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168B1 -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후킹장치와 그러한 장치가 결합된직물기계 - Google Patents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후킹장치와 그러한 장치가 결합된직물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168B1
KR100721168B1 KR1020037004844A KR20037004844A KR100721168B1 KR 100721168 B1 KR100721168 B1 KR 100721168B1 KR 1020037004844 A KR1020037004844 A KR 1020037004844A KR 20037004844 A KR20037004844 A KR 20037004844A KR 100721168 B1 KR100721168 B1 KR 100721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ock
lever
hoo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795A (ko
Inventor
앙드레 퓌멕스
Original Assignee
스또블리 파베르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블리 파베르쥬 filed Critical 스또블리 파베르쥬
Publication of KR2003003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83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linking to the driv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링(4)과 상기 레버(11)나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링의 상기 단면과 연동되는 표면(141-144)과 서로 평행한 상기 링의 두 표면(41,44)과 확실히 밀착하기에 적당하고 서로 평행하며 상기 특정 베어링 표면(41,44)을 가진 개방형 후크(10)와 상기 축프레임(1)과 상기 레버(11)사이의 운동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10)안으로 상기 링(4)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며, 링의 상기 고정부의 상기 베어링 존(161,45)은 상기 후크(10)에서 상기 고정부로 연결된 축(X1)과 상기 레버 또는 상기 프레임(1,3,3')에서 상기 링(4)의 연결된 축(X5)사이에 대체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후크(10)의 두께(e')로 형성되는 공동(151)을 수용하는 피봇핀(163)을 형성하는 락(16)을 구성하며, 상기 락은 상기 링의 폭(l4)과 대체적으로 같은 폭(l)을 가지며 링(4)과 상호작용하기에 적당한 표면(161)을 가진다.

Description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후킹장치와 그러한 장치가 결합된 직물기계{CATCHING DEVICE BETWEEN A SHAFT FRAME AND A LEVER AND WEAVING MACHINE INCORPORATING SAME}
본발명은 직물 시스템(weave system)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와 축프레임 사이의 후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러한 장치가 장착된 직물기계에 관한 것이다.
직물기계에서 축프레임의 설치와 분해의 작동을 단순화하기 위해 , 상기 시스템의 상기 레버에 대해서 반자동으로 축프레임의 잠김과 풀림을 확실히 조정하기 위한 연결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치는 다각형의 링과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링의 고정을 위한 포착부(a catch)를 형성하는 두 판을 가진 개방형 후크로 EP-A-0 117 826에서 공개되고 있다. 이 판들은 후크에서 정의되며 상기 후크의 암(arm)의 어느 한 측면에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판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고 판들이 형성된 암은 또한 이 판들이 상기 링과 일렬로 배열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링의 폭과 상기 후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져야 한다. 상기의 판들의 작은 폭으로 인해,이 판들과 링의 접촉표면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이것은 직물기계에서 일반적 진동을 고려해 볼때, 상기 판과(또는) 상기 링의 조기 마모를 초래한다. 게다가, 상기 후크에서 상기 판들의 피봇핀(pivot pin) 또한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서 마모되게 된다. 더욱이 견인스프링(traction spring)은 상기 판들을 상기 링의 고정위치로 향하게 하는 작용력을 판에서 작용하게 하기위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스프링은 마모되게 되고 상기 판들과 결합된 요소와(에서나) 후크의 부착부의 위치에서 파손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판들을 결합하기 위해서 리벳이 필요하게 되며, 그러한 리벳의 신중한 위치설정이 필요함으로 인해, 그러한 장치를 생산하는 공정의 생산성을 감소키게 된다. 이러한 결점들은 이런 타입의 장치를 장착한 직물기계의 성능을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목적은 상기 선행기술의 장치보다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후킹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고 대체적으로 조기 마모의 위험을 줄이는데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와 축프레임 사이에 후킹(포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이 장치는 다각형 단면으로 상기 레버(11)나 상기 프레임(1) 상에 장착되어 있는 링(4); 상기 레버(11)나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링의 상기 단면과 연동되는 베이링 표면(141-144)을 가지며, 상기 링의 두 표면(41,44)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 평행한 상기 링의 두개의 표면(41,44)과 연동됨에 의해 상기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작용력의 필수적인 전달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위치에서 상기 링을 록킹시키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개방형 후크(10);를 포함하며, 상기 링에 대한 상기 록킹부재의 베어링존(161,45)은, 상기 후크 상의 상기 록킹부재의 연결축(X1)과 상기 레버 또는 상기 프레임 상의 상기 링의 연결축(X5)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후크(10)의 두께(e')로 형성되는 공동(151)에 수용되는 피봇핀(163)을 형성하는 락(16)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은 상기 링의 폭(l4)과 대체적으로 같은 폭(l)을 가지며 링(4)과 상호작용하는 표면(16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서, 상기 락은, 대체적으로 상기 알려진 장치에 대하여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대체적으로 이 링의 전체 폭에 대하여 다각형 형상의 링을 지탱할수 있게 된다.
상기 후크의 공동(cavity)에서 수용되는 피봇핀을 형성하는 상기 락은, 리벳과 같은, 핀의 추가적 사용을 방지하며, 상기 후크와 상기 락사이의 효율적인 작용력 전달을 유도한다. 상기 링에 대한 상기 락의 상기 베어링 영역은 대체로 상기 락과 링의 연결축사이에 위치하며,이것은 특히 락이 본질적으로 효율적으로 압축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상기 작용력의 상기 중심부가 상기 링과 상기 후크에서 각각 위치한 상기 평행한 표면을 통과하므로, 상기 락은 영구적인 변형상태에는 있지않게 된다.
본 발명의 장점에 따라, 상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하나이상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상기 락은 예를 들어 소결강(sintered steel)과 같은 자기윤활강(self-lubricating steel)으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접촉하는 상기 락과 상기 링의 표면의 위치에서와 핀과 핀을 수용하는 공동의 접촉표면 위치에서 마찰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락과 상기 후크는 모두 압축스프링의 수용을 위한 체적을 정의하며,이 체적은 상기 후크와 상기 락의 두께로 정의 되며, 상기 락과 상기 후크의 상대적 위치 함수로 변화하는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으로 인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외부 환경에서부터 보호될수 있고 파손하기 쉬운 본 부착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작동부는 상기 락에 클립될 수 있고 상기 후크에 대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락의 상기 피봇작용을 제어하는 작용력을 발휘하는 탭을 포함한다.
-상기 락과 상기 후크사이에 정의되는 체적봉쇄부는 상기 락과 상기 후크의 어느 일측면에 위치한 두 측면(cheek)을 포함한다.
이 봉쇄부는 상기 언급한 체적과, 만약 필요하다면 체적이 포함하는 스프링을 고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윤활유의 공급은 상기 후크와 상기 락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동에서,특히 상기 핀에 근접하여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락과 상기 핀사이에 접합영역에서 강제윤활급여(force-feed lubricant)를 상상할 수 있다. 상기 봉쇄부는 털부스러기와 같은 오염물질에서 확실한 윤활영역을 보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봉쇄부는 유리하게 플라스틱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작동부에 의해 구성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작동부는 상기 언급한 측면사이에서 뻣어나온 핀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락의 두께에서 형성되는 공동에서 피봇을하기에 적당하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릭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락의 표면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락의 오목한 부분에 탄력적으로 클립되는 돌출부(beak)를 형성한다. 상 기 락에서 상기 작동부의 이러한 고정모드는 상기 장치의 내부 공동의 윤활유의 새 라이닝(lining)을 위하여 분해 가능성을 제공하며, 신속하고 신뢰할만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링은 전체로 통합된 윤활장치를 장착하고 있고, 이 링과 이 윤활장치는 플라스틱 재료의 하나의 부품로 만들어진다. 상기 윤활장치는 상기 링의 중심축 주위로 서로에 대해서 180도로 향하는 두 위치 사이에서 움직여질수 있고, 상기 링을 상기 링이 설치되는 상기 프레임과 연결시키는 판은 상기 링의 가장자리 위치에서 역전으로 스테핑(stamping)되며, 이러한 결과로 상기 장치의 전체 부피를 대체로 증가시키지 않고 상기 링의 폭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링은 상기 링이 장착된 한쌍의 판중 최소한 하나와 같이 연동하기에 적당하고, 인텍싱(indexing)을 위한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이러한 판들에 대해서 상기 링의 각간극(angular clearance)은 제한되게 된다.
-본발명은 또한 상기 서술한 후킹장치와 같은 장치를 장착한 직물기계에 관계된다. 관리가 용이하고 직물기계에 포함되는 장치의 수명은 대체적으로 이미 알려진 직물기계에 대해서 증가한다. 그러한 직물기계는 선행기술의 직물기계보다 더 사용하기에 쉽고, 그러한 직물기계의 성능은 대체적으로 선행기술의 직물기계 성능에 비해서 향상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그 원리에 따른 후킹장치의 실시예의 다음 상세한 설명을 읽는다면 더욱더 쉽게 이해될수 있으며, 단지 일례로써 주어진다.
- 도1은 상기 다각형링에서 상기 후크가 고정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후킹장치의 상기 링의 위치에서 분해된 부분들의 측면도.
- 도2는 상기 도1의 Ⅱ-Ⅱ선의 확대 단면도.
- 도3는 상기 후크가 상기 링에 위치할때, 상기 후크의 위치에서 투영된 추가 부분을 나타내는 도1의 유사도.
- 도4는 도1에서 도3까지의 장치를 구성하는 특정요소들의 분해 사시도.
- 도5는 장치가 또 다른 사용상태에 있을때 도1의 유사도.
- 도6은 도1에서 도5까지의 상기 장치의 상기 락의 사시도.
도면을 참조시, 직물기계의 축프레임(1)은 상기 도면에서는 축프레임의 하부만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직물기계(M)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1) 상에, 판(3)과 판(3')이, 상기 바아(2)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으며, 이 판(3)과 판(3')사이에는 육각형 단면의 링(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4)은 상기 판(3)과 판(3')에 속박되는 금속핀(5)를 가진다. 상기 링(4)는 자기윤활 플라스틱(self-lubricating plastic)으로 주형(mould)된다.
상기 핀(5)와 상기 링(4)사이 접촉영역에 윤활유을 강제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링(4)은 윤활장치(6)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4)은 핀(5)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상기 윤활장치(6)는, 후크와 연동하는 정해진 방향에 따라서. 도1에서 파단선으로 나타난 위치 또는 실선으로 보여지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도2에서 보다 자세히 볼 수 있듯이, 판(3)과 판(3')은 상기 링(4)의 가장자리 위치에서 스템핑(stamping)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바아(2)와 결합시 판(3)과 판(3')사이의 떨어진 거리(d0)보다 더 큰 거리(d)로 분리되는 영역(7)과 영역(7')을 형성한다. 상기 링(4)의 폭(l4)은 대체적으로 거리(d)와 동일하며, 따라서 헤드(12)의 폭과 연결되는 거리(d0)보다 크게 된다.
상기 링(4)은 부분적으로 두 개의 스템핑부(30,30') 안에 맞물리며, 상기 스템핑부(30,30')은 각각 상기 판(3)과 판(3')에서 영역(7)과 영역(7')을 형성하고 상기 링(4)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윤활장치(6)는 상기 스템핑부(30)와 스템핑부(30')의 측방 스템핑연장부(31)와 스템핑연장부(31')와 맞물리는 두 측방 스터드(stud)(61)과 스터드(6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장부(31)와 연장부(31')는 이러한 판과 판(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중심을 향해있고 상기 스터드(61)와 스터드(61')를 수용하는 그루브(grooves)를 형성한다.
상기 스터드(61)와 스터드(61')는 상기 링(4) 및 상기 윤활장치(6)와 일체로 되어있다.
연장부(31)와 연장부(31')의 위치에서, 상기 판(3)과 판(3')사이의 거리(d1)는 거리(d)와 같으며 스터드(61)와 스터드(61')의 위치에서 상기 윤활장치(6)의 폭(l1)보다 크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상기 스터드는 상기 판을 마찰시키지 않고 상기 연장부(31)와 연장부(31')의 폭안에 위치하게 되며,이것은 상기 핀(5)의 기하 학 축(X5)에 대하여 상기 링(4)의 각간극(angular clearance)을 제한할 수 있도록한다. 도1에서 실선으로 나타난 위치에서 파단선으로 나타난 위치까지 상기 링(4)을 유동시켜야 할때, 상기 스터드(61)와 스터드(61')는, 상기 스템핑부(30)와 스템핑부(30)의 밖으로 상기 판(3)과 판(3')의 표면에 대응하여, 상기 연장부들(31,31')을 밀어낼려는 작용력에 의해 미끄러진다. 이것은 도 1의 왼쪽부분에 위치된 연장부(31,31')의 영역으로 상기 스터드들을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반대방향의 동작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윤활장치(6')는, 물론, 오직 하나의 스터드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판(3)과 판(3')은 상기 장치의 생산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연장부와 연동하는 오직 하나의 스터드는 사실 상기 링(4)의 각간극을 제한하기에 충분하다.
후크(10)는 도비(dobby)와 같은 직물 시스템에서 작동되는 레버(11)에 용접되거나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10)는 상기 링(4)을 수용하는 하우징(13)을 규정하는 헤드(12)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3)은 표면(141), 표면(142), 표면(143 )과 표면(144)으로 경계되어지며, 상기 링(4)의 표면(41), 표면(42), 표면(4 3)과 표면(44)과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을 움직이게 하는 작용력은, 도3에서 운동(M1)과 운동(M2)의 화살표로 나타나듯이, 대체적으로 상기 베어링 표면(141)과 표면(144) 그리고 표면(41)과 표면(44)에 직각이다. 서로 평행한 상기 베어링 표면(141)과 표면(144) 그리고 표면(41)과 표면(44)의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할 때, 상기 프레임(1)을 움직이게 하는 작용력은 본질직으로 이러한 베어링 표면과 표면들을 통해 작용된다. 특히 상기 링(4)은 상기 하우징(13)에서 움직여지지 않는다.
상기 링(4)이 축(X5)에 대하여 특정 각간극을 가짐에 따라, 도1, 도3 및 도5의 평면에서 직각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레버(11)의 경우를 포함하여, 상기 표면(41)과 표면(44)은 작용력(M1)과 작용력(M2)에 직각된다.
상기 후크(10)는, 도 3에서, 상기 링(4)의 지지할 수 있는 락(lock)(16)이 장착된 암(1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락(16)은 상기 링(4)의 측방표면(45)과 접촉하게 되는 표면(161)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161)은 상기 락(16)의 두께(e)와 같은 폭(l)을 가지게 된다. 상기 락(16)의 두께(e) 자체는 상기 후크(10)를 만들기 위한 금속판의 두께(e')와 일치한다. 특히, 상기 폭(l)은 상기 폭(l4)과 대체적으로 일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약간 작게 구성된다. 상기 표면(161)과 표면(45)의 지지표면은 상기 표면(161)의 면적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락(16)은 부분적으로 원통형의 외부 단면을 나타내는 단부(163)를 구비한 탭(162)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과로 상기 락(16)은 상기 암(15)의 두께(e')를 가진 공동(151)에서 피봇핀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X1은 상기 단부(163)의 기하학적 축을 나타내고 X2는 상기 공동(151)의 기하학적 축을 나타낸다. 상기 락(16)이 상기 암(15)에 설치될때, 상기 축(X1)과 축(X2)은 합쳐지며 상기 단부(163)는 상기 후크(10)에서 피봇핀을 형성하고, 이 피봇핀은 상기 락(16)과 일체가 된다.
도3에서 보다 자세하게 볼 수 있듯이, 상기 링(4)이 상기 하우징(13)에 위치할 때, 상기 링(4)에서 상기 락(16)의 인접영역은 ,즉 표면(161)과 표면(45)을 포함하는 영역, 축(X5)과 (X1)사이에 근사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후크(10)와 상기 링(4)에서 각각 상기 링(16)에 의해 받게되는 작용력을 구성하는 화살표(E1)와 화살표(E2)로 표시되듯이 ,상기 락(16)은 따라서 본질적으로 압축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링(4)은 정해진 운동(M1)과 운동(M2)으로 놓여지는 효과 아래서 하우징(13)에서 움직여지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락(16)은 작용력 전달부의 작용력들을 조직적으로 방해하지 않게되고 상기 후크의 가능한 경사와 진동운동에 대해서 상기 링과 상기 후크의 상대적 결합 위치를 본질적으로 확실하게 한다. 상기 락(16)은 따라서 거의 응력을 받지 않고, 압축작용을 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3)에서 상기 링(4)의 효율적인 고정을 위해서 기계공학적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하게 된다.
슬롯(164)이 상기 탭(162)과 상기 표면(161)의 반대쪽의 상기 락(16)의 후미 부(165)사이에 정의됨에 따라, 상기 암(15)은 상기 공동(151)주위의 귀한부(152)를 형성한다. 상기 요소(152)와 요소(164)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상기 락(16)이 장착된 상태에 있을때,상기 귀환부(152)는 상기 슬롯(164)의 내부와 결합된다. 이 요소들의 기하학적 형상은 도3의 삼각법 방향의 반대 방향, 즉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축(X1)과 축(X2)주위에 상기 락(16)을 경사지게하는 운동을 제한한다.
상기 락(16)은 상기 암(15)에서 제공되는 하우징(153)에서 수용되는 압축스프링(17)의 두번째 끝(172)과 첫번째 끝(171)을 수용하는 하우징(166)을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171)과 하우징(172)은 상기 요소(15)와 요소(16)의 반대 가장자리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7)은 도1에서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상기 락(16)을 경사지게 하는 화살표(F2)에 의해 상기 락(16)에 나타나는 작용력을 영구히 발휘시키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작동부(18)은 하부 웨브(web)(184)와 원통형 핀(183)에 의해 연결된 두 판(181)과 판(182)을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주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는 또한 도5에서 화살표(F3)로 나타나듯이, 사용자가 화살표(F1)방향의 반대방향인 (F1')방향으로 축(X1)과 축(X2 )주위에서 상기 락(16)을 경사지게 하는 작용력을 발휘하게 하는 탭(18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웨브(184)가 상기 표면(161)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락(16)에서 공동(168)으로 결합되는 돌출부(186)를 가지는 동안, 상기 락(16)은 회전가능성을 가지고, 상기 핀(183)을 수용하는 하우징(167)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방법으로 일단 상기 핀(183)이 하우징(167)의 위치에 있으면, 상기 락(16)에서 상기 작동부(18)를 고정하는 상기 핀(183)의 기하학적 축(X3)주위로 상기 작동부(18)를 피봇형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18)가 상기 락(16)위에 있을때,그 판(181)과 판(182)은 상기 스프링(17)과 상기 핀(163)이 위치한 상기 외부와 내부에서 두 측면을 구성하는 상기 암(15)와 상기 락(16)사이에 정의된 체적(V)을 고립시키는 두 측면을 구성한다. 다른말로 하면, 상기 작동부(18)는 오염물질,특히 털부스러기에 대해서 이 체적을 보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체적(V)의 봉쇄부이다. 상기 작동부(18)는 상기 암(15)에서 상기 락(16)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그리스와 같은 윤활유를 상기 체적(V)내에서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상기 작동부(18)가 상기 락(16)에 클립되면, 상기 탭(185)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휘된 작용력(F3)은 상기 핀(163)에 의해 상기 락(16)을 작용력(F2)에 대해서 공동(151)으로 피봇작용을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것은 표면(161)이 상기 레버(11)와 상기 프레임(1)이 풀림동안은, 화살표(F5)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링의 운동,즉 상기 링(4)의 경로에서 풀려지는 위치인 도5의 상기 표면(161)의 위치를 가지는 상기 락(16)이 쑥 들어가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구성에서 상기 표면(161)을 상기 부분(165)까지 연결하는 상기 락(16)의 상기 상부 표면(169)는 대체적으로 상기 표면(144)과 일렬로 배열되며,이것이 표면(169)에서 인접하는 상기 링(4)의 미끄러짐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프레임(1)과 상기 레버(11)를 후킹하고자 할때, 도 1의 화살표(F6)에 나타나듯이, 상기 하우징(13)을 향하여 상기 링(4)을 이동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상기 링(4)은 그때 상기 표면(169)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작용력(F2)에 대하여 상기 락(16)을 밀게 되며, 이것은 상기 링(4)을 위한 통로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링이 상기 하우징(13)에 도착하는 순간, 도3의 위치를 향하여 상기 스프링(17)에 의해 상기 락(16)이 밀려지게 되며,상기 락(16)과의 상호작용을 중지하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 락(16)이 조기에 마모될 가능성이 있는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이 후크에서 연결된, 상기 후크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e')와 대체적으로 같은 두께(e)를 가진 상기 락(16)의 특징적인 장점을 나타낸다. 상기 암(15)에서 상기 락(16)의 결합모드와 상기 락(16)에서의 상기 작동부(18)의 결합모드는 이러한 요소들의 분해를 손쉽게 한다.
본 발명은 대체로 육각형 단면을 가진 링으로 나타나 질 수 있다. 상기 링은 ,물론 팔각형이거나 좀더 일반적으로, 상기 링과 상기 레버사이에 작용력 전달을 위한 평행한 두 표면을 포함하는 어떤 다각형 형태로 나타나며, 상기 링의 단면의 나머지 부분은 평면이거나 곡선형태이고, 그 경우 상기 후크의 기하학적 형상은 거기에 따라 바뀔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후크가 구동 레버와 결합시 축프레임과 결합된 상기 링을 나타낸다. 상기 후크가 축프레임과 연결될 때 레버와 결합된 링을 가진 역 구조또한 상상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에 있어서,
    다각형 단면으로 상기 레버(11)나 상기 프레임(1) 상에 장착되어 있는 링(4);
    상기 레버(11)나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링의 상기 단면과 연동되는 베이링 표면(141-144)을 가지며, 상기 링의 두 표면(41,44)은 서로 평행하고, 서로 평행한 상기 링의 두개의 표면(41,44)과 연동됨에 의해, 상기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작용력의 필수적인 전달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위치에서 상기 링을 록킹시키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개방형 후크(10);를 포함하며,
    상기 링에 대한 상기 록킹부재의 베어링존(161,45)은, 상기 후크 상의 상기 록킹부재의 연결축(X1)과 상기 레버 또는 상기 프레임 상의 상기 링의 연결축(X5)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후크(10)의 두께(e')로 형성되는 공동(151)에 수용되는 피봇핀(163)을 형성하는 락(16)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락은 상기 링의 폭(l4)과 대체적으로 같은 폭(l)을 가지며 링(4)과 상호작용하는 표면(16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16)은 자기윤활강(self-lubricating steel)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0)와 상기 락(16)은 함께 상기 후크와 상기 락의 상대적 위치 함수로써 크기가 변화하며, 상기 후크와 상기 락의 두께(e,e')로 정의되며 압축 스프링(17)을 수용하는 체적(V)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10)에 대하여 상기 후크의 피봇작용(F1,F1')을 제어하는 작용력(F3)을 사용자가 발휘하게 하는 탭(185); 및,
    상기 락(16)에 클립되며 상기 락을 작동시키는 작동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8)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락(16)과 상기 후크(10,15)사이에서 정의되는 체적(V)의 봉쇄를 위한 요소를 구성하며, 상기 봉쇄를 위한 요소는 상기 락과 상기 후크의 어느 한면에 위치하는 두 측면(181,1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16)과 상기 후크(16)의 어느 한면에 위치하는 두 측면(181,182)을 포함하며, 상기 락(16)과 상기 후크(10,15)사이에서 정의되는 체적(V)의 봉쇄를 위한 요소(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8)는, 상기 락(16)의 두께(e')로 형성되는 공동(167)에서 피봇되기에 적당하고 상기 측면(181,182)사이에서 뻣어나온 핀(18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8)는, 상기 링(4)과 상호작용하도록 제공되는 상기 락의 표면(161)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상기 락(16)의 오목한 부분(168)에 탄력적으로 클립되는 돌출부(18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4)은 통합된 윤활장치(6)가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링과 상기 윤활장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인덱싱(indexing)을 위한 요소(61,61')를 구비하며, 상기 링(4)이 장착되는 한 쌍의 판(3,3')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판(3,3')과 연동하도록 구성되고,이로 인하여 상기 판에 대한 상기 링의 각간극(angular clearance)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11) 및 축프레임(1)사이의 후킹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상기 후킹 장치(3-18)가 장착된 직물기계.
KR1020037004844A 2000-10-06 2001-10-05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후킹장치와 그러한 장치가 결합된직물기계 KR100721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2841A FR2815047B1 (fr) 2000-10-06 2000-10-06 Dispositif d'accrochage entre un cadre de lisses et un levier et metier a tisser incorporant un tel dispositif
FR00/12841 2000-10-06
PCT/FR2001/003079 WO2002029142A1 (fr) 2000-10-06 2001-10-05 Dispositif d'accrochage entre un cadre de lisses et un levier et metier a tisser incorporant un tel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795A KR20030038795A (ko) 2003-05-16
KR100721168B1 true KR100721168B1 (ko) 2007-05-25

Family

ID=885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844A KR100721168B1 (ko) 2000-10-06 2001-10-05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후킹장치와 그러한 장치가 결합된직물기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97897B2 (ko)
EP (1) EP1322804B1 (ko)
JP (1) JP4190883B2 (ko)
KR (1) KR100721168B1 (ko)
CN (1) CN1254572C (ko)
AU (1) AU2001293959A1 (ko)
DE (1) DE60133753T2 (ko)
FR (1) FR2815047B1 (ko)
WO (1) WO2002029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6488B1 (fr) * 2002-02-28 2004-06-04 Staubli Sa Ets Mecanisme de tirag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 tel mecanisme
FR2890986B1 (fr) * 2005-09-19 2007-11-30 Staubli Faverges Sca Dispositif d'accrochage entre un cadre de lisses et une bielle, cadre de lisses equipe d'un tel dispositif, mecanisme d'actionnement d'un tel cadre et metier a tisser incorporant un tel mecanisme.
FR2911882B1 (fr) * 2007-01-31 2009-05-29 Staubli Faverges Sca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incorporant des blocs moteurs electriques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dispositif.
JP5993539B2 (ja) 2011-01-06 2016-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
EP2586895B1 (de) 2011-10-31 2018-12-19 Groz-Beckert KG Anschluss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Webschafts mit einem Schaftantrieb
CN103470633B (zh) * 2013-09-17 2017-01-18 常州君华特种工程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机综框上的peek耐磨轴套
US10440499B2 (en) 2014-06-16 2019-10-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ser location and identity awareness
CN104131388A (zh) * 2014-07-13 2014-11-05 江苏玉龙神纺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综框提综连接器总成
CN104154108A (zh) * 2014-07-31 2014-11-19 扬中市金德纺织机械设备厂 一种挂钩小连杆
CN104141191A (zh) * 2014-08-07 2014-11-12 扬中市金德纺织机械设备厂 喷气织机
US10045090B2 (en) 2014-08-11 2018-08-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rging permissions and content access
CN104233593A (zh) * 2014-10-13 2014-12-24 湖州现代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织机拉杆机构
FR3054245B1 (fr) * 2016-07-22 2018-08-31 Staubli Faverges Machin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e telle machine.
USD862934S1 (en) 2018-01-19 2019-10-15 Tempur World, Llc Mattress cover
USD862935S1 (en) 2018-01-19 2019-10-15 Tempur World, Llc Mattress cover
USD862123S1 (en) 2018-01-19 2019-10-08 Sealy Technology, Llc Mattress cover
USD862122S1 (en) 2018-01-19 2019-10-08 Sealy Technology, Llc Mattress cover
CN112776254B (zh) * 2020-12-21 2022-09-23 安徽弘巨机械有限公司 一种综框挂钩座的制作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653A (en) 1979-09-28 1982-12-28 Ruti Machinery Works Ltd. Apparatus for coupling a harness-motion to a harness frame of a loom
US4369815A (en) 1979-08-21 1983-01-25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Device for coupling a heddle frame to vertically reciprocating drive bars
EP0117826A1 (fr) * 1983-02-16 1984-09-05 S.A. DES ETABLISSEMENTS STAUBLI (France) Dispositif d'accrochage pour la liaison semi-automatique des cadres de lisses des métiers à tisser avec les leviers destinés à leur commande
US4715409A (en) 1985-11-19 1987-12-29 Grob & Co.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coupling a heddle frame with a driv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4438A (en) * 1959-06-15 1963-01-22 Sdruzeni Podniku Textilniho St Means for fastening the heald frame in looms
FR2408672A1 (fr) * 1977-11-10 1979-06-08 Alsacienne Constr Meca Perfectionnement aux tirants de liaison de cadres de harnais aux basculeurs de metiers a tisser
DE4343882C1 (de) * 1993-12-22 1995-01-19 Dornier Gmbh Lindauer Webschaftkupplung und Vorrichtung zum simultanen Öffnen und Schließen einer Vielzahl von Webschaftkupplungen in einer Webmaschine
DE19548848C1 (de) * 1995-12-27 1996-09-12 Dornier Gmbh Lindauer Webschaftkupplung mit einer Entkuppl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815A (en) 1979-08-21 1983-01-25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bh Device for coupling a heddle frame to vertically reciprocating drive bars
US4365653A (en) 1979-09-28 1982-12-28 Ruti Machinery Works Ltd. Apparatus for coupling a harness-motion to a harness frame of a loom
EP0117826A1 (fr) * 1983-02-16 1984-09-05 S.A. DES ETABLISSEMENTS STAUBLI (France) Dispositif d'accrochage pour la liaison semi-automatique des cadres de lisses des métiers à tisser avec les leviers destinés à leur commande
US4715409A (en) 1985-11-19 1987-12-29 Grob & Co.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coupling a heddle frame with a driv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2804B1 (fr) 2008-04-23
JP2004510892A (ja) 2004-04-08
DE60133753T2 (de) 2009-07-02
DE60133753D1 (de) 2008-06-05
AU2001293959A1 (en) 2002-04-15
KR20030038795A (ko) 2003-05-16
US6397897B2 (en) 2002-06-04
US20020014272A1 (en) 2002-02-07
WO2002029142A1 (fr) 2002-04-11
JP4190883B2 (ja) 2008-12-03
CN1254572C (zh) 2006-05-03
EP1322804A1 (fr) 2003-07-02
FR2815047B1 (fr) 2003-02-07
FR2815047A1 (fr) 2002-04-12
CN1476499A (zh)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168B1 (ko) 축프레임과 레버사이의 후킹장치와 그러한 장치가 결합된직물기계
EP0342479B1 (en)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EP1000263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disc brakes
EP1300607B1 (en) Sliding contact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CN101449078B (zh) 制动装置的磨损补偿装置以及制动装置
CA2555794A1 (en) Device for removably fixing two mechanical parts to one another
US5908050A (en) Actuator spacing for pivoting arms of a rotary dobby
FI120417B (fi) Lukitusjärjestelmä
US6205666B1 (en) Dry shaving apparatus
US5685183A (en) Vehicle locking device
KR20030019561A (ko) 볼 조인트
US7999200B2 (en) Safety switch
EP1776886B1 (en) Buckle device
US1032369A (en) Spring-tongue snap.
KR101058466B1 (ko) 양방향 구동기
JP2000266153A (ja) 動力伝達機構
EP0908267A2 (en) Device with pistons for locking in position linear elements movable translationwise
US4135607A (en) Magnet support for an electric brake
KR19990038232U (ko) 레버형 도어록
EP2466045A2 (en) Hinge apparatus
EP0578714A1 (en) CONNECTING ROD FOR LOW SIZED ALTERNATIVE MACHINES, IN PARTICULAR COMPRESSORS FOR REFRIGERATORS.
JPH0617343A (ja) 織機の開口形成装置
JPS5848763Y2 (ja) 電磁接触器の連結装置
GB2428048A (en) Gripper for Axminster loom with profiled pivot area
US3129012A (en) Se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