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387B1 - 방전등 점등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등 점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387B1
KR100715387B1 KR1020050038267A KR20050038267A KR100715387B1 KR 100715387 B1 KR100715387 B1 KR 100715387B1 KR 1020050038267 A KR1020050038267 A KR 1020050038267A KR 20050038267 A KR20050038267 A KR 20050038267A KR 100715387 B1 KR100715387 B1 KR 10071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winding
secondary winding
discharge lamp
primar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963A (ko
Inventor
마나부 기까
Original Assignee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9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2515A/ja
Application filed by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H05B41/04Starting switches
    • H05B41/042Starting switch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전등 점등 장치 중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전 밸브가 삽입되는 소켓과, 이 소켓에 2차측 권선 중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1 구동선에 접속되고 2차측 권선 중 일단부가 제2 구동선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방전 갭을 거쳐서 제3 구동선에 접속된 1차측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이 코일 중에 삽입된 코어 및 이 코어와 상기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사이에 충전된 수지를 갖는 트랜스와, 상기 제2 구동선과 상기 제3 구동선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는 상기 소켓의 가로로 병치되어 이루어진다.
콘덴서, 방전 갭, 코일, 트랜스, 소켓

Description

방전등 점등 장치{AN APPRATUS FOR LIGHTING A DISCHARGE LAMP}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방전등 점등 장치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한 회로 구성에 있어서, 이그나이터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점등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점등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점등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5의 점등 유닛의 트랜스(TR)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제 보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제 보빈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제 보빈의 구조를 도시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절결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지제 보빈의 구조를 도시한 또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랜스(TR)의 전기적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11b는 이 트랜스(TR)의 외관도.
도11c는 이 트랜스(TR)를 도11b에 있어서의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11d는 이 트랜스(TR)의 단면도.
도11e는 도11d에 도시한 트랜스(TR)의 코일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12는 도3에 도시한 이그나이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트랜스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도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트랜스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직류 전압원
12 : DC/DC 컨버터
13 : DC/AC 컨버터
14 : 제어 회로
15 : 인버터
17 : 이그나이터
18 : 소켓
19 : HID 밸브
22 : 방전 갭
62 : 막대 형상 코어
63 : 수지
72 : 수지제 보빈
73 : 중앙 공동
74 : 리브
75 : 권선용 공동
76 : 홈
161, 162, 163 : 구동선
211, 212, 213 : 접속 단자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06974호 공보
본 출원은, 2004년 5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허 출원 제2004-139895호와, 2005년 4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허 출원 제2005-115977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기초로 한다. 이 일본 출원의 내용은 여기서 인용되어 본 출원에 일체화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 등 안 길이의 두께가 얇은 것이 요망되는 방전 등의 점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전조등 등에도 휘도가 높은 방전등이 이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전조등에 있어서 고휘도 방전등을 이용하는 경우, 엔진룸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방전등의 소켓으로부터 안 길이 방향의 두께는 가능한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휘도 방전등에 있어서 방전등의 소켓에 이그나이터가 접속되지만, 이 이그나이터에는 비교적 용적을 취할 트랜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소켓과 이그나이터를 포함하는 점등 유닛이 두꺼워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06974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 같이, 구동선용 배선의 인출 방향을 소켓 끼워 맞춤면의 방향을 향해 상기 점등 유닛을 얇게 하는 것이 생각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구동선의 인출된 방향으로 방전 밸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인출된 구동선을 크게 구부릴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나 내구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그나이터에 통상 이용되는 트랜스를 이용하면, 2차측 권선에 발생되는 전압이 이 코일에 연면 방전이나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방전 밸브에 공급하는 전력은 저절로 제한된다. 따라서, 방전등에 높은 전압을 가할 수 없어 방전등의 점등 개시를 용이하고 게다가 빠르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자동차의 전조등으로서 적합한 방전등 점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중 한 관점에 따르면, 방전 밸브가 삽입되는 소켓과, 이 소켓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1 구동선에 접속된 2차측 권선과, 일단부가 제2 구동선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방전 갭을 거쳐서 제3 구동선에 접속된 1차측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이 코일 중에 삽입된 코어 및 이 코어와 상기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 사이에 충전된 수지를 갖는 트랜스와, 상기 제2 구동선과 상기 제3 구동선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는 상기 소켓의 가로로 병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방전 밸브가 삽입되는 소켓과 이 소켓에 접속되는 이그나이터의 트랜스의 관계에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방전등의 점등 장치의 전기 회로를 서술한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1은 직류 전압원으로, 이 전압원(11)의 전압은 DC/DC 컨버터(12)에 공급된다. DC/DC 컨버터(12)에 있어서 직류 전압원(11)의 전압을, 예를 들어 360V 내지 400V 정도로 승압한다. 승압된 전압을 DC/AC 인버터(13)에 공급하여,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 4개를 사용한 풀 브릿지 회로에서 수백 Hz의 스위칭 동작을 행하여 직사각형파를 생성한다.
부호 14는 제어 회로로, DC/AC 인버터(13)가 생성되는 출력 전류(I)와 전압 (V)으로부터 전력을 구하고, DC/DC 컨버터(12)가 발생하는 전력이, 예를 들어 35W로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DC/DC 컨버터(12), DC/AC 인버터(13), 제어 회로(14)는 인버터(15)를 구성한다.
인버터(15)는, 예를 들어 400V와 1 kV의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인버터(15)에서는 DC/AC 인버터(13)는 구동선(161과 162)을 이용하여 400V를 이그나이터(17)로 송전한다. 또한 DC/DC 컨버터(12)는, 구동선(163)을 이용하여 1 kV를 이그나이터(17)로 송전한다. 구동선(161 내지 163)은 전부를 통합하여 실드를 실시하거나, 구동선 그 자체에 실드가 실시된 것을 사용한다.
부호 18은 이그나이터(17)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방전 밸브인 HID 밸브(19)와 끼워 맞춤시켜 이그나이터(17)가 발생하는 고압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소켓이다. 도1에 도시한 이그나이터(17)의 전기 회로도의 일예를 도2에 도시한다.
즉, 부호 211 내지 213은 인버터(15)로부터 취출되는 구동선(161 내지 16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이며, 접속 단자(211)는 구동선(161)과, 접속 단자(212)는 구동선(162)과, 접속 단자(213)는 구동선(163)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접속 단자(211)는 콘덴서(C1)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단부면이 존재하는 가늘고 긴 코어로 구성되는 개자로형 트랜스(TR)의 2차측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다.
접속 단자(212)는 콘덴서(C1)의 타단부, 콘덴서(C2)와 트랜스(TR)의 1차측 권선의 일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접속 단자(213)는 콘덴서(C2)의 타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방전 갭(22)을 거쳐서 트랜스(TR)의 2차측 권선의 타단부에 접속된다. 트랜스(TR)의 2차측 권선의 타단부는 소켓(18)을 거쳐서 HID 밸브(19)의 한 쪽 전극에, 접속 단자(212)는 소켓(18)을 거쳐서 HID 밸브(19)의 다른 쪽 전극에 각각 접속된다.
이그나이터(17)의 소켓(18)은 HID 밸브(19)의 마우스피스(mouth-piece)에 직접 끼워 맞출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트랜스(TR)는 소켓(18)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인버터(15)는 금속 케이스에 수납되어 자기 실드가 실시된다. 또한, 이그나이터(17)는 예를 들어 자기 실드된다.
도2에 있어서의 소켓(18)과 커버를 부착한 상태의 이그나이터(17)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예의 사시도를 도3에 도시한다. 도3에 있어서, 구동선(161, 162, 163)은 제거하고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3에 있어서, 이그나이터(17)의 커버를 제거한 구조를 도4에 도시한다. 도4에서는, 구동선(161, 162, 163)을 도시하고 있다. 도4에 도시한 이그나이터(17) 및 소켓(18)의 구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도5에 도시하고, 도5에 도시한 트랜스(TR)의 A-A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TR)는 상방이 가늘게, 하방이 굵게 된 테이퍼를 갖는 막대 형상 코어(62)의 주위에, 동일 직경의 2차측 권선(n2)이 권취되고 그 위에 1차측 권선(n1)이 권취된 구조를 갖는다. 소켓(18)의 한 쪽 단자에 접속되는 2차측 권선(n2)의 상방의 단부에는 고압이 발생된다. 상방의 단부에 있어서, 막대 형상 코어(62)보다도 2차측 권선(n2)이 돌출한 구조를 갖는다. 막대 형상 코어(62)와 2차측 권선(n2) 사이 및 2차측 권선(n2)과 막대 형상 코어(62)의 상방의 오목부에는 수지(63)가 충전된다. 이 수지(6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겔, 에폭시, 실리콘, 우레탄 등이 이용된다.
실제로는 트랜스(TR)의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이 직접 적층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 형상의 수지제 보빈을 거쳐서 적층된다. 이러한 수지제 보빈(71)의 단면도를 도7에 도시하고, 그 일부 절결 사시도를 도8에 도시한다. 또한, 도9 및 도10에도 이 수지제 보빈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7 및 도8에 있어서, 수지제 보빈(72)의 중앙에는 막대 형상 코어(62)와 2차측 권선이 삽입되는 중앙 공동(空洞)(7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 공동(73)의 표면에는 내측을 향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리브(74)가 축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 75는 트랜스(TR)의 1차 코일(n1)이 끼워 넣어지기 위한 코일용 공동이고, 부호 76은 원 면 거리를 길게 하기 위한 홈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리브(7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막대 형상 코어(62)와 2차측 권선(n2)을 삽입한 후에도 2차측 권선과 수지제 보빈(72)의 내측에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간극에 외부로부터 수지를 용이하게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1차측 권선(n1)의 재료로서는 단단한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재를 이용한다. 단단한 재료를 1차측 권선(n1)으로서 이용하면, 이 1차측 권선을 권선용 공동(75)으로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의 트랜스(TR)를 이용하여 도2에 도시한 이그나이터(17)를 구성하고, 이 이그나이터(17)를 이용하여 도1에 도시한 방전등의 점등 장치를 구성한다.
이 점등 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인버터(15)의 출력으로부터 이그나이터(17)의 접속 단자(211, 212)에 400V의 전압이 인가되는 동시에, 접속 단자(213)에 약 1 k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콘덴서(C2)로의 충전이 개시되고, 방전 갭(22)의 방전 파괴 전압에 도달하면 트랜스(TR)의 1차측 권선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권선에 예를 들어 20 kV의 펄스 전압이 발생한다.
이는 트랜스(TR)의 2차측에, 1차측 권선의 권선수(n1)와 2차측 권선의 권선수(n2)의 비에 따른 전압이 발생되는 관계로부터 각각의 권선수를 n1 < n2의 관계로 함으로써 2차측 권선에 높은, 예를 들어 20 kV의 전압을 생성한다. 이 전압은 HID 밸브(19)에 공급되어 이 HID 밸브(19)의 방전이 개시된다.
HID 밸브(19)의 방전이 개시되면, 접속 단자(211, 212)에 공급되는 전압은 약 43V 부근의 전압으로 안정된 상태가 되고, 이후는 이그나이터(17)를 거쳐서 HID 밸브(19)를 구동하여 점등을 계속한다.
또한, 콘덴서(C1)는 트랜스(TR)의 2차측에 발생된 고전압을 접속 단자(212)를 거쳐서 인버터측으로 환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콘덴서(C1)는 이그나이터(17)에 설치하였지만, 인버터(15) 내에 설치해도 좋다.
상술된 바와 같이, 트랜스(TR)의 1차측 권선(n1)은 방전등의 점등 개시시에 전류가 흐를 뿐이며, 저항이 낮은 것은 2차측 권선만큼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1차측 권선으로서 용수철재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7에 그 단면을 도시하는 수지제 보빈(72)을 이용한다. 이 수지제 보빈 (72)은 2차측 권선의 외주부에 1차측 권선을 설치하고, 게다가 2차측 권선의 고전압이 발생하지 않는 측에 1차측 권선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 구조를 갖고 있다.
트랜스(TR)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 코어(62)의 2차측 권선(n2)의 고전압이 발생하는 측의 단부를 가늘게 하여 이 측에 두껍게 수지를 충전하면, 코로나 방전이나 연면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한 2차측 권선(n2)의 하방, 즉 고전압이 발생되지 않는 측에서는 막대 형상 코어의 직경을 굵게 해도 방전이 발생되는 일은 없어 최대한의 출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단부에서는, 통상 접지 전위이며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이 부분에서 2차측 권선이 노출되어도 연면 방전의 기점이 되지는 않는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 코어의 길이를 2차측 권선(n2)의 길이보다도 짧게 하여 고전압이 발생되는 단부에서 단면이 오목해지도록 하고, 코일 내측에도 수지(63)를 충분히 충전하고 있으므로 연면 방전이나 코로나 방전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측 권선(n2)은 동일 직경으로 하여 막대 형상 코어(62)에 테이퍼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동일 직경의 막대 형상 코어를 이용하여, 고압이 발생하는 측일수록 대경으로 한 구조의 2차측 권선(n2)을 이용하여 트랜스(TR)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컨대, 고전압이 발생하는 쪽일수록 2차측 권선과 막대 형상 코어의 간극이 커져 이 부분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으면 본 발명에 이용하는 트랜스(TR)로서 적절하다.
그런데, 상기 실시 형태의 점등 장치에 있어서의 이그나이터에 이용하는 트랜스는, 그 2차측 권선 상에 1차측 권선을 권취한 구조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병치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이러한 구조의 트랜스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1a 내지 도11e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방전등 점등 장치에 있어서의 트랜스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11a는 트랜스(TR)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고, 도11b는 트랜스(TR)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11c는 도11b에 도시한 트랜스(TR)를 A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11d는 이 트랜스(TR)의 단면도, 도11e는 도11d에 도시한 트랜스(TR)의 코일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트랜스(TR)는, 후술하는 테이퍼를 갖는 막대 형상 코어(112)와, 이 막대 형상 코어(112)에 권취된 n1 : n2의 권선비의 1차측 권선(113a) 및 2차측 권선(113b)과, 이들 1차측 권선(113a) 및 2차측 권선(113b)과 막대 형상 코어(112) 사이에 봉입된 수지(114)로 이루어져 있고, 1차측 권선(113a) 및 2차측 권선(113b)은 도1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 코어(112)의 단면 방향에 대해 평판 형상을 갖고, 막대 형상 코어(112)의 수지(114) 상에 1층으로 권취되어 있다.
치수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막대 형상 코어(112)의 길이(d1)는 30.0 mm,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의 전체 길이(d2)는 28.0 mm이고, 1차측 권선(113a) 및 2차측 권선(113b)의 권선비 n1 : n2는, 예를 들어 3턴 : 200턴이다.
막대 형상 코어(112)는 1차측 권선(113a) 쪽이 굵고 2차측 권선(113b) 쪽이 가는, 이른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치수는 예를 들어 1차측 권선(113a) 단부의 직경(ø1)이 8.0 mm, 2차측 권선(113b) 단부의 직경(ø2)이 7.9 mm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트랜스(TR)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정의 테이퍼를 갖는 막대 형상 코어(112)를 제작한다. 다음에 1차측 권선(113a)과 2차측 권선(113b)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코일을 제작한다. 다음에, 이 코일의 2차측 권선(113b) 쪽으로부터 상기 막대 형상 코어(112)를 통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의 2차측 권선측으로부터 코일과 막대 형상 코어(112)의 사이에 수지(114)를 충전, 봉입한다.
이와 같이 제조하면, 막대 형상 코어(112)를 상기 코일을 통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게다가, 비교적 공간에 여유가 있는 2차측 권선측으로부터 코일과 막대 형상 코어의 사이에 수지를 넣으므로 수지의 충전이 용이하고, 게다가 방전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트랜스를 비교적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1a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트랜스(TR)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회로의 방전등 점등 장치에 있어서의 도2에 도시한 이그나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11b 내지 도11e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트랜스(TR)를 도2에 도시한 이그나이터에 이용한 경우의 회로 동작에 대해,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도1에 도시한 인버터(15)의 출력으로부터 이그나이터(17)의 접속 단자(211, 212)에,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400V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는 동시에, 접속 단자(213)에 1 k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콘덴서(C2)로의 충전이 개시되어 방전 갭(22)의 방전 파괴 전압에 도달하면 트랜스(TR)의 1차측 권선에 전류가 흐르 고, 2차측 권선에 예를 들어 20 kV의 펄스 전압이 발생한다.
이는 트랜스(TR)의 2차측에, 1차측 권선의 권선수(n1)와 2차측 권선의 권선수(n2)의 비에 따른 전압이 발생되는 관계로부터, 각각의 권선수를 n1 < n2의 관계로 함으로써 2차측 권선에 높은, 예를 들어 20 kV의 전압을 생성한다. 이 전압은 HID 밸브(19)에 공급하여, 이 HID 밸브(19)의 방전이 개시된다.
HID 밸브(19)의 방전이 개시되면, 접속 단자(211, 212)에 공급되는 전압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V 부근의 전압에서 안정된 상태가 되어, 이 전압으로 HID 밸브(19)를 구동하여 점등을 계속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막대 형상 코어(2)가 테이퍼를 갖고 있어 2차측 권선의 단부로 갈수록 고전압이 유기되지만, 이 단부로 갈수록 수지가 많이 봉입되어 있어, 따라서 연면 방전이나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기 어렵다. 게다가, 막대 형상 코어(2)의 1차측 권선(13a)의 직경은 커, 즉 이 부분에서는 굵은 코어를 이용하고 있게 되므로, 인덕턴스를 크게 할 수 있어 고전압 펄스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의 코일은, 막대 형상 코어의 단면 방향에 대해 평판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코일이 권취된 길이에 대해 권취수를 많게 할 수 있어 고전압 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이그나이터의 트랜스(TR)는, 도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상 코어에 테이퍼를 갖게 하지 않아도 이 코어의 외측에 권취되는 코일과 막대 형상 코어의 사이에 봉입되는 수지가 2차측 권선의 고전압측이 1차측 권선의 저전압측보다도 두껍게 봉입되어 있으면 좋다. 도13a에 본 발명에 이용하는 트랜스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테이퍼를 갖고 있지 않은 동일 직경의 막대 형상 코어(131)에 적어도 내경에 테이퍼를 갖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의 코일(132a, 132b)이 권취되어 있어, 이들 코일과 막대 형상 코어와의 사이에 수지(133)가 봉입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조가 용이한 동일 직경의 막대 형상 코어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13b에 본 발명에 이용하는 트랜스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테이퍼를 갖는 막대 형상 코어(135)에 테이퍼를 갖는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의 코일(136a, 136b)이 권취되어 있고, 이들 코일과 막대 형상 코어와의 사이에 수지(137)가 봉입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2차측 권선측의 코어와 코일 사이를 용이하게 떨어뜨릴 수 있고, 따라서 2차측 권선 단부에 매우 큰 전압이 유기되는 경우에 적합한 트랜스가 얻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13a 및 도13b에 도시한 막대 형상 코어와 권선 사이의 관계는, 도6에 도시한 구조의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막대 형상 코어는 단면이 원형인 둥근 막대 형상으로 하였지만, 단면이 직사각형, 다각형 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조등으로서 적합한 방전등 점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방전 밸브가 삽입되는 소켓과,
    이 소켓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1 구동선에 접속된 2차측 권선과, 일단부가 제2 구동선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방전 갭을 거쳐서 제3 구동선에 접속된 1차측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이 코일 중에 삽입된 코어 및 이 코어와 상기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 사이에 충전된 수지를 갖는 트랜스와,
    상기 제2 구동선과 상기 제3 구동선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는 상기 소켓의 가로로 병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2차측 권선 상에 1차측 권선이 권취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상기 2차측 권선은 고전압 발생측에 있어서 상기 코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코어 및 상기 2차측 권선 중 적어도 고압 발생측을 수지에 의해 덮은 구조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중앙에 공동을 갖고, 상기 2차측 권선의 고전압이 발생되는 측이 아닌 단부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1차측 권선이 끼워 넣어지 는 바닥이 있는 공동을 상기 공동의 주위에 갖는 수지제의 보빈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은 스테인레스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의 점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2차측 권선과 1차측 권선이 병치된 권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7. 방전 밸브가 끼워 넣어지는 소켓과,
    이 소켓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1 구동선에 접속된 2차측 권선과, 일단부가 제2 구동선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방전 갭을 거쳐서 제3 구동선에 접속된 1차측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이 코일 중에 삽입된 코어 및 이 코어와 상기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 사이에 충전된 수지를 갖는 트랜스와,
    상기 제2 구동선과 상기 제3 구동선의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는 상기 1차측 권선 및 상기 2차측 권선이 권취된 보빈과, 이 보빈의 중심에 삽입된 막대 형상 코어와, 이 막대 형상 코어와 상기 2차측 권선 사이가 상기 소켓에 접속된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는 간극을 갖고 이 간극에 충전된 수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2차측 권선 상에 1차측 권선이 권취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상기 2차측 권선은 고전압 발생측에 있어서 상기 코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코어 및 상기 2차측 권선 중 적어도 고압 발생측을 수지에 의해 덮은 구조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중앙에 공동을 갖고 상기 2차측 권선의 고전압이 발생되는 측이 아닌 단부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1차측 권선이 끼워 넣어지는 바닥이 있는 공동을 상기 공동의 주위에 갖는, 수지제의 보빈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은 스테인레스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의 점등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2차측 권선과 1차측 권선이 병치된 권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13. 방전 밸브가 삽입되는 소켓과,
    이 소켓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타단부가 제1 구동선에 접속된 2차측 권선과, 일단부가 제2 구동선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방전 갭을 거쳐서 제3 구동선에 접속된 1차측 권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이 코일 중에 삽입된 코어 및 이 코어와 상기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 사이에 충전된 수지를 갖는 트랜스와,
    상기 제2 구동선과 상기 제3 구동선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는 상기 1차측 권선 및 상기 2차측 권선이 권취된 소정 직경을 갖는 보빈과, 이 보빈의 중심에 삽입되고, 그 직경이 상기 2차측 권선의 상기 소켓에 접속된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작게 테이퍼 형상을 갖는 막대 형상 코어와, 이 막대 형상 코어와 상기 보빈의 간극에 충전된 수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2차측 권선 상에 1차측 권선이 권취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상기 2차측 권선은 고전압 발생측에 있어서 상기 코어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코어 및 상기 2차측 권선 중 적어도 고압 발생측을 수지에 의해 덮은 구조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중앙에 공동을 갖고, 상기 2차측 권선의 고전압이 발생되는 측이 아닌 단부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1차측 권선이 끼워 넣어지 는 바닥이 있는 공동을 상기 공동의 주위에 갖는, 수지제의 보빈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은 스테인레스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의 점등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는 2차측 권선과 1차측 권선이 병치된 권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 장치.
KR1020050038267A 2004-05-10 2005-05-09 방전등 점등 장치 KR100715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9895 2004-05-10
JP2004139895A JP2005322515A (ja) 2004-05-10 2004-05-10 放電灯点灯装置
JPJP-P-2005-00115977 2005-04-13
JP2005115977 2005-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963A KR20060045963A (ko) 2006-05-17
KR100715387B1 true KR100715387B1 (ko) 2007-05-08

Family

ID=3523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267A KR100715387B1 (ko) 2004-05-10 2005-05-09 방전등 점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08879B2 (ko)
KR (1) KR100715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3503A1 (en) * 2006-07-20 2009-10-01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19A (ko) * 1998-06-04 2000-01-25 가노 다다오 조명장치및표시장치
KR20010052910A (ko) * 1999-04-15 2001-06-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방전등 점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7277A1 (fr) * 1995-02-28 1996-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positif de commande d'une lampe a decharge
EP1189314B1 (en) * 1999-09-30 2009-09-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Lamp socket and discharge lamp operating device
JP2002063993A (ja) * 2000-06-08 2002-02-28 Denso Corp 放電灯駆動装置
JP4426132B2 (ja) * 2000-07-26 2010-03-03 ハリソン東芝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高圧放電ランプ点灯方法、高圧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2245971A (ja) * 2000-12-12 2002-08-3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高圧放電ランプ、高圧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ATE416475T1 (de) * 2001-09-27 2008-12-1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Hochdruck-entladungslampe, hochdruck- entladungslampenbetriebseinrichtung und scheinwerfer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6819062B2 (en) * 2002-01-17 2004-11-16 Sony Corporatio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light source apparatus and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JP2003282292A (ja) * 2002-01-18 2003-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灯点灯装置
JP2003242933A (ja) * 2002-02-15 2003-08-2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および自動車用前照灯装置
JP4096730B2 (ja) 2002-12-24 2008-06-04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始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19A (ko) * 1998-06-04 2000-01-25 가노 다다오 조명장치및표시장치
KR20010052910A (ko) * 1999-04-15 2001-06-2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방전등 점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08879B2 (en) 2007-04-24
US20050248290A1 (en) 2005-11-10
KR20060045963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2183B2 (ja) 放電灯ユニット
US6556118B1 (en) Separate mount ignition coil utilizing a progressive wound secondary winding
JP4795427B2 (ja) 放電灯点灯装置用高電圧発生トランス
US7585177B2 (en) Discharge lamp socket
JPH08138872A (ja) 放電灯装置
US6724289B2 (en) Ignition apparatus having feature for shielding the HV terminal
US8193891B2 (en) High voltage transformer with space-saving primary windings
US6463918B1 (en) Ignition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shield
KR100570483B1 (ko) 고압 방전 램프 점등 장치, 고압 방전 램프 장치 및 투광램프 장치
KR100715387B1 (ko) 방전등 점등 장치
JP2002343654A (ja) 高電圧パルス発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6078B2 (ja) 電磁装置および高電圧発生装置
JP2004319617A (ja) 電磁装置、高電圧パルス発生器および高輝度放電灯点灯装置
JP2000182856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US6463919B1 (en) Ignition coil with polyimide case and/or secondary spool
CN100453899C (zh) 放电灯点亮装置
JPS6134912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2001257087A (ja) 放電灯起動装置
JP2004111451A (ja) 電磁装置、巻設方法および高電圧発生装置
JP2006318883A (ja) 放電灯点灯装置
US20030128090A1 (en) Case free ignition apparatus
JP4535579B2 (ja) 放電灯起動装置
JP4510212B2 (ja) 放電灯起動装置
JP2004014832A (ja) 電磁装置及び高電圧発生装置
RU2190893C1 (ru) Катушка зажиг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