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857Y1 -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 Google Patents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7857Y1 KR200277857Y1 KR2020020006783U KR20020006783U KR200277857Y1 KR 200277857 Y1 KR200277857 Y1 KR 200277857Y1 KR 2020020006783 U KR2020020006783 U KR 2020020006783U KR 20020006783 U KR20020006783 U KR 20020006783U KR 200277857 Y1 KR200277857 Y1 KR 2002778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wl
- knot
- knotted
- band
- knotted ban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목도리(1)의 묶는 지점이 되는 위치에 기형성한 매듭띠(2)를 목도리(1)의 일측의 가장자리의 봉제선(6)에서 봉제하여 부착하여 목도리(1)를 완성하고, 목도리(1)를 착용하기 위하여 목도리(1)의 매듭띠 측의 선단부(3)를 화살표 방향(9)으로 매듭띠(2)의 내부로 통과시켜 빼게 되면, 매듭띠(2)는 봉제선(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매듭띠(2)의 내측에 있던 디자인면(7)이 외측으로 나오면서 묶인 형태가 되고, 매듭띠측 반대의 선단부(4)를 매듭띠(2) 내부로 통과시키면 목도리(1)의 양측을 모아 한데 묶는 모양이 되어 목도리(1)를 착용할 수 있게 하여, 별도로 매듭을 짓지 않고 깔끔하고 맵시있게 착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에 관한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목도리라 함은 일반적으로 스카프, 머플러, 넥커치프, 스톨 등의 방한, 방진 또는 장식을 목적으로 목에 두르는 것을 총칭한다.
넓게는 목에 거는 수건까지도 포함한다.
목도리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모양을 취하며, 종래에는 목도리를 목에 두른 후 주로 양끝을 모으면서 묶는 방법으로 착용하거나, 드물게는 집게나 끈으로 묶는 방법도 있으나 맬 때마다 매고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쉽게 풀어지거나 착용형태가 단조로운 단점이 있어서 맵시를 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매기의 번거로움과 풀어짐과 연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목도리의 묶는 지점이 되는 위치에 기형성한 매듭띠를 부착하여 목도리의 양단을 끼워서 묶어지게 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착용의 편리함은 물론 쉽게 풀어지지 않고 기존 방법과는 또 다른 맵시있는 개성을 연출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A)는 직사각형 목도리에 매듭띠를 부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B)는 정사각형 목도리에 매듭띠를 부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A)는 직사각형 목도리의 매듭띠의 사용단계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B)는 정사각형 목도리의 매듭띠의 사용단계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A), (B)는 목도리의 매듭띠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목도리 2 : 매듭띠
3 : 매듭띠측 선단부 4 : 매듭띠 반대측 선단부
5 : 목도리 중앙부 6 : 봉제선
7 : 매듭띠 디자인면 8, 9, 10 : 화살표 방향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목에 둘러 착용하는 목도리(1)에 있어서, 목도리(1)의 묶는 지점이 되는 일측의 가장자리에 기형성한 매듭띠(2)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듭띠(2)는 리본이나 밴드나 직물류로 제작하여 부착할수 있고, 매듭띠(2)의 일부분에 별도로 악세서리 장식도 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도리(1)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으로 대별할 수 있으므로 보기로 직사각형과 정사각형을 도시하여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A)는 직사각형의 목도리(1)에 매듭띠(2)를 부착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 (B)는 정사각형의 목도리(1)에 매듭띠(2)를 부착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모양만 다를 뿐 매듭띠(2)가 작용하는 원리는 같다.
목도리(1)의 묶는 지점이 되는 위치에 기형성한 매듭띠(2)를 목도리(1)의 가장자리의 봉제선(6)에서 봉제하여 부착한다. 매듭띠(2)는 리본이나 밴드나 직물류로 제작할 수 있고, 목도리(1)의 직물과 같은 천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도리(1)를 착용하기 위하여 목도리(1)의 매듭띠측의 선단부(3)를 화살표 방향(8)으로 하여 매듭띠(2)의 내부로 통과시켜 빼게 되면, 매듭띠(2)는 봉제선(6)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매듭띠(2)의 디자인면(7)이 외측으로 나오면서 도 2 (A), (B)에서처럼 매듭띠측의 선단부(3)가 매듭띠(2)의 내부로 묶여진 형태로 변한다.
이제 매듭띠측 반대의 선단부(4)를 매듭띠(2) 내부로 통과시키면 목도리(1)의 양측을 모아 한데 묶는 모양이 되는데, 보기를 들면 매듭띠측 반대의 선단부(4)를 화살표 방향(9)으로 통과시키면 도 3 (A)의 형태로 묶여지고, 반대의 화살표 방향(10)으로 통과시키면 도 3 (B)의 형태로 묶여지며, 매듭띠(2)의 디자인과 컬러에의해 목도리(1)의 또 다른 맵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매듭띠(2)를 사용하여 묶기 전이나 후에 별도로 일반 매듭을 짓듯이 매듭지어서 여러 가지 추가적인 연출도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매듭띠(2)는 목도리(1)의 일측에만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목도리(1)의 양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면 또 다른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목도리(1)를 벗을 때는 착용과는 반대로 하면, 쉽게 벗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반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지식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할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목도리(1)는 매듭띠(2)가 기 부착되어 있어서 별도로 목도리(1)를 묶을 필요없이 기 부착된 매듭띠(2)로 목도리(1)의 양측을 묶을 수 있어서 목도리(1)를 쉽고 깔끔하게 착용할 수 있고, 매듭띠(2)의 통과 방향에 따라 맵시를 달리 할 수 있으며, 일반 매듭을 함께 지어도 매듭띠(2)에 의해 쉽게 풀어지지 않고, 또한 매듭띠(2)의 재료와 디자인, 컬러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맵시로 연출할 수 있고, 매듭띠(2)의 일부에 장식을 위한 악세서리를 부착하여 목도리(1)의 품위도 높일 수 있다.
Claims (1)
- 목도리(1)의 묶는 지점이 되는 일측에 리본이나 밴드나 직물류로 제작하여 기형성한 매듭띠(2)를 봉제선(6)에서 봉제하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6783U KR200277857Y1 (ko) | 2002-03-07 | 2002-03-07 |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6783U KR200277857Y1 (ko) | 2002-03-07 | 2002-03-07 |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7857Y1 true KR200277857Y1 (ko) | 2002-06-14 |
Family
ID=7311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6783U KR200277857Y1 (ko) | 2002-03-07 | 2002-03-07 |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7857Y1 (ko) |
-
2002
- 2002-03-07 KR KR2020020006783U patent/KR2002778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055999A1 (en) | Scarf allowing changeful styling possibilities | |
KR200277857Y1 (ko) |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 |
US5253366A (en) | Necktie and shirt combination | |
US3173148A (en) | Necktie | |
KR200401501Y1 (ko) | 스카프 | |
KR200373166Y1 (ko) |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 |
KR200384181Y1 (ko) | 넥타이 | |
KR200240356Y1 (ko) | 스카프 | |
JP2005163248A (ja) | スカーフ | |
CN210747448U (zh) | 一种领口配饰支架 | |
KR200333661Y1 (ko) | 스카프 | |
KR200158613Y1 (ko) | 매듭없는 넥타이 | |
JP3097927U (ja) | 日焼け防止用ショール | |
JP3114602U (ja) | マフラー | |
JP3119969U (ja) | ニューアスコットタイ | |
KR200304222Y1 (ko) | 차양이 있는 두건 | |
KR200159466Y1 (ko) | 탈착이 자유로운 넥타이 | |
JPH0730650Y2 (ja) | レース付き被覆ゴムフラワー装身具 | |
KR200157182Y1 (ko) | 넥타이 고정틀 | |
JP3059417U (ja) | 襟飾り | |
JP3863380B2 (ja) | リボン状ネクタイ | |
KR940005620Y1 (ko) | 넥타이 착용구 | |
JP3658576B2 (ja) | 簡易帯 | |
KR200240357Y1 (ko) | 스카프 | |
KR200481322Y1 (ko) | 셔츠 고정 넥타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