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442B1 - 착탈 기구, 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착탈 기구, 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442B1
KR100698442B1 KR1020050070454A KR20050070454A KR100698442B1 KR 100698442 B1 KR100698442 B1 KR 100698442B1 KR 1020050070454 A KR1020050070454 A KR 1020050070454A KR 20050070454 A KR20050070454 A KR 20050070454A KR 100698442 B1 KR100698442 B1 KR 10069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r
case
disk arra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015A (ko
Inventor
히로시 히다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6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5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modular arrangements, arrays of disc drives
    • G11B33/127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8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plurality of recording/reproducing devices, e.g. disk drives,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06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 G11B33/1413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by fluid cooling
    • G11B33/142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by fluid cooling by ai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를 제공한다.
착탈 기구, 유닛, 케이스, 레버

Description

착탈 기구, 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EJECTOR,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HDD 유닛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HDD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3의 (a)는 도2에 도시하는 HDD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3의 (b)는 그 측면도.
도4의 (a)는 도2에 도시하는 HDD 유닛의 2.5 인치 HDD의 정면도이고, 도4의 (b)는 그 측면도.
도5는 도3에 도시하는 HDD 유닛의 A부에 있어서의 확대 단면도.
도6은 도3에 도시하는 HDD 유닛의 B부에 있어서의 확대 측면도.
도7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도1에 도시하는 HDD 유닛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8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도1에 도시하는 HDD 유닛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9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도1에 도시하는 HDD 유닛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0의 (a)는 HDD 유닛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착탈되는 방 식을 도시하는 외관 투과 사시도이고, 도10의 (b)는 그 분해도.
도11의 (a)는 HDD 유닛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착탈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외관 투과 사시도이고, 도11의 (b)는 그 분해도.
도12는 종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와 HDD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3은 도12에 도시하는 종래의 HDD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14의 (a)는 도12에 도시하는 종래의 HDD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14의 (b)는 그 측면도.
도15의 (a)는 도13에 도시하는 종래의 HDD 유닛의 3.5 인치 HDD의 정면도이고, 도15의 (b)는 그 측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HDD 유닛의 외관 사시도.
도17은 도16에 도시하는 HDD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18은 도16에 도시하는 HDD 유닛의 케이스에 판 스프링을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19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도16에 도시하는 HDD 유닛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도16에 도시하는 HDD 유닛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1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도16에 도시하는 HDD 유닛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2의 (a)는 도11의 (a) 및 도11의 (b)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변형예로서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복수단 탑재한 랙 마운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22의 (b)는 종래의 랙 마운트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23의 (a)는 도22의 (a)에 도시하는 랙 마운트 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23의 (b)는 도23의 (a)에 도시하는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의 하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24의 (a)는 도23의 (a)의 랙 마운트 장치 중 하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 주변의 부분 투과 확대 사시도이고, 도24의 (b)는 도24의 (a)의 상태로부터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25는 도24의 (b)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전방측의 개략적인 부분 전개 사시도.
도26은 도25에 도시하는 후방 패널 조립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27은 도24의 (b)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후방측의 개략적인 부분 전개 사시도.
도28은 도25에 도시하는 전방측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9는 도27에 도시하는 후방측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30의 (a)는 도25에 도시하는 냉각 팬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30의 (b)는 도30의 (a)에 도시하는 냉각 팬 유닛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30의 (c)는 도30의 (a)에 도시하는 냉각 팬 유닛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31은 도25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우측면도.
도32는 도25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전기적 접속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 HDD 유닛
110 : 2.5 인치 HDD(유닛 본체)
120, 120A : 케이스 또는 커버
130 : 나사(고정 수단)
140, 140A : 착탈 기구
150, 150A : 레버
160, 160A : 계지 부재
200-200C : 디스크 어레이 장치
300 : 랙 마운트 장치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54967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260048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8-19124호 공보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8-137631호 공보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11-327805호 공보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6-84338호 공보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2000-122815호 공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유닛 및 상기 유닛이 착탈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닛을 전자 기기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하,「HDD」라 함) 유닛을 복수 탑재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적합하다.
최근, 고속이고 또한 대용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외부 기억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한개 또는 복수의 HDD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내설한 디스크 어레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한 것).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서는, 장치 전체적으로는 가동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 보수(maintenance)가 필요해지는 HDD 유닛만을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 등으로 용이하게 장착된 HDD 유닛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 기구도 구비하고 있다.
도12에 종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와 그것에 장착되는 HDD 유닛(20)의 일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12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와 HDD 유닛(2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HDD 유닛(20)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5 인치 디스크를 내장한 3.5 인치 HDD(30)와, 3.5 인치 HDD(3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4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13은 HDD 유닛(20)의 분해 사시도이다.
3.5 인치 HDD(30)는, 도14의 (a) 및 도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W1), 길이(L1) 및 높이(H1)를 갖는다. 폭(W1), 길이(L1) 및 높이(H1)는 각각, 예를 들어 25.4 ㎜, 147 ㎜ 및 101.6 ㎜이다. 여기서, 도14의 (a) 및 도14의 (b)는 각각 3.5 인치 HDD(3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한편, 케이스(40)는,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5 인치 HDD(30)를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삽입 분리할 때에 사용되는 삽발(揷拔) 기구(42)와 본체부(44)를 갖는다. 삽발 기구(42)는 도12에 도시하는 전개 상태와 도13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은 압축 스프링을 갖는다. 삽발 기구(42)는 도13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버튼이 압박되어 압축 스프링의 계지가 해제되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된다. 그 후, 사용자는 삽발 기구(42)를 인출함으로써 HDD 유닛(2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1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HDD 유닛(2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에 장착할 때에는 이것과 반대의 동작을 행한다.
케이스(40)는 도15의 (a) 및 도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W2), 길이(L2) 및 높이(H2)를 갖는다. 폭(W2), 길이(L2) 및 높이(H2)는 각각, 예를 들어 27.1 ㎜, 204 ㎜ 및 112 ㎜이다. 여기서, 도15의 (a) 및 도15의 (b)는 각각 HDD 케이스(4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그 밖의 종래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2 내지 7이 있다.
최근의 전자 기기의 소형, 박형화의 요청으로부터 차세대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에는 종래의 3.5 인치 HDD(30)를 2.5 인치 HDD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 다. 또한, 인터넷 등 이용 가능한 정보가 대량이 됨에 따라서 대용량의 기억 장치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에는 보다 많은 HDD 유닛(20)을 탑재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단순히 3.5 인치 디스크로부터 2.5 인치 디스크로 변경한 것 이상으로 HDD 유닛(20)의 소형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종래의 삽발 기구(42)는 약 57 ㎜ 정도의 길이(L3)를 갖고, 또 다른 소형화의 요청을 저해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대해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소형의 착탈 기구와, 상기 착탈 기구를 갖는 유닛과, 상기 유닛이 착탈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착탈 기구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계지 부재(예로써, 아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2 내지 도15의 (b)에 나타내는 종래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버튼이 압박되는(즉, 이동하는) 방향은 케이스(40)의 전방면에 수직인 방향이므로 이동 거리만큼 케이스는 대형이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착탈 기구는 계지 부재의 이동이 케이스의 면을 따르고 있으므로, 케이스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예는 계지 부재가 케이스의 일부이고, 레버는 케이스와 결합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착탈 기구는 계지 부재가 케이스와는 별개의 부재이고, 레버는 케이스가 아닌 계지 부재와 결합하므로, 계지 부재와 레버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착탈 기구는 케이스의 소형화를 유지하는 계지 부재와 레버의 배치를 선택할 수 있다.
유닛은, 예를 들어 HDD 유닛 등의 기억 장치, 그 밖의 전자 기기 유닛이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이고, 복수의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랙 마운트 방식으로 다단식으로 탑재되어도 좋다.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로크 위치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아암이라도 좋다. 이러한 착탈 기구는 아암이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자주식(自走式)이다. 이로 인해, 이러한 착탈 기구는 스프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고, 부품 개수를 줄임으로써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암은, 예를 들어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착탈 기구는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계지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부를 더 가져도 좋다.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서, 유닛 본체와 전자 기기의 접속 및 절단을 표시하는 도광관이 배치되는 공간을 이용하면 기존의 공간을 이용하므로 유닛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러한 압박부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이다.
상기 레버는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 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제1 피고정부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 이동 불가능하게 공통 체결되는 제2 피고정부와, 상기 제1과 제2 피고정부를 접속하고,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변위한 상기 제1 피고정부를 상기 로크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부와,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레버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압박부를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착탈 기구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착탈 기구에 따르면, 레버가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 및 절첩(즉,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전개 및 절첩 기구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하는 것보다도 착탈 기구는 소형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착탈 기구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착탈 기구에 따르면, 계지 부재가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 또는 변위될 수 있으므로, 이동 기구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하는 것보다도 부품 개수가 감소되어 착탈 기구는 소형이 된다.
상기 레버는, 예를 들어 단면 L자 형상을 갖는다. 레버가 L자 형상이면, 유닛 또는 케이스와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 결합할 수 있고, 전개 및 절첩 기구를 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유닛 또는 케이스의 정면의 구조를 간이하게 하여 유닛 또는 케이스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L자 형상이면, 유닛을 전자 기기에 대해 삽발할 때에 사용자는 유닛의 정면에 대응하는 레버의 부분을 파지하여 힘을 가할 수 있다. 유닛의 측면에 대응하는 레버의 부분을 파지하여 힘을 가하면 유닛에 대칭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계지 부재는, 예를 들어 단면 L자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계지 부재의 케이스 주위의 불필요한 회전을 규제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면을 갖고,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제1 면에 평행한 제3 면과 상기 제2 면에 평행한 제4 면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3 면은 상기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계지 부재를 상기 제3 면을 거쳐서 상기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부를 더 갖고,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4 면을 상기 제2 면에 공통 체결해도 좋다. 제4 면을 거쳐서 계지 부재를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것보다도 제3 면을 거쳐서 계지 부재를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쪽이 계지 부재의 이동이 안정된다.
또한,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계지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제1 압박부와, 상기 레버를 전개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부를 갖고, 상기 제1 압박부에 의한 압박력은 상기 제2 압박부에 의한 압박력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압박력의 관계가 반대이면 계지 부재와 레버의 결합이 분리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으로 수직인 면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 및 상기 관통 구멍 내로 퇴피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에 힘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압박부를 더 가져도 좋다. 압박부는 관통 구멍으로 퇴피 가능하므로, 유닛이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으로 케이스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지 부재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해도 좋다. 계지 부재가 이동하는 공간을,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 즉 유닛의 길이 방향에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닛 또는 케이스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에 힘이 가해지는 요철부를 포함해도 좋다. 요철부에 의해 계지 부재를 이동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기 쉬워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젝트 버튼 등보다도 기구가 간단하고 착탈 기구의 소형화에 이바지한다.
상기 레버는 절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전자 기기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상기 유닛을 고정하는 갈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진동 등에 의해 유닛이 전자 기기로부터 탈락하거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전자 기기와 결합하여 상기 유닛과 상기 전자 기기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접속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의 전개 동작이 상기 유닛과 상기 전자 기기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동작을 겸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가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접촉하여 상기 레버의 또 다른 전개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가져도 좋다. 이에 의해, 레버가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착탈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이나, 상술한 착탈 기구를 각각 갖는 복수의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도 본 발명의 일측면을 구성한다.
특히,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상기 유닛은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닛의 길이는 전자 기기의 높이에 적 합해야 하므로, 유닛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것은 유효하다. 유닛이 HDD 유닛이고 전자 기기가 랙 마운트가 가능한 디스크 어레이 장치이면, 현재의 3.5 인치 HDD 유닛용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높이는 3U(U는 유닛의 약 134 ㎜)이다. 2.5 인치 HDD 유닛의 길이를 3U 이내로 할 수 있으면, 디스크 어레이 장치 및 그것을 탑재하는 랙 마운트 장치의 대폭적인 외형 설계 변경을 하지 않고, 유닛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도 좋고, 높이 방향에 삽입되어도 좋은 등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즉, 상기 유닛은 2.5 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이고,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는 3U(1U = 44.4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후방 패널을 갖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이고, 상기 후방 패널은 각 유닛에 공급되는 전력과 격납되어야 할 데이터를 중계해도 좋다. 후방 패널을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복수 열의 유닛의 탑재가 용이해진다. 통상 유닛은 후방 패널에 수직으로 착탈되므로, 유닛이 종래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 또는 안길이 방향으로 착탈하는 구조에서는 전방열로부터 2열째 또는 그 이후에 유닛을 탑재하고자 해도 후방 패널이 장해가 되어 복수열에 유닛을 배치하는 것은 곤란해지고, 그 경우에는 후방 패널도 복수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 후방 패널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하고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부를 개구하면, 이러한 개구를 거쳐서 하나의 후방 패널에 행렬 형상으로 유닛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후방 패널의 점수의 삭감과 용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후방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유닛의 상기 후방 패널로의 접속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상기 후방 패널에 접속된 각 유닛을 수납하는 탑재 프레임을 더 가져도 좋다. 탑재 프레임에 의해, 각 유닛은 후방 패널로의 착탈이 용이해지고, 또한 각 유닛을 수납 및 보유 지지하기 위해 각 유닛이 진동 등에 의해 변위되거나, 그 결과, 각 유닛과 후방 패널과의 접속부가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유닛과,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 유닛과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속하는 중계 기판과, 상기 후방 패널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더 가져도 좋다. 후방 패널과 중계 기판과의 접속의 방향과 중계 기판과 전원 유닛과의 접속의 방향을 직교시킴으로써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 또는 안길이 방향을 따라서 후방 패널에 인접하여 전원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서는 폭이(19 인치 캐비닛 등) EIA 규격으로 결정되어 있으므로 제약이 없는 길이 방향에 후방 패널과 전원 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후방 패널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더 갖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후방 패널에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유닛에 대해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속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제1 인터페이스 유닛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부로부터 후방 패널에 부착되고, 제2 인터페이스 유닛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후방부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 유닛에 부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일이 많고, 후방 패널과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어 상기 후방 패널을 거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유닛을 송풍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 팬 유닛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닛의 탑재 밀도를 높인 경우에, 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발열량이 증대되어 유닛이 열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어 상기 후방 패널을 거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유닛 및/또는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유닛 및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각각의 동작의 정상 및 이상을 알리는 4종류의 램프를 가져도 좋다.
상기 전자 기기는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후방 패널을 갖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복수단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에 탑재 가능한 랙 마운트 장치라도 좋다. 또한,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는 상기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탑재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유닛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착탈 기구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의 하우징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유닛의 상기 하우징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착탈 기구는 계지 부재가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자주식이다. 이로 인해, 이러한 착탈 기구는 스프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고, 부품 개수를 줄임으로써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지 부재는, 예를 들어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유닛은, 예를 들어 HDD 유닛 등의 기억 장치, 그 밖의 전자 기기 유닛이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이고, 복수의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랙 마운트 방식이고 다단식으로 탑재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착탈 기구는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레버가 공통 체결되는 상기 케이스의 면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계지 부재를 갖고,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 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에서 변위 가능하게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제1 피고정부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 이동 불가능하게 공통 체결되는 제2 피고정부와, 상기 제1과 제2 피고정부를 접속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변위한 상기 제1 피고정부를 상기 로크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부와,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레버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압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착탈 기구도 상술한 착탈 기구와 같은 작용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또는 그 밖의 특징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HDD 유닛(10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1은 HDD 유닛(100)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2는 HDD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의 (a)는 HDD 유닛(100)의 정면도이고, 도3의 (b)는 HDD 유닛(100)의 측면도이다.
HDD 유닛(100)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억 장치로서 기능하고, 도3의 (a) 및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W11), 길이(L11) 및 높이(H11)를 갖는다. 폭(W11), 길이(L11) 및 높이(H11)는 각각, 예를 들어 18 ㎜, 113.7 ㎜ 및 76 ㎜이 다. 또한, HDD 유닛(100)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 인치 HDD(110)와, 케이스 또는 커버(120)와, 고정 수단(나사)(130a 내지 130d)과, 스페이서(131a 및 131b)와, 도광관(135)과, 착탈 기구(140)를 갖는다.
2.5 인치 HDD(110)는 HDD 유닛(100)의 본체이고, 내부에 2.5 인치의 자기 디스크를 내장하고 있다. 2.5 인치 HDD(110)는, 도2, 도4의 (a) 및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111a), 상면(111b), 측면(111c) 및 배면(111d)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2.5 인치 HDD(110)는 부착 구멍(112a 내지 112d)과, 커넥터(114)를 갖는다. 여기서, 도4의 (a)는 2.5 인치 HDD(110)의 정면도이고, 도4의 (b)는 2.5 인치 HDD(110)의 측면도이다. 2.5 HDD(110)는, 도4의 (a) 및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W21), 길이(L21) 및 높이(H21)를 갖는다. 폭(W21), 길이(L21) 및 높이(H21)는 각각, 예를 들어 15 ㎜, 110.7 ㎜ 및 70.1 ㎜이다.
도3의 (a) 내지 도4의 (b)를 참조하면, HDD 유닛(100)은 HDD 유닛(100)의 길이(L11)와 2.5 인치 HDD(110)의 길이(L21)와의 차(113.7 - 110.7)가 3 ㎜이다. 도6을 참조하면 HDD 유닛(100)의 길이(L11)에 있어서의 착탈 기구(140)의 길이, 즉 아암(160)이 케이스(120)의 정면(12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길이(L12)는 약 3 ㎜이다. 이에 대해, 도14의 (a) 내지 도15의 (b)를 참조하면, HDD 유닛(20)은 HDD 유닛(20)의 길이(L2)와 3.5 인치 HDD(30)의 길이(L1)의 차(204 - 147)가 57 ㎜이다. 종래의 삽발 기구(42)의 길이(L3)가 약 57 ㎜인 것을 감안하면, HDD 유닛(100)은 그 길이(L11)에 있어서의 착탈 기구(140)의 길이(L12)를 3 ㎜로 대폭으로 단축시킴으로써 종래의 HDD 유닛(20)보다도 길이의 단축화 또는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여기서, 도6은 도3의 (b)의 B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부착 구멍(112a 내지 112d)은 2.5 인치 HDD(110)의 측면(111c)에 마련된다. 부착 구멍(112a 내지 112d)은 각각 나사(130a 내지 130d)가 끼워 맞추어지는 나사 구멍으로, 케이스(120)와의 접속에 사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 구멍(112a)은 착탈 기구(140)의 레버(150)를 공통 체결하는 데 사용되고,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구석으로부터 가로(L22), 높이(H22)의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22는 9.63 ㎜이고, H22는 4.2 ㎜이다. 또한, 부착 구멍(112c 및 112d)은 아암(160)을 공통 체결하는 데 사용된다.
커넥터(114)는 2.5 인치 HDD(110)의 배면(111d)에 설치된다. 커넥터(114)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커넥터(2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정보 전달이나 전원 공급에 사용된다. 커넥터(210)는 또한 후방 패널(220)에 접속된다. 여기서, 도7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는 HDD 유닛(100)의 단면도이다.
케이스(120)는 2.5 인치 HDD(110)를 보호하는 동시에 그 전자 기기(200)로의 착탈을 쉽게 한다. 케이스(120)는, 예를 들어 두께 0.4 ㎜의 금속 평판을 절곡함으로써 구성된다. 케이스(12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121a), 상면(121b) 및 측면(121c)을 포함한다. 케이스(120)는 정면(121a)에 대향하는 면과 측면(121c)에 대향하는 면은 개구되어 있고, 2.5 인치 HDD(110)를 수용하는 트레이 형상을 갖는다. 이 결과,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 인치 HDD(110)의 커넥터 (114)는 케이스(120)의 후방부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케이스(120)는 부착 구멍(122a 내지 122d)과, 방열 구멍(123a 및 123b)과, 도광관 부착 구멍(124a)과, 고정 구멍(124b)과, 한 쌍의 진동 흡수부(125a 및 125b)를 갖는다.
부착 구멍(122a 내지 122d)은 케이스(120)의 측면(121c)에 마련된다. 부착 구멍(122a 내지 122d)은 각각 나사(130a 내지 130d)가 끼워 맞추어지는 나사 구멍이고, 2.5 인치 HDD(110)와의 접속에 사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 구멍(122a)은 착탈 기구(140)의 레버(150)를 공통 체결하는 데 사용되고, 부착 구멍(122c 및 122d)은 착탈 기구의 아암(160)을 공통 체결하는 데 사용된다.
방열 구멍(123a 및 123b)은 2.5 인치 HDD(110)의 방열용 관통 구멍이다. 방열 구멍(123a)은 케이스(120)의 정면(121a와 121c)과의 모서리부에 마련된다. 방열 구멍(123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 기구(140)의 레버(150)의 방열 구멍에 연통하고, 2.5 인치 HDD(110)와 외기의 연통을 확보하고 있다. 방열 구멍(123b)은 케이스(120)의 측면(121c)에 예시적으로 9행 3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5 인치 HDD(110)와 외기의 연통을 확보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의 (b)의 수평 방향에 방열 구멍(123b)이 연장되어 있다. 이는 2.5 인치 HDD(110)를 냉각하는 공냉의 바람의 방향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 내에서 도3의 (b)의 수평 방향이기 때문이다.
도광관 부착 구멍(124a)은 케이스(120)의 상면(121b)의 이면을 통과하도록 마련되고, 도광관(135)이 부착되는 관통 구멍이다. 도광관 부착 구멍(124a)은 케이스(120)와 2.5 인치 HDD(110) 사이의 간극(공간)에 연통하고, 이러한 공간에 도 광관(135)은 수납된다. 고정 구멍(124b)은 케이스(120)의 상면(121b)의 대략 중앙의 2.5 인치 HDD(110)에 마련되는 직사각형의 구멍이다. 고정 구멍(124b)은 도광관(135)의 구형의 돌기(135a)를 수용하여 도광관(135)을 고정한다.
진동 흡수부(125a 및 125b)는 2.5 인치 HDD(110)의 상면(111b)에 접촉하고 2.5 인치 HDD(110)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 흡수부(125a 및 125b)는 케이스(120)의 상면(121b)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케이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나사(130a 내지 130d)는 각각 부착 구멍(112a 내지 112d, 122a 내지 122d)에 끼워 맞추어지고, 2.5 인치 HDD(110)와, 케이스(120)와, 착탈 기구(140)를 공통 체결하는 고정 수단이다. 나사(130a 내지 130d)는 고정 수단의 일예이고, 본 발명은 볼트와 너트 등 다른 기계적 수단도 포함하는 것이다. 나사(130a)는 스페이서(131a)와 착탈 기구(140)의 레버(150)의 부착 구멍(154)을 거쳐서 부착 구멍(122a 및 112a)에 삽입된다. 도5는 도3의 (a)에 도시하는 A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나사(130c)는 스페이서(131b)와 착탈 기구(140)의 아암(160)의 부착 구멍(161a)을 거쳐서 부착 구멍(122c 및 112c)에 삽입된다. 스페이서(131a)는 레버(150)가 나사(130a)의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페이서(131b)는 아암(160)의 피고정부(161)가 나사(130c)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광관(135)은 HDD 유닛(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광섬유이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을 갖는다. 도광관(135)은 부착 구멍(124)에 삽입되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정면(121a)의 상부로 돌출된다. 도광관 (135)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앙 상부에 돌기(135a)를 갖고, 돌기(135a)가 위로 볼록해지도록 약간 굴곡되어 있다. 돌기(135a)가 부착 구멍(124b)에 걸리고, 도광관(135)이 케이스 내에 고정된다.
착탈 기구(140)는 HDD 유닛(100)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대해 착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스(120)의 측면(121C) 상에 설치된다. 또한, 착탈 기구(140)는 장착된 HDD 유닛(100)과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결합을 로크한다. 착탈 기구(140)는 레버(150)와, 아암(160)을 갖는다.
레버(150)는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부위이다. 레버(150)는 두께 2 ㎜의 금속 평판을 직각으로 절곡한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케이스(120)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케이스(120)에 고정된다. 레버(150)는 수지로 구성되어도 좋다. 금속제의 레버(150)는 HDD 유닛(100)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이 될 우려가 있지만, 수지제의 레버(15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여기서, 레버(150)의 절첩 위치는 도7에 도시하는 위치이고, 레버(150)의 전개 위치는 후술하는 도9에 도시하는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150)는 90°회전하여 전개 및 절첩하지만, 회전 각도는 90°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13에 도시하는 삽발 기구(42)와 같이 레버(150)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레버(150)가 L자 형상이므로, 레버(150)와 케이스(120)는 케이스(120)의 정면(121a)이 아닌 측면(121c)에서 결합할 수 있다. 환언하면, 레버(150)의 전개 및 절첩 기구를 케이스(120)의 측면(121c)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케이스(120) 의 정면(121a)의 구조를 간이하게 하여 케이스(12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레버(150)는 L자 형상을 구성하는 전방판(151a) 및 측판(151b)과, 결합부(152)와, 방열 구멍(153)과, 부착 구멍(154)과, 갈고리부(155)와, 접속 해제부(156)와, 경사변(157)(도9)을 갖는다. 전방판(151a) 및 측판(151b)의 경계에는 방열 구멍(153)이 마련된다. 방열 구멍(153)은 케이스(120)의 방열 구멍(123a)과 연통한다.
전방판(151a)은 레버(150)가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삽입 분리할 때에 힘이 인가되는 부위이다. 전방판(151a)에 의해 사용자는 HDD 유닛(110)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좌우 대칭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방판(151a)은 케이스(120)의 정면(121a)과 접촉함으로써 레버(150)가 도1에 도시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방판(151a)은 케이스(120)의 정면(121a)의 중앙부만을 덮고 있다. 정면(121a)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아암의 요철부(161b)가 배치되기 때문이고, 정면(121a)의 하부에 전방판(151a)이 연장되면 레버(150)의 원활한 회전이 방해되기 때문이다.
측판(151b)은 결합부(152)와, 부착 구멍(154)과, 갈고리부(155)와, 접속 해제부(156)와, 경사변(157)을 갖는다.
결합부(152)는 측판(151b)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 돌기이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50)가 절첩된 위치에 있을 때에 아암(160)의 결합부(161c)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152 및 161c)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거나 요철 형상으로 형성 되어 있거나 해도 좋다.
부착 구멍(154)은 측판(151b)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레버(15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부착 구멍(154)과 나사(130a) 및 스페이서(131a)를 거쳐서 측판(151b)은 케이스(120)의 측면(121C)에 90°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레버(150)의 측판(151b)이 나사(130a)를 중심으로 하여 전개 및 절첩(즉,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전개 및 절첩 기구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하는 것보다도 착탈 기구(140)는 소형이 된다. 부착 구멍(154)은, 도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2.5 인치 HDD(110)의 부착 구멍(112a)과 정렬하고 있고, 부착 구멍(112a)은 2.5 인치 HDD(110)의 대략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14의 (b)에 도시하는 좌측 하부의 부착 구멍의 위치(L4, H4)는, 예를 들어 (61.27 ㎜, 3.17 ㎜)이고, L4가 크기 때문에, 3.5 인치 HDD(30)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종래의 3.5 인치 HDD(30)에서는 단순히 도14의 (b)에 도시하는 좌측 하부의 부착 구멍에 공통 체결하는 것만으로는 삽발 기구(42)의 회전 반경이 커져 반드시 HDD 유닛(20)의 소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체결에 사용하는 부착 구멍(112a 및 122a)을 HDD 유닛(100)의 모서리부에 배치하고 레버(150)의 회전 반경을 작게 하여 착탈 기구(140)의 소형화를 달성하고 있다.
갈고리부(155)는 측판(151b)의 부착 구멍(154)의 하부에 형성된다. 갈고리부(155)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50)가 절첩 위치에 있을 때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가이드(230)와 결합하고,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대해 HDD 유닛(100)을 고정한다. 이에 의해, 진동 등에 의해 HDD 유닛(100)의 디스크 어레 이 장치(200)로부터의 탈락, 전기적 절단, 커넥터(114 및 21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갈고리부(155) 및 가이드(230)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거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해도 좋다.
접속 해제부(156)는 측판(151b)의 부착 구멍(154)의 좌측에 형성된다. 접속 해제부(156)는, 후술하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가이드(230)와 접촉하여 이를 압박함으로써 커넥터(114와 210)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경사변(157)은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부착할 때에 도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아암(160)의 피고정부(161)의 경사변(161d) 상을 미끄러지는 동시에 피고정부(161)를 위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도7에 도시하는 상태를 초래한다.
아암(160)은 케이스(120)의 측면(121c)에 설치되어 수지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대략 T자 형상을 갖는 계지 부재이다. 아암(160)은 피고정부(161)와, 지지부(162)와, 피고정부(163)와, 압박부(164)를 갖는다.
피고정부(161)는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케이스(120)의 측면(121c)에 고정된다. 여기서,「로크 위치」라 함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0)에 절첩된 레버(150)와 결합하여 레버(150)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위치이다. 또한,「로크 해제 위치」라 함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50)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레버(150)가 케이스(120)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이다.
도12 내지 도15의 (b)에 나타내는 종래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버튼이 눌려지는(즉, 이동하는) 방향은 케이스(40)의 전방면에 수직인 방향이므로 L3이 커져 케이스는 길이 방향으로 대형이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아암(160)은 피고정부(161)의 이동이 케이스(120)의 측면(121c)을 따르고 있으므로, HDD 유닛(100)은 측면(121c)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형이 되지 않고, 겨우 피고정부(161)의 두께분만큼 폭이 증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종래예는 계지 부재가 케이스의 일부이고, 레버는 케이스와 결합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아암(160)은 케이스(120)와는 별개의 부재이고, 레버(150)는 케이스(120)가 아닌 아암(160)과 결합하므로, 아암(160)과 레버(150)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착탈 기구(140)는 케이스(120)의 소형화를 유지하는 아암(160)과 레버(150)의 배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8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는 HDD 유닛(100)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피고정부(161)에는 부착 구멍(161a)과, 요철부(161b)와, 결합부(161c)와, 경사변(161d)이 형성된다.
피고정부(161)는 나사(130c), 스페이서(131b) 및 부착 구멍(161a)을 거쳐서 케이스(120)의 측면(121c)에 2.5 인치 HDD(110)와 공통 체결된다. 부착 구멍(161a)은, 도2에서는 원을 종방향으로 약간 연장시킨 타원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피고정부(161)는 부착 구멍(161a)의 길이 방향으로, 즉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요철부(161b)는 피고정부(161)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에 힘이 가해지는 피고정부(161)의 단부에 파형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요철부(161b)에 의해 아암(160)을 이동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기 쉬워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젝트 버튼 등을 배치하는 것보다도 기구가 간단하고 착탈 기구(140)의 소형화에 이바지한다. 레버(150)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요철부(161b)의 볼록부와 레버(150)의 전방판(151a)은 대략 같은 높이의 관계에 있다. 요철부(161b)가 돌출되어 있으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HDD 유닛(100)이 장착되었을 때에 무엇인가가 요철부(161b)에 걸려 HDD 유닛(100)이 빠져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아암(160)이 수지제이면 요철부(161b)는 HDD 유닛(100)이 구동 후의 온도 상승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조작성이 좋다.
결합부(161c)는 피고정부(161)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레버(150)의 결합부(152)와 결합하고, 피고정부(161)가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레버(150)의 결합부(152)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돌기이다. 결합부(161c)는 부착 구멍(161a)의 바로 아래에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162)는 피고정부(161 및 163)를 접속하는 로드 형상의 부재이다. 피고정부(161)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지지부(162)는 상방으로 변형되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복귀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 피고정부(161)에는 로크 위치로 복귀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지지부(162)가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자주식이므로, 복귀 수단을 인장 스프링 등에 의해 구성할 필요가 없고, 부품 개수를 생략하여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피고정부(163)는 나사(130d)에 의해 케이스(120)의 측면(121c)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공통 체결된다. 피고정부(163)는 지지부(162)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피고정부(161)가 변위되었을 때에 피고정부(163)가 이동하지 않는 구성은 지지부(162)에 피고정부(161)를 로크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생성시킨다. 공통 체결에 의해, 아암(160)은 피고정부(163) 또는 나사(130d)를 중심으로 하여 이동 또는 변위하게 되고, 이동 기구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하는 것보다도 착탈 기구는 소형이 된다.
압박부(164)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61c와 152)가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 레버(15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측판(151b)의 상부로 압박력을 가한다. 압박부(164)는 지지부(162)의 피고정부(161) 부근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수직부(164a)와 곡선부(164b)를 갖는다. 수직부(164a)는 지지부(162)에 접속하여 지지부(162)에 대해 대략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다. 곡선부(164b)는 수직부(164a)에 접속하여 측판(151b)에 접촉한다. 수직부(164a)와 곡선부(164b)의 조합에 의해 압박부(164)를 가능한 한 소형으로 하여 레버(150)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곡선부(164)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탄성력을 측판(151b)에 가한다. 압박부(164)가 탄성 변형 가능하고 자주식이므로, 압박 수단을 압축 스프링 등에 의해 구성할 필요가 없고, 부품 개수를 생략하여 착탈 기구(140)의 소형화에 이바지한다.
이하,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제거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9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는 HDD 유닛(100)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8의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할 때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행해진다.
우선, 피고정부(161)가 도7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결합부(152와 161c)가 결합하고, 레버(150)는 절첩 상태에서 로크된다. 또한, 갈고리부(155)와 가이드(230)가 결합하여 진동 등의 영향이 있어도 HDD 유닛(100)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또한, 커넥터(114)와 커넥터(210)가 결합하여 HDD 유닛(100)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HDD 유닛(100)은 전원 공급이나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164)는 레버(150)에 압축력을 가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요철부(161b)에 손가락을 걸고 피고정부(161)를 도8의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리고, 부착 구멍(161a)을 따라서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피고정부(161)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은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이젝트하는 방향(도9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있다. 「대략 직교」라 함은, 피고정부(161)가 나사(130d)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 완전히 직교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는 취지이다. 결국, 이와 같이 이동 방향이 직교하는 구성은 아암(160)이 이동하는 공간을,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이젝트하는 방향, 즉 HDD 유닛의 길이 방향에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HDD 유닛(100) 또는 케이스(12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결합부(152와 161c)와의 결합은 해제되고, 레버 (150)는 절첩 상태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갈고리부(155)와 가이드(230)의 결합도 해제되고, HDD 유닛(10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이젝트 가능해진다. 단, 이 상태에서는 또한 커넥터(114)와 커넥터(210)의 결합은 유지되어 있으므로, HDD 유닛(100)은 아직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 내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압박부(164)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레버(150)는 전방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고, 사용자가 레버(150)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는 것을 쉽게 한다. 그 결과, 압박부(164)와 레버(150)는 이격된다. 또한, 지지부(162)에는 도7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요철부(161b)로부터 손가락을 뗀다. 그러면, 지지부(162)에 작용하는 복귀력에 의해 피고정부(161)는 도7의 상태로 복귀된다. 레버(150)가 도9에 도시하는 전개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속 해제부(156)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가이드(230)에 접촉한다. 사용자가 레버(150)를 회전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더 쓰러뜨려 전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 해제부(156)가 가이드(230)를 압박하고, 그 결과, 커넥터(114)와 커넥터(210)의 접속이 해제된다. 레버의 전개 동작이 HDD 유닛(100)과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동작을 겸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 내에서 보유 지지하는 힘은 없어지고, 사용자는 레버(150)의 전방판(151a)을 보유 지지하여 전방 화살표 방향으로 인발함으로써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이젝트할 수 있다.
이하, 도16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HDD 유닛 (100A)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16은 HDD 유닛(100A)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17은 HDD 유닛(100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8은 HDD 유닛(100A)의 케이스(120A)의 이측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HDD 유닛(100A)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HDD 유닛(10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와 같은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HDD 유닛(100A)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억 장치로서 기능하고,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5 인치 HDD(110)와, 케이스 또는 커버(120A)와, 고정 수단(나사)(130a 내지 130d)과, 스페이서(131a 및 131b)와, 도광관(135)과, 착탈 기구(140A)를 갖는다.
케이스(120A)는 2.5 인치 HDD(110)를 보호하는 동시에 그 전자 기기(200)로의 착탈을 쉽게 한다. 케이스(120A)는, 예를 들어 두께 0.4 ㎜의 금속 평판을 절곡함으로써 구성된다. 케이스(120)는,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121d), 상면(121e), 측면(121f) 및 바닥면(121g)을 포함한다. 케이스(120A)는 정면(121d)에 대향하는 면과 측면(121f)에 대향하는 면은 개구되어 있고, 2.5 인치 HDD(110)를 수용하는 트레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케이스(120A)는 부착 구멍(122a 내지 122d)과, 방열 구멍(123c)과, 도광관 부착 구멍(124a)과, 고정 구멍(124b)과, 한 쌍의 진동 흡수부(125c 및 125d)와, 스프링 부착 구멍(126)과, 계지부(127)를 갖는다.
방열 구멍(123c)은 2.5 인치 HDD(110)의 방열용 관통 구멍이지만, 방열 구멍(123b)과 달리 도16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는 2.5 인치 HDD(110)를 냉각하는 공냉의 바람의 방향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 내에서 도16의 상하 방향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방열 구멍(123a)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진동 흡수부(125c 및 125d)는 진동 흡수부(125a 및 125b)와 마찬가지로 기능을 갖지만, 바닥면(121g)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스프링 부착 구멍(126)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0A)의 상면(121d)의 이측을 통과하도록 마련되어 스프링(142)이 부착되는 관통 구멍이다. 스프링 부착 구멍(126)은, 도광관 부착 구멍(124a)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20A)와 2.5 인치 HDD(110) 사이의 간극(공간)에 연통하고, 이러한 공간에 스프링(142)이 도광관(135)에 부분적으로 병렬하여 수납된다.
계지부(127)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0A)의 측면(121f)을 외측으로 절곡 기립함으로써 형성되어 레버(150A)의 후술하는 경사면(158)과 접촉하고, 레버(150A)가 도2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착탈 기구(140A)는 HDD 유닛(100A)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대해 착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스(120A)의 측면(121f) 상에 설치된다. 또한, 착탈 기구(140A)는 장착된 HDD 유닛(100A)과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결합을 로크한다. 착탈 기구(140A)는 스프링(141 및 142)과, 레버(150A)와, 계지 부재(160A)를 갖는다.
스프링(141)은 케이스(120A)의 정면(121d)을 외측으로 절곡 기립함으로써 형 성된 판 스프링이다. 스프링(141)은 정면(121d)에 마련된 구멍(121d1)으로부터 돌출 및 대비가 가능하다.
스프링(142)은 2.5 인치 HDD(110)와 케이스(120A)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계지 부재(160A)를 상기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기능을 갖는 판 스프링이다. 스프링(142)은 고정부(142a)와 이동부(142b)를 갖는다. 고정부(142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케이스(120A)의 상면(121e)의 이면에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142a)의 폭은 상면(121e)의 이면의 폭에 대략 동등하고, 고정부(142a)의 길이는 이동부(142)에 의한 압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로부터 설정된다. 이동부(142b)는 계지 부재(160A)에 접촉하여 이것을 압박한다. 이동부(142b)는 도광관(135)과 병렬로 배치되어 본래 도광관(135)을 설치하기 위한 기존의 공간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유닛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스프링(142)의 압박력은 스프링(141)의 압박력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압박력의 관계가 반대이면, 도19의 상태로부터 도20의 상태가 되어 계지 부재(160A)와 레버(150A)의 결합이 해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레버(150A)는 HDD 유닛(100A)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부위이다. 레버(150A)는 수지제로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케이스(120A)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케이스(120A)에 고정된다. 레버(150A)의 절첩 위치는 도19에 도시하는 위치이고, 레버(150)의 전개 위치는 후술하는 도21에 도시하는 위치이다. 레버(150A)가 L자 형상인 효과는 레버(150)와 마찬가지이다. 레버(150)는 L자 형상을 구성하는 전방판(151c) 및 측판(151d)과, 결합부(152)와, 부착 구멍(154)과, 갈고리부(155)와, 접속 해제부(156)와, 경사변(157 및 158)을 갖는다.
전방판(151c) 및 측판(151d)은 방열 구멍(153)이 그 경계에 없지만 실질적으로 전방판(151a) 및 측판(151b)과 함께 기능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판(151c)의 이면에서 스프링(141)이 접촉하는 부분은 오목하고, 스프링(141)은 전방판(151c)의 이러한 오목부와 결합한다.
측판(151d)은 결합부(152)와, 부착 구멍(154)과, 갈고리부(155)와, 접속 해제부(156)와, 경사변(157 및 158)을 갖는다. 레버(150)가 전개 위치에 있으면, 경사변(158)은,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0A)의 계지부(127)와 접촉한다. 레버(150A)는 도2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레버(150A)가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지 부재(160A)는 케이스(120A)의 측면(121f)에 설치되어 수지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대략 L자 형상을 갖는다. 계지 부재(160A)는 피고정부(161A)와 피압박부(165)를 갖는다.
피고정부(161)는, 로크 위치와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케이스(120)의 측면(121f)에 고정된다. 피고정부(161A)의 이동은 케이스(120A)의 측면(121f)을 따르고 있으므로, HDD 유닛(100)은 측면(121f)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형이 되지 않는다. 계지 부재(160A)와 레버(150A)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은 점은 아암(160) 및 레버(150)와 마찬가지이다. 피고정부(161A)는 부착 구멍(161a)과, 결합 부(161c)와, 경사변(161d)을 갖는다.
피압박부(165)는 스프링(142)의 이동부(142b)와 접촉하여 스프링(142)에 의해 도16의 하향의 힘이 가해지는 부위이다. 피압박부(165)는 요철부(161b)와 마찬가지로 기능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피압박부(165)는 케이스(120A)의 정면(121d)에 평행하게 약간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고, 계지 부재(160A)의 회전을 방지한다. 약간 이격되어 있는 것은 피고정부(161)의 상하 방향의 원활한 이동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피고정부(161)에 하향의 힘을 가하는 것보다도 피압박부(165)에 하향의 힘을 가하는 쪽이 계지 부재(160A)의 동작이 안정화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도19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HDD 유닛(100A)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제거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19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는 HDD 유닛(100A)의 단면도이다. 도2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는 HDD 유닛(100A)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21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는 HDD 유닛(100A)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20의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HDD 유닛(100A)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에 장착할 때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행해진다.
우선, 피고정부(161)가 도19에 도시하는 로크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결합부(152와 161c)가 결합하고, 레버(150A)는 절첩 상태에서 로크된다. 또한, 갈고리부(155)와 가이드(230)가 결합하여 진동 등의 영향이 있어도 HDD 유닛(100A)이 디스 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또한, 커넥터(114)와 커넥터(210)가 결합하고, HDD 유닛(100A)과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HDD 유닛(100A)은 전원 공급이나 정보의 기록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41)은 레버(150A)에 압축력을 가하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피압박부(165)의 요철부에 손가락을 걸고 피고정부(161)를 스프링(14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20의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리고, 부착 구멍(161a)을 따라서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피고정부(161)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은, 도8 및 도9와 마찬가지로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이젝트하는 방향(도21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있다.
도2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결합부(152와 161c)와의 결합은 해제되고, 레버(150A)는 절첩 상태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갈고리부(155)와 가이드(230)의 결합도 해제되어 HDD 유닛(100A)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이젝트 가능해진다. 단, 이 상태에서는 아직 커넥터(114)와 커넥터(210)의 결합은 유지되어 있으므로, HDD 유닛(100A)은 아직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 내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141)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레버(150A)는 전방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고, 사용자가 레버(150A)를 전방으로 쓰러뜨리는 것을 쉽게 한다. 그 결과, 스프링(141)과 레버(150)는 이격된다. 또한, 계지 부재(160A)에는 스프링(142)에 의해 도7에 도시하는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피압박부(165)의 요철부로부터 손가락을 뗀다. 그러면, 스프링(142)의 스프링력에 의해 피고정부(161)는 도19의 상태로 복귀한다. 레버(150A)가 도21에 도시하는 전개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속 해제부(156)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가이드(230)에 접촉한다. 사용자가 레버(150A)를 회전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더 쓰러뜨려 전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속 해제부(156)가 가이드(230)를 압박하고, 그 결과, 커넥터(114)와 커넥터(210)의 접속이 해제된다. 또한, 경사변(158)과 돌기(127)의 접촉에 의해 레버(150A)가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도2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안정된다. 레버(150A)의 전개 동작이 HDD 유닛(100A)과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동작을 겸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HDD 유닛(100A)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 내에서 보유 지지하는 힘은 없어지고, 사용자는 레버(150A)의 전방판(151a)을 보유 지지하여 전방 화살표 방향으로 인발함으로써 HDD 유닛(100A)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로부터 이젝트할 수 있다.
이하, 도10의 (a) 내지 도11의 (b)를 참조하여 HDD 유닛(100)과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장착 방식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는 대형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이고, 주로 데이터의 백업을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10의 (a) 및 도10의 (b)는 HDD 유닛(100)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A)의 길이 방향으로 착탈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도10의 (a)는 20대의 HDD 유닛(100)이 장착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A)의 외관 투시 사시도이고, 도10의 (b)는 도10의 (a)의 분해도이다. 220A는 후방 패널, 240A는 전원 유닛, 250A는 인터페이스 유닛이다. 이 경우,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A)의 높이는, 예를 들어 2U(=88.9 ㎜)가 된다.
한편, 도11의 (a) 및 도11의 (b)는 HDD 유닛(100)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의 높이 방향으로 착탈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도11의 (a)는 60대의 HDD 유닛(100)이 장착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의 외관 투시 사시도이고, 도11의 (b)는 도11의 (a)의 분해도이다. 220B는 후방 패널, 240B는 전원 유닛, 250B는 인터페이스 유닛, 260은 냉각 팬 유닛이다. 이 경우,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의 높이는, 예를 들어 3U(=133.35 ㎜)가 된다.
도11의 (a) 및 도11의 (b)에서는, HDD 유닛(100)의 길이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의 높이에 적합해야만 하므로, HDD 유닛(100)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것은 유효하다. 3.5 인치 HDD 유닛용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높이는 3U이므로, 2.5 인치 HDD 유닛의 길이를 3U 이내로 할 수 있으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 및 그것을 탑재하는 랙 마운트 장치의 대폭적인 외형 설계 변경을 하지 않고, HDD 유닛(100)은, 도10의 (a) 및 도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A)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도 좋고, 도11의 (a) 및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의 높이 방향으로 삽입되어도 되는 등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10의 (a) 내지 도11의 (b)에 있어서, HDD 유닛(100)은 HDD 유닛(100A)으로 치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전형적으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HDD 유닛(100) 및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냉각(공냉)을 행한다. 효율적인 냉각(또는 방열)을 위해서는, 방열 구멍(123b 및 123c)의 방향은 냉풍 방향에 일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에 있어서는 HDD 유닛(100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HDD 유닛(100A) 대신에, 방열 구멍(123b)의 방향을 90°회전한 HDD 유닛(100)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에 있어서는 냉풍 방향이 도1 및 도2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이므로, 가령 방열 구멍(123b)의 방향을 90°회전시켜도 지지부(162)가 냉풍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냉각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HDD 유닛(100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22의 (a) 내지 도28을 참조하여 도11의 (a) 및 도11의 (b)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B)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인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22의 (a)는 복수단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랙 마운트 장치(30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22의 (b)는 종래의 3.5 인치 HDD 유닛(20)을 수납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를 복수단 수납하는 랙 마운트 장치(5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랙 마운트 장치(300 및 50)는 모두 복수단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 및 10)를 탑재하여 대용량의 기억 장치로서 기능한다. 랙 마운트 장치의 폭(W)은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규격으로 소정 폭으로 규정되어 있다. 도22의 (a) 및 도22의 (b)는 소위 19 인치 캐비닛의 치수를 갖고, 높이는 통상 36U 정도이다.
도22의 (b)에 도시하는 종래의 랙 마운트 장치(50)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를 랙 마운트 장치(50)에 고정(나사 고정)하고 있다.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D 유닛(2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의 길이 방향(또는 안길이 방향)[ 도22의 (b)에 있어서는 종이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에 탑재된다. 도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는 그 전방면에 폭(W)의 방향을 따라서 15개의 HDD 유닛(20)을 탑재할 수 있고, 높이 3U를 갖는다. 3.5 인치 HDD 유닛(20)은 각각 300 GB의 용량을 갖기 때문에, 랙 마운트 장치(50)의 1U당의 용량[즉, 각 디스크 어레이 장치(10) 전체의 용량]은 15 × 300/3 = 1500 GB가 된다. 한편, 도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마운트 장치(50)는 12단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를 탑재할 수 있으므로, 랙 마운트 장치(50) 전체의 용량은 15 × 300 × 12 = 54000 GB가 된다.
이에 대해, 도22의 (a)에 도시하는 랙 마운트 장치(300)는 각 단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를 고정하지 않고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22의 (a)에 랙 마운트 장치(300)를, 도23의 (a)에 부분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23의 (a)에 도시하는 랙 마운트 장치(300)로부터 하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인출한 상태를 도23의 (b)에 도시한다. 또한, 도24의 (a) 및 도24의 (b)에 랙 마운트 장치(300)에 부착된 하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24의 (a)는 랙 마운트 장치(300)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4의 (b)는 랙 마운트 장치(300)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랙 마운트 장치(300)는 도24의 (a)에 도시하는 하우징(310) 내에 4개의 지주(320)를 갖고, 4개의 지주(320)에는 전방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의 랙(선반)(330)이 고정되어 있다. 지주(320)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322)이 마련되어 있다. 각 랙(330)에는 지주(320)에 대응한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빈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이 설치되고, 각 랙(330)은 지주(320)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본래 본 발명은 고정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든 사용할 수 있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는 전방면, 양측면, 바닥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면과 배면이 개구되어 있다. 양측면과 바닥면은 1매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가공함으로써 구성되고, 전방면에는 전방 패널(201)이 부착되어 있다. 전방 패널(201)에는 통풍 구멍(202)과, 표시 램프용 관통 구멍(203 및 204)이 마련되고, 한 쌍의 핸들(205)이 좌우에 부착되어 있다.
통풍 구멍(202)은,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 통풍 구멍(202)은 후술하는 냉각 팬 유닛(260C)이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 팬 유닛(260C)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고, 각 냉각 팬 유닛(260C)에는 상하로 배열한 한 쌍의 팬(263C)의 세트를 2개 갖기 위해 합계 4군데의 통풍 구멍(202)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203)은 냉각 팬 유닛(260C)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후술하는 표시 램프(267C)를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표시 램프(267C)는 각 냉각 팬 유닛(260C)에 하나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203)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한편, 관통 구멍(204)은 후술하는 LED 유닛(270C)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4개의 램프(271C)를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LED 유닛(270C)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204)도 그것에 대응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1군데씩 마련되어 있다.
핸들(205)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랙(300)에 대해 이동하는 힘을 가하는 부위이다. 또한, 랙(330)과 협동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랙(330)으로부터 L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기구(206)가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사용자는 핸들(205)을 파지하여 도24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24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인출할 수 있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가 랙 마운트 장치(30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길이 방향 또는 안길이 방향(L)에 복수열(본 실시예에서는 4열)의 HDD 유닛(100)을 탑재할 수 있게 된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는 폭 방향(W)에 16개의 HDD 유닛(100)(이하, 참조 번호 100은 참조 번호 100A도 총괄함)을 탑재 가능하고, 높이 3U를 갖는다. 2.5 인치 HDD 유닛(100)은 각각 73 GB의 용량을 갖기 때문에, 랙 마운트 장치(300)의 1U당의 용량[즉, 각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 전체의 용량]은 4 × 16 × 73/3 = 1557 GB가 된다. 도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마운트 장치(300)는 12단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탑재할 수 있으므로, 랙 마운트 장치(300) 전체의 용량은 4 × 16 × 73 × 12 = 56064 GB가 된다. 이 결과, 랙 마운트 장치(300)는 1U당의 용량도, 전체의 용량도 종래의 랙 마운트 장치(50)와 동등 이상이 된다.
또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가 랙 마운트 장치(300)로부터 인출 가능하 게 구성된 것은 HDD 유닛(10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의 용량의 증가에는 반드시 본질적인 요건은 아니다. HDD 유닛(10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에 탑재된 후에는 빈번하게 착탈이나 교환되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 최초로 HDD 유닛(10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에 탑재한 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랙 마운트 장치(300)에 나사 고정하였다고 해도[그 후에 HDD 유닛(100)을 이젝트하는 경우에는 나사 고정을 해제해야만 하지만] 용량의 증대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25 내지 도32를 참조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보다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25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는 후방 패널 조립품(220C)과, 전원 유닛(240C)과, 인터페이스(I/F) 유닛과, 냉각 팬 유닛(260C)과, LED 유닛(270C)을 갖는다.
후방 패널 조립품(220C)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하나씩 설치되어 복수의 HDD 유닛(100)을 수납 및 접속하는 동시에 전원 유닛(240C) 및 I/F 유닛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후방 패널 조립품(220C)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바닥판에 나사 고정된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패널 조립품(220C)에는 나사 고정용 구멍(211C)이 양측면에 4군데, 중앙에 1군데 마련되어 있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패널 조립품(220C)은 중계 기판(221C)과, HDD 탑재 프레임(223C)과, 후방 패널(225C)을 갖는다. 여기서, 도26은 후방 패널 조립품(220C)의 분해 사시도이다.
중계 기판(221C)은 전원 유닛(24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후방 패널(225C) 및 그것에 접속된 HDD 유닛(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중계 기판(221C)은 후방 패널(225C)의 커넥터(226C)에 접속되는 커넥터(222C1)와, 전원 유닛(240C)에 접속되는 한 쌍의 커넥터(222C2)를 갖는다. 커넥터(222C1)는, 후방 패널(225C)에 대해 디스크 어레이 장치(220)의 높이 방향(C)을 따라서 탑재된다. 또한, 커넥터(222C2)는 전원 유닛(240C)과 높이 방향(H)에 수직인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접속한다. 또한, 커넥터(222C2)는, 도2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도31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다. 도31의 중앙의 도면은 랙(330)으로부터 인출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상면도이고, 도31의 상부의 도면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배면도이고, 도31의 하부의 도면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정면도이고, 도31의 우측 횡면도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측면도이다. 중계 기판(221C)은 HDD 탑재 프레임(223C)의 최후미에 배치된다.
후방 패널(225C)과 중계 기판(221C)과의 접속의 방향(즉, H방향)과 중계 기판(221C)과 전원 유닛(240C)의 접속의 방향(즉, L방향)을 직교시킴으로써,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길이 방향(L)을 따라서 후방 패널(225C)에 인접하여 전원 유닛(240C)을 배치할 수 있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20C)의 폭(W)은 EIA 규격으로 결정되어 있으므로 규격에 의한 제약이 없는 길이 방향(L)에 후방 패널과 전원 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중계 기판(221C)에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센서가 탑재되고, 온도 센서가 검출한 온도 정보는 중계 기판(221C)으로부터 후방 패널(225C)을 거쳐서 냉각 팬 유닛(260C)으로 통지된다.
HDD 탑재 프레임(223C)은 각 HDD 유닛(100)을 수납하는 동시에 HDD 유닛(100)의 착탈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판(224C)을 갖는다. 각 가이드판(224C)은 인접하는 가이드판(224C)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HDD 유닛(100)의 외형에 적합한 홈 또는 레일이 형성되도록 요철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이 결과, HDD 유닛(100)의 착탈 동작이 용이해져 HDD 탑재 프레임(223C)에 탑재된 HDD 유닛(100)이 진동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HDD 탑재 프레임(223C)은 각 HDD 유닛(100)이 착탈 및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면 충분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홈 또는 레일을 형성해도 좋고, 인접하는 가이드판(224C)을 L방향으로 접속하는 다른 파티션을 설치하여 각 HDD 유닛(100)이 착탈 및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구획해도 좋다. 또한, HDD 탑재 프레임(223)은 후방 패널(225C)에 복수의 나사(212C)에 의해 고정된다.
후방 패널(225C)은 제어용 전자 부품을 탑재하고 있지 않고, 중계 기판(221C)과 I/F 유닛(252A)에 대한 중계 부재로서 기능한다. 후방 패널(225C)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높이 방향(H)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HDD 유닛(100)이 높이 방향(H)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에 탑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후방 패널(225C)을 높이 방향(H)에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복수열의 HDD 유닛(100)의 탑재가 용이해진다.
HDD 유닛은 후방 패널에 수직으로 착탈되므로, HDD 유닛(20)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 또는 안길이 방향으로 착탈하는 도12의 (a)에 도시하는 종래 구조에서는 길이 방향에 복수열 HDD 유닛(20)을 탑재하고자 해도 최전방열의 HDD 유닛(20)의 직후에 배치되는 후방 패널이 장해가 되어 그 이후에 HDD 유닛(20)을 배치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복수의 후방 패널이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 후방 패널(225C)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높이 방향(H)에 수직으로 배치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상면을 개구로 하면, 이러한 개구를 거쳐서 하나의 후방 패널(225C)에 행렬 형상으로 HDD 유닛(100)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후방 패널의 점수의 삭감과 용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후방 패널(225)은 각종 전기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패널(225C)은 HDD 유닛(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32개의 커넥터(210C)와, 중계 기판(221C)의 커넥터(22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226C)와, 후술하는 I/F 유닛(251C)과 접속되는 6개의 커넥터(227C), 냉각 팬 유닛(26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228C)와, LED 유닛(270C)의 커넥터(272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229C)를 갖는다. 또한, 후방 패널(225C)에는 양 측부에 8개의 나사 구멍(211C)과 중앙 전방부에 하나의 나사 구멍(211C)을 거쳐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바닥판에 고정되고, 중앙의 10개의 나사 구멍(213C)을 거쳐서 나사(212C)에 의해 HDD 탑재 프레임(223C)에 고정된다.
커넥터(210C)는 HDD 유닛(100)의 수에 대응하여 설치되고(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8행 4열), 가이드판(224C)이 형성하는 각 홈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커넥터(227C)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D 탑재 프레임(223C)의 양측의 외측에 3 개씩 배치된다. 후방 패널(225C)은 전방부에 3갈래 구조를 갖고, 커넥터(228C)는 중앙의 볼록부에 형성되고, 커넥터(229C)는 도26의 3갈래의 좌측 볼록부에 형성된다.
전원 유닛(240C)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전원 유닛(240C)은 랙 마운트 장치(300)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 수단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중계 기판(221C)을 거쳐서 후방 패널(225C)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유닛(240C)은, 도25 및 도31의 중앙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 기판(221C)의 커넥터(222C2)와 접속되는 커넥터(241C)를 갖는다. 전원 유닛(240C)은,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랙(33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에 삽입되어 중계 기판(221C)에 접속된다. 여기서, 도27은 전원 유닛(240C)과 I/F 유닛(256C)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로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I/F 유닛은 HDD 유닛(100)이 격납해야 할 데이터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고, I/F 유닛(251C)과 I/F 유닛(256C)으로 구성되어 있다. I/F 유닛은 후방 패널(225C)에 접속할 필요가 있지만, I/F 유닛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에 걸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I/F 유닛(251C)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상부로부터 후방 패널(225C)에 부착하고, I/F 유닛(256C)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후방부로부터 I/F 유닛(251C)에 부착할 수 있다.
I/F 유닛(251C)은,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52C)과, 하우징(252)에 고정되어 후방 패널(225C)의 3개의 커넥터(227C)에 접속되는 3개의 커넥터(253C)와, 하우징(252C)에 고정되어 I/F 유닛(256C)에 접속되는 커넥터(254C)를 갖는다. 여기서, 도28은 I/F 유닛(251C)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하우징(252C)에는 필요에 따라서 통풍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좋다. I/F 유닛(251C)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상부로부터 높이 방향(H)을 따라서 후방 패널(225C)에 고정된다. 또한, I/F 유닛(251C)은, 도25 및 도31의 중앙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한 쌍씩 설치된다.
한편, I/F 유닛(256)은,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57C)과, 하우징(257C)에 고정되어 I/F 유닛(251C)에 접속되는 커넥터(258C)와, 하우징(257C)에 고정되어 외부 호스트에 접속되는 커넥터(259C)를 갖는다. 여기서, 도29는 I/F 유닛(256C)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하우징(257C)에는 필요에 따라서 통풍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좋다. I/F 유닛(256C)은,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랙(33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에 삽입되어 I/F 유닛(251C)에 접속된다. 또한, 도31의 상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I/F 유닛(256)은 I/F 유닛(251C)에 대응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좌우에 한 쌍씩 설치된다. 또한, 도25에 있어서는 I/F 유닛(256C)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냉각 팬 유닛(260C)은 통풍 구멍(292)과 연통하여 HDD 유닛(100)으로 송풍하여 냉각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냉각」이라는 방열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에 의해, HDD 유닛(100)의 탑재 밀도를 높인 경우에 HDD 유닛(100)의 발열량이 증대되어 HDD 유닛(100)이 열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 각 팬 유닛(260C)은, 도30의 (a) 내지 도3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커버(261C)와, 후방 커버(262C)와, 4개의 팬(263C)과, 기판(264C)과, 4개의 나사(268C)를 갖는다. 여기서, 도30의 (a)는 도25에 도시하는 냉각 팬 유닛(260C)을 확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0의 (b)는 도30의 (a)에 도시하는 냉각 팬 유닛(260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0의 (c)는 냉각 팬 유닛(260C)의 평면도와 3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전방 커버(261C)와 후방 커버(262C)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커버(261C)는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원 형상의 관통 구멍(261C1)과, 중앙에 마련된 관통 구멍(261C2)과, 상부 오목부(261C3)와, 하부 오목부(261C4)를 갖는다. 각 관통 구멍(261C1)은 전방 패널(201)의 통풍 구멍(202)에 연통하여 도31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하나의 팬(263C)을 노출시킨다. 관통 구멍(261C2)은 전방 패널(201)의 관통 구멍(203)에 연통하여 후술하는 LED(267C)를 노출시킨다. 상부 오목부(261C3)와 하부 오목부(261C4)는 상하 한 쌍의 팬(263C)을 수납하는 공간을 규정하여 팬(263C)이 좌우 방향[폭 방향(W)]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부 오목부(261C4)는 후술하는 커넥터(265)를 노출시켜 커넥터(265C)가 후방 패널 조립품(220C)의 커넥터(228C)에 접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부 오목부(261C3)는 폐쇄되어 있지만, 하부 오목부(261C4)는 개구되어 있다.
후방 커버(262C)는 2행 2열로 배치된 4개의 원 형상의 관통 구멍(262C1)과, 식별 막대(262C2)와, 상부 오목부(262C3)와, 하부 오목부(262C4)와, 4개의 나사 구멍(262C5)을 갖는다. 각 관통 구멍(262C1)은, 관통 구멍(261C1)과 동일 형상을 갖고, 대응하는 하나의 팬(263C)을 노출시키고, 팬(263C)으로부터의 바람이 HDD 유닛(100)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식별 막대(261C2)는 상부 오목부(262C3)에 가설되어 사용자가 냉각 팬 유닛(260C)의 탑재 자세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부 오목부(262C3)는 상부 오목부(261C3)와 동일 형상을 갖고, 하부 오목부(262C4)는 하부 오목부(261C4)와 동일 형상을 갖는다. 상부 오목부(262C3)와 하부 오목부(262C4)는 상부 오목부(261C3)와 하부 오목부(261C4)와 협동하여 상하 한 쌍의 팬(263C)을 수납하는 공간을 규정하여 팬(263)이 좌우 방향[폭 방향(W)]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부 오목부(262C4)는 후술하는 커넥터(265)를 노출시켜 커넥터(265C)가 후방 패널 조립품(220C)의 커넥터(228C)에 접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도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오목부(262C3)는 폐쇄되어 있지만, 하부 오목부(262C4)는 개구되어 있다. 나사 구멍(262C5)에는 4개의 나사(268C)가 삽입되어 후술하는 팬(263C)을 후방 커버(262C)에 고정한다.
4개의 팬(263C)은, 도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패널(201)의 통풍 구멍(202)으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내부의 HDD 유닛(100)을 향해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송풍을 행한다. 상하 한 쌍의 팬(263C)은 서로 고정되어 있다.
기판(264C)은 팬(263C)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판(264C)에는 커넥터(265C)와, 복수의 케이블(266C)과, LED(267C)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265C)는 하부 오목부(261C4 및 262C4)로부터 노출되어 후방 패널(225C)의 커넥터(228C)에 접속된다. 케이블(266C)은 팬(263)에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LED(267C)는 팬(263)의 동작 상태를 식별하는 빛을 발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빛을 전방 패널(201)의 관통 구멍(203)을 거쳐서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 팬 유닛(260C)은 2속도 팬으로서 구성되어, 통상은 저속도로 팬(263C)이 회전하고 있지만, HDD 유닛(100)의 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고속도로 회전한다. 온도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기판(221C)에 부착되어 있지만, 온도 센서의 장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 정보를 커넥터(228C 및 265C)를 거쳐서 기판(264C)(에 탑재된 제어부)이 취득하여 이러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팬(263C)의 속도를 제어한다.
LED 유닛(270C)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식별하는 빛을 발한다. LED 유닛(270C)은,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램프(271C)와, 커넥터(272C)를 갖는다. 각 램프(271C)는 전방 패널(201)의 각 관통 구멍(204)에 연통하고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램프(271C)의 내용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HDD 유닛(100)의 동작에 이상이 생기면 제1 적색 램프가 점등된다. 모든 HDD 유닛(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면 제1 청색 램프가 점등된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 전체의 동작에 이상이 생기면 제2 적색 램프가 점등된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 전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면 제2 청색 램프가 점등된다. 커넥터(272C)는 후방 패널(225C)의 커넥터(229C)에 접속된다. 필요가 있으면, LED 유닛(270C)은 랙 마운트 장치(300)에 탑재된 복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에 있어서의 식별 번호를 표시해도 좋다.
도32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전기적 접속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전력은 전원 유닛(240C) 및 중계 기판(221C)을 거쳐서 후방 패널(225C)로부터 I/F 유닛(251C 및 256C), HDD 유닛(100), 냉각 팬 유닛(260C) 및 LED 유닛(270C)에 공급된다. HDD 유닛(100)에 격납되어야 할 데이터의 송수신은 외부 호스트와 HDD 유닛(100) 사이에서 I/F 유닛 및 후방 패널(225C)을 거쳐서 행해진다. HDD 유닛(100) 및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의 동작 제어는 외부 호스트에 의해 I/F 유닛 및 후방 패널(225C)을 거쳐서 행해진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동작에 있어서, 도23 (a) 및 도24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23의 (b) 및 도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를 인출하여 HDD 유닛(100)을 후방 패널 조립품(220C)에 부착한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의 양측에 부착된 슬라이드 기구(206)에 의해, 디스크 어레이 장치(200C)는 랙 마운트 장치(300)로부터 원활한 인출이 가능해진다. 전원 유닛(240C)과 중계 기판(221C)과 후방 패널(225C)을 거쳐서 전력이 HDD 유닛(100)에 공급된다. 또한, 데이터 신호는 후방 패널(225C)과 I/F 유닛을 거쳐서 HDD 유닛(100)과 외부 호스트 사이에서 행해진다. 랙 마운트 장치(300)는, 도2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와 동등 이상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을 HDD 유닛, 전자 기기를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유닛 HDD 이외의 디스크 장치나 네트워크 유닛을 적용할 수 있고, 전자 기기는 랙 마운트가 가능한 수납 장치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하의 사항을 더 개시한다.
(1)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2)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로크 위치와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착탈 기구.
(3)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계지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착탈 기구.
(4) 상기 레버는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 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제1 피고정부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 이동 불가능하게 공통 체결되는 제2 피고정부와, 상기 제1과 제2 피고정부를 접속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변위한 상기 제1 피고정부를 상기 로크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부와,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레버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압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착탈 기구.
(5)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6)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 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7) 상기 레버는 단면 L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8) 상기 계지 부재는 단면 L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9) 상기 케이스는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 면을 갖고,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제1 면에 평행한 제3 면과 상기 제2 면에 평행한 제4 면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3 면은 상기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계지 부재를 상기 제3 면을 거쳐서 상기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부를 더 갖고,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4 면을 상기 제2 면에 공통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착탈 기구.
(10)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계지 부재를 상기 로크 위치로 압박하는 제1 압박부와, 상기 레버를 전개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부를 갖고, 상기 제1 압박부에 의한 압박력은 상기 제2 압박부에 의한 압박력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11)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에 수 직인 면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착탈 기구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 및 상기 관통 구멍 내에 퇴피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에 힘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압박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12) 상기 계지 부재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은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착탈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13)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에 힘이 가해지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14) 상기 레버는 절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전자 기기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상기 유닛을 고정하는 갈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15) 상기 레버는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전자 기기와 결합하여 상기 유닛과 상기 전자 기기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는 접속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16)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가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접촉하여 상기 레버의 또 다른 전개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5)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
(17)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유닛.
(18)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탈 기구를 각각 갖는 복수의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에 기재된 전자 기기.
(20) 상기 유닛은 2.5 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이고,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는 1U를 44.45 ㎜로 한 경우에 약 3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에 기재된 전자 기기.
(21) 상기 전자 기기는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후방 패널을 갖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이고, 상기 후방 패널은 각 유닛에 공급되는 전력과 격납되어야 할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에 기재된 전자 기기.
(22) 상기 후방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유닛의 상기 후방 패널로의 접속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상기 후방 패널에 접속된 각 유닛을 수납하는 탑재 프레임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에 기재된 전자 기기.
(23)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유닛과,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 유닛과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속하는 중계 기판과, 상기 후방 패널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21)에 기재된 전자 기기.
(24) 상기 후방 패널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더 갖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후방 패널에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유닛에 대해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에 기재된 전자 기기.
(25)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어 상기 후방 패널을 거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복수의 유닛을 송풍에 의해 냉각하는 냉각 팬 유닛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에 기재된 전자 기기.
(26) 상기 후방 패널에 대해 상기 높이 방향에 탑재되어 상기 후방 패널을 거쳐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유닛 및/또는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에 기재된 전자 기기.
(27)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후방 패널을 갖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복수단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에 탑재 가능한 랙 마운트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에 기재된 전자 기기.
(28) 상기 디스크 어레이 장치는 상기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7)에 기재된 전자 기기.
(29)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의 하우징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유닛의 상기 하우징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30)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레버가 공통 체결되는 상기 케이스의 면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계지 부재를 갖고,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제1 피고정부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 이동 불가능하게 공통 체결되는 제2 피고정부와, 상기 제1과 제2 피고정부를 접속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변위한 상기 제1 피고정부를 상기 로크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제2 피고정 부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부와,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레버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압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 대해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소형의 착탈 기구와, 상기 착탈 기구를 갖는 유닛과, 상기 유닛이 착탈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2.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3.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된 계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단면 L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착탈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착탈 기구를 각각 갖는 복수의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2.5 인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유닛이고,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는 1U를 44.45 ㎜로 한 경우에 약 3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후방 패널을 갖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이고, 상기 후방 패널은 각 유닛에 공급되는 전력과 격납되어야 할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행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 후방 패널을 갖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복수단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에 탑재 가능한 랙 마운트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전자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착탈 기구이며,
    상기 유닛 본체와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의 주위에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개 및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유닛을 상기 전가 기기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레버와,
    상기 레버가 공통 체결되는 상기 케이스의 면에 설치된 계지 부재를 갖고,
    상기 계지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절첩된 상기 레버와 결합하여 상기 레버를 절첩 위치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레버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의 상기 케이스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공통 체결되는 제1 피고정부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이동 불가능하게 공통 체결되는 제2 피고정부와,
    상기 제1과 제2 피고정부를 접속하여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변위한 상기 제1 피고정부를 상기 로크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피고정부가 상기 로크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레버와의 결합을 해제하 는 결합부와,
    상기 레버와 결합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레버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압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기구.
  15. 제14항의 착탈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
KR1020050070454A 2004-08-04 2005-08-02 착탈 기구, 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0698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7856 2004-08-04
JPJP-P-2004-00227856 2004-08-04
JP2005074976 2005-03-16
JPJP-P-2005-00074976 2005-03-16
JPJP-P-2005-00182996 2005-06-23
JP2005182996A JP4311569B2 (ja) 2004-08-04 2005-06-23 着脱機構、ユニット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015A KR20060049015A (ko) 2006-05-18
KR100698442B1 true KR100698442B1 (ko) 2007-03-23

Family

ID=3575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454A KR100698442B1 (ko) 2004-08-04 2005-08-02 착탈 기구, 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58058B2 (ko)
JP (1) JP4311569B2 (ko)
KR (1) KR100698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6582B2 (ja) * 2005-06-24 2009-10-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ラックマウント装置、及び、電子機器のラックマウント装置への搭載方法
US7379294B2 (en) * 2006-10-03 2008-05-27 Chen Gracie L Quick plug/eject concept SATA hard disk drive rack
JP4369466B2 (ja) 2006-12-08 2009-11-1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集合ユニット
JP4462310B2 (ja) * 2007-09-10 2010-05-1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GB2471593B (en) * 2008-04-29 2012-03-2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Ejection mechanisms for computer equipment
JP4693891B2 (ja) * 2008-11-12 2011-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憶制御装置
JP4881938B2 (ja) 2008-11-12 2012-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憶制御装置
JP2010123197A (ja) * 2008-11-20 2010-06-03 Fujitsu Ltd 媒体ドライブ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US7796377B2 (en) * 2008-12-08 2010-09-14 Oracle America, Inc. Computer component ejector mechanism
GB2467621A (en) 2008-12-23 2010-08-11 Nexsan Technologies Ltd A rack mountable housing for electronics, the housing having grooves in external extruded metal walls for rack rails
GB0823407D0 (en) 2008-12-23 2009-01-28 Nexan Technologies Ltd Apparatus for storing data
US20120086467A1 (en) * 2009-06-05 2012-04-12 Xyratex Technology Limited Apparatus for supporting a disk drive and disk drive test apparatus
CN102054515A (zh) * 2009-10-30 2011-05-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硬盘组合及其电脑装置
CN102129273A (zh) * 2010-01-16 2011-07-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系统
US8400765B2 (en) * 2010-09-20 2013-03-19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with air flow under data storage devices
CN102723096A (zh) * 2011-03-31 2012-10-10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盖体
JP5433653B2 (ja) * 2011-08-31 2014-03-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3035133A1 (en) * 2011-09-07 2013-03-14 Hitachi, Ltd. Disk unit and disk array apparatus
JP5734893B2 (ja) * 2012-02-17 2015-06-17 株式会社東芝 コンピュータのドライブユニット固定機構
TWI486952B (zh) * 2014-01-03 2015-06-01 Quanta Comp Inc 伺服器裝置
JP5852175B2 (ja) 2014-05-16 2016-02-0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機器固定装置、取り付け枠内収納機器、ラックマウントサーバ装置、および、機器固定方法
US9658658B2 (en) * 2015-10-21 2017-05-23 Adlink Technology Inc. Data storage device mounting structure
US10130000B2 (en) * 2016-10-11 2018-11-13 Abb Schweiz Ag Power connector for electronic equipment supported by a rack assembly
CN107092318B (zh) * 2017-04-25 2020-01-21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免工具的硬盘拆装装置
CN109116931B (zh) * 2017-06-26 2021-06-1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数据存取器拆装结构
US11163447B2 (en) * 2017-09-03 2021-11-02 Ashish Govind Khurange Dedupe file system for bulk data migration to cloud platform
US11259435B2 (en) * 2017-11-09 2022-02-22 Super Micro Computer, Inc. Single-enclosure multi-drive data storage system
CN111625056B (zh) 2020-05-22 2021-08-17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硬盘固定装置及主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4967A (ja) * 2002-07-16 2004-02-19 Fujitsu Ltd 電子機器ユニット着脱機構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338A (ja) 1992-09-07 1994-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イ型記録装置
JPH08137631A (ja) 1994-11-15 1996-05-31 Hitachi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
JP3126283B2 (ja) 1994-11-30 2001-01-22 株式会社栃木屋 平面ハンドル
KR970022658A (ko) * 1995-10-30 1997-05-30 김광호 주변 기기의 분리 장착이 용이한 컴퓨터
JPH10228750A (ja) 1997-02-13 1998-08-25 Nec Corp 電子装置のための着脱機構
JPH11327805A (ja) 1998-05-18 1999-11-30 Hitachi Ltd 記憶装置
JP2000122815A (ja) 1998-10-13 2000-04-28 Nec Eng Ltd 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0149522A (ja) 1998-11-09 2000-05-30 Sony Corp サーバー及び該サーバーに搭載されるhdd装置
US6587350B1 (en) * 2002-05-16 2003-07-01 Inventec Corporation Ejection mechanism for modular electronic element
US7019965B2 (en) * 2002-09-30 2006-03-28 Sun Microsystems, Inc. Ejector mechanism and a carrier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4967A (ja) * 2002-07-16 2004-02-19 Fujitsu Ltd 電子機器ユニット着脱機構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58058B2 (en) 2009-07-07
KR20060049015A (ko) 2006-05-18
US20060028805A1 (en) 2006-02-09
JP2006294201A (ja) 2006-10-26
JP4311569B2 (ja)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442B1 (ko) 착탈 기구, 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CN1747054B (zh) 单元及具有该单元的电子装置
US5309323A (en) Removable electrical unit with combined grip and release mechanism exposed by partial withdrawal
US5707162A (en) Modula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940001693B1 (ko) 소형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장치
KR100591632B1 (ko) 착탈 장치, 유닛 및 그것을 갖는 전자 기기
US5592362A (en) Electronic system having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nal expansion unit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US5269698A (en) Retaining and release mechanism for computer storage devices including a pawl latch assembly
KR101283758B1 (ko) 스토리지 탑재 장치
US6404641B1 (en) Tool-less quick release latching mechanism for use with a carrier and a compartment of an enclosure
KR100230565B1 (ko) 높이를 낮게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갖는디스크장치
WO2004052066A1 (ja) 電子装置に搭載されるユニット及び当該電子装置の伝送線路の接続機構
KR20070116997A (ko) 저장 컴포넌트를 밀봉체 내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장치
WO2004017159A2 (en) Data storage device
WO2001093270A2 (en) Disk drive array system
WO2003098750A1 (en) Wire lever actuator mechanism for optical transceiver
JP2008047746A (ja) 電子装置のpiu挿抜機構
US7307835B1 (en) Computer module connection
US20040085722A1 (en) Systems for storing data
US7180753B2 (en) Server packaging architecture utilizing a blind docking processor-to-midplane mechanism
WO2007037946A2 (en) Cageless, pluggable optoelectronic device
US8830682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817398B (zh) 服务器的硬盘模块
US6498729B2 (en) Expansion module
EP0536393B1 (en) Removable electrica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