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809B1 - 방적사 - Google Patents

방적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809B1
KR100727809B1 KR1020067002946A KR20067002946A KR100727809B1 KR 100727809 B1 KR100727809 B1 KR 100727809B1 KR 1020067002946 A KR1020067002946 A KR 1020067002946A KR 20067002946 A KR20067002946 A KR 20067002946A KR 100727809 B1 KR100727809 B1 KR 100727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yarn
fibers
hygroscopic
d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037A (ko
Inventor
스미 나카무라
도시유키 곤도우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80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1) 단사섬도가 0.1∼1.6dtex 인 소수성 합성 섬유 10wt% 이상, 및 (2) 환경을, 온도 20℃, 상대습도 40%RH 로부터 온도 20℃, 상대습도 90%RH 로 변화시켰을 때의 흡습 발열량이 15J/g 이상인 흡습 발열성 섬유 20wt% 이상을 포함하는 방적사.

Description

방적사{SPUN YARN}
본 발명은 보온성이 우수한 방적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온성 의류에 사용되고 있는 섬유는 흡습 발열 성능의 향상, 또는 인체로부터 열이 도산되는 것을 저지하는 성능의 향상 중 어느 하나만 목적으로 한 것으로, 이러한 섬유를 사용한 의류는 상기 두 가지 성능 중 어느 하나의 성능이 우수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친 보온 성능이 불충분하였다.
예를 들어, 겨울의 추운 시기의 보온내의로서 스판덱스 탄성섬유를 나일론섬유로 커버링한 커버링사와 면을 교편한 내의나, 중공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아크릴 섬유 등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내의, 울 내의 등이 알려져 있다.
또, 더 적극적으로 인체를 따뜻하게 할 의도로 아크릴산계 흡습 발열 섬유를 사용한 의류 (일본 특허공보 평7-59762호), 셀룰로오스에 수용성 비닐중합성 화합물을 도입한 흡습 발열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한 의류 (일본 특허 제2898623호 명세서)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아크릴산계 흡습 발열 섬유 및 흡습 발열성 셀룰로오스 섬유는 인체로부터 열이 도산되는 것을 저지하는 성능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 할 때의 보온 성능으로는 만족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산계의 흡습 발열성 섬유는 색이 분홍색이며 임의의 색으로 염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편직물로 한 경우에 강도가 불충분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아크릴산계 흡습 발열성 섬유 및 흡습 발열성 셀룰로오스 섬유는 흡습속도 및 방습속도가 낮기 때문에 의복 내의 습도조절 기능으로는 반응이 느리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아크릴산계 흡습 발열성 섬유나 비닐 화합물을 도입한 셀룰로오스 섬유는 제조비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흡습 발열성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의류는 보온 성능 및 포백성능에서 불충분하다.
그 때문에, 흡습 발열성 섬유와 다른 섬유를 혼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통상의 섬유와 혼방하여 높은 보온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흡습 발열성 섬유를 어느 정도 높은 함유율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 때문에 지금까지 내의 등의 일용 의류에는 이들 흡습 발열성 섬유를 높은 함유율로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낮은 흡습 발열량밖에 이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우수한 흡습 발열성이 있고 또한 우수한 보온 성능과 포백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방적사가 요망되고 있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4564호에는, 섬도가 0.1∼1.3dtex 이고, 미소권축수가 1 이하인 섬유의 비율이 70% 이상이고, 친수가공 후의 수중 침강 시간이 10초 이하인 아크릴계 극세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섬유를 흡습 발열성 섬유와 혼방하면 단사섬도가 작아 개섬(開纖) 불량에 의한 곱슬마디 등의 사(絲)결점이 다발하기 때문에, 실용상 사용 가능한 방적사는 얻어지고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검토를 거듭한 결과,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특정한 극세 섬유를 사용하고, 이것과 흡습 발열성 섬유를 병용한 방적사가 흡습 발열성과 보온성이 함께 우수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및 (2) 를 포함하는 방적사, 그것을 사용한 직편물 및 섬유 제품이다.
(1) 단사섬도가 0.1∼1.6dtex 인 소수성 합성 섬유를 10wt% 이상,
(2) 환경을, 온도 20℃, 상대습도 40%RH 로부터 온도 20℃, 상대습도 90%RH 로 변화시켰을 때의 흡습 발열량이 15J/g 이상인 흡습 발열성 섬유를 20wt% 이상.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적사는, 흡습 발열 성능 및 인체로부터의 열의 도산 저지 성능 (이하, 이 두 가지를 합해 종합 보온 성능이라 함) 이 함께 우수하며, 장시간에 걸친 보온 성능이 우수한 의류용 소재이다.
종합 보온 성능은, 의류를 착용함으로 인한 체온유지 능력이며, 사람이 착용시에 느끼는 종합적인 따뜻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종합 보온 성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섬유의 환경이 온도 22℃, 상대습도 52%RH 로부터 온도 22℃, 상대습도 90%RH 로 변화한 경우의 체온의 유지 능력을 측정하여 얻어진다. 상대습도 52%RH 는 도쿄의 2월 평균습도 (1961∼1990년) 이며, 상대습도 90%RH 는 사람이 운동하여 땀을 흘린 상황을 상정한 것이다. 모델실험으로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피부온도를 상정한 32℃ 열판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량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 사용되는 소수성 합성 섬유는 단사섬도가 0.1∼1.6dtex 이고, 바람직하게는 0.5∼1.3dtex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1dtex 이다. 단사섬도가 이 범위이면 섬유 내 공극의 직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통기저항이 높아져 공기가 잘 움직이지 않고 데드 에어가 많아져 열의 도산 저지 능력이 향상됨과 함께, 흡습 발열성 섬유의 흡습 발열에 의한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데드 에어를 증가시켜 종합 보온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사섬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사섬도가 1.6dtex 를 넘으면 섬유간 내 공극의 직경이 커져 종합 보온 성능이 저하된다. 또 촉감이 까끌까끌해서 착용 중에 불쾌감을 준다. 단사섬도가 0.1dtex 미만이면 단섬유의 굽힘 강성이 낮아서 착용 중에 착압(着壓)이 부가됨으로써 실질적인 섬유 내 공극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종합 보온 성능이 저하된다.
종합 보온 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큰 부피로 가공된 소수성 합성 섬유를 소수성 합성 섬유 전체량 중 50wt%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 부피로 가공된 소수성 합성 섬유는 미리 가열, 긴장 등의 전처리를 실시한 섬유이며, 방적 후, 열을 가한 상태에서 수축되어 부피가 커지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 사용되는 소수성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불소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축률이 크고 벌크성이 우수한 폴리아크릴계 섬유가 종합 보온성을 높일 목적에서 바람직하다. 이들은 스테이플상 섬유 또는 필라멘트상 섬유 어느 것이나 사용해도 되지만, 단섬유 공극률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한 스테이플상 섬유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성 합성 섬유에 도전물질을 부여한 제전(制電)섬유를 사용하면 제전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 사용되는 흡습 발열성 섬유는, 환경을, 온도 20℃, 상대습도 40%RH 로부터 온도 20℃, 상대습도 90%RH 로 변화시켰을 때의 흡습 발열량이 15J/g 이상이다. 이러한 흡습 발열성 섬유는, 이 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사용한 섬유 제품 등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 표면에서 불감증설(不感蒸泄)에 의해 나오는 기체상의 땀이나 액체상의 땀을 흡착하여 발열한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 사용되는 흡습 발열성 섬유로는, 예를 들어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폴리노직레이온, 비스코스레이온, 구리암모니아법 레이온, 리요셀 등),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수용성 비닐 화합물이 도입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섬유, 일본 특허공보 평7-59762호에 개시된 아크릴산계 흡습 발열성 섬유 등이 바람직하다.
울 등의 동물성 섬유는 흡습 발열 성능을 갖지만, 일반적으로 후술하는 단사섬도가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습 발열성 섬유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는 다른 화학수식에 의해 흡습 발열 성능을 부여한 섬유와 비교하여 기능이 영구적으로 계속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울 등과 비교하여 흡습 발열의 반응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 사용되는 흡습 발열성 섬유는, 단사섬도가 가는 것이 표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흡습 발열의 반응이 빨라짐과 함께, 실용상 흡습 발열량, 흡습 발열 온도가 함께 높아진다. 즉, 흡습 발열성 섬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단사섬도는 바람직하게는 0.6∼2.2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6dtex 이다. 단사섬도가 상기 범위이면 촉감이 양호하고 흡습 발열의 반응, 생산효율이 높다. 단사섬도가 2.2dtex 를 초과하면 흡습 발열의 응답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닿았을 때 까끌까끌한 감촉이 되는 경향이 있다. 흡습 발열성 섬유는 필라멘트상 섬유이어도 되고 스테이플상 섬유이어도 된다. 또, 흡습 발열성 섬유에 도전물질을 부여한 제전섬유를 사용하면 제전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적사는, 단사섬도가 0.1∼1.6dtex 인 소수성 합성 섬유를 10wt% 이상 함유한다. 함유량이 10wt% 이상이면 인체로부터의 열의 도산을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단사섬도가 0.1∼1.6dtex 인 소수성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w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wt% 이상이다. 흡습 발열량의 확보와 열의 도산을 방지하는 균형면에서, 소수성 합성 섬유의 함유량은 80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w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wt% 이하이다.
또, 본 발명의 방적사는 흡습 발열성 섬유를 20wt% 이상 함유한다. 충분한 발열량을 얻기 위해서는, 흡습 발열성 섬유를 20∼90wt%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 발열성 섬유는 섬유의 종류에 따라 바람직한 함유량이 다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재생 셀룰로오스 (흡습 발열량 16J/g) 를 사용한 경우, 방적사 중의 비율은 30∼60wt%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50wt% 이다. 또 재생 셀룰로오스를 메타크릴산으로 처리한 섬유 (흡습 발열량은 32J/g) 를 사용한 경우, 방적사 중의 비율은 20∼60wt% 가 바람직하다.
우수한 종합 보온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방적사의 형태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적사의 형태로 함으로써 방적사를 구성하는 섬유간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고, 소수성 합성 섬유의 특성과 흡습 발열성 섬유의 특성이 어우러져 본 발명의 방적사를 사용한 섬유 제품의 종합 보온 성능이 한층 더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서는, 상기한 소수성 합성 섬유 및 흡습 발열성 섬유 이외에 다른 섬유를 50wt% 미만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섬유로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섬유 제품 등에 사용되는 각종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적사의 흡습 발열량은 4.8J/g 이상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방적사를 사용한 의류는 8.1W/㎡·℃ 이하라는 우수한 종합 보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사섬도가 가는 소수성 합성 섬유와 가는 흡습 발열성 섬유를 혼방하기 때문에, 통상의 혼방방법으로는 개섬 불량에 의한 곱슬마디 등의 사결점이 다발하기 쉬워, 실용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곱슬마디 등의 결점을 방지하는 바람직한 방적조건을 찾아냄으로써 본 발명의 방적사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방적조건에 대하여 이하에 서술한다.
(1) 카드 공정의 습도관리 : 습도는 60∼70%RH 가 바람직하다. 소수성 섬유의 방적에서는, 정전기를 방지할 목적에서 습도가 75%RH 이상인 고습도 조건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습 발열성 섬유의 방적에서는, 개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습도는 낮은 것이 좋고, 50%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적사에서는, 놀랍게도 65±5%RH 의 좁은 범위에서 습도를 컨트롤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었다. 70%RH 를 초과하면 카드의 바늘 사이에 섬유가 떨어져 개섬 불량에 의한 사결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60%RH 미만에서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2) 카드 슬라이버의 방출(紡出)량 관리 : 카드 슬라이버의 방출량은 소수성 합성 섬유의 방적에서는 일반적으로 5g/m 정도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3.0∼4.0g/m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연조(連條)공정 : 더블링 연조, 예를 들어 3단 연조가 바람직하다.
(4) 정방(精紡)공정 : 방출 상태를 보면서 프론트 롤러 간의 하중을 통상의 면방 조건 (약 118∼147N/2방추) 보다 무겁게 (약 157∼167N/2방추)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적사에서의 사결점 수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클라시매트 Ⅱ (ZELLWEGER USTER 사 제조) 로 곱슬마디 부분의 길이와 굵기를 측정한다. 길이를 4수준 (A∼D), 굵기를 4수준 (1∼4) 으로 한 합계 16수준 중 10수준 (A4, B3, B4, C2, C3, C4, D1, D2, D3, D4) 을 사결점으로 한다. 사결점 수는 30개/10만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5개/10만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개/10만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개/10만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방적사는 특정한 소수성 합성 섬유와 흡습 발열성 섬유가 복합되어 있는 것인데, 그 복합형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이플상 섬유를 이른바 카드 단계에서 혼섬한 혼방사, 스테이플상 섬유와 스테이플상 섬유에 의한 심초사, 스테이플상 섬유와 필라멘트상 섬유에 의한 심초사, 스테이플상 섬유 주위에 필라멘트상 섬유가 감기게 한 이른바 사이로필사 등을 들 수 있다. 꼬임 계수는, 낮은 것이 섬유 간의 공극률이 높아지고 종합 보온 성능을 높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단사, 쌍사, 3개 연사 등이어도 된다. 방적사를 추가로 꼰 것(追撚)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적사는 직편물 및 섬유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모포, 스카프, 머플러, 모자, 장갑, 양말, 방석 등에 사용함으로써 보온성이 우수한 제품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방적사를 포백 및 봉제품의 일부에 사용해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구체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측정방법, 평가방법 등은 하기하는 바와 같다.
(1) 섬유 및 방적사의 흡습 발열량
시료를 90℃ 의 건조기 속에 3시간 정치하여 건조시킨다. 건조된 시료의 질량을 WO(g) 로 한다.
이어서, 충분히 건조시킨 시료를 사용하여,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해 시료실에 질소가스 (20℃, 0%RH) 를 흘려보내 시료를 열적 평형 상태로 한 후, 20℃, 상대습도 A (%RH) (단 A>10) 의 질소가스를 흘려보내 발열 개시로부터 열적 평형에 이를 때까지의 총발열량 Q (J) 를 측정한다.
(a) 20℃, 상대습도 A (%RH) 에서의 시료의 수분율 HA(%) 를 구한다.
HA (%)={(WA-WO)/WO}×100
단, WA (g) 는 90℃ 에서 3시간 건조된 시료를 20℃, 상대습도 A (%RH) 의 항온항습조에 24시간 이상 정치한 후 측정한 시료의 질량이다.
(b) 20℃, 상대습도 40%RH 에서의 시료의 수분율 H40 (%) 를 구한다.
H40 (%)={(W40-WO)/WO}×100
단, W40 (g) 은 90℃ 에서 3시간 건조된 시료를 20℃, 상대습도 40%RH 의 항온항습조에 24시간 이상 정치한 후 측정한 시료의 질량이다.
(c) 20℃, 상대습도 90%RH 에서의 시료의 수분율 H90 (%) 를 구한다.
H90 (%)={(W90-WO)/WO}×100
단, W90 (g) 은 90℃ 에서 3시간 건조된 시료를 20℃, 상대습도 90%RH 의 항온항습조에 24시간 이상 정치한 후 측정한 시료의 질량이다.
이상의 측정치에서 흡습 발열량은 하기 식으로 구해진다.
흡습 발열량 (J/g)=Q×(H90-H40)/(WO×HA)
(2) 종합 보온 성능
하기와 같이 하여 시료를 조정한다.
방적사를 사용하여 환편기 (20G 21 인치 직경 : 후쿠하라정기(주) 제조) 로 프라이스 편지(編地)를 제작하고, 윈스염색기로 계면활성제 (스코어 롤 (등록상표) : 가오(주) 제조) 2g/ℓ 를 넣어 97℃ 에서 30분간 보일 처리한 후 충분히 수세한다. 이것을 원심탈수기로 1분간 탈수하여 주름을 손으로 편 후, 건조기에 들어갈 크기로 재단하여 60℃ 의 건조기 내에서 펴서 말리는 상태에서 건조시킨다. 얻어진 편지를 15㎝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시료로 한다.
시료를 22℃, 52%RH 의 환경 시험실 내에 하루 밤낮 정치한 후 하기의 방법으로 종합 보온 성능을 측정한다.
22℃, 52%RH 로 설정한 항온항습장치 내에서 시료를 32℃ 의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열판 (사모라보 Ⅱ (등록상표) : 카트테크(주) 제조) 위에 올려 15분간 정치한다. 이 때, 시료에는 15㎝/sec 의 정류된 공기를 바로 위에서 흘려보내 일방향으로 배출시켜 둔다. 계속해서 항온항습장치 내의 환경을 15분간에 22℃, 90%RH 까지 변화시켜 그 후 15분간 정치한다.
습도를 변화시키기 시작한 시점부터 30분간에 걸쳐 시료를 올린 열판의 온도를 32℃ 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계측하여, 1분당 평균치로 보온 성능을 나타낸다. 단위는 W/㎡·℃ 이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보온 성능이 우수하다.
[실시예 1]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0dtex, 섬유길이 51㎜ 인 항필링성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4dtex, 섬유길이 51㎜, 흡습 발열량 16J/g 의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 를 사용하여, 전자 60wt%, 후자 40wt% 의 비율로 하기의 조건에 의해 혼방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7.2J/g 이었다.
(방적조건)
카드 분위기를 25℃, 65%RH 로 관리하고, 면방에서의 조건보다도 카드기에 대한 원면 공급량 및 카드회전수를 줄임으로써 방출 슬라이버량을 3.5g/m 로 관리하였다. 또, 연조(連條)시에는 복수의 오토레펠러로 관리하여 조방공정에 대한 곱슬마디의 혼입을 가능한 한 사전에 방지하여 3연 연조를 실시하였다. 또, 정방공정에서 프론트 롤러 간의 하중을 약 157∼167N/2방추로 하였다.
[실시예 2]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0dtex, 섬유길이 51㎜ 인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와 단섬유섬도 0.9dtex, 섬유길이 51㎜ 인 벌크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4dtex, 섬유길이 51㎜, 흡습 발열량 16J/g 의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을 사용하여, 전자 25wt%, 중자 35wt%, 후자 40wt% 의 비율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혼방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7.2J/g 이었다.
[실시예 3]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0dtex, 섬유길이 51㎜ 인 항필링성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흡습 발열량 16J/g, 56dtex 30필라멘트의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사용하여 전자 71wt%, 후자 29wt% 의 비율로 사이로필법에 의해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이 때, 아크릴 섬유의 카드, 연조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5.6J/g 이었다.
[실시예 4]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0dtex, 섬유길이 51㎜ 인 항필링성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7dtex, 섬유길이 51㎜ 인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 를 메타크릴산으로 처리한 섬유 (흡습 발열량 32J/g) 를 사용하여 전자 80wt%, 후자 20wt% 의 비율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혼방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7.5J/g 이었다.
[실시예 5]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5dtex, 섬유길이 51㎜ 인 항필링성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4dtex, 섬유길이 51㎜, 흡습 발열량 16J/g 의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을 사용하여 전자 60wt%, 후자 40wt% 의 비율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혼방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7.2J/g 이었다.
[실시예 6]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4dtex, 섬유길이 38㎜ 인 W 형 단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테크노파인 (등록상표), 아사히가세이(주) 제)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4dtex, 섬유길이 38㎜, 흡습 발열량 16J/g 인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을 사용하여 전자 60wt%, 후자 40wt% 의 비율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혼방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6.8J/g 이었다.
[실시예 7]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0dtex, 섬유길이 51㎜ 인 항필링성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2.0dtex, 섬유길이 51㎜, 흡습 발열량 16J/g 인 비스코스레이온 섬유를 사용하여 전자 60wt%, 후자 40wt% 의 비율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혼방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7.1J/g 이었다.
[비교예 1]
소수성 합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7dtex, 섬유길이 51㎜ 인 아크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흡습 발열성 섬유로서 단섬유섬도 1.4dtex, 섬유길이 51㎜, 흡습 발열량 16J/g 인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을 사용하여 전자 60wt%, 후자 40wt% 의 비율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혼방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얻어진 방적사는 흡습 발열량이 7.2J/g 이었다.
[비교예 2]
단섬유섬도 1.4dtex, 섬유길이 51㎜, 흡습 발열량 16J/g 의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방적하여 면번(綿番) 40/- 의 방적사를 얻었다.
[비교예 3]
단섬유섬도 1.7dtex, 섬유길이 51㎜ 인 구리암모니아레이온 (벤버그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메타크릴산으로 처리한 섬유 (흡습 발열량 32.0J/g)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방적하여 면번 40/- 의 방적사를 얻었다.
[비교예 4]
단섬유섬도 1.0dtex, 섬유길이 51㎜, 흡습 발열량 1.4J/g 의 항필링성 아크 릴 섬유 (캐시밀론 (등록상표) : 아사히가세이(주) 제조)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방적하여 1/64Nm 의 방적사를 얻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 의 방적사의 구성, 곱슬마디 등의 결점 수 및 종합 보온 성능을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10253966-pct00001
표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7 의 편지는 종합 보온 성능이 7.2∼8.1W/㎡·℃ 인데 반하여 비교예 1∼4 의 편지는 종합 보온 성능이 8.4∼10.2W/㎡·℃ 으로, 본 발명의 방적사를 사용한 편지는 보온 성능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 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종합 보온 성능의 값에서 약 O.2W/㎡·℃ 이상의 차가 있으면, 착용하였을 때 감각적으로 보온 성능의 차를 느끼는 것이므로, 실시예 1∼7 의 방적사를 사용한 의류는 착용 감각으로도 비교예 1∼4 의 방적사를 사용한 의류보다도 따뜻하다고 느낀다.
본 발명의 방적사는 흡습 발열 성능 및 인체로부터의 열의 도산 저지 성능 (즉, 종합 보온 성능) 이 함께 우수하여, 장시간에 걸친 보온 성능이 우수한 의류용 소재이다.

Claims (5)

  1. 하기 (1) 및 (2) 를 포함하는 방적사:
    (1) 단사섬도가 0.1∼1.6dtex 인 소수성 합성 섬유를 10∼80wt%,
    (2) 환경을, 온도 20℃, 상대습도 40%RH 로부터 온도 20℃, 상대습도 90%RH 로 변화시켰을 때의 흡습 발열량이 15J/g 이상이고, 단사섬도가 0.6∼2.2dtex 인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인 흡습 발열성 섬유를 20∼90wt%.
  2. 제 1 항에 있어서,
    사(絲)결점 수가 30개/10만m 이하인 방적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수성 합성 섬유가 폴리아크릴 섬유인 방적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방적사를 사용한 직편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방적사를 사용한 섬유 제품.
KR1020067002946A 2006-02-13 2003-08-14 방적사 KR100727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2946A KR100727809B1 (ko) 2006-02-13 2003-08-14 방적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2946A KR100727809B1 (ko) 2006-02-13 2003-08-14 방적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37A KR20060033037A (ko) 2006-04-18
KR100727809B1 true KR100727809B1 (ko) 2007-06-13

Family

ID=3714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946A KR100727809B1 (ko) 2006-02-13 2003-08-14 방적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8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96A (ja) * 1995-07-18 1997-02-04 Toyobo Co Ltd 編織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96A (ja) * 1995-07-18 1997-02-04 Toyobo Co Ltd 編織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037A (ko) 200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7474B2 (ja) 制電性、吸水性及び接触冷感性に優れた複合繊維
TWI790346B (zh) 紡織線與其製造方法及包含其之布帛
JP3248401B2 (ja) 吸湿性架橋アクリル系繊維及び該繊維を用いた繊維構造体
JPH10131000A (ja) 編地および運動用衣服
JP2004124348A (ja) 複合織編物
JP4584343B1 (ja) ストレッチ性に優れた起毛編地
EP1655394B1 (en) Spun yarn
JP4320231B2 (ja) 紡績糸
JP2615109B2 (ja) 扁平状紡績糸の製造方法
KR100727809B1 (ko) 방적사
JP2003227043A (ja) 紡績糸
JP2004027406A (ja) 立体構造編み地
JP4228112B2 (ja) 吸放湿性に優れた布帛及び繊維製品
JP4332272B2 (ja) 吸水性複合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布帛
JP2002327323A (ja) 手 袋
JP2020007668A (ja) 複合糸及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JP2020007690A (ja) 複合糸及びそれを用いた織編物
JP2959080B2 (ja) 芯鞘複合繊維
JP3145131B2 (ja) 清涼性に優れた布帛
JP7120008B2 (ja) 繊維構造物
JP2017089023A (ja) アクリル繊維とポリエステル繊維との複合糸及びその複合糸を含む織編物
JPH093740A (ja) 清涼性に優れた複合加工糸及び布帛
JP2004183181A (ja) セルロース系繊維含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23704B2 (ja) 複合糸の製造方法
JPH01169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