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069B1 -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 Google Patents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069B1
KR100728069B1 KR1020040053244A KR20040053244A KR100728069B1 KR 100728069 B1 KR100728069 B1 KR 100728069B1 KR 1020040053244 A KR1020040053244 A KR 1020040053244A KR 20040053244 A KR20040053244 A KR 20040053244A KR 100728069 B1 KR100728069 B1 KR 10072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ays
herbal
beverage
pe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213A (ko
Inventor
박동백
박영숙
서미자
Original Assignee
서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미자 filed Critical 서미자
Priority to KR102004005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069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한방재료들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항 산화성 기능을 가지며 한약재료로부터 파생되는 유익한 기능들을 지닌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행인, 목향, 백지, 고본,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백복령, 박하, 약쑥 및 해초류(다시마)를 반 응달에서 1달 이상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및 행인은 3일∼5일간, 목향과 백지는 5일∼10일간, 고본,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및 백복령10∼15일간, 박하는 5일∼10일간, 약쑥은 30일 이상, 해초류(다시마)는 3일간 각각 숙성시키는 단계;
물에 (이하 물을 100으로 보았을 경우의 상대적 비율임) 매실 0.75중량%, 율무 0.75중량%, 오미자 0.75중량%, 도토리 0.45중량%, 행인 0.45중량%, 목향 0.3중량%, 백지 0.3중량%, 고본 0.3중량%, 당귀 0.3중량%, 천궁 0.3중량%, 감초 0.3중량%, 작약 0.3중량%, 황귀 0.3중량%, 백복령 0.3중량%, 박하 0.75중량%, 약쑥 1.5중량%, 해초류(다시마) 0.35중량%,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혼합물로부터 증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한방 기능성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능성 음료

Description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a herbal beverage & the produc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제품은 엄선된 순수 자연의 한방 생약을 동의보감과 전래기법으로 과학화하여 제조한 복합생 영양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인체에 특별한 작용을 발휘하는 한약에 기능성분을 이용하여 신체리듬을 조절하고 노화억제, 질환방지, 회복기능 등을 가진 새로운 기능성과 각종 한방재료들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항 산화성 기능을 가지며, 한약재료로부터 파생되는 유익한 기능들을 지닌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웰빙이 대두되면서 몸매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 로 기능성 음료 시장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기능성 음료시장은 몸에 좋은 원료를 음료화해 마시던 형태를 탈피해 그 기능이 점차 세분화하고 있다. 최근 U사(社)는 휘트니스 드링크인 '슬림업'을 출시했다. 슬림업은 지방을 연소시켜 주는 제품으로 활동량이 많을 때나 운동 시에 마시면 체내 지방 분해를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기능성 음료다. 이 같은 휘트니스 드링크로는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C사(社)의 '팻 다운'과 바이오 벤처기업인 B사(社)의 'M2' 제품을 들 수 있다.
지난해 새롭게 등장한 아미노산 음료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L사(社)의 '플러스 마이너스', 키 크는 음료를 표방한 한국코카콜라의 '187168'에 이어 최근 H사(社)가 '아미노업'을, D사(社)가 '아미노밸류'를 잇따라 선보이면서 아미노산 음료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아미노산 음료는 신체 활성화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음료로 일본시장에서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 제품이다.
아미노산 음료외에도 지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비타민 음료도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K사(社)의 '비타500'을 선두로, C사(社)의 '제노비타', H사(社)의 '비타미노 500' 등이 시장 쟁탈전에 나서고 있다. 현재 비타민 음료시장은 20여개의 제약사와 메이저급 음료회사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본 발명은 음료 시장의 다변화에 부응하는 기능성 음료의 특성으로 한약의 섭취 과정을 단순화하여 청량한 맛과 기능이 조화된 음료로써,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에서 서술한 현재의 추세에 맞추되 종래의 것보다 우수한 기능성 음료를 개발하 게 되었다.
현재 한약재는 식용, 약용, 차용 등 다양한 개발로 상품화되어 소비되고 있으나, 대부분 혼합 중탕하여 만든 제품으로 음료로 이용하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화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혼합 중탕이 아닌 발효 증류 냉각하여 기존의 한약재 제품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제거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순수 우리 농산물인 한약재를 이용. 인체에 특별한 작용을 발휘하는 한약 성분으로 인하여 신체리듬을 조절, 노화억제, 회복기능 향상 등 새로운 기능성 농산물(한약재) 가공 제품을 생산한다. 부작용이 없고 음료로서 기능이 우수하며 기타 한약재의 사용에 따른 다른 부수적인 효과를 갖고 있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순전히 우리나라의 전통 한약재만을 원료로 이용함으로써, 어린아이에게는 기관지염 예방효과, 청소년에게는 장의기능 강화, 일반인들에게는 당뇨 예방, 비만 방지, 숙취 해소, 간 기능 개선 등 최근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기능성 음료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기능성 한방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항 산화성 기능성을 갖는 기능성 음료 발명으로 위염과 장염 그리고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한방 개념을 벗어난 기능성 농산물 가공 벤처 제품으로써의 활용도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행인, 목향, 백지, 고본,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백복령, 박하, 약쑥 및 해초류(말의전초 또는 다시마)를 반 응달에서 1달 이상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및 행인은 3일∼5일간, 목향과 백지는 5일∼10일간, 고본,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및 백복령은 10∼15일간, 박하는 5일∼10일간, 약쑥은 30일 이상, 해초류(말의전초 또는 다시마)는 3일간 각각 숙성시키는 단계;
물에 (이하 물을 100으로 보았을 경우의 상대적 비율임) 매실 0.75중량%, 율무 0.75중량%, 오미자 0.75중량%, 도토리 0.45중량%, 행인 0.45중량%, 묵향 0.3중량%, 백지 0.3중량%, 고본 0.3중량%, 당귀 0.3중량%, 천궁 0.3중량%, 감초 0.3중량%, 작약 0.3중량%, 황귀 0.3중량%, 백복령 0.3중량%, 박하 0.75중량%, 약쑥 1.5중량%, 해초류( 말의전초 도는 다시마 ) 0.35중량%,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혼합물로부터 증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한방 기능성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리 나라 곳곳에서 자생하고 있는 나뭇잎과 열매, 그리고 순수 우리 한약 재료를 이용하였으며, 예부터 내려오는 전통 단지에서 재료들을 자연 숙성시키는 자연계 원리 중화법을 사용한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 제품과 차별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방 기능성 음료는 엄선된 순수 자연성의 한방 생약을 동의보감과 전래기법을 중심으로 과학화한 복합 생영양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두 가지의 성분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음료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기능성 음료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순수한 식물성 원료만 사용하므로 모든 사람에게 안전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매실은 피로회복, 체질개선, 해독작용, 소화불량과 위장장애 해소, 변비 *박하는 해열, 당귀는 보혈, 진통 진정, 배농, 지혈, 강장작용, 복통, 부인병에 이용 *쑥은 혈맥순환촉진, 살균, 하혈, 옴, 부인병, 코피, 토사, 약한 비위, 통증, 감기, 열, 오한, 전신 동통 *해초류(다시마)는 항암 *행인 호흡기의 기능을 강화 *천궁은 냉증 제거, 조혈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 *감초는 항 알레르기, 혈액순환, 해독작용 *율무는 이뇨, 진통, 진경·강장작용 *작약은 통증치료, 월경불순, 복중경결, 혈통, 혈리, 현훈을 치료 *백복령은 비장을 보호, 가래 진정, 정신 안정, 이뇨작용, 혈당량 낮추는 작용, 위장장애 해소, 해독작용에 우수한 효능이 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한약재들의 특징을 적절히 이용한 것이다.
한약재는 식용, 약용, 차용 등 다양한 개발로 상품화되어 소비되고 있으나, 대부분 혼합 중탕하여 만든 제품으로 음료로 이용하기에 문제가 있어 대중화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존의 혼합 중탕이 아닌 발효, 증류, 냉각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한약재 제품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제거하고 소비자들이 쉽게 음용할 수 있는 한방 기능성 음료를 개발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약 재료의 배합 및 그 상대적 비율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합해 보면서 최적의 성분과 배합 비를 도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기능성 음료는 전통한의학과 역사 속 비방(秘方)을 고려한 고찰 및 연구에 의해 탄생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한방 기능성 음료는 병의 증상이 드러난 곳에만 집중하지 않고 몸 전체의 기혈의 흐름을 바로 잡아 인체 스스로의 회복력을 강화하여 몸을 건강하게 하는 한방치료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음양조화와 수승화강을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다음 표 1은 기존의 한약 제품과 본 발명에 따른 자연 한방 음료(한방 기능성 음료)의 특성들을 비교한 것이다.
※ 표 1
일반 한방 음료 본 발명에 따른 한방 기능성 음료
성분 2~3가지 재료의 성분 추출액 18가지 순수 자연 생약 성분
개발 조건 혼합 중탕 맑고 투명, 청량감
효능.효과 한두가지 성분의 국한된 효과 갈증 해소 건강 보조 숙취 해소 영양 강화 18가지 성분의 다기능 효과 신체 리듬 조절 노화 억제 질환 방지 회복 기능 숙취 해소 갈증 해소 신진대사 촉진 복합 영양 강화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팔공산 산기슭 전원 공장에서 갓바위 천연 암반수와 영천지역에서 채취한 천연 한약재료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한방 기능성 음료를 만들어 보았다.
먼저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행인, 목향, 백지, 고본,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백복령, 박하 약쑥 및 해초류(다시마)를 반 응달에서 1달 이상 자연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전통 항아리에서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및 행인은 4일간, 목향, 백지는 7일간, 고본,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및 백복령은 12일간, 박하는 7일간, 약쑥은 45일간, 해초류(말의전초)는 3일간 각각 숙성시킴으로써, 각 재료들 고유의 향과 약효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물에 (이하 물을 100으로 보았을 경우의 상대적 비율임) 매실 0.75중량%, 율무 0.75중량%, 오미자 0.75중량%, 도토리 0.45중량%, 행인 0.45중량%, 묵향 0.3중량%, 백지 0.3중량%, 고본 0.3중량%, 당귀 0.3중량%, 천궁 0.3중량%, 감초 0.3중량%, 작약 0.3중량%, 황귀 0.3중량%, 백복령 0.3중량%, 박하 0.75중량%, 약쑥 1.5중량%, 해초류( 말의전초 도는 다시마 ) 0.35중량%,를 혼합하여 가열탱크에서 가열하였는데, 아래 표는 실시과정에서의 원료들 간의 배합 비율과 숙성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 표 2
재료 함량 숙성 방법
1 매실 1500g 전통 항아리에 3일~5일 숙성
2 율무 1500g 전통 항아리에 3일~5일 숙성
3 오미자 1500g 전통 항아리에 3일~5일 숙성
4 도토리 900g 전통 항아리에 3일~5일 숙성
5 행인 600g 전통 항아리에 3일~5일 숙성
6 목향 600g 전통 항아리에 5일~10일 숙성
7 백지 600g 전통 항아리에 5일~10일 숙성
8 고본 600g 전통 항아리에 10일~15일 숙성
9 당귀 600g 전통 항아리에 10일~15일 숙성
10 천궁 600g 전통 항아리에 10일~15일 숙성
11 감초 600g 전통 항아리에 10일~15일 숙성
12 작약 600g 전통 항아리에 10일~15일 숙성
13 황귀 600g 전통 항아리에 10일~15일 숙성
14 백복령 600g 전통 항아리에 10일~15일 숙성
15 박하 1500g 전통 항아리에 5일~10일 숙성
16 약쑥 3000g 전통 항아리에 30일 이상 숙성
17 해초류 (말의전초) 700g 전통 항아리에 3일 숙성
18 200L
위 가열된 혼합물들을 공지의 증류기를 통해 증류하였다. 그리고 증류액을 냉각탱크에서 냉각하는 단계,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본 발명에 따른 한방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음료는 자연 숙성시켜 추출 증류해 냈으므로 맑고 투명하여 청량감을 주므로 누구에게도 거부감 없이 음용가능하며 어린아이에게는 기관지염 예방효과, 청소년에게는 장의기능 강화, 일반인들에게는 당뇨 예방, 비만 방지, 숙취 해소, 간 기능 개선 등의 기능을 가진 기능성 음료로 기능성 음료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의와 같이 본 발명의 원료들을 이용하여 추출 증류한 본 발명에 따른 한방 기능성 음료 몸에 이롭고 자연 상태로 아름답게 가꾸는 역할을 하는 한방 바이오제품으로, 식품의학 안전청의 검정을 마치고 임상실험을 의뢰한 경과 전혀 해가 없으며 우수한 신체 리듬 조절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2003년 12월 26일,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 약품분석과, 적합판정].
상기한 본 발명의 한방 음료 제조방법은 순수 우리 한약재 18가지를 자연 숙성시켜 추출 증류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해 노화억제(항산화 효과), 비만 방지(생체 내 지방대사의 원활), 항균 효과에 의한 장의 기능 강화 등을 가진 한방 기능성 음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시장의 다변화에 부응하여 한약의 섭취과정을 단순화한 것이므로, 위 효과 이외에 한약재 성분의 사용으로 인하여 각각의 한약재가 본래부터 갖는 여러 가지 효과를 당연히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행인, 목향, 백지, 고본,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백복령, 박하, 약쑥 및 다시마를 반 응달에서 1달 이상 자연건조 시키는 단계;
    전통 항아리에서 매실, 율무. 오미자, 도토리 및 행인은 3일∼5일간, 목향과 백지는 5일∼10일간, 고분, 당귀, 천궁, 감초, 작약. 황귀 및 백복령은 10∼15일간, 박하는 5일∼10일간, 약쑥은 30일 이상, 다시마는 3일간 각각 숙성시키는 단계;
    물 100중량%에 대해 매실 0.75중량%, 율무 0.75중량%, 오미자 0.75중량%, 도토리 0.45중량%, 행인 0.45중량%, 목향 0.3중량%, 백지 0.3중량%, 고본 0.3중량%, 당귀 0.3중량%, 천궁 0.3중량%, 감초 0.3중량%, 작약 0.3중량%, 황귀 0.3중량%, 백복령 0.3중량%, 박하 0.75중량%, 약쑥 1.5중량%, 다시마 0.35중량%를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혼합물로부터 증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한방 기능성 음료
KR1020040053244A 2004-07-09 2004-07-09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KR10072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44A KR100728069B1 (ko) 2004-07-09 2004-07-09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244A KR100728069B1 (ko) 2004-07-09 2004-07-09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13A KR20060004213A (ko) 2006-01-12
KR100728069B1 true KR100728069B1 (ko) 2007-06-13

Family

ID=3711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244A KR100728069B1 (ko) 2004-07-09 2004-07-09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210A (ko) 2019-11-26 2021-06-04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커큐민과 염지하수를 혼합한 음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365B (zh) * 2014-04-10 2016-03-16 洛阳春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荷包牡丹根保健饮品的制备方法
EP4125983A4 (en) * 2020-04-03 2024-02-14 Medihelpline Co Ltd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HERBS EXTRACT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RELIEF OF INFLAMMATORY DISEASE AND US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74A (ko) * 2000-06-28 2000-10-05 오용환 소음체질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20020003165A (ko) * 2001-11-23 2002-01-10 송윤강 건강보조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0358384B1 (ko) * 2001-01-20 2002-10-25 심산 주식회사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74A (ko) * 2000-06-28 2000-10-05 오용환 소음체질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0358384B1 (ko) * 2001-01-20 2002-10-25 심산 주식회사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3165A (ko) * 2001-11-23 2002-01-10 송윤강 건강보조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210A (ko) 2019-11-26 2021-06-04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커큐민과 염지하수를 혼합한 음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13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6689933A (zh) 一种富含天然成分提取物的解酒护肝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341588A (zh) 一种解酒护肝、保胃、清热润肺饮品及其制备方法
CN104286273A (zh) 铁皮石斛的用途及其茶叶制品
CN103416538B (zh) 一种富硒花茶及其生产方法
KR101080565B1 (ko) 고장초 추출물이 포함된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CN101745087A (zh) 一种具有解酒防醉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143974A (zh) 解酒护肝丸
KR100728069B1 (ko) 한방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CN107397091B (zh) 一种抗疲劳的苣荬菜运动饮料
CN102559460A (zh) 一种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05410243A (zh) 一种四季养生保健茶
CN104605428A (zh) 一种植物醒酒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738749A (zh) 一种纯天然营养免疫保健果汁的配制方法
CN107158245A (zh) 一种用于治疗糖尿病的药物配方及其药剂和制备方法
CN106857937A (zh) 一种具有辅助降血压功效的龙胆槐菊茶饮料
CN107441429A (zh) 一种解酒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720802A (zh) 一种黑糖玫瑰百香果茶配方
CN106509242A (zh) 一种抗衰防皱,延年益寿的保健养生茶
RU2536054C1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шиповниковый напиток
KR101067251B1 (ko) 산양산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구증구포(九蒸九曝)를 이용하여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5567515A (zh) 一种陈皮养生黄酒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8690775B (zh) 养生保健白酒的生产方法与养生保健白酒及其用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