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887B1 -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887B1
KR100726887B1 KR1020050065979A KR20050065979A KR100726887B1 KR 100726887 B1 KR100726887 B1 KR 100726887B1 KR 1020050065979 A KR1020050065979 A KR 1020050065979A KR 20050065979 A KR20050065979 A KR 20050065979A KR 100726887 B1 KR100726887 B1 KR 10072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solid polymer
porous matrix
lithium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961A (ko
Inventor
박정기
이용민
고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6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8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매트릭스에 기초로 한 새로운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다공성 매트릭스에 한 종류 이상의 가교제, 리튬 이온을 제공하는 리튬염 및 리튬 이온의 해리 및 이동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저점도 첨가제를 도입한 신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기존의 리튬이차전지 공정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상온 이온전도도 값을 보유하며, 누액 등의 안전성 문제도 크게 개선한 전해질 시스템이므로, 기존의 리튬이차전지의 대체는 물론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전지 시스템에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Solid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orous Matrix and Lithium Second Battery Includ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도 1은 다공성 매트릭스로 사용된 폴리에틸렌 부직포(1)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2, 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전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열적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상온 및 저온에서 이온전도특성이 우수한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다공성 매트릭스를 기본 지지체로 사용하고, 한 종류 이상의 가교제, 리튬염 및 리튬 염의 해리 및 리튬 이온의 이동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저점도 첨가제를 도입하여,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누액의 문제를 제거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 고안전성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어 왔으며, 특히 전기, 전자 제품의 경박 단소화 및 휴대화 추세에 따라 이 분야의 핵심부품인 이차전지도 경량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대량보급에 따른 대기오염과 소음 등의 환경공해 문제 및 석유고갈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수급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으며 이들의 동력원으로서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고성능 차세대 첨단 신형 전지 중의 하나가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lithium polymer battery, LPB)로, 리튬 고 분자 이차전지는 기존전지에 비해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크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적층에 의한 고전압, 대용량의 전지개발이 용이하고, 카드뮴이나 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는 크게 부극(anode), 고분자 전해질(polymer electrolyte), 정극(cathode)으로 구성되는데, 부극 활물질로는 리튬, 탄소 등이 사용되며, 정극 활물질로는 전이금속산화물, 금속칼코겐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이 때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와 염, 비수계 유기용매(선택적) 및 기타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는 물질로서 상온에서 대략 10-3∼10-8S/cm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낸다.
고분자 전해질의 초기 연구는 주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에 리튬염을 첨가하고 공용매에 녹여 캐스팅하여 제조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유럽 특허 제 78505호 및 미국특허 제 5,102,752호) 고분자의 높은 결정화도로 인하여 상온에서 매우 낮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기나노입자를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도입하여 상온에서 ∼10-5S/cm의 이온전도도를 얻을 수 있었으나 상용화하기에는 낮은 값이다. 이에 반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아크릴로니트릴, 폴리 비닐클로라이드,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의 고분자에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첨가하고 공용매에 녹여 캐스팅하여 제조하는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은 상온에서 ∼10-3S/cm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M. Alamgir et al., J. power sources, 54, 40, 1995). 그러나 가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유기 용매 사용으로 인한 안전성의 근본적인 문제점과 과량의 유기용매 도입에 따른 낮은 기계적 물성 때문에 상용화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렵다.
종래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을 높이면 이온전도도가 감소하고, 이온전도도를 증가시키면 기계적 물성이 감소한다. 이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매트릭스와 기계적 물성을 담당하는 매트릭스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적 물성을 담당하는 매트릭스와 이온 전달에 수행하는 매트릭스를 다르게 설계함에 있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다공성 매트릭스를 기본 물성 지지체로 사용하고, 다공성 매트릭스의 다공성 영역에 이온 전도 특성이 우수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도입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의 지지체로 도입되는 다공성 매트릭스에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 리튬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리튬염, 상온 및 저온에서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저점도 첨가제 및 광경화형 개시제로 이루어진 전해질 전구체를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을 수 있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다공성 매트릭스는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또는 셀룰로오스계의 부직포, 고분자 분리막 내지 유리 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매트릭스는 두께가 10∼200㎛이고, 기공의 크기가 1∼100㎛인 것으로서, 기계적 물성으로 MD(Machine Direction)방향의 인장강도가 1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5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지닌 다공성 매트릭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제는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가교제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05039415517-pat00001
상기의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가 1∼10개인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가 1∼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2∼12인 알케닐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에서 15 사이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저점도 첨가제는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5039415517-pat00002
상기의 화학식 2에서 R5 및 R6는 각각 탄소수 1에서 10사이의 사슬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7, R8 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p, q 및 l은 각각 0에서 20 사이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5039415517-pat00003
상기의 화학식 3에서 R10, R11 및 R12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각각 0에서 150 사이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리튬염은 LiClO4, LiBF4, LiCF3SO3, LiPF6, LiAsF6, 또는 Li(CF3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개시제는 광경화형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제 함량이 10∼50중량% 이고, 저점도 첨가제의 함량이 30∼90중량% 이고, 리튬염 함량이 5∼15중량%, 개시제가 0.1∼5.0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술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300∼600nm 파장의 자외선을 1∼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nm 파장의 자외선을 3분간 조사하여 가교 반응을 유도하여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공성 매트릭스를 기본 지지체로 사용하는 데, 다공성 매트릭스의 인장강도가 바람직하게는 MD(Machine Direction) 방향으로 1MPa 이상이 요구되며, 바람직하게는 5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의 인장강도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다공성 매트릭스의 인장강도가 충분히 확보된다면,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차전지의 권취나 적층 공정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두께도 다공성 매트릭스의 두께에 의존하므로, 다공성 매트릭스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가 좋다.
다공성 매트릭스 자체는 이온전도 특성이 없기 때문에, 다공의 크기가 충분히 확보되어야만, 이온이 전달될 수 있는 영역이 증가하여 더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제조가 가능하다. 평균 기공의 크기가 작게는 수 ㎛에서 크게는 수십 ㎛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공성 매트릭스로는 부직포, 폴리올레핀 분리막, 폴리카보네이트 막, 유리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 부직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에틸렌 부직포의 경우 리튬이차전지에서 요구하는 기공 폐쇄 온도를 갖고 있어 안전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부직포의 또 다른 장점은 가격이 저렴하여 본 발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전도 특성은 다공성 영역에서의 전해질 특성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다공성 영역의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서 선택되었던 방법을 기계적 물성의 제약 없이 도입하면 된다.
리튬염을 적절히 해리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계열의 고분자를 주 매트릭스로 사용하고, 상기 고분자의 다공성 매트릭스내에서의 유지 특성 및 이 것의 결정성을 줄이기 위해 가교 구조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가교 물질로는 폴리알킬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가 있고, 가교물질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95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50중량% 범위로 사용하나, 전해질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 상온 및 저온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점도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이의 공중합체를 가소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첨가제로 사용하고, 리튬 염의 해리 및 리튬 이온의 이동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음이온 고정화 역할을 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보레이트를 추가적으로 도입한다. 특히, 다공성 매트릭스의 사용으로 확보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저점도 첨가제의 함유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함량은 상기의 첨가제 중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 0.1∼99중량%, 바람직하기로는 30∼90중량% 범위로 사용하나, 전해질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리튬염으로서 기존의 고분자 전해질 제조용으로 사용된 리튬염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리튬염으로는 예컨대 리튬퍼클로로레이트(LiClO4), 리튬테트라플루오르보레이트(LiBF4), 리튬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LiCF3SO3), 리튬헥사플루오르포스페이트(LiPF6), 리튬헥사플루오르아세네이트(LiAsF6), 리튬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닐이미드(Li(CF3SO2)2N) 등이 있다. 이들 리튬염은 전해질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3∼30중량%, 바람직하기 로는 5∼15중량% 범위로 사용하나, 전해질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경화형 개시제가 함유되는 바, 개시제의 종류로는 광개시형을 사용할 수 있다.
광경화형 개시제의 예로는 메틸벤조일 포메이트,이가큐어250, 에틸벤조인 에테르, 이소프로필벤조인 에테르, α-메틸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페닐에테르, α-아실옥심 에스테르, α,α-디에톡시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시바 가이기(Ciba Geigy)사의 다로큐어(Darocur) 1173],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톤[시바 가이기(Ciba Geigy)사의 이가큐어(Irgacure)184], 다로큐어 1116, 이가큐어 907 등과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2-클로로 안트라퀴논,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벤질 벤조에이트, 벤조일 본조에이트 또는 미클러 케톤 등이 있다.
삭제
상기의 개시제는 전체 조성물 중에 0.1∼5.0중량% 범위로 함유되며, 그 함량은 전해질 조성물의 혼합 비율에 따라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이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메타크릴레이트 가교제(Mn=400g/mol),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에테르 첨가제 1(Mn=250g/mol),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보레이트 첨가제 2(Mn=1660 g/mol), 리튬염[Li(CF3SO2)2N] 및 광개시제인 메틸 벤조일 포메이트가 함유된 전해질 전구체를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아르곤 가스로 채워진 글로브 박스 내에서 제조된 전구체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두께 60㎛ 부직포에 도포한 후, 350nm 파장의 자외선을 3분간 조사하여 가교 반응을 유도하였다.
상기의 반응에 의해 액체 상태였던 전구체는 폴리에틸렌 부직포내에서 고형화되어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직포와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1)은 다공성 매트릭스로 사용된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나타내며, (2) 및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구 분 가교제 첨가제1 첨가제2 리튬염(EO:Li=20:1) 개시제
실시예 1-1 1.0g 1.0g 0.264g 0.456g 0.0123g
실시예 1-2 0.6g 1.4g 0.277g 0.479g 0.0123g
실시예 1-3 0.4g 1.6g 0.283g 0.490g 0.0123g
실시예 1-4 0.2g 1.8g 0.289g 0.501g 0.0123g
<실시예 2>
다공성 매트릭스로 두께 100㎛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전해질 전구체 조성물 및 동일한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질의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를 시험예 1의 방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구 분 가교제 첨가제1 첨가제2 리튬염 (EO:Li=20:1) 개시제 이온전도도 (S/cm)
실시예 2-1 1.0g 1.0g 0.264g 0.456g 0.0123g 4.7 ×10-5
실시예 2-2 0.6g 1.4g 0.277g 0.479g 0.0123g 6.5 ×10-5
실시예 2-3 0.4g 1.6g 0.283g 0.490g 0.0123g 8.8 ×10-5
실시예 2-4 0.2g 1.8g 0.289g 0.501g 0.0123g 1.2 ×10-4
<비교예>
고체 고분자 전해질 내에서의 첨가제2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3의 조성물 중에서 첨가제 2가 도입되지 않은 전해질 전구체를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스테인레스 스틸 대칭전극 사이에 적층시켜 셀을 조립한 후, 교류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전해질의 저항을 측정해 이온전도도를 계산하였다. 온도 변화에 따른 이온전도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온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도 우수한 이온전도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비교예, 실시예 1-1 및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상기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스테인레스 스틸 전극과
리튬 전극 사이에 적층한 후 선형주사전위법을 이용하여 2mV/sec의 주사속도로 전해질의 분해 전압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첨가제 2의 도입으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4.8V에서 5.3V로 향상되었다.
<시험예 3>
제조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의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시차주사열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였다. 측정 온도 범위는 -100℃에서 200℃까지 였으며, 10℃/min의 속도로 온도를 증가시켜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 부직포가 도입된 실시예 1의 경우, 130℃ 근처에서 흡열 반응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 상용화된 폴리올레핀 분리막처럼 열적 안정성이 확보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다공성 매트릭스를 기본 지지체로 사용하므로 리튬 이온의 이동도를 높이고 추가적인 리튬염의 해리를 유도할 수 있는 저점도 물질의 첨가제를 과량으로 도입이 가능한 상온 및 저온에서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신규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다.
또한 공정이 기존의 리튬이차전지 공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상업화에 유리하므로 빠른 시일 내에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전자기기나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리튬이차전지의 새로운 전해질 소재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9)

  1. 기계적 물성의 지지체로 도입되는 다공성 매트릭스에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 리튬 이온을 제공하기 위한 리튬염, 상온 및 저온에서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저점도 첨가제 및 광경화형 개시제로 이루어진 전해질 전구체를 코팅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2. 제 1항에 있어서, 다공성 매트릭스는 올레핀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또는 셀룰로오스계의 부직포, 고분자 분리막 내지 유리 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3. 제 1항에 있어서, 다공성 매트릭스는 두께가 10∼200㎛이고, 기공의 크기가 1∼100㎛인 것으로서, 기계적 물성으로 MD(Machine Direction)방향의 인장강도가 1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4. 제 1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가교제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1
    Figure 112006086209128-pat00004
    상기의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가 1∼10개인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탄소수가 1∼10개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2∼12인 알케닐기이고, X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1에서 15 사이의 정수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저점도 첨가제는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화학식 2
    Figure 112006086209128-pat00005
    상기의 화학식 2에서 R5 및 R6는 각각 탄소수 1에서 10사이의 사슬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고; R7, R8 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p, q 및 l은 각각 0에서 20 사이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86209128-pat00006
    상기의 화학식 3에서 R10, R11 및 R12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각각 0에서 150 사이의 정수이다.
  6. 제 1항에 있어서, 리튬염은 LiClO4, LiBF4, LiCF3SO3, LiPF6, LiAsF6, 또는 Li(CF3SO2)2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7. 제 1항에 있어서, 광경화형 개시제는 메틸벤조일 포메이트,이가큐어250, 에틸벤조인 에테르, 이소프로필벤조인 에테르, α-메틸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페닐에테르, α-아실옥심 에스테르, α,α-디에톡시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 케, 다로큐어 1116, 이가큐어 907 등과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2-클로로 안트라퀴논,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벤질 벤조에이트, 벤조일 본조에이트 또는 미클러 케톤 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KR1020050065979A 2005-07-20 2005-07-20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KR10072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79A KR100726887B1 (ko) 2005-07-20 2005-07-20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79A KR100726887B1 (ko) 2005-07-20 2005-07-20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61A KR20070010961A (ko) 2007-01-24
KR100726887B1 true KR100726887B1 (ko) 2007-06-14

Family

ID=3801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79A KR100726887B1 (ko) 2005-07-20 2005-07-20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8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359A1 (ko) * 2020-05-06 2021-11-11 주식회사 삼양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2107986A1 (ko) * 2020-11-17 2022-05-27 정인선 생분해성 셀룰로오스 기반 원단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385B1 (ko) * 2006-09-26 2008-01-15 한국과학기술원 보론계 화합물이 함유된 리튬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리튬이차전지
KR101536062B1 (ko) * 2013-12-18 2015-07-10 한화토탈 주식회사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적용한 이차전지
US11996564B2 (en) 2015-06-01 2024-05-28 Forge Nano Inc. Nano-engineered coatings for anode active materials, cathode active materials, and solid-state electrolytes and methods of making batteries containing nano-engineered coating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974A (en) 1995-08-04 1997-03-11 Battery Engineering, Inc. Rechargeable battery polymeric electrolyte
KR19980057628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리튬 2차전지
KR19990063878A (ko) * 1995-11-15 1999-07-26 야마모토 카즈모토 복합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사용한 비수계 전기 화학장치
KR20020057570A (ko) * 2001-01-05 2002-07-11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9931A (ko) * 2002-01-03 2003-07-12 김동원 겔화 가능한 다층구조의 세퍼레이터 및 이들을 이용한리튬이차전지
JP2004186120A (ja) 2002-12-06 2004-07-02 Toyota Motor Corp 高分子固体電解質、高分子固体電解質膜、及び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974A (en) 1995-08-04 1997-03-11 Battery Engineering, Inc. Rechargeable battery polymeric electrolyte
KR19990063878A (ko) * 1995-11-15 1999-07-26 야마모토 카즈모토 복합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사용한 비수계 전기 화학장치
KR19980057628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리튬 2차전지
KR20020057570A (ko) * 2001-01-05 2002-07-11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9931A (ko) * 2002-01-03 2003-07-12 김동원 겔화 가능한 다층구조의 세퍼레이터 및 이들을 이용한리튬이차전지
JP2004186120A (ja) 2002-12-06 2004-07-02 Toyota Motor Corp 高分子固体電解質、高分子固体電解質膜、及び燃料電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359A1 (ko) * 2020-05-06 2021-11-11 주식회사 삼양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136863A (ko) * 2020-05-06 2021-11-17 주식회사 삼양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640767B1 (ko) * 2020-05-06 2024-02-28 주식회사 삼양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2107986A1 (ko) * 2020-11-17 2022-05-27 정인선 생분해성 셀룰로오스 기반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61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gai et al. A review of polymer electrolytes: fundamental, approaches and applications
KR100746347B1 (ko)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
KR101515357B1 (ko)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CN106169630B (zh) 锂空气电池和制造其的方法
US6562513B1 (en) Thermo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battery use
US6316563B2 (en) Thermo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488917B1 (ko)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CN107546412B (zh) 聚合物电解质、制备所述聚合物电解质的方法和包括其的锂金属电池
JP2002100405A (ja) 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用樹脂組成物および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
KR20160079574A (ko) 고분자,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및 리튬이차전지
SE518564C2 (sv) Polymer elektrolyt, battericell innefattande elektrolyten,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lektrolyten samt användning av elektrolyten och battericellen
KR101100539B1 (ko) 신규의 고분자 전해질 및 전기 화학 소자
JP2017503054A (ja) 二軸延伸β多孔質フィルムからなるイオン交換膜
JPWO2017057603A1 (ja) ゲル電解質用組成物
KR100726887B1 (ko)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KR100726888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일체형 가교 구조의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2002256093A (ja) 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利用
KR100726891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나노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나노복합체 고분자 전해질
KR20020080797A (ko) 가교화된 겔상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리튬고분자이차전지의 제조방법
TWI244787B (en) Boron-containing compound, ion-conductive polymer and poly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devices
He et al. Hybrid Dynamic Covalent Network as a Protective Layer and Solid-State Electrolyte for Stable Lithium-Metal Batteries
KR100736912B1 (ko) 나노 입자형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과 그조성물
JP2002100404A (ja) 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用樹脂組成物、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複合電極、電気化学的デバイス
JPH11171910A (ja) 電気化学的重合性組成物及びその用途
KR100794385B1 (ko) 보론계 화합물이 함유된 리튬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