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373B1 - 폴리머 복합 발포체 - Google Patents

폴리머 복합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373B1
KR100714373B1 KR1020037010698A KR20037010698A KR100714373B1 KR 100714373 B1 KR100714373 B1 KR 100714373B1 KR 1020037010698 A KR1020037010698 A KR 1020037010698A KR 20037010698 A KR20037010698 A KR 20037010698A KR 100714373 B1 KR100714373 B1 KR 10071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oam
polymer
furan
foam
pheno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444A (ko
Inventor
퀴스트페르인그마
죤안토니자콥
Original Assignee
스티로펜 인터네쇼날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로펜 인터네쇼날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스티로펜 인터네쇼날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30081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22Foaming unrestricted by cavity walls, e.g. without using moulds or using only internal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8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several expanding or mould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36Furfur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36Forming foamed products using b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mixing gases into liquid compositions or plastisols, e.g. frothing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3Agglomerating foam fragments, e.g. waste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5Composite foams, i.e. continuous macromolecular foams containing discontinuous cellular particles or fra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8Expandable particles, beads or gran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된 페놀/푸란(phenolic/furan) 폴리머의 연속상(continuous phase)과 발포된 폴리스티렌 폴리머의 분산상(disperse phase)을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포체는 25 - 50㎏/㎥ 범위의 우수한 밀도를 가지며, 우수한 열절연성(thermal insulation)과 방화성(fire resistant properties)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이 든다.

Description

폴리머 복합 발포체{Polymeric composite foam}
본 발명은 폴리머 복합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머 복합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액상 조성물 및 이러한 발포체로 제조되는 절연패널(insulating panel)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발포체는 건축구조물의 단열 및 방음을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폴리스티렌 발포체와 같은 폴리머 발포체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절연값이 높으며 제조비용이 낮기 때문에 냉장실 및 공장의 절연패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틸 시이트내에 봉입되는 심재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절연패널의 주요 단점은 불에 타거나 녹기 쉬워서 구조강도의 상실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한편, 페놀(phenolic) 발포체 및 푸란(furan) 발포체는 내화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기계적 특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스틸 피복 패널의 심재로 사용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들은 매우 딱딱하고 절단 표면이 부스러지기 쉽다.
페놀 및 푸란 발포체가 안고 있는 또한 문제점은 스틸 시트에 대한 접착성이 크다는 것이다.
영국특허출원 GB 2013209A는 축중합성 수지로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인용발명에서는 수지의 팽창 또는 발포를 수지의 중합 또는 축중합과정과 분리하고 있다. 이는 수지의 중합 또는 경화 전에 팽창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중합 전에 팽창을 일으키는 것을 요하기 때문에 외부 열을 필요로 한다. 그 조성에는 폴리스티렌 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드는 팽창된 형태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폴리스티렌 비드가 팽창하기에는 너무 낮은 온도인 60도 정도에서 축중합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폴리스티렌 비드를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스티렌의 연화점(softening temperature) 또는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에 가까운 온도가 요구된다. 상기 인용발명은 경화/중합 공정들이 연결되는 것으로부터 인지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복잡한 가열체제를 갖는다. 이것이 축중합상의 경화/중합이 분리되는 이유이고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가 사용되는 이유이다.
벨기에특허출원 BE 865001은 앞서 설명한 영국특허와 유사한 것으로서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해서 복합 발포체를 제조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 가열은 폴리스티렌 입자의 변형에 요구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제한된다.
러시아 특허출원 SU 585189도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사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독일특허출원 DE 19910257은 5∼50중량%의 팽창성 흑연을 포함하는 내화 폴리머 발포체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이 조성물은 주형(mould)에 액상 혼합물을 넣고 외부 스팀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실시예에서는 팽창된 폴리스티 렌 비드를 사용하고, 페놀 수지 대 폴리스티렌 비는 0.5 보다 작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한 형태는 발포된 페놀 또는 푸란(페놀/푸란) 폴리머의 연속상과 발포된 폴리스티렌 폴리머의 분산상을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이며, 상기 복합 발포체는 팽창되지 않은 발포성(foamable) 폴리스티렌 비드 5-50중량%와 페놀/푸란 수지 50-95중량%를 함유하는 액상 발포성 조성물을 캐탈라이즈(catalyse)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캐탈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은 외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의 적용을 요함이 없이 페놀/푸란 수지를 중합하고 폴리스티렌 폴리머를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 본 복합 발포체중 폴리스티렌 폴리머의 중량퍼센트는 5-50, 보다 바람직하게 10-40이다.
바람직하게, 본 복합 발포체는 25-200㎏/㎥의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복합 발포체는 25-50㎏/㎥의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본 복합 발포체는 50-200㎏/㎥의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른 형태는 스틸피복 절연패널(steel clad insulation panel)이며, 본 패널은 페놀/푸란 폴리머의 연속상과 발포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분산상을 포함하는 복합 발포체를 심재(core)로 가지며, 페놀/푸란 폴리머 대 폴리스티렌의 중량비가 적어도 1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형태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mass)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본 방법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5-50중량%, 페놀/푸란 수지 50-95중량% 및 유효량의 촉매를 함유하는 액상 발포성 조성물을 상기 매스 형상의 임시주형(temporary mould)에 넣고, 액상 조성물이 팽창을 개시한 후에 주형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캐탈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은 외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의 적용을 요함이 없이 페놀/푸란 수지를 중합하고 폴리스티렌 폴리머를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수지는 열경화성 합성 수지이다. 이러한 열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어 페놀, 치환된 페놀 또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푸르푸랄과 같은 알데히드와 푸르푸릴알코올의 축합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페놀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다른 물질에 의해서 치환된 페놀, 크레졸과 같은 페놀류 화학물질 또는 리그닌 또는 탄닌과 같은 천연 페놀계 화합물로 대체할 수 있다. 특히 탄닌은 본 발명에서 저가의 수지 익스텐더로서 상당량 사용될 수 있는 반응성 물질이다. 푸르푸릴 알코올은 푸란 분자구조, 즉 4개의 탄소와 1 개의 산소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다른 반응성 화합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는 0, 1 또는 2개의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고, 이중에서 2개의 이중결합은 본 화힙물을 보다 반응적이고 고온에 노출될 때 보다 용이하게 탄화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포름알데히드도 다른 알데히드들로 대체할 수 있으나 이들은 포름알데히드에 비해 고가이고 반응성이 낮아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적합한 페놀 수지의 주종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이다. 이 수지는 통상적으로 염기 촉매 존재하에 50-100℃에서 페놀과 포름알데히드 37-50% 수용액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가장 유용한 페놀수지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페놀성분과 하나의 알데히드 성분을 포함하는 페놀-알데히드 수지가 된다.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페놀 수지의 일반적인 두 형태는 노볼락(novolak)과 레졸(resol)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레졸 수지는 수성상에서 그리고 알카리 촉매존재하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놀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데히드 과량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과량의 알데히드는 요구되는 레진 형태에 작게 또는 크게 영향을 미친다.
통상적으로 노볼락은 페놀 과량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노볼락 수지 분자는 포름알데히드의 추가 부가시 및 다른 페놀분자에 형성된 알콜기의 직접축합시 일반식 H[C6H3(OH)CH2]n 을 가지는 선형 화합물뿐만 아니라 벤젠고리의 일부가 산성 조건하에 3개의 메틸렌 가교연결을 가지는 가지형 폴리머를 제공하는 디히드록시페닐메탄으로부터 구성된다. 노볼락은 또한 알칼리조건하에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양자의 노볼락 형태는 페놀 발포체를 생산할 목적으로 분리되어서 또는 원 위치에 만들어진 레졸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페놀이란 용어는 페놀자체(순수 또는 기술적 등급 페놀을 포함) 뿐만 아니라 레소시놀, 크레졸, 자이레놀, 클로로페놀, 비스페놀-A, 알파-나프톨, 베타-나프톨 등과 이들의 부가 혼합물과 같은 다른 페놀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푸란 수지는 그 분자구조에 0, 1 또는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푸란 고리가 있는 화합물을 적어도 10중량%를 함유하는 액상 수지로서 정의되며, 이러한 이중결합은 열에 의해 또는 산성촉매의 부가에 의해 경화되어 열경화성 고체로 형성될 수 있다.
푸란수지는 약간의 푸르푸릴 알코올 또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545,82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푸르푸릴 알코올의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페놀 또는 푸르푸릴 알코올과 반응을 위하여 사용되는 알데히드는 통상적으로 약 1 내지 8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 약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알데히드의 구체적인 예로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오닉 알데히드, 푸르푸랄, 벤즈알데히드 등과 이들의 부가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의 전후관계를 고려할 때 포름알데히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시중에서 구입하기 쉬운 포름알데히드의 형태로는 통상적으로 포름알데히드 30-52중량% 수용액인 포르말린; 포르알데히드의 고체상 선형 폴리머인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의 고체상 환형 트리폴리머인 트리옥산이 있다. 여기서 포름알데히드라는 용어는 페놀 또는 푸르푸릴알코올과 반응을 위한 포름알데히드의 상기한 원료 및 다른 원료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액상 페놀-알데히드 수지 발포체를 안정화시키는데 유용한 임의의 적당한 안정제로부터 선택된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또는 양쪽성일 수 있다. 단, 발포공정을 방해하는 계면활성제는 배제되어야만 한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들의 대부분은 공지이며 수많은 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실리콘-옥시알킬렌 코 폴리머와 같은 실리콘 계면활성제와 폴리에테르 및 폴리알콜과 같은 유기 계면활성제가 있으며,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옥사이드와 같은 알킬렌 옥사이드와 알킬페놀, 지방산, 알킬실란 및 실리콘과의 축합생성물이 포함된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옥타데실페놀, 폴리옥시에틸렌 데실페놀 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페놀,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놀, 폴리옥시에틸렌 리놀레익 애시드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릭 애시드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이 있다.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계면활성제의 양은 간혹 수지 계면장력의 실질적인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수지의 1중량% 이하인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의 페놀 또는 푸란 발포체 성분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대표적인 발포제(blowing agent)에는 물리적 발포제 및 화학적 발포제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발포기술도 포함된다. 바람직한 구현에 있어서, 발포제는 수지 중에 있는 물에 의해 제공되며, 이러한 물은 제조된 수지에 존재하는 것이거나 경화과정에서 생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긴 하나, 페놀수지 또는 푸란 수지는 발포가능한것이 필수적이진 않다. 그러나 제조비용측면 및 열적특성측면에서 발포성인 페놀수지 또는 푸란 수지가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산 촉매로는 인산, 메탄설폰산과 같은 알칸설폰산, 염산, 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적절한 산들은 페놀수지의 경화분야에서 사용되는 것들이다. 이들은 보통 강산으로 특징지워진다. 이 촉매는 또한 페놀설폰산, 벤젠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및 자일렌 설폰산과 같은 방향족 설폰산, 알루미늄클로라이드와 같은 루이스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예에서, 산 촉매는 액상 수지혼합물의 초기 pH를 4 미만으로, 바람직하게 1.5와 3.0 사이로 떨어뜨리기에 충분한 양으로 첨가된다. 또한 소요되는 촉매량은 반응 혼합물의 소망하는 크림 타임(cream time) 및 펌 타임(firm time)을 평가해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발포반응 혼합물중에 함유되는 촉매의 농도는 페놀/푸란 수지의 5중량%와 20중량% 사이가 될 것이다. 이 촉매는 수지를 폴리머로 전환시킨다.
본 액상 수지 조성물은 적합한 반응성을 가져야만 하며, 이는 팽창성 폴리스티렌 비드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발열화학반응에서 충분한 열을 발생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팽창과정은 수지의 온도가 적어도 80℃, 바람직하게 적어도 90℃,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에 도달하지 않는 한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캐탈라이즈(catalysis) 후에 특정한 온도에 도달한다는 것은 1000g의 발포성 수지가 직경 200mm의 10리터의 원통형 용기에 배치될 때 상기 온도가 캐탈리시스 후에 도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저가인 장비로 패널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스팀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외부 열원은 대체적으로 필수적인 것이 아니나, 이러한 외부 열원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캐탈라이즈된 수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증가시키는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푸르프릴 알코올 또는 퍼옥사이드가 있으며, 퍼옥사 이드 중에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가 높은 반응성 및 낮은 제조단가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단, 이러한 첨가제의 사용은 수지가 발열시험 부합의 관점에서 적합한지 아닌지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발포체에 관한 선행기술에서 기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한 물성을 향상시키거나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기타 첨가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소, 브롬, 보론, 인 또는 암모니아 등을 함유하는 난연제(fire retardant)를 첨가하여 방화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독일특허출원 DE 19910257A1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팽창성 흑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흑연은 화재시에 마주치게 되는 고온에 노출될 때 팽창한다. 상기 특허출원은 또한 멜라민의 혼합물, PVA 코폴리머, 멘타에리스리톨 및 암모늄 포스페이트와 같은 팽창성(intumescent) 첨가제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첨가제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 다른 첨가제들도 본 발명에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퍼라이트, 플라이애쉬, 버미큘라이트 등과 같은 저가의 충전재(filler)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는 수지 발포체 성분의 평균 셀 크기를 줄여 줄 수 있는 결정핵생성제(nucleating agent)로서 작용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축합에 수반되는 부가 반응으로서 당 분야에 잘 알려진 2단계 반응에서 페놀 및 푸르푸릴 알코올처럼 알데히드와 반응할 수 있는 요소, 멜라민 및 기타 질소 함유 화합물도 그 자체로서 또는 알데히드, 바람직하게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생성물로서 사용되어 페놀 또는 푸란 수지의 일부를 대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포성 혼합물에 중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무수 보락 스와 같은 서용해성 염(slow dissolving salt)이 있다. 본 명세서에는 미국특허 제 4,122,045호에 기술되는 방법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적합한 폴리스티렌 폴리머로는 부풀어져 폴리스티렌 발포체 비드를 형성시킬 수 있는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티렌 폴리머가 있다. 단독 모노머로서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중합성 모노머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폴리머도 본 명세서상의 폴리스티렌이라는 용어에 포함되는 것이다. 스티렌은 항상 폴리스티렌 폴리머의 주성분으로 존재한다. 또한, 폴리스티렌 폴리머는 난연제를 첨가하여 개질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헌츠만(Huntsman)사에서 스파셀(Spacel) 4940 및 스파셀 7740이라는 상명으로 공급되는 비드와 같이 난연제를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비드이다.
본 발명은 팽창되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드는 본 액체 조성물의 레올로지 및 유동 특성을 다루기가 훨씬 용이하기 때문에 폴리스티렌을 최종 복합 발포체에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혼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팽창된 폴리스티렌이 사용된다면 쏟아 부을 수 있는 혼합물의 사용시 폴리스티렌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복합 발포체에 혼입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폴리스티렌 발포제 및 발포기술은 액상의 물리적 발포제이며, 이 발포제는 발열반응 중에 기화를 통해 또는 분해를 통해 발포가스를 생성하는 휘발성 액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많은 종류의 발포제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상적으로, 발포제는 -50℃ 내지 100℃의 대기압 비점(atmospheric pressure boiling point)을 가진 액체, 보다 바람직하게 0℃ 내지 50℃의 액체이어 야 한다.
휘발성 발포제의 예로는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및 에테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이 있다. 탄화수소 발포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프로판, 펜탄, 이소펜탄 및 헥산이 있으며, 이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펜탄이다.
발포제는 폴리스티렌 발포체가 원하는 밀도를 갖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단일 패스 공정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스팀이 취입될 때 약 13-20㎏/㎥의 밀도로 팽창되는 팽창성 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서 그리고 산업실례에 의하면, 이러한 밀도는 꽉 차게(packed)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밀도라 칭한다. 패킹밀도(packing density)를 허용하기 위해, 팽창된 비드의 실제 밀도는 약 50% 더 큰 20-30㎏/㎥이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페놀 발포체 상의 밀도는 폴리스티렌 발포체의 것보다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비를 표현함에 있어서 두 상의 실제밀도의 비라 칭하기로 한다. 페놀 발포체의 밀도가 낮을수록 제조단가는 낮게 되나 기계적 성질은 불량하게 된다. 일반용도의 절연 패널의 경우 발포체는 밀도 25-50㎏/㎥ 정도가 적절한 강도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나. 이보다 낮은 밀도가 유용할 수도 있다. 최대한의 방화성 및/또는 구조강도를 요하는 용도의 경우에는 보다 높은 밀도, 예를 들어 50-200㎏/㎥ 또는 그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 폴리머 상과 페놀/푸란 폴리머 상의 상대적인 중량비가 본 발명에서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이 비는 액상 발포성 조성물의 조성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이러한 계산을 함에 있어서, 페놀/푸란 상은 촉매, 충전재, 물, 계면활성 제 및 난연제와 같은 모든 첨가제를 포함하며, 폴리스티렌 비드만을 제외한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본 복합 발포체에서 폴리스티렌 폴리머 상과 페놀/푸란 폴리머 상의 실제 상대적 중량비는 위에서 계산된 상대적 비와 약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차이는 휘발성성분의 상실이 원인이 된다. 그렇지만, 상기 방법은 편의상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특징은 페놀, 폴리우레탄 및 팽창된 폴리스티렌(EPS)와 같은 다른 강성 발포체와는 달리 프리라이즈(pre-rise) 발포 혼합물이 형상"기억(memory)" 보유 능력이 있어서 프리라이즈 발포성 혼합물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완전팽창된 최종물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동일형상"은 길이:폭:높이의 비가 프리라이즈 혼합물과 최종팽창된 발포체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프리라이즈 형상의 "기억"은 매우 유리한 특징인데 그 이유는 발포체를 극히 간단하면서도 저가인 장비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포장에 사용되는 카드보드박스(cardboard box)를 임시 주형(mould)으로 사용하여 상업용 규모의 블럭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박스의 4개의 수직코너는 세로로 베어서 수직측면들 모두가 펴져 수평이 되게 하고 플로어에 놓여지게 하여야 한다. 박스의 네 측면들은 발포성 혼합물을 박스에 주입하고 부품 또는 팽창을 개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 정도만 수직 위치(즉, 박스를 형성하는)로 유지되게 하여야 한다.
팽창개시 후에, 박스의 네 수직측면들은 펴져 수평이 될 수 있어서 발포체가 입체상으로 팽창하는 한편, 초기 형상, 즉 길이:폭:높이의 비를 거의 유지하게 된 다. 이와 같이 폐기할 수도 있고 접을 수도 있는 박스 또는 주형이 임시주형의 한 사용례이다. 임시주형의 또 한 예는 부서지기 쉽거나 용융가능한 벽을 가지는 접시류이다. 발포성 조성물이 발열하기 시작한 후, 온도 또는 압력은 벽을 녹이거나, 약하게 하나 또는 파열하는 정도에 도달하여서 팽창하는 발포성 조성물이 더 이상 임시주형의 벽에 제한되지 않게 된다. 팽창하는 발포성 조성물이 더 이상 벽에 제한되지 않을 때, 그 벽은 제거된 것으로 간주된다. 벽의 제거는 용융 또는 파열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고 조작자의 물리적인 개입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폐기가능하거나 또는 접을 수 있는 벽은 용융가능한 유지수단에 의해 주형를 한정하는 형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발포성 조성물이 발열하면서 팽창할 때 유지수단을 파열시키거나 주형의 벽이 외부로 늘어지게 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하여 팽창하는 매스(mass)가 제한되지 않게 한다. 팽창을 개시할 때만 캐탈라이즈된 액상 발포성 조성물을 공간적으로 한정하는 장치인 임시주형은 연속라인, 예를 들어 블록의 연속생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임시주형은 롤에서 공급되는 종이를 기계적으로 접어서 팽창을 개시하기에 충분히 길도록 캐탈라이즈된 액상 조성물의 적당량을 한정하는 구유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스의 변형에 있어서, 캐탈라이즈된 액상 발포성 조성물을 넣은 임시주형은 제2 또는 외부주형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주형은 한면이 개방되거나 완전히 둘러막히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외부주형내에서 임시주형을 사용하면 본 복합 발포체의 최종 면들이 보다 균일하게 되고 재생산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다듬는 작업이 덜 요구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러한 간단한 방법을 사용하여 발포체 팽창의 벌크를 공간적인 제한 없이 일으킬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유용한 크기의 블록을 1㎥를 초과하여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적어도 2차원(페놀 및 폴리우레탄 발포체)에서, 심지어 3차원(팽창된 폴리스티렌 발포체, EPS)에서 공간적 제한을 요하는 다른 플라스틱 블록 발포체와는 정 반대이다. EPS의 경우에 가압된 스팀의 외부 공급을 추가로 요하며, 따라서 복잡하고 고가인 생산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간단한 방법은 본 발명의 발포체로 되는 블록을 생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포체는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생산될 수도 있으나, 단 이때 주형은 팽창하는 발포체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견뎌내기에 충분할 정도고 강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연속라인에서 생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중의 하나는 외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이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한 폴리머 상의 중합으로부터의 발열반응열이 이상 뿐만 아니라 다른 폴리머 상을 발포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것이다. 이는 이러한 역할들의 분리가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해온 앞서 검토한 바 있는 선행기술의 교수와 정반대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페놀수지의 발포를 돕는 핵형성제(nucleating agent)로서 퍼라이트가 포함된 하기 조성을 사용해서 발포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페놀 수지(Huntsman 제품, 등급 IL-1737) 1000g
폴리스티렌 비드(Huntsman 제품, 등급 Spacel 4940) 200g
푸르푸릴알코올 100g
계면활성제(Huntsman 제품, Teric C12) 40g
퍼라이트 10g
75% 페놀 설폰산 140g
85% 인산 60g
* 페놀설폰산과 인산은 예혼합물(Premix)임.
10리터의 용기(bucket)에 상기 산 혼합물을 제외한 모든 성분들을 함께 혼합하고 30℃로 가온하였다. 여기에 상기 산 촉매 혼합물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30초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1분이 채 안되어서 액상 혼합물이 급격하게 팽창하기 시작하였으며, 혼합물의 온도는 100℃에 도달하였다. 짧은 시간에 대략 9리터 용적의 플라스틱 발포체가 생성되었다. 같은 날에 이 발포체에서 샘플을 절취하여 계량하고 측정한 결과 밀도가 151㎏/㎥이었다.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는 모든 절단면에서 명백하게 보였으며 대부분의 직경은 1 내지 2mm이었다. 평균크기를 측정한 바 1.8㎣의 용적에 해당하는 1.5mm이었다. 팽창되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의 평균 용적이 겨우 약 0.05㎣이기 때문에, 팽균팽창은 원래 용적의 36배가 되었다. 팽창되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의 비밀도(specific density)가 1000㎏/㎥이었으며, 팽창된 비드의 평균 비밀도는 계산결과 28㎏/㎥이었다. 이 혼합물중의 폴리스티렌의 중량비는 13%(=200g/1550g)이므로, 폴리스티렌의 중량성분은 151㎏/㎥의 13%인 20㎏가 된다. 페놀/푸란 폴리머상의 중량비는 87%로 계산되었다.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내의 페놀/푸란 폴리머 상의 평균 비밀도는 미리 계산한 결과 28㎏/㎥이었으며, ㎥당 중량 20㎏은 20:28㎥=0.71㎥의 용적, 즉 용적분율 71%를 나타낸다.
본 발포체는 그 절취면이 선행기술의 페놀 발포체처럼 부서지지 않았고, 불꽃(flame) 시험에서 폴리스티렌 발포체처럼 녹거나 타지 않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더 높은 폴리스티렌 함유량의 효과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하기 조성물을 사용해서 발포성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페놀 수지(Huntsman 제품, 등급 IL-1737) 1000g
폴리스티렌 비드(Huntsman 제품, 등급 Spacel 4940) 400g
푸르푸릴알코올 100g
계면활성제(Huntsman 제품, Teric C12) 40g
퍼라이트 10g
75% 페놀 설폰산 140g
85% 인산 60g
* 페놀설폰산과 인산은 예혼합물(Premix)임.
10리터의 용기(bucket)에 상기 산 혼합물을 제외한 모든 성분들을 함께 혼합하고 30℃로 가온하였다. 여기에 상기 산 촉매 혼합물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30초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1분이 채 안되어서 액상 혼합물이 급격하게 팽창하기 시작하였으며, 혼합물의 온도는 100℃에 도달하였다. 짧은 시간에 대략 14리터 용적의 플라스틱 발포체가 생성되었다. 같은 날에 이 발포체에서 샘플을 절취하여 계량하고 측정한 결과 밀도가 98㎏/㎥이었다.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다수는 모든 절단면에서 명백하게 보였으며 대부분의 직경은 1 내지 2㎜이었고, 평균직경은 1.5㎜이었다.
혼합물중 측정된 폴리스티렌의 중량비는 23%이었고, 용적비는 81%이었다. 측정된 페놀릭/푸란 폴리머의 중량비는 77%이었다.
본 발포체는 그 절취면이 선행기술의 페놀 발포체처럼 부서지지 않았고, 불꽃(flame) 시험에서 폴리스티렌 발포체처럼 녹거나 타지 않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더 높은 농도의 푸르푸릴 알코올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 결과 발포체가 더 많이 팽창하고 더 낮은 밀도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푸란수지의 사용을 설명한다.
페놀 수지(Huntsman 제품, 등급 IL-1737) 1000g
폴리스티렌 비드(Huntsman 제품, 등급 Spacel 4940) 400g
푸르푸릴알코올 150g
계면활성제(Huntsman 제품, Teric C12) 40g
퍼라이트 10g
75% 페놀 설폰산 140g
85% 인산 60g
* 페놀설폰산과 인산은 예혼합물(Premix)임.
10리터의 용기(bucket)에 수지, 폴리스티렌 비드, 푸르푸릴 알코올, Teric C12 및 퍼라이트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30℃로 가온하였다. 여기에 상기 산 촉매 혼합물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30초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1분이 채 안되어서 액상 혼합물이 급격하게 팽창하기 시작하였으며, 혼합물의 온도는 103℃에 도달하였다. 짧은 시간에 대략 20리터 용적의 플라스틱 발포체가 생성되었다.
같은 날에 이 발포체에서 샘플을 절취하여 계량하고 측정한 결과 밀도가 74㎏/㎥이었다. 4주 후 다시 계량한 그 샘플은 성숙(mature) 밀도가 67㎏/㎥에 해당하는 10%의 중량손실을 보여준다. 대부분 과도한 수분과 혹은 폴리스티렌 비드내의 펜탄 제거제(pentane blowing agent)에 의해 중량 손실이 일어났을 것이다.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는 모든 절단면에서 명백하게 보였으며 대부분의 직경은 1.0 내지 2.5mm이었다. 평균크기를 측정한 바 1.8㎣의 용적에 해당하는 1.5㎜이었다. 팽창되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의 평균 용적이 겨우 약 0.05㎣이기 때문에, 팽균팽창은 원래 용적의 36배가 되었다. 따라서, 팽창되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의 비밀도(specific density)가 1000㎏/㎥이었으며, 팽창된 비드의 평균 비밀도는 계 산결과 28㎏/㎥이었다. 이 혼합물중의 폴리스티렌의 중량퍼센트는 22%(=400g/1800g)이므로, 폴리스티렌의 중량성분은 74㎏/㎥의 22%가 된다.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비밀도는 미리 계산한 결과 28㎏/㎥이었으며, 중량 16㎏은 16/28=0.57㎥의 용적, 즉 용적분율 57%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명시된 중량뿐만 아니라 용적율 면에서 보면 복합발포체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상을 중량당 22%로 나타내지 않고 용적당 57%를, 페놀릭/푸란 발포체 상을 중량당 78%로 나타내지 않고 용적당 43%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어질 수 있다. 계산된 페놀릭/푸란 발포체 성분은 134㎏/㎥(0.78
Figure 112003029955737-pct00001
74/0.43㎏/㎥; 숙성중 휘발성물질의 손실 전)의 비밀도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페놀릭/푸란 발포체 성분의 밀도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밀도보다 더 높은 4.8배(134/28)이었다.
본 발포체는 그 절단면이 선행기술의 페놀 발포체처럼 부서지지 않았고, 불꽃(flame) 시험에서 폴리스티렌 발포체처럼 녹거나 타지 않았다. 복합발포체 3/4의 용적에 해당하는 것이 불꽃(flame)시험에서 토출될 때 즉시 녹거나 타버린 폴리스티렌 발포체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놀라운 것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게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고 페놀 수지를 발포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페놀 수지(Borden 제품, Cascophen PA 2027) 1000g
폴리스티렌 비드(Huntsman 제품, 등급 Spacel 4940) 600g
75% 페놀 설폰산 140g
85% 인산 60g
* 페놀설폰산과 인산은 예혼합물(Premix)임.
10리터의 용기(bucket)에 수지와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하고 30℃로 가온하였다. 여기에 상기 산 촉매 혼합물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30초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1분이 채 안되어서 액상 혼합물이 급격하게 팽창하기 시작하였으며, 혼합물의 온도는 102℃에 도달하였다. 짧은 시간에 대략 22터 용적의 플라스틱 발포체가 생성되었다. 이 발포체에서 샘플을 절취하여 계량하고 측정한 결과 밀도가 61㎏/㎥이었다. 4주 후 다시 계량한 그 샘플은 성숙(mature) 밀도가 55㎏/㎥에 해당하는 10%의 중량손실을 보여준다. 대부분 과도한 수분과 혹은 폴리스티렌 비드내의 펜탄 제거제(pentane blowing agent)에 의해 중량 손실이 일어났을 것이다.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는 모든 절단면에서 명백하게 보였으며 대부분의 직경은 1 내지 2.5㎜이었다. 평균크기를 측정한 바 1.8㎣의 용적에 해당하는 1.5㎜이었다. 팽창되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의 평균 용적이 겨우 약 0.05㎣이기 때문에, 팽균팽창은 원래 용적의 36배가 되었다. 따라서, 팽창되지 않은 폴리스티렌 비드의 비밀도(specific density)가 1000㎏/㎥이었으며, 팽창된 비드의 평균 비밀도는 계산결과 28㎏/㎥이었다.이 혼합물중의 폴리스티렌의 중량퍼센트는 34%(=600g/1740g)이므로, 폴리스티렌의 중량성분은 61㎏/㎥의 34%인 21㎏/㎥이었다. 팽창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평균 비밀도는 미리 계산한 결과 28㎏/㎥이었으며, 중량 21㎏은 21/28=0.75㎥의 용적, 즉 용적분율 75%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명시된 중량뿐만 아니라 용적율 면에서 보면 복합발포체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상을 중량당 34%로 나타내지 않고 용적당 75%, 페놀릭 발포체 상을 중량당 66%로 나타내지 않고 용적당 25%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질 수 있다. 계산된 페놀릭 발포체 성분은 161㎏/㎥(0.66
Figure 112003029955737-pct00002
61/0.25㎏/㎥; 숙성중 휘발성물질의 손실 전)의 비밀도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페놀릭/푸란 발포체 성분의 밀도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밀도보다 더 높은 5.8배(161/28)이었다.
본 발포체는 그 절단면이 선행기술의 페놀 발포체처럼 부서지지 않았고, 불꽃(flame) 시험에서 폴리스티렌 발포체처럼 녹거나 타지 않았다. 복합발포체 3/4의 용적에 해당하는 것이 불꽃(flame)시험에서 토출될 때 즉시 녹거나 타버린 폴리스티렌 발포체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놀라운 것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매우 저밀도 즉, 30㎏/㎥이하의 복합 발포체 생산에 사용되어질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페놀 수지(Huntsman 제품, 등급 IL-1737) 3,000g
푸란 수지(Feseco 제품, 등급 NBB101) 1,200g
폴리스티렌 비드(Huntsman 제품, 등급 Spacel 7740) 3,900g
암모늄 포스페이트 600g
50% 황산 270g
81% 인산 270g
50% 하이드로젠 퍼옥사이드 60g
* 황산과 인산은 예혼합물(Premix)임.
플라스틱백이 삽입된 25리터의 용기(bucket)에 페놀 수지, 푸란 수지 및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하고 31℃로 가온하였다. 여기에 상기 산 촉매 혼합물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45초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함유하는 플라스틱백은 큰 압력없이 일어나기 위한 발포체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용기밖으로 당겨졌다. 그 팽창은 5분이 채 안되어서 본질적으로 완료되었다. 2시간 후 절취된 샘플은 25㎏/㎥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목할 만 하게도, 이러한 저밀도의 편평한 발포체 절단면은 선행기술의 페놀 발포체처럼 부서지지 않았고, 불꽃(flame) 시험에서 폴리스티렌 발포체처럼 녹거나 타지 않았다. 본 실시예는 통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푸란 수지, 난연제 및 과산화물을 혼합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발생된 발열성 열을 증가시키는 첨가물의 한 예이다.
[실시예 6]
프리라이즈(pre-rise) 형상의 기억(memory)을 가지는 본 발명 발포체의 특성을 예시한 것이다.
페놀 수지(Huntsman 제품, 등급 IL-1737) 30,000g
푸란 수지(Feseco 제품, 등급 NBB101) 6,000g
폴리스티렌 비드(Huntsman 제품, 등급 Spacel 4940) 3,900g
암모늄 포스페이트 2,700g
50% 황산 2,700g
81% 인산 2,700g
* 황산과 인산은 예혼합물(Premix)임.
100리터 드럼에 첨가된 페놀 수지, 푸란 수지, 암모늄 포스페이트 및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하고 27℃로 가온하였다. 여기에 상기 산 촉매 혼합물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40초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후, 600×600×300㎜(세로×가로×높이) 사이즈의 카드보드 박스(cardboard box)에 쏟아부었다.
상기 카드보드 박스는 플라스틱 시이트가 삽입되어 있고, 4개의 수직의 모서리가 세로로 잘려져 있었으며, 편평한 상태 즉, 바닥위에 얹혀놓아 펼쳐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1분이내에 이루어지는 반발이 시작될 때까지 상기 카드보드 박스의 4개면은 수직의 상태(박스를 형성하기 위해서)를 유지하였다. 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놓여져 있는 상기 카드보드 박스의 면은, 사용되어지는 발포체에 의해 빠르게 편평한 위치로 밀어내어졌다. 주목할 만하게도, 지지되어 있지 않은 발포체는 모든 방향으로 팽창되었고, 대체로 프리라이즈(pre-rise)의 형상을 유지하였으며, 사이즈 1.2×1.2×0.6m의 충분히 팽창된 블록이 되었고, 대부분 직각면들을 가지고 있었다. 절단된 발포체의 샘플은 42㎏/㎥의 밀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의도 및 목적내에서의 변경은 당업자에 의해 즉시 실행되어 질 수 도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시된 개개의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포체로 되는 블록을 생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포체는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생산될 수도 있으나, 단 이때 주형은 팽창하는 발포체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견뎌내기에 충분할 정도고 강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연속라인에서 생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중의 하나는 외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이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Claims (21)

  1. 푸란 폴리머 또는 페놀성 및 푸란 폴리머의 연속상과 발포된 폴리스티렌 폴리머의 분산상을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로서, 상기 복합 발포체는 팽창되지 않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5-50중량%와, 캐털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푸란 수지, 페놀수지 및 푸란 수지, 및 페놀수지 및 푸르푸릴 알코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 50-95중량%를 함유하는 액상 발포성 조성물의 반응을 캐털라이즈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캐털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은 외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을 요함이 없이 상기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을 중합하고 폴리스티렌 폴리머를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란 수지가 푸르푸릴 알코올 또는 푸르푸릴 알코올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합 발포체중 폴리스티렌 폴리머의 중량퍼센트가 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합 발포체중 폴리스티렌 폴리머의 중량퍼센트가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합 발포체가 25-200㎏/㎥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합 발포체가 25-50㎏/㎥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합 발포체가 50-200㎏/㎥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상의 푸란 폴리머 또는 페놀성 및 푸란 폴리머가 발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9. 푸란 폴리머 또는 페놀성 및 푸란 폴리머의 연속상과 발포된 폴리스티렌 비드의 분산상을 포함하는 복합 발포체를 심재로 가지며, 연속상 대 분산상의 중량비가 적어도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피복 절연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푸란 폴리머 또는 페놀성 및 푸란 폴리머가 발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피복 절연패널.
  11.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캐털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5-50중량%, 페놀성 및/또는 푸란 수지 50-95중량% 및 유효량의 촉매를 포함하는 액상 발포성 조성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캐탈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은 외부 열원 또는 에너지원을 요함이 없이 상기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을 중합하고 폴리스티렌 폴리머를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성 및/또는 푸란 수지에 푸르푸릴 알코올을 혼합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털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이 폴리머 복합 발포체 형태의 주형에 넣어지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액성 조성물이 팽창된 후 제거되는 임시 주형인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주형은 외부 주형 위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주형은 팽창 후에 복합 발포체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의 제조방법.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성 및/또는 푸란 폴리머가 발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매스의 제조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털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이 적어도 80℃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털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이 적어도 90℃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털라이즈된 발포성 조성물이 적어도 100℃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제, 팽창성 흑연, 팽창제 및 충전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화재에 노출시에 암모니아 가스를 방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복합 발포체.
KR1020037010698A 2001-02-14 2002-02-14 폴리머 복합 발포체 KR100714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3091A AUPR309101A0 (en) 2001-02-14 2001-02-14 Polymeric composite foam
AUPR3091 2001-02-14
PCT/AU2002/000152 WO2002064672A1 (en) 2001-02-14 2002-02-14 Polymeric composite fo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444A KR20030081444A (ko) 2003-10-17
KR100714373B1 true KR100714373B1 (ko) 2007-05-02

Family

ID=382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698A KR100714373B1 (ko) 2001-02-14 2002-02-14 폴리머 복합 발포체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2) US20040115455A1 (ko)
EP (1) EP1368421B1 (ko)
JP (1) JP4168418B2 (ko)
KR (1) KR100714373B1 (ko)
CN (1) CN1249134C (ko)
AP (1) AP1627A (ko)
AT (1) ATE377041T1 (ko)
AU (2) AUPR309101A0 (ko)
BR (1) BR0207250B1 (ko)
CA (1) CA2438303C (ko)
CY (1) CY1107869T1 (ko)
CZ (1) CZ20032175A3 (ko)
DE (1) DE60223228T2 (ko)
DK (1) DK1368421T3 (ko)
EA (1) EA006962B1 (ko)
ES (1) ES2296904T3 (ko)
HK (1) HK1060364A1 (ko)
HU (1) HU226899B1 (ko)
IL (2) IL157212A0 (ko)
MX (1) MXPA03007230A (ko)
NO (1) NO333855B1 (ko)
NZ (1) NZ527196A (ko)
OA (1) OA12447A (ko)
PL (1) PL206957B1 (ko)
PT (1) PT1368421E (ko)
SK (1) SK288044B6 (ko)
UA (1) UA75637C2 (ko)
WO (1) WO2002064672A1 (ko)
ZA (1) ZA2003060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12279B (de) * 2003-04-14 2004-12-27 Intumex Gmbh Im brandfall ein zweites mal expandierende weichschaumstoffe auf basis von styrol-butadien, polyvinylalkohol oder neopren
DE102004016081A1 (de) 2004-03-30 2005-10-20 Basf Ag Wärmedämmverbund mit verbesserter Thermostabilität und verbessertem Brandverhalten
US7204878B2 (en) * 2004-10-14 2007-04-17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Refractory mixes containing condensed tannin and furfuryl alcohol, and their uses
US7211137B2 (en) * 2004-10-15 2007-05-01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Binder composition comprising condensed tannin and furfuryl alcohol and its uses
ITMI20050666A1 (it) * 2005-04-15 2006-10-16 Polimeri Europa Spa Procedimento per il migoioramento del potere isolante di polimeri vinilaromatici espansi e prodotti cosi'ottenuti
US7879926B2 (en) * 2006-12-06 2011-02-01 Boral Materi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latex compositions that include fly ash
CA2687014C (en) * 2007-05-30 2015-10-06 Ineos Nova International Sa Fire retardant polystyrene
DE102009038531B4 (de) * 2009-08-25 2013-08-29 Ead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enolharz-Schäumen unter Verwendung eines gegenüber Mikrowellen empfindlichen Materials,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Schaumstruktur sowie deren Verwendung
CN101709136B (zh) * 2009-12-10 2011-08-03 上海法普罗材料技术有限公司 发泡酚醛树脂组合物
FR2956664B1 (fr) * 2010-02-19 2013-04-26 L Aveyron Composite Atel Nouveaux materiaux composites,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et leurs utilisations
WO2011113795A2 (de) 2010-03-17 2011-09-22 Basf Se Flammgeschützter verbundschaumstoff
US20110230578A1 (en) * 2010-03-17 2011-09-22 Basf Se Flame-retardant composite foam
JP5650920B2 (ja) * 2010-04-09 2015-01-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発泡体
US20110284556A1 (en) * 2010-05-19 2011-11-24 Plymouth Foam, Inc.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US20120029094A1 (en) * 2010-08-24 2012-02-02 Johnson Sr William L Cellular foam additive
WO2012162684A2 (en) * 2011-05-25 2012-11-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losed-cell tannin-based foams without formaldehyde
WO2012162678A2 (en) * 2011-05-25 2012-11-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enolic foams with blowing agent 1, 1, 1, 4, 4, 4-hexafluoro - 2 - butene
WO2012162649A2 (en) * 2011-05-25 2012-11-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ixed tannin-phenolic foams
WO2013096381A1 (en) * 2011-12-19 2013-06-27 Composite Technology Development, Inc. Reflector manufactured using multiple use precision extractable tooling
WO2013177148A1 (en) * 2012-05-21 2013-11-28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Wireless patient positioning and warming device
JP6083789B2 (ja) * 2012-10-12 2017-02-22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
CN103483714A (zh) * 2013-09-12 2014-01-01 林百川 一种聚苯乙烯复合泡沫塑料及其制备方法
CN103554696A (zh) * 2013-10-25 2014-02-05 林百川 聚苯乙烯/呋喃树脂复合泡沫塑料及其制备方法
WO2015153607A1 (en) * 2014-03-31 2015-10-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ally regulated system
CN103965499B (zh) * 2014-05-16 2016-08-24 上海高分子功能材料研究所 酚醛树脂与聚苯乙烯混合发泡制备高阻燃保温板的方法
KR101734453B1 (ko) 2016-05-04 2017-05-24 (주)폴머 코어-쉘형 발포수지 응집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 단열재
EP3794068A4 (en) * 2018-05-07 2022-03-16 Cruz Foam, Inc. BIODEGRADABLE FOAM
BR112021003075A8 (pt) * 2018-08-23 2021-07-20 Bryan Morgan Russell composição polimérica, método para produzir uma composição polimérica, substratos revestidos com uma composição polimérica e aparelho para revestir os substratos com uma composição polimérica
WO2020113334A1 (en) * 2018-12-06 2020-06-11 UNIVERSITé LAVAL Elastomeric composite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2020152843A (ja) * 2019-03-20 2020-09-24 株式会社カネカ 発泡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粒子、ポリスチレン系予備発泡粒子および発泡成形体
RU2731930C1 (ru) * 2019-06-27 2020-09-09 Дмитрий Андреевич Христов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фильных изделий с основой из вспененных полимеров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6682A (en) 1984-05-11 1986-06-24 Benjamin Mosier Method of manufacturing fire retardant polystyrene insulating board
US4714715A (en) 1984-05-11 1987-12-22 Benjamin Mosier Method of forming fir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from plastic foam scrap and the resultant product
DE19910257A1 (de) * 1999-03-08 2000-09-21 Schwenk Daemmtechnik Gmbh & Co Flammhemmend ausgerüstete Schaumstoffe auf Basis von Styrolpolymerisate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6429A (en) * 1944-10-20 1948-08-03 Gen Electric Cellular phenolic resin
US2958905A (en) * 1959-02-05 1960-11-08 Dow Chemical Co Method of fabricating expandable thermoplastic resinous material
US3615972A (en) * 1967-04-28 1971-10-26 Dow Chemical Co Expansible thermoplastic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volatile fluid foaming agent and method of foaming the same
DE2153550A1 (en) * 1971-05-18 1972-11-23 Aero Commerce Gmbh, Zug (Schweiz) Combined polystyrene and phenolic foam - combines good props of both materials
US3842020A (en) * 1971-11-08 1974-10-15 Dow Chemical Co Method of expanding a resole resin containing expandable thermoplastic microspheres and product obtained therefrom
SU453066A1 (ru) * 1971-12-15 1983-07-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строительству магистраль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Композици дл получени пенопласта
DE2333469C2 (de) * 1973-06-30 1975-07-10 Deutsche Texaco Ag, 2000 Hambur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tel- bis grobporigen Phenolharzhartschaumes mit verbesserter Abriebfestigkeit
SU585189A1 (ru) * 1976-04-27 1977-12-25 Институт Геологии Рудн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Петрографии, Минералогии И Геохимии Ан Ссср Композици дл получени пенопласта
FR2413198A1 (fr) * 1977-12-30 1979-07-27 Stratiforme Sa Panneau en resine phenolique expans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SU745539A1 (ru) * 1978-01-24 1980-07-05 Башк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Нефтя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вспененных гранул с непроницаемым покрытием
HU192101B (en) * 1982-02-22 1987-05-28 Muanyagipari Kutato Intezet Freon corrosion-, schock- and cold-resistant composition of polystyrene base having reduced combustibility
JPS62227934A (ja) * 1986-03-28 1987-10-06 ベンジヤミン・モ−ジア− 難燃性ポリスチレン断熱材の製造方法
US4717715A (en) * 1986-06-23 1988-01-05 Smithkline Beckman Corporation ARG7 -ARG8 -vasopressin antagonists
US4837999A (en) * 1987-12-17 1989-06-13 Vance Stayner Prefabricated building panel
US4992254A (en) * 1989-12-07 1991-02-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Low density carbonized composite foams
US5433050A (en) * 1992-01-14 1995-07-18 Atlas Roofing Corporation Vented insulation panel with foamed spacer members
US5735986A (en) * 1995-11-03 1998-04-07 Fell; Barry Michael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oneycomb structural material and apparatus suitable for use there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6682A (en) 1984-05-11 1986-06-24 Benjamin Mosier Method of manufacturing fire retardant polystyrene insulating board
US4714715A (en) 1984-05-11 1987-12-22 Benjamin Mosier Method of forming fir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from plastic foam scrap and the resultant product
DE19910257A1 (de) * 1999-03-08 2000-09-21 Schwenk Daemmtechnik Gmbh & Co Flammhemmend ausgerüstete Schaumstoffe auf Basis von Styrolpolymerisa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0364A1 (en) 2004-08-06
ZA200306005B (en) 2004-09-01
EP1368421B1 (en) 2007-10-31
MXPA03007230A (es) 2005-02-14
DE60223228D1 (de) 2007-12-13
IL157212A (en) 2007-12-03
PT1368421E (pt) 2008-01-14
EA006962B1 (ru) 2006-06-30
SK10262003A3 (sk) 2004-04-06
US20090214853A1 (en) 2009-08-27
JP2004521975A (ja) 2004-07-22
BR0207250A (pt) 2004-07-06
EP1368421A1 (en) 2003-12-10
JP4168418B2 (ja) 2008-10-22
EA200300881A1 (ru) 2003-12-25
UA75637C2 (en) 2006-05-15
AP1627A (en) 2006-07-06
NO20033533D0 (no) 2003-08-11
HU226899B1 (en) 2010-01-28
BR0207250B1 (pt) 2012-02-07
PL206957B1 (pl) 2010-10-29
HUP0303275A3 (en) 2005-11-28
CN1249134C (zh) 2006-04-05
AUPR309101A0 (en) 2001-03-08
DE60223228T2 (de) 2008-08-14
KR20030081444A (ko) 2003-10-17
NZ527196A (en) 2004-03-26
CA2438303A1 (en) 2002-08-22
CN1491254A (zh) 2004-04-21
ATE377041T1 (de) 2007-11-15
OA12447A (en) 2006-05-23
US20040115455A1 (en) 2004-06-17
PL365347A1 (en) 2004-12-27
AU755917C (en) 2003-06-12
NO20033533L (no) 2003-10-08
HUP0303275A2 (hu) 2003-12-29
AU755917B2 (en) 2003-01-02
NO333855B1 (no) 2013-09-30
DK1368421T3 (da) 2008-02-25
CZ20032175A3 (cs) 2004-05-12
EP1368421A4 (en) 2006-10-11
CY1107869T1 (el) 2013-06-19
CA2438303C (en) 2010-02-02
AP2003002839A0 (en) 2003-09-30
SK288044B6 (sk) 2013-02-04
IL157212A0 (en) 2004-02-19
ES2296904T3 (es) 2008-05-01
WO2002064672A1 (en)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373B1 (ko) 폴리머 복합 발포체
US4540717A (en) Resilient foam based on a 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e
RU2470042C2 (ru) Огнестойкий полистирол
CA2506506C (en) A syntactic phenolic foam composition
EP2702119B1 (en) Fire retardant polystyrene
EP1997849A1 (en) Fire retardant polystyrene
JP3970191B2 (ja) 自己消火型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JP6055687B2 (ja)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発泡性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KR20120034638A (ko) 입자상 발포성 폴리스타이렌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80346680A1 (en) Foam composites
NZ745168B2 (en) Foam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