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907B1 -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907B1
KR100728907B1 KR1020060057560A KR20060057560A KR100728907B1 KR 100728907 B1 KR100728907 B1 KR 100728907B1 KR 1020060057560 A KR1020060057560 A KR 1020060057560A KR 20060057560 A KR20060057560 A KR 20060057560A KR 100728907 B1 KR100728907 B1 KR 10072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hifting
correction
output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5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907B1/ko
Priority to US11/647,433 priority patent/US783099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04L7/002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correction by interpolation
    • H04L7/0025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correction by interpolation interpolation of clock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쉬프팅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쉬프팅 수단, 반전된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다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 수단, 상기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쉬프팅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쉬프팅 수단, 인가된 바이어스에 따라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제 2 쉬프팅 신호의 중간 위상을 갖는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보정 수단,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보정신호를 조합하여 조합신호를 출력하는 조합 수단, 상기 다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합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 및 상기 다중화 수단의 출력에 따라 클럭신호 및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빙 수단을 포함한다.
클럭, 듀티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lock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각부 출력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제 1 쉬프팅 수단의 회로도,
도 5는 도 3의 제어신호 생성 수단의 회로도,
도 6은 도 3의 제 2 쉬프팅 수단의 회로도,
도 7은 도 3의 보정 수단의 내부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제 1 보정부의 회로도,
도 9는 도 3의 조합 수단의 회로도,
도 10은 도 3의 다중화 수단의 회로도,
도 11은 도 3의 드라이빙 수단의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각부 출력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 1 쉬프팅 수단 200: 제어신호 생성 수단
300: 제 2 쉬프팅 수단 400: 보정 수단
500: 조합 수단 600: 다중화 수단
700: 드라이빙 수단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이 다른 복수개의 주기신호(C0 ~ C3)를 이용하여 쉬프팅 신호(P0 ~ P3)를 출력하는 제 1 쉬프터(10), 반전된 클럭신호(이하, ICLKB)를 이용하여 다중화 제어신호(M0 ~ M3)를 출력하는 제 2 쉬프터(20), 상기 다중화 제어신호(M0 ~ M3)에 따라 상기 쉬프팅 신호(P0 ~ P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30), 및 상기 다중화부(30)의 출력에 따라 클럭신호(이하, ICLK) 및 상기 ICLKB를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버(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펄스폭이 2tck인 C0 ~ C3가 소정 위상차를 가지고 순서대로 입력된다. 이때 C1 ~ C3는 각각 상기 C0와 90도, 180도, 27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그리고 최초의 리셋신호(RESET)에 의해 제 1 쉬프터(10)의 출력이 P0 = 하이, P1 ~ P3 = 로우로 설정된 이후, 상기 RESET이 디스에이블된 후부터 상기 제 1 쉬프터(10)가 상기 C0 ~ C3에 따라 펄스폭이 4tck인 PO ~ P3를 출력한다.
또한 최초의 리셋신호(RESET)에 의해 제 2 쉬프터(20)의 출력이 M0 = 하이, M1 ~ M3 = 로우로 설정된 이후, 상기 RESET이 디스에이블된 후부터 상기 제 2 쉬프터(20)가 ICLKB를 이용하여 M0 ~ M3를 출력한다.
이어서 다중화부(30)가 상기 M0 ~ M3 각각의 하이 타이밍에 해당 P0 ~ P3 선택하고, 드라이버(40)를 거쳐 ICLK가 출력된다.
즉, M0가 하이인 구간에 P0를 ICLK로 출력하고, M3가 하이인 구간에 P3를 ICLK로 출력하고, M2가 하이인 구간에 P2를 ICLK로 출력하며, M1이 하이인 구간에 P1을 ICLK로 출력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0 ~ P3 각각의 펄스폭은 4tck인 반면, P0와 P3, P3와 P2, P2와 P1, P1과 P0의 위상차는 5tck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클럭신호 즉, ICLK는 하이 듀티가 4tck(약 44%)인 반면, 로우 듀티가 5tck(약 56%)가 되어 듀티비가 44:56으로 일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클럭을 이용하는 구성의 동작마진이 로우 듀티 쪽으로만 확보되어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클럭의 듀티를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쉬프팅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쉬프팅 수단; 반전된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다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 수단; 상기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쉬프팅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쉬프팅 수단; 인가된 바이어스에 따라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제 2 쉬프팅 신호의 중간 위상을 갖는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보정 수단;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보정신호를 조합하여 조합신호를 출력하는 조합 수단; 상기 다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합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 및 상기 다중화 수단의 출력에 따라 클럭신호 및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빙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방법은 복수개의 주기신호의 펄스폭을 증가시켜 쉬프팅 시킨 복수개의 제 1 쉬프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에 비해 소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쉬프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제 2 쉬프팅 신호의 중간 위상을 갖는 복수개의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보정신호를 논리 조합하여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에 비해 펄스폭이 증가된 복수개의 조합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합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하이 듀티와 로우 듀티가 동일한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제 1 쉬프팅 수단의 회로도, 도 5는 도 3의 제어신호 생성 수단의 회로도, 도 6은 도 3의 제 2 쉬프팅 수단의 회로도, 도 7은 도 3의 보정 수단의 내부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제 1 보정부의 회로도, 도 9는 도 3의 조합 수단의 회로도, 도 10은 도 3의 다중화 수단의 회로도, 도 11은 도 3의 드라이빙 수단의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각부 출력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주기신호(이하, C0 ~ C3)를 이용하여 제 1 쉬프팅 신호(이하, P0 ~ P3) 및 반전된 제 1 쉬프팅 신호(이하, P0B ~ P3B)를 출력하는 제 1 쉬프팅 수단(100), 반전된 클럭신호(이하, ICLKB)를 이용하여 다중화 제어신호(이하, M0 ~ M3)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 수단(200), 상기 C0 ~ C3를 이용하여 제 2 쉬프팅 신호(이하, P0D ~ P3D) 및 반전된 제 2 쉬프팅 신호(이하, P0DB ~ P3DB)를 출력하는 제 2 쉬프팅 수단(300), 제 1 바이어스(이하, PBIAS) 및 제 2 바이어스(이하, NBIAS)에 따라 상기 P0 ~ P3와 P0D ~ P3D의 중간 위상을 갖는 보정신호(이하, P0I ~ P3I)를 출력하는 보정 수단(400), 상기 P0 ~ P3와 상기 P0I ~ P3I를 조합하여 즉, 논리합하여 조합신호(이하, P0R ~ P3R)를 출력하는 조합 수단(500), 상기 M0 ~ M3에 따라 상기 P0R ~ P3R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600), 및 상기 다중화 수단(600)의 출력(ICK)에 따라 클럭신호(이하, ICLK) 및 ICLKB를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빙 수단(700)을 포함한다.
상기 C0 ~ C3는 펄스폭이 2tck이고, 상기 C1 ~ C3는 각각 상기 C0와 90도, 180도, 27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상기 제 1 쉬프팅 수단(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단 또는 최종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C0 ~ C3에 따라 상기 P0 ~ P3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110 ~ 140)으로 이루어진 플립플롭 체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C0 ~ C3는 복수개의 플립플롭(110 ~ 140)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로 사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플립플롭(110 ~ 140)에 대해 C0, C3, C2, C1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 수단(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단 또는 최종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ICLKB에 따라 상기 M0 ~ M3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210 ~ 240)으로 이루어진 플립플롭 체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ICLKB는 상기 복수개의 플립플롭(210 ~ 240)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로 공통 입력된다.
상기 제 2 쉬프팅 수단(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단 또는 최종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C0 ~ C3에 따라 상기 P0 ~ P3에 비해 소정시간 지연된 P0D ~ P3D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310 ~ 340)으로 이루어진 플립플롭 체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C0 ~ C3는 복수개의 플립플롭(310 ~ 340)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로 사용되며, 상기 복수개의 플립플롭(310 ~ 340)에 대해 C1, C0, C3, C2를 입력한다.
상기 보정 수단(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BIAS 및 NBIAS에 따라 상기 P0 ~ P3와 P0D ~ P3D를 서로 대응되는 비트별로 중간 위상을 갖도록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상기 P0I ~ P3I를 출력하는 복수개 즉, 제 1 내지 제 4 보정부(410 ~ 4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정부(4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간 회로로서, 입력단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 1 제어단에 상기 PBIAS를 입력받으며 출력단과 제 2 제어단이 연결된 제 1 패스 게이트(PG11), 드레인이 P0I 출력단(OUT)과 연결되고 게이트(B1)에 P0B를 입력받는 제 1 트랜지스터(M11), 드레인이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1)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게이트(T1)에 P0를 입력받는 제 2 트랜지스터(M12), 소오스가 접지되고 게이트에 NBIAS를 입력받으며 드레인이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M11, M12)의 소오스와 공통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M13), 입력단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 1 제어단에 상기 PBIAS를 입력받고 제 2 제어단 및 출력단이 상기 P0I 출력단(OUT)과 연결된 제 2 패스 게이트(PG12), 드레인이 상기 P0I 출력단(OUT)과 연결되고 게이트(B2)에 P0DB를 입력받는 제 4 트랜지스터(M14), 드레인이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PG11)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게이트(T2)에 P0D를 입력받는 제 5 트랜지스터(M15), 및 소오스가 접지되고 게이트에 NBIAS를 입력받으며 드레인이 상기 제 4 및 제 5 트랜지스터(M14, M15)의 소오스와 공통연결된 제 6 트랜지스터(M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보정부(420 ~ 440)는 입력신호만 다를 뿐 상기 제 1 보정부(41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성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PBIAS는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 게이트(PG11, PG12)를 턴온시킬 수 있는 레벨이고, 상기 NBIAS는 상기 제 3 및 제 6 트랜지스터(M13, M16)를 턴온시킬 수 있는 레벨이다.
상기 조합수단(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0I ~ P3I와 상기 P0 ~ P3를 서로 대응되는 비트별로 논리합하여 상기 P0R ~ P3R를 출력하는 로직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로직회로는 복수개의 노아 게이트(NR11 ~ NR14) 및 상기 복수개의 노아 게이트(NR11 ~ NR14) 각각의 출력을 입력받는 복수개의 인버터(IV11 ~ IV14)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화 수단(6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0R ~ P3R를 비트별로 입력받아 상기 M0 ~ M3 및 MOB ~ M3B에 따라 출력하는 복수개의 패스 게이트(PG21 ~ PG24)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빙 수단(7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중화 수단(600)의 출력(ICK)을 입력받아 상기 ICLKB를 출력하는 제 1 인버터(IV21), 및 상기 제 1 인버터(IV21)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ICLK를 출력하는 제 2 인버터(IV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의 동작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0 ~ C3가 소정 위상차를 가지고 입력된다. 이때 C1 ~ C3는 각각 상기 C0와 90도, 180도, 27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그리고 최초의 리셋신호(RESET)에 의해 제 1 쉬프팅 수단(100)의 출력이 P0 = 하이, P1 ~ P3 = 로우로 설정된 이후, 상기 RESET이 디스에이블된 후부터 상기 제 1 쉬프팅 수단(100)이 상기 C0 ~ C3에 따라 펄스폭이 4tck인 PO ~ P3 및 P0B ~ P3B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RESET에 의해 제 2 쉬프팅 수단(300)의 출력이 P0D = 하이, P1D ~ P3D = 로우로 설정된 이후, 상기 RESET이 디스에이블된 후부터 상기 제 2 쉬프팅 수단(300)이 상기 C0 ~ C3에 따라 상기 PO ~ P3 및 P0B ~ P3B에 비해 90도의 위상차를 갖고(1tck만큼 지연되고) 펄스폭이 4tck인 P0D ~ P3D 및 P0DB ~ P3DB를 출력한다.
이때 제 1 쉬프팅 수단(100)의 복수개의 플립플롭(110 ~ 140) 중 최초로 동작하여 P0를 출력하는 플립플롭(110)에 C0를 입력시키는데 반하여, 상기 제 2 쉬프팅 수단(300)의 복수개의 플립플롭(310 ~ 340) 중 최초로 동작하여 P0D를 출력하는 플립플롭(310)에 상기 C0에 비해 90도의 위상차를 갖는 C1을 입력시킨다. 따라서 P0D가 P0에 비해 상기 90도의 위상차 갖게 되고, 그에 따라 P0D ~ P3D가 P0 ~ P3에 비해 90도의 위상차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정 수단(400)은 PBIAS 및 NBIAS에 따라 P0 ~ P3와 P0D ~ P3D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상기 도 12의 A1과 같이, P0 ~ P3와 P0D ~ P3D의 중간위상을 갖는 P0I ~ P3I를 출력한다.
즉, 도 8의 보간회로로 이루어진 도 7의 제 1 내지 제 4 보정부(410 ~ 440) 각각을 통해 P0와 P0D, P1과 P1D, P2와 P2D, 및 P3와 P3D에 대한 보간이 이루어져 P0I, P1I, P2I, 및 P3I가 출력된다. 이때 P0I ~ P3I는 P0 ~ P3에 비해 위상이 45 도(0.5tck) 늦고 P0D ~ P3D에 비해 위상이 45도 앞선다. 결국, P0I ~ P3I의 폴링 엣지(Falling Edge)가 P0 ~ P3의 폴링 엣지에 비해 0.5tck 만큼 늦게 발생된다.
이어서 조합 수단(500)은 도 12의 A2와 같이, 상기 P0I ~ P3I와 P0 ~ P3를 논리합하여 P0R ~ P3R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P0R ~ P3R은 상기 P0 ~ P3를 보정 수단(400)에 의해 폴링 엣지가 늦춰진 P0I ~ P3I와 논리합한 것이므로 4.5tck의 펄스폭을 갖게 된다.
한편, 최초의 리셋신호(RESET)에 의해 제어신호 생성 수단(200)의 출력이 M0 = 하이, M1 ~ M3 = 로우로 설정된 이후, 상기 RESET이 디스에이블된 후부터 상기 제어신호 생성 수단(200)이 상기 ICLKB를 이용하여 M0 ~ M3 및 M0B ~ M3B를 출력한다.
이어서 다중화 수단(600)이 상기 M0 ~ M3 각각의 하이 타이밍(M0B ~ M3B 각각의 로우 타이밍)에 P0R ~ P3R을 선택하여 ICK로 출력하고, 드라이빙 수단(700)이 상기 ICK를 드라이빙하여 도 12의 A3와 같이, ICLK 및 ICLKB를 출력한다.
즉, M0가 하이(M0B는 로우)인 구간에 P0R이 선택되고, M3가 하이인 구간에 P3R이 선택되고, M2가 하이인 구간에 P2R이 선택되며, M1이 하이인 구간에 P1R이 선택되어 ICLK 및 ICLKB 출력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ICLK는 하이 듀티와 로우 듀티가 4.5tck로 동일하다. 즉, 듀티비가 50:50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P0 ~ P3와 이에 비해 1tck 만큼 지연된 P0D ~ P3D를 보간하여 폴링 엣지를 늦춘 P0I ~ P3I를 생성한 다음, 상기 P0 ~ P3와 논리합하여 4.5tck의 펄스폭을 갖는 P0R ~ P3R을 생성하고 이를 선택하여 ICLK로 출력함으로서 ICLK의 하이 듀티를 증가시켜 최종적으로 ICLK의 하이 듀티와 로우 듀티가 동일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은 최종 출력되는 클럭신호의 듀티가 일정하므로 이를 이용하는 구성의 동작마진을 증가시켜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쉬프팅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쉬프팅 수단;
    반전된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다중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생성 수단;
    상기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쉬프팅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쉬프팅 수단;
    인가된 바이어스에 따라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제 2 쉬프팅 신호의 중간 위상을 갖는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보정 수단;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보정신호를 조합하여 조합신호를 출력하는 조합 수단;
    상기 다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합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 및
    상기 다중화 수단의 출력에 따라 클럭신호 및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드라이빙하는 드라이빙 수단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기신호는 서로의 위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쉬프팅 수단은
    이전단 또는 최종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주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플립플롭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 수단은
    이전단 또는 최종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다중화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플립플롭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쉬프팅 수단은
    이전단 또는 최종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주기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쉬프팅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 플립플롭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쉬프팅 신호는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에 비해 소정시간 지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쉬프팅 수단에 입력되는 주기신호의 입력순서 배열이 상기 제 1 쉬프팅 수단에 입력되는 주기신호의 입력순서 배열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수단은
    제 1 바이어스 및 제 2 바이어스에 따라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제 2 쉬프팅 신호를 서로 대응되는 비트별로 중간 위상을 갖도록 보정하여 상기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입력단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 1 제어단에 상기 제 1 바이어스를 입력받으며 출력단과 제 2 제어단이 연결된 제 1 패스 게이트,
    드레인이 보정신호 출력단과 연결되고 게이트에 반전된 제 1 쉬프팅 신호를 입력받는 제 1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 1 쉬프팅 신호를 입력받는 제 2 트랜지스터,
    소오스가 접지되고 게이트에 제 2 바이어스를 입력받으며 드레인이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공통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
    입력단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 1 제어단에 상기 제 1 바이어스를 입력받고 제 2 제어단 및 출력단이 상기 보정신호 출력단과 연결된 제 2 패스 게이트,
    드레인이 상기 보정신호 출력단과 연결되고 게이트에 반전된 제 2 쉬프팅 신호를 입력받는 제 4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 2 쉬프팅 신호를 입력받는 제 5 트랜지스터, 및
    소오스가 접지되고 게이트에 제 2 바이어스를 입력받으며 드레인이 상기 제 4 및 제 5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공통연결된 제 6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스 게이트 및 제 2 패스 게이트는 제 1 제어단과 제 2 제어단이 P형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수단은
    상기 보정신호와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를 서로 대응되는 비트별로 논리합하여 상기 조합신호를 출력하는 로직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수단은
    상기 조합신호를 비트별로 입력받아 상기 다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복수개의 패스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 수단은
    상기 다중화 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반전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14. 복수개의 주기신호의 펄스폭을 증가시켜 쉬프팅 시킨 복수개의 제 1 쉬프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에 비해 소정 위상차를 갖는 복수개의 제 2 쉬프팅 신 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제 2 쉬프팅 신호의 중간 위상을 갖는 복수개의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보정신호를 논리 조합하여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에 비해 펄스폭이 증가된 복수개의 조합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주기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합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하이 듀티와 로우 듀티가 동일한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전 순번 신호를 제 1 순서에 따른 주기신호의 천이 타이밍에 맞도록 다음 순번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쉬프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전 순번 신호를 제 2 순서에 따른 주기신호의 천이 타이밍에 맞도록 다음 순번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제 2 쉬프팅 신호의 라이징 엣지의 중간 위상에 해당하는 라이징 엣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제 2 쉬프팅 신호의 폴링 엣지의 중간 위상에 해당하는 폴링 엣지를 생성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쉬프팅 신호와 상기 보정신호를 논리합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방법.
KR1020060057560A 2006-06-26 2006-06-26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KR10072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560A KR100728907B1 (ko) 2006-06-26 2006-06-26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US11/647,433 US7830999B2 (en) 2006-06-26 2006-12-29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clock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560A KR100728907B1 (ko) 2006-06-26 2006-06-26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907B1 true KR100728907B1 (ko) 2007-06-15

Family

ID=3835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560A KR100728907B1 (ko) 2006-06-26 2006-06-26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30999B2 (ko)
KR (1) KR1007289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79A (ko) * 1998-05-14 1999-12-06 김영환 고속 위상 동기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위상 동기 방법
KR19990086677A (ko) * 1998-05-29 1999-12-15 김영환 클럭보정회로
US6292116B1 (en) 1999-05-17 2001-09-18 Altera Corporation Techniques and circuitry for accurately sampling high frequency data signals input to an integrated circuit
KR20030052650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사이클 보상 기능을 갖는 지연 고정 루프 회로
KR20040034984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지연루프를 이용한 클럭신호의 듀티 팩터 보상회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016A (en) 1995-04-18 1997-06-10 Cyrix Corporation Adjustable duty cycle clock generator
US5550499A (en) 1995-04-18 1996-08-27 Cyrix Corporation Single delay line adjustable duty cycle clock generator
KR100505636B1 (ko) 2002-06-11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티싸이클 보정 기능을 갖는 아날로그 싱크로너스 미러딜레이 및 이를 이용하는 내부클럭 발생기
US7116143B2 (en) 2004-12-30 2006-10-03 Micron Technology, Inc. Synchronous clock generator including duty cycle correction
KR100696957B1 (ko) * 2005-03-31 2007-03-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듀티 조정 회로, 이를 이용한 지연 고정 루프 회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179A (ko) * 1998-05-14 1999-12-06 김영환 고속 위상 동기 회로 및 그를 이용한 위상 동기 방법
KR19990086677A (ko) * 1998-05-29 1999-12-15 김영환 클럭보정회로
US6292116B1 (en) 1999-05-17 2001-09-18 Altera Corporation Techniques and circuitry for accurately sampling high frequency data signals input to an integrated circuit
KR20030052650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티 사이클 보상 기능을 갖는 지연 고정 루프 회로
KR20040034984A (ko) * 2002-10-18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지연루프를 이용한 클럭신호의 듀티 팩터 보상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97547A1 (en) 2007-12-27
US7830999B2 (en)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9373B2 (ja) Dll回路
US10404262B2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a multiplying injection-locked oscillator
KR100266960B1 (ko) Dll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기억 장치
KR100837822B1 (ko) Dll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6750692B2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clock signal
US7633329B2 (en) Single signal-to-differential signal converter and converting method
US8384438B1 (en) Single-to-differential conversion circuit and method
US6404256B2 (en) Synchronous delay circuit
JP2007295562A (ja) 分相器
KR20080043562A (ko) Dll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JP2008306697A (ja) 内部クロックドライバ回路
KR100728907B1 (ko) 반도체 메모리의 클럭신호 생성장치 및 방법
JP3945894B2 (ja) 半導体装置及び信号入力状態検出回路
KR100513809B1 (ko) 위상 비교 신호 발생 회로
KR100632615B1 (ko) 동기식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 스트로브신호 생성 회로
JP4560819B2 (ja) 半導体装置
US8487682B2 (en) Multi-phase clock generator
KR100416378B1 (ko) 위상 분할 회로
US6731149B2 (en) Synchronizing circuit for generating a signal synchronizing with a clock signal
US6342797B1 (en) Delayed locked loop clock generator using delay-pulse-delay conversion
JP2000049595A (ja) Dll回路
KR100415544B1 (ko) 양방향 지연을 이용한 디엘엘 회로
US7830282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80315933A1 (en) Pulse synthesis circuit
US10790834B2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