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528B1 -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528B1
KR100731528B1 KR1020057016482A KR20057016482A KR100731528B1 KR 100731528 B1 KR100731528 B1 KR 100731528B1 KR 1020057016482 A KR1020057016482 A KR 1020057016482A KR 20057016482 A KR20057016482 A KR 20057016482A KR 100731528 B1 KR100731528 B1 KR 10073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hydrophilic
silane coupling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798A (ko
Inventor
도루 사이토
히로후미 도치카와
마사히로 마키노
히데아키 도조
Original Assignee
닛카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카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카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4Aqueous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 C09G1/14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non-waxy substances
    • C09G1/1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non-waxy substances on natural or synthe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의 실란 커플링제 및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 유기 용매; 촉매 및 물을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84781435-pct00023
화학식 2
Figure 112006084781435-pct00024
화학식 3
Figure 112006084781435-pct00025
위의 화학식 1, 2 및 3에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R은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등이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계면활성제, 실리케이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 용매, 촉매,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Description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Hydrophilizing a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formation of hydrophilic protective films}
본 발명은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수성 수지 표면 또는 도포막 표면을 친수성으로 하여 수지나 도포막의 약화 방지나 표면 오물의 세정 제거력을 개선시키기 위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사용자는 자동차 도포막의 외관 보호를 위해 발수성 왁스를 칠해서 광택이나 미관을 개선시켰지만, 오물을 포함한 물방울이 부착되어 건조되면 오물이 얼룩진 상태로 잔류하며,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왁스가 용해되고 오물이 고착되어 미관상 보기 흉한 상태가 된다. 이것을 개선할 목적으로 자동차의 도포막 표면을 친수화하는 방법이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친수성 도료로서, 지방족 설폰산 화합물, 카복실기 함유 화합물, 특정의 오가노실리케이트,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도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방오성 도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69374호). 그러나 이러한 도료 조성물에 의한 처리방법은 막 두께를 수십μm로 조정하여, 140℃에서 30분 동안 가열처리하는 자동차의 제조공정에서의 도포방법이며, 이러한 처리방법을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친수화 처리로서 실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친수성 또는 친수화 가능한 도포막 표면을 갖는 기재 위에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가수분해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물 및 친수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73340호). 그러나, 이러한 처리방법은 친수성 또는 친수화 가능한 도포막 표면을 가진 기재, 즉 베이스 도료나 클리어 도료에 대해서만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들 도료는 자동차의 제조공정에서 처리되는 도료인 점으로부터 이러한 방법도 공장설비를 가지지 않은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친수화 처리로서 실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가수분해물로서 불완전한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촉각이 작아지지 않으며 피막이 친수화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완전한 가수분해물을 사용해도 축합을 위해 가열온도를 높게 하거나 가열시간을 길게 하거나 하면 가수분해로 생긴 친수성 수산기가 축합반응하여 감소되며, 생성된 피막은 충분하게 친수성이 되지 않으며, 또한 피막의 경도가 딱딱하게 되어 균열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수성을 갖는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 위에 친수성, 경도, 밀착성 및 방오성(防汚性)이 우수한 친수성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서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의 오물을 방지할 수 있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친수화 처리제의 도포후의 특별한 고온처리나 미리 친수성 또는 친수화 가능한 도포막을 조정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차 표면의 도포막이 어떠한 것이라도, 일반 사용자가 종래의 왁스 칠하는 것과 동일하게 손쉬운 수작업으로 균일한 친수성 보호막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포막 형성 직후에 친수성이 발현됨으로써 자기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등은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 알콕시 실리케이트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 용매, 촉매 및 물을 함유하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자연건조 또는 비교적 저온에서 건조시키는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에 의하면, 소수성을 갖는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 위에 친수성 보호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수득되는 피막이 친수성, 경도, 밀착성 및 방오성이 우수하므로, 강우나 닦을 때의 오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은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의 실란 커플링제 및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 유기 용매; 촉매 및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1
삭제
삭제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2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3
위의 화학식 1, 2 및 3에서,
R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머캅토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갖는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은 기재 위에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0 내지 100℃에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형성방법으로 친수성 보호막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를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은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의 실란 커플링제 및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 유기 용매; 촉매 및 물을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4
삭제
삭제
화학식 2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6
위의 화학식 1, 2 및 3에서,
R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머캅토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갖는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측쇄형 소수기와 친수기를 갖는 계면활성제이면, 기타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이들 중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측쇄형 소수기로서는 측쇄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측쇄를 갖는 아실기, 측쇄를 갖는 아르알킬기, 폴리옥시프로필렌 및 폴리옥시(에틸 에틸렌)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으며 친수기로서는 설폰산, 황산 에스테르, 카복실산, 인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 및 폴리옥시에틸렌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소수기와 친수기가 어떻게 조합된 계면활성제라도 양호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화학식 4의 설포석신산 디알킬 에스테르염 형 또는 설포석신산 디(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에스테르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5의 설포석신산알킬 에스테르 2염 형 또는 설포석신산(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에스테르 2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6의 설포프탈산 디알킬 에스테르염 형 또는 설포프탈산 디(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에스테르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7의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형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8의 2급 알콜 황산 에스테르염 형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2급 알콜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9의 모노지방산 글리세릴 황산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0의 지방산알킬올 아미드황산 에스테르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1의 모노카복실산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2의 디카복실산모노알킬 에스테르염 형 또는 디카복실산모노(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에스테르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3의 알킬 에테르 카복실산형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카복실산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4의 N-아실-N-메틸글리신염 형 또는 N-아실-N-메틸-β-알라닌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5의 N-아실글루탐산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6의 인산모노알킬 에스테르 2염 형, 인산모노(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에스테르 2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l7의 인산 디알킬 에스테르염 형, 인산 디(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에스테르염 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7
위의 화학식 4에서,
R4는 각각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각각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8
위의 화학식 5에서,
R5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09
위의 화학식 6에서,
R6은 각각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각각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R7O(AO)aSO3M
위의 화학식 7에서,
R7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0
위의 화학식 8에서,
R8, R9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케닐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1
위의 화학식 9에서,
R10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R11CONH(CH2)bOSO3M
위의 화학식 10에서,
R11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b는 1 또는 2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R12COOM
위의 화학식 11에서,
R12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R13(OA)aOOC-R14-COOM
위의 화학식 12에서,
R13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R14는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렌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알케닐렌기, 탄소수 7 내지 18의 알킬아릴렌기 또는 페닐렌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R15O(AO)aCH2COOM
위의 화학식 13에서,
R15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2
위의 화학식 14에서,
R16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 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b는 1 또는 2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3
위의 화학식 15에서,
R17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M은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4
위의 화학식 16에서,
R18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각각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5
위의 화학식 17에서,
R19는 각각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각각 0 내지 20의 정수이며,
M은 수소원자, 알칼리 금속, -NH4 또는 유기 아민이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화학식 l8의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형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학식 19의 폴리옥시알킬렌 2급 알콜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R20O(AO)aH
위의 화학식 18에서,
R20은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케닐기, 탄소수 3 내지 18의 아실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아르알킬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2 내지 2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6
위의 화학식 19에서,
R21, R22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이며,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a는 2 내지 2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9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측쇄를 갖는 알킬기, 측쇄를 갖는 알케닐기, 측쇄를 갖는 아르알킬기, 측쇄를 갖는 아실기 하나 이상을 갖는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기가 폴리옥시프로필렌기 및/또는 폴리옥시(에틸 에틸렌)기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및 양쪽을 갖는 계면활성제의 어느 하나의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19와 같은 2급 알콜을 원료로 하는 계면활성제의 경우에는 폴리옥시알킬렌기가 폴리옥시에틸렌기라도, 화학식에서의 각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는 직쇄 알킬기 또는 직쇄 알케닐기일 수 있다. 이들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한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두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9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의 제조방법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측쇄를 갖는 알콜류 또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무수 말레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말레산 디에스테르로 하며, 여기에 산성 아황산나트륨을 부가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4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 또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무수 말레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말레산 모노에스테르로 하며, 여기에 아황산나트륨으로 설폰화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 또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디메틸-5-설포이소프탈산나트륨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화학식 6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 또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진한 황산, 발연 황산, 클로로설폰산 등으로 황산화하여 중화시킴으로써 화학식 7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2급 알콜 또는 2급 알콜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진한 황산, 발연 황산, 클로로설폰산 등으로 황산화하여 중화시킴으로써 화학식 8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를 황산화함으로써 화학식 9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지방산과 알킬올아민을 축합시켜 아미드를 만들며 잔류하는 0H기를 황산화함으로써 화학식 10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지방산을 알칼리로 중화시킴으로써 화학식 11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 또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디카복실산류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모노에스테르로 하며, 알칼리로 중화시킴으로써 화학식 12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 또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알콜레이트와 모노클로르아세트산나트륨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13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지방산과 N-메틸글리신 또는 N-메틸-β-알라닌의 축합반응에 의해 화학식 14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지방산과 L-글루탐산의 축합반응에 의해 화학식 15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 또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오산화인, 옥시염화인 등의 인산화제를 사용하여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화학식 16, 화학식 17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에 알칼리 촉매 등을 사용하여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함으로써 화학식 18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2급 알콜에 산촉매나 알칼리 촉매 등을 사용하여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함으로써 화학식 19의 화합물이 수득된다.
상기한 반응에 사용되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알콜, 이소부틸 알콜, 2-에틸헥실 알콜, 탄소수 8 내지 18의 옥소알콜(예: 이소데실 알콜, 이소트리데실 알콜 등), 이소스테아릴 알콜, 부탄-2-올, 헥산-2-올, 헵탄-2-올, 탄소수 8 내지 18의 2급 알콜(예: 상품명: 타지톨, 상품명: 소프타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등을 들 수 있으며, 측쇄를 갖는 알콜류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서는 측쇄를 갖는 알콜류에 알킬렌 옥사이드(구체적으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를 1 내지 20몰 부가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몰 부가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렌 옥사이드로서 프로필렌 옥사이드나 부틸렌 옥사이드를 반응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콜류로서 직쇄상의 탄소수 3 내지 18의 알콜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알킬렌 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는 1 내지 20몰이 바람직하며, 특히 1 내지 10몰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에 사용되는 측쇄를 갖는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부티르산, 2-에틸헥산산, 이소노난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디카복실산류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산, 푸마르산, 석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측쇄를 갖는 알콜류, 직쇄의 알콜류, 측쇄를 갖는 지방산류, 디카복실산류, 알킬렌 옥사이드류는 한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두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원료를 사용하여 합성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친수성 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이의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경향이 있지만, 이들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중에서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16 및 화학식 17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설포석신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염, 설포석신산(폴리옥시에틸렌-2-에틸헥실 에테르)에스테르 2염, 5-설포이소프탈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염, 이소스테아릴 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스테아릴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인산모노(2-에틸헥실)에스테르 2염, 인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염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에 0.1 내지 10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하한 미만에서는 친수성의 저하와 방오성의 저하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친수성 보호막의 강도 저하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7
위의 화학식 1에서,
R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다.
이러한 실리케이트 화합물로서는 테트라메톡시 실란, 테트라에톡시 실란, 테 트라프로폭시 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 실란, 이들 테트라알콕시 실란 화합물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및 이들 테트라알콕시 실란 화합물이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의 가수분해물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에서,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특히 1 내지 2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m이 40을 초과하면 피막 강도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화학식 1 중의 R1이 탄소수 4 이상의 알킬기의 경우, 가수분해가 불충분해지며 피막 강도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보존성(포트 라이프)의 관점에서, 화학식 1 중의 모든 R1이 수소원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란 커플링제는 화학식 2 및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8
화학식 3
Figure 112005049512921-pct00019
위의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머캅토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갖는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화학식 2의 실란 커플링제인 알킬트리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로서는 메틸트리메톡시 실란, 에틸트리메톡시 실란,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부틸트리메톡시 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 실란, 펜틸트리메톡시 실란, n-헥실트리메톡시 실란, n-옥틸트리메톡시 실란, 페닐트리메톡시 실란, 벤질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 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메틸트리에톡시 실란, 에틸트리에톡시 실란,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부틸트리에톡시 실란, 펜틸트리에톡시 실란, n-헥실트리에톡시 실란, n-옥틸트리에톡시 실란, 페닐트리에톡시 실란, 벤질트리에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 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 실란, 에틸트리프로폭시 실란, 페닐트리프로폭시 실란, 메틸트리이소프로폭시 실란, 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 실란, 페닐트리이소프로폭시 실란 등의 알킬트리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이나 폴리에테르 변성 실란 커플링제, 상기 알킬트리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및 이들 알킬트리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이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의 가수분해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중의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며, n이 10을 초과하면 피막 형성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화학식 2 중의 R2가 탄소수 5 이상인 알킬기인 경우, 피막 형성성의 저하, 친수성의 저하 및 방오성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또한, 화학식 2 중의 R이 탄소수 9 이상의 알킬기인 경우, 친수성의 저하 및 방오성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또한, 화학식 2 중의 R이 상기한 탄화수소기인 경우, 이의 탄소수(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머캅토기 및 페닐기의 탄소수는 제외한다)는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탄소수가 상한을 초과하면 피막 형성성이 불충분해지며 피막 경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인 디알킬디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로서는 디메틸디메톡시 실란, 디에틸디메톡시 실란, 디페닐디메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 실란, 디메틸디에톡시 실란, 디에틸디에톡시 실란, 디페닐디에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 실란 등의 디알킬디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 상기 디알킬디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및 이들 디알킬디알콕시 실리케이트 화합물이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의 가수분해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중의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며, n이 10을 초과하면 피막 형성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화학식 3 중의 R2가 탄소수 5 이상의 알킬기인 경우, 가교 속도의 저하, 친수성의 저하, 및 방오성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또한, 화학식 3 중의 R이 탄소수 9 이상의 알킬기인 경우, 친수성의 저하 및 방오성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또한, 화학식 3 중의 R이 상기한 탄화수소기인 경우, 이의 탄소수(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머캅토기 및 페닐기의 탄소수는 제외한다)는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탄소수가 상한을 초과하면, 피막 형성성이 불충분해지며 피막 경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 중에서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페닐트리메톡시 실란, n-옥틸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이나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는 완전하게 가수분해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완전한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면 가교 속도가 느려지며, 가교 피막의 경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잔존하는 알콕시기의 영향으로 피막의 친수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들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실란 커플링제와의 조합으로서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페닐트리메톡시 실란,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n-옥틸메톡시 실란, 및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혼합 비율은 실리케이트 화합물 50 내지 90질량%에 대해 실란 커플링제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실리케이트 화합물 60 내지 90질량%에 대해 실란 커플링제 10 내지 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케이트 화합물이 90질량%를 초과하여 실란 커플링제가 10질량% 미만으로 되도록 혼합하면 피막이 딱딱해져서 취약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에 밀착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실리케이트 화합물이 50질량% 미만이고 실란 커플링제가 50질량%를 초과하도록 혼합하면 피막 형성성이 나빠지며 계면활성제를 유지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양자를 상기한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에서의 피막 형성성, 밀착성, 피막 경도가 우수한 것으로 되며 또한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효율적으로 고정화할 수 있으며, 보다 내구성이 있는 친수성 보호막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에서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를 합한(이하, 「실리케이트 화합물류」라고 기재한다) 양의 혼합 비율은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5 내지 85질량%에 대하여 실리케이트 화합물류 95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가 85질량%를 초과하여 실리케이트 화합물류가 15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많아서 양호한 피막을 형성할 수 없으며 피막 자체가 백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실리케이트 화합물류가 충분하게 계면활성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장기간의 친수성을 유지할 수 없어서 피막이 오염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계면활성제가 5질량% 미만이고 실리케이트 화합물류가 95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용적인 친수성을 발현할 수 없으며 오염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들 실리케이트 화합물류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에 0.1 내지 10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배합량이 하한 미만에서는 가교 밀도가 저하되며 충분한 친수성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피막의 두께가 커지며 간섭막이 출현하며 또한 도포 불균일에 의한 피막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친수성 용매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메틸 알콜,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등의 알콜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알콜류, 글리콜 에테르류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유기 용매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에 70 내지 99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의 배합량이 하한 미만에서는 도포시의 막 두께의 격차가 커지며 피막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건조 속도의 불균일에 의해 피막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촉매로서는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등의 알루미늄계 촉매, 아연비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등의 아연계 촉매, 티탄테트라키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티탄 비스(부톡시)비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티탄 비스(이소프로폭시)비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등의 티탄계 촉매,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디옥티에이트,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등의 주석계 촉매,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파라톨루엔 설폰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알루미늄계 촉매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촉매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에 O.01 내지 1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의 배합량이 하한 미만에서는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가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으며, 가교 밀도가 불충분해지며 충분한 친수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촉매의 양이 많아져서 피막 형성이 억제되며, 충분한 피막이 수득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에서 물의 배합량은 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배합량이 하한 미만에서는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가수분해 부족에 의한 가교 밀도의 저하와 친수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도포막 위에서 튀는 것이 발생하여 피막이 외관 불량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건조 속도가 느려져서 작업성이 나빠지는 경향도 있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에서는 상기한 계면활성제, 실리케이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유기 용매, 촉매 및 물로 이루어진 필수성분에 추가하여 다시 아크릴-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 성분; 실리카, 유기안료, 무기안료, 세라믹, 금속 산화물 등의 충전제; 분산제, 증점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유기계 산화방지제, 균염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성분의 함유량은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에 계면활성제, 실리케이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촉매 및 물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는 탈수 축합되어 삼차원 구조를 형성하지만, 이의 한 평면은 규소와 산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8원 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8원 환 구조를 형성할 때에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측쇄를 갖는 소수기가 이러한 8원 환 내에 도넛상으로 수납되어 인터록된 다음, 가교제의 1성분인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가 갖는 알킬기가 수지 표면이나 도포 표면에 화학적으로 가교되거나 반 데어 발스 힘에 의한 접착력이 작용함으로써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삼차원 구조 피막과 친수화 성분인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가 견고하게 고정화되어, 내구성이 있는 친수성 보호막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추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친수성 메커니즘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도넛상 구멍에서 계면활성제가 누락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하여는 계면활성제의 소수기 부분 또는 이에 준하는 부분이 가지 분리를 하고, 이 부분이 도넛상 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선정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은 기재 위에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0 내지 100℃에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친수성의 보호 피막을 형성시키는 수지 표면이나 도포 표면에 시공할 때에 당해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지 표면이나 도포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이의 건조온도는 0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이다. 건조온도가 0℃ 미만, 또는 100℃를 초과하면, 가교 불균일이나 건조 불균일이 발생하며 피도포물의 친수성에 친수성 불균일이 생긴다. 또한, 형성시키는 친수성 보호막의 막 두께는 건조막 두께로 3μm 이하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μm 이하이다. 건조막 두께가 3μm를 초과하면, 도포막을 건조시킬 때, 건조 불균일이 많아지며 광택의 저하, 도포막의 강도 저하, 외관이 나빠지므로 일반 소비자가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도포방법으로서는 적합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건조막 두께가 3μm 이하이면, 건조 불균일이 감소하여, 건조 후의 막의 광택에 영향은 없어지며 또한 막 두께가 2μm 이하이면, 피막 강도가 열팽창 수축에 추종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수득되는 친수성 보호막의 연필 경도가 2B 내지 4H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B 내지 2H이다. 친수성 보호막의 연필 경도가 2B 내지 4H의 범위를 일탈하면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에 형성된 친수성 보호막에 악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연필 경도가 2B보다 부드러운 경우, 친수성 보호막은 손상되기 쉬우며 박리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여름에 내수성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연필 경도가 4H보다 견고한 경우, 수지층 또는 도포막 층과 친수성 피막의 열팽창율의 차이로 인해, 더 이상 온도 변화에 대한 의존성이 없어지며, 층 박리나 균열을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형성방법으로 친수성 보호막을 부여하는 기재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지가공 또는 도포된 자동차 차체, 철도 차량, 항공기, 벽, 비금속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KC 실리케이트 MS-56」, 중량 평균 분자량: 600] 1.5g,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0.5g,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0.1g, 이온교환수 0.75g, 계면활성제 설포석신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유효 성분 70%) 2g, 메탄올 4g, 이소프로필 알콜 91.15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숙성을 실시하여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의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질량 비율은 41:59이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질량 비율은 75:25이다.
(실시예 2)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KC 실리케이트 MS-56」, 중량 평균 분자량: 1,200] 0.8g,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0.2g,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0.05g, 이온교환수 0.25g, 계면활성제 설포석신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유효 성분 70%) 1g, 메탄올 2g, 이소프로필 알콜 95.7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숙성을 실시하여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의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질량 비율은 41:59이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질량 비율은 80:20이다.
(실시예 3)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KC 실리케이트 MS-51」, 중량 평균 분자량: 600] 0.7g, 페닐트리메톡시 실란 0.3g,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0.05g, 이온교환수 0.35g, 계면활성제 설포석신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유효 성분 70%) 1.4g, 메탄올 2g, 이소프로필 알콜 96.2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숙성을 실시하여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의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질량 비율은 50:50이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질량 비율은 70:30이다.
(실시예 4)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KC 실리케이트 MS-51」, 중량 평균 분자량: 600] 0.45g, n-옥틸트리메톡시 실란 0.05g,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0.03g, 이온교환수 0.2g, 계면활성제 설포석신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유효 성분 70%) 2g, 메탄올 1g, 이소프로필 알콜 96.27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숙성을 실시하여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의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질량 비율은 74:26이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질량 비율은 90:10이다.
(실시예 5)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KC 실리케이트 MS-51」, 중량 평균 분자량: 600) 1.5g,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 0.5g,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0.1g, 이온교환수 0.7g, 계면활성제 설포석신산 디(2-에틸헥실)에스테르 나트륨염(유효 성분 70%) 2g, 메탄올 4g, 이소프로필 알콜 91.2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숙성을 실시하여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의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질량 비율은 41:59이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질량 비율은 75:25이다.
(실시예 6)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KC 실리케이트 MS-51」, 중량 평균 분자량: 600) 1.5g,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0.5g,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0.1g, 이온교환수 0.75g,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10EO) 2-에틸헥실 에테르 2g, 메탄올 4g, 이소프로필 알콜 91.15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숙성을 실시하여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의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질량 비율은 50:50이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질량 비율은 75:25이다.
(비교예 1)
시판하는 카르나바 왁스(슈아라스타사제: 상품명 「임팩트·마스터·피니쉬)를 사용한다.
(비교예 2)
테트라메톡시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미쓰비시가가쿠(주) 제조: 상품명 「MKC 실리케이트 MS-51」, 중량 평균 분자량: 600] 1.5g,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0.5g,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 아세토네이트) 0.1g, 이온교환수 14g, 계면활성제 n-도데실 황산나트륨염(유효 성분 100%) 1.4g, 메탄올 4g, 이소프로필 알콜 78.5g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1일 동안 숙성을 실시하여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러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와 실리케이트 화합물류의 질량 비율은 41:59이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의 질량 비율은 75:25이다.
(시험방법)
(도포판의 작성방법)
시험용의 카치온 전착 도포판[테스트 피스(주) 제조, JIS G-3141(SPCC SD))에 중도 도료[HS60, 간사이페인트(주) 제조]를 건조막 두께 30μm로 되도록 에어 스프레이 도포하고, 140℃에서 20분 동안 소성한다. 이어서, 예비 펄 상도 베이스 피복도료[매직론 HM32-l, 도색 기호 B-96P, 간사이페인트(주) 제조]를 건조막 두께 20μm로 되도록 에어 스프레이 도포하고, 140℃에서 20분 동안 소성한다. 다시 예비 펄 상도 톱 피복도료[루가베이크 HK-4 클리어, 간사이페인트(주) 제조]를 건조막 두께 30μm로 되도록 에어스프레이 도포하고, 140℃에서 20분 동안 소성하여 시험용 도포판을 작성한다. 수득된 도포판은 균일하고 광택이 있는 도포막을 형성하고 있다.
(친수화 처리제의 도포방법)
상기한 시험용의 도포판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일정량(10g/m2)을 바 피복기로 도포한다. 이어서, 20℃에서 자연 건조하며 건조 후 20℃에서 30분 동안 방치시킨다.
또한, 승용차에 관해서는 1대당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100mL를 도포한다. 도포 및 건조온도 18 내지 25℃에서 실시하며 건조 후에는 이 범위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숙성시킨다.
(평가방법)
(1) 승용차 런닝 시험에 의한 방오성 및 친수성의 평가
시판하는 승용차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3개월간의 런닝 시험을 실시하여 방오성을 육안으로 판정한다. 또한, 실제로 물을 흘려 보내서 친수성을 육안으로 판정한다.
방오성(육안 판정기준)
○: 차체의 오물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 차체의 오물이 조금 눈에 띈다;
×: 차체의 오물이 현저하다.
친수성(육안 판정기준)
○: 차체 전체가 젖는다;
△: 차체가 부분적으로 물을 튀긴다;
×: 차체 전체가 물을 튀긴다.
(2) 초기의 외관 및 친수성 평가
시험용 도포판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2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2) 내지 (5)의 시험을 실시한다.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상태를 마무리 외관 및 친수성으로 평가한다. 외관에 관해서는 육안 판정을 실시하며 친수성에 관해서는 FACE[교화가이멘가가쿠기기(주) 제조]를 사용하며 이온교 환수로 수접촉각을 측정한다.
외관(육안 판정기준)
○: 미처리 도포판과 비교하여, 외관의 변화가 없다;
△: 미처리 도포판과 비교하여, 약간의 외관 변화가 있다;
×: 미처리 도포판과 비교하여, 외관 변화가 현저하다.
(3) 도포막의 경도
경도에 관해서는 JIS K-5400에 준해 평가를 실시한다.
(4) 도포막의 밀착성
밀착성에 관해서는 JIS K-5400에 준해 평가를 한다.
(5) 내후 처리후의 외관 및 친수성 평가
내후성에 관해서는 선샤인 웨더 촉진 내후 시험기[선샤인 웨더 미터 WEL-300-DC(스가 시험기(주))]를 사용하여, JIS K-5400에 준하여 내후처리를 실시하며 500시간 후의 외관 변화 및 친수성을 평가한다. 외관에 관해서는 육안 판정을 실시하고 친수성에 관해서는 FACE[교화가이멘가가쿠기기(주) 제조]를 사용하며 이온교환수로 수접촉각을 측정한다.
내후 처리후의 외관 변화
○: 내후처리 전후로 외관의 변화가 없다;
△: 내후처리 전후로 약간의 외관 변화가 있다;
×: 내후처리 전후로 외관 변화가 현저하다.
상기한 시험에 의해 수득된 결과를 하기의 표 1 및 표 2에 기재한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승용차에 대한 시험 (1) 런닝 시험(3개월 후) 방오성 O-△
친수성
도막판에 의한 시험 (2) 초기 외관 및 친수성 외관
수접촉각 3.7 38 35 42 44
(3) 경도 F H HB 2H HB
(4) 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90/100
(5) 내침처리후의 외관 및 친수성 외관
수접촉각 3.5 3.7 3.6 4.4 4.7
표 2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승용차에 대한 시험 (1) 런닝 시험(3개월 후) 방오성 × 탈락
친수성 ×
도막판에 의한 시험 (2) 초기 외관 및 친수성 외관
수접촉각 45 110 39
(3) 경도 F 막 제조성 없음 F
(4) 밀착성 90/100 막 제조성 없음 100/100
(5) 내침처리후의 외관 및 친수성 외관 ×
수접촉각 43 91 89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사용하면, 소수성을 갖는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 위에 친수성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득된 본 발명의 친수성 보호막은 친수성, 경도, 밀착성 및 방오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본 발명의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에 의하면, 소수성을 갖는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 위에 친수성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막은 친수성, 경도, 밀착성 및 방오성이 우수하므로, 장기간에 걸쳐 수지 표면이나 도포막 표면의 오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친수기로서, 설폰산, 황산 에스테르, 카복실산, 인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 및 폴리옥시에틸렌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과, 소수기로서, 측쇄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측쇄를 갖는 아실기, 측쇄를 갖는 아르알킬기, 폴리옥시프로필렌기 및 폴리옥시(에틸 에틸렌)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을 포함하는,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0.1 내지 10질량%,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의 실란 커플링제 및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를 합하여 0.1 내지 10질량%,
    유기 용매 70 내지 99질량%,
    촉매 0.01 내지 1질량% 및
    물 0.1 내지 10질량%를 함유하며,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함량과, 화학식 2의 실란 커플링제 및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과의 질량 비율이 50 내지 90:50 내지 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84781435-pct00020
    화학식 2
    Figure 112006084781435-pct00021
    화학식 3
    Figure 112006084781435-pct00022
    위의 화학식 1, 2 및 3에서,
    R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m은 1 내지 40의 정수이며,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이거나, 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메타크릴기, 머캅토기 및 페닐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그룹을 갖는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측쇄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함량 : 화학식 1의 실리케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2의 실란 커플링제 및 화학식 3의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 커플링제를 합한 함량과의 질량 비율이 5 내지 85:95 내지 15인,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르는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O 내지 100℃에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건조 후의 막 두께가 3μm 이하인,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친수성 보호막의 연필 경도가 2B 내지 4H인,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기재가 수지 가공 또는 도장 가공된 기재인,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
  9. 제5항에 따르는 친수성 보호막의 형성방법으로 친수성 보호막을 부여한 기재.
KR1020057016482A 2003-03-06 2004-03-05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 KR100731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0310 2003-03-06
JP2003060310A JP4370111B2 (ja) 2003-03-06 2003-03-06 親水化処理剤組成物及び親水性保護膜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798A KR20060002798A (ko) 2006-01-09
KR100731528B1 true KR100731528B1 (ko) 2007-06-25

Family

ID=3295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482A KR100731528B1 (ko) 2003-03-06 2004-03-05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051274A1 (ko)
EP (1) EP1602697A4 (ko)
JP (1) JP4370111B2 (ko)
KR (1) KR100731528B1 (ko)
CN (1) CN100340624C (ko)
CA (1) CA2517363A1 (ko)
TW (1) TW200427798A (ko)
WO (1) WO2004078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9906B1 (fr) * 2006-04-13 2008-06-27 Eads Ccr Groupement D Interet Utilisation d'un materiau nanostructure, comme revetement protecteur de surfaces metalliques
JP2008150457A (ja) * 2006-12-15 2008-07-03 Nicca Chemical Co Ltd 拭き上げ型親水化処理剤、親水性保護膜の形成方法及び親水性保護膜
JP5201930B2 (ja) * 2007-02-16 2013-06-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親水性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26926A (ja) * 2007-11-22 2009-06-11 Basf Coatings Japan Ltd 上塗り塗膜の耐汚れ処理剤及び上塗り塗膜の耐汚れ処理方法
JP5512932B2 (ja) * 2008-03-19 2014-06-04 花王株式会社 親水化処理剤
CN101579672A (zh) * 2008-05-16 2009-11-18 3M创新有限公司 用于提高亲水性/透射率的二氧化硅涂层
US20100092765A1 (en) * 2008-10-10 2010-04-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ica coating for enhanced hydrophilicity
US9206335B2 (en) 2008-10-10 2015-12-08 3M Innovation Properties Company Silica coating for enhanced hydrophilicity
US11458105B2 (en) 2008-12-04 2022-10-04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Hybrid fragrance encapsulate formula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763861B2 (en) 2008-12-04 2017-09-1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Stable, flowable silica capsule formulation
US8268975B2 (en) * 2009-04-03 2012-09-18 Dow Agrosciences Llc Demulsification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demulsifying and separating aqueous emulsions
CN101941001B (zh) 2009-07-03 2014-04-02 3M创新有限公司 亲水涂层、制品、涂料组合物和方法
CN102241899B (zh) 2010-05-11 2014-05-14 3M创新有限公司 涂料组合物,改性基体表面的方法和制品
CN108465446A (zh) * 2011-03-18 2018-08-31 国际香料和香精公司 由溶胶-凝胶前体混合物制备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EP2716705A4 (en) * 2011-06-03 2015-02-18 Asahi Glass Co Ltd HYDROPHILIC COMPOSITION, HYDROPHILATION METHOD, POROUS BODY OF HYDROPHILIZED RESI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POROUS BODY OF HYDROPHILIZED RESIN
CN103946421A (zh) * 2011-11-14 2014-07-23 关西涂料株式会社 金属表面处理剂用水性粘合剂组合物
US20160032146A1 (en) * 2013-03-08 2016-02-04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c/inorganic transparent hybrid film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60007649A (ko) 2013-05-17 2016-01-2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세정 용이성 표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694002B (zh) * 2015-03-11 2018-05-11 立邦工业涂料(上海)有限公司 一种自清洁清漆及其制备方法
US10544329B2 (en) 2015-04-13 2020-01-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olysiloxane formulations and coatings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WO2016167097A1 (ja) * 2015-04-15 2016-10-20 株式会社Kri ベタイン系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親水性コーティング組成液及びコーティング膜
JP6662601B2 (ja) * 2015-10-09 2020-03-11 セコ コーポレイション リミテッド 防曇剤
WO2019163455A1 (ja) * 2018-02-22 2019-08-29 株式会社ダイセル 基板親水化処理剤
US20210355412A1 (en) * 2018-11-22 2021-11-18 Kao Corporation Hydrophilization treatment agent composition
CN115073211B (zh) * 2022-06-27 2023-05-23 浙江大学杭州国际科创中心 一种纳米增强型渗透硬化剂及其制备方法
CN116082645B (zh) * 2022-12-30 2023-11-21 广州硅碳新材料有限公司 亲水性大分子有机硅氧烷化合物和处理剂
CN117042334B (zh) * 2023-10-08 2023-12-15 季华实验室 一种印刷电路板基材镀银压合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0170A (ja) * 1983-03-17 1984-09-26 Kansai Paint Co Ltd 表面親水化処理組成物
JP2000265114A (ja) * 1999-03-17 2000-09-26 Jsr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JP2001029876A (ja) * 1999-07-21 2001-0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親水性塗装品
JP2001146573A (ja) * 1999-11-22 2001-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ーティング膜の形成方法
JP2001316626A (ja) * 2000-05-02 2001-11-16 Seikoh Chem Co Ltd コーティング剤
JP2002273340A (ja) * 2001-03-15 2002-09-24 Nippon Paint Co Ltd 塗膜形成方法及び自動車車体
JP2003027039A (ja) * 2001-07-12 2003-01-29 Central Glass Co Ltd 光触媒親水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194B2 (ja) * 1978-06-20 1985-12-09 東陶機器株式会社 コ−テイング用樹脂組成物
WO1998023680A1 (fr) * 1996-11-28 1998-06-04 Daikin Industries, Ltd. Dispersion aqueuse et materiau hydrofuge
WO1998036016A1 (fr) * 1997-02-14 1998-08-2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mposes polyalcoxysiloxane, procede de production de ceux-ci et composition de revetement les contenant
US20030157340A1 (en) * 2000-02-01 2003-08-21 Jsr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silica-based film, silica-based film, insulating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2294157A (ja) * 2001-04-03 2002-10-09 Jsr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硬化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0170A (ja) * 1983-03-17 1984-09-26 Kansai Paint Co Ltd 表面親水化処理組成物
JP2000265114A (ja) * 1999-03-17 2000-09-26 Jsr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JP2001029876A (ja) * 1999-07-21 2001-0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親水性塗装品
JP2001146573A (ja) * 1999-11-22 2001-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ーティング膜の形成方法
JP2001316626A (ja) * 2000-05-02 2001-11-16 Seikoh Chem Co Ltd コーティング剤
JP2002273340A (ja) * 2001-03-15 2002-09-24 Nippon Paint Co Ltd 塗膜形成方法及び自動車車体
JP2003027039A (ja) * 2001-07-12 2003-01-29 Central Glass Co Ltd 光触媒親水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7798A (en) 2004-12-16
CA2517363A1 (en) 2004-09-16
WO2004078864A1 (ja) 2004-09-16
EP1602697A1 (en) 2005-12-07
JP2004269629A (ja) 2004-09-30
EP1602697A4 (en) 2007-07-25
CN100340624C (zh) 2007-10-03
JP4370111B2 (ja) 2009-11-25
KR20060002798A (ko) 2006-01-09
US20070051274A1 (en) 2007-03-08
CN1756819A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528B1 (ko) 친수화 처리제 조성물 및 친수성 보호막 형성방법
JP5032111B2 (ja) シラン高濃度組成物を用いる金属表面の被覆法
KR100322942B1 (ko) 오염부착방지제및상기방지제를함유하는비수성도료용조성물
CN102239222B (zh) 用于增强亲水性的二氧化硅涂层
EP2617778B1 (en) Fouling release coatings
EP0863191A2 (en) Raindrop fouling-resistant paint film, coating composition, film-form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US6599976B2 (en) Coating process and silicon-containing liquid composition
JP6523253B2 (ja) 亜鉛めっき鋼材用の金属表面処理剤、被覆方法及び被覆鋼材
JPH05223482A (ja) 親水化処理組成物、親水化処理方法及び親水化処理熱交換器フィン
US20020076563A1 (en) Fluorine-containing organic silicon compound, water repellent composition containing it, and surface-treated substrat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20090108231A1 (en) Surface preparation compound
KR20120048054A (ko) 가공성, 내식성 및 내지문성이 우수한 흑색수지강판
JP2008150457A (ja) 拭き上げ型親水化処理剤、親水性保護膜の形成方法及び親水性保護膜
JP3473755B2 (ja) 亜鉛系メッキ鋼板用表面処理剤、及び亜鉛系メッキ鋼板
JPH0680852A (ja) 親水化処理組成物、親水化処理方法及び親水化処理熱交換器フィン
JP4641563B1 (ja) 防汚塗料組成物及び防汚塗膜の形成方法
JP7443019B2 (ja) 水性プライマー処理組成物
JP6121289B2 (ja) 防汚性樹脂被覆アルミニウム板
US11649376B2 (en) Ceramic paint composition and brake disc plate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2009126926A (ja) 上塗り塗膜の耐汚れ処理剤及び上塗り塗膜の耐汚れ処理方法
JP7252506B2 (ja) プレコート金属板
JP7232640B2 (ja) 水性防錆表面処理組成物および表面被覆金属部材
AU2017233628B2 (e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method for forming antifouling coating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ceramic building material
JP2023106679A (ja) 表面処理剤並びに皮膜を有する被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38251A (ja) 水性塗料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