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661Y1 - 스카프 - Google Patents

스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661Y1
KR200333661Y1 KR20-2003-0026883U KR20030026883U KR200333661Y1 KR 200333661 Y1 KR200333661 Y1 KR 200333661Y1 KR 20030026883 U KR20030026883 U KR 20030026883U KR 200333661 Y1 KR200333661 Y1 KR 200333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rf
fitting ring
neck
winding portio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지
Original Assignee
김옥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지 filed Critical 김옥지
Priority to KR20-2003-0026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카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스카프는 목에 둘러 착용하는 스카프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에 감아질 수 있으며, 일단에 끼움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감김부와; 감김부의 타단에 상기 감김부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져 착용자의 목부분을 장식하는 장식부를 포함한다. 특히, 장식부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지는 제 1모서리와 제 2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감김부를 목에 두른 후, 감김부 일단에 형성된 장식부를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움으로써 간편한 방법으로 목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끼움고리에 끼워지는 장식부의 부분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과 다양한 형태로 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스카프{SCARF}
본 고안은 스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하기 간편하고, 원하는 모양을 빠른 시간내에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스카프에 관한 것이다.
스카프는 목에 두르는 일종의 의류 악세서리로서, 장식을 목적으로 또는 보온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카프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목에 두른 후 그 양쪽 끝부분을 서로 묶어서 매듭지어 인체에 착용한다. 한편, 스카프는 그 양쪽 끝부분의 매듭 방식에 따라 넥타이 모양, 리본 모양 등의 모양으로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카프는 착용하기 위해서 그 양쪽 끝부분을 매번 묶어서 매듭지어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특히, 넥타이 모양, 리본 모양 등과 같은 특정 모양을 연출할 경우, 원하는 모양이 쉽사리 만들어지 않는 단점도 있다. 이같은 단점은 원하는 모양을 연출하기 위해 스카프를 여러 번 반복적으로 풀고 묶어야 하므로 착용시간이 길다는 문제점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누구라도 쉽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스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누구라도 원하는 모양을 쉽고 빠르게 연출할 수 있는 스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누구라도 다양한 모양을 연출할 수 있는 스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카프를 구성하는 장식부의 제 1모서리를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넣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카프를 구성하는 장식부의 제 2모서리를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넣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스카프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감김부 12: 끼움고리
14: 연결부분 20: 장식부
22: 제 1모서리 24: 제 2모서리
26: 제 3모서리 W: 착용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목에 둘러 착용하는 스카프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에 감아질 수 있으며, 일단에 끼움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의 타단에 상기 감김부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져 착용자의 목부분을 장식하는 장식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식부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지는 제 1모서리와 제 2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카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카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스카프를 구성하는 장식부의 제 1모서리를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넣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스카프를 구성하는 장식부의 제 2모서리를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넣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카프는 착용자의 목에 감아지는 감김부(10)를 갖는다. 감김부(10)는 착용자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되, 그 폭은 작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감김부(10)의 단부에는 끼움고리(12)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고리(12)는 감김부(10)의 끝부분을 접어서 재봉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스카프는 감김부(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장식부(20)를 갖는다. 장식부(20)는 대략 정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전방을 향하는 제 1모서리 (22)와 제 2모서리(24) 및 후방으로 향하는 제 3모서리(26)를 갖는다. 특히, 제 1모서리(22)와 제 2모서리(2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부(10)의 끼움고리(1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목을 감싸는 감김부(10)와 장식부(20)가 서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감김부(10)와 장식부(20)의 연결부분(14)은 도 1에서와 같이 라운딩 처리된다. 이는 라운딩된 연결부분(14)이 착용자의 목을 자연스럽게 감쌀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러한 장식부(20)는 제 1모서리(22) 또는 제 2모서리(24)를 감김부 (10)의 끼움고리(12)에 끼워 넣음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와 다양한 모양의 장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도 5와 도 6은 장식부(20)의 제 1모서리(22)를 감김부(10)의 끼움고리(12)에 끼워서 연출한 장식이다. 이를 차례로 살펴보면, 도 4는 장식부 (20)의 제 1모서리(22)를 감김부(10)의 끼움고리(12)에 끼운 다음, 한쪽 방향으로 돌려 회전시킨 상태로서, 장식부(20)가 착용자(W)의 가슴 부분에 늘어진 상태로 자연스럽게 장식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5는 장식부(20)의 제 1모서리(22)를 끼움고리(12)에 끼운 다음, 장식부(20)를 더욱 잡아당겨 착용자(W)의 목을 향해 바싹 조인 상태로서, 끼움고리 (12)와 장식부(20)가 넥타이 형태로 연출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와 같이 넥타이 형태로 늘어져 있는 장식부(20)를 착용자의 내측 아래에서 외측 윗쪽으로 한바퀴 돌림으로써 끼움고리(12)를 감싸도록 한 장식이다. 이같은 장식은, 장식부(20)로 하여금 끼움고리(12)를 자연스럽게 은폐하면서 착용자(W)의 목부분을 장식한다.
다음으로, 도 7은 장식부(20)의 제 2모서리(24)를 감김부(10)의 끼움고리 (12)에 끼워서 연출한 장식이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장식부(20)의 제 2모서리(24)를 감김부(10)의 끼움고리(12)에 끼운다. 그런 다음, 장식부(20)의 제 2모서리(24)를 더욱 잡아 당긴다. 그러면, 끼움고리(12)를 통과한 제 2모서리 (24)와, 끼움고리(12)를 통과하지 못한 장식부(20)의 제 1 및 제 3모서리(22, 26)는 끼움고리(12)의 양쪽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리본 모양이 된다. 이같은 리본 모양의 장식부(20)는 여성스러움과 아름다움과 세련미를 연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감김부(10)를 목에 두른 다음, 장식부(20)의 어느 특정부위, 예를 들어 제 1모서리(22) 또는 제 2모서리(24)를 감김부(10)의 끼움고리(12)에 끼워서 조임으로써 손쉽고 간편하게 스카프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끼움고리(12)에 끼워진 제 1모서리(22) 또는 제 2모서리(24)를 당기거나 조이는 등, 이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연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카프에 의하면, 감김부를 목에 두른 후, 감김부 일단에 형성된 장식부를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움으로써 간편한 방법으로 목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끼움고리에 끼워지는 장식부의 부분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과 다양한 형태로 연출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목에 둘러 착용하는 스카프에 있어서,
    착용자의 목에 감아질 수 있으며, 일단에 끼움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의 타단에 상기 감김부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져 착용자의 목부분을 장식하는 장식부를 포함하는 스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감김부의 끼움고리에 끼워지는 제 1모서리와 제 2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고리는 상기 감김부의 단부를 접어서 재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KR20-2003-0026883U 2003-08-21 2003-08-21 스카프 KR200333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883U KR200333661Y1 (ko) 2003-08-21 2003-08-21 스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883U KR200333661Y1 (ko) 2003-08-21 2003-08-21 스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661Y1 true KR200333661Y1 (ko) 2003-11-14

Family

ID=4941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883U KR200333661Y1 (ko) 2003-08-21 2003-08-21 스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6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787B1 (ko) 2016-03-09 2017-06-01 주식회사 은성테크 체결부를 구비한 목도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787B1 (ko) 2016-03-09 2017-06-01 주식회사 은성테크 체결부를 구비한 목도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319B1 (en) Simulated necktie knot
US4993080A (en) Headband
US5636384A (en) Headband and bow combination
US5622194A (en) Hairband
KR200333661Y1 (ko) 스카프
KR200373166Y1 (ko) 고름 매듭이 편리한 한복저고리
KR19980026010U (ko) 금속선이 내삽된 목도리
KR200386544Y1 (ko) 벨트 기능을 가진 스카프
KR200181062Y1 (ko) 장식용 헤어클립
KR200277857Y1 (ko)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JP3059417U (ja) 襟飾り
JPH0730650Y2 (ja) レース付き被覆ゴムフラワー装身具
KR940006055Y1 (ko) 넥타이
JPH0754253Y2 (ja) 帯締め
JP3084757U (ja) 修多羅
KR200159466Y1 (ko) 탈착이 자유로운 넥타이
JPS6350261Y2 (ko)
KR200181090Y1 (ko) 머리 장신구
JP3110082U (ja)
KR940005620Y1 (ko) 넥타이 착용구
GB2350775A (en) Former for knotting a necktie
JPS632413Y2 (ko)
KR200199213Y1 (ko) 머리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머리 장신구
JP3071344U (ja)
JPH0619529Y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