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577B1 -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577B1
KR100709577B1 KR1020010038844A KR20010038844A KR100709577B1 KR 100709577 B1 KR100709577 B1 KR 100709577B1 KR 1020010038844 A KR1020010038844 A KR 1020010038844A KR 20010038844 A KR20010038844 A KR 20010038844A KR 100709577 B1 KR100709577 B1 KR 10070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mesh
etching
wafer
poly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104A (ko
Inventor
오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3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5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01L21/32137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of silicon-contain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식각층이 형성된 웨이퍼를 플라즈마 식각장비내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퍼 상부에 웨이퍼를 덮도록 제1메쉬와 제2메쉬를 차례로 설치하는 단계 및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상기 피식각층을 소정패턴으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소오스에서 생성된 전기적 입자를 메쉬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공정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중 게이트, 폴리실리콘, 플라즈마, 메쉬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Etching process using plasma}
도1은 본 발명의 이중 폴리실리콘 게이트 식각에 이용되는 식각장비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이중 폴리실리콘게이트 식각시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RF 코일 2 : 제1메쉬
3 : 제2메쉬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각장비를 변경하여 이중 폴리실리콘게이트 식각공정시의 식각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 폴리실리콘 게이트의 식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0.1㎛ 이하의 게이트 형성을 위한 식각공정에서 낮은 문턱전압을 얻기 위해 서는 이중 게이트(dual gate) 기술의 적용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중 게이트 형성시 p+폴리실리콘과 n+폴리실리콘이 함께 상존하므로 폴리실리콘의 도핑 차이에 의해 게이트 식각프로파일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장비에서는 특정한 전력의 공급에 의하여 생성된 이온과 래디컬(radical)에 의하여 게이트 형성을 위한 폴리실리콘의 식각이 진행된다. 따라서 웨이퍼내에서 패턴이 특정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현상이 이중게이트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이중 폴리실리콘게이트를 구성하는 n+폴리실리콘의 경우에는 P(phosphorus)이 1021atom/cm3정도 도핑되어 음성(negative)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반대로 p+폴리실리콘의 경우에는 B(boron)가 1020atom/cm3 정도로 도핑되어 전기적으로 양성인(positive) 성격을 가지고 있다.
장비내에서 식각이 이루어지는 동안 주식각(main etch)과 과도 식각(overetch)시에 상대적으로 다른 식각특성이 예상된다. 주식각시에는 웨이퍼 전면에 폴리실리콘이 증착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입자들에 의한 영향이 미세하나, 과도식각시에는 폴리실리콘 패턴이 형성되어 각 패턴들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플라즈마에 의해 대전된 입자들에 의한 전기적 영향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실제 식각시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리적 식각에 관여하는 이온입자들에 의해 n+폴리실리콘의 식각프로파일이 p+ 폴리실리콘의 프로파일보다 보잉(bowing) 및 측면식각(laternal etch)의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식각장비를 변경하여 이중 폴리실리콘게이트 식각공정시의 식각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은 피식각층이 형성된 웨이퍼를 플라즈마 식각장비내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퍼 상부에 웨이퍼를 덮도록 제1메쉬와 제2메쉬를 차례로 설치하는 단계; 및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상기 피식각층을 소정패턴으로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식각장비를 나타내었다. 도1에 나타낸 식각장비는 소오스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된 후, 확산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 및 래디컬이 실제 식각이 이루어지는 웨이퍼까지 다운스트림(downstream)되는 어떠한 식각장비라도 무관하나, 일반적으로 폴리실리콘 식각시 많이 사용되는 TCP형 장비를 모델로 하였다.
웨이퍼(10)상에 이중 폴리실리콘게이트 형성을 위해 n+폴리실리콘과 p+폴리실리콘(도시하지 않음)을 차례로 증착한 후, 이 웨이퍼를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라즈마 식각장비내에 넣은 후, 그 상부에 웨이퍼를 덮도록 제1메쉬(2)와 제2메쉬(3)를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한 다음, RF코일(1)에 의해 폴리실리콘 식각을 위한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대전된 입자와 래디컬은 밀도차이와 플라즈마 내의 전자기장에 의하여 이동이 시작되며, 특히 밀도차이에 의해 Z축 방향으로 확산되어 간다. 확산된 입자들은 웨이퍼에 도달하기 전에 먼저 제1메쉬(3)를 만나게 된다. 이 제2메쉬는 패러디 실드(Farady sheild)로서 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2메쉬(3) 표면에는 실드가 형성되어 음의 전기적 특성을 가진 입자들은 제2메쉬(3)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제2메쉬(3)의 아래부분에는 전자기장이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곳을 통과한 양성 입자들은 아직도 식각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1의 메쉬(2)를 웨이퍼 바로 상단에 설치한다. 제1메쉬(2)의 목적은 상기 도체로 이루어진 제2메쉬(3)를 통과한 전기적으로 양성인 입자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1메쉬에는 음의(-) DC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인가되는 DC 바이어스에 따라 통과되는 양성 입자들의 밀도와 에너지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웨이퍼(10)상에 증착된 p+/n+ 폴리실리콘의 식각프로파일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식각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메쉬를 통과한 중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진 래디컬만이 폴리실리콘의 과도식각시 사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메쉬에 인가되는 DC 바이어스를 조절함으로써 폴리실리콘의 식각프로파일과 식각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 폴리실리콘게이트의 식각프로파일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n+폴리실리콘층의 프로파일을 수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p+폴리실리콘층에 불필요하게 과다한 측벽 보호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부수적인 효과로 식각패턴 밀도가 낮은 지역과 높은 지역간의 CD 변화가 수반된다. 즉, 동시에 p+/n+ 폴리실리콘층들의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더라도 이에 따른 다른 공정마진은 작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플라즈마내의 전기적 입자의 제어가 없이는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플라즈마 소오스에서 생성된 전기적 입자를 메쉬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공정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8)

  1. 피식각층이 형성된 웨이퍼를 플라즈마 식각장비내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웨이퍼 상부에 웨이퍼를 덮도록 제1메쉬와 제2메쉬를 차례로 설치하는 단계; 및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상기 피식각층을 소정패턴으로 식각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는 플라즈마내의 양성 입자의 입사를 제어하고, 제2메쉬는 음성 입자의 밀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장비는 소오스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어 확산에 의하여 대전된 입자 및 래디컬이 실제 식각이 이루어지는 웨이퍼까지 다운스트림되는 식각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식각층은 이중 폴리실리콘 게이트 형성을 위한 n+폴리실리콘과 p+폴리실리콘의 적층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는 도체로 이루어진 패러디 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쉬는 음의 전기적 특성을 가진 입자들의 통과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는 상기 제2메쉬를 통과한 전기적으로 양성인 입자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에 음의(-) DC바이어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KR1020010038844A 2001-06-30 2001-06-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KR10070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844A KR100709577B1 (ko) 2001-06-30 2001-06-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844A KR100709577B1 (ko) 2001-06-30 2001-06-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104A KR20030002104A (ko) 2003-01-08
KR100709577B1 true KR100709577B1 (ko) 2007-04-20

Family

ID=2771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844A KR100709577B1 (ko) 2001-06-30 2001-06-30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5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427A (ja) * 1987-01-16 1988-07-19 Nec Corp ドライエツチング装置
US5304250A (en) * 1991-07-11 1994-04-19 Sony Corporation Plasma system comprising hollow mesh plate electrode
JPH06291088A (ja) * 1993-04-01 1994-10-18 Fujitsu Ltd 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H11162957A (ja) * 1997-11-28 1999-06-18 Nec Corp プラズマcvd装置とその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00015407A (ko) * 1998-08-28 2000-03-15 조장연 질화갈륨계 반도체박막을 건식 식각하기 위한 유도결합형플라즈마 식각공정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427A (ja) * 1987-01-16 1988-07-19 Nec Corp ドライエツチング装置
US5304250A (en) * 1991-07-11 1994-04-19 Sony Corporation Plasma system comprising hollow mesh plate electrode
JPH06291088A (ja) * 1993-04-01 1994-10-18 Fujitsu Ltd 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H11162957A (ja) * 1997-11-28 1999-06-18 Nec Corp プラズマcvd装置とその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00015407A (ko) * 1998-08-28 2000-03-15 조장연 질화갈륨계 반도체박막을 건식 식각하기 위한 유도결합형플라즈마 식각공정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104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886B1 (ko) 실리콘-온-절연체기판의 표면실리콘층의두께를변화시키기위한방법
JP3373455B2 (ja) 集積回路製造工程における同深の狭いコンタクトホールと広いトレンチとを同時に形成する方法
US6211013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ingle electron transistor
KR100535961B1 (ko) 플라즈마에 의해 유도되는 차징 결함을 감소시키는 방법
KR0161731B1 (ko) 반도체소자의 미세콘택 형성방법
KR100193402B1 (ko) 불순물 농도 프로파일 측정방법
US829366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709577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식각방법
CN114927413B (zh) 粘附金属层的溅射方法及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US6200887B1 (en) Method to form a smooth gate polysilicon sidewall in the fabrication of integrated circuits
TW357441B (en) Manufacturing method of split gate flash memory
Murakawa et al. Direct measurement of surface charging during plasma etching
Morimoto et al. Effect of time-modulation bias on polysilicon gate etching
US5932488A (en) Method of dry etching
Lukaszek Wafer charging damage in IC process equipment
KR20050007984A (ko)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형성방법
KR102580124B1 (ko) 플라스마 처리 방법
KR20000066421A (ko) 반도체 미세패턴 형성방법
JP4083104B2 (ja) 抵抗素子のパターンをドーピングするプロセス
Hwang et al. The Role of the Substrate on Pattern‐Dependent Charging
KR100365421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302600B1 (ko) 반도체장치제조방법
KR20030057898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KR19980055933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홀 형성방법
JPS612954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