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319B1 - 넥타이 - Google Patents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319B1
KR100718319B1 KR1020050071247A KR20050071247A KR100718319B1 KR 100718319 B1 KR100718319 B1 KR 100718319B1 KR 1020050071247 A KR1020050071247 A KR 1020050071247A KR 20050071247 A KR20050071247 A KR 20050071247A KR 100718319 B1 KR100718319 B1 KR 10071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knot
aid
neck
front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432A (ko
Inventor
김윤채
Original Assignee
김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채 filed Critical 김윤채
Priority to KR102005007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3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08Means for forming or tying the kno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간편하게 매고 풀을 수 있으며 매듭의 모양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넥타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넥타이는 매듭보조구가 마련된 전면 타이와, 원형의 목부와 꼬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후면 타이가 분리 형성된다. 그리고, 매듭보조구는 중공부와 이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관통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후면 타이를 전면 타이가 부착된 매듭보조구의 일측으로부터 중공부에 관통 삽입한 후, 전면 타이를 후면 타이의 목부에 통과시킨 후 관통부를 통해 매듭보조구의 타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넥타이{Neckti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매듭보조구가 형성된 전면 타이와 후면 타이가 분리 마련된 넥타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매듭보조구를 이용하여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듭보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매듭보조구를 이용하여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부호의 설명*
10..전면 타이 20..매듭보조구
23..중공부 24..관통부
30..후면 타이 32.목부
34..꼬리부
본 발명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매고 풀을 수 있으며 매듭의 모양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정장차림시 품위와 예의를 갖추기 위해 착용하는 것이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정장차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의복에도 개성이나 미려함을 연출하기 위해 착용되고 있다.
넥타이는 양쪽의 폭이 다른 긴 띠 형상으로서, 착용하는 방법은 개인의 취향이나 습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매듭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매듭 형성 과정은 양손을 사용하면서 앞쪽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짧아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매듭모양도 항상 다르게 된다. 따라서, 미려하지 못할 경우 몇 번씩 반복하여 매듭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에, 최근에는 매듭을 신속하며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매듭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치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퍼가 마련된 넥타이가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넥타이는 매듭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식상하게 되며, 그 결과 지퍼 등이 고장나더라도 수리하기 보다는 폐기해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매듭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매듭의 형상을 자연스러우면서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넥타이는 매듭보조구가 마련된 전면 타이와, 원형의 목부와 꼬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후면 타이가 분리 형성된다. 그리고, 매듭보조구는 중공부와 이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관통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후면 타이를 전면 타이가 부착된 매듭보조구의 일측으로부터 중공부에 관통 삽입한 후, 전면 타이를 후면 타이의 목부에 통과시킨 후 관통부를 통해 매듭보조구의 타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넥타이는 상기 중공부에 관통되는 상기 후면 타이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목부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타이는 매듭보조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듭보조구는 소정의 매듭 모양을 가지도록 금속재질로 제조되고, 상하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배면에 상기 전면 타이와 후면 타이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클립부재가 마련되며, 클립부재는 상기 전면 타이를 부착하기 위한 링클립과 상기 후면 타이를 관통시켜 고정하기 위한 중공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타이, 원형의 목부와 꼬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후면 타이, 및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전면 타이와 후면 타이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매듭보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타이를 상기 매듭보조구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후면 타이를 상기 매듭보조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관통시킨 후, 이어서 상기 전면 타이의 끝단을 상기 후면 타이의 목부에 통과시킨 후 매듭보조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관통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넥타이는 상호 분리된 전면 타이(10)와 후면 타이(30)를 구비하며, 전면 타이(10)에는 매듭보조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 타이(10)는 넥타이의 매듭을 형성할 때에 통상적으로 매듭 하측에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며, 후면 타이(30)는 매듭 상측으로 목을 감을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매듭보조구(20) 아래로 일체로 연장되어 전면 타이(10) 후방에 위치하는 폭이 좁은 부분을 지칭한다.
전면 타이(10)는 봉재선(12)이 형성된 뒷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매듭보조구(20)의 일측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매듭보조구(20)는 전면 타이(10)와 동일한 재료 예컨대, 합성섬유로 이루어져 봉재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성 재질로 마련되어 별도의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전면 타이(10)에 부착될 수 있다.
매듭보조구(20)는 전면 타이(10) 및 후면 타이(30)와 용이하게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사다리꼴, 마름모, 원통형 등 다양한 매듭 모양을 가지도록 합성섬유를 봉재하여 형성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매듭보조구(20)는 두 개의 원통형 합성섬유(21, 22)를 일측을 봉재하여 연결 형성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23)와 이 중공부(2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관통부(24)를 구비한다. 중공부(23)는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매듭보조구(20) 내에 마련된다.
후면 타이(30)는 전면 타이(10)와 분리 마련되는 것으로, 목부(32)와 꼬리부(34)를 구비한다. 목부(32)는 사용자의 목에 감겨질 수 있도록 프리 사이즈의 원(loop)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방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벨크로나 후크와 같은 부착수단을 양단에 마련할 수도 있다. 꼬리부(34)는 상기 목부(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목부(32)의 일측에 길게 연장 형성된다. 꼬리부(34)는 매듭 형성시 전면 타이(10)의 후방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의 매듭을 형성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매듭보조구(20)를 이용하여 넥타이의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프리 사이즈의 후면 타이(30)를 목에 감고 와이셔츠의 옷깃 밖으로 목부(34)가 노출되지 않도록 적절히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 타이(30)의 꼬리부(34)를 전면 타이(10)가 부착된 방향으로부터 매듭보조구(20)의 중공부(23)에 삽입한다. 이때, 전면 타이(10)는 후면 타이(30)의 후방에 위치해 있어야 하며, 꼬리부(34)와 연결된 목부(32)를 중공부(23)에 관통시키게 되면 전면 타이(10)가 후면 타이(30)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전면 타이(10)의 끝단(11)을 원형의 목부(34) 내측을 통과하도록 한 후(도 2 참조), 매듭보조구(20)의 관통부(24)를 관통시켜 반대쪽을 꺼낸다(도 3 참조). 그러면, 매듭보조구(20)의 개방된 상측이 전면 타이(10)에 의해 적절히 가려짐과 동시에, 목부(32)의 양측 라인이 적절히 이격되면서 매듭의 모양이 미려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신의 목 둘레에 맞추어 매듭보조구(20)를 잡고 꼬리부(34)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매듭보조구(20)가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사용자가 편한 위치에 놓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에 이용되는 매듭보조구(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매듭보조구(40)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면 타이(10)와 후면 타이(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42)를 구비한다.
매듭보조구(40)의 본체(42)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이 일부 개방되도록 절개된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본체(42)의 배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절개된 단부(44, 45)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이 단부(44, 45)에 전면 타이(10)와 후면 타이(30)를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클립부재가 마련된다.
클립부재는 전면 타이(10)를 부착하기 위한 링클립(46)과, 후면 타이(30)를 부착하기 위한 중공클립(48)을 구비한다. 링클립(46)은 중공클립(48)의 상측에 위치한다.
링클립(46)은 양측 단부(44, 45)에 걸쳐지는 바(bar)로서, 전면 타이(10)가 부착된 후 회동가능하도록 봉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전면 타이(10)에는 상기 링클립(46)에 착탈되기 용이하도록 일단에 탄성 후크(47)가 형성된다.
중공클립(48)은 본체(42)의 양측 단부(44, 45)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지지프레임(49)과, 후면 타이(3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봉재된 합성수지재의 중공부(50)를 구비한다. 합성수지재의 중공부(50)는 금속재인 지지프레임(49)에 결합부재(51)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그러면,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매듭보조구(40)를 이용하여 넥타이의 매듭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목부(32)를 목에 감고 와이셔츠의 옷깃에 노출되지 않도록 적절히 위치시킨 후, 후면 타이(30)의 꼬리부(34)를 전면 타이(10)가 부착된 방향으로부터 매듭보조구(40)의 중공부(50)에 삽입한다.
그리고, 전면 타이(10)의 탄성 후크(47)를 링클립(46)에 걸고 그 끝단(11)을 후방으로부터 원형의 목부(34) 내측을 통과시키도록 한 후, 매듭보조구(40)의 내부공간을 관통시켜 반대쪽을 꺼낸다. 여기서, 탄성 클램프(47)를 링클립(46)에 걸 경우, 전면 타이(10)는 봉재선(12)이 형성된 뒷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매듭보조구(20)의 개방된 상측이 전면 타이(10)에 의해 적절히 가려짐과 동시에, 목부(32)의 양측 라인이 적절히 이격되면서 매듭의 모양이 미려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신의 목 둘레에 맞추어 매듭보조구(40)를 잡고 꼬리부(34)를 하측으로 당기게 되면, 매듭보조구(40)가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매듭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재의 매듭보조구(40)를 직방형으로 예시하였으나, 그 외 사다리꼴, 반원형, 정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나아가 표면에 곤충이나 무늬 등 다양한 패턴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넥타이는 전면 타이와 후면 타이가 분리 형성됨과 동시에 매듭보조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매듭보조구는 합성섬유재 또는 금속재로 전면 타이 및 후면 타이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매듭보조구를 마련할 경우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Claims (6)

  1. 매듭보조구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전면 타이와, 원형의 목부와 꼬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후면 타이가 분리 형성되고,
    상기 매듭보조구는 중공부와 이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관통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면 타이를 상기 전면 타이가 부착된 매듭보조구의 일측으로부터 중공부에 관통 삽입한 후, 상기 전면 타이를 상기 후면 타이의 목부에 통과시킨 후 관통부를 통해 매듭보조구의 타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 관통되는 상기 후면 타이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네크부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보조구는 소정의 매듭 모양을 가지도록 금속재질로 제조되고, 상하부가 개방됨과 동시에 배면에 상기 전면 타이와 후면 타이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클립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상기 전면 타이를 부착하기 위한 링클립과 상기 후면 타이를 관통시켜 고정하기 위한 중공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6. 전면 타이;
    원형의 목부와 꼬리부가 일체로 마련된 후면 타이; 및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전면 타이와 후면 타이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매듭보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타이를 상기 매듭보조구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후면 타이를 상기 매듭보조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관통시킨 후, 이어서 상기 전면 타이의 끝단을 상기 후면 타이의 목부에 통과시킨 후 매듭보조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관통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KR1020050071247A 2005-08-04 2005-08-04 넥타이 KR10071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247A KR100718319B1 (ko) 2005-08-04 2005-08-04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247A KR100718319B1 (ko) 2005-08-04 2005-08-04 넥타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343U Division KR200384181Y1 (ko) 2005-02-28 2005-02-28 넥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432A KR20060095432A (ko) 2006-08-31
KR100718319B1 true KR100718319B1 (ko) 2007-05-17

Family

ID=3762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247A KR100718319B1 (ko) 2005-08-04 2005-08-04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3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405A (en) * 1979-09-18 1981-04-22 Ono Kazumasa Clip ring for necktie
JPS58121313A (ja) * 1982-01-14 1983-07-19 坂本 宗幸 穂付ネジくぎ
JP2001055769A (ja) * 1999-08-19 2001-02-27 Chubu Corporation:Kk 緑地用ドレン
JP2001081988A (ja) * 1999-09-13 2001-03-27 Chori:Kk プール
JP2002008635A (ja) * 2000-06-26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405A (en) * 1979-09-18 1981-04-22 Ono Kazumasa Clip ring for necktie
JPS58121313A (ja) * 1982-01-14 1983-07-19 坂本 宗幸 穂付ネジくぎ
JP2001055769A (ja) * 1999-08-19 2001-02-27 Chubu Corporation:Kk 緑地用ドレン
JP2001081988A (ja) * 1999-09-13 2001-03-27 Chori:Kk プール
JP2002008635A (ja) * 2000-06-26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432A (ko)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5239A (en) Pre-tied necktie
US7585004B1 (en) Necktie knot tying tool
US6871358B2 (en) Preknotted adjustable fabric necktie
KR200384181Y1 (ko) 넥타이
KR100718319B1 (ko) 넥타이
KR200442308Y1 (ko) 넥타이
JP6832546B2 (ja) 上衣の身八つ口の下方において前身頃と後身頃とが離れた二部式着物及び着付け方法
JP3156899U (ja) ネクタイ
US2287887A (en) Scarf and sash
KR200412575Y1 (ko) 넥타이
JP3140601U (ja) ネクタイ
JP2010111971A (ja) ネクタイの留め具及び該留め具を備えた着脱式ネクタイ
JP3143201U (ja) 和服用帯
KR200481322Y1 (ko) 셔츠 고정 넥타이
JP6606857B2 (ja) ネクタイ
JP6561222B1 (ja) 既製の着物帯を利用した装着バンド及び装着部材
JPS6011044Y2 (ja) 上着
JPS632413Y2 (ko)
JP3028689U (ja) カジュアルネックウェアー
JP3107519U (ja) 結び帯
JP5031456B2 (ja) 簡易着付用帯体
JP3058300U (ja) 簡易ネクタイの結び目用支持体
JPH0512250Y2 (ko)
JP3071193U (ja) ジャケット
KR200277857Y1 (ko)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