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356Y1 - 스카프 - Google Patents

스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356Y1
KR200240356Y1 KR2020010010467U KR20010010467U KR200240356Y1 KR 200240356 Y1 KR200240356 Y1 KR 200240356Y1 KR 2020010010467 U KR2020010010467 U KR 2020010010467U KR 20010010467 U KR20010010467 U KR 20010010467U KR 200240356 Y1 KR200240356 Y1 KR 200240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rf
attachment means
sides
present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이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문 filed Critical 이종문
Priority to KR2020010010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356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카프에 관한 것이다. 이는 목에 둘러 착용하는 스카프에 있어서, 상기 스카프의 양측부에는, 스카프의 중앙부를 목에 걸쳐 양측부를 하부로 늘어뜨린 상태로 늘어진 양측부를 서로에 대해 부착시키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부착수단이 구비되고, 일측의 부착수단의 이면에는 장식꽃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스카프는, 스카프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부착수단을 서로에 대해 부착하기만 함으로써 스카프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 착용하거나 벗는데 시간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에 장식꽃이나 기타 장식구를 고정시켜 스카프를 착용한 상태로 미감을 더욱 살릴 수 있으며, 활동중에 스카프가 저절로 풀리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카프{Scarf}
본 고안은 스카프(scarf)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카프에 장식꽃 및 부착수단이 고정되어 있는 스카프에 관한 것이다.
스카프는 주로 여성용 액세서리로서 네크라인을 장식하고 머리를 덮기도 하는 것으로, 보온을 기본 목적으로 함과 아울러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도록 그 디자인이 발전하여 왔다.
상기 스카프는 대부분 직사각의 형태를 취하며 특히 스카프를 목에 두른 후 묶어 착용할 경우 스카프를 묶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개성을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카프는 단순히 직사각형의 형태를 취하고 별다른 착용수단이 없으므로 스카프를 착용하기 위하여는 일단 스카프를 목에 걸치고 아래로 쳐진 양단부를 어떤 형태로든 반드시 묶어야 하였다. 이와같이 스카프를 착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스카프를 묶어야 하므로 착용시간이 길고, 특히 손이 불편한 사람들은 스카프를 착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스카프를 신경 써서 견고히 묶지 않는 한 스카프의 매듭이 활동중에 저절로 풀릴 수 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스카프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부착수단을 서로에 대해 부착하기만 함으로써 스카프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 착용하거나 벗는데 시간이 거의 소요되지 않고, 또한 상기 부착수단에 장식꽃이나 기타 장식구를 고정시켜 스카프를 착용한 상태로 미감을 더욱 살릴 수 있으며, 활동중에 스카프가 저절로 풀리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없도록 구성된 스카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를 펼쳐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스카프를 펼쳐 측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카프 12:장식꽃
14,16:벨크로테입(velcro tape) 18,20:똑딱이단추
21:주름부 22:스카프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에 둘러 착용하는 스카프에 있어서, 상기 스카프의 양측부에는, 스카프의 중앙부를 목에 걸쳐 양측부를 하부로 늘어뜨린 상태로 늘어진 양측부를 서로에 대해 부착시키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부착수단이 구비되고, 일측의 부착수단의 이면에는 장식꽃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카프의 양단부로부터 스카프 길이의 1/4 내지 1/5의 길이만큼 상호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부위는 폭방향으로 묶인 상태로 재봉되어 주름부를 이루고, 상기 부착수단 및 장식꽃은 상기 주름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부착수단은 부착천 또는 똑딱이단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10)는, 직사각 형태의 스카프천(22)과, 상기 스카프천(22)의 양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벨크로테입(14,16)과, 일측부의 벨크로테입(도 3의 16)의 이면에 구비되는 장식꽃(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크로테입(14,16)은 공지의 부착(附着)천의 하나로서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부착성이 있는 헝겊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스카프천(22)은 헝겊으로 제작되는 통상의 스카프천으로서 길이방향 양측부에는 주름부(21)가 위치한다. 상기 주름부(21)는 스카프천(22)을 폭방향으로묶고, 묶은 상태로 재봉하여 형성한 부위이다.
상기 주름부(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카프의 한 쪽 장변을 다른 쪽 장변측으로 밀어 묶어 스카프의 한 쪽 장변은 직선을 이루고 다른쪽 장변은 대체로 포물선의 형태를 취하도록 함이 좋다. 이와 달리 상기 주름부(21)를 스카프의 폭방향 중앙부위에 위치하도록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벨크로테입(14,16)은 상기 주름부(21)에 위치되어 고정되되 서로에 대해 반대쪽 면에 고정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부의 벨크로테입(14)과 타측부의 벨크로테입(도 3의 16)은 스카프천(22)의 다른쪽면에 고정되어 스카프천(22)을 두른 상태로 후술할 장식꽃(12)이 외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벨크로테입(14,16)의 스카프천(22)에 대한 고정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장식꽃(12)은 헝겊을 뭉쳐 꽃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한 쪽 벨크로테입(16)의 이면(裏面) 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장식꽃(12)은 스카프천(22)과 별도로 제작한 후 추후에 스카프천(22)에 고정하는 것으로 스카프천(22)과 다른 재질의 헝겊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를 펼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스카프천(22)의 도면상 좌측에는 벨크로테입(14)이 고정되어 있고, 우측에는 장식꽃(1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장식꽃(12)의 이면에는 다른 벨크로테입(도 3의 16)이 고정됨은 물론이다.
상기 스카프천(22) 양측의 주름부(21)는 스카프천(22)의 양단부로부터 길이a만큼 안쪽으로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길이 a는 스카프천(22)의 장변 길이의 1/4 내지 1/5에 해당하는 길이 이다. 이와 같이 상기 주름부(21)의 위치를 길이 a만큼 내부로 근접시킴으로서 주름부(21)의 바깥쪽 부위에 해당하는 스카프천은 나풀거리며 레이스(lace)의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식꽃(12)을 한 쪽 주름부(21)에 한 개만 구비하였지만 상기 장식꽃의 개수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상기 스카프를 펼친 상태로 측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카프천(22)의 도면상 위쪽면에는 일측 벨크로테입(14) 및 장식꽃(1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장식꽃(12)의 이면에는 타측 벨크로테입(16)이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카프(10)의 중앙부를 착용자의 목에 걸치고 양단부를 착용자의 가슴앞으로 늘여뜨린 후 양측의 벨크로테입(14,16)을 부착하면, 상기 장식꽃(12)은 자연스럽게 앞쪽을 향하게 된다.
이와같이 스카프(10) 양측의 벨크로테입(14,16)을 단순히 부착시키기만 하면 스카프(10)의 착용이 완료되고 더욱이 장식꽃(12)이 앞쪽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별다른 매듭기술이 없이도 스카프를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스카프(10)를 벗을 때에도 부착되어 있던 벨크로테입(14,16)을 떼기만 하면 되므로 신속하게 벗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카프의 장식꽃(12)이 어깨위에 위치하도록 착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카프를 이와같이 착용함으로서 세련된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으며 특히 가슴앞으로 늘어진 스카프천은 공지의 블라우스의 가슴앞 장식의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카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카프천(22)의 양측에 똑딱이단추(18,20)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똑딱이단추(18,20)는 서로에 대해 누르면 결합되고 당기면 분리되는 공지의 단추이다. 상기 똑딱이단추(18,20)는 상기 벨크로테입(14,16)의 위치에 고정되며 벨크로테입(14,16)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스카프는, 스카프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부착수단을 서로에 대해 부착하기만 함으로써 스카프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착용하거나 벗는데 시간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에 장식꽃이나 기타 장식구를 고정시켜 스카프를 착용한 상태로 미감을 더욱 살릴 수 있으며, 활동중에 스카프가 저절로 풀리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목에 둘러 착용하는 스카프에 있어서,
    상기 스카프(10)의 양측부에는, 스카프의 중앙부를 목에 걸쳐 양측부를 하부로 늘어뜨린 상태로 늘어진 양측부를 서로에 대해 부착시키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한 쌍의 부착수단이 구비되고, 일측의 부착수단의 이면에는 장식꽃(1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카프(10)의 양단부로부터 스카프 길이의 1/4 내지 1/5의 길이만큼 상호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부위는 폭방향으로 묶인 상태로 재봉되어 주름부(21)를 이루고, 상기 부착수단 및 장식꽃(12)은 상기 주름부(21)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부착천 또는 똑딱이단추(1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카프.
KR2020010010467U 2001-04-13 2001-04-13 스카프 KR200240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67U KR200240356Y1 (ko) 2001-04-13 2001-04-13 스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67U KR200240356Y1 (ko) 2001-04-13 2001-04-13 스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356Y1 true KR200240356Y1 (ko) 2001-10-11

Family

ID=7309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67U KR200240356Y1 (ko) 2001-04-13 2001-04-13 스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3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986B1 (ko) 2007-05-17 2009-05-07 오현숙 스카프 및 그 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986B1 (ko) 2007-05-17 2009-05-07 오현숙 스카프 및 그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1670B2 (en) Versatile scarf
US5172428A (en) Convertible fur piece
WO2003007741A1 (en) Decorative necktie knot
KR200240356Y1 (ko) 스카프
KR101121007B1 (ko) 다용도 스카프
JP3757245B2 (ja) 留具
JP3726186B2 (ja) 和服
JP3054304U (ja) 装飾バンド
JP3143201U (ja) 和服用帯
KR200304222Y1 (ko) 차양이 있는 두건
JP3119969U (ja) ニューアスコットタイ
KR200257729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상의
JP3043364U (ja) 頭からかぶるスカーフ型衣類
JP3035630U (ja) バンダナスカーフ
JPS632414Y2 (ko)
JP3059417U (ja) 襟飾り
JP3059472U (ja) 浴衣用帯
JPS6350243Y2 (ko)
KR200277857Y1 (ko) 매듭띠를 부착한 목도리
JP2005163248A (ja) スカーフ
JPS6011044Y2 (ja) 上着
KR200406916Y1 (ko) 스카프
JP3091348U (ja) 頭 巾
JP3052496U (ja) ハット・キヤップ・フード三角布
KR200231791Y1 (ko) 끈 달린 모피 목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