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891B1 -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 Google Patents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891B1
KR100726891B1 KR1020050068478A KR20050068478A KR100726891B1 KR 100726891 B1 KR100726891 B1 KR 100726891B1 KR 1020050068478 A KR1020050068478 A KR 1020050068478A KR 20050068478 A KR20050068478 A KR 20050068478A KR 100726891 B1 KR100726891 B1 KR 10072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olymer electrolyte
inorganic hybrid
inorganic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840A (ko
Inventor
박정기
최남순
이용민
이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6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8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의 합성 및 이를 적용한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 나노 입자 표면을 간단한 화학반응을 통해 기능성 유기물로 치환한 나노입자의 합성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도입한 고분자 전해질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전극에 대한 높은 계면안정성을 나타내며, 도입된 나노입자가 추가적인 리튬이온을 제공하여 고분자 전해질의 양이온 수율 및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을 적용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다.

Description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Composition of Nanoparticle Based on Organic-inorganic Hybrid and Nano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 Polymer Rechargeable Batteries}
도 1은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의 합성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도입한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의 나노입자 함량에 따른 이온전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도입한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전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을 적용한 단위전지의 충방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의 합성 및 이를 적용한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기 나노 입자 표면을 기능성 유기물로 치환하고, 이를 적용한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 고안전성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어 왔으며 특히 전기, 전자 제품의 경박 단소화 및 휴대화 추세에 따라 이 분야의 핵심부품인 이차전지도 경량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대량보급에 따른 대기오염과 소음 등의 환경공해 문제 및 석유고갈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수급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으며 이들의 동력원으로서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고성능 차세대 첨단 신형 전지 중의 하나가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LPB)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는 기존전지에 비해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크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적층에 의한 고전압, 대용량의 전지개발이 용이하고, 카드뮴이나 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는 크게 부극(anode), 고분자 전해질(polymer electrolyte), 정극(cathode)으로 구성되는데, 부극 활물질로는 리튬, 탄소 등이 사용되며, 정극 활물질로는 전이금속산화물, 금속칼코겐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이 때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와 염, 비수계 유기용매(선택적) 및 기타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는 물질로서 상온에서 대략 10-3∼10-8S/cm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다.
고분자 전해질의 초기 연구는 주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에 리튬염을 첨가하고 공용매에 녹여 캐스팅하여 제조하는 무용매계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유럽 특허 제 78505호 및 미국특허 제 5,102,752호) 고분자의 높은 결정화도로 인하여 상온에서 매우 낮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최근에는 무기나노입자를 무용매계 고분자 전해질에 도입하여 상온에서 ∼10-5S/cm의 이온전도도를 얻을 수 있었으나 상용화하기에는 낮은 값이다.
이에 반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로니트릴, 폴리 비닐클로라이드,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의 고분자에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첨가하고 공용매에 녹여 캐스팅하여 제조하는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은 상온에서 ∼10-3S/cm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M. Alamgir et al., J. power sources, 54, 40, 1995).
그러나,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은 많은 양의 액체전해질이 첨가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SiO2(실리카), Al2O3(알루미나), TiO2(타이타니아) 등과 같은 무기나노입자를 고분자 전해질에 도입하는 연구가 보고되었다.(미국특허 제 5,418,091호 및 미국특허 2004/0043295)
이 때 기존의 무기나노입자들은 표면기가 100% 하이드록시(-OH)이거나 소수성 알킬기를 일부 포함하는 구조이므로,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에 도입될 경우 하이드록시의 수소이온이 음극과 직접적으로 반응하여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액체전해질과의 친화성이 좋지 않아 이온전도도 및 액체전해질 함유특성이 우수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새로운 구조의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는 입자표면에 음이온이 고정되어 추가적인 리튬이온을 제공하여 이온전도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성의 유기물(폴리에틸렌옥사이드)이 화학 결합되어 있어서 액체전해질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기 나노 입자의 표면을 기능성 유기물로 치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의 제조와 이를 적용한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나노 입자 표면은 하이드록시(-OH) 그룹이나 메톡시(-OCH3) 그룹으로 치환되어 있어 간단한 유 기화학 반응을 통해 원하는 기능성 유기물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무기 나노 입자들이 고분자 전해질 시스템에 도입되어,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켰으나, 유기물인 고분자와 무기물인 나노 입자 사이의 친화성의 한계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특히, 고분자 전해질 제조시, 무기 나노 입자는 고분자 및 유기 용매와 친화성이 없기 때문에, 무기 나노 입자는 자기들끼리 뭉치게(aggregation) 된다. 이로 인해 고분자 전해질의 몰폴로지가 균일하지 못하고, 무기 나노 입자의 사용량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무기 나노 입자의 경우에는 표면에 적절한 유기물이 도입되어 있어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입자 표면에 치환되는 유기물 말단을 리튬 이온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음이온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무기 나노 입자가 도입되는 장점뿐만 아니라, 단이온 전도성 물질이 도입되는 효과로 인해 추가적인 리튬 이온을 공급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향상된 전극과의 친화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전극/전해질 계면 특성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나노크기의 친수성 무기 입자(hydrophilic inorganic particle)를 정제된 톨루엔(Toluene) 용매에 넣고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동안 기계적인 혼합을 한 후, 응집된 나노 입자들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수행한다.
이 혼합용액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모노메틸에테르(poly(ethylene oxide)monomethyl ether, MPEG)를 첨가한 후, 110∼150℃에서 1∼4시간, 바람직하게는 13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종료 후, 미반응 MPEG를 제거하기 위하여 톨루엔으로 3회 세척(washing)한다. MPEG가 그라프트된 나노 입자를 60∼90℃에서 12∼48시간, 바람직하게는 8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한다.
건조된 MPEG가 그라프트된 나노 입자를 THF 용매에 넣고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동안 기계적인 혼합을 한 후, 응집된 나노 입자들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의 MPEG가 그라프트된 나노 입자가 분산된 용액에 THF에 용해된 potassium tert-butoxide(Aldrich시약) 촉매를 첨가한 후, THF에 용해된 1,3-propane sultone(Aldrich시약)을 추가적으로 첨가한다. 이 용액을 80℃∼90℃까지 가열하여 10∼36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80℃까지 가열하여 20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종료 후, 미반응 1,3-propane sultone을 제거하기 위하여 THF 용매로 세척작업을 1∼5회 바람직하게는 3회에 걸쳐 실시한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는다. 이러한 개질반응(도 1 참조)에 의해 최종적으로 얻어진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는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중에 함유되는 각 조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기 나노 입자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표면에 친수성 하이드록시 기(-OH)를 가지는 무기 나노 입자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나, 실리카(SiO2),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O2) 또는 제올라이트가 대표적이다. 무기 나노 입자의 크기는 1∼10000nm의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nm∼100nm의 것을 사용한다.
무기 나노 입자 표면에 치환되는 유기물 단량체의 경우 치환 반응이 가능한 어느 유기물이나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고분자 전해질의 구성 요소와 친화성이 있는 알킬렌옥사이드,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유기물 단량체로 대표적인 것은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테르(H3CO-(CH2C(R)HO)n-H)로서 R는 탄소수가 1 내지 20개인 알킬기이고, 반복단위(n)값이 1∼30 범위의 단량체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을 포함하는 유기물 단량체로는 말단이 카보네이트(-COO-)나 설포네이트(-SO3 -) 등으로 치환된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3-프로판 설톤(1,3-propane sultone), 1,4-프로판 설톤(1,4-propane sulton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는 것을 사용한다. 이 때 반응 촉매로 potassium tert-butoxide 또는 sodium tert-butox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고, 그 함량은 무기물 입자표면의 수산기를 기준으로 1∼100몰% 이다.
상기의 유기물 단량체 치환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는 일반적인 유기용매면 어 느 것이나 사용가능 하나,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 퓨란(THF), 클로로포름(Chloroform) 또는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틸 에테르(TEGDME)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가 도입된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경우에 나노 입자의 함량은 1∼90중량% 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50중량%의 것을 사용한다.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다양한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적은 고분자 매트릭스의 함량으로도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가교제의 경우는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또는 1,3-부탄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 등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나 알칸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가 대표적이고, 가교제의 분자량은 100∼2000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0∼600 까지 사용한다. 이 때,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공단량체를 도입할 수 있으며, 다이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체 고분자 전해질 중 가교단량체/공단량체의 함량은 1∼50중량% 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 까지 사용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특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메틸 카보네이트, 다이에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다이메톡시에탄, 다이메톡시 설포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등의 유기 용매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의 함량은 1∼95중량% 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 까지 사용한다.
가교 반응을 위한 개시제로는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를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1∼5중량%까지 사용 가능하나, 0.5∼3중량%가 바람직하다. 광개시제는 벤조페논, 메틸벤조일포메이트, 5,7-디오도-3-부톡시6-플루오렌 또는 이가쿠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와 벤조일퍼옥사이드 중에서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 조성비는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이 도입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제조예 1>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표면이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치환되어 있는 11nm의 실리카(AEROSIL 200) 10g 을 250ml의 톨루엔에 넣고, 1시간 동안 기계적 혼합을 시킨 후, 응집된 실리카 입자들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수행한다.
이렇게 분산된 실리카/톨루엔 혼합용액을 삼구 플라스크 반응기로 옮긴다. 이 때 200ml의 톨루엔을 추가적으로 첨가해 실리카의 분산 및 치환 반응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 혼합용액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모노메틸에테르(MPEG:poly(ethylene oxide)monomethyl ether, m.w.=120 g/mol) 3.15g를 첨가한 후, 130℃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종료 후, 미반응 MPEG를 제거하기 위하여 톨루엔으로 3회 세척(washing)한다. MPEG가 그라프트된 실리카(MPEG-g-silica)를 8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한다. 건조된 3.5g MPEG-g-silica를 280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에 넣고 1시간 동안 기계적인 혼합을 한 후, 응집된 무기입자들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를 수행한다.
MPEG-g-silica가 분산된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1M이 용해된 potassium tert-butoxide를 촉매로서 6.125ml 첨가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용해된 1,3-propane sultone을 0.75g 첨가한다. 이 용액을 80℃ 온도에서 20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종료 후, 미반응 1,3-propane sultone을 제거하기 위하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로 세척 작업을 3회에 걸쳐 실시한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1 >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실리카 나노입자가 도입된 고분자 전해질 제조
제조예 1의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실리카 나노입자를 표 1과 같이 조성을 달리하여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을 만든다.
고분자 매트릭스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Mn=400 g/mol) 가교제를 사용하고, 유기 용매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다이메틸 설폭사이드가 중량 비로 1:1 섞여있는 혼합액을 가교제대비 300중량%를 사용하였다. 개시제로는 광개시제인 메틸벤조일 포메이트를 가교제 대비 3중량%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실리카 나노입자, 가교제, 유기용매 및 개시제가 혼합된 전해질 용액을 테플론 기판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고, 350nm 영역의 자외선을 약 3분간 조사시킴으로써 약 100㎛ 두께의 고분자 전해질을 얻었다.
<표 1>
구 분 나노실리카함량 (가교제대비) 나노실리카 가교제 유기용매 개시제
실시예 1-1 5% 0.05g 1g 3g 0.03g
실시예 1-2 10% 0.10g 1g 3g 0.03g
실시예 1-3 20% 0.20g 1g 3g 0.03g
실시예 1-4 30% 0.30g 1g 3g 0.03g
실시예 1-5 40% 0.40g 1g 3g 0.03g
실시예 1-6 50% 0.50g 1g 3g 0.03g
<실시예 2> 고분자 전해질 제조 및 이온전도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을 스테인레스 스틸 대칭전극 사이에 적층시켜 셀을 조립한 후, 교류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전해질의 저항을 측정해 이온전도도를 계산하였다. 나노 실리카 함량에 따른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 변화를 도 3에 나타냈는데, 나노 실리카 함량이 30중량%일 때 최대값을 나타냈다.
나노 실리카의 함량이 30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나노 실리카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리튬 이온의 수가 증가하여 이온전도도가 증가하였으나, 나노 실리카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고분자 전해질 내의 이동도 감소로 인하여 이온전도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온도 변화에 따른 이온전도도 결과는 도 4에 나타냈다. 전 온도 영역에서 이온전도도 경향성이 도 3의 함량 경향성과 일치하였다.
<실시예 3> 단전지의 충방전 시험
실시예 1-4의 조성에 음이온 고정화 물질(TPFPB: tris(pentafluorophenyl) borane) 0.456g이 추가적으로 도입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여 7.1 ×10-4 S/cm의 이온전도도 값을 얻었다. 음이온 고정화 물질은 리튬이온을 추가적으로 해리시켜 이온전도도의 상승을 일으켰다. 상기의 전해질을 리튬코발트옥사이드로 이루어진 양극과 리튬 메탈 음극 사이에 적층시켜 단전지를 제조하여, 0.45mA/cm2의 조건으로 충방전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20회 충방전 이후에도 초기 방전 용량 대비 96%의 용량값을 유지하는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화학 반응을 통해 무기 나노 입자 표면에 기능성 유기물이 치환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의 합성 및 이를 도입한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전극에 대한 높은 계면안정성을 보이며, 도입된 나노입자가 추가적인 리튬이온을 제공하여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의 양이온 수율 및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을 적용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의 경우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기 나노 입자 도입이 가능한 태양전지 등의 다양한 전기화학소자에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무기 나노 입자 표면이 액체전해질과 친화성이 우수한 유기물 단량체로서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모노메틸에테르(H3CO-(CH2C(R)HO)n-H)(R은 탄소수가 1 내지 20개인 알킬기)의 반복단위(n)값이 1∼30 범위의 단량체들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는 것과 리튬 이온을 포함하는 유기물 단량체로서 1,3-프로판 설톤(1,3-propane sultone), 1,4-프로판 설톤(1,4-propane sultone)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는 것으로 치환된 나노 입자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2. 제 1항에 있어서, 무기 나노 입자의 크기는 1~10000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3. 제 1항에 있어서, 무기 나노 입자는 표면에 친수성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실리카(SiO2),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O2) 또는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반응촉매로 potassium tert-butoxide 또는 sodium tert-butox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7. 제 6항에 있어서, 반응촉매의 함량이 무기물 입자표면의 수산기를 기준으로 1∼100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8. 제 1항에 있어서, 반응용매로 클로로포름(Chloroform) 또는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TEGDME)들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9.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은 (i)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의 함량이 1∼90중량%; (ii) 가교 단량체의 함량이 1∼50중량%; (iii) 공단량체의 함량이 0∼50중량%; (iv) 유기용매의 함량이 1∼95중량%; (v) 개시제 함량이 0.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가교 단량체로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부탄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또는 1,3-부탄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공단량체로 다이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비닐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락톤,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메톡시 에탄, 디에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 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반응 개시제로 가교단량체/공단량체 혼합용액을 기준으로 광개시제를 0.5∼20중량% 또는 열개시제를 0.5∼20중량% 중에서 선택하여 어느 하나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벤조페논, 메틸벤조일포메이트, 5,7-디오도-3-부톡시6-플루오렌 또는 이가쿠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열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와 벤조일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15.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 입자 복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이 도입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
KR1020050068478A 2005-07-27 2005-07-27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KR100726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478A KR100726891B1 (ko) 2005-07-27 2005-07-27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478A KR100726891B1 (ko) 2005-07-27 2005-07-27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840A KR20070013840A (ko) 2007-01-31
KR100726891B1 true KR100726891B1 (ko) 2007-06-14

Family

ID=3801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478A KR100726891B1 (ko) 2005-07-27 2005-07-27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0815B2 (en) 2017-12-12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electrolyte, protective film including composite electrolyte, protected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protective film, and lithium metal battery including the protect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881B1 (ko) * 2010-11-02 2014-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튬 이차전지
JP2017098201A (ja) 2015-11-27 2017-06-01 住友化学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絶縁性多孔質層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積層セパレータ
WO2017191950A1 (ko) * 2016-05-04 2017-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2011418B1 (ko) 2016-05-04 2019-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WO2019093862A1 (ko) * 2017-11-13 2019-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88A (ko) * 1999-03-03 2000-10-05 성재갑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고분자 전지
KR20010090406A (ko) * 2000-03-25 2001-10-18 윤문수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 및 그제조물을 이용한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020025481A (ko) * 2000-09-29 2002-04-04 김순택 고체 고분자 전해질
KR20020062024A (ko) * 2001-01-19 2002-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변색소자
KR20030005255A (ko) * 2002-09-30 2003-0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층 구조의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388A (ko) * 1999-03-03 2000-10-05 성재갑 리튬 이온 고분자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고분자 전지
KR20010090406A (ko) * 2000-03-25 2001-10-18 윤문수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 및 그제조물을 이용한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020025481A (ko) * 2000-09-29 2002-04-04 김순택 고체 고분자 전해질
KR20020062024A (ko) * 2001-01-19 2002-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체 고분자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변색소자
KR20030005255A (ko) * 2002-09-30 2003-0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층 구조의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0815B2 (en) 2017-12-12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electrolyte, protective film including composite electrolyte, protected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protective film, and lithium metal battery including the protec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840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 et al. Nanostructured conducting polymer hydrogels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TWI711647B (zh) 膠態電解質用組成物
CN105470515B (zh) 一种安全型锂离子动力电池正极及含有该正极的锂离子电池
KR100754421B1 (ko) 페이스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30049077A (ko) 이온 교환막 충전용 조성물, 이온 교환막의 제조방법, 이온 교환막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0726891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JP2002100405A (ja) 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用樹脂組成物および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
CN102089240A (zh) 插入硅和/或锡的多孔碳基底
CN102005611A (zh) 聚合物电解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364687B (zh) 一种柔性薄膜电极的制备方法及所制备的电极和用途
CN108400297B (zh) 一种硅基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51083A (ko) 음극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KR100746347B1 (ko)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
KR20150051082A (ko) 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
JP3848435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647345B (zh) 一种锂离子电池负极聚合物保护涂层及其制备方法、应用
KR20070010962A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일체형 가교 구조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Zhu et al. A novel UV-cured semi-IPN structure PEO@ nano-SiO2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 metal batteries
KR100736912B1 (ko) 나노 입자형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과 그조성물
KR100726887B1 (ko)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JP2001229730A (ja) 電解質材料及びその用途
JP2017199639A (ja) 蓄電デバイス用電極構造体、蓄電デバイス、及び電極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0306604A (ja) 高分子ゲル電解質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CN112271324B (zh) 一种高压固态锂电池及其制备方法
CN115716896A (zh) 聚氧化乙烯梳状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