산출부를 설정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평균치산출부를 생략한 경우에 관해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의 제5실시 예를 제16도 및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6도에 있어서 12는 영상신호에 입력하는 영상신호입력단자, 10은 m(2이상의 정수)점의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 13은 0수준에서 서로 다른 수치에 설정된 수준 사이의 출현수데이터를 N(1이상의 정수)프레임분 순차적으로 카운터하는 출현수카운터, 29는 상한치(an + w)와 하한치(an - w)를 설정하여 보정특성점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정특성점억제회로, 48은 억제된 보정특성점에 의거하여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 49는 설정점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 16은 생성된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화질을 보정하는 화질보정부, 18은 보정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출력단자이다.
전기한 보정특성점억제회로(29)는 억제범위비교기(43)와, 억제범위설정부(46)와, n점의 어떤 보정특성점 중 몇 번째 처리를 하는 가를 억제하는 제어카운터(40)와, 보정특성점선택기(47)로 이루어지고, 전기한 억제범위비교기(43)는 출현수카운터(13)에서 제어전보정특성점데이터(Pn)와 그 특성점에 있는 상한치 (an + w)를 비교하는 상한비교기(41a)와 Pn와 그 특성점에 있는 하한치(an - w)를 비교하는 하한비교기(42a)로 이루어지고, 전기한 억제범위설정부(46)는 상한치 (an + w)를 설정하는 상한설정부(44a)와, 하한치(an - w)를 설정하는 하한설정부(45a)로 이루어지고, 전기한 보정특성점선택기(47)는 출현수카운터(13)의 Pn의 단자x와, 상한설정부(44a)의 상한치 (an + w)의 단자y와, 하한설정부(45a)의 하한치 (an - w)의 단자z를 선택하기 위한 회로이다.
여기에서 직선an은 제17도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직교하는 한 쪽의 축을 휘도의 입력수준으로하고, 다른 한 쪽의 축을 휘도의 출력수준으로하는 보정특성선도에 있는 개시점과 종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것으로 입력영상신호에 있는 입력수준의 출현수에 치우침이 없는 경우의 이상적인 보정특성선이고, 또 w는 이상적 특성선에 대하는 일정의 분포폭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an + w와 an - w는 제17도에 점선으로 나타내도록 상한과 하한에 일정폭을 주어 이상적인 특성선에 평행한 억제설정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제5실시 예의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는 평균치산출부(10)에서 각점, 예를 들면 화소16개마다의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순차출력한다. 이 평균치는 N(1이상의 정수)프레임 중의 전출현수를 255라고 하고, 휘도수준을 16단계로 구분하여 검출한다. 검출된 평균치는 출현수카운터(13)에서 출현수가 계수된다.
출현수카운터(13)에서 억제전보정특성점데이터Pn은 보정특성점선택기(47)의 접점x에 입력함과 동시에 후속의 상한비교기(41a)와 하한비교기(42a)의 한 쪽의 입력으로서 추가되어진다. 또 이것들의 상한비교기(41a)와 하한비교기(42a)의 각각의 다른 한 쪽의 입력으로서 제어카운터(40)에서 보정특성점데이터Pn의 번호에 대응된 상한치 an + w와 하한치 an - w가 입력되고 있다. 따라서 상한비교기(41a)에서는 Pn>an + w일 때, 보정특성점선택기(47)의 접점y에 절환신호를 출력하고, 하한비교기(42a)에서는 Pn<an - w일 때, 보정특성점선택기(47)의 접점z에 절환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제17도에 있어서 Pn이 입력수준의 극단적으로 높은 y점에 있을 경우 Pn>an + w이기 때문에 상한비교기(41a)에서 절환신호가 출력되고 보정특성점 선택기(47)를 접점y에 절환하고 상한설정부(44a)에서의 an + w가 보정곡선생성부(48) 에 출력한다.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는 상한설정부(44a)에서의 출력 an + w를 어드레스로 하고,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49)에서 입력된 설정점데이터에 의거하여 제17도에 있는 상한의 설정라인상의 P1에 보정돼 보정곡선이 생성되어 화질보정부(16)에 출력한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의 영상신호가 이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보정되어 출력단자(18)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출현수에 기울어져 있는 어떤 y점을 설정범위내에 제한하도록 보정함으로서 화질저하가 방지된다.
또 제17도에 있어서 Pn이 입력수준이 극단적으로 낮은 z점인 경우 Pn<an - w이기 때문에 하한비교기(42a)에서 절환신호가 출력되고 보정특성점선택기(47)를 접점z에 절환하고 하한설정부(45a)에서의 an - w가 보정곡선생성부(48) 에 출력한다.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는 하한설정부(45a)에서의 출력 an - w를 어드레스로 하고,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49)에서 입력된 설정점데이터에 의거하여 제17도에 있는 하한의 설정라인상의 P3에 보정된 보정곡선이 생성되어 화질보정부(16)에 출력한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의 영상신호가 이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보정되어 출력단자(18)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출현수에 기울어져 있는 어떤 z점을 설정범위내에 제한하도록 보정함으로서 화질저하가 방지된다.
게다가 Pn가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의 x점에 있는 경우, an + w≥Pn≥an - w이기 때문에 상한비교기(41a), 하한비교기(42a)에서 절환신호가 없어지고 출현수카운터(13)에서의 Pn가 보정곡선생성부(48)에 출력한다.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 보정되지 않는 곡선이 화질보정부(16)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영상신호를 보정하는 일없이 출력단자(18)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하면 각 수준의 출현수데이터분포에 치우침이 있을 경우 발생하는 극단적인 기울기를 가지는 보정특성선의 생성을 억제를 할 수있고, 출현수의 치우침에 의한 화질저하를 억제하고, 최적의 보정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를 제18도 및 제1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전기한 제5실시 예에서는 각 보정특성점에 개의치 않고 상한치의 폭 +w와 하한치의 폭 -w를 일정치로 했다.
이것에 대하여 제6실시 예에서는 N프레임내에서의 영상신호의 각 입력수준의 출현수를 기점으로 하여 보정특성점을 산출할 때에 각 보정특성점마다에 설정범위의 상한폭과 하한폭을 설정하도록 했던 것이다.
제18도에 있어서 영상신호입력단자(12), 평균치산출부(10), 출현수카운터(13), 화질보정부(16), 영상신호출력단자(18), 보정곡선생성부(48),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49)는 전기한 제16도에 나타냈던 제5실시 예의 경우의 구성과 다른 점은 없다. 제2실시 예의 특징은 상한치YHn와 하한치YLn을 제19도에 나타내도록 개시점00에서는 0으로 하고 중간위치까지는 상한치YHn을 직선an에 대해서 점차 증가시켜, 하한치YLn을 직선an에 대해서 점차 감소시켜 다시 종점FF을 통하도록 한 각 보정특성점마다에 변화하는 2차원적인 곡선으로 했던 것이다. 또 직선an은 전기한 동일하게 보정특성선도에 있어서 개시점00과 종점FF을 직선으로 연결했 던 것으로 입력영상신호에 있어서 입력수준의 출현수에 치우치지 않는 경우의 이상적인 보정특성선이다.
제6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9도에 있어서 출현수카운터(13)에서의 억제전보정특성점데이터Pn이 입력수준의 극단적으로 높은 y점이였던 경우 Pn>YH1이기 때문에 상한비교기(41b)에서 절환신후가 출력하고, 보정특성점선택기(47)를 접점y에 절환하고, 상한설정부(44b)에서 YH1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 출력한다.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는 상한설정부(44b)에서의 출력을 어드레스로 하고,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49)에서 입력된 설정점데이터에 의거하여 제19도에 있어서 상한의 설정라인상의 P1에 보정된 보정곡선이 생성되어 화질보정부(16)에 출력한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의 영상신호가 이 보정곡선에 의거하여 보정된 출력단자(18)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출현수에 기울어져 있는 어떤 y점을 설정범위내에 제한하도록 보정함으로서 화질저하가 방지된다.
또 제19도에 있어서 Pn이 입력수준이 극단적으로 낮은 z점인 경우 Pn<YL3이기 때문에 하한비교기(42a)에서 절환신호가 출력되고 보정특성점선택기(47)를 접점z에 절환하고 하한설정부(45b)에서의 YL3가 보정곡선생성부(48) 에 출력한다.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는 하한설정부(45b)에서의 출력을 어드레스로 하고, 설정점데이터입력단자(49)에서 입력된 설정점데이터에 의거하여 제19도에 있는 하한의 설정라인상의 P3에 보정된 보정곡선이 생성되어 화질보정부(16)에 출력한다. 화질보정부(16)에서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의 영상신호가 이 보정곡선에 의거하 여 보정되어 출력단자(18)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출현수에 기울어져 있는 어떤 z점을 설정범위내에 제한하도록 보정함으로서 화질저하가 방지된다.
게다가 Pn가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의 x점에 있는 경우, YH2≥Pn≥YL2이기 때문에 상한비교기(41a), 하한비교기(42a)에서 절환신호가 없어지고 출현수카운터(13)에서의 Pn가 보정곡선생성부(48)에 출력한다.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 보정되지 않는 곡선이 화질보정부(16)에 출력하여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서 영상신호를 보정하는 일없이 출력단자(18)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하면 각 수준의 출현수데이터에 맞추어서 최적한 보정특성을 얻을 수 있고, 어떠한 영상에서도 적절한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 있다. 또 임의의 보정특성상의 점에 의해서 극단적인 보정곡선의 변화를 억제한다든지 곡선에 목적과 원하는 것에 따라서 변화를 추가할 수가 있다.
또 전기한 제5 및 제6실시 예에 있어서는 평균치산출부(10)의 평균치를 구하는 샘플수를 16개, 출현수카운터(13)의 출현수데이터를 구하는 프레임수를 1프레임, 휘도수준의 단계수를 16으로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질보정회로는 각 수준의 출현수데이터에 맞추어서 최적의 보정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영상에서도 적절한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 있고, 또 임의의 보정특성상의 점에 의해서 극단적인 보정곡선의 변화를 억제한다든지 곡선의 목적과 원하는 것에 따라서 변화를 추가할 수가 있다. 게다가 화면을 바 꿀 때 또는 동화표시시에 휘도수준의 출현수의 분포상태가 크게 변화해도 이 변화를 억제하여 화질저하를 초래하는 일이 없는 화질보정처리를 할 수가 있다.

Claims (23)

  1.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 미리 복수로 분할된 휘도 레벨 범위 중 어느 휘도 레벨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휘도레벨 범위에서 출현 데이터를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에 의거하여 직선보간하여 보정특성선을 형성하는 직선보간부(15)와, 이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2.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복수화소마다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10)와, 이 평균치산출부(10)에서 산출된 복수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를 미리 복수로 분할된 휘도 레벨 범위 중 어느 휘도 레벨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휘도레벨 범위에서 출현 데이터를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에 의거하여 직선보간하여 보정특성선을 형성하는 직선보간부(15)와, 이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출현수카운터(13)는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 복수로 분할된 휘도 레벨 범위 중 어느 휘도 레벨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는 복수개의 판정기(17)와, 상기 판정기에서 각각의 휘도레벨 범위에서 출현 데이터를 계수하는 복수개의 제1카운터(19)와, 이 제1카운터(19)의 출력과 이미 설정된 비교기준치입력단자(11)에서 비교기준치와 비교하여, 이 비교출력에서 전기한 제1카운터(19)를 초기화하는 복수개의 비교기(21)와, 이 비교기(21)의 출력을 계수하는 복수개의 제2카운터(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출현수카운터(13)는 판정기(17), 제1카운터(19), 비교기(21) 및 제2의 카운터(23)의 직렬회로를 서로 16개 병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5.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 미리 복수로 분할된 휘도 레벨 범위 중 어느 휘도 레벨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휘도레벨 범위에서 출현 데이터를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데이터와 기설정된 설정점데이터를 소정 비율로 번갈아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계수출력점데이터 및 상기 설정점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25)와, 이 보정곡선생성부(25)에서의 보정곡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6.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복수화소마다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10)와, 이 평균치산출부(10)에서 산출된 복수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를 미리 복수로 분할된 휘도 레벨 범위 중 어느 휘도 레벨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휘도레벨 범위에서 출현 데이터를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데이터와 기설정된 설정점데이터를 소정 비율로 번갈아 배치하고, 상기 배치된 계수출력점데이터 및 상기 설정점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25)와, 이 보정곡선생성부(25)에서 보정곡선에 의한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곡선생성부(25)는 상기 배치된 계수출력점데이터 및 상기 설정점데이터를 순차 직선으로 연결시켜 직선보간된 절선으로 연속된 보정곡선을 생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보정곡선생성부(25)는 상기 배치된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출력점데이터 및 상기 기설정된 설정점데이터의 개시점과 종점을 통하는 베지에곡선을 생성하도록 한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9.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N프레임(N은 1이상의 정수)내의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를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에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와, 상기 출현카운터의 N프레임 기간동안의 계수치의 변화를 N프레임 기간의 복수배 기간동안의 계수치 변화로 억제하여 출력하는 변화억제부와, 이 변화억제부에서 출력된 계수치에 의거하여 직선보간에서 보정특성선을 형성하는 직선보간부와, 이 직선보간부에서 형성된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10.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m화소마다(m은 2이상의 정수)에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와, 이 평균치산출부에서 산출된 휘도수준의 출현수를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 N프레임기간(N은 1이상의 정수)에 걸쳐서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와, 상기 출현카운터의 N프레임 기간동안의 계수치의 변화를 N프레임 기간의 복수배 기간동안의 계수치 변화로 억제하여 출력하는 변화억제부와, 이 변화억제부에서 출력된 계수치에 의거하여 직선보간에서 보정특성선을 형성하는 직선보간부와, 이 직선보간부에서 형성된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11.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N프레임(N은 1이상의 정수)내의 각 화소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를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에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와, 상기 출현카운터의 N프레임 기간동안의 계수치의 변화를 N프레임 기간의 복수배 기간동안의 계수치 변화로 억제하여 출력하는 변화억제부와, 이 변화억제부에서 출력된 계수치와 이미 설정된 설정치에서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와, 이 보정곡선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정곡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12.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m화소마다(m은 2이상의 정수)에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산출부와, 이 평균치산출부에서 산출된 휘도수준의 출현수를 복수의 설정수준범위마다 N프레임기간(N은 1이상의 정수)에 걸쳐서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와, 상기 출현카운터의 N프레임 기간동안의 계수치의 변화를 N프레임 기간의 복수배 기간동안의 계수치 변화로 억제하여 출력하는 변화억제부와, 이 변화억제부에서 출력된 계수치와 이미 설정된 설정치에서 새로운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와, 이 보정곡선생성부에서 생성된 보정곡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출현수카운터는 입력영상신호에 의거하여 각 화소의 휘도수준이 복수의 설정수준범위의 각각에 상당하는 가 안 하는 가를 판정하는 복수개의 판정기와, 이 판정기의 판정횟수를 계수하는 복수개의 제1카운터와, 이 제1카운터의 계수치와 이미 설정된 비교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출력에서 전기한 제1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복수개의 비교기와, 이 비교기의 출력횟수를 계수하여 출현수로 하는 복수개의 제2카운터로 이루어지는 화질보정회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출현수카운터는 평균치산출부에서 산출된 휘도수준이 복수의 설정수준범위의 각각에 상당하는 가 안하는 가를 판정하는 복수개의 판정기와, 이 판정기의 판정회수를 계수하는 복수개의 제1카운터와, 이 제1카운터의 계수치와 이미 설정된 비교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출력에서 전기한 제1카운터를 초기화하는 복수개의 비교기와, 이 비교기의 출력회수를 계수하여 출현수로 하는 복수개의 제2카운터로 이루어지는 화질보정회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변화억제부는 차분기, 계수기, 가산기 및 N프레임지연기로 구성하고,
    전기한 차분기는 출현수카운터의 계수치와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치와의 차분을 출력하고,
    전기한 계수기는 차분기의 출력치에 1/X(X는 2이상의 정수)의 계수를 곱하여 출력하고,
    전기한 가산기는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치에 전기한 계수기의 출력치를 가산하고,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는 상기 가산기에 의한 가산치를 N프레임 기간 동안의 변화를 복수배의 N프레임 기간 동안의 변화로 지연시켜 전기한 차분기 및 전기한 가산기로 출력하는 화질보정회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변화억제부는 차분기, 계수기, 가산기 및 N프레임지연기로 구성하고,
    전기한 차분기는 제2카운터의 계수치와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치와의 차분을 출력하고,
    전기한 계수기는 전기한 차분기의 출력치에 1/X(X는 2이상의 정수)의 계수를 곱하여 출력하고,
    전기한 가산기는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치에 전기한 계수기의 출력치를 가산하고,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는 전기한 가산기에 의한 가산치를 N프레임 기간 동안의 변화를 복수배의 N프레임 기간 동안의 변화로 지연시켜 전기한 차분기 및 전기한 가산기로 출력하는 화질보정회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변화억제부는 차분기, 계수기, 가산기 및 N프레임지연기로 구성하고,
    전기한 차분기는 제2카운터의 계수치와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치와의 차분을 출력하고,
    전기한 계수기는 전기한 차분기의 출력치에 1/X(X는 2이상의 정수)의 계수를 곱하여 출력하고,
    전기한 가산기는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의 출력치에 전기한 계수기의 출력치를 가산하고,
    전기한 N프레임지연기는 전기한 가산기에 의한 가산치를 N프레임 기간 동안의 변화를 복수배의 N프레임 기간 동안의 변화로 지연시켜 전기한 차분기 및 전기한 가산기로 출력하는 화질보정회로.
  18.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 미리 복수로 분할된 휘도 레벨 범위 중 어느 휘도 레벨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휘도레벨 범위에서 출현 데이터를 계수하는 출현수카운터(13)와, 이 출현수카운터(13)에서 출력된 보정특성점의 계수치가 이미 설정된 상한치보다 많을 때에는 상한치를, 하한치보다 적을 때에는 하한치를, 상한치와 하한치의 범위내일 때에는 계수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정특성점억제회로(29)와, 이 보정특성점억제회로(13)의 출력에 따라서 보정곡선을 생성하는 보정곡선생성부(48)와, 이 보정곡선생성부(48)에서 생성된 보정특성선에 의해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는 화질보정부(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출현수카운터(13)은 영상신호입력단자(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복수화소마다 휘도수준의 평균치를 평균치산출부(10)에서 산출하고, 이 평균치산출부(10)에서 산출된 복수의 휘도수준의 출현수데이터를 미리 복수로 분할된 휘도 레벨 범위 중 어느 휘도 레벨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고, 각각의 휘도레벨 범위에서 출현 데이터를 계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보정특성점억제회로(29)는 보정특성점의 계수치와,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상한치·하한치를 비교하는 억제범위비교기(43)와, 이 억제범위비교기(43)의 출력에 따라서 억제범위설정부(46)에서 설정된 상한치·하한치 또는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치를 선택하는 보정특성점선택기(47)와, 보정특성점 중 몇 번째의 보정특성점에 대한 처리를 할 것인가를 제어하는 제어카운터(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억제범위비교기(43)는 보정특성점의 계수치 Pn와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상한치를 비교하는 상한비교기(41a)와, 보정특성점의 계수치 Pn와 하한치를 비교하는 하한비교기(42a)로 이루어지고, 억제범위설정부(46)는 상한치를 설정하는 상한설정부(44a)와, 하한치를 설정하는 하한설정부(45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보정특성점억제회로(29)는 보정특성점의 계수치와 직교하는 한 쪽의 축을 입력휘도수준으로 하고 다른 한 쪽의 축을 출력휘도수준으로 하는 보정특성선도에 있어서 개시점과 종점을 통하여 중간에서 곡선으로 변화하는 상한치·하한치을 비교하는 억제범위비교기(43)와, 이 억제범위비교기(43)의 출력에 따라서 억제범위설정부(46)에서 설정된 상한치, 하한치 또는 출현수카운터(13)의 계수치를 선택하는 보정특성점선택기(47)와, 보정특성점 중 몇 번째의 보정특성점에 대한 처리를 할 것인가를 제어하는 제어카운터(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억제범위비교기(43)는 보정특성점의 계수치 Pn와 곡선적으로 변화하는 상한치 YHn를 비교하는 상한비교기(41a)와, 보정특성점의 계수치 Pn와 하한치 YLn를 비교하는 하한비교기(42b)로 이루어지고, 억제범위설정부(46)는 상한치 YHn를 설정하는 상한설정부(44b)와, 하한치 YLn를 설정하는 하한설정부(45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보정회로.
KR1020007013488A 1999-03-31 2000-03-27 화질보정회로 KR100732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2014 1999-03-31
JP09201499A JP4590043B2 (ja) 1999-03-31 1999-03-31 画質補正回路
JP?11-280633 1999-09-30
JP28063399A JP2001103338A (ja) 1999-09-30 1999-09-30 画質補正回路
JP?11-309224 1999-10-29
JP30922499A JP2001125535A (ja) 1999-10-29 1999-10-29 画質補正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934A KR20010043934A (ko) 2001-05-25
KR100732014B1 true KR100732014B1 (ko) 2007-06-25

Family

ID=2730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488A KR100732014B1 (ko) 1999-03-31 2000-03-27 화질보정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12625B1 (ko)
EP (1) EP1085494A4 (ko)
KR (1) KR100732014B1 (ko)
CN (1) CN1163057C (ko)
AU (1) AU769305B2 (ko)
CA (1) CA2333622A1 (ko)
TW (1) TW531721B (ko)
WO (1) WO2000060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699A (ko) * 2002-11-07 200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트라스트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513273B1 (ko) * 2003-07-04 2005-09-09 이디텍 주식회사 동영상 신호의 실시간 밝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50212726A1 (en) * 2004-03-16 2005-09-29 Pioneer Plasma Display Corporation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burn-in reduction device for reducing burn-in on display device
JP2006101421A (ja) * 2004-09-30 2006-04-13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回路
JP2006154452A (ja) * 2004-11-30 2006-06-15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とグラデーション段差検出方法
JP4325552B2 (ja) 2004-12-24 2009-09-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533330B2 (ja) * 2005-04-12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6319634A (ja) * 2005-05-12 2006-11-2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とグラデーション段差検出方法
JP4240023B2 (ja) 2005-08-31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ならびに、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389882B2 (ja) * 2006-01-27 2009-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196731B2 (ja) * 2006-04-20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198720B2 (ja) * 2006-05-17 2008-12-17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JP4795473B2 (ja) 2009-06-29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945150A1 (en) 2010-08-26 2015-11-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deo display control device
JP5868119B2 (ja) 2010-12-09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TWI483555B (zh) * 2011-12-15 2015-05-01 Silicon Motion Inc 測試裝置以及類比至數位轉換器之測試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280A (ja) * 1986-08-04 1988-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処理装置
JPH03255785A (ja) * 1990-03-06 1991-11-14 Konica Corp 画像処理装置
JPH07162715A (ja) * 1993-12-10 1995-06-23 Fujitsu General Ltd デジタルガンマ補正方法
JPH07281633A (ja) * 1994-04-06 1995-10-27 Fujitsu General Ltd 電子ディスプレイの映像表示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0099A (ja) 1983-01-14 1983-08-03 中松 義郎 ふとん乾燥具
US4979136A (en) * 1988-03-01 1990-12-18 Transitions Research Corpor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image data
JPH06339280A (ja) * 1993-05-27 1994-12-06 Hitachi Ltd 電力変換器の低損失スナバ回路
JPH0773308A (ja) * 1993-09-03 199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画像処理装置
JP3255258B2 (ja) * 1994-06-20 2002-02-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画像表示装置
JPH0823460A (ja) * 1994-07-11 1996-01-23 Fujitsu General Ltd ダイナミックガンマ補正回路
JPH08317250A (ja) * 1995-05-19 1996-11-29 Fujitsu General Ltd ダイナミック映像制御回路
JP3501252B2 (ja) 1995-06-16 2004-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階調補正装置
JP3003561B2 (ja) * 1995-09-25 2000-01-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階調変換方法及びその回路と画像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と画像信号変換装置
KR100213094B1 (ko) * 1997-02-21 1999-08-02 윤종용 영상 개선장치를 위한 히스토그램 및 cdf 추출방법 및 그 회로
JP3267200B2 (ja) * 1997-07-11 2002-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6504954B1 (en) * 1999-02-05 2003-01-07 Raytheon Company Closed loop piecewise-linear histogram spec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280A (ja) * 1986-08-04 1988-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処理装置
JPH03255785A (ja) * 1990-03-06 1991-11-14 Konica Corp 画像処理装置
JPH07162715A (ja) * 1993-12-10 1995-06-23 Fujitsu General Ltd デジタルガンマ補正方法
JPH07281633A (ja) * 1994-04-06 1995-10-27 Fujitsu General Ltd 電子ディスプレイの映像表示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934A (ko) 2001-05-25
EP1085494A4 (en) 2009-01-07
TW531721B (en) 2003-05-11
US7012625B1 (en) 2006-03-14
CA2333622A1 (en) 2000-10-12
AU769305B2 (en) 2004-01-22
AU3329000A (en) 2000-10-23
CN1306657A (zh) 2001-08-01
WO2000060566A1 (en) 2000-10-12
CN1163057C (zh) 2004-08-18
EP1085494A1 (en) 200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014B1 (ko) 화질보정회로
US948545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9162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gamma correction in digital video
US6094226A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two-dimensional adaptive filter for reducing flicker in interlaced television images converted from non-interlaced computer graphics data
US7394932B2 (en) Video signal processor and method of processing video signal
US7643180B2 (en) Image processing an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one resolution expansion of digital images
JP371013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携帯電子機器
KR100664572B1 (ko) 영상신호 보정방법 및 영상신호 보정장치
JP2002252834A (ja) 補間装置、補間回路および映像信号処理装置
JPH103279A (ja) 信号変換回路および入力ワードのデジタル出力ワードへの変換方法
KR0143389B1 (ko) 윤곽보정장치
US7388617B2 (en) Image conversion device and image conversion method
CN100477805C (zh) 图像处理装置及使用它的图像显示装置、图像处理方法
JP2000287104A (ja) 映像信号補正回路
US7042524B2 (en) Video data correction device and video data correction method
US7446815B2 (en) Image conversion device and image conversion method
JP2001125535A (ja) 画質補正回路
JP2001103338A (ja) 画質補正回路
JP4590043B2 (ja) 画質補正回路
JP3912079B2 (ja) 表示装置の誤差拡散処理回路及び方法
RU2251160C2 (ru) Схема коррекции качества изображения
JP450409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並びに画像処理方法
US20020196371A1 (en) Picture-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eighting for black-level control
JPH11196293A (ja) 直線近似による信号処理回路
JP2579014B2 (ja) インタレース/ノンインタレース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