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547B1 -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547B1
KR100699547B1 KR1020010016630A KR20010016630A KR100699547B1 KR 100699547 B1 KR100699547 B1 KR 100699547B1 KR 1020010016630 A KR1020010016630 A KR 1020010016630A KR 20010016630 A KR20010016630 A KR 20010016630A KR 100699547 B1 KR100699547 B1 KR 10069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processing
transce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114A (ko
Inventor
마코토 가와치
카즈히로 소타
아키후미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1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centraliz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6Performing a diagnostic of the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재발신경보하지 않고도 빌딩설비측으로부터의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대처한다. 송수신장치(11A, 11B, 11C)에는 각각, 주처리 단말기(12m)(12Am, 12Bm, 12Cm) 및 부처리 단말기(12s)(12As, 12Bs, 12Cs)가 접속된다. 송수신장치(11)는 주처리 단말기(12m)에서의 처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처리 불가능한 경우에는 부처리 단말기(12s)에서 이 정보의 처리가 행해진다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Description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BUILDING FACILITY REMOTE MONITO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빌딩설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의 처리 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이 관리센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시센터(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11 : 송수신장치
12Am, 12Bm, 12Cm :주처리 단말기
12As, 12Bs, 12Cs : 부처리 단말기
12e : 정보 축적부 13e : 정보집약 축적부
14 : 백업장치 20 : 공중회선
30 : 빌딩설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등의 빌딩설비를 원격감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고층화, 개인 주택의 고기능화 등에 따라, 엘리베이터 등의 빌딩설비의 수는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복수의 빌딩설비에 대해, 이들 설비의 가동상황 또는 고장발생 등을 원격감시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5는 종래의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센터(50)는 복수의 송수신장치(51)와, 각각의 송수신장치(51)에 대응해서 1:1대응으로 접속된 처리 단말기(52)와, 복수의 처리 단말기(52)에 대해 LAN(58)에 의해 접속된 관리센서(3)와, 프린터(56)를 구비한다. 빌딩설비(60)로부터 공중회선(20)을 개재하여 감시센터(50)의 대표 전화번호(M)에 걸려온 발신경보는, 자동적으로 송수신장치(51)로 할당된다. 송수신장치(51)는 수신된 정보를 각각 접속된 처리 단말기(52)로 송신하여, 이 처리 단말기(52)에 있어서의 정보처리, 예를 들면 프린트 출력이 행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특개소61-80445호(공개일 1986.4.24). 특개평 9-34540호(공개일 1997.2.7)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한 개의 송수신장치(51)에 대해 한 개의 처리 단말기(52)가 대응할 뿐이기 때문에, 송수신장치(51)가 빌딩설비(6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처리 단말기(52)가 어떤 이유에 의해 기능정지 중인 경우에는, 송수신장치(51)로부터 다시 빌딩설비(60)측으로의 정보송신이 불가능하다는 뜻의 신호가 되돌아가고, 그것에 대해 빌딩설비(60)측은 감시센터(50)의 대표 전화번호(M)에 대해 재발신경보하여야 하고, 긴급사태의 경우에 있어서, 그 대처개시까지 시간지연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은, 공중 회선을 개재하여 빌딩설비와의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복수의 송수신장치와, 송수신장치마다 대응하여 접속하여, 상기 송수신장치로 수신한 정보의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주처리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 송수신장치에는 다른 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주처리 단말기가 부처리 단말기로서 접속되어, 이 송수신장치로 송신된 정보를 주처리 단말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처리 단말기에서 이 정보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송수신장치에 대해 주처리 단말기와 부처리 단말기의 복수의 처리 단말기가 접속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주처리 단말기가 기능 정지중인 경우에도, 부처리 단말기에 정보를 송신하고, 이 부처리 단말기로 정보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빌딩설비측으로부터 재발신경보하지 않고도 빠르게 정보 처리를 행하며, 빌딩설비측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각 처리 단말기 로부터의 정보를 집약하여 축적하는 정보집약 축적부와, 각 처리 단말기마다 설치된 정보 축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처리 단말기는, 상기 정보집약 축적부로의 정보의 축적이 가능하지 D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보 축적부에 정보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정보집약 축적부가 기능 정지중인 경우에는, 처리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축적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정보집약 축적부를 이중으로 설치하고, 설비의 규모가 확대되며, 관리비용도 확대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집약 축적부로의 정보의 축적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축적부에 일시적으로 정보를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최저한의 자원에 의해, 정보 축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은, 정보집약 축적부에 축적된 정보를 읽어 들이고, 기억 매체에 기억시킨 백업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적되는 정보를 적절히 기억매체에 백업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보축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을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 시스템에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 2에는, 빌딩설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를, 도 3에는, 감시센터의 처리 단말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또 도 4에는, 감시센터의 관리서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통상 동작시의 정보의 흐름에 대해 개략 설명한다. 빌딩설비(30)로부 터 공중회선(20)을 개재하여 감시센터(10)의 대표 전화번호(N)로 걸려온 발신경보는, 자동적으로 송수신장치(11)에 할당된다. 송수신장치(11)는, 송신된 정보를 각각 주접속선(17m)을 개재하여 접속된 주처리 단말기(12m)에 송신하고, 이 주처리 단말기(12m)에서 정보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 관리 센서(13)는 정보집약 축적부(13e)를 구비하여, 처리 단말기(12)로부터의 정보를 이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집약하여 축적한다. 여기에 축적된 정보는, 예를 들면, 보고서 작성용 단말기(15)에서 보고서의 작성 등에 이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감시센터(10) 및 빌딩설비(3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격감시 시스템으로서의 감시센터(10)는, 송수신장치(11)(11A, 11B, 11C), 처리 단말기(12)(12Am(12Cs), 12Bm(12As), 12Cm(12Bs)), 관리서버(13), 백업장치(14), 보고서 작성용 단말기(15) 및 프린터(16)를 구비한다. 이하, 이들 감시센터(10)의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송수신장치(11), 예를 들면 모뎀은, 공중회선(20)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접속선(17)을 개재하여 처리 단말기(12)로 정보를 송신한다. 송수신장치(11)는, 주접속선(17m)(17Am, 17Bm, 17Cm) 및 부접속선(17s)(17As, 17Bs, 17Cs)을 개재하여, 복수, 예를 들면 두 개의 처리 단말기(12)에 접속된다. 그 중, 주접속선(17m)을 개재하여 접속된 처리 단말기(12)를 주처리 단말기(12m)(12Am, 12Bm, 12Cm)로 하고, 부접속선(17s)을 개재하여 접속한 처리 단말기(12)를 부처리 단말기(12s)(12As, 12Bs, 12Cs)로 한다. 통상 각 송수신장치(11)에서 수신된 정보는, 각 송수신장치(11)에 대응하는 주처리 단말기(12m)에서 처리된다. 송수신장치(11)는 공중회선(2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주처리 단말기(12m)에서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처리 가능한 상태인 때에, 송수신장치(11)는 주처리 단말기(12m)에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에서 이 정보가 처리된다. 한편, 처리 불가능한 상태(예를 들면 기능 정지 또는 통화중 등)인 때에는, 송수신장치(11)는 부처리 단말기(12s)에 정보를 송신하여, 부처리 단말기(12s)에서 이 정보가 처리된다. 이와 같이, 각 송수신장치(11)에 대해 복수의 처리 단말기(12)를 접속함으로써, 주처리 단말기(12m)가 처리 불가능해진 때에도, 부처리 단말기(12s)에 있어서 처리를 계속하게 할 수 있다. 또, 부처리 단말기(12s)는, 어느 하나라도 다른 송수신장치(11)에 대한 주처리 단말기(12m)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최저한의 자원에 의해서, 정보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송수신장치(11)로의 전화는, 각 빌딩설비(30)로부터 공중회선(20)을 개재하여 대표 전화번호(N)에 걸려온다. 대표 전화번호(N)에 걸려온 전화는 공중회선(20)에서 자동적으로 비어 있는 송수신장치(11)에 할당된다.
처리 단말기(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a), 기억부(12b), 출력부(12c), 입력부(12d), 정보 축적부 (12e), 음성 출력부(12f), (12g) 및 송수신장치측 인터페이스(12hm),(12hs)를 구비한다. 제어부(12a), 예를 들면 CPU는 처리 단말기(12)의 각 요소의 제어를 담당한다. 또 제어부(12a)는, 송수신장치(11)에서 수취한 정보에 응해서, 정보의 처리를 행한다. 이 제어부(12a)의 정보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억부(12b), 예를 들면 RAM/ ROM은, 제어부(12a)에서의 정보처리 또는 각부의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출력부(12c), 예를 들면 디플 레이는, 송수신장치(11)에서 수취한 정보의 표시 이외에, 정보에 응해서 제어부(12a)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정보의 표시등을 행한다. 입력부(12d), 예를 들면 키보드는, 제어부(12a)에 대한 지시입력을 행한다. 정보 축적부(12e)는, 관리서버(13)가 기능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또는 정보집약 축적부(13e)에서 정보의 축적이 불가능할 때에 송수신장치(11)로부터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음성 출력부(12f), 예를 들면 스피커 및 음성 입력부(12g), 예를 들면 마이크는, 송수신장치(11)에서 수취한 정보가 통화기(34a)로부터 긴급통화인 때에, 통화기(34a)와 통화하는 전화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 음성 출력부(12f)는, 경보음 또는 착신음의 발신도 행한다. 송수신장치측 인터페이스(12hm), (12hs)는 각각 주접속선(17m) 및 부접속선(17s)을 통한 송수신장치(11)측의 정보의 송수신을, 또는 LAN측 인터페이스(12i)는 LAN(18)측과의 정보의 송수신을 각각 행한다.
관리 서버(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3a), 기억부(13b), 출력부(13c), 입력부(13d), LAN측 인터페이스(13f) 및 백업장치측 인터페이스(13g)를 구비한다. 제어부(13a), 예를 들면 CPU는 관리서버(13)의 각 요소의 제어를 담당함과 동시에, 정기적인 운전 이력정보의 회수의 지시, 및 발신경보 시험의 지시를 행한다. 여기에서 운전 이력정보란, 각 빌딩설비(30)의 운전 이력 기억부(32a)에 기억된 동작 기기(34)의 운전 이력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또, 발신경보 시험이라는 것은, 빌딩설비(30)와 감시센터(10)와의 정보의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는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운전 이력정보의 회수 지시, 또는 발신경보 시험의 지시를 나타내는 신호는, 예를 들면 처리 단말기(12) 및 송수신장치(11)를 개재하여 각 빌딩설비(30)로 전달되고, 여기에 응해서 각 빌딩설비(30)는 운전 이력정보 또는 발신경보 시험 정보를 감시센터(10)로 송신한다.
또 기억부(13b), 예를 들면 RAM/ ROM은, 제어부(13a)에서 관리서버(13) 각부의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출력부(13c),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는 각종 정보의 표시를 행하고, 입력부(13d)는, 예를 들면 키보드는 제어부(13a)에 대한 지시입력을 행한다. 정보집약 축적부(13e),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각 처리 단말기(12)로부터의 정보를 집약해서 축적한다. 이 축적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LAN측 인터페이스(13f)는 LAN(18)측과의 정보의 송수신을, 또 백업장치측의 인터페이스(13g)는 백업장치(14)측과의 정보의 송수신을 각각 행한다.
백업장치(14)는,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축적되는 정보를 읽어내서 기억 매체, 예를 들면 테이프, MO(광자기 디스크)등에 기억시킨다. 이 백업장치(14)를 구비함으로써, 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다.
보고서 작성용 단말기(15)는, 각 빌딩설비(30)의 소유자에 대한 보고서의 작성을 행한다. 이 보고서 작성용 단말기(15)에서 작성된 보고서는, 프린터(16)에서 종이로 출력할 수도 있고, 처리 단말기(12) 및 송수신장치(11)를 통해서 전자메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 프린터(16)는, 처리 단말기(12), 관리 서버(13), 또는 보고서 작성용 단말기(15)로 제어되어, 모든 정보의 종이 출력을 행한다.
빌딩설비(3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장치(31), 빌딩설비 관리부(32), 동작기기 제어부(33), 및 동작기기(34)가 구비되어 있다. 송수신장치(31), 예를 들면 모뎀은, 빌딩설비 관리부(32)에서 수취한 정보를 공중 회선(20)을 통해서 감시센터(10)로 송신한다. 빌딩설비 관리부(32)는, 동작 기기 제어부(33)로부터 송신된 동작기기(34)(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에 근거하여, 운전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예를 들면 빌딩설비 관리부(32)에 설치된 운전 이력 기억부(32a)에 이 정보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여기에 축적된 운전 이력정보는, 빌딩설비 관리부(32)가 수취한 제어부(13a)로부터의 회수지시에 응해서, 송수신장치(31)를 통해 감시센터(10)로 송신되어, 관리 서버(13)에 축적된다. 동작 기기 제어부(33)(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동작기기(3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동작기기(34)에(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된 통화기(34a)는, 긴급시 또는 시험시에 동작기기(34)의 외부와 통화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통화기(34a)는, 빌딩설비 관리부(32) 및 송수신장치(31)를 통해 감시센터(10)에 접속되어, 긴급시에 있어서 통화기(34a)를 사용하는 사람은 처리 단말기(12)의 오퍼레이터와 통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처리 단말기(12)에서의 정보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처리 단말기(12)는, 송수신장치(11)에서 수취한 정보의 각각에 따른 정보의 처리를 행한다. 처리 단말기(12)가 송수신장치(11)에서 수취하는 정보, 즉, 빌딩설비(30)로부터의 정보에는,
(1) 빌딩설비(30)의 고장을 나타내는 정보(고장정보),
(2) 빌딩설비(30)로부터의 긴급통화,
(3) 정기적으로 빌딩설비(30)로부터 송신되는 빌딩설비(30)의 운전 이력정보, 및
(4) 관리서버(13)로부터의 발신경보 시험요구에 응해 빌딩설비(30)에 의해 발신경보된 발신경보 시험정보,
가 있다. 이하 처리 단말기(12)에서의 이들 각각에 대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고장정보> 처리 단말기(12)는, 송수신장치(11)에서 고장정보를 수취하면, 출력부(12c),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이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성 출력부(12f), 예를 들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낸다. 이 표시는, 오퍼레이터가 판별하기 쉬운 표시형식(예를 들면 다른 정보의 경우보다 사이즈가 큰 표시부분)(문자 등)을 구비하거나 또는 점멸 부분을 구비하는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 여기에서는, 고장정보의 속성정보(예를 들면 빌딩설비(30)의 식별번호 및 명칭, 동작기기(34)의 식별번호, 고장상황, 및 고장발생 시각 등)가 표시되고, 또 어느 송수신장치(11)를 경유했는지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빌딩설비(30)의 고장 상황을 확인하고, 경유한 송수신장치(11)를 확인함으로써, 처리 단말기(1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이 정보를 표시한 처리 단말기(12)가 송수신장치(11)에 대한 부처리 단말기인 경우에는, 송수신장치(11)의 주처리 단말기인 처리 단말기(12)에서의 정보처리가 불가능한 것(즉, 처리 단말기(12)가 기능정지 또는 통화중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처리 단말기(12)는 관리서버(13)에 액세스하여,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이 고장정보가 축적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축적 가능한 때에는, 관리서버(13)로 고장정보가 송신되어, 이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고장정보가 축적된 다. 한편, 축적 불가능한 때(예를 들면 관리 서버(13)가 기능정지 중일 때, 또는 정보집약 축적부(13e)의 빈 용량이 부족한 때 등)에는, 정보 축적부(12e)에 이 정보가 일시적으로 축적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보집약 축적부(13e)를 이중화하지 않고도, 필요 최저한의 자원에 의해 정보 축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때, 출력부(12c)에서 관리서버(13)의 가동상황(예를 들면 관리서버(13)의 기능정지, 또는 정보집약 축적부(13e)의 빈 용량 부족)이 표시된다. 그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관리서버(13)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처치(예를 들면 관리 서버(13)의 복구,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축적되는 정보의 백업장치(14)로의 백업 등)를 시행할 수 있다. 또, 정보축적부(12e)로의 정보의 일시적 축적은, 정보집약 축적부(13e)로의 고장정보의 축적이 가능으로 될 때까지 계속된다. 정보집약 축적부(13e)로의 축적이 가능하게 되었을 때에는, 정보 축적부(12e)에 일시 축적된 정보는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축적된다.
<긴급통화> 처리 단말기(12)는 송수신장치(11)에 의해 긴급통화를 받으면, 음성출력부(12f), 예를 들면 스피커를 통해 착신음을 내고, 출력부(12c),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긴급통화라는 뜻의 표시를 행한다. 이 표시는, 오퍼레이터가 판별하기 쉬운 표시형식에 의해 행해진다. 단, 이 표시형식은 가령, 색, 크기, 점멸속도를 변경하는 등에 의해 고장정보의 경우와 구별된다. 또 빌딩설비(30)로부터의 화상정보가 있을 때에는, 이 화상 정보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부(12d)로부터 통화 개시지시 입력이 행해지면, 음성 출력부(12f), 예를 들면 스피커 및 음성 입력부(12g), 예를 들면 마이크에 의해, 통화기(34a)와 통화가 행 해진다.
통화가 종료되면, 제어부(12a)에서 긴급통화의 속성정보(빌딩설비(30)의 식별번호 및 명칭, 동작기기(34)의 식별번호, 통화 발생시각 및 통화시간 등)를 포함한 통화 기록 정보가 생성된다. 이 정보에는 통화 내용(예를 들면 녹음한 통화음성 또는 녹화된 통화시의 빌딩설비(30)로부터의 화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장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화기록 정보가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축적된다. 이 때, 고장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 단말기(12)는 관리 서버(13)에 액세스하여,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이 통화기록 정보가 축적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축적 가능한 경우에는 관리 서버(13)에 통화기록 정보가 송신되어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이 정보가 축적되고, 축적 불가능한 경우에는 정보 축적부(12e)에 이 정보가 일시적으로 보관된다. 그리고 축적 가능하게 되기까지 일시 축적이 계속되며, 그 후 정보 축적부(12e)로 이관 축적되는 점도 고장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운전 이력정보> 처리 단말기(12)는 송수신장치(11)에 의해 운전 이력정보를 받으면, 출력부(12c),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이 정보를 표시한다. 이 표시는, 고장정보의 경우와는 다른 표시형식, 예를 들면 고장정보의 경우보다도 눈에 띄지 않는 표시형식(예를 들면 점멸하고, 고장정보의 경우보다 문자사이즈를 작게 하는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 표시되는 내용은, 운전 이력정보의 속성정보(예를 들면 운전 이력정보인 것의 표시, 빌딩설비(30)의 식별번호 및 명칭, 동작기기(34)의 식별 번호 등)이고, 운전 이력정보의 전부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 이 경우에도, 어느 송수신 정치(11)를 경유했는지가 표시되며, 또 특히 경고음 등은 내지 않는다. 그리고, 고장정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운전 이력 정보가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축적된다. 이 축적에 관한 프로세스는 고장정보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신경보 시험정보> 처리 단말기(12)는 송수신장치(11)에 의해 발신경보 시험정보를 수취하면, 출력부(12c),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이 정보를 표시한다. 이 표시는, 고장정보의 경우와 다른 표시형식, 예를 들면 고장정보의 경우보다도 눈에 띄지 않는 표시형식(예를 들면 점멸하고, 고장정보의 경우보다 문자사이즈를 작게 하는 등)에 의해 행해지며, 발신경보 시험정보의 속성정보(예를 들면 발신경보 시험정보인 것의 표시, 빌딩설비(30)의 식별번호 및 명칭, 동작기기(34)의 식별 번호 등)가 표시된다. 또, 이 경우에도 어느 송수신장치(11)를 경유했는지가 표시되고, 또 특히 경고음 등은 내지 않는다.
그리고 발신경보 시험정보가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축적된다. 처리 단말기(12)는 관리 서버(13)에 액세스하여, 정보집약 축적부(13e)에서 이 발신경보 시험정보가 축적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정보가 축적 가능한 경우에는 이 정보는 정보집약 축적부(13e)에 축적된다. 또 축적 불가능한 경우에는 정보 축적부(12e)에 축적된 빈 용량을 확인하고, 충분한 빈 용량이 있는 경우에는(예를 들면 기억부(12b)에 축적되는 빈 용량의 문턱값과의 비교에 의해)이 정보가 정보 축적부(12e)에 일시적으로 축적된다. 정보집약 축적부(13e)가 축적 가능으로 될 때까지 이 일시 축적이 계속되며, 그 후 정보 축 적부(12e)로 이관 축적되는 점은 고장정보의 경우와 동일하다. 발신경보 시험정보는, 다른 정보에 비해 우선도가 낮다. 이와 같이 우선도가 낮은 정보의 보존(예를 들면 정보 축적부(12e)로의 축적)을 제한함으로써, 우선도가 높은 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수신장치 하나에 대해서 처리 단말기 두 개가 접속된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송수신장치와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 또는 LAN 부분은, 무선에 의해 신호가 분배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송수신장치측에서 주처리 단말기에서의 처리의 가부를 판별하고, 처리 단말기를 선택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을 미리 각 처리 단말기의 가동상황을 소정의 처리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에서 파악해 두어, 처리 단말기에 대해 정보를 수취하는 송수신장치를 선택 지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이 경우에는, 송수신장치로부터는 복수의 처리 단말기에 대해 항상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수신장치에 대해 주처리 단말기와 부처리 단말기의 복수의 처리 단말기가 접속되기 때문에, 대응하는 주처리 단말기가 기능 정지중인 경우에도, 부처리 단말기에서 정보를 송신하여 이 부처리 단말기에서 정보의 처리를 행한다. 이 때문에, 빌딩설비측에서 재발신경보하지 않고도 빠르게 정보의 처리를 행하여, 빌딩설비측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

  1. 공중회선을 개재하여 빌딩설비와의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복수의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마다 대응하여 접속되고, 상기 각 송수신장치로 수신한 정보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주처리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 송수신장치에는 다른 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주처리 단말기가 부처리 단말기로서 접속되어, 상기 각 송수신장치로 수신한 정보를 주처리 단말기가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부처리 단말기에서 이 정보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처리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집약하여 축적하는 정보집약 축적부와,
    각 처리 단말기마다 설치된 정보 축적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처리 단말기는, 상기 정보집약 축적부로의 정보의 축적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정보 축적부에 정보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집약 축적부에 축적된 정보를 읽어내어 기억매체에 기억시키는 백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KR1020010016630A 2000-03-30 2001-03-29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KR100699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3325A JP2001278556A (ja) 2000-03-30 2000-03-30 ビル設備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0-093325 200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114A KR20010095114A (ko) 2001-11-03
KR100699547B1 true KR100699547B1 (ko) 2007-03-23

Family

ID=1860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630A KR100699547B1 (ko) 2000-03-30 2001-03-29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1278556A (ko)
KR (1) KR100699547B1 (ko)
CN (1) CN1183023C (ko)
HK (1) HK1040229A1 (ko)
TW (1) TW5121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2965A (ja) * 2004-01-29 2005-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遠隔監視装置
JP4928761B2 (ja) * 2005-09-27 2012-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04418200B (zh) * 2013-09-04 2017-03-01 东芝电梯株式会社 电梯的监视控制系统及监视控制方法
WO2017042858A1 (ja) * 2015-09-07 2017-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方法
JP6452905B1 (ja) * 2018-03-02 2019-01-1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システム
WO2020021626A1 (ja) * 2018-07-24 2020-01-3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訪問管理機能を備えたコンテンツ配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1245A (ko) * 1995-01-05 1998-05-15 그레고리 엘러스 에너지 관리 및 빌딩 오토메이션 시스템(energy management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1245A (ko) * 1995-01-05 1998-05-15 그레고리 엘러스 에너지 관리 및 빌딩 오토메이션 시스템(energy management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2127B (en) 2002-12-01
HK1040229A1 (en) 2002-05-31
CN1183023C (zh) 2005-01-05
JP2001278556A (ja) 2001-10-10
CN1320548A (zh) 2001-11-07
KR20010095114A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1933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1102954A (zh) 电梯的远程报警系统
KR100699547B1 (ko) 빌딩설비 원격감시 시스템
JP2008056425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JP3408886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JP3981349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3383750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4619717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通報システム
JPH07240803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9212730A (ja) 電話網切換装置、電話網切換プログラム、電話網切換方法および電話網切換装置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628612B2 (ja) エレベータ通話装置
JP4659607B2 (ja) エレベーター用地震時管制運転の復旧対応システム
JP2006341933A (ja) エレベーターの故障自動通報装置
JP2693580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保守装置
JP3383752B2 (ja) ビル遠隔監視装置
JPS5994199A (ja) 遠隔ビル管理システム
JPH05325078A (ja) 遠隔監視装置
JP2733827B2 (ja) 非常通報装置
JP3097991B2 (ja) 遠隔監視装置
CN116723269A (zh) 来电处理方法,来电处理系统,电子设备及车辆
JPH09259381A (ja) 遠隔監視装置
JPH0820493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71290B2 (ja) ビル監視装置
JPH10324473A (ja) エレベータにおける異常振動検出装置
JPH01298856A (ja) 音声通報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