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552B1 -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552B1
KR100710552B1 KR1020020078442A KR20020078442A KR100710552B1 KR 100710552 B1 KR100710552 B1 KR 100710552B1 KR 1020020078442 A KR1020020078442 A KR 1020020078442A KR 20020078442 A KR20020078442 A KR 20020078442A KR 100710552 B1 KR100710552 B1 KR 10071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eutral
film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585A (ko
Inventor
이영근
김영욱
조병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55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의 무기충진제,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의 무기첨가제를 포함하며, 가공후 형성된 필름을 상기 필름에 대하여 10∼50배 무게의 중성의 물(pH측정계 측정값이 6.5∼7.5)에 담그어 상온에서 5분간 용출한 용출액의 pH를 pH측정계로 측정시 5.0∼9.0의 pH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용출액에 페놀프탈레인 지시 용액을 2∼3방울 부여시 진한 보라색/분홍색이 나타나지 않는,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필름은 pH가 중성이면서 수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무기첨가제를 이용하여 가공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 중성 pH를 나타내어 피부 자극이 없는 이점이 있다.
통기성, 필름, 중성, pH, 흡습성, 무기첨가제

Description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Composition for air permeable film of neutral pH without evolving moisture during processing}
본 발명은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pH가 중성이면서 수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무기첨가제를 이용하여 가공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 중성 pH를 나타내어 피부 자극이 없는, pH가 중성이며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기성 또는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경제성이 가장 높고 현재 상업화되어 있는 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무기충진제를 혼합하여 필름 성형 후 일축 또는 이축 연신을 통해 수지와 충진제와의 계면 분리를 이용하여 미세한 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0066672호, 유럽 특허 제0307116호, 유럽 특허 제0459142호, 및 유럽 공개특허 제0779325호에는 폴리올레핀과 여러 가지 무기충진제에 지방산류의 제3물질을 첨가하여 필름의 부드러움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필름의 종방향과 횡방향의 물성상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유럽 특허 제0232060호에는 필름의 후가공상에서 엠보 처리와 같은 특정 기술을 사용하여 통기성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 제4,777,073호에는 필름의 후가공상에서 엠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투습도를 증가시키고 인열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무기충진제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무기충진제들은 친수성 물질로서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강하여 통기성 필름의 원료 생산시 및 생산 후 저장 중에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렇게 흡수된 수분은 통기성 필름 가공 중에 증발되어 필름에 구멍을 발생시키며, 이는 실제 통기성 필름 생산시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이기도 하며, 또한 필름의 품질에 치명적인 결점이 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수분에 의한 구멍의 발생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특별히 특허로 제시되어 있는 방법은 없으나, 실제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별도의 건조 설비를 설치하여 필름 가공 전의 필름 원료를 건조하는 방법과, 필름 원료에 건조목적의 무기첨가제로서 칼슘옥사이드를 소량 첨가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건조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경우, 추가적인 장비의 설치비용이 발생하며, 또한 건조 성능에 있어서도 필름 원료 알갱이 표면에 오염된 수분은 제거가 가능하나, 필름 원료 알갱이 내부에 함유된 수분은 제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수분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조 목적의 무기첨가제로서 칼슘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원료 알갱이 내 부의 수분까지도 제거하는 강력한 건조 성능을 나타내나, 그 자체의 pH가 약 12 정도로서 매우 강한 알카리성을 띄고 있어, 소량 혼합으로도 최종 통기성 필름 제품의 pH를 알카리성으로 만들어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는 현상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일본의 관련 업체에서는 기저귀 및 생리대 등의 모든 통기성 제품에 칼슘옥사이드가 사용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도 생리대 제품에 대해 pH가 중성을 유지하도록 규제되고 있다.
한편, 상기에 인용된 선행 기술에는 통기성 필름을 만드는데 있어 단순히 여러 가지 무기물들을 사용할 수 있음이 언급되어 있을 뿐, 필름 가공중의 수분 문제 및 이에 대한 해결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pH가 중성인 통기성 필름을 만드는데 있어서 건조 기능을 갖는 무기첨가제의 역할이 소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pH가 중성이고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무기첨가제를 이용하여 통기성 필름의 가공중에 빈번히 발생하는 수분 문제를 해결하고, 일회용 기저귀 또는 여성용 생리대와 같은 위생용품에 사용되는 경우 pH에 의한 피부 자극이 없는, pH가 중성인 통기성 필름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H가 중성이고, 가공시 수분에 의한 구멍이 발생되지 않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와,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 칼슘, 황산 바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를 스테아린산계 지방산으로 코팅하여 사용되며, 평균 입도가 0.7~5㎛인 무기충진제 0.1~200중량부,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첨가제 0.1∼200중량부를 포함하며, 가공후 형성된 필름을 상기 필름에 대하여 10∼50배 무게의 중성의 물(pH측정계 측정값이 6.5∼7.5)에 담그어 상온에서 5분간 용출한 용출액의 pH를 pH측정계로 측정시 5.0∼9.0의 pH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용출액에 페놀프탈레인 지시 용액을 2∼3방울 부여시 진한 보라색/분홍색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H가 중성이면서 수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무기첨가제를 이용하여 가공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 중성 pH를 나타내어 피부 자극이 없는, pH가 중성이며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최종 제품의 요구 물성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α-올레핀계수지,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충진제로는 탄산 칼슘, 황산 바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며, 그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충진제의 평균 입도는 0.7∼5㎛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기충진제의 평균 입도가 0.7㎛ 미만이면 통기성 컴파 운드 제조시 혼련성이 떨어져 원하는 물성을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5㎛를 초과하면 통기성 필름 제조시 구멍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불량 발생이 많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무기충진제는 코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스테아린산계 지방산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무기첨가제로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및 실리카 중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무기첨가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수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너무 떨어져 가공중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없으며, 20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문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필름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활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로는 스테아린산 칼슘 또는 스테아린산 아연 단독, 또는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이하인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활제의 함량이 3중량부를 초과하면 통기성 필름 성형시 다이 빌드-업(Die Build-up)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 생산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필름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산화방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인산계 산화방지제 단독, 또는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이하인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 량이 3중량부를 초과하면 산화방지 효과의 증가를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필름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이산화티타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필름의 백색도나 은폐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그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이산화티타늄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문제가 된다.
상술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필름 조성물은 가공후 형성된 필름을 상기 필름에 대하여 10∼50배 무게의 중성의 물(pH측정계 측정값이 6.5∼7.5)에 담그어 상온에서 5분간 용출한 용출액의 pH를 pH측정계로 측정시 5.0∼9.0의 pH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용출액에 페놀프탈레인 지시 용액을 2∼3방울 부여시 진한 보라색/분홍색이 나타나지 않는, pH가 중성이고 가공시 수분에 의한 구멍 발생이 없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pH가 중성이면서 가공시 수분 발생 문제가 없는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 M.I.=2.0, 밀도=0.919, 공중합 단량체=옥텐)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20중량부,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탄 산칼슘(평균입자 1.4㎛) 100중량부, 산화방지제(코오롱유화, Grade명=KB9112C) 1중량부, 스테아린산 아연과 스테아린산 칼슘 (두본화학) 각각 0.5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 2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통기성 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또한,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100중량부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pH=9.0, 평균입자 3.0㎛) 10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컴파운드의 흡습에 의한 문제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온 3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통기성 컴파운드 100중량부에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마스터배치 1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T-다이 필름 성형기(스크류 직경 130㎜)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00∼250℃에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기계 방향으로 2배 일축연신하여 평량이 40g/㎡인 통기성 필름을 제조 하였다. 이로부터 형성된 통기성 필름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 필름 가공 전 수분오염시간 : 통기성 컴파운드 펠렛을 기온 3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 방치하여 수분을 흡습시킨 시간.
△ 수분구멍 발생여부 : 제조된 통기성 필름을 A4용지 크기로 자른 후, 3장을 관찰하여, 이물질이 없는 매끈한 타원형 모양의 구멍이 1개라도 있는 경우 수분 구멍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함.
△ pH측정치 : 가로 세로 각 7.5㎝로 자른 필름 약 2.0g을 10배 무게의 중성의 물(pH측정계 측정값이 6.5∼7.5)에 담근 후, 상온에서 서서히 흔들면서 5분간 용출한 용출액을 pH측정계(Orion Research Inc. USA, Model 420A)로 측정한 값.
△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변색 : 가로 세로 각 7.5㎝로 자른 필름 약 2.0g을 10배 무게의 중성의 물(pH측정계 측정값이 6.5∼7.5)에 담근 후, 상온에서 서서히 흔들면서 5분간 용출한 용출액을 시험관에 반정도 높이로 부어 놓는다. 여기에 페놀프탈레인 지시액(순도 95% 시약용 페놀프탈레인 시약 1g에 95%에탄올 100㎖를 가하여 만든 용액, 또는 순도 95% 시약용 페놀프탈레인 시약 1g에 95% 에탄올 50㎖ 와 중성의 물 50㎖를 가하여 만든 용액)을 2∼3방울 떨어뜨린 직후, 시험관액의 전체적인 색깔 변화를 중성의 물과 함께 비교하여 관찰함.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pH가 중성이면서 가공시 수분 발생 문제가 없는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 M.I.=2.0, 밀도=0.919, 공중합 단량체=옥텐)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20중량부,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탄산칼슘(평균입자 1.4㎛) 100중량부, 산화방지제(코오롱유화, Grade명=KB9112C) 1중량부, 스테아린산 아연과 스테아린산 칼슘 (두본화학) 각각 0.5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 2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통기성 컴파운드를 제조하 였다.
또한,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100중량부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pH=9.5, 평균입자 2.5㎛) 10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컴파운드의 흡습에 의한 문제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온 3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통기성 컴파운드 80중량부에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마스터배치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T-다이 필름 성형기(스크류 직경 130㎜)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00∼250℃에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기계 방향으로 2배 일축연신하여 평량이 55g/㎡인 통기성 필름을 제조 하였다. 이로부터 형성된 통기성 필름의 특성을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pH가 중성이면서 가공시 수분 발생 문제가 없는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 M.I.=2.0, 밀도=0.919, 공중합 단량체=옥텐)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2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탄산칼슘(평균입자 1.4㎛) 10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통기성 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또한,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 M.I.=2.0, 밀도=0.919, 공중합 단량체=옥텐)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20중량부,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pH=8.5, 평균입자 2.0㎛) 10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컴파운드의 흡습에 의한 문제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온 3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통기성 컴파운드 60중량부에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마스터배치 4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T-다이 필름 성형기(스크류 직경 130㎜)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00∼250℃에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기계 방향으로 2배 일축연신하여 평량이 25g/㎡인 통기성 필름을 제조 하였다. 이로부터 형성된 통기성 필름의 특성을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pH가 중성이면서 가공시 수분 발생 문제가 없는 통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 M.I.=2.0, 밀도=0.919, 공중합 단량체=옥텐)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20중량부,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탄산칼슘(평균입자 1.4㎛) 100중량부, 알루미노실리케이트(pH=9.0, 평균입자 3.0㎛) 1중량부, 산화방지제(코오롱유화, Grade명=KB9112C) 1중량부, 스테아린산 아연과 스테아린산 칼슘 (두본화학) 각각 0.5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 2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통기성 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컴파운드의 흡습에 의한 문제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온 3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통기성 컴파운드를 T-다이 필름 성형기(스크류 직경 130㎜)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00∼250℃에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기계 방향으로 2배 일축연신하여 평량이 40g/㎡인 통기성 필름을 제조 하였다. 이로부터 형성된 통기성 필름의 특성을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무기충진제가 과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통기성 컴파운드의 수분 흡습 성질 및 그에 의한 통기성 필름 가공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실험으로 제3의 무기첨가제가 전혀 혼합되지 않은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 M.I.=2.0, 밀도=0.919, 공중합 단량체=옥텐)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2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탄산칼슘(평균입자 1.4㎛) 10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컴파운드의 흡습에 의한 문제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온 3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이 원료를 T-다이 필름 성형기(스크류 직경 130㎜)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00∼250℃에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기 계 방향으로 2배 일축연신하여 평량이 40g/㎡인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로부터 형성된 통기성 필름의 특성을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는 통기성 필름 생산시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건조 목적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칼슘옥사이드를 첨가하였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SK㈜, M.I.=2.0, 밀도=0.919, 공중합 단량체=옥텐) 80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20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으로 표면 처리한 탄산칼슘(평균입자 1.4㎛) 10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통기성 컴파운드를 제조하였다.
또한, 압출 온도가 평균 190℃로 유지되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 M.I.=5.3, 밀도=0.923) 100중량부 및 칼슘옥사이드(평균입자 3.0㎛) 100중량부를 용융 혼합하여 압출시켜 펠렛 형태로 칼슘옥사이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컴파운드의 흡습에 의한 문제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온 30℃,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6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기 통기성 컴파운드 100중량부에 상기 칼슘옥사이드 마스터배치 1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T-다이 필름 성형기(스크류 직경 130㎜)에 투입하여 압출온도 200∼250℃에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기계 방향으로 2배 일축연신하여 평량이 40g/㎡인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로부터 형성된 통기성 필름의 특성을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필름가공전 수분오염시간 6 6 6 12 24 6
수분구멍 발생여부 발생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pH 측정치 7.5 9.3 7.9 8.5 7.8 8.0
페놀프탈레인 지시액 변색 무색 진한 보라색 무색 연한 보라색 무색 연한 보라색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기충진제가 과량으로 함유된 통기성 컴파운드를 이용하여 형성된 필름에서 수분구멍이 발생되고, 통기성 필름 생산시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건조 목적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칼슘옥사이드를 첨가하여 형성된 필름의 경우 pH가 중성인 범위를 벗어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필름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필름은 pH가 중성이고 가공시 수분에 의한 구멍 발생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H가 중성이고 수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무기첨가제를 이용하여 가공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수분에 의한 수분구멍 문제를 해결하고, 중성 pH를 나타내어 피부 자극이 없는 통기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와,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 칼슘, 황산 바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를 스테아린산계 지방산으로 코팅하여 사용되며, 평균 입도가 0.7~5㎛인 무기충진제 0.1~200중량부,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실리카알루미나, 알루미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첨가제 0.1∼200중량부를 포함하며,
    가공후 형성된 필름을 상기 필름에 대하여 10∼50배 무게의 중성의 물(pH측정계 측정값이 6.5∼7.5)에 담그어 상온에서 5분간 용출한 용출액의 pH를 pH측정계로 측정시 5.0∼9.0의 pH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용출액에 페놀프탈레인 지시 용액을 2∼3방울 부여시 진한 보라색/분홍색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α-올레핀계수지,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임팩트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아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활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산계 산화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화방지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의 이산화티타늄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필름 조성물.
KR1020020078442A 2002-12-10 2002-12-10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KR10071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442A KR100710552B1 (ko) 2002-12-10 2002-12-10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442A KR100710552B1 (ko) 2002-12-10 2002-12-10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585A KR20040050585A (ko) 2004-06-16
KR100710552B1 true KR100710552B1 (ko) 2007-04-24

Family

ID=3734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442A KR100710552B1 (ko) 2002-12-10 2002-12-10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454B1 (ko) * 2007-01-11 2014-02-03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난연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0961A (ja) * 1983-05-16 1984-11-29 Nippon Petrochem Co Ltd 抗ブロツキング性フイルム形成用樹脂組成物
JPS63199266A (ja) * 1987-02-12 1988-08-17 Sumitomo Chem Co Ltd 害虫防除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02241A (ja) * 1988-10-11 1990-04-13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9990004212A (ko) * 1997-06-27 1999-01-15 유현식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25195A (ko) * 1998-10-09 2000-05-06 장용균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1290A (ko) * 2000-08-01 2002-02-08 추두련 캘린더가 가능한 데코시트용 폴리프로필렌계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시이트의 제조방법
JP2002293973A (ja) * 2001-03-30 2002-10-09 Tokuyama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0961A (ja) * 1983-05-16 1984-11-29 Nippon Petrochem Co Ltd 抗ブロツキング性フイルム形成用樹脂組成物
JPS63199266A (ja) * 1987-02-12 1988-08-17 Sumitomo Chem Co Ltd 害虫防除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02241A (ja) * 1988-10-11 1990-04-13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9990004212A (ko) * 1997-06-27 1999-01-15 유현식 통기성 필름의 제조방법
KR20000025195A (ko) * 1998-10-09 2000-05-06 장용균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1290A (ko) * 2000-08-01 2002-02-08 추두련 캘린더가 가능한 데코시트용 폴리프로필렌계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시이트의 제조방법
JP2002293973A (ja) * 2001-03-30 2002-10-09 Tokuyama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多孔質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585A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7259C (en) Breath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7060746B2 (en) Particulate carbonate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breathable film
JPS62148537A (ja) 多孔性フイルムの製造法
JPS60129240A (ja) 多孔性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05511838A (ja) 通気性フィルム
US5849001A (en) Porous sheet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KR100773737B1 (ko) 소음이 적고, 은폐력이 향상된 위생용 필름
KR100710552B1 (ko) 가공시 수분 발생이 없는 중성 pH의 통기성 필름 조성물
JPH10292059A (ja) 通気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350222B2 (ja) 透湿性フィルムおよび透湿性フィルム積層体
JP4717343B2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891930B2 (ja) 吸収性物品
KR20090003907A (ko) 통기성 필름
JP3544041B2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多孔性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0645662B1 (ko) 방향능을 갖는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통기성 필름
JP5013857B2 (ja) 透湿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51917A (ja) 多孔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00498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多孔性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0791426B1 (ko) 화장용 지분 제거 시트
KR101357454B1 (ko) 난연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필름의 제조방법
JP2004099665A (ja) 透湿シート
KR100616467B1 (ko) 고투습성 통기성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통기성 필름
WO2004096301A2 (en) Fluid-absorbent compositions and articles, porous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H09268234A (ja)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S62164739A (ja) 透湿性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