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75Y1 - 넥타이 - Google Patents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75Y1
KR200412575Y1 KR2020050032428U KR20050032428U KR200412575Y1 KR 200412575 Y1 KR200412575 Y1 KR 200412575Y1 KR 2020050032428 U KR2020050032428 U KR 2020050032428U KR 20050032428 U KR20050032428 U KR 20050032428U KR 200412575 Y1 KR200412575 Y1 KR 200412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knot
aid
rare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채
Original Assignee
김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채 filed Critical 김윤채
Priority to KR2020050032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75Y1/ko
Priority to PCT/KR2006/001371 priority patent/WO200705841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5Means for forming the knot or bow, e.g. combined with means for holding the t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넥타이는 상하부가 개방된 매듭보조구와, 매듭보조구의 상측에 마련되는 프론트타이와, 매듭보조구의 상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레어타이를 포함하여, 레어타이의 타단을 목에 감은 후 매듭보조구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 삽입하고, 프런트타이를 원형으로 말린 레어타이에 통과시킨 후 매듭보조구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된다. 또한, 매듭보조구는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두 개의 중공부를 구비하되 어느 하나의 중공부가 다른 하나의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레어타이는 내부의 소중공부에 관통 삽입되고, 프런트타이는 외부의 대중공부에 관통 삽입되기 때문에, 프런트타이가 레어타이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완성된 매듭의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넥타이{Neckti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런트타이와 레어타이와 매듭보조구가 분리 마련된 넥타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보인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듭보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부호의 설명*
10..프런트타이 20..매듭보조구
23..소중공부 25..대중공부
30,40..레어타이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매고 풀을 수 있으며 매듭의 모양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정장차림의 드레스 셔츠에 착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정장차림뿐만 아니라 캐주얼한 평상복에도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 기 위해 널리 착용되고 있다. 이러한 넥타이는 의복에 따라 조금씩 디자인이나 사이즈가 달라지지만, 통상적으로는 양쪽의 폭이 다른 긴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목에 감아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넥타이는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매듭을 예쁘게 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매듭이 미리 형성된 넥타이가 다양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일례로, 본 발명자가 출원한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05-5343호에는 매듭보조구가 마련된 프런트타이와, 넥크부와 테일부가 일체로 마련된 레어타이를 이용하여 매듭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넥타이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넥타이는 체형에 따라 달라지는 프런트타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며, 또한 매듭 형성시 프런트타이가 매듭에 단단히 고정되지 못하고 좌우로 요동됨으로써 모양이 삐뚤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매듭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형에 맞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모양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넥타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넥타이는 상하부가 개방된 매듭보조구와, 매듭보조구의 상측에 마련되는 프론트타이와, 매듭보조구의 상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레어타이를 포함하여, 레어타이의 타단을 목에 감은 후 매듭보조구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 삽입하고, 프런트타이를 원형으로 말린 레어타이에 통 과시킨 후 매듭보조구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매듭보조구는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두 개의 중공부를 구비하되 어느 하나의 중공부가 다른 하나의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레어타이는 내부의 소중공부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프런트타이는 외부의 대중공부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타이는 매듭보조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프런트타이의 일단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매듭보조구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단추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매듭보조구는 소정의 매듭 모양을 가지며, 상기 프런트타이와 레어타이와는 다른 금속 또는 가죽 재질로 마련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넥타이는 프런트타이(10)와, 매듭보조구(20)와, 레어타이(30)로 이루어진다.
프런트타이(10)는 넥타이의 매듭을 형성할 때 통상적으로 매듭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런트타이(10)는 대략 역사다리형을 가지는 매듭보조구(20)의 장변 측에 뒷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프런트타이(10)를 매듭보조구(20)의 장변 측에서 단변 측으로 관통시키게 되면, 전면이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프런트타이(10)는 매듭보조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매듭보조구(20)로부터 노출되는 프런트타이(1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타이(10)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공(12)이 마련되고, 매듭보조구(20)에는 이 장공(12)에 끼워지는 단추(22)가 마련된다. 단추(22)는 외관을 고려하여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매듭보조구(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추(22)를 복수의 장공(12)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프런트타이(10)의 길이를 자신의 신체에 맞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타이(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장공과 단추를 예로 들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나 후크와 같은 다른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듭보조구(20)는 프런트타이(10)와 레어타이(30)가 용이하게 매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으로서, 프런트타이(10)와 레어타이(30)가 관통하도록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두 개의 중공부(23,25)를 구비하되,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중공부(25)가 다른 중공부(23)를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23)를 소중공부라 하고, 외측에 형성된 중공부(25)를 대중공부라 한다.
또한, 매듭보조구(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마련되되, 그 형상은 통상의 사다리꼴 외에 마름모, 하트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또한 그 재질은 타이(10,30)와 동일한 합성섬유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져 결합되거나, 또는 후술할 금속성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레어타이(30)는 통상적으로 넥타이를 맬 때 매듭의 상측에서 목 둘레를 감싸도록 동그랗게 말리는 부분과 매듭 아래로 연장되어 프런트타이(10)의 후방에 위치하는 폭이 가늘고 좁은 부분을 통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레어타이(30)는 매듭보조구(20)의 상측에 일단이 봉재되어 결합된다. 봉재되는 위치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하는데, 이것은 매듭을 형성했을 경우 매듭보조구(20)를 관통하는 개방단(32)이 반대측을 관통하도록 하여 정면에서의 대칭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매듭을 형성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레어타이(30)를 목에 감은 후 개방단(32)을 매듭보조구(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소중공부(23)에 관통시킨다. 그리고, 자신의 목 둘레에 맞도록 적정한 길이의 레어타이(30)를 소중공부(23)에 관통시킨다.
이어서, 프런트타이(10)의 끝단(11)을 원형으로 말린 레어타이(30)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한 후, 매듭보조구(20)의 대중공부(25)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여 관통시킨다. 그러면, 매듭보조구(20)의 개방된 상측이 프런트타이(10)에 의해 적절히 가려짐과 동시에, 레어타이(30)의 양측 라인이 적절히 양측으로 이격되면서 매듭의 모양이 미려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소중공부(23)에 레어타이(30)를 삽입하고, 대중공부(25)에 프런트타이(10)를 삽입함으로써, 프런트타이(10)가 레어타이(3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매듭의 모양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넥타이를 풀려고 할 때에는 상술한 것과 반대로 행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어타이(40)는 사용자의 목에 감겨질 수 있도록 프리 사이즈의 루프(loop) 형태로 마련되는 네크부(42)와, 네크부(4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네크부(42)의 일측에 길게 연장 형성된 테일부(44)를 구비한다.
매듭보조구(50)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런트타이(10)와 레어타이(40)가 결합되는 본체(52)를 구비한다.
매듭보조구(50)의 본체(52)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절개된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2)의 배면은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절개된 단부(54, 55)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이 단부(54, 55)에는 프런트타이(10)와 레어타이(40)를 관통시켜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부재(56)가 마련된다.
결합부재(56)는 본체(52)의 양측 단부(54, 55)에 결합되는 금속재의 지지프레임으로서, 프런트타이(10)와 레어타이(40)가 각각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원통형으로 봉재된 합성섬유 재질의 관통부(57)를 구비한다. 관통부(57)는 결합부재에 결속부재(58)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금속 재질의 매듭보조구(50)를 이용하여 넥타이의 매듭 을 형성하는 것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재의 매듭보조구(50)를 사다리꼴로 예시하였으나, 그 외 반원형, 정원형, 직방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나아가 큐빅 등을 이용하여 표면에 다양한 무늬를 새기게 되면, 더욱 다양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넥타이는 각각 분리 마련된 프런트타이와 레어타이와 매듭보조구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매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의 매듭보조구는 합성섬유, 가죽, 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프런트타이와 레어타이에 결합되기 때문에, 복수의 매듭보조구를 마련할 경우 다양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매듭보조구는 소중공부와 대중공부로 이루어져 레어타이가 소중공부에 관통되고, 프런트타이가 대중공부에 관통되어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프런트타이가 레어타이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완성된 매듭의 모양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또한, 프런트타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장공이 마련되고, 매듭보조구에는 장공에 끼워지는 단추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조건에 따라 적정하게 프런트타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하부가 개방된 매듭보조구와, 상기 매듭보조구의 상측에 마련되는 프론트타이와, 상기 매듭보조구의 상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는 레어타이를 포함하여,
    상기 레어타이의 타단을 목에 감은 후 매듭보조구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 삽입하고, 프런트타이를 원형으로 말린 레어타이에 통과시킨 후 매듭보조구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매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보조구는 내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두 개의 중공부를 구비하되 어느 하나의 중공부가 다른 하나의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레어타이는 내부의 소중공부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프런트타이는 외부의 대중공부에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타이는 매듭보조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프런트타이의 일단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고,
    상기 매듭보조구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단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보조구는 소정의 매듭 모양을 가지며, 상기 프런트타이와 레어타이와는 다른 금속 또는 가죽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넥타이.
KR2020050032428U 2005-11-16 2005-11-16 넥타이 KR200412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428U KR200412575Y1 (ko) 2005-11-16 2005-11-16 넥타이
PCT/KR2006/001371 WO2007058413A1 (en) 2005-11-16 2006-04-13 Neck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428U KR200412575Y1 (ko) 2005-11-16 2005-11-16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75Y1 true KR200412575Y1 (ko) 2006-03-29

Family

ID=3804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428U KR200412575Y1 (ko) 2005-11-16 2005-11-16 넥타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12575Y1 (ko)
WO (1) WO20070584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3405A (en) * 1979-09-18 1981-04-22 Ono Kazumasa Clip ring for necktie
JPS58121313U (ja) * 1982-02-08 1983-08-18 小池 軍蔵 ネクタイ
KR200155769Y1 (ko) * 1997-07-07 1999-09-01 윤욱 넥타이
US6691319B1 (en) * 2002-04-03 2004-02-17 Raphael Simon Simulated necktie knot
KR200384181Y1 (ko) * 2005-02-28 2005-05-11 김윤채 넥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8413A1 (en)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575Y1 (ko) 넥타이
JP4147332B1 (ja) 新しい軽装帯
US20150223531A1 (en) Neckwear fastening apparatus
US10694796B2 (en) Modular tie-making device
US20170265542A1 (en) "Hole-In" Cravat / Necktie Improvement
KR200384181Y1 (ko) 넥타이
JP2000234207A (ja) 高機能着衣
KR100718319B1 (ko) 넥타이
JP3156899U (ja) ネクタイ
US2287887A (en) Scarf and sash
JPS632414Y2 (ko)
US2528356A (en) Necktie clip knotter
JP3187401B1 (ja) 付け帯
JP2018131725A (ja) 上衣の身八つ口の下方において前身頃と後身頃とが離れた二部式着物及び着付け方法
JP3186523U (ja) 襟飾り
KR102051951B1 (ko) 악세서리 부착형 넥타이
JPS5913204Y2 (ja) セパレ−ツきもの
KR200348349Y1 (ko) 장식용 레이스
KR200277857Y1 (ko)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JPS632413Y2 (ko)
JP3114602U (ja) マフラー
KR880000171Y1 (ko) 조립식 넥타이
JP3658576B2 (ja) 簡易帯
JP3046160U (ja) ネクタイ
KR100385753B1 (ko) 매듭지어진 고름을 구비하는 전통한복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