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976B1 -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 Google Patents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976B1
KR100699976B1 KR1020060025316A KR20060025316A KR100699976B1 KR 100699976 B1 KR100699976 B1 KR 100699976B1 KR 1020060025316 A KR1020060025316 A KR 1020060025316A KR 20060025316 A KR20060025316 A KR 20060025316A KR 100699976 B1 KR100699976 B1 KR 10069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bin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738A (ko
Inventor
노부시게 이찌까와
겐따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67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63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67775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14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8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2246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02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루프부(7)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향으로 팽출한 천정부(17)와, 상기 천정부(17)에 설치된 히터(21)와, 상기 천정부(17)에 상기 히터(21)의 후방에 인접하여 설치된 증발기(20)와, 상기 히터(1)의 횡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천정부(17)에 설치된 캐빈 내로 공조 완료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전방 취출구(25)를 구비한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이다.
루프부, 취출구, 캐빈, 공조 유닛, 댐퍼, 창부, 상부 프레임, 차양부

Description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WORK-VEHICLE CABIN HAVING AIR-CONDITIONING UNIT}
도1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2는 내측 루프부의 외측 루프측으로부터 본 내면을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횡단 평면도.
도4는 내측 루프부의 캐빈 내로부터 본 천정면을 도시하는 바닥면도.
도5는 하향 천정부에 설치한 스위치류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6은 내측 루프부의 종단 측면도.
도7은 외내기 절환 댐퍼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8a 및 도8b은 외내기 절환 댐퍼로 순환용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와 외기 취출구를 폐색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9는 외내기 절환 댐퍼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도10은 전방 공조 덕트와 후방 공조 덕트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후방 사이드 윈도우, 조명등 및 차양부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2는 후방 사이드 윈도우, 조명등 및 차양부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3은 외내기 절환 댐퍼의 차폐부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4는 외내기 절환 댐퍼의 차폐부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빈
2 : 지지 기둥
4 : 창부
6 : 상부 프레임
7 : 루프부
8 : 조정부
9 : 엔진 본네트
10 : 핸들 포스트
13 : 차양부
17 : 천정부
20 : 증발기
21 : 히터
25 : 취출구
31 : 커버 부재
A : 공간 유닛
B : 디텐트 기구
본 발명은, 작업차의 캐빈을 구성하는 천정부에 히터와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급장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16672호 공보(단락 번호[0020], 도1, 도2)에는 하향으로 팽출한 천정부의 좌우 중앙 위치에 전방 취출구가 마련되고, 전방 취출구의 후방측에 이 전방 취출구로 공조 완료 공기를 송출하는 공조 유닛이 설치된 작업차용 캐빈이 알려져 있다. 이 캐빈에서는 전방 취출구와 공조 유닛을 전후에 배치하고 있었으므로 공조 유닛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되고, 그 결과, 하향으로 팽출한 천정부의 후단부가 운전 좌석의 상방까지 연장 돌출되게 되어 운전자에게 불편한 느낌을 갖게 한다. 또한, 이 캐빈에는 공조 완료 공기를 좌우단부로 유도하는 전방 공조 덕트와 그 전방 공조 덕트로부터의 공조 완료 공기를 수취하는 횡공조 덕트와의 접속이 각각에 설치된 경사 플랜지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있었지만(상기 공보, 단락 번호[0018], 도3), 비스듬히 형성된 플랜지에 의한 접속은 조립 부착 오차의 발생에 의해 플랜지끼리의 맞춤 어긋남을 발생시키기 쉽고, 결과적으로 그 어긋남이 공기 누설을 유도한다.
작업차용 캐빈에 공조 시스템을 조립할 때, 외내기 절환 댐퍼로서의 셔터가 필요해지지만, 그 셔터를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기복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셔터에 푸쉬풀 와이어를 거쳐서 절환 조작 기구로서의 손잡이를 설치하여 그 손잡이를 잡고 압인 조작함으로써 셔터의 절환 조작을 행하고 있는 것이 일본 특허 공개 평2-148816호 공보(공보의 제5페이지 제12행 내지 제6페이지 제15행)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외내기 절환 댐퍼에서는 외내기 절환 댐퍼가 공기 순환구를 폐색하여 외기를 취입하는 제1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캐빈 내에 작업자가 출입할 때에 출입구의 도어를 일단 개방하고 다시 폐쇄한 경우에, 폐쇄됨으로써 캐빈 내 공기가 충격적으로 압축되는 경우가 있고, 그 내압이 높아짐에 따라 제1 상태로 설정된 댐퍼가 제2 상태로 자동적으로 절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자동적으로 절환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손잡이의 조작 부분에 이동 저항을 부여하여 용이하게는 댐퍼가 절환되지 않도록 해야만 하고, 그 경우 절환 조작이 어려져서 사용하기 힘들게 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0-347666호 공보(단락 번호[0016], 도1, 도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빈의 좌우측부에 외측 개방식 창부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루프부의 창부에 대한 오버랩이 불충분하므로, 이 창부를 외측 개방 상태로 하면 비 등이 취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 유닛을 조립한 작업차용 캐빈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 중 하나는, 캐빈 실내 공간을 가능한 한 넓게 하면서 캐빈 자체의 대형화를 저지하는 동시에, 누설이 적은 공조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다른 하나는, 캐빈 내로의 출입시에 뜻하지 않게 댐퍼가 절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캐빈의 양측부에 설치된 창부를 외측 개방 상태로 해도 비 등이 취입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은 루프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향으로 팽출한 천정부와, 상기 천정부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천정부에 상기 히터의 후방에 인접하여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히터의 횡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천정부에 설치된 캐빈 내로 공조 완료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전방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방 취출구를 좌우단부로 양분하여 배치함으로써, 좌우 중간부에 빈 공간이 생겨, 그 빈 공간이 된 부분에 히터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히터와 증발기가 종래부터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향으로 팽출한 천정부의 후방단부를 전방으로 근접시킬 수 있어 하향으로 팽출한 천정부의 후방면과 운전 조종석과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고, 캐빈 전체의 확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운전자의 헤드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쾌적한 조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루프부는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루프부와 그 내측 루프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루프부로 구성되고, 상기 루프부의 횡측부에 공조 완료 공기를 캐빈 내로 취출하는 횡취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횡취출구로 상기 공조 완료 공기를 유도하는 횡공조 덕트가 상기 내측 루프부와 상기 외측 루프부에 의해 협입되는 동시에 상기 횡측부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내측 루프부와 외측 루프부 사이에 배치되는 횡공조 덕트를 그 내측 루프부와 외측 루프부에 의해 협입 고정함으로써, 특별히 전용 고정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용접 등의 고정 수단을 채용할 필요도 없다(전용 고정구를 사용하였다 해도 적은 전용 고정구가 좋다. 용접 등의 고정 수단을 채용해도 채용 부분은 적어서 좋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횡공조 덕트의 전방에 공조 유닛으로부터의 공조 완료 공기를 유도하는 전방 공조 덕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 공조 덕트의 송출부와 상기 횡공조 덕트의 전방 취입부를 통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방 공조 덕트의 송출부와 상기 횡공조 덕트의 전방 취입부 중 대경측인 것의 선단부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소경측의 통형부가 되는 상기 송출부 또는 상기 전방 취입부를, 상기 절결부를 거쳐서 상기 대경측의 통형부가 되는 상기 전방 취입부 또는 상기 송출부에 삽입 끼워 맞춤하고, 그 삽입 끼워 맞춤 상태에 있는 상기 소경측의 통형부가 되는 상기 송출부 또는 상기 전방 취입부에 대해 상기 절결부를 씌우는 커버 부재에 의해 협입 고정한다. 이 구성에서는, 덕트끼리의 접속부를 통형으로 형성하여 대경측(전방 공조 덕트 또는 횡공조 덕트)의 통형부에 절결부를 설치한다. 이 절결부를 상대측(횡공조 덕트 또는 전방 공조 덕트)의 통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평행하게 배치하여 상대적으로 축심에 직교하는 상태로 이동시키면, 절결부를 통해 상대측 통형부가 대경측 통형부 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끼워 맞춤 상태에 있어서 그 절결부를 매립하도록 커버 부재를 상대측의 통형부에 외부 끼움함으로써 양 덕트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접속 구조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이 없어서 공기 누설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하나의 공조 유닛 탑재 작 업차용 캐빈에서는 외기 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공기를 공조 유닛으로 유도하는 공기 흐름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조 유닛에 의해 공조를 실시한 공조 완료 공기를 캐빈 내로 취출하는 취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캐빈 내부 공간과 상기 공기 흐름 통로를 연통하는 공기 순환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 순환구에 대한 외내기 절환 댐퍼가 설치되고, 그 때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를 상기 공기 순환구를 폐색하는 제1 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기 공기 흐름 통로를 통해 공조 유닛으로 도입되고,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를 상기 공기 순환구를 개방하여 상기 외기 도입구를 폐색하는 제2 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외기의 상기 공기 흐름 통로 내로의 도입이 금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공기 순환구를 통해 캐빈 내 공기를 상기 공기 흐름 통로로 도입하여 상기 공조 장치에 의해 공조를 실시하여 공조 완료 공기가 상기 취출구로부터 다시 캐빈 내로 복귀되고, 또한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는 상대측 개구 모서리에 밀착하는 동시에 탄성 변형 가능한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를 지지하는 요동 가능한 기단부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를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조작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캐빈에서는 댐퍼 구조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차폐부를 채용함으로써, 그 차폐부가 상대측 개구 모서리에 밀착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캐빈 내로의 출입시에 도어가 개폐 조작되어 캐빈 내의 내압이 충격적으로 높아졌다고 해도 차폐부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대측 개구 모서리로부터 이격하게 되므로, 그 이격된 차폐부와 상대측 개구 모서리로부터 내부 공기를 릴리프시킬 수 있고, 캐빈 내압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차폐부가 이격되는 상태라 도 댐퍼의 기단부는 폐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캐빈 내압의 저하와 함께 차폐부는 폐색 자세로 복귀된다. 따라서, 절환 조작 기구를 무겁게 하는 등의 대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작성이 좋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용이하게는 절환하기 어려운 외내기 절환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차폐부가 복수매의 고무판을 부착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고무판의 선단부 부분과 기단부측 부분을 접합하여 상기 선단부 부분과 기단부측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을 접합하지 않는 상태로 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폐부가 중간부를 접합하지 않는 구성이므로, 복수의 고무판을 접합한 강도가 있는 구성으로 하면서, 접합하지 않는 중간부에서 탄성 변형시킬 수 있어 댐퍼로서 필요한 밀폐하는 데 충분한 기능을 얻으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차폐부가 복수매의 고무판을 접합한 것으로 이루어져, 그 고무판의 기단부측 부분을 접합하고 상기 선단부 부분을 접합하지 않는 것도 제안된다. 즉, 고무판의 접합에 의해 댐퍼로서의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기단부측 부분을 접합하는 상태로 하여, 하중 부담이 큰 기단부측 부분에 대응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선단부측 부분을 접합하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변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차폐부가 단일 고무 스폰지판으로 구성되면, 댐퍼로서의 필요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에 공헌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기단부에 상기 차폐부의 개방 상태를 설정하는 디텐트 기구를 설치하면, 디텐트 기구에 의해 댐퍼를 외기 도입구와 공기 순환구 중 어느 것에도 작용하지 않는 중간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캐빈 내 공기에 외기를 혼합하여 공기의 온도 조절이나 습도 조절 등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공기 조절 장치만의 조절에다가 댐퍼의 개방도 조절에 의한 조정을 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기단부에 절환 조작 기구로서의 인위적 절환 조작 레버와, 상기 디텐트 기구의 결합 오목부를 설치하면, 댐퍼 기단부를 이용하여 인위적 절환 조작 레버와 디텐트 기구의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기단부를 인위적 절환 조작 레버의 부착부와 디텐트 기구의 부품에 겸용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하나의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은 루프부와, 상기 루프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천정부와, 좌측 및 우측부와, 상기 천정부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천정부에 설치된 증발기와, 상기 천정부에 설치된 상기 캐빈 내로 공조 완료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전방 취출구와, 상기 좌측 및 우측부에 설치된 외부 개방식 창부와, 상기 루프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개방된 상태의 상기 창부의 상방을 씌우는 차양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캐빈에서는 창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루프부에 착안하여 그 루프부의 측부를 창부의 상방까지 차양형으로 연장 돌출하게 하였으므로, 연장된 차양부에서 외측 개방으로 설정된 창부의 상방을 씌울 수 있어, 비 등이 내려 들어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비 등이 내려 들어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환기 등을 자유 롭게 행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을 위한 구성도 원래 어떤 루프부를 차양형으로 연장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다.
이 캐빈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중 하나로는, 상기 차양부의 하방에서 캐빈의 좌우 양단부 위치에 각각 조명 등이 배치되어 있다. 외측 개방식 창부로부터 비가 내려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루프부가 차양형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지만, 그 연장 돌출된 차양부를 이용하여 그 좌우 측부에 있어서의 하방에 각각 좌우 조명등을 배치함으로써, 조명등을 차양부의 차양 보호 하에 좌우 간격을 크게 둔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조사 범위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좌우의 조명등이 캐빈의 후방면 윈도우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후방면 윈도우가 후방 상향으로 요동 개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차양부를 이용하여 좌우 조명등을 간격이 넓게 설치하였으므로, 좌우 조명등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면 윈도우를 후방 상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후방면 윈도우를 폭이 넓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농업용 트랙터를 작업차의 일예로서 설명한다. 농업용 트랙터의 캐빈(1)은,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용 복수의 지지 기둥(2)과 그 지지 기둥(2)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덮는 투명 유리면을 구비한 승강용 사이드 도어(3), 후방 사이드 윈도우(4), 후방 윈도우(후방면 윈도우)(5)를 구비하여 각 지지 기둥(2)의 상면 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6)과 그 상부 프레임(6)에 적재되는 루프부(7)로 구성되어 있다.
캐빈(1) 내에는 운전 조종부(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운전 조종부(8)에는 엔진 본네트(9)측에 위치하는 핸들 포스트(10)에 조종 핸들(11)이 설치되어 있고, 핸들 포스트(10)의 후방에 조종 좌석(12)이 배치되어 있다.
루프부(7)에는 캐빈(1) 내를 공조하는 공조 유닛(A)이 배치되어 있고, 농업용 트랙터의 후방부에는 경전 장치 등의 작업 장치를 주행 기체에 대해 승강하는 승강 링크 기구(D)를 부착하고 있다.
루프부(7)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부(7)는 외측 루프부(13)와 내측 루프부(14)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부 프레임(6)에 부착 지지되어 있다. 내측 루프부(14)는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핸들 포스트(10)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방 절반부(17)는 하향으로 팽출한 하향 천정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향 천정부에 공조 유닛(A)을 수납하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절반부(17)에는 공조 유닛(A)으로부터 공조 완료 공기를 좌우 횡측 단부로 유도하는 전방 공조 덕트(15A)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대략 동일한 머리 위쪽 높이로 전방 절반부(17)의 좌우 양 사이드로부터 후방을 향해 횡공조 덕트(15B)용 횡측부로서의 사이드 수납부(16, 16)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들 전방 절반부(17)와 양 사이드 수납부(16, 16)에 둘러싸인 중간부(18)는 조종 좌석(12)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한 전방 절반부(17) 및 양 사이드 수납부(16, 16)보다 머리 위쪽 높이가 높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루프부(13)는 상부 프레임(6)의 상면에 적재되고, 그 적재면보다 넓은 평판형의 것이다. 외측 루프부(13)의 하향면에는 링형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시일링(19)을 장착하고 있고, 외측 루프부(13)를 상부 프레임(6)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시일링(19) 단면의 일부가 그 상부 프레임(6)의 상면에 접촉하여 외부와의 공기의 유통을 차단한다. 외측 루프부(13)의 상부 프레임(6)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차양부(13A)의 하향면에는 외기 취입구(13B)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시일링(19)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한 외기 취입구(13B)에 연통하는 외기 취출구(13C)를 형성하고 있다.
외기 취입구(13B)로부터 취입된 외기는 외기 취출구(13C)로부터 공조 유닛(A)으로 도입된다.
내측 루프부(14)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유닛(A)은 내측 루프부(14)에 있어서의 머리 위쪽 높이가 낮은 전방 절반부(17)에서 핸들 포스트(10)의 상방에 위치하는 증발기(20)와 그 전방에 위치하는 히터(21)를 구비하고, 증발기(20)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 팽창 밸브, 콘덴서 등과 협동하여 냉매 순환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히터(21)는 엔진 본네트(9) 내의 라디에이터(22)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증발기(20)의 우측에는 상기한 외기 취출구(13C)로부터 취입된 외기를 증발기(20)와 히터(21)를 향해 송입하는 시로코 팬(23)을 설치하고 있다.
외기 취출구(13C)로부터 배출된 외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루프부(13)의 하향면과 내측 루프부(14)의 상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a)을 유통로로 하여 격벽(24)으로 둘러싸인 시로코 팬(23)의 흡입구(23A)까지 흡입 유도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21)의 좌우 양측에는 캐빈(1) 내로 공조 후의 공기를 취출하는 전방 취출구(25, 25)를 마련하고 있고, 조종 핸들(11)을 구비한 핸들 포스트(10)의 좌우 양측으로 공기를 취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0)와 시로코 팬(23)은 격벽(24)에 의해 둘러싸인 에어컨 케이스(30) 내에 수납되어 있고, 격벽(24)은 히터(21)의 후방면 좌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격벽(24)과 전방벽에 의해 전방 공조 덕트(1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히터(21)의 양측에는 전방 공조 덕트(15A)로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 좌우 개구부에 각각 좌우의 제1 댐퍼(26A, 2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제1 댐퍼(26A, 26B)의 근방에서 전방 공조 덕트(15A)의 양 횡측단부에 있어서의 송출부(15a)에 좌우의 횡공조 덕트(15B, 15B)의 전방 취입부(15b)로 공조 완료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각각 좌우의 제2 댐퍼(26C, D)를 설치하고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댐퍼(26A, 26B)는 기체 폭 중간 위치에 설치한 제1 구동 아암(27A)에 좌우 제1 연계 로드(28A, 28B)를 거쳐서 연계되고, 동시에 개폐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댐퍼(26A, 26B)는 개폐도가 조절 가능하여 시로코 팬(23)으로부터 취출된 공조풍은 증발기(20)와 열교환을 한 후, 히터(21)와 열교환하여 전방 공조 덕트(15A)로 송입되고, 그 전방 공조 덕트(15A)의 좌우단부 부근에 형성된 좌우의 전방 취출구(25, 25)에 도달한다.
전방 취출구(25, 25)를 좌우단부 부근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캐빈(1)의 전방 창면이 광범위하게 걸쳐서 공조풍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전방 창면의 흐려짐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댐퍼(26A, 26B)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로코 팬(23)으로부터의 공조풍은 전량, 히터(21)와 열교환하여 송출되지만, 제1 댐퍼(26A, 26B)의 개방 정도에 따라서 히터(21)와의 열교환을 하지 않고 직접 전방 취출구(25, 25)에 도달하는 공조풍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에 의해, 히터(21)와 열교환을 끝낸 공조풍과 열교환하지 않은 공조풍을 혼합하여 전방 취출구(25)로 송입할 수 있어, 극단적인 냉풍을 송입하는 일이 없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댐퍼(26C, 26D)는 제1 구동 아암(27A)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 구동 아암(27B)에 좌우 제2 연계 로드(28C, 28D)를 거쳐서 연계되고, 동시에 개폐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2 댐퍼(26C, 26D)는 개폐의 이 2 위치로 절환할 뿐인 것으로, 시로코 팬(23)으로부터 취출된 공조풍과 히터(21)를 통과한 공조풍을 횡공조 덕트(15B, 15B)에 도입할지 여부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좌우 횡공조 덕트(15B, 15B)와 그 공조 덕트(15B, 15B)를 각각 수납하는 좌우 사이드 수납부(16, 16)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에 하향 취출구(16A, 16A)와, 그 하향 취출구(16A, 16A)의 후방측에 각각 전후 한 쌍의 경사 취출구(16B, 16B)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 취출구(16B, 16B)로부터 조종자의 얼굴을 목표로 하여 취출하는 구성이다. 이들 하향 취출구(16A)와 경사 취출구(16B)를 횡취출구라 칭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루프부(14)의 전방 절반부(17)의 급하강벽의 내향면(17A)에 시로코 팬(23)에 대한 풍량 조절용 온 오프(ON OFF) 스위치(29A), 제2 댐퍼(26C, 26D)의 개폐 절환을 행하는 제2 댐퍼 스위치(29C), 제1 댐퍼(26A, 26B)에 대한 제1 댐퍼 스위치(29B)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운전 조종석(12)으로부터의 조작이 용이해져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루프부(14)의 후단부측에 설치한 순환구(14A)에는 외내기 절환 댐퍼(33)를 설치하고 있다. 외기 취입구(13B)를 통해 내측 루프부(14)와 외측 루프부(13) 사이에 형성된 공간(a) 내로 취입하는 상태와, 외기를 차단하여 캐빈 내 공기를 상기 공간(a)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7 및 도8a, 도8b,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내기 절환 댐퍼(33)는 외기 취입구(13B)의 후방측에서 내측 루프부(14) 내에 있어서 좌우에 걸치는 상태로 설치한 요동축(33A)과, 그 요동축(33A)에 대해 부착한 부착용 판(33B)과, 그 부착용 판(33B)에 대해 접착 고정되어 있는 차폐 고무(고무재 차폐재)(33C)를 조립 부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7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축(33A)의 양단부에 일체 형성된 좌우의 보스부(33D)로부터 이붙이 판(33E)을 연장 돌출시키는 동시에, 이붙이 판(33E)에 대향하여 고정 보스(34)를 배치하고 있다. 고정 보스(34)에는 이붙이 판(33E)의 이부에 결합하는 볼(34a)과 볼(34a)을 돌출 압박하는 스프링(34b)을 수납하고 있고, 이붙이 판(33E)과 볼(34a) 및 스프링(34b)으로 디텐트 기구(B)를 구성하고 있다.
이붙이 판(33E)에는 하방을 향해 조작 아암(절환 조작 기구)(33F)이 연장 돌출되어 있고, 외내기 절환 댐퍼(33)의 개방도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 고무(고무재 차폐재)(33C)를 외측 루프부(13)측의 외기 취출구(13C)에 접촉하여 차폐하면 외기를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는 내측 루프부(14)에 형성된 순환용 개구부(14A)가 개방되므로, 캐빈(1) 내의 공기가 이 순환용 개구부(14A)를 거쳐서 내측 루프부(14)와 외측 루프부(13)의 공간(a) 내로 도입되어 공조 작용을 받아 각 취출구로부터 다시 캐빈(1) 내로 취입된다.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 고무(고무재 차폐재)(33C)를 외기 취출구(13C)로부터 이격시켜 개구부(14A)를 폐색하면, 외기만을 취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외기가 이 외기 취출구(13C)를 거쳐서 내측 루프부(14)와 외측 루프부(13)의 공간(a) 내로 도입되어 공조 작용을 받고, 각 취출구로부터 다시 캐빈(1) 내로 취입된다.
차폐 고무(고무재 차폐재)(33C)를 외기 취출구(13C) 및 순환용 개구부(14A)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설정하면, 캐빈(1)으로부터의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여 공조할 수 있어, 캐빈(1) 내의 실온 조절을 용이하고 미세하게 행할 수 있다.
공조 덕트(15)의 접속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3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21)와 열교환하여 기체 전방측에 배출 공조풍을 좌우 횡측으로 유도하는 공조 유닛(A)의 에어컨 케이스(30)를 설치하 여 에어컨 케이스(30)의 전단부측에 전방 공조 덕트(15A)를 배치하고 있다. 전방 공조 덕트(15A)의 공조 완료 공기의 송출부(15a)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통형으로 형성된 횡공조 덕트(15B)의 전방 취입부(15b)의 상면을 일부 절결부(15c)로 형성하고 있다. 이 절결부(15c)를 형성함으로써, 그 절결부(15c)를 거쳐서 횡공조 덕트(15B)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횡공조 덕트(15B)의 전방 취입부(15b) 내에 전방 공조 덕트(15A)의 송출부(15a) 부분을 내부 끼워 맞춤한다. 이 끼워 맞춤 상태에서 그 절결부(15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한 커버 부재(31)로 덮도록 커버 부재(31)를 씌워 전방 공조 덕트(15A)의 측벽을 외측으로부터 체결하도록 끼워 넣어 장착하여 횡공조 덕트(15B)의 상면에 리벳 고정한다. 이와 같이, 횡공조 덕트(15B)를 삽입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하로 이동시켜 끼워 맞출 수 있으므로, 공기 누설이 적은 끼워 맞춤 구조를 확보할 수 있었다.
도2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횡공조 덕트(15B, 15B)에는 상면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스테이(32)를 장착하고 있고, 좌우의 횡공조 덕트(15B, 15B)의 위치 결정과 보강 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좌우의 횡공조 덕트(15B, 15B)는 내측 루프부(14)의 사이드 수납부(16)와 외측 루프부(13)에서 상하로부터 협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측 루프부의 하향면과 횡공조 덕트(15B) 사이에는 공조 덕트를 덮는 단열재를 개재시켜 간극을 매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공조 덕트(15A, 15B)는 수지제로 용접 등을 할 수 없으므로 상하로부터의 협입 구조가 유효하고, 또한 연결 스테이(32)에 의해 좌우의 횡공조 덕트(15B, 15B)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하로부터 협입 체결 구조라도 충분히 고정할 수 있다.
공조 유닛(A)과 전방 취출구(25, 25)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공조 유닛(A)으로서는 히터(21)를 증발기(20)의 후방이나 횡측에 배치해도 좋고, 또한 압축기나 팽창 밸브, 응축기 등을 구비한 것으로서 하향 천정부(17)에 수납해도 좋다. 그 경우에, 공조 유닛(A)의 횡측에 전방 취출구(25)를 위치시키는 구성이면 좋다.
후방 사이드 윈도우(창부의 일예)(4)와 외측 루프부(13)에 형성된 후방 차양부(13A)와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사이드 윈도우(4)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후방측에 설치한 경첩에 의해 종방향 축심(X) 주위에서 전방측을 요동 개폐 가능하게 외측 개방 상태로 구성하고 있다. 그 외측 개방 상태에서 최대 개방도로 개방 조작된 경우라도, 그 상방에 차양부(13A)가 위치하도록 상기한 후방 차양부는 좌우측 단부를 상부 프레임(6)으로부터 횡외측을 향해서도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방 차양부(13A)가 횡방향으로도 돌출되어 있으므로, 환기를 위해서나 후방륜 주변의 확인을 행하는 경우에, 후방 사이드 윈도우(4)를 외측 개방 상태로 설정해도 비 등이 취입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11 및 도12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사이드 윈도우(4) 상방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후방 차양부(13A)의 하방에는 후방향 조명등(35)이 좌우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6)에 부착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들 조명등(35, 35)의 좌우 간격을 차양 부(13A)의 돌출만큼 넓게 할 수 있어 조사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좌우 후방향 조명등(35, 35) 사이에는 후방면 윈도우(5)를 설치하고 있고, 상부 프레임(6)에 부착한 브래킷(5A)에 대해 회전축(5B)을 지지하여 그 회전축(5B)에 윈도우 글래스(5C)를 현수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후방면 윈도우(5)는 후방 상향으로 개방 요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향 조명등(35, 35)의 간격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후방 윈도우(5)의 개폐 구조도 보다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농업용 트랙터에 본 발명에 의한 공조 유닛을 구비한 작업차용 캐빈을 이용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콤바인 등의 다른 농업 기계나 건설 기계에 적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캐빈 실내 공간을 가능한 한 넓게 하면서 캐빈 자체의 대형화를 저지하는 동시에, 누설이 적은 공조 덕트 구조를 제공하는 공조 유닛을 조립한 작업차용 캐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공조 유닛을 구비한 작업차용 캐빈이며,
    루프부(7)와,
    상기 루프부(7)의 일부이고 상기 캐빈 내에 배치된 조종좌석의 상방 영역에 배치된 중간부(18)와,
    상기 중간부(18)보다 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부(18)보다 낮은 레벨까지 하향으로 팽출하여 상기 루프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방 천정부(17)와,
    상기 전방 천정부(17)에 설치된 히터(21)와,
    상기 전방 천정부(17)에서 상기 히터(21)의 후방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증발기(20)와,
    상기 히터(21)의 횡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 천정부(17)에 설치된 상기 캐빈 내로 공조 완료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전방 취출구(25)를 포함하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7)는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루프부(14)와 상기 내측 루프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루프부(13)로 구성되고, 상기 루프부의 횡측부(16)에 공조 완료 공기를 캐빈 내로 취출하는 횡취출구(16A, 16B)가 마련되고, 상기 횡취출구로 상기 공조 완료 공기를 유도하는 횡공조 덕트(15B)가 상기 내측 루프부와 상기 외측 루프부에 의해 협입되는 동시에 상기 횡측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공조 덕트(15B)의 전방에 공조 유닛으로부터의 공조 완료 공기를 유도하는 전방 공조 덕트(15A)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공조 덕트의 송출부(15a)와 상기 횡공조 덕트의 전방 취입부(15b)가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공조 덕트의 송출부의 선단부에 절결부(15c)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방 취입부가 상기 절결부를 거쳐서 상기 송출부에 삽입 끼워 맞추어지고, 삽입 끼워 맞춤 상태에 있는 상기 전방 취입부가 상기 절결부를 씌우는 커버 부재(31)에 의해 협입 고정되어 있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공조 덕트(15B)의 전방에 공조 유닛으로부터의 공조 완료 공기를 유도하는 전방 공조 덕트(15A)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공조 덕트의 송출부(15a)와 상기 횡공조 덕트의 전방 취입부(15b)가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공조 덕트의 전방 취입부의 선단부에 절결부(15c)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송출부가 상기 절결부를 거쳐서 상기 전방 취입부에 삽입 끼워 맞춤되고, 삽입 끼워 맞춤 상태에 있는 상기 송출부가 상기 절결부를 씌우는 커버 부재(3l)에 의해 협입 고정되어 있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5. 외기 도입구를 통해 도입된 공기를 공조 유닛으로 유도하는 공기 흐름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조 유닛에 의해 공조를 실시한 공조 완료 공기를 캐빈 내로 취출하는 취출구(25)가 마련되고, 상기 캐빈 내부 공간과 상기 공기 흐름 통로를 연통하는 공기 순환구(14A)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 순환구(14A)에 대한 외내기 절환 댐퍼(33)가 설치되고, 이 때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를, 상기 공기 순환구를 폐색하는 제1 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기 공기 흐름 통로를 통해 공조 유닛으로 도입되고,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를, 상기 공기 순환구를 개방하여 상기 외기 도입구를 폐색하는 제2 상태로 설정하면, 상기 외기의 상기 공기 흐름 통로 내로의 도입이 금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공기 순환구를 통해 캐빈 내 공기를 상기 공기 흐름 통로로 도입하여 상기 공조 장치에 의해 공조를 실시하여 공조 완료 공기를 상기 취출구로부터 다시 캐빈 내에 복귀시키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이며,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33)가 상대측 개구 모서리에 밀착하는 동시에, 상기 작업차의 도어가 닫혀질 때에 탄성 변형을 허용할 정도의 탄성을 갖고 탄성 변형 가능한 차폐부(33C)와, 상기 차폐부를 지지하는 요동 가능한 기단부(33A, 33B)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외내기 절환 댐퍼(33)를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로 절환하는 절환 조작 기구(33F)가 구비되어 있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복수매의 고무판(33a)을 부착한 것이며, 고무판의 선단부 부분(33b)과 기단부측 부분(33c)을 접합하여 상기 선단부 부분과 기단부측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을 접합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있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복수매의 고무판(33a)을 부착한 것이며, 고무판의 기단부측 부분을 접합하여 상기 선단부 부분을 접합하지 않는 상태로 하고 있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단일 고무 스폰지판인 공조 유닛 탑재 작업 차용 캐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에 상기 차폐부의 개방 상태를 설정하는 디텐트 기구(B)를 설치하고 있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단부에 절환 조작 기구로서의 인위적 절환 조작 레버와 상기 디텐트 기구의 결합 오목부를 설치하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11.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모서리부를 갖는 루프부(7)와, 상기 루프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천정부(17)와, 좌측 및 우측부와, 상기 천정부(17)에 설치된 히터(21)와, 상기 천정부(17)에 설치된 증발기(20)와, 상기 천정부(17)에 설치된 상기 캐빈 내로 공조 완료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전방 취출구(25)와, 상기 좌측 및 우측부에 설치된 외측 개방식 창부(4)와, 개방된 상태의 상기 창부(4)의 상방을 씌우기 위해, 상기 측방향 모서리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루프부(7)에 형성되는 차양부(13A)를 구비한 공조 유닛을 구비한 작업차용 캐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에어컨 케이스(30)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취출구(25)는 상기 에어컨 케이스(3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빈내와 연통하는 전방 공조 덕트(15A)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21)는 상기 에어컨 케이스(30)의 격벽(24)에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전방 취출구(25)가 상기 히터(21)의 횡측방에 위치하는 공조 유닛 탑재 작업차용 캐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4)는 종방향 축심(X) 주위에서 상기 창부(4)의 전방측을 개폐가능한 공조 유닛을 구비한 작업차용 캐빈.
  14. 제11항에 있어서, 조명등이 상기 측방향 모서리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차양부(13A)와 중복되는 상태로 상기 루프부(7)에 지지되어 있는 공조 유닛을 구비한 작업차용 캐빈.
KR1020060025316A 2003-06-12 2006-03-20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0699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7775 2003-06-12
JPJP-P-2003-00167776 2003-06-12
JP2003167776A JP4456340B2 (ja) 2003-06-12 2003-06-12 農用トラクタ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3167775A JP4121422B2 (ja) 2003-06-12 2003-06-12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3188003A JP2005022463A (ja) 2003-06-30 2003-06-30 作業車のキャビン構造
JPJP-P-2003-00188003 2003-06-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92A Division KR20040106209A (ko) 2003-06-12 2004-03-10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738A KR20060028738A (ko) 2006-03-31
KR100699976B1 true KR100699976B1 (ko) 2007-03-28

Family

ID=335683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92A KR20040106209A (ko) 2003-06-12 2004-03-10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KR1020060025316A KR100699976B1 (ko) 2003-06-12 2006-03-20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92A KR20040106209A (ko) 2003-06-12 2004-03-10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52585B2 (ko)
KR (2) KR200401062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3899B2 (en) * 2005-08-31 2011-10-11 Kubota Corporation Cabin for a work vehicle
EP1787835B1 (en) * 2005-11-16 2008-06-25 DENSO THERMAL SYSTEMS S.p.A. Roof of a cab, in particular for an agricultural machine
JP4962935B2 (ja) * 2005-12-19 2012-06-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車両
US20070205633A1 (en) * 2006-03-01 2007-09-06 Waco Douglas L Roof system with integrated hvac ducting
US7420400B2 (en) * 2006-05-01 2008-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n-chip duty cycle measurement
JP4467595B2 (ja) * 2007-03-28 2010-05-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キャノピ装置
JP5407372B2 (ja) * 2009-01-30 2014-02-0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US8403734B2 (en) * 2009-02-20 2013-03-26 Deere & Company Vent control system
DE102009053750A1 (de) * 2009-11-18 2011-05-19 Man Nutzfahrzeuge Ag Fahrerhaus eines Nutzfahrzeugs mit Mittendachmodul
GB2476648A (en) * 2009-12-29 2011-07-06 Valtra Oy Ab Utility vehicle cab ventilation system
US8485589B2 (en) * 2010-03-30 2013-07-16 Kubota Corporation Cabin system
KR101302262B1 (ko) * 2011-03-30 2013-09-0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KR102116975B1 (ko) * 2013-06-12 2020-05-29 대동공업주식회사 공조장치를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US20150001895A1 (en) * 2013-06-27 2015-01-01 David Ronsen Apparatus and method to retrofit a recessed shelf into the front end of a van for mounting a condenser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2359648B1 (ko) 2014-09-19 2022-02-09 주식회사 대동 트랙터의 캐빈
JP6333169B2 (ja) * 2014-12-26 2018-05-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10131201B1 (en) * 2015-06-19 2018-11-20 Waymo Llc Cooling system for dome of autonomous vehicle
KR102409457B1 (ko) 2015-07-13 2022-06-16 주식회사 대동 캐빈형 농작업차
FR3041570B1 (fr) * 2015-09-30 2017-12-01 Alstom Transp Tech Dispositif de climatisation pour une cabine de conduite, notamment de vehicule ferroviaire
WO2018029821A1 (ja) * 2016-08-10 2018-02-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運転室ユニット
US10352084B2 (en) * 2017-07-17 2019-07-16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abin of a machine
CN107628131A (zh) * 2017-09-16 2018-01-26 张怀志 智能操控大功率拖拉机
USD855665S1 (en) * 2017-11-02 2019-08-06 Kubota Corporation Roof panel for cabin of working machine
KR102520053B1 (ko) 2018-01-17 2023-04-10 주식회사 대동 작업차용 캐빈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3760A (en) * 1972-03-27 1973-10-09 Atwood Vacuum Machine Co Two-way ventilator
US3868896A (en) * 1973-03-28 1975-03-04 Massey Ferguson Inc Vehicle cab enclosure with ventilation means
JPS5222899A (en) 1975-08-15 1977-02-21 Kotsu Toukei Kenkyusho Traffic volume researching system
US4189987A (en) * 1978-07-03 1980-02-26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Vehicle cab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S5519241A (en) 1978-07-28 1980-02-09 Kao Corp Preparation of 4-homotwistane
JPS55165321A (en) 1979-06-07 1980-12-23 Nippon Kokan Kk <Nkk> Strike-in of coated pile
JPS5854466A (ja) 1981-09-28 1983-03-31 Nec Corp フレキシブルデイスク内蔵のデ−タ処理装置
JPS58100108A (ja) 1981-12-10 1983-06-14 Victor Co Of Japan Ltd 色フイルタ素子
US4503749A (en) * 1984-03-28 1985-03-12 Allis-Chalmers Corporation Combine visor with environmental components
JPS61203823U (ko) * 1985-06-12 1986-12-22
US4874036A (en) * 1987-07-14 1989-10-17 Sanden Corporatio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forklift
JPH02148816A (ja) 1988-11-30 1990-06-07 Hitachi Condenser Co Ltd モールド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H0740912A (ja) 1993-08-04 1995-02-10 Bridgestone Kaseihin Tokyo Kk 柔軟部材の圧縮梱包方法及びその装置
EP0633153B1 (de) * 1993-09-22 1995-01-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eizungs- und/oder Klimaanlage mit einer an einer Gehäusewandung dichtend anliegenden Luftklapp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5468183A (en) * 1994-01-27 1995-11-21 Hahn, Inc. Clean air operator enclosure
JP3164993B2 (ja) 1995-02-17 2001-05-14 株式会社クボタ 農用車輛におけるエアコンユニットの接続構造
DE19628089C2 (de) * 1996-07-12 1998-12-03 Deere & Co Be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kabine und Filtergehäuse
KR19980055411A (ko)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조수석용 에어백의 제어 시스템
JP3857447B2 (ja) 1998-12-17 2006-12-1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農作業機の冷・暖房装置
JP2001039153A (ja) 1999-07-30 2001-02-13 Denso Corp 車載用空調装置
US6279978B1 (en) * 1999-10-05 2001-08-28 Deere & Company Work vehicle roof structure
JP2002061936A (ja) 2000-08-15 2002-02-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誘導ダクト取付け構造
JP2002275941A (ja) 2001-03-15 2002-09-2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空気調和装置
JP4321975B2 (ja) 2001-05-23 2009-08-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運転部構造
JP2003049449A (ja) 2001-08-07 2003-02-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反射防止装置
US6780097B2 (en) * 2003-01-29 2004-08-24 Deere & Company Two piece vehicle roof structure having an integrated HVAC system
US6796132B1 (en) * 2003-05-05 2004-09-28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ing air in a bustop air conditioner
US6932694B2 (en) * 2003-09-02 2005-08-23 Austin Hardware And Supply, Inc. V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52585B2 (en) 2007-08-07
US20050005532A1 (en) 2005-01-13
KR20060028738A (ko) 2006-03-31
KR20040106209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976B1 (ko) 공조 유닛을 탑재한 작업차용 캐빈
US7517280B2 (en) Air duct assembly for a vehicle
US6244335B1 (en) Vehicular air-conditioner
JP3546389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US7399221B2 (en) Cabin for work vehicle
US20060102109A1 (en) Air duct in the front part of a motor vehicle
KR20070025932A (ko) 작업차의 캐빈용 공조 구조
US724708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0440971Y2 (ko)
US20140342650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4456340B2 (ja) 農用トラクタ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EP131038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781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709910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56075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121422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695838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50110134A (ko)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JP2001088544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空気吹出し構造
JP43333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00048026A (ko) 건설기계의 공기조화장치
JP4276861B2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取付構造
JP2000264036A (ja)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4333307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10109987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