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826B1 -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백신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면역원성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컨쥬게이트 - Google Patents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백신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면역원성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컨쥬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826B1
KR100704826B1 KR1020017002108A KR20017002108A KR100704826B1 KR 100704826 B1 KR100704826 B1 KR 100704826B1 KR 1020017002108 A KR1020017002108 A KR 1020017002108A KR 20017002108 A KR20017002108 A KR 20017002108A KR 100704826 B1 KR100704826 B1 KR 10070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protein
oligosaccharide
protein conjugat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776A (ko
Inventor
프랜시스 미숀
춘-시엔 후앙
캐서린 위츠
Original Assignee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박스터 헬쓰케어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7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85Haptens or antigens, bound to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37Bacterial toxins, e.g. diphteria toxoid [DT], tetanus toxoid [T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link between antigen and carrier
    • A61K2039/62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link between antigen and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link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및 N-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및 이러한 컨쥬게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컨쥬게이션 과정은 간단하고, 신속하고, 재현 가능하며, 박테리아 종, 효모, 암 세포로부터 유도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다양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적용 가능하다.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및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사용하는, 감염 또는 암에 대한 면역화 백신 또는 방법 또한 개시된다.
면역원성, 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 컨쥬게이트

Description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백신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컨쥬게이트 {Immunogenic β-Propionamido-Linked Polysaccharide Protein Conjugate Useful as a Vaccine Produced Using an N-Acryloylated Polysaccharide}
본 발명은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및 박테리아, 효모 또는 암 세포로부터 상기 컨쥬게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쥬게이트는 백신으로서 유용하다.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장구균(Enterococcus), 간균(Bacillu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리스테리아(Listeria), 에리시펠로트릭스(Erysipelothrix) 및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과 같은 그램-양성 박테리아 및 헤모필루스(Haemophilus), 시겔라(Shigella),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나이세리아(Neisseria) 및 특정 유형의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같은 그램-음성 박테리아에 의해 야기되는 박테리아 감염은 세상을 통해 심각한 질병을 야기한다. 이는, 박테리아가 항생제에 대해 나타내는 내성의 출현과 조합하여 박테리아에 대한 백신 개발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연쇄상구균은 그 세포벽 폴 리사카라이드의 항원성 및 구조에 근거하여 수 개의 군으로 정렬된 그램-양성 박테리아의 크고 다양한 속이다 (참고문헌 26, 27). 이들 군 중 둘은 심각한 인간 감염과 관련되어 있다. A족 연쇄상구균은 "스트렙 스롯(strep throat)", 류마티스열, 연쇄상구균성 농가진 및 패혈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감염성 질환을 야기시킨다. B족 연쇄상구균은 개발도상국 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중요한 주산기 병원균이다 (참고문헌 37).
그램-음성 박테리아 역시 질병의 중요한 원인이다.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 유형 b 박테리아(Hib)에 대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백신이 최근 개발되고 사용되기 전까지, Hib 박테리아성 감염은 유아의 정신지체의 많은 원인에 대한 책임이 있었다. 수막염균(N. menigitidis) 및 대장균(E. coli) K1 감염은 신생아 뇌막염의 원인이 된다. 그램-음성 박테리아, 대장균의 균주는 대장균 균주에 감염된 고기 섭취에 의한 사망을 포함하여 심각한 질병에 연관되어 왔다.
폴리사카라이드는,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과 같은 기타 면역원성 분자에 컨쥬게이션된 경우, 다양한 그램-음성 및 그램-양성 박테리아에 대한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어져 왔다.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폴리펩티드에 컨쥬게이션되면, 전형적으로 T-세포 독립성인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한 면역 응답을 T-세포 의존성으로 전환시킨다.
선행 기술에서는, 폴리사카라이드를 단백질에 직접 커플링 및 간접 커플링시켜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는 것 모두를 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11) 및 미국 특허 제5,306,492호에 요약). 컨쥬게이션 방법은 폴리사카라이드를 단백질 담체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디아조 커플링, 티오에테르 결합, 아미드화, 환원성 아민화 및 티오카바모일을 포함한다.
문헌 [Geyer et al., Med. Microbiol.Immunol, 165: 171-288 (1979)]에서는, 아조 커플링을 이용한 유도화된 설탕의 환원성 아민화 및 부착에 의해 특정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캡슐 폴리사카라이드 단편을 니트로페닐-에틸아민 링커에 컨쥬게이션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맥인타이어(McIntire)의 미국 특허 제4,057,685호에는 할로아실 할로겐화물과의 반응에 의해 단백질 항원과 공유결합적으로 커플링된 감소된 독성을 가지는 대장균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기술하고 있다.
제닝스(Jennings) 등의 미국 특허 제4,356,170호에는 환원성 아민화에 의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의 제조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앤더슨(Anderson)의 미국 특허 제4,673,574호, 4,761,283호 및 4,808,700호에는, 과요오드산염에 의한 산화성 분해와 같은 방법에 의하거나 또는 박테리아성 톡신 또는 톡소이드를 단백질 담체로 사용하여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된, 환원성 말단을 함유하는 폐렴쌍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또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의 캡슐 중합체로부터 유도된 면역원성 캡슐 폴리사카라이드 단편의 환원성 아민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항원성 컨쥬게이트의 제조를 기술하고 있다.
힐만(Hillman) 등의 미국 특허 제4,459,286호에는 시아노겐 브롬화물에 의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형 b 폴리사카라이드의 활성화, 스페이서 분자인 6-아미노카프로산에 의한 활성화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유도화, 및 수막염균의 주요 외부막 단백질과 수용성 카보디이미드의 컨쥬게이션에 의한 6-아미노카프로산 스페이서로부터 폴리사카라이드에 이르는 복잡다양한 결합을 통한 단백질에의 아미도 형의 결합 형성에 의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의 제조를 기술하고 있다.
고든(Gordon)의 미국 특허 제4,965,338호에는 수용성 공유결합 폴리사카라이드-디프테리아 톡소이드 컨쥬게이트의 제조에 관해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서 순수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형 b 폴리사카라이드를 시아노겐 브롬화물로 활성화시키고 ADH 스페이서에 의해 유도화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와 함께 즉시 혼합한다.
체이(Tsay) 등의 미국 특허 제4,663,160호에는 4-12 탄소 잔기에 의해 동일한 종의 그램-음성 박테리아로부터의 해독 단백질에 공유결합적으로 커플링된 그램-음성 박테리아로부터의 해독 폴리사카라이드를 기술하고 있다.
고든 등의 미국 특허 제4,619,828호에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형 B, 폐렴쌍구균, 수막염균 및 대장균과 같은 병원균으로부터의 폴리사카라이드 분자, 및 디프테리아 및 파상풍 톡소이드와 같은 T 세포 의존성 항원 사이의 컨쥬게이트를 기술하고 있다.
포로(Porro) 등의 미국 특허 제4,711,799호에는, 그램-음성 박테리아의 캡슐라 폴리사카라이드 및 CRM197, 파상풍 톡소이드 또는 페르투이스 톡신으로부터의 항원성 결정인자를 포함하는 3가 면역원성 활성을 가지는 글리코단백질 컨쥬게이트 백신을 기술하고 있다.
포로의 미국 특허 제5,306,492호에는, 말단 환원성 기를 가지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피리딘 보란의 존재 하에 디아미노메탄과 반응시켜 환원성 아민화를 일으키고, 아민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생성물을 두 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분자와 반응시키고, 이어 활성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 생성물을 담체 단백질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올리고사카라이드-담체 단백질 컨쥬게이트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쿠오(Kuo)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192,540호에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형 b의 캡슐 폴리사카라이드 및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형 b의 외부막 단백질로부터 유도된 산화된 폴리리보실-리비톨-인산염 폴리사카라이드 단편의 환원성 아민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기술하고 있다.
유럽 공개공보 EP 0747063 A2에는 다중 시알산 유도체 및 담체 분자에 연결된 헤테로이관능성 링커 분자를 함유하는 개질된 캡슐 폴리사카라이드를 기술하고 있다. 이 링커를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당 최대 약 5개의 시알 잔기를 N-알킬화시킨다. 잔류 아미노산을 이어 프로피온산 무수물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로 아실화시킨다.
면역원성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백신의 대량 생산을 위해 더욱 효율적이고 수율이 높으며 간단한, 정제된 면역원성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얻는 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및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는 방법론보다 유리한,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로부터 유도된 제약 조성물, 백신 및 기타 면역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염기 또는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N-탈아세틸화시키고 이어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N-아크릴로일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는 담체 단백질에 직접 커플링되어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형성한다.
캡슐 및 세포 표면 폴리사카라이드를 본 발명에 따라 박테리아, 효모 또는 포유류 세포 상청액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를 다른 세포 성분에 연결시키는 염기 감수성 결합을 가수분해하거나 효소 가수분해하여 박테리아, 효모 또는 포유류 세포로부터 직접 추출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된 N-아세틸기의 소정 비율을 N-아크릴로일기로 치환하고, 이를 단백질에 직접 커플링시켜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면은 단백질(들)의 다중 부위에 직접 커플링된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질병을 유발하는 유기체로부터의 감염 또는 암에 대해 예방하기 위해 포유류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의 백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 테리아성 또는 효모성 감염 또는 암에 대해 포유류를 면역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은 포유류를 감염 또는 질병에 대해 보호하는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사용하여 포유류에서의 항체의 생성을 유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사용하여 면역화에 대해 응답하여 유도된 이뮤노글로불린 및 단리된 항체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이뮤노글로불린 및 단리된 항체는 치료제 및 진단 제제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도이다.
본 발명은 박테리아성 감염, 효모 감염에 대한 면역원 및 백신으로서 및 암 치료제로서 유용한 신규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및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는 데 유용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그램 양성 또는 그램 음성 박테리아, 효모, 암 세포 또는 암 조직 등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숙주 방어 메커니즘을 회피하는 데 있어 세포에 대한 악성 인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들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폴리 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원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는 단백질에의 친핵성 부위의 마이클-형 첨가반응에 의해 N-아크릴로일화 폴리사카라이드를 단백질과 직접 커플링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세포 성분에 부착시키는 결합을 염기 또는 효소 가수분해함으로써, 그램-음성, 그램-양성 박테리아, 효모, 암 세포 또는 각각의 재조합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원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유기체 또는 세포 또는 유기체나 세포의 단편을 함유하는 용액을 염기 또는 효소와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체 또는 세포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어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염기 또는 효소 가수분해 후에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그램-양성 박테리아 및 그 재조합 균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장구균, 간균, 코리네박테리움, 리스테리아, 에리시펠로트릭스 및 클로스트리디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연쇄상구균의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며, B족 연쇄상구균 유형 Ia, Ib, II, III, IV, V 및 VIII의 사용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램-음성 박테리아 및 그 재조합 균주의 비제한적 예로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수막염균, 대장균, 살모넬라 티피,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형 b, 수막염균 유형 B, C, Y 및 W135, 대장균 K1 및 대장균 K92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효모의 예로는 크립토콕쿠스 네오포르만스(Cryptococcus neoformans)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암 세포 또는 암 조직의 예로는 소세포 폐 종양, 신경아세포종, 유방암, 결장암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성 또는 유기 용매 중에서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광범위한 조건을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가수분해할 수 있다. 탄수화물의 N-아세틸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정도를 반응 조건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약 50% 이상의 N-아세틸기를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00%를 제거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천연 N-아세틸기를 제거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약 95% 이상의 N-아세틸기를 가수분해 시약으로 처리하여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가수분해한다.
염기 추출을 할 수 있는 캡슐 폴리사카라이드는, 면역원성에 결정적인 O-아세틸기와 같은, 대체 불가능한 임의의 염기-감수성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폴리사카라이드이다. 염기 추출이 가능한 기타 캡슐 폴리사카라이드는,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이 없고 4-결합 우란 산 잔기가 없는 것들이다.
염기 가수분해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CPS를 B족 연쇄상구균(GBS)로부터 추출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CPS를 GBS 유형 Ia, Ib, II, III, V 및 VIII로부터 추출한다.
염기 가수분해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CPS를 폐렴쌍구균으로부터 추출한다. 염기 가수분해에 관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CPS를 폐렴쌍구균 유형 III, IV 및 XIV로부터 추출한다.
염기 가수분해에 관한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CPS를 나이세리아 또는 에쉐리히아 박테리아로부터 추출한다. 염기 추출에 관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는, CPS를 수막염균 유형 B, C, Y 또는 W135, 대장균 K1 또는 대장균 K92로부터 추출한다.
효소성 탈아세틸화할 수 있는 폴리사카라이드는, 면역원성에 결정적이고 면역원성 잔기로 대체 또는 치환될 수 없는 효소-감수성 치환기를 가지지 않는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이들 폴리사카라이드는 GBS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A.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제조
1. 폴리사카라이드의 탈아세틸화
a) 출발 물질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 박테리아, 효모, 포유류 세포 또는 이들 세포의 재조합 형태로부터, 또는 균질화된 세포 또는 조건화된 매질의 상청액으로부터 염기 가수분해 또는 효소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단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시판 원으로부터 단리 및 정제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또한 출발 물질로서 사용 가능하다.
폴리사카라이드의 단리 방법은 사용되는 구체적인 폴리사카라이드에 의존한다. 흔한 방법은 이온성 세제를 사용하여 하전된 폴리사카라이드와 착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착물은 침전되며 단리된다. 이어 착물을 염화칼슘과 같은 이온 농도가 높은 용액 중에 녹인 후 폴리사카라이드를 에탄올로 침전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얻어진 단리 및 정제된 폴리사카라이드 및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사람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의 핵산 및 단백질 불순물을 함유한다. 무기 염의 존재로 인해 정제 후에 순도 80 내지 100%의 탄수화물이 종종 관찰된다.
b). 염기 가수분해
N-아세틸기를 제거하기 위해 정제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염기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염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NaOH, KOH, LiOH, NaHCO3, Na2CO3, K2CO3, KCN, Et3N, NH3, H2N2H2, NaH, NaOMe, NaOEt 또는 KOtBu이다. NaOH, KOH, LiOH, NaH, NaOMe 또는 KOtBu와 같은 염기는 0.5 N 내지 5.0 N의 범위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NaHCO3, Na2CO3, K2 CO3 및 KCN과 같은 염기는, 용해도의 면에서 허용되는 한 가급적 높은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Et3N과 같은 유기 염기는,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가수분해를 일으킬 시약이 존재하는 한, 높은 (50 - 100%) 농도의 매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NH3 또는 H2N2 H2와 같은 염기는 100%를 포함하는 거의 모든 농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물,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및 기타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물을 포함하는 염기 용액이 가장 바람직하다.
N-아세틸기를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pH 범위는 약 9 내지 약 14이고 최적의 pH는 약 12이다.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는 그 후에 막을 사용한 초정제에 의해 또는 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에 의한 투석에 의해 잔류 시약으로부터 정제된다.
c). 효소 가수분해
N-탈아세틸화효소를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로부터 N-아세틸기를 효소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로부터 N-아세틸 잔기를 제거하는 데 유용한 N-탈아세틸화효소가 참고문헌 47, 48 및 49에 기재되어 있다. 효소 가수분해에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탈아세틸화효소를 적당한 pH 및 온도 조건 하에서 적당한 효소 완충액 시스템과 혼합하고 N-아세틸기가 제거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일 실시태양에서, 폴리사카라이드 및 탈아세틸화효소를, 예를 들어 50 mM MES, 10 mM MnCl2, pH 6.3과 같은 적당한 효소 완충액 시스템과 37℃에서 60분간 혼합하여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1 M 일염화아세트산, 0.5 M NaOH, 2 M NaCl과 같은 적당한 정지 용액을 사용하거나 또는 적당한 완충 용액을 사용하여 희석시킴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킨다.
2. 폴리사카라이드의 N-아크릴로일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알칼리성 또는 효소성 가수분해에 의해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시알산 및 아미노 당 잔기로부터 N-아세틸 기가 제거된다. 가수분해 후, 다양한 아크릴로일화 시약을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원하는 만큼 N-아크릴로일화시킨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방법은 아크릴로일화 시약을 첨가하여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N-아크릴로일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아크릴로일화 시약의 예로는, 약 1 M 농도에서 과량으로 사용되는, 아크릴로일 염화물, 아크릴로일 무수물, 아크릴산, 및 DCC, CH2CHCOCN 등과 같은 탈수제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N-아크릴로일화하는 방법에서, 반응 동안 pH를 약 9 내지 약 11, 바람직하게는 약 10으로 조정 및 유지시킨다. 반응 동안의 온도는 약 2℃ 내지 약 8℃, 바람직하게는 약 4℃이다. 반응은 약 1시간에 걸쳐 수행된다. 생성된 N-아크릴로일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아크릴로일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약 95% 이상 아크릴로일화된다.
B.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의 제조
본 발명의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과 같은 다른 면역원성 분자에 컨쥬게이션된 경우, 개체 내에서 다양한 그램-음성 및 그램-양성 박테리아, 효모 및 암에 대한 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폴리펩티드와 컨쥬게이션 되면, 전형적으로 T-세포 독립성인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한 면역 응답을 T-세포 의존성으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폴리펩티드의 크기는 응답을 T-세포 독립성으로부터 T-세포 의존성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2 면역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는 더 작은 폴리펩티드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단백질 담체의 크기는 전형적으로는 약 50,000 내지 약 500,000 M.W.이다.
바람직한 담체 단백질은, 파상풍 톡소이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콜레라 톡신 서브유닛 B, 수막염균 외부 막 단백질, 뉴몰리소이드(pneumolysoid), B족 연쇄상구균으로부터의 C-β단백질, B족 연쇄상구균으로부터의 비-IgA 결합 C-β단백질, 녹농균 톡소이드, 백일해 톡소이드, 라이신 또는 시스테인 잔기를 함유하는 합성 단백질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담체 단백질은 천연 단백질, 화학적으로 개질된 단백질, 해독된 단백질 또는 재조합 단백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컨쥬게이트 분자는, 단백질 성분의 면에서, 단량체, 이량체, 삼량체 및 보다 많이 가교결합된 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백질이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 상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통해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결합된 컨쥬게이트 분자를 제조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크기는 크게 다양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하나 또는 다수의 단백질과 가교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격자 구조이다. 접착 지점은 단백질의 라이신 또는 시스테인 잔기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의 N-아크릴로일기 사이이다.
항원성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는 한 방법에서,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당 잔기 중에 유리 아미노기 또는 N-아실기(예. N-아세틸기)를 함유하는 단리된 폴리사카라이드(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은 먼저 염기 또는 효소를 사용하여 가수분해처리되어 N-아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다. 이어 유리 아미노 기를 N-아크릴로일화 시약으로 N-아실화시켜 상기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형성한다.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이어 최적 조건의 pH, 온도 및 시간 하에서 단백질에 직접 커플링시켜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형성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컨쥬게이션 방법은, 단백질 상의 라이신 잔기의 ε-유리 아미노기의 최적의 반응성을 위해 9.0 초과의 pH,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10.0의 pH에서 수행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컨쥬게이션 방법은 단백질의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SH)기의 최적의 반응성을 위해 약 7.0의 중성 pH에서 수행된다. 컨쥬게이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pH는 특정 담체 단백질 중의 반응성 기의 수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어, 시스테인 잔기에 비해 더욱 반응성인 라이신 잔기로 구성된 단백질을 사용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pH에서 수행된다. 라이신 잔기에 비해 더욱 반응성인 시스테인 잔기로 구성된 단백질을 사용하는 컨쥬게이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중성 pH에서 수행된다.
컨쥬게이션 반응은 탄산/탄산수소산염 완충액 (탄산염/중탄산염 완충액), 붕산염 완충액, 인산염 완충액 등을 비롯한 완충 제제(buffered reagent)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완충 제제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컨쥬게이션 반응의 온도는 약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7℃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의 기간 동안 수행된다. 핵심 반응은, 도 1에서와 같이 폴리사카라이드의 반복 단위 중에 존재하는, 로마노브스카(Romanowska) 등(참고 문헌 46)에 의해 기술된 N-아크릴로일화된 당 잔기를 가진 단백질 상에 친핵성 시스테인 티올 기 또는 라이신 ε-NH2 기의 1,4-컨쥬게이트 첨가반응(마이클-형 첨가반응)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생성되는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는 약 0.1 내지 약 0.6의 폴리사카라이드 대 단백질 비율을 갖는다.
단백질 상의 시스테인 및(또는) 라이신 잔기와 직접 컨쥬게이션될 수 있는 N-아실 기를 가지는 폴리사카라이드의 글리코실 잔기로는, 글루코스아민, 갈락토스아민, 만노스아민, 푸코스아민, 시알산 등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박테리아, 효모 또는 암 세포와 같은 천연 원으로부터 또는 합성 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합성 원은 화학적 합성, 효소 합성 및 화학효소 합성을 포함한다. 합성은 신규한 합성 또는 천연 탄수화물의 변형일 수 있다. 탄수화물 잔기 상의 관능기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탄수화물 잔기를 첨가 또는 제거함으로써, 자연적으로 단리된 탄수화물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및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 단백질 컨쥬게이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는 담체 단백질과 컨쥬게이션되기 위해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대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올리고사카라이드는 10개 이상의 당 잔기 및 바람직하게는 10개 내지 약 50개의 당 잔기를 포함한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당 잔기가 50개보다 많으며 당 잔기가 약 600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특정 경우, 면역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큰 구조물이 요망된다. 많은 반응성 부위가 단일 폴리사카라이드에 도입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매우 큰 폴리사카라이드의 사용을 대비한다.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기타 장점은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서, 면역성에 중요한 에피토프의 일부와 종종 상호작용하거나 또는 이를 형성하는 하전된 관능기가 변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C. 백신
본 발명은 백신 제법에도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한 단리된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항원으로서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해 반응성이고 따라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단리된 유기체 또는 세포에 대해 반응성인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와 조합하여,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P), 파상풍-디프테리아(Td), DTaP, DTaP-Hib 백신, DTaP-IPV-Hib 백신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기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합 또는 다중 성분으로서, 다양한 질병 유발 유기체 또는 질병 유발 세포에 대해 면역화하는 데 유용한 다중관능성 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능동 또는 수동 면역성을 제공할 수 있다. 능동 면역성을 제공하기 위한 백신은 하나 이상의 항원성 펩티드에 컨쥬게이션된 단리 및 정제된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D, 제약 조성물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및 염수,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에탄올 등과 같은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제약 조성물은 펩티드와 같은 또다른 면역원성 잔기 또는 본 발명의 CPS 중 하나에 의해 유도된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수용체의 면역학적 응답을 고양시키기 위해 보조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보조제는 알룸과 같은 알루미늄 기재이거나 또는 스테아릴 티로신(1990년 9월 17일 출원된 미국 일련번호 583,372; 유럽특허 EP 0 549 617 B1; 몰로니(Moloney) 등의 미국특허 제4,258,029호 참조), 무라밀 디펩티드(MDP) 또는 그 유도체, 모노포스포릴 리피드 A(MPL), 사포닌(Quil-A) 등과 같은 장쇄 알킬 보조제일 수 있다. 또한 제닝스(Jennings) 등의 미국 특허 제5,683,699호 및 파올레티(Paoletti) 등의 문헌[J. Infectious Diseases 1997; 175:1237-9]을 참조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P), 파상풍-디프테리아(Td), DTaP, DTaP-Hib, DTaP-IPV-Hib 등 및 그 조합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면역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약 조성물은 백신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수동 면역성을 유도하기 위해, 제약 조성물은 폴리클론성 항체 또는 모노클론성 항체, 이들의 유도체 또는 단편 및 이들의 재조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항체, 단편 또는 유도체의 양은 표준 임상 기법에 의해 결정했을 때 치료학상 또는 예방학상 유효한 양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업계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방법에 의해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피내, 복강내, 혈관내, 피하, 근육내, 경구 및 경비가 도입 경로 에 해당하나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백신에 적합하다고 업계에 공지된 표준 담체, 완충액 또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생리학적 염수 또는 기타 주사용 액체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백신에 통상적인 첨가제 또한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락토스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안정화제, 및 알루미늄 인산염, 수산화물 또는 황산염 및 스테아릴 티로신과 같은 면역원성 응답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제가 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백신은 다수의 감염성 약제에 대한 면역 응답을 유도하는 다가 백신의 성분으로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은 면역원성 응답의 부분으로서 항체의 생성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사용되어 IgG 및 IgM 항체를 생성하거나 또는 점막으로 전달되어 조직의 표면 상에 IgA 항체를 유도해낼 수 있다. 용량은 백신을 투여받는 개체의 크기, 중량 또는 연령을 기준으로 하여 조정한다. 항체 역가 또는 살균 활성을 검정 분석하여 개체 내에서의 항체 응답을 모니터하고 필요에 따라 증대시켜 응답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유아에 대한 단일 용량은 투여당 약 10 ㎍의 컨쥬게이트 백신이거나 또는 약 0.5 ㎍ - 20 ㎍/kg이다. 성인은 1 kg 당 약 0.5 ㎍ - 20 ㎍의 컨쥬게이트 백신 용량을 투여받는다. CPS-단백질 컨쥬게이트 백신의 경우, 전형적인 용량은 1회에 각 개개 CPS의 약 25 ㎍이다. 즉, B 족 연쇄상구균에 대한 백신은 아홉 가지 항원형 각각의 CPS 형 각각을 25 ㎍ 포함할 수 있다.
E. 항체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항체는 업계에 주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접근법에 따라, 단리된 면역원성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숙주 동물에 투여함으로써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숙주 동물은, 비제한적으로, 쥐, 마우스, 토끼, 인간 외의 영장류 또는 인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숙주는 인간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업계에 공지된 보조제를 사용하여 면역원성 응답을 증가시킬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모노클론성 항체 또한 업계에 주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에 따라,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배양을 사용한다 (문헌 [Kohler and Milstein (1975) Narure 256:495-497] 참조).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모노클론성 항체는, 업계에 주지된 임의이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 모노클론성 항체, 키메라 모노클론성 항체 또는 인간화된 모노클론성 항체일 수 있다. 한 가지 접근법에 따라, 인간 불변 지역과 조합된 비인간(예. 마우스) 항원-결합 도메인을 가지는 키메라 모노클론성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문헌 [Takeda et al. (1985) Nature 314:452] 참조). 인간화된 항체는 퀸(Queen) 등의 미국 특허 제5,585,089호 및 미국 특허 제5,530,101호의 방법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단일 사슬 항체는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구축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946,778호; 문헌 [Davis, G.T. et al., (1991) Biotechnology 9:165-169] 및 [Pluckthun, A. (1990) Nature 347:497-498] 참조). 항체의 불변 지역 도메인은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WO 89/07142).
면역흡수 또는 면역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기타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예. HPLC)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업계에 주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한 항체를 정제할 수 있다. 항체는 또한 혈청, 혈장 또는 세포 배양 배지로부터의 이뮤노글로불린 분획으로서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분자는 완전한 이뮤노글로불린 분자, 실질적으로 완전한 이뮤노글로불린 분자, 또는 Fab 단편과 같이 항원 결합 부위를 함유하는 이뮤노글로불린 분자의 부분일 수 있다. 항체 분자는 IgG, IgM 및 IgA를 포함하여 임의의 부류일 수 있다.
CPS에 대한 항체의 단편은 업계에 주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문헌 [Campbell (1985) Laboratory Techniques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Vol.13, Burdon, et al.(e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참조).
항체 또는 항원 또는 그 항원 결합 단편은, 그램 양성, 그램 음성 박테리아 또는 효모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에 대한 수동 보호를 제공하는 데 있어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 단편은 또한 박테리아, 효모 또는 암 세포를 검출 및(또는) 동정하기 위한 표준 면역검정에서 진단 시약으로서 유용하다. 항체를 단독으로 또는 면역검정용 표준 시약과 함께 키트 중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한 항체를 치료 또는 예방 분야에서 제약 제제로서 사용하여 숙주 개체로부터 또다른 개체로 수동 면역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그램-음성 또는 그램-양 성 박테리아 또는 효모에 대한 개체의 면역 응답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AIDS 환자를 포함하는 면역-절충 또는 면역-감소 개체에서 응답을 제공함). 항체의 수동적 전달은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임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컨쥬게이트에 대한 항체를 면역적격성 숙주("공여자") 동물 중에서 생성하여, 숙주 동물로부터 수확하고 수용체 개체 중에 수혈한다. 예를 들어, 인간 공여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항체를 이어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수용체에게 치료학상 또는 예방학상 유효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폴리사카라이드 성분에 의해 유도되는 항체에 결합된 박테리아에 대한 저항성을 수용체에게 부여할 수 있다 (문헌 [Grossman, M. and Cohen, S.N., in "Basic and Clinical Immunology", 7th Ed., (Sites, D.P. and Terr, A.T. eds., Appleton & Lange 1991) Chapter 58 "Immunization"] 참조).
특정 경우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사카라이드는 다른 병원성 유기체와 교차-반응성인 항체를 유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기타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에 대한 방어 능력을 가질 수 있다.
F. 진단 키트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CPS 또는 그 유도체 또는 단편을 진단 키트 중에 제공하여 박테리아, 효모 또는 암 세포에 대한 항체의 존재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한 항체의 존재는 병원균에 대한 이전의 노출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감염에 대해 저항성일 수 있는 개체를 예측할 수 있다. 이 진단 키트는, 단독 또는 단백질과 컨쥬게이션 상태의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CPS 또는 그 유도체 또는 단편, 및 변형된 CPS 또는 유도체 또는 단편을 그램-음성, 그램-양성 박테리아, 효모 또는 암 세포 또는 암 조직에 대한 항체를 함유하는 샘플과 혼합하였을 때 항체 반응의 검출에 적합한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 반응은 ELISA 검정분석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동정 가능하다. 그러한 지식은 중요하고, 불필요한 백신 접종을 피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상기 진단 키트는 고체 지지체 또는 자성 비드 또는 플라스틱 매트릭스 및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CPS 또는 그 유도체 또는 단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경우, CPS 또는 유도체 또는 단편을 표지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표지화 시약은 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지화 시약으로는 방사성물질, 화학발광물질, 생물발광물질, 발광물질, 또는 편리한 분석을 위한 기타 동정용 "택"이 비제한적으로 포함된다. 체액 또는 조직 샘플 (예. 혈액, 혈청, 타액)을 수집하여 정제하고 진단 키트에 적용할 수 있다. CPS, 유도체 또는 단편은 정제 또는 비정제할 수 있고 분자 칵테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체 매트릭스는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할 수 있고,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시험관, 비드, 미립자, 딥-스틱, 플레이트 등의 형태의 임의의 고체 플라스틱 물질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매트릭스는 막, 96-웰 미량역가 플레이트, 시험관 및 에펜도르프 튜브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매트릭스는 리간드-결합 시약이 부착될 수 있는 임의의 표면 또는 그 자체로 리간드 부착 부위를 제공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참조된 모든 문헌, 특허 및 논문들은 그 전체로서 명백히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었으나 절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실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담체 컨쥬게이트의 제조
하기 비제한적인 예들은 폐렴쌍구균(유형 14), B족 연쇄상구균(GBS) 유형 III 및 유형 II 및 대장균 K1에 대한 백신을 위한, 일련의 임상적으로 적절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의 제조에 대해 기술한다. 이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상기 폴리사카라이드는, 그 구조적 반복 단위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글리코실 잔기 중에 N-아세틸 기를 함유하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이다.
A. 유형 14 폐렴쌍구균(pneumococcus) 폴리사카라이드의 해중합반응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사카라이드를 먼저 초음파분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해중합시켰다. 200 mg의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 유형 14(롯트 번호 제2020510호,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를 20 ml의 PBS 중에 녹이고 브랜슨 소니화이어 모델(Branson Sonifier Model) 450으로 0℃에서 4시간 동안 초음파분해시켰다. 생성된 폴리사카라이드를 투석하고 동결건조시킨 후 인산염 완충 염수(PBS)로 평형시킨 수퍼덱스 200 컬럼을 통해 정립하였다. 피크 분획을 한데 모은 후 등록 상표 스펙트라/포르(Spectra/Por) 막 MWCO: 3,500으로 탈이온수(d.i.water)에 대해 투석하였다. 동결건조 후 157.5 mg의 고체 수득량을 얻었다. 초음파분해된 폴리사카라이드의 평균 분자량은 섹-몰스(SEC-MALLS) 및 미니던(miniDAWN)(Wyatt Technology Corp., Santa Barbara, CA)으로 측정했을 때 약 50,000이었다.
B. 유형 14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의 N-탈아세틸화
100 mg의 정립된 유형 14의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를 10 ml의 2N NaOH 중에 녹인 후 10 mg의 NaBH4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100℃로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N-탈아세틸화된 성분을 등록상표 스펙트라/포르 막 MWCO:3,500으로 탈이온수에 대해 투석하고 동결건조하여 84 mg의 백색 고체를 얻었다.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500 MHz에서 H1-NMR로 분석한 결과, 5% 미만의 잔류 N-아세틸 기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 N-탈아세틸화된 유형 14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의 N-아크릴로일화
84 mg의 N-탈아세틸화된 유형 14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를 4.2 ml의 탈이온수 중에 녹였다. 이 용액을 얼음 욕 중에서 2 N NaOH로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이어 420 ㎕의 부피비 1:1의 아크릴로일 염화물:디옥산을 첨가하고 2N NaOH로 pH를 11로 조정하였다. 반응을 pH 11에서 추가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두어 O-아실화의 결과로서 형성되었을 수 있는 에스테르의 가수분해가 확실히 완료되도록 하였다. 용액을 투석하고 동결건조시켜 42 mg의 건조 분말을 얻었다. 500 MHz에서 H1-NMR로 분석한 결과, 폴리사카라이드는 95%를 초과하여 N-아크릴로일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D. 유형 14 N-아크릴로일화된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와 파상풍 톡소이드 단량체의 커플링
22 mg의 유형 14 N-아크릴로일화된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를 1.1 ml의 탄산/탄산수소산염 pH 9.5 완충액 중에 녹였다. 파상풍 톡소이드 단량체 22 mg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7℃에서 일야 배양하였다. 수퍼로즈 12 컬럼이 장착된 바이올로직 시스템(Bio-Rad)으로 컨쥬게이션의 진행을 분석하였다. 폴리사카라이드의 파상풍 톡소이드에의 컨쥬게이션은 피크 상의 진행성 증가에 의해 지시되며, 280 nm에서의 UV 흡광도의 측정에 의해 모니터되며 컬럼의 공 체적(void volume) 중에 용출된다. 컨쥬게이션을 완료한 후, 용액을 0.1 N HCl로 pH 7로 중성화시킨 후 PBS에 대해 투석한다. 컨쥬게이트를 수퍼덱스 200 PG (Pharmacia) 1.6 x 60 cm 컬럼을 통과시켜 정제하고 0.01% 티메로살을 함유하는 PBS로 용출하였다. 공 체적 피크에 해당하는 분획을 한데 모았다. 컨쥬게이트 중의 탄수화물 및 단백질 함량을 듀보이스(Dubois) 등의 문헌(51)의 페놀-황 검정분석 및 브래드포드(Bradford)의 문헌(9)의 쿠매씨(Coomassie) 검정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GBS 유형 II, 유형 III 및 대장균 K1과 수막염구균 씨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이들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반응 조건을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E. GBS 유형 II 및 유형 III 폴리사카라이드의 N-탈아세틸화
PS 크기* (kD) PS (mg) NaOH NaBH4 온도 반응 시간 수율
GBSP II 250 63 mg 6 mL 12 mg 110℃ 6 시간 63 mg
GBSP III 110 50 mg 5 mL 10 mg 110℃ 6 시간 55 mg
* SEC-MALLS에 의해 측정
GBS 유형 II 및 유형 III 폴리사카라이드의 N-아크릴로일화
PS 양 (mg) 탈이온수 1:1 부피비의 아크릴로일 염화물:디옥산 수득량
GBSP II 60 3 mL 300 ㎕ 60 mg
GBSP III 55 2,75 mL 275 ㎕ 55 mg
GBS II 및 GBS III 폴리사카라이드의 파상풍 톡소이드 단량체에의 커플링
PS (mg) TT (mg) 탄산/탄산수소산염 완충액 pH 9.5 온도 배양 시간
GBSP II 10 10 0.5 mL 37℃ 일야
GBSP III 10.52 9.52 0.5 mL 37℃ 일야
F. K1 폴리사카라이드의 N-탈아세틸화
300 mg의 K1 PS를 15 mL의 2.0 N NaOH 용액 중에 녹이고 여기에 150 mg의 소듐 보로하이드리드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11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20배 부피의 탈이온수로 희석하였다. 탈이온수를 사용하여 아미콘 YM3 막을 통해 투석여과(diafiltration)시킨 후 용액을 동결건조하여 255 mg의 N-탈아세틸화된 K1 PS를 수득하였다. 500 MHz에서의 H1-NMR에 의해 N-탈아세틸화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G. K1 폴리사카라이드의 N-아크릴로일화
250 mg의 N-탈아세틸화 K1 PS를 함유하고 얼음 욕 중에서 냉각된 10 mL의 탈이온수 용액에, 1 mL의 아크릴로일 염화물과 1 mL의 디옥산을 혼합하여 제조한 아크릴로일 염화물(Aldrich, Milwaukee, WI) 용액을 적가하였다. 2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7.0 내지 10.5 사이로 유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pH를 13으로 증가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12.9 내지 13.1 사이에서 유지시켰다. 1 N HCl을 적가하여 용액의 pH를 9.5로 조정하였다. 스터셀(stircell) 중에서 아미콘 YM3 막을 사용하여 탈이온수로 용액을 투석여과하였다. 잔류물을 동결건조시키고 물질 (N-아크릴로일 K1 PS)를 -20℃ 냉동기 중의 데시케이터 중에 저장하였다. 500 MHz에서의 H-NMR은 반응 동안 완전한 N-아크릴로일화가 일어났음을 나타내었다.
H.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K1-rProB 컨쥬게이트 (K1-rPorB I)
0.3 mL의 0.2 M 붕산염, 0.05% 상표명 츠비터겐(Zwittergen)3,14(베링거 만하임) pH 9.5 중에 8.4 mg의 N-아크릴로일 K1 PS 및 4.0 mg의 재조합 수막염균 PorB를 함유하는 용액을 37℃에서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수퍼덱스 200 제조용 등급 컬럼을 통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컨쥬게이트를 정제하고 0.01% 티메로살을 함유하는 PBS로 용출하였다. 컬럼의 공 체적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용출되는 uv-280 nm 활성 시그널의 분획을 한데 모으고 냉장고에서 저장하였다. 각각 레조르시놀 및 쿠매씨 단백질 검정분석에 의해 시알산 및 단백질 함량에 대해 컨쥬게이트를 분석하였다.
I. 티올화 rPorB의 제조
0.25 M 염화나트륨 및 0.05% 츠비터겐트 3-14를 함유하는 pH 8.5의 0.25 M HEPES 완충액 중의 10 mg/ml 농도의 rPorB 포린 용액 1 ml에 0.2 ml의 0.05 M N-숙신이미딜 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동일한 완충액 중의 0.06 ml의 1 M 디티오쓰레이톨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단시 잘 혼합하고 실온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0.25 M 염화나트륨 및 0.05% 츠비터겐트 3-14를 함유하는 pH 7.0의 0.25 M HEPES 완충액 1.3 ml로 용액을 희석시키고, 동일한 완충액으로 미리 평형시킨 파마시아 PD-10 탈염 컬럼에 로딩하였다. 컬럼을 동일한 완충액으로 용출하고 용출물을 모으고 아미콘 센트리콘 30 농축기로 5,000 RPM에서 1시간 동안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모으고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H. N-아크릴로일화된 K1-S-rPorB 컨쥬게이트(K1-S-PorB)의 제조
상기로부터의 농도 25 mg/ml의 티올화 rPorB 용액 0.17 ml에 9 mg의 N-아크릴로일화된 K1 폴리사카라이드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잘 혼합하고 37℃ 오븐에서 1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수퍼덱스 200 컬럼 (Pharmacia)을 통해 PBS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용액을 정제하였다. 컬럼의 공 체적 또는 그 부근에서 용출된 UV-280-nm-활성 분획을 혼합하였다. 분석에 의해 컨쥬게이트는 25 ㎍/ml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188 ㎍/ml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 N-아크릴로일화된 GCMP-S-rPorB 컨쥬게이트(GCMP-S-rPorB)의 제조
유사하게, N-아크릴로일화된 K1-S-rPorB 컨쥬게이트에 대해 상기 기술한 것 에 필적하는 방법으로 N-아크릴로일화된 GCMP-S-rPorB를 제조하였으며, 43 ㎍/ml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200 ㎍/ml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컨쥬게이트에 대한 분석 데이터
단백질 농도 (㎍/mL) PS 농도 (㎍/mL) 컨쥬게이트 중의 PS 백분율
Pn14-TT (3) 547 293 (1) 35
GBSII-TT (3) 377 160 (2) 30
GBSIII-TT (3) 365 115 (2) 24
K1-rPorB I (3) 147 17 (2) 10
K1-rPorB II (4) 406 41 (2) 9
K1-S-rPorB I (3) 188 25 (2) 12
GCMP-S-rPorB (3) 200 43 (2) 18
(1) 총 탄수화물 듀보이스 검정분석
(2) 레조르시놀 시알 검정분석
(3)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및 상응 담체 단백질의 직접 커플링에 의해 제조
(4) 과요오드산염-산화된 N-아크릴로일화된 K1 PS를 PorB에 의해 환원성 아민화시켜 제조한 대조군 컨쥬게이트
실시예 2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담체 컨쥬게이트의
면역원성 및 효능
마우스 중의 컨쥬게이트의 예비임상 평가
면역검정 분석: 각 폴리사카라이드 컨쥬게이트에 대한 혈청 항체를 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ELISA 검정 분석에 사용된 인간 혈청 알부민(HSA)(Sigma, St. Louis, MO) 컨쥬게이트를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제조하였다. 산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HSA에 첨가한 후 NaCNBH3로 환원성 아민화하였다. 컨쥬게이트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고 -70℃에서 냉동 건조하여 저장하였다. PS-특이적 항체 역가를 다음과 같이 ELISA에 의해 결정하였다. 폴리스티렌, 96-웰, 평면 바닥 미량역가 플레이트(NUNC Polysorb)(Nunc, Naperville, IL)를 0.25μg/웰(100㎕/웰)로 PBS (0.01 M 인산나트륨, 0.15 M NaCl, pH 7.5) 중 PS-HSA 컨쥬게이트로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여 코팅한 후 PBS-Tween (PBS 중 0.05% v/v Tween 20) 세척(5회)하였다. 모든 후속적인 배양은 실온에서 행해졌다. PBS-Tween을 모든 필요한 세척에 사용하였다. 이어 코팅된 플레이트를 IgG ELISA를 위해 PBS-BSA(PBS 중 0.5% w/v 소 혈청 알부민)로 또는 IgM ELISA를 위해 0.1% w/v 카네이션 무지방 분유로 0.15 mL/웰로 1시간 동안 블록킹한 후 세척하였다. 혈청을 2개 1세트로 플레이트 중에서 100 ㎕/웰로 2배 희석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척하였다. 항체 컨쥬게이트(과산화효소-표지된 염소 항-마우스; Kirkegaard & Perry Lab, Gaithersburg, MD)를 100 ㎕/웰로 첨가하여 30분간 배양한 후 세척하였다. 1:1 염료 및 기질 용액(Kirkegaard & Perry TMB) 및 과산화물을 0.05 mL/웰로 첨가하고 10분간 배양하였다. 이어 과산화효소 반응을 0.05 mL/웰로 1 M H3PO4로 정지시키고, 650 nm를 기준 파장으로 사용하여 450 nm의 파장에서 몰레큘라 디바이스 이맥스(Molecular Devices Emax)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olecular Devices, Menlo Park, CA)로 플레이트를 판독하였다. 배경 흡광도를 수 개의 무혈청 대조군 웰 중에서 측정하고 각 플레이트에 대해 평균을 하였다. 각 혈청 희석에 대해, 평균 배경 흡광도를 뺀 후 2개 1조 혈청 흡광도 값을 평균하였다. 변형된 스캣차드(Scatchard) 플롯을 사용하여 후속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여기서 흡광도(y-축)를 희석의 역수의 흡광도승(x-축)에 대해 플롯팅하였다 (기준). 평형 및 항체 과잉이 허용되는 조건 하에서 각 혈청 희석 시리즈에 대해 직선이 얻어졌다; 이 선을 x-축으로 외삽하여 항체 역가를 결정하였다. 미리 결정된 항체 역가를 가진 양성 대조군 혈청을 각 플레이트 상에서 사용하여 모든 혈청을 표준화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플레이트별 및 날짜별 변화를 최소화하였다. 이들 검정 분석 결과를 표 5, 6 및 7에 나타내었다.
옵소닌식세포(Opsonophagocytic) 검정분석(OP): 인간 전골수구성 백혈병 HL-60 세포주(ATCC No. CCL 240)를 사용하여, 연쇄상구균 B(GBS) 및 폐렴쌍구균 컨쥬게이트에 대한 마우스 항혈청의 옵소닌 활성을 생체 외 옵소닌식세포 살해 검정 분석으로 시험하였다. 간략히, 200 cfu의 GBS 유형 III 균주 M781 세포 또는 뉴모콕쿠스 유형 14 균주를 혈청 항체와 함께 동일한 부피로 혼합하고 5% CO2 배양기 중에서 35℃에서 15분간 진탕하며 배양하였다. 90 mM DMF의 존재 하에 5일간 배양한 새끼 토끼 보체 및 HS-60 세포(5 x 105)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진탕하며 배양하였다. 분액을 취하여 정량 배양하였다. 50% 박테리아가 살아있는 것에 해당하는 항체 희석을 외삽하여 역가를 결정하였다. 이들 검정분석 결과를 뉴모콕쿠스 유형 14 컨쥬게이트에 대해 표 5에, GBS 유형 III 컨쥬게이트에 대해 표 6에 나타내었다.
혈청 살균성 검정분석(SBA): 살균 역가 또는 역 희석(reciprocal dilution)의 면에서 표적 박테리아의 50%를 살균하는 항체-의존성 보체-매개 살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혈청 중의 보체를 먼저 56℃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이어 멸균 96-웰 U형 바닥 미량역가 플레이트(Sigma) 중에서 GBSS로 각 혈청에 대해 2배 희석을 확립하여 최종 부피를 50 ㎕/웰로 하였다. 유아 토끼 혈청 보체(Pel-Freeze, Brown Deer, WI)를 작동 농도의 GBM 박테리아(항원형 15 균주, 44/76) 또는 C족 수막염구균 C11 기준 균주로 1:1로 희석하고, 50 ㎕를 희석된 혈청을 함유하는 각 웰에 첨가하여 최종 반응 혼합물 부피를 100 ㎕/웰로 하였다. 50% 혈청(열에 의해 불활성화되고 희석된), 25% 토끼 혈청 보체 및 25% 박테리아(작동 농도)를 함유한 이 반응 혼합물을 빠른 속도의 미량역가 플레이트 진탕기(LKB-Wallac; pharmacia Biotech) 상에서 37℃의 가습 인큐베이터 중에서 5% CO2와 함께 60분간 배양하였다.
이어 플레이트당 30 ㎕를 스프레드하여 모든 웰을 초콜렛 아가 상에 플레이팅하였다. 시간 0점에서의 박테리아 샘플을 또한 플레이팅하였다. 전과 같이, 모든 플레이트를 일야 배양하였다. 이어 이미징 프로덕츠 인터내셔널(Imaging Products International; Chantilly, VA)사의 자동화 콜로니 계수기로 콜로니 형성 단위(cfu)를 계수하고 플레이트당 세 번의 판독 결과를 평균하였다. x-축은 해당 역 희석의 log10 값을 나타내고 y-축은 생존 백분율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그래프로부터 50%를 죽이는 역 희석 또는 역가를 직접 판독하였다. 이 검정분석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뉴모콕쿠스 14-파상풍 톡소이드 컨쥬게이트의 면역원성
백신/보조제 EILSA 제0일 EILSA 제28일 EILSA 재38일 EILSA 제59일 OP 제59일
대조군/염수 <50 2,250 29,000 32,600 3,100
대조군/알룸 <50 18.200 99,000 265,000 25,000
Pn14-TT/염수 <50 4,600 89,000 59,200 3,900
Pn14-TT/알룸 <50 27,000 185,000 251,000 26,000
PBS/알룸 <50 <50 <50 <50 <50
대조군 백신은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제조된 유형 14 폴리사카라이드-파상풍 톡소이드 컨쥬게이트였다. Pn14-TT 컨쥬게이트는 N-아크릴로일화된 유형 14 폐렴쌍구균 폴리사카라이드 및 파상풍 톡소이드 사이의 직접 커플링의 생성물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 6-8주 된 10 CD1 마우스(Charles River Laboratory) 그룹을 제0, 28 및 38일에 2.0 μg의 컨쥬게이션된 폴리사카라이드로 피하주사하였다. 동물들을 제0, 28, 38일에 출혈시키고 제59일에 방혈시켰다.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제조된 Pn14 폴리사카라이드-HSA 컨쥬게이트를 사용하여 ELISA를 수행하였다. 표 5에 보고된 ELISA 역가는 총 IgG를 나타낸다. 보고된 OP 역가는 뉴모콕쿠스 14 균주에 대한 것이다.
GBS 유형 III 컨쥬게이트의 면역원성
백신/보조제 ELISA 제0일 ELISA 제21일 ELISA 제42일 ELISA 제52일 OP 제52일
대조군 컨쥬게이트/알룸 <50 900 1,800 3,000 170
GBS III-TT/ 알룸 <50 500 8,500 25,000 3,100
PBS/알룸 <20 <20 <20 <20 <20
대조군 컨쥬게이트 백신은 과요오드산염 산화된 GBS 유형 III 폴리사카라이 드 및 파상풍 톡소이드의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제조된 GBS 유형 III-파상풍 톡소이드 컨쥬게이트였다. GBS III-TT 컨쥬게이트는 N-아크릴로일화 유형 III 폴리사카라이드 및 파상풍 톡소이드 사이의 직접 커플링의 생성물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 6-8주 된 10 CD1 마우스(Charles River Laboratory) 그룹을 제0, 21 및 42일에 2.0 μg의 컨쥬게이션된 폴리사카라이드로 피하주사하였다. 마우스를 제0, 21, 42일에 출혈시키고 제52일에 방혈시켰다. 인간 혈청 알부민에 커플링된 GBS 유형 III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ELISA 역가를 측정하였으며, 표 6에 주어진 역가는 유형 III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총 IgG를 나타낸다.
대장균 K1 컨쥬게이트의 면역원성
백신/보조제 ELISA 제0일 ELISA 제28일 ELISA 제42일 ELISA 제52일 SBA 제52일
K1-rPorB II/알룸 대조군 롯트 1 <50 1,000 39,000 106,000 450
K1-rPorB II/알룸 대조군 롯트 2 <50 450 124,000 250,000 1,000
K1-rPorB I/알룸 롯트 1 <50 220 27,000 96,000 810
K1-rPorB I/알룸 롯트 2 ND ND 24,000 71,000 3,800
K1-S-rPorB/알룸 롯트 1 ND ND 45,000 114,000 2,600
K1-S-rPorB/알룸 롯트 2 ND ND 41,000 94,000 1,700
PBS/알룸 <50 <50 <50 <50 <50
대조군 백신(K1-rPorB II)은 과요오드산염-산화된 N-아크릴로일화된 K1 폴리사카라이드와 파상풍 톡소이드 사이이 환원성 아민화의 산물이었다. K1-rPorB I 백신은 N-아크릴로일화된 K1 폴리사카라이드와 파상풍 톡소이드의 직접 커플링에 의한 산물이었다. K1-S-rPorB는 티올화된 포린 rPorB와 N-아크릴로일화된 K1 폴리사카라이드의 직접 커플링에 의한 산물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 4-6주 된 10 CD1 마우스(Charles River Laboratory) 그룹을 제0, 28 및 42일에 복강내로 면역화시켰다. 마우스를 제0, 28, 42일에 출혈시킨 후 제52일에 방혈시켰다. 인간 혈청 알부민에 커플링된 N-프로피오닐화된 K1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ELISA 역가를 측정하였다. 표 7에 나타낸 역가는 변형된 N-프로피오닐화된 K1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총 IgG를 나타낸다. 제52일 방출에 대한, 수막염균 B족 항원형 15 H44/76 균주에 대한 혈청 살균 활성(SBA)를 역시 표 7에 나타내었다.
GCMP 컨쥬게이트의 면역원성
백신/보조제 ELISA 제38일 SBA 제38일
GCMP-S-rPorB/알룸 롯트 1 44,000 2,100
GCMP-S-rPorB/알룸 롯트 2 43,000 2,800
PBS/알룸 <50 <50
CGMP-S-rPorB는 N-아크릴로일화된 C족 수막염구균 폴리사카라이드(GCMP)와 티올화된 rPorB 사이의 직접 커플링에 의한 산물이었다. 이 동물 연구를 위해 HSD로부터의 6-8주 된 10마리의 이계배양된 스위스 웹스터 암컷 마우스 그룹을 제0일 및 제28일에 투여당 2㎍의 컨쥬게이션된 폴리사카라이드로 피하주사하였다. 동물을 제38일에 방혈시켰다. 인간 혈청 알부민에 커플링된 GCMP를 사용하여 C족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ELISA 역가를 측정하였다. 수막염구균 C11 표준 균주를 사용하여 혈청 살균성 역가를 얻었다.

참고문헌
1. Anderson,P.,G. Peter, R.B. Johnson, L.H.Wetterlow and D.H.Smith. 1972. Immunization of humans with polyribosylphosphate, the capsular antigen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J.Clin.Invest.51:39-44.
2. Avery,O.T. and W.F.Goebel, 1931. Chemo-iminunological studies on conjugated carbohydrate-proteins V. The immunological specificity of an antigen prepared by combining the capsular polysaccharide of type 3 pneumococcus with foreign protein. J.Exp.Med. 54:437-447.
3. Baker,C.J. and D.L.Kasper. 1985. Group B streptococcal vaccines. Rev.Inf.Dis. 7:458-467.
4. Baker,C.J., M.A.Rench, M.S.Edwards, R.J.Carpenter, B.M.Hays and D.L.Kasper. 1988. Immunization of pregnant women with a polysaccharide vaccine of group B Streptococcus. N.Engl.J.Med. 319:1180-1185.
5. Baker,C.J., M.A.Rench and D.L.Kasper. 1990. Response to Type Ⅲ polysaccharide in women whose infants have had invasive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 New Engl.J.Med. 322:1857-1860.
6. Baltimore,R.S., D.L.Kasper and J.Vecchitto. 1979. Mouse protection test for group B Streptococcus type Ⅲ. J.Infect.Dis. 140:81-86.
7. Bednar,B. and J.P.Hennessey.1993. Molecular size analysis of capsular polysaccharide preparations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Carbohyd.Res.243:115-130.
8. Beri,R.G., J.Walker, E.T.Reese and J.E. Rollings. 1993. Characterization of chitosans via coupled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and multiple-angle laser light-scattering technique. Carbohyd.Res.238:11-26.
9. Bradford,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yt.Biochem. 72:248-254.
10. D'Ambra,A.J., J.E.Baugher, P.E.Concannon, R.A.Pon and F.Michon. 1997. Direct and indirect methods for molar-mass analysis of fragments of the capsular polysaccharide of Haemophilus influenzae tybe b. Anal.Biochem. 250(2):228-236.
11. Dick,W.E., Jr. and M.Beurret. 1989. Glycoconjugates of bacterial carbohydrate antigens. p.48-114. In: Conjugate Vaccines Contributions to Microbiology and Immunology. J.M.Cruse and R.E.Lewis,Jr., (eds) S.Karger, Basel.
12. Dillon,H.C., Jr., S.Khare and B.M.Gray. 1987. Group B streptococcal carriage and disease: A 6-year prospective study. J.Pediat. 110:31-36.
13. Goebel,W.F. and O.T.Avery. 1931. Chemo-immunological studies on conjugated carbohydrate-proteins IV. The synthesis of the p-aminobenzyl ether of the soluble specific substance of type 3 pneumococcus and its coupling with protein. J.Exp.Med. 54:431-436.
14. Gold,R., M.L.Lepow, I.Goldschneider, T.L.Draper and E.C.Gotschlich. 1975. Clinical evaluation of group A and group C mening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s in infants. J.Clin.Invest. 56:1536-1547.
15. Gold,R., M.L.Lepow, I.Goldschneider and E.C. Gotschlich. 1977. Immune response of human infants to polysaccharide vaccines of Groups A and C Neisseria meningitides. J.Infect.Dis. 136S:S31-S35.
16. Gold,R.M., M.L.Lepow, I.Goldschneider, T.F.Draper and E.C.Gotschlich. 1978. Antibody responses of human infants to three doses of group A Neisseria meningitides vaccine administered at two, four and six months of age. J.Infect.Dis. 138:731-735.
17. Hennessey,J.P., B.Bednar and V.Manam. 1993. Molecular size analysis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apsular polysaccharide. J.Liq.Chromat. 16:1715-1729.
18. Howard,J.G., G.H.Christie,B.M. Courtenay, E.Leuchars and A.J.S.Davies. 1971. Studies on immunological paralysis. Ⅵ. Thymic-independence of tolerance and immunity to type Ⅲ pneumococcal polysaccharide. Cell.Immunol. 2:614-626.
19. Jennings,H.J., E.Katzenellenbogen, C.Lugowski and D.L.Kasper. 1983. Structure of the native polysaccharide antigens of type Ia and type Ib Group B Streptococcus. Biochemistry 22:1258-1263.
20. Jennings,H.J., K.-.G.Rosell and D.L.Kasper. 1980. Structural determination and serology of the native polysaccharide antigen of type Ⅲ group B Streptococcus. Can.J.Biochem. 58:112-120.
21. Jennings,H.J., K.-.G.Rosell and D.L.Kasper. 1980. Structure and serology of the native polysaccharide antigen of type Ia group B Streptococcus. Proc.Nat.Acad.Sci.USA. 77:2931-2935.
22. Jennings,H.J., K.-,G. Rosell, E.Katzenellenbogen and D.L.Kasper. 1983. Structural determination of the capsular polysaccharide antigen of type Ⅱ Group B Streptococcus. J.Biol.Chem.258:1793-1798.
23. Jennings,H.J. and R.K.Sood. 1994. Synthetic glycoconjugates as human vaccines. p.325-371. In: Y.C.Lee and R.T.Lee, Neoglycoconjugates: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New York.
24. Kasper,D.L., C.J.Baker, R.S.Baltimore, J.H.Crabb, G.Schiffman and H.J.Jennings. 1979. Immunodeterminant specificity of human immunity to type Ⅲ group B Streptococcus. J.Exp.Med. 149:327-339.
25. Knobloch,J.E. and P.N.Shaklee. 1997. Absolute molecular weight of low-molecular-weight heparins b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with 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 detection. Anal.Biochem.245:231-241.
26. Lancefield, R.C., 1933. A serological differentiation of human and other groups of haemolytic streptococci. J.Exp.Med. 57:571-595.
27. Lancefield,R.C.. 1938. A micro-precipitin technique for classifying hemolytic streptococci and improved methods for producing antigen. Proc.Soc.Exp.Biol.and Med.38:473-478.
28. Lancefield, R.C., M.McCarty and W.N.Everly. 1975. Multiple mouse-protective antibodies directed against group B streptococci: Special reference to antibodies effective against protein antigens. J.Exp.Med. 142:165-179.
29. Madoff, L.C., L.C.Paoletti, J.Y.Tai and D.L.Kasper. 1994. Maternal immunization of mice with Group B streptococcal type Ⅲ polysaccharide-beta C protein conjugate elicits protective antibody to multiple serotypes. J.Clin.Invest. 94:286-292.
30. Marques, M.B., D.L.Kasper, A.Shroff, F.Michon, H.J.Jennings and M.R.Wessels. 1994. Functional activity of antibodies to the group B polysaccharide of group B streptococci elicited by a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vaccine. Infect.Immun. 62:1593-1599.
31. Makela, P.R.H., H.Peltola, H.Kayhty, et al. 1977. Polysaccharide vaccines of group A Neisseria meningitides and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A field trial in Finland. J.Infect.Dis. 136:S43-50.
32. Michon, F., J.R.Brisson, A.Dell, D.L.Kasper and H.J.Jennings. 1988. Multiantennary group-specific polysaccharide of group B Streptococcus. Biochem. 27:5341-5351.
33. Peltola, A., H.Kayhty, A.Sivonen and P.R.H.Makela. 1977.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capsular polysaccharide vaccine in children: A double blind field study of 100,000 vaccines 3 months to 5 years of age in Finland. Pediatrics 60:730-737.
34. Peltola, H., P.R.H.Makela, H.Jousimies, et al. 1977. Clinical efficacy of meningococcal group A vaccine in children three months to five years of age. N.Engl.J.Med. 297:686-691.
35. Reuter, G. and R.Schauer. 1994. Determination of sialic acids. p.168-199. In: W.J.Lennarz and G.W.Hart, Methods in Enzymology Vol. 230 Techniques in Glycobi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36. Robbins, J.B. and R.Schneerson. 1990.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s: A new generation of vaccines. J.Infect.Dis. 161:821-832.
37. Smith, A.L. and J.Haas. 1991. Neonatal Bacterial Meningitis. p. 313-333. In: W.M.Scheld, R.J.Whitley and D.T.Durack, Infect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Raven Press, Ltd., New York.
38. Tsunashima, T., K.Moro, B.Chu and T.-Y.Liu. 1978. Characterization of group C meningococcal polysaccharide by light-scattering spectroscopy. Ⅲ. Determination of molecular weight, radius of gyration, and translational diffusional coefficient.. Biopolymers 17:251-265.
39. von Hunolstein, C., L.Nicolini, S.D'Ascenzi, C.Volpe, G.Alfarone and G.Orefici. 1993. Sialic acid and biomass production by Streptococcus agalactiae under different growth conditions. Appl.Microbiol.Biotechnol.38:458-462.
40. Wessels, M.R,, W.J.Benedi, H.J.Jennings, F.Michon, J.L.DiFabio and D.L.Kasper. 198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pe Ⅳ group B Streptococcus capsular polysaccharide. Infect.Immun. 57:1089-1094.
41. Wessels, M.R., J.L.DiFabio, V.J.Benedi, et al. 1991. Structural determination and immun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ype Ⅴgroup B Streptococcus capsular polysaccharide. J.Biol.Chem. 266:6714-6719.
42. Wessels, M.R., L.C.Paoletti, D.L. Kasper, et al. 1990. Immunogenicity in animals of a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vaccine against type Ⅲ group B Streptococcus. J.Clin.Invest, 86:1428-1433.
43. Wessels, M.R., L.C.Paoletti, A.K.Rodewald, et al. 1993. Stimulation of protective antibodies against type Ia and Ib group B streptococci by a type Ia polysaccharide-tetanus toxoid conjugate vaccine. Infect.Immun. 61:4760-4766.
44. Wessels, M.R., V.Pozsgay, D.L.Kasper and H.J.Jennings. 1987. Structure and immunochemistry of an oligosaccharide repeating unit of the capsule polysaccharide of Type Ⅲ Group B Streptococcus: A revised structure for the Type Ⅲ Group B streptococcal polysaccharide antigen. J.Biol.Chem. 262:8262-8267.
45. Wyle, S.A., M.S.Artenstein, B.L.Brandt, et al. 1972. Immunologic response of man to group B mening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s. J.Infect.Dis. 126:514-522.
46. Romanowska, A., S.J.Meunier, F.D.Tropper, C.A.LaFerriere, and R.Roy. 1994. Michael Additions for Synthesis of Neoglycoproteins. Methods in Enzymology. Vol. 242:90-101.
47. Orellana, A. and C.B.Hirshberg. 1994.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 Glycosaminoglycan N-Acetylglucosaminyl N-Deacetylase/N-sulfotransferase from a Heparin-producing Cell Line. J.Biol.Chem. Vol 269, No.3 pp 2270-2276.
48. Cheung, W-F., I.Eriksson, M.Kusche-Gullberg, U.Lindahl, and L. Kjellen, 1996. Expression of the Mouse Mastocytoma Glucosaminyl N-Deacetylas/N-sulfotransferase in Human Kidney 293 Cells Results in Increased N-Sulfation of Heparan Sulfate. Biochem 35: 5250-5256.
49. Kusche-Gullberg, M., I.Eriksson, D.Sandback Pikas, and L.Kjellen 1998.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in Mouse of Two Heparan Sulfate Glucosaminyl N-Deacetylase/N-Sulfotransferase Genes. J.Biol.Chem. Vol 273, No. 19: 11902-11907.
50. Finke, A., D.Bronner, A.V. Nikolaev, B. Jann, and K. Jann. 1991. Biosynthesis of the Escherichia coli K5 Polysaccharide, a Representative of Group Ⅱ capsular Polysaccharides: Polymerization In Vitro and Characteriiation of the Product. J. Bacteriology 173, No. 13: 4088-4094.
51. Dubois, M. et al 1965. Colo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 Analytic. Chem. Vol. 28: 350-366.

Claims (58)

  1. 프로피오네이트 잔기의 β-위치에서 단백질에 직접 컨쥬게이션된 N-프로피온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프로피온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하나 이상의 라이신 또는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박테리아, 효모, 암 세포로부터 유도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대장균, 수막염구균, 폐렴쌍구균, 연쇄상구균, 나이세리아, 살모넬라, 클렙시엘라 또는 슈도모나스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B족 연쇄상구균의 항원형 Ia, Ib, II, III, V, VIII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6. 제4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B족, C족, Y족, W135족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수막염구균 족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7. 제4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대장균 K1, 대장균 K92, 폐렴쌍구균 유형 4, 폐렴쌍구균 유형 14, 연쇄상구균 A족, 연쇄상구균 C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파상풍 톡소이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나이세리아 수막염균 외부막 단백질, 뉴몰리소이드, B족 연쇄상구균으로부터의 C-β 단백질 및 B족 연쇄상구균으로부터의 비 IgA-결합 C-β 단백질로부터 선택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재조합적으로 생성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재조합 나이세리아 수막염균 외부막 단백질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하나 이상의 유리 아미노기 또는 N-아실기를 가지는 구조적 반복 단위의 글리코실 잔기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글리코실 잔기가 글루코스아민, 갈락토스아민, 만노스아민, 푸코스아민 및 시알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4. 제1항에 있어서, N-프로피온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프로피온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단백질의 라이신 잔기의 ε-유리 아미노기 또는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기에 직접 컨쥬게이션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 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5. N-프로피온화된 폐렴쌍구균 유형 14 폴리사카라이드-파상풍 톡소이드 컨쥬게이트, N-프로피온화된 B족 연쇄상구균 유형 III 폴리사카라이드-파상풍 톡소이드 컨쥬게이트, N-프로피온화된 B족 연쇄상구균 유형 II 폴리사카라이드-파상풍 톡소이드 컨쥬게이트, N-프로피온화된 대장균 K1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N-프로피온화된 수막염구균 C 폴리사카라이드-파상풍 톡소이드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6. A) N-탈아세틸화 시약을 사용하여 단리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N-탈아세틸화시켜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탈아세틸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B)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탈아세틸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아크릴로일화 시약으로 N-아크릴로일화시켜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아크릴로일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아크릴로일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단백질에 직접 컨쥬게이션시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생산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7. 제16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박테리아, 효모, 암 세포 또는 화학적 합성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컨쥬게이션이 약 7.0의 pH에서 수행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컨쥬게이션이 9.0 초과의 pH에서 수행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컨쥬게이션이 인산염 완충액, 탄산염/중탄산염 완충액 및 붕산염 완충액으로부터 선택된 시약 중에서 수행된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N-탈아세틸화 시약이 염기 또는 효소이고 아크릴로일화 시약이 N-아크릴로일 염화물, 아크릴로일 무수물, 아크릴산 및 탈수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22. 제1항 또는 제16항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및 제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박테리아성 감염, 효모 감염에 대한 면역원 및 백신, 및 암치료제로서의 제약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보조제가 알룸 및 스테아릴 티로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5. 제22항에 있어서, DTP, DTaP, Td, DTaP-Hib, DTaP-IPV-Hib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제2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6. 폴리사카라이드-특이적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특이적 면역 응답을 유발하는, 제1항 또는 제16항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면역원.
  27. 제26항에 있어서, 면역 응답이 폴리사카라이드-특이적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특이적 이뮤노글로불린을 생성하는 것인 면역원.
  28. 제27항에 있어서, 이뮤노글로불린이 IgG, IgM, IgA 또는 이들의 조합인 면역원.
  29. A) N-탈아세틸화 시약을 사용하여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N-탈아세틸화시켜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탈아세틸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B) N-탈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탈아세틸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아크릴로일화 시약으로 N-아크릴로일화시켜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아크릴로일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아크릴로일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단백질에 직접 컨쥬게이션시켜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N-탈아세틸화 시약이 염기 또는 효소인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N-탈아세틸화 시약이 NaOH, KOH 및 LiOH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아크릴로일화 시약이 아크릴로일 염화물, 아크릴로일 무수물, 아크릴산 및 탈수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3.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박테리아, 효모, 암 세포 또는 화학적 합성으로부터 유도된 것인 방법.
  34.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대장균, 수막염구균, 폐렴쌍구균, 연쇄상구균, 나이세리아, 살모넬라, 클렙시엘라 또는 슈도모나스로부터 유도된 것인 방법.
  35.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파상풍 톡소이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나이세리아 외부막 단백질, 뉴몰리소이드, 및 B족 연쇄상구균으로부터의 C-β 단백질 및 B족 연쇄상구균으로부터의 비 IgA 결합 C-β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재조합적으로 생성된 것인 방법.
  37. 질병 유발 유기체 또는 질병 유발 세포에 대한 보호 면역성을 제공하는, 제1항 또는 제16항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백신.
  38. 제37항에 있어서, 질병 유발 유기체 또는 질병 유발 세포가 박테리아, 효모 및 암 세포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백신.
  39. 제38항에 있어서, 박테리아가 대장균, 수막염구균, 폐렴쌍구균, 연쇄상구균, 나이세리아, 살모넬라, 클렙시엘라 또는 슈도모나스인 백신.
  40. 제37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와 조합하여, DTP, DTaP, Td, DTaP, Hib, DTaP-IPV-Hib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면역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백신.
  41.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면역화 양의 제37항에 따른 백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질병 유발 유기체 또는 질병 유발 세포에 대해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를 면역화시키는 방법.
  42.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면역화 양의 제37항에 따른 백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폐렴연쇄상구균에 대해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를 면역화시키는 방법.
  43.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면역화 양의 제37항에 따른 백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B족 연쇄상구균에 대해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를 면역화시키는 방법.
  44.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면역화 양의 제37항에 따른 백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B족 나이세리아 수막염균에 대해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를 면역화시키는 방법.
  45.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면역화 양의 제37항에 따른 백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C족 나이세리아 수막염균에 대해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를 면역화시키는 방법.
  46.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면역화 양의 제37항에 따른 백신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형 B에 대해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를 면역화시키는 방법.
  47. 제1항 또는 제16항에 따른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한 항체 반응을 유발하는 방법.
  48. 제47항의 방법에 따라 생산된 이뮤노글로불린 또는 그의 항원-결합 단편.
  49. 제48항에 있어서, IgG 항체, IgM 항체, IgA 항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이뮤노글로불린.
  50. 제49항에 있어서, 항체가 단리된 IgG인 이뮤노글로불린.
  51. N-프로피온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N-프로피온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해 특이적으로 면역반응성이고 β-프로피온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β-프로피온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가 유도된 천연 N-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해 면역반응성인, 제1항 또는 제16항에 따른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 또는 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올리고사카라이드-단백질 컨쥬게이트에 응답하여 유발된 단리된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52. 제51항에 있어서, 천연 N-아세틸화된 폴리사카라이드가 박테리아, 효모 또는 암 세포의 성분인,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53. 제52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가 대장균, 수막염구균, 폐렴쌍구균, 연쇄상구균, 나이세리아, 살모넬라, 클렙시엘라 또는 슈도모나스로부터 유도된 것인,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54. 제51항에 있어서, 재조합적으로 생성된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
  55.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게 질병 유발 유기체 또는 질병 유발 세포를 억제하거나 또는 사멸시키기에 충분한 유효량의 제48항 또는 제51항에 따른 이뮤노글로불린 또는 항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서 질병 유발 유기체 또는 질병 유발 세포에 대한 수동 면역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이뮤노글로불린이 단리된 IgG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인 수동 면역화 방법.
  57. 제55항에 있어서, 이뮤노글로불린이 단리된 IgM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인 수동 면역화 방법.
  58. 제55항에 있어서, 이뮤노글로불린이 단리된 IgA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인 수동 면역화 방법.
KR1020017002108A 1998-08-19 1999-08-18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백신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면역원성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컨쥬게이트 KR100704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12098P 1998-08-19 1998-08-19
US60/097,120 1998-08-19
US37691199A 1999-08-18 1999-08-18
US09/376,911 1999-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776A KR20010072776A (ko) 2001-07-31
KR100704826B1 true KR100704826B1 (ko) 2007-04-09

Family

ID=2679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108A KR100704826B1 (ko) 1998-08-19 1999-08-18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백신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면역원성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컨쥬게이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40213804A1 (ko)
EP (1) EP1109576B1 (ko)
JP (1) JP2004505885A (ko)
KR (1) KR100704826B1 (ko)
CN (1) CN1263510C (ko)
AT (1) ATE446107T1 (ko)
AU (1) AU771330B2 (ko)
CA (1) CA2340692A1 (ko)
CZ (1) CZ2001622A3 (ko)
DE (1) DE69941574D1 (ko)
HK (1) HK1041825B (ko)
HU (1) HUP0103100A3 (ko)
NO (1) NO20010805L (ko)
NZ (1) NZ509986A (ko)
WO (1) WO20000105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82A1 (ko) * 2012-04-06 2013-10-10 아이진 주식회사 두 가지 항암물질을 동시에 제공하는 대장균 균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0735A3 (en) 1999-03-19 2008-03-12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PL211872B1 (pl) * 2000-03-31 2012-07-31 Purdue Research Foundation Kompozycja farmaceutyczna
WO2001098334A2 (en) * 2000-06-20 2001-12-27 Shire Biochem Inc. Streptococcus antigens
GB0115176D0 (en) 2001-06-20 2001-08-15 Chiron Spa Capular polysaccharide solubilisation and combination vaccines
WO2004011027A1 (en) * 2002-07-30 2004-02-05 Baxter International Inc. Chimeric multivalent polysaccharide conjugate vaccines
HUE047780T2 (hu) 2002-10-11 2020-05-2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olipeptid vakcinák hipervirulens meningokokkusz vonalak elleni széles-spektrumú védelemre
GB0227346D0 (en) 2002-11-22 2002-12-31 Chiron Spa 741
CN102302776B (zh) 2003-01-30 2014-06-18 诺华疫苗和诊断有限公司 抗多种脑膜炎球菌血清组的可注射性疫苗
AU2004251734B2 (en) * 2003-06-23 2010-11-04 Baxalta GmbH Vaccines against group Y neisseria meningitidis and meningococcal combinations thereof
NZ546430A (en) 2003-10-02 2009-04-30 Novartis Vaccines & Diagnostic Liquid vaccines for multiple meningococcal serogroups
GB0323103D0 (en) 2003-10-02 2003-11-05 Chiron Srl De-acetylated saccharides
US7422755B2 (en) * 2004-01-15 2008-09-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timultiorganism glycoconjugate vaccine
GB0406013D0 (en) 2004-03-17 2004-04-21 Chiron Srl Analysis of saccharide vaccines without interference
GB0409745D0 (en) 2004-04-30 2004-06-09 Chiron Srl Compositions including unconjugated carrier proteins
GB0500787D0 (en) 2005-01-14 2005-02-23 Chiron Srl Integration of meningococcal conjugate vaccination
EP2272531A3 (en) 2004-04-30 2011-04-13 Novartis Vaccines and Diagnostics S.r.l. Integration of meningococcal conjugate vaccination
GB0411387D0 (en) 2004-05-21 2004-06-23 Chiron Srl Analysis of saccharide length
GB0413868D0 (en) 2004-06-21 2004-07-21 Chiron Srl Dimensional anlaysis of saccharide conjugates
GB0502095D0 (en) 2005-02-01 2005-03-09 Chiron Srl Conjugation of streptococcal capsular saccharides
DK2283857T3 (da) 2005-06-27 2019-10-2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sammensætning omfattende konjugerede native N. Meningitidis kapselpolysaccharider
ES2353516T3 (es) * 2005-09-05 2011-03-02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Ensayo bactericida del suero para antisueros específicos de n. meningitidis.
GB0524066D0 (en) 2005-11-25 2006-01-04 Chiron Srl 741 ii
TWI465248B (zh) 2005-12-22 2014-12-21 Glaxosmithkline Biolog Sa 包含莢膜醣結合物之肺炎鏈球菌免疫原組合物、包含其之疫苗及套組及其用途
GB0607088D0 (en) 2006-04-07 2006-05-17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WO2007084856A2 (en) * 2006-01-13 2007-07-26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purifying polysaccharides
US8168164B2 (en) 2006-02-03 2012-05-01 Purdue Research Foundation Targeted conjugates and radiation
ES2383209T3 (es) 2006-03-22 2012-06-19 Novartis Ag Regímenes para la inmunización con conjugados meningococicos
GB0605757D0 (en) 2006-03-22 2006-05-03 Chiron Srl Separation of conjugated and unconjugated components
GB0612854D0 (en) 2006-06-28 2006-08-09 Novartis Ag Saccharide analysis
ATE511398T1 (de) 2006-09-07 2011-06-15 Glaxosmithkline Biolog Sa Inaktiviertes poliovirus mischimpfstoff
GB0700562D0 (en) 2007-01-11 2007-02-21 Novartis Vaccines & Diagnostic Modified Saccharides
DK2457920T3 (en) * 2007-01-18 2018-01-22 Genzyme Corp Oligosaccharides comprising an amino oxy group and conjugates thereof
MX2009011837A (es) 2007-05-02 2010-04-22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una.
ES2621359T3 (es) * 2007-06-20 2017-07-03 Pfizer Ireland Pharmaceuticals Polisacáridos modificados para vacunas conjugadas
EA200901578A1 (ru) 2007-06-26 2010-08-30 Глаксосмитклайн Байолоджикалс С.А. Вакцина, содержащая конъюгаты капсульных полисахаридов streptococcus pneumoniae
GB0713880D0 (en) 2007-07-17 2007-08-29 Novartis Ag Conjugate purification
GB0714963D0 (en) 2007-08-01 2007-09-12 Novartis Ag Compositions comprising antigens
BRPI0818545A2 (pt) 2007-10-19 2017-07-04 Novartis Ag formulações de vacinais meningocócicas
GB0818453D0 (en) 2008-10-08 2008-11-12 Novartis Ag Fermentation processes for cultivating streptococci and purification processes for obtaining cps therefrom
AU2009215364B2 (en) 2008-02-21 2014-09-1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Meningococcal fHBP polypeptides
PL2349520T3 (pl) 2008-10-27 2017-08-3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Sposób oczyszczania węglowodanów z paciorkowców grupy a
GB0822634D0 (en) 2008-12-11 2009-01-21 Novartis Ag Meningitis vaccines
GB0822633D0 (en) 2008-12-11 2009-01-21 Novartis Ag Formulation
EP2367568A2 (en) 2008-12-17 2011-09-28 Novartis AG Meningococcal vaccines including hemoglobin receptor
PT2411048T (pt) 2009-03-24 2020-07-14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roteína de ligação ao fator h meningocócica com adjuvante
EP2411045A1 (en) 2009-03-24 2012-02-01 Novartis AG Combinations of meningococcal factor h binding protein and pneumococcal saccharide conjugates
SG175092A1 (en) 2009-04-14 2011-11-28 Novartis Ag Compositions for immunising against staphylococcus aerus
US20120135037A1 (en) 2009-06-01 2012-05-31 Mizel Steven B Flagellin fusion proteins and conjugates comprising pneumococcus antige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BR112012004275A2 (pt) 2009-08-27 2016-11-16 Novartis Ag polipeptídios híbridos incluindo sequências meningocócicas de fhbp
CA2773637A1 (en) 2009-09-10 2011-03-17 Novartis Ag Combination vaccines against respiratory tract diseases
RU2603267C2 (ru) 2009-09-30 2016-11-27 Новартис Аг Конъюгация капсульных полисахаридов staphylococcus aureus типа 5 и типа 8
CN102724988B (zh) 2009-09-30 2014-09-10 诺华股份有限公司 脑膜炎球菌fHBP多肽的表达
CN102917730A (zh) 2009-10-27 2013-02-06 诺华有限公司 修饰的脑膜炎球菌fHBP多肽
GB0919690D0 (en) 2009-11-10 2009-12-23 Guy S And St Thomas S Nhs Foun compositions for immunising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GB201003333D0 (en) 2010-02-26 2010-04-14 Novartis Ag Immunogenic proteins and compositions
GB201003922D0 (en) 2010-03-09 2010-04-21 Glaxosmithkline Biolog Sa Conjugation process
GB201003924D0 (en) 2010-03-09 2010-04-21 Glaxosmithkline Biolog Sa Immunogenic composition
GB201005625D0 (en) 2010-04-01 2010-05-19 Novartis Ag Immunogenic proteins and compositions
US10478483B2 (en) 2010-06-25 2019-11-19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Combinations of meningococcal factor H binding proteins
WO2012072769A1 (en) 2010-12-01 2012-06-07 Novartis Ag Pneumococcal rrgb epitopes and clade combinations
US20130315959A1 (en) 2010-12-24 2013-11-28 Novartis Ag Compounds
CN102526724B (zh) * 2011-01-14 2015-07-22 四川大学 氢氧化铝凝胶-多糖复合免疫佐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20140112950A1 (en) 2011-03-02 2014-04-24 Manmohan Singh Combination vaccines with lower doses of antigen and/or adjuvant
GB201103836D0 (en) 2011-03-07 2011-04-20 Glaxosmithkline Biolog Sa Conjugation process
GB201114923D0 (en) 2011-08-30 2011-10-12 Novartis Ag Immunogenic proteins and compositions
PL3269386T3 (pl) 2011-12-06 2022-12-05 Valneva Austria Gmbh Związki glinu do stosowania w środkach terapeutycznych i szczepionkach
GB201121301D0 (en) 2011-12-12 2012-01-25 Novartis Ag Method
JP2015505309A (ja) 2011-12-29 2015-02-19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髄膜炎菌h因子結合タンパク質のアジュバントされた組み合わせ
EP2822584A1 (en) 2012-03-08 2015-01-14 Novartis AG Combination vaccines with tlr4 agonists
SA115360586B1 (ar) 2012-03-09 2017-04-12 فايزر انك تركيبات لعلاج الالتهاب السحائي البكتيري وطرق لتحضيرها
RU2014151567A (ru) 2012-05-22 2016-07-10 Новартис Аг Конъюгат менингококка серогруппы х
EP2892553A1 (en) 2012-09-06 2015-07-15 Novartis AG Combination vaccines with serogroup b meningococcus and d/t/p
AU2013326584B2 (en) 2012-10-02 2016-12-01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Nonlinear saccharide conjugates
CA2886938A1 (en) 2012-10-12 2014-04-17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Non-cross-linked acellular pertussis antigens for use in combination vaccines
US9987344B2 (en) 2012-11-30 2018-06-05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seudomonas antigens and antigen combinations
EP2950819B1 (en) 2013-02-01 2018-03-2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Intradermal delivery of immun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oll-like receptor agonists
PE20152002A1 (es) 2013-05-01 2016-01-21 Isis Pharmaceuticals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modular la expresion de ttr y vhb
KR102199096B1 (ko) 2013-09-08 2021-01-06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나이세리아 메닌지티디스 조성물 및 그의 방법
LT3110442T (lt) 2014-02-28 2020-12-28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Modifikuoti meningokokinio fhbp polipeptidai
US9815886B2 (en) 2014-10-28 2017-11-14 Adma Biolog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mmunodeficiency
EP3034516A1 (en) 2014-12-19 2016-06-22 Novartis AG Purification of streptococcal capsular polysaccharide
GB201518684D0 (en) 2015-10-21 2015-12-02 Glaxosmithkline Biolog Sa Vaccine
US10407454B2 (en) 2016-01-07 2019-09-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fined enzymatic synthesis of lipid A analogs
JP7104027B2 (ja) 2016-09-02 2022-07-20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 バイオロジカルズ ソシエテ アノニム 淋菌に対するワクチン
RS65362B1 (sr) 2016-09-02 2024-04-30 Sanofi Pasteur Inc Vakcina protiv neisseria meningitidis
BE1025162B9 (fr) 2016-12-06 2019-01-07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rocede de purification pour les polysaccharides capsulaires
CA3051801A1 (en) 2017-01-31 2018-08-09 Pfizer Inc. Neisseria meningitidi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10259865B2 (en) 2017-03-15 2019-04-16 Adma Biologics, Inc. Anti-pneumococcal hyperimmune globulin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neumococcal infection
WO2019119134A1 (en) * 2017-12-19 2019-06-27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Clostridium perfringens surface glycans and uses thereof
EP3607967A1 (en) 2018-08-09 2020-02-12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Modified meningococcal fhbp polypeptides
WO2020165711A1 (en) 2019-02-11 2020-08-20 Pfizer Inc. Neisseria meningitidis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JP7239509B6 (ja) 2019-02-22 2023-03-28 ファイザー・インク 細菌多糖類を精製するための方法
JOP20200214A1 (ar) 2019-09-03 2021-03-03 Serum Institute Of India Pvt Ltd تركيبات مولدة للمناعة ضد الأمراض المعوية وطرق لتحضيرها
EP4034157A1 (en) 2019-09-27 2022-08-03 Pfizer Inc. Neisseria meningitidi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EP3799884A1 (en) 2019-10-01 2021-04-07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Immunogenic compositions
US20230085173A1 (en) 2020-02-21 2023-03-16 Pfizer Inc. Purification of saccharides
US10973908B1 (en) 2020-05-14 2021-04-13 David Gordon Bermudes Expression of SARS-CoV-2 spike protein receptor binding domain in attenuated salmonella as a vaccine
EP4232593A1 (en) 2020-10-22 2023-08-30 Pfizer Inc. Methods for purifying bacterial polysaccharides
GB202208093D0 (en) 2022-06-01 2022-07-13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Immunogenic composition
GB202208089D0 (en) 2022-06-01 2022-07-13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Immunogenic composition
GB202215414D0 (en) 2022-10-18 2022-11-30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Vaccin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685A (en) * 1972-02-02 1977-11-08 Abbott Laboratories Chemically modified endotoxin immunizing agent
US4356170A (en) * 1981-05-27 1982-10-26 Canadian Patents & Development Ltd. Immunogenic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s
US4673574A (en) * 1981-08-31 1987-06-16 Anderson Porter W Immunogenic conjugates
US4902506A (en) * 1983-07-05 1990-02-20 The University Of Rochester Immunogenic conjugates
US4619828A (en) * 1982-07-06 1986-10-28 Connaught Laboratories, Inc. Polysaccharide exotoxoid conjugate vaccines
US4459286A (en) * 1983-01-31 1984-07-10 Merck & Co., Inc. Coupled H. influenzae type B vaccine
US4663160A (en) * 1983-03-14 1987-05-05 Miles Laboratories, Inc. Vaccines for gram-negative bacteria
US4761283A (en) * 1983-07-05 1988-08-02 The University Of Rochester Immunogenic conjugates
US4808700A (en) * 1984-07-09 1989-02-28 Praxis Biologics, Inc. Immunogenic conjugates of non-toxic E. coli LT-B enterotoxin subunit and capsular polymers
IT1187753B (it) * 1985-07-05 1987-12-23 Sclavo Spa Coniugati glicoproteici ad attivita' immunogenica trivalente
US4727136A (en) * 1985-10-01 1988-02-23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td. Modified meningococcal group B polysaccharide for conjugate vaccine
US5192540A (en) * 1988-04-19 1993-03-09 American Cyanamid Company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oxidized polysaccharide-outer membrane protein conjugate vaccine
NL8802046A (nl) * 1988-08-18 1990-03-16 Gen Electric Polymeermengsel met polyester en alkaansulfonaat, daaruit gevormde voorwerpen.
KR0158436B1 (ko) * 1989-12-14 1998-12-01 피에르 오. 페론 개선된 수막염균성 폴리사카라이드 결합체 백신
US5153312A (en) * 1990-09-28 1992-10-06 American Cyanamid Company Oligosaccharide conjugate vaccines
US5445817A (en) * 1992-08-21 1995-08-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ertussis toxin used as a carrier protein with non-charged saccharides in conjugate vaccines
US5554730A (en) * 1993-03-09 1996-09-10 Middlesex Sciences, Inc. Method and kit for making a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US5439808A (en) * 1993-07-23 1995-08-08 North American Vaccine, Inc. Method for the high level expression, purification and refolding of the outer membrane group B porin proteins from Neisseria meningitidis
US5811102A (en) * 1995-06-07 1998-09-22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Modified meningococcal polysaccharide conjugate vaccines
US5780606A (en) * 1995-06-07 1998-07-14 Connaught Laboratories Limited Neisseria meningitidis capsular polysaccharide conjuga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82A1 (ko) * 2012-04-06 2013-10-10 아이진 주식회사 두 가지 항암물질을 동시에 제공하는 대장균 균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80099A (en) 2000-03-14
HUP0103100A3 (en) 2005-11-28
DE69941574D1 (de) 2009-12-03
CA2340692A1 (en) 2000-03-02
NO20010805D0 (no) 2001-02-16
HK1041825B (zh) 2007-02-23
CN1263510C (zh) 2006-07-12
NO20010805L (no) 2001-04-03
WO2000010599A2 (en) 2000-03-02
WO2000010599A3 (en) 2000-06-22
HK1041825A1 (en) 2002-07-26
HUP0103100A2 (hu) 2001-11-28
JP2004505885A (ja) 2004-02-26
NZ509986A (en) 2003-10-31
AU771330B2 (en) 2004-03-18
KR20010072776A (ko) 2001-07-31
WO2000010599A8 (en) 2000-08-10
CZ2001622A3 (cs) 2002-01-16
EP1109576B1 (en) 2009-10-21
ATE446107T1 (de) 2009-11-15
EP1109576A2 (en) 2001-06-27
CN1323221A (zh) 2001-11-21
US20040213804A1 (en)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826B1 (ko) N-아크릴로일화된 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백신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면역원성β-프로피온아미도-결합 폴리사카라이드 단백질 컨쥬게이트
CA2223080C (en) Antigenic group b streptococcus type ii and type iii polysaccharide fragments having a 2,5-anhydro-d-mannose terminal structure and conjugate vaccine thereof
CA2364617C (en) Method for the reductive amination of polysaccharides
Fattom et al. Comparative immunogenicity of conjugates composed of the Staphylococcus aureus type 8 capsular polysaccharide bound to carrier proteins by adipic acid dihydrazide or N-succinimidyl-3-(2-pyridyldithio) propionate
JP2004505885A5 (ko)
NO323870B1 (no) Fremgangsmate for a konjugere et peptid til et polysakkarid.
PL175595B1 (pl) Antygenowy/immunogenny koniugat do wytwarzania szczepionki przeciwko infekcji N.meningitidis, sposób wytwarzania antygenowego/immunogennego koniugatu oraz szczepionka przeciwko infekcji N.meningitidis
US11191822B2 (en) Pneumococcal polysaccharide-protein conjugate composition
Chiu et al. Constructing conjugate vaccin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using lipid-A free lipopolysaccharide
US20190389894A1 (en) Novel semi-synthetic meningococcal conjugate vaccine
US5738855A (en) Synthesis of typhoid fever vaccine from a plant or fruit polysaccharide
MXPA03010283A (es) Conjugados inmunogenicos de acido hialuronico de peso molecular bajo con toxinas de polipeptido.
US5952454A (en) Linking compounds useful for coupling carbohydrates to amine-containing carriers
RU2249463C2 (ru) Иммуногенный конъюгат бета-пропионамид-связанного полисахарида с белком, использующийся в качестве вакцины
EP1000076A1 (en) HEXADECASACCHARIDE-PROTEIN CONJUGATE VACCINE FOR $i(SHIGELLA DYSENTERIAE) TYPE 1
EA044044B1 (ru) Иммуноге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конъюгаты полипептид-антиген с неприродными аминокислот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