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987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987B1
KR100724987B1 KR1020067007048A KR20067007048A KR100724987B1 KR 100724987 B1 KR100724987 B1 KR 100724987B1 KR 1020067007048 A KR1020067007048 A KR 1020067007048A KR 20067007048 A KR20067007048 A KR 20067007048A KR 100724987 B1 KR100724987 B1 KR 10072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group
main rope
revers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017A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9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권상기의 직경이 커져도, 설치 공간을 확대하지 않고 권상기의 보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다.
엘리베이터 칸(2)과, 균형추(3)와, 메인 로프(9)가 걸려 있는 구동 쉬브(4)와, 구동 쉬브를 회전하는 권상기(5)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구동 쉬브에 병설되어 구동 쉬브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가져 구동 쉬브와 역방향 회전하는 역전향 쉬브(6)와, 제1군 전향 쉬브(8a)와, 제2군 전향 쉬브(8b)와, 메인 로프는 제1군 메인 로프(9a) 및 제2군 메인 로프(9b)로 이루어지고, 제1군 메인 로프는 제1군 전향 쉬브로부터 구동 쉬브에 걸려 역방향으로 꺾여 역전향 쉬브에 걸리고, 제2군 메인 로프는 제2군 전향 쉬브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걸려 역방향으로 꺾여 구동 쉬브에 걸리고, 제1군 메인 로프의 구동 쉬브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과 제2군 메인 로프의 역전향 쉬브로부터 구동 쉬브에 걸치는 부분이 구동 쉬브와 역전향 쉬브의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트랙션식(traction type)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실이 있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의 축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여, 구동 쉬브에 감겨진 메인 로프는 구동 쉬브로부터 전향 쉬브를 통과하지 않고 연직 하부에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고, 구동 쉬브의 반대측에서 연장한 메인 로프는 전향 쉬브에 걸려 전향 쉬브로부터 연직 하부로 연장하여 균형추를 매달고 있다.
또,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권상기를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구동 쉬브의 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권상기를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구조나, 구동 쉬브의 축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권상기를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적어도 한 쌍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를 가진 구동 쉬브를 구비하여 주행중은 구동 쉬브가 회전하고, 엘리베이터 칸이 로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은 수직으로 이동하는 자주식(自走式)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
특허문헌 l : 일본특개 2002 - 8017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개 2001 - 4845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특표 2002 - 504473호 공보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구자석식 동기 전동기를 사용하는 권상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영구자석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동기의 축 (폭) 방향을 작게 하고, 직경 방향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계실이 있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전동기의 직경이 커지면 권상기의 높이가 커져 기계실의 높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구동 쉬브의 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권상기를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권상기가 승강로 천장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동기의 직경이 커지면 최상층으로부터 승강로 천장까지의 높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또, 그와 같이 큰 권상기를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설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권상기를 위한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했었다. 또, 권상기가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보수면(保守面)을 옆으로 향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권상기의 보수 점검작업을 엘리베이터 칸의 위에서 실시하려고 하면, 엘리베이터 칸의 위에서 권상기의 옆에 서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로 구동 쉬브의 축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권상기를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구동 쉬브와 전향 쉬브의 메인 로프가 감긴 홈으로의 메인 로프의 진입 각도가 너무 커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구동 쉬브와 전향 쉬브의 거리를 어느 정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수평 투영면 상에서 권상기의 중심은 엘리베이터 칸의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전동기의 직경이 커지면 권상기와 승강로의 벽이 간섭하거나 너무 근접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권상기의 전동기를 얇게 하기 위해 전동기의 직경이 커져도, 기계실이나 승강로의 설치 공간을 확대할 필요가 없고, 또 권상기의 보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져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져 승강로 내를 엘리베이터 칸과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메인 로프가 감긴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추를 승강 이동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구동 쉬브에 인접해 병설되어 구동 쉬브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가져 구동 쉬브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향 쉬브와, 역전향 쉬브 이외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전향 쉬브로 이루어진 제1군 전향 쉬브와, 적어도 하나의 전향 쉬브로 이루어진 제2군 전향 쉬브와, 메인 로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로프로 이루어진 제1군 메인 로프 및 제2군 메인 로프로 이루어지고, 제1군 메인 로프는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로부터 구동 쉬브에 감아지며, 구동 쉬브에 감아져 있던 굽힘과는 역방향으로 굽힐 수 있도록 역전향 쉬브에 감아져 있고, 제2군 메인 로프는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감겨지며, 역전향 쉬브에 감겨져 있던 굽힘과는 역방향으로 굽힐 수 있도록 구동 쉬브에 감아져 있어, 제1군 메인 로프의 구동 쉬브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과 제2군 메인 로프의 역전향 쉬브로부터 구동 쉬브에 걸치는 부분이 구동 쉬브와 역전향 쉬브의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수평인 회전축을 가지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균형추의 윗쪽에 설치하고, 권상기의 구동 쉬브와 근접해 역전향 쉬브를 균형추의 윗쪽에 마련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전향 쉬브를 마련하고, 권상기의 구동 쉬브 및 역전향 쉬브의 축보다 윗쪽에 전향 쉬브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위에 서서 권상기의 옆으로부터 보수 작업을 할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위를 넓게 보수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l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이다.
[도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 도 8은 도 7의 B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 도 9] 도 9는 도 7의 C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 승강로 2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3 균형추 4 구동 쉬브 (제1 구동 쉬브)
4a 구동 쉬브의 축 5 권상기 (제1 권상기)
6 역전향 쉬브 6a 역전향 쉬브의 축
7a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된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
7b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된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
7c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된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의 축
7d 엘리베이터 칸 위에 설치된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의 축
8a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 8b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
8c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의 축 8d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의 축
9a 제1군 메인 로프 9b 제2군 메인 로프
10 엘리베이터 칸의 상승 방향 11 균형추의 하강 방향
12 구동 쉬브의 회전 방향 13 역전향 쉬브의 회전 방향
14a 균형추용 전향 쉬브 14b 균형추용 전향 쉬브
15 역전향 쉬브의 브레이크 장치 16 제2 구동 쉬브
17 제2 권상기 18 제1 구동 쉬브의 회전 방향
19 제2 구동 쉬브의 회전 방향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l
도 l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l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이다.
도 l 에 있어서,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 내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기 위한 메인 로프(9a, 9b)가 감아져 있는 구동 쉬브(4), 이 구동 쉬브(4)를 회전시키기 위한 권상기(5), 구동 쉬브(4)에 인접해 병설된 역전향 쉬브(6)가 균형추(3)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 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상부에 설치된 전향 쉬브(7a)(7b)가 축(7c, 7d)을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 승강로(1) 내의 최상부의 균형추(3) 측에는, 구동 쉬브(4)의 축(4a) 및 역전향 쉬브(6)의 축(6a)보다 윗쪽에 전향 쉬브(8a)(8b)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4) 의 축(4a) 및 역전향 쉬브(6)의 축(6a)은 서로 수평이 되도록, 균형추(3) 의 바로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역전향 쉬브(6)는 구동 쉬브(4)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일단을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하고, 한편 타단을 균형추(3)에 장착하고,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로프로 이루어진 제1군 메인 로프(9a) 및 제2군 메인 로프(9b)로 구성되어 있다. 전향 쉬브(7a)(8a)는 제1군 메인 로프가 걸리는 전향 쉬브로서, 제1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전향 쉬브(7b)(8b)는 제2군 메인 로프가 걸리는 전향 쉬브로서, 제2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제1군 메인 로프(9a)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1군 메인 로프(9a)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1군 메인 로프(9a)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에의 좌측 고정부에서 발단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상부의 좌측의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7a)에 걸어지고, 구동 쉬브(4)의 상부, 그리고 좌측에 설치된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8a)에 걸어져 아래방향으로 향해진다. 다음에 구동 쉬브(4)의 하측에 걸어져 윗쪽으로 꺾여 인접해 병설된 역전향 쉬브(6)의 상측에 걸려 다시 아래방향으로 꺾여 있다. 그리고 균형 추(3) 상부의 우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한편, 제2군 메인 로프(9b)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2군 메인 로프(9b)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2군 메인 로프(9b)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로의 우측 고정부에서 발단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상부의 우측의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7b)에 걸리고, 역전향 쉬브(6)의 상부, 그리고 우측에 설치된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8b)에 걸려 경사지게 하부로 향해진다. 다음에 역전향 쉬브(6)의 하측에 걸려 윗쪽으로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구동 쉬브(4)의 상측에 걸려 다시 아래방향으로 꺾여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상부의 좌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제1군 메인 로프와 제2군 메인 로프는 구동 쉬브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에서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다. 또한, 15는 권상기(5)가 아니라 역전향 쉬브(6) 쪽에 설치된 브레이크 장치이다.
도 2는 도 1을 A 방향에서 본 부분 상세도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군 메인 로프(9a)와 제2군 메인 로프(9b)는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이, 정연(整然)하게 해 구동 쉬브(4)와 역전향 쉬브(6)에 감아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이 상승 방향 (10)의 방향으로 상승하면, 균형추(3)는 하강 방향 (11)의 방향으로 하강하지만, 이 때 구동 쉬브(4)는 화살표 (12)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역전향 쉬브(6)는 화살표 (13)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 에 있어서, 권상기(5)와 역전향 쉬브(6)는 균형추(3)의 윗쪽에 설치되 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2)의 윗쪽에는 전향 쉬브(7a)(7b)만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 위에 서서, 권상기(5)의 옆측방으로부터 보수 작업을 실시할 때 엘리베이터 칸(2) 상을 넓게 보수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 권상기의 전동기의 영구자석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전동기의 축(폭) 방향을 작게 하여 직경 방향을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 권상기는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더욱, 권상기의 축방향이 작기 때문에 승강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권상기(5)에는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지 않지만, 역전향 쉬브(6)의 메인 로프홈을 구동 쉬브(4)와 같은 마찰 구동력을 일으키는 메인 로프홈으로 하고, 브레이크 장치(15)를 역전향 쉬브(6)에 마련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권상기(5)는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의 치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 브레이크 장치(15)도 권상기(5)의 치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이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권상기(5)와 역전향 쉬브(6)와 브레이크 장치(15) 는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일도 충분히 가능하다.
또, 실시예 1에서는, 전향 쉬브(7a, 7b, 8a, 8b), 구동 쉬브(4) , 권상기(5) , 역전향 쉬브(6) 및 브레이크 장치(15)를 모두 승강로(1)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승강로에 인접해 마련한 기계실(미도시)에 전부 또는 일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예 1에서는, 제1군 메인 로프(9a)의 단부와 제2군 메인 로프(9b)의 단부를 엘리베이터 칸(2) 및 평형추(3)에 직접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현가부(懸架部)에 현가 쉬브(미도시)를 마련하여, 이 현가 쉬브에 메인 로프를 걸어 꺽음으로써, 각 메인 로프의 단부를 승강로의 상부나 기계실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수평인 축을 가지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를 균형추의 윗쪽에 설치하고, 권상기의 구동 쉬브와 인접하여 역전향 쉬브를 균형추의 윗쪽에 마련해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전향 쉬브를 마련하고 더욱 권상기 및 역전향 쉬브의 상부 측방에 전향 쉬브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의 위에 서서 권상기의 옆으로부터 보수 작업을 할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위를 넓게 보수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것은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에 2개의 전향 쉬브(7a, 7b)를 설치한 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의 상부에 하나의 전향 쉬브(7b)를 설치한 것이다. 그 외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같다.
전향 쉬브(8a)는 제1군 메인 로프가 걸어지는 전향 쉬브로서, 제1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전향 쉬브(7b)(8b)는 제2군 메인 로프가 걸어지는 전향 쉬브로서, 제2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제1군 메인 로프(9a)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좌측 안쪽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1군 메인 로프(9a)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1군 메인 로프(9a)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로의 좌측 안쪽측 고정부에서 발단하고, 구동 쉬브(4)의 상부 그리고 좌측방에 설치된 전향 쉬브(8a)에 걸려 하부로 향해진다. 다음에 구동 쉬브(4)의 아래쪽에 걸려 윗쪽으로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역전향 쉬브(6)의 위쪽에 걸려 다시 아래방향으로 꺾이고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상부의 우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한편, 제2군 메인 로프(9b)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우측 전방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2군 메인 로프(9b)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2군 메인 로프(9b)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로의 우측 전방측 고정부에서 발단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상부의 우측의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7b)에 걸리고 역전향 쉬브(6)의 상부, 그리고 우측방에 설치된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8b)에 걸려 하부로 향해진다. 다음에 역전향 쉬브(6)의 하측에 걸려 윗쪽으로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구동 쉬브(4)의 상측에 걸려 다시 아래방향으로 꺾이고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상부의 좌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제1군 메인 로프와 제2군 메인 로프는 구동 쉬브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에서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실시예 1 보다 적은 전향 쉬브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 내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기 위한 메인 로프(9a, 9b)가 감긴 구동 쉬브(4), 이 구동 쉬브(4)를 회전시키기 위한 권상기(5), 구동 쉬브(4)에 인접해 병설된 역전향 쉬브(6)가 균형추(3)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4)의 축(4a) 및 역전향 쉬브(6)의 축(6a) 보다 윗쪽에 전향 쉬브(8a)(8b)가 축(8c, 8d)을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4) 의 축(4a) 및, 역전향 쉬브(6)의 축(6a)은 서로 수평이 되도록, 균형추(3)의 바로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역전향 쉬브(6)는 구동 쉬브(4)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일단을 엘리베이터 칸(2)에 매달고, 한편 타단을 균형추(3)에 매달아,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로프로 이루어진 제1군 메인 로프(9a) 및 제2군 메인 로프(9b)로 구성되어 있다. 전향 쉬브(8a)는 제1군 메인 로프가 걸려 있는 전향 쉬브로서, 제1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전향쉬브(8b)는 제2군 메인 로프가 걸려 있는 전향 쉬브로서, 제2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제1군 메인 로프(9a)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1군 메인 로프(9a)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1군 메인 로프(9a)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에의 좌측 고정부에서 발단하고, 구동 쉬브(4)의 상부, 그리고 좌측에 설치된 전향 쉬브(8a)에 걸려 하부로 향해진다. 다음에 구동 쉬브(4)의 아래쪽에 걸려 윗쪽으로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역전향 쉬브(6)의 위쪽에 걸려 다시 아래 방향으로 꺾이고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상부의 우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한편, 제2군 메인 로프(9b)의 일단은 엘리베이터(2)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2군 메인 로프(9b)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2군 메인 로프(9b)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에의 우측 고정부에서 발단하고, 역전향 쉬브(6)의 상부, 그리고 우측방에 설치된 전향 쉬브(8b)에 걸려 하부로 향해진다. 다음에 역전향 쉬브(6)의 아래쪽에 걸려 윗쪽으로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구동 쉬브(4)의 위쪽에 걸려 다시 아래방향으로 꺾이고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상부의 좌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제1군 메인 로프와 제2군 메인 로프는 구동 쉬브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에서 축방향으로부터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다. 덧붙여 브레이크 장치는 권상기(5)에 내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이 상승 방향(10)의 방향으로 상승하면, 균형추(3)는 하강 방향 (11)의 방향으로 하강하지만, 이 때 구동 쉬브(4)는 화살표 (12)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역전향 쉬브(6)는 화살표 (13)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부여하지만, 전향 쉬브(8a, 8b)의 직경이 극단적으로 큰 것을 사용하지 않는 한 메인 로프(9a, 9b)는 엘리베이터 칸의 중심을 매달지 못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후단을 매다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실시예 3은 엘리베이터 칸의 바닥면적이 큰 엘리베이터보다도 바닥면적이 적은(적재량이 적은) 엘리베이터에 적절하고 있어 실시예 1보다 적은 전향 쉬브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부분 상세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 내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기 위한 메인 로프(9)가 감겨진 제1 구동 쉬브(4), 이 구동 쉬브(4)에 인접해 병설되어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기 위한 메인 로프(9a, 9b)가 감긴 제2 구동 쉬브(16), 제1 구동 쉬브(4)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권상기(5), 이 제1 권상기(5)에 인접해 병설되어 제2 구동 쉬브(16)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권상기(17)가 엘리베이터 칸(2)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상부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전향 쉬브(7a)(7b)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균형추(3)의 바로 상부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균형추용 전향 쉬브(14a)(14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권상기(5) 및 제2 권상기(17)는, 승강로(1) 내의 엘리베이터 칸(2)의 위쪽에 각각 제1 구동 쉬브(4)의 축 및 제2 구동 쉬브(16) 의 축이 연직 방향이 되듯이 거의 수평에 설치되어 있어, 제2 구동 쉬브(16)는 제1 구동 쉬브(4)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일단을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하고, 한편 타단을 균형추(3)에 장착하여,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다는 메인 로프(9)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로프로 이루어진 제1군 메인 로프(9a)와, 제2군 메인 로프(9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향 쉬브(7a)(14a)는 제1군 메인 로프가 걸려 있는 전향 쉬브로서, 제1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전향 쉬브(7b)(14b)는 제2군 메인 로프가 걸려 있는 전향 쉬브로서, 제2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제1군 메인 로프(9a)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1군 메인 로프(9a)외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1군 메인 로프(9a)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에의 좌측 고정부에서 발단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상부의 좌측의 엘리베이터 칸용 전향 쉬브(7a)에 걸려 제1 구동 쉬브(4) 쪽에 수평하게 향해진다. 다음에 제1 구동 쉬브(4)에 수평하게 걸려 꺽여지고, 인접해 병설된 제2 구동 쉬브(16)에 수평하게 걸려 구동 쉬브(4)에서의 굽힘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다시 꺾여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의 바로 상부의 우측의 균형추용 전향 쉬브(14a)에 걸려 수직 아래로 늘어져 있어, 균형추(3) 상부의 우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한편, 제2군 메인 로프(9b)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2군 메인 로프(9b)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2군 메인 로프(9b)는 엘리베이터 칸(2) 상부에의 우측 고정부에서 발단하고, 엘리베이터 칸(2)의 바로 상부의 우측의 엘리베이터 칸용 전향 쉬브(7b)에 걸려 제2 구동 쉬브(16) 쪽에 수평으로 향해진다. 다음에 제2 구동 쉬브(16)에 수평하게 걸려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제1 구동 쉬브(4)에 수평하게 걸려 제2 구동 쉬브(16)에서의 굽힘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다시 꺾이고 있다. 그리고 균형추(3)의 바로 상부의 좌측의 균형추용 전향 쉬브(14b)에 걸려 늘어져 있어, 균형추(3) 상부의 좌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제1군 메인 로프와 제2군 메인 로프는 구동 쉬브로부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에서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다.
도 6은 도 5의 부분 상세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군 메인 로프(9a)와 제2군 메인 로프(9b)는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이, 정연하게 제1 구동 쉬브(4)와 제2 구동 쉬브(16)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이 상승하면 균형추(3)는 하강하지만, 이 때 제1 구동 쉬브(4)는 화살표 (18)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구동 쉬브(16)는 화살표 (19)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5 에 있어서, 제1 권상기(5) 및 제2 권상기(17)를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2)의 윗쪽에 설치하고 있지만, 권상기를 두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단독의 권상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치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는다. 또, 권상기를 승강로 평면적(平面積)의 중앙에 설치하고 있어도 무리 없이 메인 로프를 걸어 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4에서는, 제1 권상기(5)에 가세하여 제2 권상기(17)를 마련했지만, 제2 권상기(17) 대신에 실시예 1과 같은 역전향 쉬브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향 쉬브(7a)(7b), 굽힘추용 전향 쉬브(14a)(14b), 제1 구동 쉬브(4) 및 제1 권상기(5), 제2 구동 쉬브(16) 및 제2 권상기(17)를 승강로(1)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승강로에 인접하여 마련한 기계실(미도시)에 전부 또는 일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예 4에서는, 제1군 메인 로프(9a)의 단부와 제2군 메인 로프(9b)의 단부를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에 직접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현가부에 현가 쉬브(미도시)를 마련하고, 이 현가 쉬브에 메인 로프를 걸어 꺾고, 각 메인 로프의 단부를 승강로의 상부나 기계실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의 축을 연직 방향으로서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설치하고,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 근접하여 역전향 쉬브를 마련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전향 쉬브를 마련하고, 균형추의 윗쪽에 전향 쉬브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권상기를 승강로 평면의 중앙에 설치하고 있어도 무리 없이 메인 로프를 걸어 돌리는 것이 가능하고 권상기가 승강 로나 기계실의 벽에 간섭하거나 너무 근접하지 않는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념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C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 내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하기 위한 메인 로프(9, (9a, 9b))가 감긴 구동 쉬브(4), 이 구동 쉬브(4)를 회전시키기 위한 권상기(5), 구동 쉬브(4)에 인접해 병설된 역전향 쉬브(6)가 균형추(3)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의 최상부에는, 승강로(1)의 상부의 엘리베이터 칸(2)이 행정(行程)의 최상부에 위치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1)와의 틈새에 설치된 전향 쉬브(7a)(7b)가 축(7c, 7d)을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 승강로(1) 내의 최상부의 균형추(3) 측에는, 구동 쉬브(4)의 축(4a) 및 역전향 쉬브(6)의 축(6a)보다 윗쪽에 전향 쉬브(8a)(8b)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4)의 축(4a) 및 역전향 쉬브(6)의 축(6a)은 수평이 되도록, 균형추(3)의 바로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역전향 쉬브(6)는 구동 쉬브(4)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일단을 엘리베이터 칸(2)에 장착하고, 한편 타단을 균형추(3)에 장착하며,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달고 있는 메인 로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로프로 이루어진 제1군 메인 로프(9a) 및 제2군 메인 로프(9b)로 구성 되어 있다. 전향 쉬브(7a)(8a)는 제l군 메인 로프가 걸린 전향 쉬브로서, 제1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전향 쉬브(7b)(8b)는 제2군 메인 로프가 걸린 전향 쉬브로서, 제2군 전향 쉬브를 구성한다.
제1군 메인 로프(9a)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하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1군 메인 로프(9a)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우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1군 메인 로프(9a)는, 엘리베이터 칸(2) 하부에의 우측 고정부에서 발단하여, 승강로(1) 최상부의 엘리베이터 칸(2)의 우측방의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7a)에 걸리고, 역전향 쉬브(6)의 상부, 그리고 우측에 설치된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8a)에 걸려 경사지게 하부로 향해진다. 다음에 구동 쉬브(4)의 하측에 걸리어 윗쪽으로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역전향 쉬브(6)의 상측에 걸려 다시 아래방향으로 꺾여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상부의 우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한편, 제2군 메인 로프(9b)의 일단은 엘리베이터 칸(2) 하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칸(2)의 일부를 매달고 있고, 제2군 메인 로프(9b)의 타단은 균형추(3) 상부의 좌측부에 장착되어 균형추(3)의 일부를 매달고 있다. 이 제2군 메인 로프(9b)는, 엘리베이터 칸(2) 하부에의 좌측 고정부에서 발단하고, 승강로(1) 최상부의 엘리베이터 칸(2)의 좌측방의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7b)에 걸리고, 구동 쉬브(4)의 상부 그리고 좌측방에 설치된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인 (8b)에 걸려 경사지게 하부로 향해진다. 다음에 역전향 쉬브(6)의 하측에 걸려 윗쪽으로 꺾이고, 인접해 병설된 구동 쉬브(4)의 상측에 걸려 다시 아래방향으로 꺾이고 있다. 그리고 균형추(3) 상부의 좌측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취한다.
제1군 메인 로프(9a)와 제2군 메인 로프(9b)는 구동 쉬브(4)로부터 역전향 쉬브(6)에 걸치는 부분에서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다. 또, 제1군 메인 로프(9a)와 제2군 메인 로프(9b)는 구동 쉬브(4)와 역전향 쉬브(6)의 윗쪽에 설치된 전향 쉬브(8a)(8b)와 구동 쉬브(4) 및 역전향 쉬브(6)에 걸치는 부분에서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 메인 로프(9a, 9b)의 경사에 맞물리도록 전향 쉬브(8a)(8b)는 축(8c, 8d)이 거의 연직 방향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 8은 도 7을 B 방향에서 본 부분 상세도이고, 도 중 2 점 쇄선으로 가리킨 것은, 엘리베이터 칸(2)이 행정의 최상부까지 왔을 때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7을 C 방향에서 본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향 쉬브(7a, 7b)는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1)의 틈새에 설치되어 있고, 또, 엘리베이터 칸(2)이 최상부까지 와도 전향 쉬브(7a, 7b)와 엘리베이터 칸(2)이 간섭하는 일이 없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향 쉬브(8a, 8b)는 엘리베이터 칸(2)의 윗쪽에 일부를 수평 투영면 상으로 볼 때 엘리베이터 칸과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제1군 메인 로프(9a)와 제2군 메인 로프(9b)는 구동 쉬브(4)와 역전향 쉬브(6)의 윗쪽에 설치된 전향 쉬브(8a)(8b)와 구동 쉬브(4) 및 역전향 쉬브(6)에 걸치는 부분에서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도록 설치했기 때문에, 전향 쉬브(8a)와 구동 쉬브(4)의 거리와 전향 쉬브(8b)와 역전향 쉬브(6)의 거리가 크지 않고, 각각의 메인 로프(9a, 9b)의 경사에 맞물리는 전향 쉬브(8a)(8b)는 축(8c, 8d)이 거의 연직 방향으로 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전향 쉬브(8a)(8b)의 세로 방향의 설치 공간이 작아져,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필요한 높이 방향 치수가 적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이다.

Claims (8)

  1.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는 승강로 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져 있는 구동 쉬브와, 상기 구동 쉬브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균형추를 승강 이동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구동 쉬브에 인접해 병설되어 상기 구동 쉬브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가져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향 쉬브와, 상기 역전향 쉬브 이외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전향 쉬브로 이루어진 제1군 전향 쉬브와, 적어도 하나의 전향 쉬브로 이루어진 제2군 전향 쉬브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로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인 로프로 이루어진 제1군 메인 로프 및 제2군 메인 로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군 메인 로프는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로부터 상기 구동 쉬브에 감기어,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서 굽혀지는 것과 역방향으로 굽힐 수 있도록 상기 역전향 쉬브에 감겨 있고,
    상기 제2군 메인 로프는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로부터 상기 역전향 쉬브에 감기어, 상기 역전향 쉬브에 감겨서 굽혀지는 것과 역방향으로 굽힐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 있고,
    상기 제1군 메인 로프의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과 상기 제2군 메인 로프의 상기 역전향 쉬브로부터 상기 구동 쉬브에 걸치는 부분이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역전향 쉬브의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쉬브의 축 및 역전향 쉬브의 축은 수평으로 되도록 설치되고,
    제1군 전향 쉬브는 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설치된 하나의 전향 쉬브로 이루어지고,
    제2군 전향 쉬브는 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설치된 하나의 전향 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군 전향 쉬브 및 제2군 전향 쉬브는 상기 구동 쉬브 및 상기 역전향 쉬브의 축보다 윗쪽에 설치되며,
    제1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 상기 구동 쉬브, 상기 역전향 쉬브의 순서로 제1 메인 로프가 걸려 있고,
    제2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 상기 역전향 쉬브, 상기 구동 쉬브의 순서로 제2 메인 로프가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쉬브의 축 및 역전향 쉬브의 축은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균형추의 윗쪽에 설치되고,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 및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는 상기 구동 쉬브 및 상기 역전향 쉬브의 축보다 윗쪽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 및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를 설치한, 또는,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 또는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제1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한 개 또는 두 개, 상기 구동 쉬브, 상기 역전향 쉬브의 순서로 제1 메인 로프가 걸려 있고,
    제2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한 개 또는 두 개, 상기 역전향 쉬브, 상기 구동 쉬브의 순서로 제2 메인 로프가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쉬브의 축 및 역전향 쉬브의 축은, 연직 방향으로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설치되고,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 및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는 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 및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는, 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균형추의 윗쪽에 설치되고,
    제1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설치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 상기 구동 쉬브, 상기 역전향 쉬브, 상기 균형추의 윗쪽에 설치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의 순서로 제1 메인 로프가 걸려 있고,
    제2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설치된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 상기 역전향 쉬브, 상기 구동 쉬브, 상기 균형추의 윗쪽에 설치된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의 순서로 제2 메인 로프가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쉬브의 축 및 역전향 쉬브의 축은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균형추의 윗쪽에 설치되고,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 및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는 상기 구동 쉬브 및 상기 역전향 쉬브의 축보다 윗쪽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윗쪽에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 및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다른 하나를 설치하고,
    제1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 두 개, 상기 구동 쉬브, 상기 역전향 쉬브의 순서로 제1 메인 로프가 걸려 있고,
    제2군 메인 로프의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균형추에 이르는 경로에서, 상기 제1군 전향 쉬브 두 개, 상기 역전향 쉬브, 상기 구동 쉬브의 순서로 제2 메인 로프가 걸려 있고,
    상기 제1군 메인 로프가 상기 제1군 전향 쉬브의 하나로부터 상기 구동 쉬브에 걸치는 부분과 상기 제2군 메인 로프가 상기 제2군 전향 쉬브의 하나로부터 상기 역전향 쉬브에 걸치는 부분이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역전향 쉬브의 축방향에서 본 투영면 상에서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쉬브를 회전하는 권상기는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지 않고, 역전향 쉬브에 회전을 제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쉬브와, 역전향 쉬브와, 상기 역전향 쉬브 이외의 전향 쉬브와, 권상기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역전향 쉬브 대신에, 권상기와는 별도의 제2 권상기에 의해 상기 역전향 쉬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 제2 구동 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67007048A 2006-04-12 2004-09-22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2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7048A KR100724987B1 (ko) 2006-04-12 2004-09-22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7048A KR100724987B1 (ko) 2006-04-12 2004-09-22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017A KR20060096017A (ko) 2006-09-05
KR100724987B1 true KR100724987B1 (ko) 2007-06-04

Family

ID=3762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048A KR100724987B1 (ko) 2006-04-12 2004-09-22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11B1 (ko) 2016-11-07 2017-04-06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5022A (zh) * 2018-10-30 2019-01-15 常州永盛新材料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基材的自平衡储箱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855A (ja) * 1995-12-11 1997-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11310372A (ja) * 1998-04-28 1999-11-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0247559A (ja) * 1999-02-24 2000-09-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2504473A (ja) * 1998-02-26 2002-02-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平形の可撓性ロープを使用する二重綱車ロープ式のエレベータ装置
JP2002068641A (ja) * 2000-08-24 200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2072461A1 (en) * 2001-03-08 2002-09-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JP2002532367A (ja) * 1998-12-22 2002-10-0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反転式ローター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機械
WO2003031310A1 (fr) * 2001-09-27 2003-04-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censeur sans local de machinerie
JP2004168517A (ja) * 2002-11-21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855A (ja) * 1995-12-11 1997-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2504473A (ja) * 1998-02-26 2002-02-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平形の可撓性ロープを使用する二重綱車ロープ式のエレベータ装置
JPH11310372A (ja) * 1998-04-28 1999-11-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2532367A (ja) * 1998-12-22 2002-10-0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反転式ローター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機械
JP2000247559A (ja) * 1999-02-24 2000-09-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68641A (ja) * 2000-08-24 200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2072461A1 (en) * 2001-03-08 2002-09-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WO2003031310A1 (fr) * 2001-09-27 2003-04-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censeur sans local de machinerie
JP2004168517A (ja) * 2002-11-21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111B1 (ko) 2016-11-07 2017-04-06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017A (ko) 200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4105B1 (en) Traction sheave elevator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2475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EP1319627B1 (en) Elevator device
JP4145977B2 (ja) エレベータ
JP4919359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44299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4157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8520514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ピング構造
JP42940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249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7629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01544B1 (ko) 엘리베이터
JP42628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9459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812047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0566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602611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256867A (ja) エレベーター
KR10208890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9292561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CN1741953A (zh) 电梯装置
KR10080488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