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116B1 -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116B1
KR100723116B1 KR1020050099610A KR20050099610A KR100723116B1 KR 100723116 B1 KR100723116 B1 KR 100723116B1 KR 1020050099610 A KR1020050099610 A KR 1020050099610A KR 20050099610 A KR20050099610 A KR 20050099610A KR 100723116 B1 KR100723116 B1 KR 100723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optical recording
signal
recording medium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123A (ko
Inventor
기이치 시부야
데이이치로 오카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3Multi-beam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3Methods and circuits for performing mathematical operations on individual detector segment outp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기록 매체에 광 빔을 집광시키는 대물 렌즈의 초점 위치 제어에 이용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복수의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사출된 광 빔을 회절 격자(19)에서 회절시켜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으로 분할하고, 광 기록 매체(15)에서 반사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을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수광하여, 광전 변환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FES)가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 검출된다.

Description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Method for detecting focus dislocation error signal of optical head and optical writing playback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에 이용하는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 광 빔이 집광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수광소자(23, 25a, 25b)의 수광부의 구성과, 수광 소자(23, 25a, 25b)와 오차 신호 검출부(31)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150)의 오차 신호 검출부(31)에 구비된 FES 검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150)의 오차 신호 검출부(31)에 구비된 TES 검출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간격의 최적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미기록 상태의 DVD-RAM의 정보 기록면에 주 빔 및 ±1차의 부 빔이 초점이 맞춰져 있을 때의 FES의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간격의 최적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수광 소자(23)에 집광된 주 빔(27)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간격의 최적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주 빔과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모양을 스칼라 회절 이론을 이용하여 산출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간격의 최적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광 기록 매체의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에 대한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간격의 최적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DVD-RAM 및 DVD±R/RW의 물리적 트랙 피치와, 차동 비점수차법일 때의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의 최적값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15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에 이용하는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정보 기록면에 광 빔이 집광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에 있어서, DVD-RAM(제1 광 기록 매체(15a))으로부터의 반사광에 기초하여, 비점수차법에 의해 얻어진 FES의 실측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 및 종래의 광 헤드의 FES에 혼입된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의 진폭을 비교하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광 헤드에 이용하는 광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에 광 빔이 집광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종래의 광 헤드에 이용하는 광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에 광 빔이 집광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종래의 광 헤드에 구비된 대물 렌즈의 요동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S자 신호 곡선)의 실측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헤드 3 : 레이저 다이오드
5 : 편광빔 스플리터 7 : 1/4 파장판
9 : 콜리메이터 렌즈 11 : 파워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
13 : 대물 렌즈 14 : 랜드
15 : 광 기록 매체 15a : 제1 광 기록 매체
15b : 제2 광 기록 매체 16 : 그루브
17 : 센서 렌즈 19 : 회절 격자
21 : 실린드리컬 렌즈 23, 25a, 25b : 수광 소자
24, 24', 26, 26', 28, 28' : 분할선
27, 101 : 주 빔
29a, 103a : +1차의 부 빔
29b, 103b : -1차의 부 빔
31 : 오차 신호 검출부
33 :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
35, 61 : 제1 가산부
35a, 35b, 35c, 37a, 37b, 37c, 57a, 57b, 59a, 59b : 가산부
37, 65 : 제2 가산부 39, 57 : 제1 차동 연산부
41 :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
43, 67 : 제3 가산부 45 : 제4 가산부
47, 59 : 제2 차동 연산부
49 :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
50 : 스위치
51 :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
53, 75 : 신호 증폭부
55 : 제1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
57c, 59c : 차동부
63 :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
69 : 제3 차동 연산부
71 : TES 생성부 73 : 제4 차동 연산부
150 : 광 기록 재생 장치 152 : 스핀들 모터
154 : 컨트롤러 155 : 레이저 구동 회로
156 : 렌즈 구동 회로 157 :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
158 : 트랙킹 서보 추종 회로 159 : 레이저 컨트롤 회로
본 발명은, 광 기록 매체에 광 빔을 집광시키는 대물 렌즈의 초점 위치 제어에 이용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기록 재생 장치는, 예를 들면 원판 형상의 광 기록 매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또한 광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트랙의 소정 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상기 트랙의 소정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광 헤드에는, 광 기록 매체에 대해서 정보를 기록하는 것에만 이용되는 기록 전용형과, 정보를 재생하는 것에만 이용되는 재생 전용형, 및 기록 재생의 쌍방에 사용 가능한 기록 재생형이 있다. 따라서, 이들을 탑재한 장치는 각각 광 기록 장치, 광 재생 장치, 광 기록 재생 장치가 되지만, 본원에서는 이하, 그것들 모두를 포함하여 광 기록 재생 장치라고 총칭한다.
광 기록 재생 장치에 구비된 광 헤드에 이용하는 대물 렌즈의 초점 위치 제 어용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FES)의 검출 방법으로서, 종래로부터 많이 이용되어 온 방법으로 비점수차법(非点收差法)이 있다. 비점수차법은 광학계가 간단하고, 광축 조정도 용이하다. 그러나, 비점수차법은 다른 검출 방법에 비교하여, 대물 렌즈가 광 기록 매체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에 발생하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에 혼입되기 쉽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 기술적인 검토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의 트랙 크로스 신호의 혼입은, 특히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DVD-RAM과 같이, 랜드(land)와 그루브(groove)의 양쪽에 정보를 기록하는 랜드 그루브 기록 방식을 이용하는 광 기록 매체에 있어서 중요해진다. 랜드 그루브 기록 방식에서는, 광 기록 매체의 물리적 트랙 피치는 데이터 트랙 피치의 2배가 되기 때문에, 다른 광 기록 매체에 비교하여 트랙 크로스 신호의 콘트라스트가 커진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에 혼입된 트랙 크로스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차동 비점수차법이 개시되어 있다. 차동 비점수차법에서는, 광원에서 사출된 광 빔은 주 빔과 부 빔으로 분할되어 광 기록 매체 표면에 조사된다. 광 기록 매체 표면의 방사상 방향의 주 빔과 부 빔의 스폿(spot) 간격은 물리적 트랙 피치의 1/2배로 배치된다. 광 기록 매체 표면에서 반사한 주 빔과 부 빔에서 비점수차법에 의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의 합을 취해, 초점 위치 제어에 이용하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가 얻어진다.
주 빔과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은 서로 역위상이 된다. 또, 비점수차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주 빔과 부 빔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는 초점 어긋남에 대해서 서로 동위상에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비점수차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주 빔 및 부 빔의 각각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의 합을 취함으로써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만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차동 비점수차법은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에 혼입된 트랙 크로스 신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이상적이다. 또한, 물리적 트랙 피치란, 광 헤드에 의해 재생을 행한 경우에 얻어지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1주기 분에 상당하는 길이를 의미하고, DVD-RAM에서는 데이터 트랙 피치의 2배가 되며, DVD-ROM을 비롯한 다른 광 기록 매체에서는 데이터 트랙 피치와 동일한 길이가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4-16368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 11-29687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 10-64104호 공보
(비특허문헌 1) SPIE Vol. 1663 Optical Data Storage(1992)/p157
그러나, 시장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화하는 현재의 광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광 기록 매체의 규격이 통일되지 않고, 복수 종류의 규격이 제안되어 실용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광 기록 매체의 기록 재생을 동일한 광 헤드를 이용하여 행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광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에 주 빔(101) 및 ±1차의 부 빔(103a, 103b)이 집광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5(a) 및 도 16(a)는 DVD-RAM의 정보 기록면을 도 시하고, 도 15(b) 및 도 16(b)는, DVD-RW의 정보 기록면을 도시하며, 도 15(c) 및 도 16(c)는 DVD-ROM의 정보 기록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5의 도면 중의 좌우 방향의 화살표(R)는 광 기록 매체의 반경(방사상) 방향을 나타내고, 상하 방향의 화살표(T)는 광 기록 매체의 트랙의 접선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VD 패밀리 중의 재기록 가능형 광 기록 매체인 DVD-RAM과 DVD-RW는 트랙 크로스 신호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각각 P1=1.23㎛, P2=0.74㎛로 다르다. 또, DVD 패밀리 중의 재생 전용의 DVD-ROM의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는 DVD-RW와 동일하게, P2=0.74㎛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하여 트랙 크로스 신호가 제거된 이상적인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101)과 부 빔(103a, 103b)의 스폿 간격을 물리적 트랙 피치의 1/2배로 각각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특히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의 혼입이 큰 DVD-RAM에 대해서 이상적인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주 빔(101)과 부 빔(103a, 103b)의 빔 간격(BP1)을 0.615㎛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VD-RAM의 최적인 빔 간격 BP1=0.615㎛는 DVD-RW나 DVD-ROM에서의 최적인 빔 간격 BP2=0.37㎛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빔간격 BP1=0.615㎛의 주 빔(101)과 부 빔(103a, 103b)에서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하여 검출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는 DVD-RW에 적용하기 어렵다.
그런데, 재생 전용의 광 헤드에서는, 대물 렌즈의 트랙킹 제어에 이용하는 트랙킹 오차 신호의 검출에, 고주파수의 데이터(RF 신호)를 이용하는 위상차 검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위상차 검출법에서는, RF 신호가 기입되어 있는 트랙에만 광 헤드를 액세스하면 충분하고, 주 빔만을 사용하며, 부 빔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 빔은 DVD-RAM의 차동 비점수차 신호의 생성을 위해서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전용의 광 헤드의 주 빔(101)과 부 빔(103a, 103b)의 빔 간격은, DVD-RAM의 최적인 빔 간격 BP1=0.615㎛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록 재생 겸용의 광 헤드에서는, 미기록 영역에도 광 헤드를 액세스하여 대물 렌즈의 트랙킹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RF 신호를 이용하는 위상차 검출법은 사용할 수 없다. 기록 재생 겸용의 광 헤드의 트랙킹 제어에 이용하는 트랙킹 오차 신호의 검출은 차동 푸시풀(DPP)법이 적합하다. DPP법은 트랙킹 오차 신호의 생성에 주 빔과 부 빔을 이용하고, 방사상 방향에서의 양 빔의 빔 간격(스폿 간격)의 최적값은 물리적 트랙 피치의 1/2배이다. 즉, 일반적으로, 슈퍼 멀티라고 불리고 있는 DVD-RAM과 DVD-RW의 양쪽에 대응하는 기록 재생 겸용의 광 헤드에서는, 필요로 하는 부 빔의 조정 위치의 최적값이 양 매체에서 다르고, 양 DVD 디스크 매체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 방향의 주 빔(101)과 부 빔(103a, 103b)의 스폿 간격을 DVD-RAM에 최적인 빔 간격(BP1)으로 설정하면, 빔 간격(BP1)과 DVD-RW의 물리적 트랙 피치(P2)의 비는 BP1/P2=0.615㎛/0.74㎛=0.831이 된다. 스폿 간격(BP1)은 DVD-RW에서는, 물리적 트랙 피치(P2)의 1/2배가 되지 않기 때문에,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해도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부터 트랙 크로스 신호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한편,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 방향의 주 빔(101)과 부 빔(103a, 103b)의 빔 간격을 DVD-RW에 최적인 빔 간격 BP2=0.37㎛로 설정하면, 빔 간격(BP2)과 DVD-RAM의 물리적 트랙 피치(P1)의 비는 BP2/P1=0.37㎛/1.23㎛=0.300이 된다. 빔 간격(BP2)은 DVD-RAM에서는, 물리적 트랙 피치(P1)의 1/2배가 되지 않기 때문에,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해도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부터 트랙 크로스 신호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이와 같이, DVD-RAM과 DVD-RW의 양쪽에 대응하는 기록 재생 겸용의 광 헤드에서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의 검출에 차동 비점수차법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광학계의 구성이나 조정이 복잡한 나이프 에지(knife-edge) 방식이나 빔 사이즈 방식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되어 있었다.
특허문헌 3에는, 광 기록 매체의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르기 때문에, 부 빔 위치의 최적값이 광 기록 매체마다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는 2개의 부 빔(±1차의 부 빔)의 가산 신호로부터 생성된다. 그러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부 빔으로부터 생성하면, 도 17의 도면 중에 α로 나타내는 세컨드 제로 크로스 신호라고 불리는 불필요한 피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도 17은, 광 헤드에 구비된 대물 렌즈의 요동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S자 신호 곡선)의 실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 은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 A로 나타내는 곡선은, 주 빔에만 기초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나타내고, 도면 중에 B로 나타내는 곡선은, 2개의 부 빔에만 기초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 중에 α로 나타내는 곡선(B)의 곡선부는 부 빔에만 기초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에 생긴 세컨드 제로 크로스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세컨드 제로 크로스 신호가 큰 S자 신호 곡선이고, 초점 위치의 제어가 가능한 범위에 대물 렌즈를 인입하는 초점 인입 동작을 행하면, 광 빔의 초점을 광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 상에 정확하게 인입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세컨드 제로 크로스 신호는, 주 빔과 부 빔의 광량비가 클수록, S자 신호 곡선의 진폭에 대해서, 크게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실측 파형에서는, 주 빔과 부 빔의 광량비는 8 : 1이고, 주 빔에 대한 1개의 부 빔의 광량비는 12.5%이다. 또, 종래 널리 이용되고 있는 차동 비점수차법에 의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는, 주 빔과 부 빔의 각각에 기초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가산하여 생성된다. 이 때문에, 차동 비점수차법에 의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에는, 세컨드 제로 크로스 신호가 중첩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복수의 광 기록 매체에서,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복수의 광 기록 매체에서, 초점 인입 동작을 행할 때에, 광 기록 매체 표면에 주 빔 및 2개의 부 빔의 초점을 정확하게 인입하기 위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광원에서 사출된 광 빔을 회절시켜 주 빔과 2개의 부 빔으로 분할하고, 대물 렌즈를 통해서 광 기록 매체에 집광시켜, 상기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 및 상기 2개의 부 빔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초점 위치의 제어가 가능한 범위에 상기 대물 렌즈를 인입하는 초점 인입 동작시와, 상기 초점 인입 동작의 종료후의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추종 제어시에,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와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의 조합을 전환하여 연산 처리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위치 맞춤에 이용하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는, 상기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검출하고,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1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고,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에 생기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P2(P2<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2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0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 표면에 집광시키는 상기 주 빔과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이 +P1×(n+1/4)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1×(n+1/4)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이 +P2×(n+1/2)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2×(n+1/2)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을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다른 쪽을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여,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고,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을 주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여,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對角)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고,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을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다른 쪽을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여,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고,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을 주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여,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와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가산하여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광 기록 매체의 방사상 방향의, 상기 광 기록 매체 표면에 결상된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를, 같은 방향의 상기 주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의 2.5배 이상으로 하여, 상기 광 기록 매체 표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고, 상기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은, 광원에서 사출된 광 빔을 회절시켜 주 빔과 2개의 부 빔을 사출하는 회절 격자와, 상기 주 빔 및 상기 2개의 부 빔을 광 기록 매체에 집광시키는 대물 렌즈와, 상기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 및 상기 2개의 부 빔을 각각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광 헤드와, 초점 위치의 제어가 가능한 범위에 상기 대물 렌즈를 인입하는 초점 인입 동작시와, 상기 초점 인입 동작의 종료후의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추종 제어시에,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와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의 조합을 전환하여 연산 처리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위치 맞춤에 이용하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신호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지는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지는 상기 초점 어긋남 오 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1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에 생기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P2(P2<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2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수광 소자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을 수광하는 주 빔용 수광 소자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을 수광하는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을 수광하는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1 부 빔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0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 표면에 집광시키는 상기 주 빔과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이 +P1×(n+1/4)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1×(n+1/4)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P2×(n+1/2)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2×(n+1/2)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1 가산부와,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2 가산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가산부에서 각각 출력된 전기 신호를 차동 연산하는 제1 차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로서의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3 가산부와,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4 가산부와, 상기 제3 및 제4 가산부에서 각각 출력된 전기 신호를 차동 연산하는 제2 차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로서의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와,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가산하는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가산하여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상기 제1 상기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광 기록 매체의 방사상 방향의, 상기 광 기록 매체 표면에 결상된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는, 같은 방향의 상기 주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의 2.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기록 재생 장치로서,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는, DVD-RAM 및 상기 DVD-RAM과 동등한 물리적 트랙 피치를 구비한 상기 광 기록 매체이고, 상 기 제2 광 기록 매체는, DVD±R/RW, DVD-ROM 및 상기 DVD±R/RW 또는 상기 DVD-ROM과 동등한 물리적 트랙 피치를 구비한 상기 광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150)에 구비된 광 헤드(1)의 개략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 헤드(1)는,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다른 2종류의 광 기록 매체(15)의 각각에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리적 트랙 피치가 상대적으로 넓은 광 기록 매체(15)(제1 광 기록 매체(15a))는, DVD-RAM 및 이것과 동등한 물리적 트랙 피치를 구비한 광 기록 매체이다. 또, 물리적 트랙 피치가 상대적으로 좁은 광 기록 매체(15)(제2 광 기록 매체(15b))는, DVD-ROM, DVD±R/RW 및 이들과 동등한 물리적 트랙 피치를 구비한 광 기록 매체이다.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P1)는 1.23㎛이고, 제2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P2)는 0.74㎛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헤드(1)는, 광 빔을 사출(射出)하는 광원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3)를 갖고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제어 전압에 기초하여 기록/재생마다 다른 광 강도의 광 빔을 사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의 광 사출 측의 소정 위치에는, 회절 격자(19)가 배치되 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사출된 광 빔은, 회절 격자(19)에 입사하여 3개의 광 빔(0차의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으로 분할된다. ±1차의 부 빔(29a, 29b)은, 주 빔(27) 위치를 중심으로 트랙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대칭으로 나열되어 광 기록 매체(15)의 표면(정보 기록면)에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볼 때 회절 격자(19)의 광 투과측에는, 편광빔 스플리터(5), 1/4 파장판(7), 콜리메이터 렌즈(9) 및 대물 렌즈(13)가 이 순서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9)는, 레이저 다이오드(3)로부터의 발산 광선속을 평행 광선속으로 변환하여 대물 렌즈(13)에 인도하는 동시에, 대물 렌즈(13)로부터의 평행 광선속을 집속 광선속으로 변환하여 수광 소자(23, 25a, 25b)에 인도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대물 렌즈(13)는 콜리메이터 렌즈(9)로부터의 평행 광선속을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 집광하여 판독 스폿을 형성하는 동시에, 광 기록 매체(15)로부터의 반사광을 평행 광선속으로 변환하여 콜리메이터 렌즈(9)에 인도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1/4 파장판(7)에서 볼 때 편광빔 스플리터(5)의 광 반사측에는, 센서 렌즈(17), 실린드리컬(cylindrical) 렌즈(21) 및 수광 소자(23, 25a, 25b)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볼 때 편광빔 스플리터(5)의 광 반사측에는,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사출된 광 빔의 광 강도를 계측하기 위한 파워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11)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 렌즈(17)는, 광 기록 매체(15)에서 반사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초점 맞춤 위치를 광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반사광 초점 맞춤 위치 조정부로서 기능한다. 또, 센서 렌즈(17)는 광 기록 매체(15)에서 반사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을 소정의 광학계 배율로 확대시켜 실린드리컬 렌즈(21)를 통해서 수광 소자(23, 25a, 25b) 상에 각각 개별로 결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수광 소자(주 빔용 수광 소자)(23)는 주 빔(27)을 수광하고, 수광 소자(제1 부 빔용 수광 소자)(25a)는 +1차의 부 빔(29a)을 수광하고, 수광 소자(제2 부 빔용 수광 소자)(25b)는 -1차의 부 빔(29b)을 수광하도록 되어 있다.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광전 변환된 주 빔 전기 신호 및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는, 광 기록 재생 장치(150)에 구비된 오차 신호 검출부(31)에 입력된다.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는, 광 기록 매체(15)에서 반사한 ±1차의 부 빔(29a, 29b)에 기초한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대물 렌즈(13)가 광 기록 매체(15)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에 생기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FES)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는, 주 빔 전기 신호 및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트랙킹 오차 신호(TES)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이 집광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제1 광 기록 매체(15a)로서의 DVD-RAM의 정보 기록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제2 광 기록 매체(15b)로서의 DVD-RW의 정보 기록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제2 광 기록 매체(15b)로서의 DVD-ROM의 정보 기록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좌우 방향의 화살표(R)는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의 반경(방사상) 방향을 나타내고, 상하 방향의 화살표(T)는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의 트랙의 접선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의 어느 것이나,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스폿 간격(BP)은 0.307㎛로 조정되어 있다. 스폿 간격(BP)과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물리적 트랙 피치(P1)의 비는 0.307㎛/1.23㎛=0.249이다. 여기에서, n=0으로 하면, 제1 광 기록 매체(15a)에서는, 주 빔(27)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1차의 부 빔(29a)이 +P1×(n+1/4)=+P1/4 정도, -1차의 부 빔(29b)이 -P1×(n+1/4)=-P1/4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여 조정되어 있다.
스폿 간격(BP)과 제2 광 기록 매체(15b)의 물리적 트랙 피치(P2)의 비는 0.307㎛/0.74㎛=0.415이다. 여기에서, n=0으로 하면, 제2 광 기록 매체(15b)에서는, 주 빔(27)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1차의 부 빔(29a)이 +P2×(n+1/2)=+P2/2정도, -1차의 부 빔(29b)이 -P2×(n+1/2)=-P2/2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폿 간격(BP)은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피치(P1)의 약 1/4배(n=0)가 되고, 제2 광 기록 매체(15b)의 피치(P2)의 약 1/2배(n=0)가 되어 있다. 또한, n은 0이상의 정수이다.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간격은, 예를 들면 회절 격자(19)의 격자면을 회절 격자(19)의 광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된다.
도 3은, 수광 소자(23, 25a, 25b)의 수광부의 구성과, 수광 소자(23, 25a, 25b)와 오차 신호 검출부(31)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광 소자(23)는, 정사각형 형상의 수광 영역 내를 광 기록 매체(15)(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트랙의 접선 방향에 거의 평행한 분할선(24)과, 분할선(24)에 거의 직교하는 분할선(24')으로 분할하고,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정사각형 형상의 4개의 수광 영역(A, B, C, D)을 갖고 있다. 수광 영역(A)은 분할선(24)을 통해서 수광 영역(B)에 인접하고, 분할선(24')을 통해서 수광 영역(D)에 인접하며, 수광 영역(C)에 대각으로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광 영역(C)은 분할선(24)을 통해서 수광 영역(D)에 인접하고, 분할선(24')을 통해서 수광 영역(B)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수광 소자(25a)는, 정사각형 형상의 수광 영역 내를 광 기록 매체(15)의 트랙의 접선 방향에 거의 평행한 분할선(26)과, 분할선(26)에 거의 직교하는 분할선(26')으로 분할하고,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정사각형 형상의 4개의 수광 영역(E1, F1, G1, H1)을 갖고 있다. 수광 영역(E1)은 분할선(26)을 통해서 수광 영역(F1)에 인접하고, 분할선(26')을 통해서 수광 영역(H1)에 인접하며, 수광 영역(G1)에 대각으로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광 영역(G1)은 분할선(26)을 통해서 H1에 인접하고, 분할선(26')을 통해서 F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수광 소자(25b)는, 정사각형 형상의 수광 영역 내를 광 기록 매체(15)의 트랙의 접선 방향에 거의 평행한 분할선(28)과, 분할선(28)에 거의 직교하는 분할선(28')으로 분할하고,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정사각형 형상 의 4개의 수광 영역(E2, F2, G2, H2)을 갖고 있다. 수광 영역(E2)은 분할선(28)을 통해서 수광 영역(F2)에 인접하고, 분할선(28')을 통해서 수광 영역(H2)에 인접하며, 수광 영역(G2)에 대각으로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광 영역(G2)은 분할선(28)을 통해서 H2에 인접하고, 분할선(28')을 통해서 F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수광 소자(23, 25a, 25b)는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서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위치가 다른 것에 의해 생기는 광로의 어긋남에 대응시켜, 방사상 방향으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수광 영역(A∼D, E1∼H1, E2∼H2)으로부터 각 1개씩 인출된 배선은 오차 신호 검출부(31)에 접속되어 있다.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수광 영역(A∼D, E1∼H1, E2∼H2)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 및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FES나 TES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오차 신호 검출부(31)에는, 제어 신호(CS)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는, 제어 신호(CS)에 기초하여, 대물 렌즈(13)의 초점 인입 동작시와 초점 추종 동작시에, 주 빔 전기 신호와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의 조합이 전환되어 연산 처리가 행해진다. 또, 대물 렌즈(13)의 초점 추종 동작시에,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에 따라서,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는, 제어 신호(CS)에 기초하여, 주 빔 전기 신호와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의 조합이 전환되어 연산 처리가 행해진다.
도 4는 오차 신호 검출부(31)에 구비된 FES 검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FES 검출 회로는 수광 소자(25a, 25b)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를 검출하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와, 수광 소자(23)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를 검출하는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1)와, 제1 및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 PFES2)를 이용하여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를 검출하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를 갖고 있다. 또한, FES 검출 회로는 제어 신호(CS)에 기초하여 스위칭이 제어되는 스위치(50)를 갖고 있다. 스위치(50)는 대물 렌즈(13)의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를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또, 스위치(50)는, 초점 인입 동작 종료후의 대물 렌즈(13)의 초점 추종 동작시에는, 제1 광 기록 매체(15a)에서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를 FES로서 선택하고, 제2 광 기록 매체(15b)에서는, 제2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 PFES3)를 FES로서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는 제1 및 제2 가산부(35, 37)와 제1 차동 연산부(39)를 갖고 있다. 제1 가산부(35)는 3개의 가산부(35a, 35b, 35c)를 갖고 있다. 가산부(35a, 35b, 35c)는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가산부(35a)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a)의 수광 영역(E1, G1)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5a)의 출력 단자는 가산부(35c)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5b)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b)의 수광 영역(E2, G2)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5b)의 출력 단자는 가산부(35c)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5c)의 출력 단자는 제1 차동 연산부 (39)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가산부(35)는 수광 소자(25a)의 대각에 위치하는 수광 영역(E1, G1)(한 쪽의 쌍)과 수광 소자(25b)의 수광 영역(E2, G2)(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제1 가산부(35)에서 출력되는 제1 부 빔 가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1+G1+E2+G2=E+G…(1)
단, 식 (1)에서, E1+E2=E로 하고, G1+G2=G로 하고 있다.
제2 가산부(37)는 3개의 가산부(37a, 37b, 37c)를 갖고 있다. 가산부(37a, 37b, 37c)는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가산부(37a)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a)의 수광 영역(F1, H1)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7a)의 출력 단자는 가산부(37c)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7b)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b)의 수광 영역(F2, H2)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7b)의 출력 단자는 가산부(37c)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37c)의 출력 단자는 제1 차동 연산부(39)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가산부(37)는 수광 소자(25a)의 대각에 위치하는 수광 영역(F1, H1)(다른 쪽의 쌍)과 수광 소자(25b)의 수광 영역(F2, H2)(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제2 가산부(37)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가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1+H1+F2+H2=F+H…(2)
단, 식 (2)에서, F1+F2=F로 하고, H1+H2=H로 하고 있다.
제1 차동 연산부(39)도 동일하게,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제1 차동 연산부(39)는 제1 및 제2 가산부(35, 37)에서 각각 출력된 전기 신호(E+G, F+H)를 차동 연산하도록 기능한다. 제1 차동 연산부(39)에서 출력된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FES1=(E+G)-(F+H)…(3)
후에 상세히 서술하지만,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간격(BP)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약 1/4배가 되는 제1 광 기록 매체(15a)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수광하였을 때에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가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제1 차동 연산부(39))에서 출력된다. 한편, 양 빔(27, 29a, 29b)의 스폿 간격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약 1/2배가 되는 제2 광 기록 매체(15b)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수광하였을 때에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되어 있지 않은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가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에서 출력된다.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1)는 제3 및 제4 가산부(43, 45)와 제2 차동 연산부(47)를 갖고 있다. 제3 가산부(43)는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제3 가산부(43)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3)의 수광 영역(A, C)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제3 가산부(43)의 출력 단자는 제2 차동 연산부(47)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가산부(43)는 수광 소자(23)의 대각에 위치하는 수광 영역(A, C)(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제3 가산부(43)에서 출력되는 제1 주 빔 가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C…(4)
제4 가산부(45)도 동일하게,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제4 가산부(45)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3)의 수광 영역(B, D)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제4 가산부(45)의 출력 단자는 제2 차동 연산부(47)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4 가산부(45)는 수광 소자(23)의 대각에 위치하는 수광 영역(B, D)(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제4 가산부(45)에서 출력되는 제2 주 빔 가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D…(5)
제2 차동 연산부(47)도 동일하게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제2 차동 연산부(47)는 제3 및 제4 가산부(43, 45)에서 각각 출력된 제1 및 제2 주 빔 가산 신호(A+C, B+D)를 차동 연산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제2 차동 연산부(47)에서 출력되는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FES2=(A+C)-(B+D)…(6)
식 (6)은 종래의 비점수차법에 이용되는 연산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1)는 종래의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 검출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한다.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는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51)와 신호 증폭부(53)를 갖고 있다. 신호 증폭부(53)의 입력 단자는 제1 차동 연산부(39)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51)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증폭부(53)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를 k1배로 증폭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신호 증폭부(53)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k1×{(E+G)-(F+H)}…(7)
또한, 계수 k1은 양음의 어느 것이나 취할 수 있는 계수이다.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51)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는 제2 차동 연산부(47)의 출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51)는 신호 증폭부(53)에서 k1배로 증폭되어 출력된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와, 제2 차동 연산부(47)에서 출력된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51)에서 출력되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FES3={(A+C)-(B+D)}+k1×{(E+G)-(F+H)}…(8)
식 (8)은 종래의 차동 비점수차법에 이용되는 연산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는 종래의 차동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 검출과 동등한 기능을 발휘한다.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은 서로 역위상이다. 이 때문에, 식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차의 부 빔(29a, 29b)을 소정의 값 k1배하여 주 빔(27)에 가산함으로써,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이 감쇠된 PFES3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치(50)는 3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스위치(50)의 3개의 입력 단자에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제1 차동 연산부(39))의 출력 단자,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1)(제2 차동 연산부(47))의 출력 단자 및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51))의 출력 단자가 1개씩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50)는 대물 렌즈(13)의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를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또, 초점 인입 동작 종료후의 대물 렌즈(13)의 초점 위치 제어 등의 초점 추종 동작시에는, 스위치(50)는 FES로서, 제1 광 기록 매체(15a)에서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를 선택하고, 제2 광 기록 매체(15b)에서는, 예를 들면,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를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는, 광 기록 매체(15)의 물리적 트랙 피치에 따라서, 스위치(50)가 전환되어,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 중 어느 하나가 FES로서 검출된다.
이와 같이,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제1 광 기록 매체(15a)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수광하였을 때에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를 FES로서 검출하고, 제2 광 기록 매체(15b)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수광하였을 때에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를 FES로서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광 헤드(1) 및 오차 신호 검출부(31)를 갖는 광 기록 재생 장치(150)는 제1 및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의 어느 것이나,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광 기록 매체(15b)에서는, 오차 신호 검출부(31)의 스위치(50)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 대신에,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를 FES로서 검출하도록 제어되어도 된다.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에 비해서 트랙 크로스 신호가 혼입되기 쉬운 결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오차 신호 검출부(31)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광 헤드(1)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유효하다.
도 5는 오차 신호 검출부(31)에 구비된 TES 검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TES 검출에는 차동 푸시풀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 상기 TES 검출 회로는 제1 및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에 공통으로 이용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ES 검출 회로는 수광 소자(25a, 25b)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1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55)와, 수광 소자(23)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63)와, 제1 및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를 이용하여 TES를 생성하는 TES 생성부(71)를 갖고 있다.
제1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55)는 제1 및 제2 차동 연산부(57, 59)와 제1 가산부(61)를 갖고 있다. 제1 차동 연산부(57)는 가산부(57a, 57b)와 차동부(57c)를 갖고 있다. 가산부(57a, 57b) 및 차동부(57c)는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가산부(57a)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a)의 수광 영역 (E1, H1)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57a)의 출력 단자는 차동부(57c)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57b)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a)의 수광 영역(F1, G1)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57b)의 출력 단자는 차동부(57c)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차동부(57c)의 출력 단자는 제1 가산부(61)의 한 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차동 연산부(57)는 수광 소자(25a)의 분할선(26)으로 분할된 수광 영역(E1, H1)과 수광 영역(F1, G1)의 각각에서 출력된 제1 부 빔 전기 신호를 차동 연산하도록 기능한다. 제1 차동 연산부(57)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1+H1)-(F1+G1)…(9)
제2 차동 연산부(59)는 가산부(59a, 59b)와 차동부(59c)를 갖고 있다. 가산부(59a, 59b) 및 차동부(59c)는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가산부(59a)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b)의 수광 영역(E2, H2)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59a)의 출력 단자는 차동부(59c)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59b)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소자(25b)의 수광 영역(F2, G2)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가산부(59b)의 출력 단자는 차동부(59c)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차동부(59c)의 출력 단자는 제1 가산부(61)의 다른 쪽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차동 연산부(59)는 수광 소자(25b)의 분할선(28)으로 분할된 수광 영역(E2, H2)과 수광 영역(F2, G2)의 각각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차동 연 산하도록 기능한다. 제2 차동 연산부(59)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2+H2)-(F2+G2)…(10)
제1 가산부(61)도 동일하게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제1 가산부(61)는 제1 및 제2 차동 연산부(57, 59)에서 각각 출력된 전기 신호 (E1+H1)-(F1+G1), (E2+H2)-(F2+G2)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제1 가산부(61)에서 출력되는 제1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PTES1)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TES1={(E1+H1)-(F1+G1)}+{(E2+H2)-(F2+G2)}=(E+H)-(F+G)…(11)
단, 식 (11)에서, E1+E2=E로 하고, F1+F2=F로 하고, G1+G2=G로 하고, H1+H2=H로 하고 있다.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63)는 제2 및 제3 가산부(65, 67)와, 제3 차동 연산부(69)를 갖고 있다. 제2 및 제3 가산부(65, 67)와 제3 차동 연산부(69)는 2입력 1출력의 회로 구성을 갖고 있다. 제2 가산부(65)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영역(A, D)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제2 가산부(65)의 출력 단자는 제3 차동 연산부(69)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가산부(65)는 수광 소자(23)의 분할선(24)으로 분할된 한 쪽측의 수광 영역(A, D)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제2 가산부(65)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D…(12)
제3 가산부(67)의 2개의 입력 단자(+)는 수광 영역(B, C)에 1개씩 접속되어 있다. 제3 가산부(67)의 출력 단자는 제3 차동 연산부(69)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가산부(67)는 수광 소자(23)의 분할선(24)으로 분할된 다른 쪽측의 수광 영역(B, C)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도록 기능한다. 제3 가산부(67)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C…(13)
제3 차동 연산부(69)는 제2 및 제3 가산부(65, 67)에서 각각 출력된 전기 신호(A+D, B+C)를 차동 연산하도록 기능한다. 제3 차동 연산부(69)에서 출력되는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PTES2)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TES2=(A+D)-(B+C)…(14)
식 (14)는 종래의 푸시풀법에 이용되는 연산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63)는 종래의 푸시풀법에 의한 TES 검출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TES 생성부(71)는 제4 차동 연산부(73)와 신호 증폭부(75)를 갖고 있다. 신호 증폭부(75)의 입력 단자는 제1 가산부(6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제4 차동 연산부(73)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증폭부(75)는 제1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PTES1)를 k2배로 증폭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신호 증폭부(75)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k2×{(E+H)-(F+G)}…(15)
또한, 계수 k2는 양음의 어느 것이나 취할 수 있는 계수이다.
제4 차동 연산부(73)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제3 차동 연산부(69)의 출 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제4 차동 연산부(73)는 신호 증폭부(75)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와 제3 차동 연산부(69)에서 출력된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PTES2)를 차동 연산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제3 차동 연산부(69)에서 출력되는 TES는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ES={(A+D)-(B+C)}-k2×{(E+H)-(F+G)}…(16)
식 (16)은 종래의 차동 푸시풀법에 이용되는 연산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TES 검출 회로는 종래의 차동 푸시풀법에 의한 TES 검출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계수 k2를 최적인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대물 렌즈(13)의 방사상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서 TES에 생기는 직류 오프셋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차동 푸시풀법은 유효한 방법이다. 상기 TES 검출 회로에 차동 푸시풀법을 이용하지 않고, 제2 트랙킹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63)만에 의한 푸시풀법을 이용해도 된다. 푸시풀법은 직류 오프셋 성분을 제거하기 어려운 결점을 갖고 있지만,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광 기록 재생 장치(150)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유효하다.
다음에,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서의 주 빔과 ±1차의 부 빔의 방사상 방향의 스폿 간격(BP)의 최적화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미기록 상태의 DVD-RAM의 정보 기록면에 주 빔 및 ±1차의 부 빔이 초점이 맞춰져 있을 때의 FES의 신호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주 빔만을 이용한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의 신호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주 빔 및 부 빔을 이용한 차동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의 신호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 및 도 6(b) 도시하는 FES를 얻기 위한 수광부는, 도 3에 도시하는 수광 소자(23, 25a, 25b)와 동일하게, 주 빔용과 ±1차의 부 빔용의 3개의 수광 소자를 갖고 있다. 각 수광 소자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고 있다. 또, 주 빔 및 ±1차의 부 빔은 각 수광 소자의 수광 영역의 중심부에 각각 결상되어 있다.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는, 식 (6)에 나타내는 연산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차동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는, 식 (8)에 나타내는 연산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비점수차법은 검출 회로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는 신호 진폭이 비교적 커진다. FES의 신호 진폭이 커지는 것은, 대물 렌즈를 통해서 광 빔이 광 기록 매체의 트랙의 단차를 가로지를 때에 발생하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FES에 많이 포함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비점수차법은 트랙 크로스 신호가 FES에 많이 포함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DVD 매체 중에서도 물리적 트랙 피치가 넓은 DVD-RAM에서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FES로의 혼입이 현저하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동 비점수차법에 의한 FES의 신호 진폭은 비교적 작고, 트랙 크로스 신호의 FES로의 혼입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차동 비점수차법은,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이 혼입된 주 빔의 비점수차 신호에, 상기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과 역위상의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이 혼입된 부 빔의 비점수차 신호를 가산하여, 양 빔에 혼입된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만을 상쇄하여 제거할 수 있다. 단, 차동 비점수차법에서는,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을 물리적 트랙 피치의 약 1/2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수광 소자(23)에 집광된 주 빔(27)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주 빔(27)이 수광 소자(23)의 대략 중심 부근에 집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주 빔(27)이 수광 소자(23)의 수광 영역(B, C)측으로 어긋나 집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좌우 방향의 화살표(T)는 DVD-RAM의 트랙의 접선 방향을 나타내고, 상하 방향의 화살표(R)는 DVD-RAM의 방사상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DVD-RAM의 정보 기록면에 교대로 복수 형성된 랜드 및 그루브는 회절 격자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VD-RAM에서 반사하여 수광 소자(23)의 수광면에 결상된 주 빔(27)에는 회절이 생겨 주 빔(27)의 0차광(27a), +1차광(27b) 및 -1차광(27c)이 생긴다. 도 7에서는, 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1차광(27b)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상대적으로 작은 -1차광(27c)을 파선(破線)으로 나타내고 있다.
주 빔(27) 그 자체의 수차 등의 강도 불균일성이 원인이 되거나, 주 빔(27)의 광로 조정을 행할 때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 등의 외적 요인이 원인이 되거나 하여,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광 소자(23)에 집광되는 주 빔(27)의 위치가 어긋난다. 또, 주 빔(27)이 광 기록 매체(15)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마다, 수광 소자(23)에 집광되는 주 빔(27)의 강도 분포가 분할선(24)에 대해서 대칭이 되거나 비대칭이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주 빔(27)이 광 기록 매체(15)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마다, 주 빔(27)의 ±1차광(27b, 27c)의 강도가 다르 고, 예를 들면 +1차광(27b)의 강도가 -1차광(27c)의 강도보다 커진다. 주 빔(27)이 광 기록 매체(15)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마다 수광 소자(23)에 집광되는 주 빔(27)의 위치 어긋남 등이 생기면, 식 (6)에 나타내는 연산에 의해 FES가 얻어지는 비점수차법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ES가 일정하게 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비점수차법을 이용하여 FES를 검출하면, 상기 FES에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혼입되기 쉬워진다.
도 8은, 주 빔과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모양을 스칼라 회절 이론을 이용하여 산출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가로축은 광 기록 매체의 방사상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트랙 크로스 신호의 진폭(임의 단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 표시를 연결하는 곡선은, 주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 표시를 연결하는 곡선은,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과 ±1차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0.135배일 때에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나타내고, 도면 중 ▲ 표시를 연결하는 곡선은,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과 ±1차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0.270배일 때에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나타내고, 도면 중 × 표시를 연결하는 곡선은,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과 ±1차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0.405배일 때에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나타내고, 도면 중 * 표시를 연결하는 곡선은,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과 ±1차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0.541배일 때에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는 ±1차의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가산하여 산출되어 있다.
±1차의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주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와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위상차는,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0도나 180도(즉, 동위상 또는 역위상)가 된다. 주 빔 및 부 빔에 각각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위상차가 동위상에서 역위상으로 변화하는 임계 위치에 있어서, 부 빔으로의 트랙 크로스 신호의 혼입은 거의 없어진다.
도 9는, 광 기록 매체의 방사상 방향에서의,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에 대한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가로축은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을 광 기록 매체의 물리적 트랙 피치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고, 세로축은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임의 단위)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도면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세로선은, 주 빔과 ±1차의 부 빔의 스폿 간격 BP=0.37㎛로 한 경우의, DVD-RAM에서의 물리적 트랙 피치와, 스폿 간격(BP)의 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는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1/2배가 되면 최대가 되고, 1/4배가 되면 0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에서는, 부 빔에 혼입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상기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도 10은, DVD-RAM 및 DVD±R/RW의 물리적 트랙 피치와, 차동 비점수차법일 때의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의 최적값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을 DVD±R/RW의 최적값으로 조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에서의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으로 조정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을 0.37㎛로 하면, 상기 스폿 간격은 DVD±R/RW에서는, 물리적 트랙 피치의 0.5(=1/2)배가 되기 때문에,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하면 트랙 크로스 신호가 제거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폿 간격은 DVD-RAM에서는, 도 9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리적 트랙 피치의 0.3배가 되기 때문에,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해도 FES로부터 트랙 크로스 신호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는,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BP)이 물리적 트랙 피치가 상대적으로 넓은 DVD-RAM의 물리적 트랙 피치(P1)에 대해서 약 1/4배가 되도록 조정되고, 구체적으로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0.307㎛로 조정되어 있다. 상기 스폿 간격(BP)은 DVD-RAM의 물리적 트랙 피치(P1)에 대해서, 0.307㎛/1.23㎛=0.25가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VD-RAM에서는, ±1차의 부 빔의 연산에 의해 비점수차 신호를 생성하면, 부 빔에 포함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을 거의 0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폿 간격(BP)은 DVD±R/RW의 물리적 트랙 피치에 대해서, 0.307㎛/0.74㎛=0.42가 되어, 약 1/2에 상당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 ±1차의 부 빔에 포함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의 진폭은 약 0.65이고, 최대 진폭 0.75의 약 87%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1차의 부 빔에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비교적 많이 혼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스폿 간격은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이 큰 차동 비점수차 신호의 생성에 적합하다. 주 빔과 부 빔의 스폿 간격(BP)을 DVD-RAM의 물리적 트랙 피치(P1)의 약 1/4배 또한 DVD±R/RW의 물리적 트랙 피치(P2)의 약 1/2배가 되도록 설정하고, DVD-RAM의 FES 검출에는 ±1차의 부 빔에 의한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하고, DVD±R/RW용의 FES 검출에는 주 빔과 ±1차의 부 빔을 이용하는 차동 비점수차법을 이용하면,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2종류의 광 기록 매체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헤드(1)에서는,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 상에 집광되는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스폿 간격(BP)이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물리적 트랙 피치(P1)의 약 1/4배가 되고, 또한 제2 광 기록 매체(15b)의 물리적 트랙 피치(P2)의 약 1/2배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광 기록 매체(15)의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에 따라서, ±1차의 부 빔(29a, 29b)을 이용하는 차동 비점수차법과,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을 이용하는 차동 비점수차법을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광 헤드(1) 및 오차 신호 검출부(31)를 갖는 광 기록 재생 장치(150)는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2종류의 광 기록 매체(15)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광 헤드(1) 및 오차 신호 검출부(31)의 동작에 대해서 도 1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출사된 발산광의 광 빔은 회절 격자(19)에 입사된다. 광 빔은 회절 격자(19)에 의해 0 차의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으로 분할된다. 회절 격자(19)에서 출사된 발산광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편광빔 스플리터(5)에 입사된다. 편광빔 스플리터(5)에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소정의 편광 방위의 직선 편광 성분은 투과하여 1/4 파장판(7)에 입사된다. 한편, 상기 편광 방위에 직교하는 직선 편광 성분은 반사하여 파워 모니터용 포토다이오드(11)에 입사되어, 광 빔 강도가 계측된다.
1/4 파장판(7)에 입사된 직선 편광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1/4 파장판(7)을 투과하여 원편광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이 된다. 이 원편광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콜리메이터 렌즈(9)에서 평행광으로 변환되어, 콜리메이터 렌즈(9)를 투과하여 대물 렌즈(13)에 의해 수속되어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 집광되어 반사한다. 이 때,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스폿 간격은 약 0.307㎛가 되고,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스폿 간격은 0.614㎛가 된다.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서 반사한 원편광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대물 렌즈(13)에서 평행광으로 된 후 콜리메이터 렌즈(9)를 투과하여 1/4 파장판(7)에 입사된다. 1/4 파장판(7)을 투과함으로써, 원편광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당초의 직선 편광으로부터 편광 방위가 90°회전된 직선 편광이 되어 편광빔 스플리터(5)에 입사된다. 이 직선 편광의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편광빔 스플리터(5)에서 반사되어 센서 렌즈(17)에 입사한다.
센서 렌즈(17)를 투과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실린드리컬 렌즈(21)에 의해 비점수차가 부여되어 수광 소자(23, 25a, 25b) 상에 각각 집광된다.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각각 수광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은 주 빔 전기 신호 및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오차 신호 검출부(31)에 입력된다.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주 빔 전기 신호 및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로부터 제1 및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에 상관없이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FES를 검출한다. 또한,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주 빔 전기 신호 및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로부터 TES를 검출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광 헤드(1)의 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선,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사출된 광 빔을 회절 격자(19)에 입사하여 회절시켜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으로 분할한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물 렌즈(13)를 통해서 광 기록 매체(15)에 집광시킨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스폿 간격(BP)이 0.307㎛가 되도록 조정한다. 스폿 간격(BP)은 회절 격자(19)의 격자면을 회절 격자(19)의 광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된다.
다음에, 광 기록 매체(15)에서 반사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을 수광 소자(23, 25a, 25b)의 수광면에 각각 집광시킨다. 수광 소자(23, 25a, 25b)에서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을 수광함으로써, 주 빔 전기 신호가 수광 소자(23)에서 오차 신호 검출부(31)로 출력되고, 제1 및 제2 부 빔 전 기 신호가 ±1차의 부 빔(29a, 29b)에서 오차 신호 검출부(31)로 출력된다.
다음에, 초점 위치의 제어가 가능한 범위에 대물 렌즈(13)를 인입하는 초점 인입 동작을 행한다.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제1 및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의 어느 것이나,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1)의 출력 단자가 스위치(5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도록, 스위치(50)는 전환된다. 이 때문에,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FES로서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세컨드 제로 크로스 신호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FES에 의해서, 대물 렌즈(13)의 초점 인입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초점 인입 동작이 종료하면, 다음에, 대물 렌즈(13)의 초점 추종 제어로서, 예를 들면 초점 위치 제어(초점 위치 맞춤)가 행해진다.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는, 주 빔 전기 신호와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1) 및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에 의해, 식 (1) 내지 식 (8)에 나타내는 각 연산 처리가 행해진다. 광 기록 매체(15)로서 제1 광 기록 매체(15a)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의 출력 단자가 스위치(5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도록, 스위치(50)는 전환된다. 제1 광 기록 매체(15a)에서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1)가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FES를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광 기록 매체(15)로서 제2 광 기록 매체(15b)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의 출력 단자가 스위치(5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도록 스위치(50)는 전환된다. 제2 광 기록 매체(15b)에서는,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3)가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49)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FES를 오차 신호 검출부(31)에서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에서는,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 상에 집광되는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스폿 간격(BP)이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물리적 트랙 피치(P1)의 약 1/4배가 되고, 또한 제2 광 기록 매체(15b)의 물리적 트랙 피치(P2)의 약 1/2배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제1 광 기록 매체(15a)에서는 ±1차의 부 빔(29a, 29b)만에 의해 얻어진 FES를 검출하고, 제2 광 기록 매체(15b)에서는 주 빔(27)과 ±1차의 부 빔(29a, 29b)을 이용하는 종래와 동일한 차동 비점수차법에서 얻어진 FES를 검출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 헤드(1) 및 오차 신호 검출부(31)를 갖는 광 기록 재생 장치(150)는 광 기록 매체(15)의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에 상관없이,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제1 및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의 어느 것이나, 대물 렌즈(13)의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FES로서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PFES2)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광 헤드(1)는 세컨드 제로 크로스 신호가 중첩되어 있지 않은 FES에 의해서, 대물 렌즈(13)의 초점 인입을 행할 수 있다. 이 것에 의해,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15a, 15b)의 정보 기록면에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의 초점을 정확하게 인입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를 탑재한 광 기록 재생 장치(15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광 기록 재생 장치(15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기록 매체(15)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152)와, 광 기록 매체(15)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동시에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광 헤드(1)와, 스핀들 모터(152) 및 광 헤드(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4)와, 광 헤드(1)에 레이저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레이저 구동 회로(155)와, 광 헤드(1)에 렌즈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렌즈 구동 회로(156)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154)에는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157), 트랙킹 서보 추종 회로(158) 및 레이저 컨트롤 회로(159)가 포함되어 있다. 오차 신호 검출부(31)는,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157) 및 트랙킹 서보 추종 회로(158)에 걸쳐서 포함되어 있다.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157)가 작동하면, 회전하고 있는 광 기록 매체(15)의 정보 기록면에 포커스가 걸린 상태가 되고, 트랙킹 서보 추종 회로(158)가 작동하면, 광 기록 매체(15)의 편심(偏芯)하고 있는 신호 트랙에 대해서, 레이저 빔의 스폿이 자동 추종 상태가 된다.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157) 및 트랙킹 서보 추종 회로(158)에는, 포커스 게인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오토 게인 컨트롤 기능 및 트랙킹 게인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오토 게인 컨트롤 기능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 레이저 컨트롤 회로(159)는, 레이저 구동 회로(155)에 의해 공급되는 레이저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이고, 광 기록 매체(15)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조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레이저 구동 신호의 생성을 행한다.
이들 포커스 서보 추종 회로(157), 트랙킹 서보 추종 회로(158) 및 레이저 컨트롤 회로(159)에 대해서는, 컨트롤러(154) 내에 장착된 회로일 필요는 없고, 컨트롤러(154)와 별개의 부품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들은 물리적인 회로일 필요는 없고, 컨트롤러(154) 내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어도 상관없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는, 광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 상에 부 빔을 형성하기 위한 회절 소자로서 파형의 격자 패턴을 구비한 특수 회절 소자를 이용하는 점에서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의 구성은, 회절 격자(19) 대신에 특수 회절 격자를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광 기록 재생 장치(15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특수 회절 격자는, 예를 들면 격자 피치가 소정의 주기로 변화하는 격자 패턴을 갖고 있다. 격자 피치가 소정의 주기로 변화하고 있으면, 특수 회절 격자를 사출한 주 빔 이외의 광 빔에 수차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정보 기록면에 주 빔(27) 및 ±1차의 부 빔(29a, 29b)이 집광된 상태를 모 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좌우 방향의 화살표(R)는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반경(방사상) 방향을 나타내고, 상하 방향의 화살표(T)는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트랙의 접선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수 회절 격자를 이용함으로써,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정보 기록면에 집광된, 방사상 방향의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직경의 길이(D2)를 방사상 방향의 주 빔(27)의 스폿 직경의 길이(D1)보다 길게 할 수 있다. 특수 회절 격자는, D2/D1≥2.5가 되도록 격자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형상은 원형일 필요는 없고, 방사상 방향의 스폿 직경의 길이(D2)가 같은 방향의 주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D1)의 2.5배 이상이면, 타원형 등이어도 된다.
±1차의 부 빔(29a, 29b)의 방사상 방향의 길이(D2)를 길게 하면, ±1차의 부 빔(29a, 29b)에서의 광학적 전달 계수의 차단 주파수가 저역측으로 시프트되기 때문에, 공간 주파수(트랙 피치의 역수)가 높은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이 제거된다. 이 때문에, 제1 광 기록 매체(15a)에서 반사된 ±1차의 부 빔(29a, 29b)을 수광 소자(25a, 25b)에서 수광하고, 수광 소자(25a, 25b)에서 출력된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도 4에 도시하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33)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광 헤드(1)와 동일한 연산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트랙 크로스 신호의 혼입이 보다 소량으로 억제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3은, 특수 회절 격자를 갖는 광 헤드에서, DVD-RAM(제1 광 기록 매체(15a))으로부터의 반사광에 기초하여, 비점수차법에 의해 얻어진 FES의 실측 결과 를 도시하고 있다.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 A로 나타내는 곡선은, 주 빔(27)만을 이용하여 얻어진 FES의 파형을 나타내고, 도면 중에 B로 나타내는 곡선은 ±1차의 부 빔(29a, 29b)만을 이용하여 얻어진 FES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차의 부 빔(29a, 29b)에 의한 FES의 파형(B)은 주 빔(27)에 의한 FES의 파형(A)에 비해서 진폭이 작고, ±1차의 부 빔(29a, 29b)에 의한 FES로의 트랙 크로스 신호의 혼입이 현저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교차하는 2개의 분할선에 의해 수광 영역이 4분할된 수광 소자의 수광광을 이용하여 각종 차동 연산을 행하고, 이것에 의해 얻어진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의 진폭을 도시하고 있다. 가로축은 차동 연산 방법의 종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 표시는, 광 헤드(A)에서의 주 빔(A)를 이용하여 연산한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을 나타내고, 도면 중 ■ 표시는, 광 헤드(A)와는 다른 광 헤드(B)에서의 주 빔(B)을 이용하여 연산한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을 나타내고, 도면 중 ▲ 표시는, 광 헤드(A)에서의 부 빔을 이용하여 연산한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을 나타내고, 도면 중 × 표시는, 특수 회절 격자를 갖는 본 실시 형태의 광 헤드에서, 부 빔을 이용하여 연산한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탄젠셜 푸시풀법이란, 트랙 접선 방향에 직교하는 수광 영역의 분할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차동 연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탄젠셜 푸시풀법에서는, 분할선(24')을 대칭축으로 하여, (A+B)-(C+D)에 의해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이 구해진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 중 ◆ 표시, ■ 표시 및 ▲ 표시로 나타내는 주 빔(A, B) 및 부 빔에서는, 수광 영역에 집광되는 광 빔 스폿의 비대칭성 등의 영향에 의해, 연산 방법마다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이 크게 다르다. 이것에 대해서, 특수 회절 소자를 이용하면, 부 빔에 포함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연산 방법에 관계없이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은 대략 일정하다. 또한, 특수 회절 소자를 이용한 부 빔은 도면 중 ◆ 표시, ■ 표시 및 ▲ 표시로 나타내는 주 빔(A, B) 및 부 빔에 비해서 트랙 크로스 신호 진폭이 작아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는 제1 광 기록 매체(15a)의 방사상 방향의 ±1차의 부 빔(29a, 29b)의 스폿 직경의 길이(D2)를 같은 방향의 주 빔(27)의 스폿 직경의 길이(D1)의 2.5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1차의 부 빔(29a, 29b)에 포함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1차의 부 빔(29a, 29b)에 기초한 제1 및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차동 연산 처리함으로써, 트랙 크로스 신호가 대단히 감쇠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는 ±1차의 부 빔(29a, 29b)에 포함되는 트랙 크로스 신호 성분을 제거하기 때문에, 제1 광 기록 매체(15a)뿐만 아니라, DVD±R/RW나 DVD-ROM 등의 제2 광 기록 매체(15b)에서도, ±1차의 부 빔(29a, 29b)에 기초하여 트랙 크로스 신호가 대단히 감쇠된 FES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광 헤드(1)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구비한 수광 소자(23, 25a, 25b)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광 소자(23, 25a, 25b)의 수광 영역은 5개 이상으로 각각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복수의 광 기록 매체에서,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 기록 재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물리적 트랙 피치가 다른 복수의 광 기록 매체에서, 초점 인입 동작을 행할 때에, 광 기록 매체 표면에 주 빔 및 2개의 부 빔의 초점을 정확하게 인입하기 위한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광 기록 재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5)

  1. 광원에서 사출된 광 빔을 회절시켜 주 빔과 2개의 부 빔으로 분할하여, 대물 렌즈를 통해서 광 기록 매체에 집광시키고,
    상기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 및 상기 2개의 부 빔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초점 위치의 제어가 가능한 범위로 상기 대물 렌즈를 인입하는 초점 인입 동작시에,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고, 상기 초점 인입 동작의 종료후의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추종 제어시에,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와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의 조합을 전환하여 연산 처리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위치 맞춤에 이용하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는,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1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에 생기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P2(P2<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2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0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 표면에 집광시키는 상기 주 빔과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이 +P1×(n+1/4)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1×(n+1/4)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이 +P2×(n+1/2)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2×(n+1/2)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을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다른 쪽을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을 주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 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을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다른 쪽을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을 주 빔용 수광 소자로 수광하고,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와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가산하여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갖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1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여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주 빔 가산 신호를 차동 연산하여,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매체의 방사상 방향의, 상기 광 기록 매체 표면에 결상된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를, 같은 방향의 상기 주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의 2.5배 이상으로 하여, 상기 광 기록 매체 표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12. 광원에서 사출된 광 빔을 회절시켜 주 빔과 2개의 부 빔을 사출하는 회절 격자와, 상기 주 빔 및 상기 2개의 부 빔을 광 기록 매체에 집광시키는 대물 렌즈와, 상기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 및 상기 2개의 부 빔을 각각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광 헤드와,
    초점 위치의 제어가 가능한 범위에 상기 대물 렌즈를 인입하는 초점 인입 동작시에,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고, 상기 초점 인입 동작의 종료후의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추종 제어시에,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와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의 조합을 전환하여 연산 처리하여, 상기 대물 렌즈의 초점 위치 맞춤에 이용하는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생성하는 오차 신호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지는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가 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1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의 트랙을 가로지를 때에 생기는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물리적 트랙 피치의 길이 가 P2(P2<P1)인 상기 광 기록 매체(제2 광 기록 매체)에서의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초점 인입 동작시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초점 추종 제어시에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얻어진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을 수광하는 주 빔용 수광 소자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을 수광하는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와, 인접하여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수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을 수광하는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1 부 빔 전기 신호 및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제2 부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트랙 크로스 신호를 감쇠시킨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에서 출력된 주 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0이상의 정수를 n으로 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 표면에 집광시키는 상기 주 빔과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간격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한 쪽이 +P1×(n+1/4)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1×(n+1/4)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주 빔의 스폿 위치에 대해서 방사상 방향으로, +P2×(n+1/2) 정도, 상기 2개의 부 빔 중의 다른 쪽이 -P2×(n+1/2) 정도만큼 어긋나 위치하도록,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트랙 크로스 신호가 감쇠된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1 가산부와,
    상기 제1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부 빔 전기 신호와, 상기 제2 부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 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부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2 가산부와,
    상기 제1 및 제2 가산부에서 각각 출력된 전기 신호를 차동 연산하는 제1 차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2개의 부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로서의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대각에 위치하는 상기 수광 영역의 한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3 가산부와,
    상기 주 빔용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 영역의 다른 쪽의 쌍에서 출력된 상기 주 빔 전기 신호를 가산하는 제4 가산부와,
    상기 제3 및 제4 가산부에서 각각 출력된 전기 신호를 차동 연산하는 제2 차동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광 기록 매체에서 반사한 상기 주 빔에 기초한 상기 전기 신호로서의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 검출부는,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와,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에서 출력 된 상기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가산하는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가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가산하여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검출하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 검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로서,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1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제2 또는 제3 초점 오차 예비 신호를 선택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2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기록 매체의 방사상 방향의, 상기 광 기록 매체 표면에 결상된 상기 2개의 부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는, 같은 방향의 상기 주 빔의 스폿 직경의 길이의 2.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기록 매체는, DVD-RAM 또는 상기 DVD-RAM과 동등한 물리적 트랙 피치를 구비한 상기 광 기록 매체이고, 상기 제2 광 기록 매체는, DVD±R/RW 또는 DVD-ROM이거나, 상기 DVD±R/RW 또는 상기 DVD-ROM과 동등한 물리적 트랙 피치를 구비한 상기 광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20050099610A 2004-10-21 2005-10-21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 KR100723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7068A JP2006120243A (ja) 2004-10-21 2004-10-21 光ヘッドの焦点ズレ誤差信号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JPJP-P-2004-00307068 2004-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123A KR20060049123A (ko) 2006-05-18
KR100723116B1 true KR100723116B1 (ko) 2007-05-30

Family

ID=3626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610A KR100723116B1 (ko) 2004-10-21 2005-10-21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92778A1 (ko)
JP (1) JP2006120243A (ko)
KR (1) KR100723116B1 (ko)
CN (1) CN1783237A (ko)
TW (1) TW2006310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6979A (ja) * 2004-11-16 2006-06-08 Tdk Corp 光ヘッドの焦点ズレ誤差信号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ヘッド並びに光記録再生装置
JP2007102864A (ja) * 2005-09-30 2007-04-19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Corp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4561706B2 (ja) * 2005-11-16 2010-10-1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803363B1 (ko) * 2006-11-13 2008-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JP4596284B2 (ja) * 2008-05-26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10040064A (ja) * 2008-07-31 2010-02-18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信号生成方法
JP6868777B2 (ja) * 2015-12-02 2021-05-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光ディスク、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166A (ja) * 1995-03-31 1996-10-22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0082226A (ja) * 1998-07-03 2000-03-21 Hitachi Ltd 光検出器および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2001189022A (ja) 1999-12-28 2001-07-10 Sony Corp 焦点制御装置および焦点制御方法ならびに記録再生装置
JP2003151162A (ja) 1998-07-03 2003-05-23 Hitachi Ltd 光検出器および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2003217142A (ja) 2002-01-22 2003-07-31 Nec Corp 光ディスクフォーカスエラー検出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120242A (ja) 2004-10-21 2006-05-11 Tdk Corp 光ヘッドの誤差信号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ヘッド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85C (zh) * 1998-07-03 2004-06-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光检测器、信号处理电路、及其光信息再现设备
JP4006904B2 (ja) * 1999-09-29 2007-11-14 ソニー株式会社 光ヘッド、光検出素子、光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焦点誤差検出方法
US7016269B2 (en) * 2000-12-21 2006-03-21 Pioneer Corporatio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focusing control method
TWI283403B (en) * 2002-02-19 2007-07-01 Via Tech Inc Focus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0351926C (zh) * 2003-11-14 2007-11-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式信息再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166A (ja) * 1995-03-31 1996-10-22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0082226A (ja) * 1998-07-03 2000-03-21 Hitachi Ltd 光検出器および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2003151162A (ja) 1998-07-03 2003-05-23 Hitachi Ltd 光検出器および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2001189022A (ja) 1999-12-28 2001-07-10 Sony Corp 焦点制御装置および焦点制御方法ならびに記録再生装置
JP2003217142A (ja) 2002-01-22 2003-07-31 Nec Corp 光ディスクフォーカスエラー検出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120242A (ja) 2004-10-21 2006-05-11 Tdk Corp 光ヘッドの誤差信号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ヘッド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3237A (zh) 2006-06-07
US20060092778A1 (en) 2006-05-04
KR20060049123A (ko) 2006-05-18
TW200631001A (en) 2006-09-01
JP2006120243A (ja)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118B1 (ko)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이를이용한 광 헤드 및 광 기록 재생 장치
JP500244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723116B1 (ko) 광 헤드의 초점 어긋남 오차 신호 검출 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광 기록 재생 장치
JP4824762B2 (ja) 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6216106A (ja) 回折格子、受光素子及びそれらを用いた光ヘッド並びに光記録再生装置
US7940631B2 (en) Optical pickup device
US7898927B2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1305204B1 (ko) 광픽업 장치 및 광디스크 장치
US20090190457A1 (en) Optical head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US20070081431A1 (en) Optical pickup
JP4729418B2 (ja) 回折格子、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
US20080074966A1 (en) Optical Pickup
KR100659791B1 (ko) 광헤드, 엘디 모듈, 광기록 재생장치 및 광기록재생장치에 이용하는 회절소자
JP2006120242A (ja) 光ヘッドの誤差信号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ヘッド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KR20060054108A (ko) 광 픽업, 광디스크 장치, 광검출 장치 및 광 픽업의 신호생성 방법
KR20060103117A (ko) 광 반도체 장치
JPH08279166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4719660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04036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708745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WO2008044403A1 (ja) 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誤差信号生成方法
JP2005285210A (ja) 回折格子の調整方法及び調整用光記録媒体
JP2011248957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検出器
JP2011090727A (ja) 回折格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並びに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2007287276A (ja) 光ヘッドの調整方法、光ヘッド及び光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