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565B1 - 높이를 낮게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갖는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높이를 낮게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갖는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565B1
KR100230565B1 KR1019960010709A KR19960010709A KR100230565B1 KR 100230565 B1 KR100230565 B1 KR 100230565B1 KR 1019960010709 A KR1019960010709 A KR 1019960010709A KR 19960010709 A KR19960010709 A KR 19960010709A KR 100230565 B1 KR100230565 B1 KR 100230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ssis
tray
printed circuit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077A (ko
Inventor
다까시 와다나베
노부히꼬 후지무라
요 가메이
Original Assignee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062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3056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0719073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948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193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07995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97000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Abstract

디스크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진 섀시를 포함한다. 기록 디스크를 지지하는 이동 유니트는 서부섀시 및 서부섀시위의 전기부를 가지고, 상기 이동 유니트는 삽입위치와 디스크 변화위치사이에서 삽입방향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할 수있다. 제1커넥터는 이동 유니트의 서브섀시위에 배열되고 이동 유니트의 전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은 이동 유니트의 전기부가 섀시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커넥터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 유니트의 서브섀시 아래에 배열된 제1커넥터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높이를 낮게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갖는 디스크 장치
제1도는 종래의 DC-ROM 디스크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CD-ROM 디스크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응용한 CD-ROM 디스크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이동유니트가 삽입된 위치에 놓인 CD-ROM 디스크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이동유니트가 디스크 교환 위치로 이동된 CD-ROM 디스크장치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CD-ROM 디스크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선 VII-VII에 따른 CD-ROM 디스크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제3도의 CD-ROM 디스크장치의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이동유니트의 디스크 교환 위치로 이동된 CD-ROM 디스크장치의 가요성 인쇄 회로 케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제10a 및 10b도는 이동유니트가 삽입된 위치와 디스크 교환 위치사이에서 이동되는 경우 가요성 인쇄호로 케이블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응용한 CD-ROM 디스크장치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CD-ROM 디스크장치의 밑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CD-ROM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14도는 구동유니트가 장착된 서브섀시(Sub-Chassis)의 밑면 사시도.
제15도는 서브섀시상의 구동유니트의 밑면 사시도.
제16도는 제11도의 CD-ROM 디스크장치의 픽업(pickup)이동 부재의 사시도.
제17도는 베이스상에 장착된 픽업 이동부재 및 픽업 유니트의 사시도.
제18a 및 18b도는 CD-ROM 디스크장치의 장착 홀더(holder)를 나타내는 도면.
제19도는 CD-ROM 디스크장치의 트레이 슬라이딩 유니트(tray sliding unit)와 트레이 푸싱 유니트(tray pushing unit)의 사시도.
제20a, 20b 및 20c도는 트레이 푸싱 유니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도면.
제21도는 CD-ROM 디스크장치의 서브샤시 및 트레이 록킹유니트(tray locking unit)의 분해 사시도.
제22도는 서브섀시 및 트레이 록킹유니트의 평면도.
제23도는 트레이 록킹유니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4도는 CD-ROM 디스크장치의 커버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26a 및 26b도는 커버 플레이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커버 플레이트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트레이 2a : 디스크 지지면
140 : CD-ROM 디스크 장치 141 : 섀시
160 : FPC 케이블 161 : 제1아암부
본 발명은 디스크장치, 특히 소형 퍼스널 컴퓨터의 케이싱에 내장되는 CD-ROM 디스크장치에 관한것이며, 여기서 CD-ROM을 갖는 이동 유니트는 삽입방향과 배출 방향 양쪽에서 삽입된 위치와 디스크 교환 위치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CD-ROM 디스크장치(100)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CD-ROM 디스크장치는 예컨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일본 특허 출원 제6-45582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CD-ROM 디스크장치(100)는 내장형으로 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의 케이싱에 설치된다. CD-ROM(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는 다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광 디스크의 형태를 갖는다. CD-ROM은 CD-ROM 디스크장치의 광 픽업에 의해 액세스되어 CD-ROM상의 정보를 재생한다.
제1도에서, 종래의 CD-ROM 디스크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섀시(111)와 이동유니트(112)를 갖는다. 광 디스크(도시않됨)는 이동유니트(112)상에 유지된다. 이동유니트(112)를 가이드 레일을 통해 섀시(111)상에 이동적으로 지지되어 삽입된 위치와 디스크 교환 위치사이에서(제1도에 화살표 (A, B)로 표시된)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유니트(112)의 방출방향(A) 및 삽입방향(B)으로의 이동은 퍼스널 컴퓨터의 조작자에 의한 수동동작에 의해 실행된다.
이동유니트(112)는 삽입방향(B)에서 섀시(111)에 삽입되고, 디스크장치(100)의 동작을 위해 삽입된 위치에 놓인다. 이동유니트(112)상의 광디스크가 제거되거나 교환될 경우, 이동유니트(112)는 섀시(111)로부터 당겨져 방출방(A)에서 디스크교환 위치로 이동된다(제1도).
섀시(111)는 그것의 후면 베이스위치에 제공되는 주 인쇄회로기판을 갖는다. 이동유니트(112)는 디스크 모터와 같은 전기부, 광픽업 및 기타 기계적 엘레멘트를 갖는다. 제2도에 도시된 기타 기계적 엘레멘트를 갖는다. 제2도에 도시된 가요성 인쇄 회로 케이블(120)은 섀시(111)의 우측에 배열되어 이동유니트(112)의 전기부를 섀시(111)의 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후,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120)을 FPC 케이블(120)이라 한다. FPC 케이블(120)은 이동유니트(112)의 전기부와 섀시(111)의 주 인쇄회로기판간의 전기적 접속에 필요한 다수의 와이어(예컨대, 43와이어)를 포함한다. 이동유니트(112)는 섀시(111)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FPC 케이블(120)은 이동유니트(112)가 방출방향(A)또는 삽입방향(B)에서 섀시(111)에 대해 이동될 경우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굴곡부(120h)를 갖는다. 종래의 디스크 장치(100)에서, FPC 케이블(120)은 다층구조를 가지며, 이 FPC 케이블의 각층은 필요한 전기접속을 위해 제한된 수의 와이어를 갖는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FPC 케이블(120)의 3단부(120h, 120c, 120f)는 이동유니트(112)의 전기부에 접속되고, 반대편 단부에 있는 3단부(120a, 120b, 120c)는 섀시(111)의 주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다.
따라서, 다층구조를 갖는 FPC 케이블(120)은 비싸기 때문에 종래의 CD-ROM 디스크장치에 제고 비용을 높게한다는 문제점을 낳는다.
한편, 소형퍼스널 컴퓨터의 케이싱기 쉽게 내장될 수 있는 작은 크기 및 작은 높이를 갖는 CD-ROM 디스크장치가 필요로 된다. 따라서, CD-ROM 디스크장치가 필요로된다. 따라서 CD-ROM 디스크장치의 높이를 낮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제2도에서, FPC 케이블(120)은 단부(120d, 120e, 120f)에 인접한 수직 중첩부(120g)와 단부(120a, 120b, 120c)에 인접한 수평 연장부(120i)를 포함한다. 섀시(11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섀시(111)의 우측에 낮은 공동부를 갖는다. 디스크장치(100)는 제한된 크기를 가져야하기 때문에, FPC 케이블(120)의 수평연장부(120i)는 섀시(111)의 낮은 공동부상의 우측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디스크장치(100)는 제한된 높이를 가져야하기 때문에, FPC 케이블(120)의 수직 중첩부(120g)를 디스크장치(100)의 제한된 높이보다 더 작게 만들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CD-ROM 디스크장치(100)의 케이스에서 FPC 케이블(120)의 다층구조를 피할 수는 없다.
더구나, 종래의 CD-ROM 디스크장치(100)는 섀시(111)의 제한된 공간내에 수직 중첩부(120g)와 수평연장부(120i)를 갖는 FPC 케이블(120)을 배열할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CD-ROM 디스크장치(100)의 경우에는 작은 크기 작은 높이를 갖는 CD-ROM 디스크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이 제거된 개선된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장치의 높이를 낮게하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값이 싸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갖는 섀시와; 기록 디스크를 유지하는 이동 유니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이동유니트는 상기 섀시상에 이동적으로 지지되어 삽입 방향과 방출방향에서 삽입된 위치와 디스크 변환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이동유니트의 서부 섀시상에 배열되어 이동유니트의 전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이동유니트의 전기부가 상기 섀시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커넥터에 고정되며, 접속 이동 유니트의 서부 섀시 아래에 배열되는 제1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디스크장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이 이동유니트의 전기부를 섀시의 인쇄 회로기판에 접속하도록 편평한 단일층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는 편평한 단일층 구조를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이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다층 구조 케이블보다 그 비용이 싸기 때문에 그 제조비용을 낮게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상세한 설명이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술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인가된 CD-ROM 디스크장치를 나타낸다. 디스크 장치(140)는 일반적으로 섀시(141) 및 이동 유니트(142)를 가진다.
제4도는 이동 유니트(142)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CD-ROM 디스크장치를 나타낸다. 제5도는 이동 유니트(142)가 배출 방향에서 디스크 변환 위치로 수동으로 움직일 때 CD-ROM 디스크장치(140)를 나타낸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CD-ROM 디스크장치의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4도의 라인 VII-VII을 따라서 절단된 CD-ROM 디스크장치의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7도에서, 이동 유니트(142)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개체가 지지되는 CD-ROM(도시되지 않았음) 위의 트레이를 수행하는 기계적인 파트이다. 전기적인 파트는 이동 유니트(142)에 제공되고, 이동 유니트(142)위의 전기적인 파트는 광 픽업(144), 디스크 모터(145), 및 픽업 이동 부재(146)를 포함한다. CD-ROM(도시되지 않았음)은 디스크 장치(140)가 작동될 때 턴 테이블(143)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디스트 모터(145)에 의해 회전된다. 이 전기적인 파트는 이동 유니트(142)위의 CD-ROM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섀시(141)는 섀시(141)의 배후 베이스 부분에 제공되는 제1인쇄된 회로 기판(150)를 갖고 있고, 제1인쇄 회로 기판(150)은 고정 나사에 의해 섀시(141)에 고정된다. 이동 유니트(142)는 이동 유니트(142)의 바닥 표면에 제공된 제2인쇄 회로 기판(147)을 갖는다. 이동 유니트(142)의 전기적인 파트는 전기적으로 제2인쇄 회로 기판(147)에 연결된다.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유니트(142)는 섀시(141)의 측면에 가이드 레일(148) 및 (149)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동 유니트(142)는 이동 유니트(142)가 배출 방향"A"와 삽입 방향"B"에서 디스크 변화 위치"P1" 및 삽입된 위치"P2" 사이의 섀시(141)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41)는 섀시 바닥위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 및 섀시의 왼 쪽 측면에서 측면 벽(151a), 및 섀시의 오른쪽 측면에서 계단식 측면 벽(151c)을 포함한다. 계단식 측면 벽(151c)은 베이스 플레이트(151a)로부터 수직적으로 확장되는 제1벽 부분(151c-1), 제1벽 부분(151-c1)로부터 "F"방향으로 수평적으로 확장되는 측면 플레이트 부분(151c-2) 및 측면 플레이트 부분(151c-2)의 단부로부터 수직적으로 확장되는 제2벽 부분(151c-3)을 포함한다.
섀시(141)는 계단식 측변 벽(151c)으로부터 형성된 낮은 할로우 부분(152)을 포함한다. 섀시(141)의 낮은 할로우 부분(152)은 CD-ROM 디스크장치(140)가 개인용 컴퓨터의 케이싱에 설치될 때 개인용 컴퓨터의 전기적인 파트을 정렬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동 유니트(14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148) 및 가이드 레일(149)은 각각 측면 벽(151b)의 안쪽 및 제1벽 부분(151c-1)에 정렬된다.
상기 기술한 CD-ROM 디스크장치(140)에서, 가요성 인쇄된 회로(FPC) 케이블(160)은 섀시(141)의 제1인쇄 회로 기판(150) 및 이동 유니트(142)의 제2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FPC 케이블(160)은 섀시(141)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에 부착된다.
제8도는 CD-ROM 디스크장치(140)의 가요성 인쇄된 회로(FPC) 케이블(160)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8도에 도시된 것 처럼, FPC 케이블(160)은 단일 층 구조 및 일반적으로 U자형 형태를 가진다.
제8도에서, FPC 케이블(160)은 제1아암 부분(161), 제2아암 부분(162), 회로 부분(163)을 포함한다. 제1아암 부분(161) 및 제2아암 부분(162)은 서로 평행하게 직선으로 확장된다. 회로 부분(163)은 제1아암 부분(161) 및 제2아암 부분(162)을 서로 연결시킨다. 제8도는 제1아암 부분(161)의 각각의 폭과 제2아암 부분(162)은 화살표 "W2"에 의해 표시된다.
FPC 케이블(160)은 평면 구조를 갖고 섀시(141)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에 부착되기 때문에, 제1아암 부분(161) 및 제2아암 부분(162)의 각각의 폭"W2"이 제1인쇄 회로 기판(150) 및 제2회로 기판(147)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요구된 다수의 와이어(164)를 포함하도록 충분히 크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언급한데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적인 CD-ROM 디스크장치(100)의 FPC 케이블(120)은 요구된 와이어 수(예를들면 43와이어)를 포함하기 위하여 제한된 량의 폭"W1" 및 다층 구조를 가져야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FPC 케이블(160)은 FPC 케이블(120)의 폭"W1"보다 거의 3배 큰 폭"W2"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FPC 케이블(160)은 요구된 와이어 수(164)를 포함하는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FPC 케이블(160)은 단순한 단일 층 구조를 가지고 CD-ROM 디스크장치(140)에 대한 적은 높이를 제공한다. 다층 구조를 갖는 FPC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FPC 케이블(120)을 갖는 CD-ROM 디스크장치(140)는 FPC 케이블(120)을 갖는 통상적인 CD-ROM 디스크장치(100)보다 덜 비싸다.
FPC 케이블(160)은 제1아암 부분(161)의 리딩 엣지에서 커넥터 부분(165) 및 제2아암 부분(162)의 리딩 엣지에서 커넥터 부분(166)을 포함한다. 보강 플레이트(167)는 부착재에 의해 커넥터 부분(165)에 부착된다. 보강 플레이트(168)는 부착재에 의해 커넥터 부분(166)에 부착된다. 보강 플레이트(168)는 보강 플레이트(167)보다 크고, 보강 플레이트(168)는 제한 부분(168a)을 포함한다. FPC 케이블(160)은 제1아암 부분(161)의 길이 방향으로 공간을 두고 형성된 위치 홀(161-1, 161-2, 161-3)을 포함한다.
제9도는 이동 유니트(142)가 돌출 방향(A)에서 디스크 변화 위치(P1)로 이동할 때 CD-ROM 디스크 드라이브(140)의 가요성 인쇄 회로 케이블(160)을 나타낸다.
제6도 및 제8도에서, FPC 케이블(160)은 제1아암 부분(161)은 위치 홀(161-1)과 (161-2)사이에 제1반 영역(161) 및 위치 홀(161-2)과 (161-3) 사이에 제2반 영역(161b)을 갖는다. 제1반 영역(161a)은 섀시(141)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에 부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51a)의 홀(151a-1, 151a-2)에서 제공된 위치 핀에 부착된다. 이 배치에 의하여, 섀시(141)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위의 FPC 케이블(160)의 제1반 영역(161a)은 수정 위치에 배치된다.
제2반 영역(161b)이 F방향에 확장되도록 제1반 영역(161a)위에 놓이도록 라인(169)을 따라서 겹쳐진다. 제1반 영역(161a)과 유사하게 제2반 영역(161b)은 섀시(141)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에 부착되고, 위치 홀(161-3)이 베이스 플레이트(151a)에 제공되는 위치 핀에 부착된다. 이 배치에 의하여, 섀시(141)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위에 FPC 케이블(160)의 제2반 영역(161b)의 배치가 결정된다. 제9도에 나타난 것처럼, 제2반 영역(161b)이 섀시(141)의 제1인쇄 회로 기판(150) 아래에 위치된다.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FPC 케이블(160)의 제2아암 부분(162)은 접혀진 부분이 A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뒤로 접혀진다. 섀시(141)의 제1인쇄된 회로 보드(150)는 제1인쇄 회로 기판(150)의 바가 표면에 제공된 커넥터(170)를 가진다. 이동 유니트(142)의 제2인쇄 회로 기판(147)는 제2인쇄 회로 보드(147)의 상부 표면에 제공된 커넥터(171)를 가진다.
부착된 보강 판(167)을 가진 FPC 케이블(160)의 커넥터 부분(165)은 제1인쇄 회로는 제1인쇄 회로 기판(150)의 커넥터(170)에 부착된다. 그래서 섀시(141)의 제1인쇄 회로 기판(150)와 FPC 케이블(160)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각각 서로 부착되는 커넥터 부분(165) 및 커넥터(170)에 의해 수행된다. 제6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 케이블(160)의 제2아암 부분(162)은 굽은 부분(172)은 접혀진 위치에 형성되도록 돌출 방향(A)에 확장되도록 역으로 접혀진다. 부착된 보강 판(168)을 가진 FPC 케이블(160)의 커넥터 부분(166)은 제2인쇄 회로기판(147)의 커넥터(171)에 부착된다. 이동 유니트(142)의 제2인쇄 회로기판(147)과 FPC 케이블(160)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각각 서로 부착되는 커넥터 부분(166) 및 커넥트(171)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제1인쇄 회로 기판(150)와 제2인쇄 회로 기판(147)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이동 유니트(142)가 섀시(141)에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상황하에서 FPC 케이블(160)에 의해 수행된다.
제10a도 및 10b도는 이동 유니트(142)가 방출방향A 또는 삽입방향B으로 디스크 교체 위치 P1와 삽입 위치 P2 사이로 이동될 때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160)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10a도 및 10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 유니트(142)가 방출방향A 또는 삽입 방향B으로 디스크 교체 위치 P1 및 삽입 위치 P2사이로 이동될 때, 이동 유니트(142)밑에 제공된 FPC 케이블(160)의 상태는 섀시(141)에 대한 FPC 케이블(160)의 굴곡부(172)의 위치가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변화된다.
특히, 이동 유니트(142)가 디스크 교체 위치 P1쪽으로 방출방향A으로 이동될 경우, FPC 케이블(160)의 굴곡부(172)는 섀시(141)의 후방단부로 접근한다. 커넥터(171)로부터 후방쪽으로 연장한 제한부(168a)는 상기 굴곡부(172)가 커넥터부(166)로 접근할 경우 FPC 케이블(160)의 제2아암부(162)가 상방으로 부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FPC 케이블(160)의 평평한 구조는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부(168a)에 의해 유지된다.
한편, 이동 유니트(142)가 삽입 위치P2쪽으로 삽입방향B으로 이동될 경우, FPC 케이블(160)의 굴곡부(172)는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인쇄회로기판(150)과의 간섭없이 제1인쇄회로기판(150)밑에 안전하게 놓이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섀시(141)내에 설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150)에 대한 큰 폭(제5도에서 화살표 "W3"로 지시됨)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실시예의 CD-ROM 디스크장치(140)에 있어서, 제4도 5도 및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CD-ROM 디스크장치(140)의 초기 세팅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스트랩 유니트(180)는 그 후방 단부에서 사이트 플레이트부(151c-2)상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층 구조는 섀시(141)의 베이스 플레이트(151a)상에 배열되어 있다. 측면 플레이트부(151c-2)상에 FPC 케이블(160)을 배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턴테이블(143)을 지지하는 CD-ROM의 저면이 사이트 플레이트부(151c-2)위에 놓이는 CD-ROM 디스크 장치(140)를 설계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CD-ROM 지스크 장치는 평평한 구조를 갖는 FPC 케이블(160)을 포함하기 때문에 작은 높이의 디스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CD-ROM 디스크장치는 종래 디스크 장치의 다층구조 FPC 케이블(120)보다 덜 비싼 단일층 구조를 갖는 FPC 케이블(160)을 포함하기 때문에 감소된 제조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제11도 내지 26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CD-ROM 디스크 장치를 설명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CD-ROM 디스크 장치(1)의 상면도이다. 제12도는 CD-ROM 디스크 장치(1)의 저면도이다. 제13도는 CD-ROM 디스크 장치(1)의 확대 사시도이다.
제11도, 12도 및 13도를 참조하면, 디스크 장치(1)는 노트북 크기의 퍼스날 컴퓨터의 케이싱내에 내장된 내장형이다. CD-ROM 디스크 장치(1)는 일반적으로 트레이, 보조 섀시(3), 트레이 슬라이딩 유니트(4), 픽업 유니트(5), 턴테이블(6), 트레이 푸싱 유니트(7)(제19도 및 20도에 도시), 및 록킹 유니트(8)를 갖는다.
트레이(2)는 CD-ROM(도시하지 않음)이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 운반부재이다. 픽업 유니트(5) 및 턴테이블(6)은 구동 유니트(21)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3도에서 본 실시예의 이동 유니트(142)는 트레이(2), 보조 섀시(3) 및 구동 유니트(21)로 구성된다.
트레이(2)는 섀시(10)상에 트레이 슬레이딩 유니트(4)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픽업 유니트(5)는 트레이 슬레이딩 유니트(4)에 의해 보조 섀시(3)상에 지지되어 있다. 트레이(2)상에서 CD-ROM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6)은 트레이 활주 유니트(4)에 의해 보조 섀시(3)상에 지지되어 있다.
제3도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의 이동 유니트는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가 방출방향 및 삽입방향으로 디스크 교체위치 및 삽입 위치사이로 이동가능하도록 디스크 장치(1)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트레이 푸싱 유니트(7)는 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해 방출방향A으로 트레이(2)를 푸시한다. 트레이 록킹 유니트(8)는 이동 유니트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2)를 록킹한다. 이동 유니트가 디스크 교체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되면, 트레이 푸싱 유니트(7)는 디스크 교체 위치에서 트레이(2)를 록킹 한다. 트레이 푸싱 유니트(7) 및 트레이 록킹 유니트(8)의 기능은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제11도는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CD-ROM 디스크 장치의 상불로 도시하며, 트레이(2)를 덮는 덮개판(9)(제13도에 도시)은 그것으로부터 제거된다. CD-ROM 디스크 장치(1)는 이동 유니트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CD-ROM으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며, CD-ROM 디스크 장치(1)내의 트레이(2)의 위치는 제11도에서 점선으로 지시되어 있다. 트레이(2)상에 지지된 CD-ROM의 위치도 제11도에서 점선으로 지시되어 있다. 그외에도, 제12도는 이동 유니트가 삽입 위치에 있을 때 CD-ROM 디스크 장치(1)의 저부를 도시한다.
제11도, 12도 및 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는 트레이(2)상의 CD-ROM이 트레이(2)의 우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비대칭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2)는 CD-ROM의 외경보다 작은 횡폭을 갖는다.
트레이(2)는 방출방향A 및 삽입방향B으로 디스크 교체 위치 및 삽입 위치사이로 트레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트레이 활주 유니트(4)에 의해 섀시(10)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CD-ROM 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 트레이(2)는 방출방향A 및 삽입방향B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으로 트레이(2)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동 메카니즘은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CD-ROM 디스크 장치(1)는 CD-ROM 디스크 장치(1)에 필요한 전체 부품 수의 감소를 제공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섀시(10)는 베이스부(10a) 및 커버(10b)를 포함한다. 트레이(2)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유니트는 상기 베이스부(10a)에 수용된다. 트레이(2)상에 CD-ROM의 돌출부의 저부는 커버(10b)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섀시(10)는 섀시(10)의 우측에서 커버 플레이트(10b)아래에 제공된 하부 중공부를 포함한다. 섀시(10)의 하부 중공부에는, 퍼스날 컴퓨터내에 CD-ROM 디스크 장치(1)를 설치할 때 퍼스날 컴퓨터의 다른 부품들이 배열된다.
전면 베젤(11)은 트레이(2)의 전방에 제공되어 있으며 트레이(2)에 고정되어 있다. 전면 베젤(11)은 트레이(2)가 방출방향A 또는 삽입 방향B으로 이동될 경우 트레이(2)와 함께 이동된다. 슬라이드형 방출 수위치(12)는 전방 베젤(11)의 중간에 배열되어 있다. 이 방출 스위치(12)는 트레이(2)가 방출 방향A으로 섀시(10)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트레이 록킹 유니트(8)로부터 트레이(2)를 언록킹하기 위하여 전면 베젤(11)의 표면을 따라 작동기에 의해 슬라이딩된다.
방출 스위치(12)가 제11도 및 12도에 도시된 CD-ROM 디스크 장치(1)상에 작동기에 의해 슬라이딩될 때, 트레이(2)는 트레이(2) 및 전면 베젤(11)이 방출방향A으로 트레이 푸싱 유니트(7)에 의해 섀시(10)로부터 방출되도록 트레이 록킹 유니트(8)로부터 언록킹된다. 트레이(2) 및 전면 베젤(11)이 방출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작동기는 수동 조작에 의해 디스크 교체 위치에 방출방향으로 트레이(2)를 쉽게 이동시킬수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레이(2)는 리세스가 형성된 디스크 지지면(2a), 구동 유니트 개구(2b) 및 리세스부(2c)를 포함한다. 구동 유니트 개구(2b)는 디스크 지지면(2a)을 천공함으로써 형성되며, 리세스부(2c)는 디스크 지지면(2a)의 주변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CD-ROM 디스크 장치(1)에 삽입된 CD-ROM은 트레이(2)의 디스크 지지면(2a)에 고정된다. 픽업 유니트(5) 밑 텐테이블(6)이 장착되어 있는 구동 유니트는 구동 유니트 개구(2b)에 고정되어 있다. 트레이(2)의 리세스부(2c)는 트레이(2)로부터 CD-ROM을 제거할 경우와 동일하게 작동기의 핑거를 삽입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트레이(6)의 디스크 홀딩 표면(2a)은 CD-ROM의 외경보다 작은 측면 폭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섀시(10)의 베이스 부분을 덮도록 한다. 디스크 홀딩 표면(2a)은 CD-ROM의 전체 표면의 약 2/3을 덮는 영역을 가진다. 트레이(2)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CD-ROM 디스크 장치(1)에 작은 사이즈를 제공한다.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서브 섀시(3)는 직사각형 프레임(3a), 트레이 록킹 유니트 장착 표면(3b), 다수의 보스(3c) 및 다수의 스크류 구멍(3d)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2)는 서브 섀시(3)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직사각형 프레임(3a)은 픽업 유니트(5) 및 튜닝 테이블(6)을 포함하는 구동(21)가 고정되는 직사각형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 표면(3b)은 (제21 및 22도에 도시된 것처럼)서브 섀시(3)의 프레임(3a)위에 형성되며, 트레이 록킹 유니트(8)는 장착 표면(3b)위에 배치된다. 보스(3c)는 구동 유니트(21)를 스크류(13)에 의하여 서브 섀시(3)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트레이 슬라이딩 유니트(4)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5, 16)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브 섀시(3)의 양쪽 면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5, 16)는 스크류 구멍(3d)에 스크류(13)를 고정시킴으로써 서브 섀시(3)에 고정된다.
각각의 가이드 부재(15, 16)는 서브 섀시(3)에 고정된 이동 레일(17) 및 섀시(10)의 측벽(10c)에 고정된 고정 레일(18)을 포함한다. 이동 레일(17) 및 고정 레일(18)은 이들이 섀시(10)의 측벽(10c)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확장하도록 배치된다. 제19도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 레일(19)은 이동 레일(17) 및 고정 레일(18)사이에 제공되어 측면 레일(19)이 이동 레일(17) 및 고정 레일(18)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레일(17) 및 고정 레일(18)은 C형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이동 레일(17)은 랙(rack) 부분(17a)을 가진다. 측면 레일(19)은 H형 단면을 가지며, 이동 레일(17) 및 고정 레일(18)은 측면 레일(19)을 통하여 연결된다. 측면 레일(19)은 측면 레일(19)의 중간에 피니온(pinion; 도시않됨)을 가지며, 상기 피니온은 이동레일(17)의 랙 부분(17a)과 맞물려 있다.
본 실시예의 CD-ROM 디스크 장치(1)에서, 트레이(2) 및 서브 섀시(3)를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는 트레이 슬라이딩 유니트(4)를 이용하여 섀시(10) 위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트레이 슬라이딩 유니트(4)의 가이드 부재(15, 16)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유니트는 이동 유니트가 삽입 방향B 및 방출 방향A에서 삽입된 위치 및 디스크 교환 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디스크 장치(1)에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CD-ROM 디스크 장치(1)에서, 트레이(2)가 디스크 교환 위치로 방출 방향A로 수동으로 이동될 때 트레이(2)가 방출 방향A로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트레이 푸싱 유니트(7)는 디스크 교환 위치에서 방출 방향A로 트레이(2)가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제15도는 서브 섀시(3)상에 배치된 구동 유니트(21)의 하부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 유니트(5) 및 튜닝 테이블(6)은 구동 유니트(21)위에 지지되며, 상기 구동 유니트(21)는 서브 섀시(3)위에 배치된다.
제15도에 도시되 바와 같이, 구동 유니트(21)는 튜닝 테이블(6), 베이스(22), 픽업 유니트(5), 픽업 이동 유니트(23) 및 디스크 모터(20)를 포함한다. 픽업 유니트(5)는 베이스 유니트(22)위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픽업 이동 유니트(23)는 트레이(2)상의 CD-ROM의 방사방향으로 픽업 유니트(5)를 이동시킨다. 디스크 모터(20)는 트레이(2)위에 홀딩된 CD-ROM이 회전되도록 튜닝 테이블(6)을 회전시킨다.
트레이(2)는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위에 장착된다. 진동 흡수부재(24) 세트가 서브 섀시(3) 및 베이스(22)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진동 흡수 부재(24)는 서브 섀시(3)의 보스(3c)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다. 트레이(2)가 슬라이딩할 때 구동 유니트(21)의 진동이 진동 흡수 부재(24)에 의하여 흡수되기 때문에, 픽업 유니트(5) 및 튜닝 테이블(6)의 동작에 해를 끼치는 구동 유니트(21)의 진동의 어떠한 영향도 진동 흡수 부재(24)에 의하여 감소된다.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는 레진 재료가 채워진 유리 섬유로 만들어져서 레진 재료가 채워진 유리 섬유의 베이스(22)가 픽업 유니트(5) 또는 튜닝 테이블(6)의 열 확장 계수와 동일한 열 확장 계수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22)의 레진 재료의 이용은 CD-ROM 디스크 장치(1)의 환경에 대한 열 상태가 변화더라도 베이스(22)상의 픽업 유니트(5) 및 튜닝 테이블(6)의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픽업 이동 유니트(23)는 제15도의 화살표 C 및 D에 의하여 표시된 CD-ROM의 방사 방향중 하나로 픽업 유니트(5)를 이동시킨다. 상기 픽업 이동 유니트(23)는 베이스(22)의 하부에 배치된 픽업 이동 모터(25)를 가진다. 상기 픽업 이동 모터(25)는 기어(26)가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한다. 픽업 이동 유니트(23)는 기어(27, 28)를 가지는 픽업 구동 메커니즘(29)을 포함한다. 리드 스크류(30)는 픽업 구동 메커니즘(29)을 통하여 픽업 이동 모터(25)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리드 스크류(30)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픽업 가이드 유니트(31)는 픽업 유니트(5)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구동 유니트(21)는 통합 구조를 가지도록 배열된다.
픽업 유니트(5)는 리드 스크류(30)의 나사 부분과 맞물려 있는 나사식 연결 부분(32)을 가진다. 리드 스크류(30)는 픽업 구동 메커니즘(29)을 통하여 픽업 이동 모터(24)에 의하여 회전되며 픽업 유니트(5)는 픽업 이동 유니트(23)에 의하여 CD-ROM의 방사 방향C 및 D중 하나로 이동된다.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는 슬롯(22a)을 가지며, 픽업 유니트(5)는 CD-ROM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슬롯(22a)을 따라 이동된다. 픽업 유니트(5)의 이동은 구동 유니트(21)에서 슬롯(22a)의 위치에 의하여 제한된다.
제16도는 제11도의 CD-ROM 디스크 장치(1)의 픽업 구동 메커니즘(29)을 도시한다. 제17도는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위에 장착된 픽업 구동 메커니즘(29) 및 픽업 유니트(5)를 도시한다. 제18a, 18b 및 18c도는 제11도의 CD-ROM 디스크 장치(1)의 마운팅 홀더(33)를 도시한다.
제16 내지 18c도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픽업 구동 메커니즘(29)이 설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 구동 메커니즘(29)은 기어(27, 28)를 포함한다. 제18a 내지 18c도에 도시된 마운팅 홀더(33)는 레진 재료를 몰딩하여 만들어진다. 기어(27, 28)는 마운팅 홀더(33)위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지지 핀(34)은 마운팅 홀더(33)위에 압착 고정된다. E링(35)은 지지 핀(34)의 앞쪽 엣지위에 고정되어 지지핀(34)으로부터 기어(27)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6도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28)는 리드 스크류(30)의 한쪽 단부위에 압착 고정되며, 리드 스크류(30)의 상기 단부는 마운팅 홀더(33)의 구멍(36)에 삽입되어 기어(28) 및 리드 스크류(30)가 구멍(36)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판 스프링(37)은 그 한쪽 단부에서 마운팅 홀더(33)의 후방 표면에 고정된다. 마운팅 홀더(33)의 후방 표면상에서 판 스프링(37)의 다른쪽 단부는 판 스프링(37)의 이동력에 의하여 방사 방향D로 마운팅 홀더(33)를 통과하는 리드 스크류(30)의 단부를 미는 역할을 한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는 베어링 부분(38)을 포함한다. 마운팅 홀더(33)의 대향하는 리드 스크류(30)의 다른 쪽 단부는 베어링 부분(38)위에 지지된다. 리드 스크류(30)의 한쪽 단부는 베어링 부분(38)위에 지지되며, 리드 스크류(30)의 다른쪽 단부는 판 스프링(37)에 의하여 방향D로 밀린다. 이러한 픽업 구동 메커니즘(29)은 트레이(2) 상의 CD-ROM에 대하여 픽업 유니트(5)가 상당히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는 3개의 마운팅 홀(한개의 마운팅 홀 만이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다.)을 포함하고 있다. 마운팅 홀더(33)는 2개의 돌출부(39)와 리브(41)를 포함하고 있다. 마운팅 홀더(33)의 돌출부(39 및 40)는 베이스(22)의 마운팅 홀(22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운팅 홀더(33)는 베이스(22)에 고정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는 높은 정확성으로 베이스(22)상에 광 픽업유니트(5)와 턴 테이블(6)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수지 재료를 함유한 유리 섬유로 이루어져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픽업 구동 메카니즘(29)의 마운팅 홀더(33)는 베이스(22)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마운팅 홀더(33)가 수지 재료를 함유한 채워진 유리 섬유와 다른 수지 재료로로 이루어질수 있다. 상기 마운팅 홀더(33)가 수지 재료를 함유한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마운팅 홀더(33)의 지지핀(34)이 기어(27)를 상기 지지핀(34)에 압축할 때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위하여, 본 실시예의 마운팅 홀더(33)는 가요성 있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스크 모터(20)와 턴 테이블(6)을 설명고자한다.
상기 턴 테이블(6)은 디스크(20)의 구동 축에 바로 연결된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 모터(20)는 턴 테이블(6)아래에 배치된다. 기록디스크(또는 CD-롬)는 트레이(2)가 CD-롬 디스크 장치(1)내의 삽입 위치에 있을 때 턴 테이블(6)에 의해 지지되고 디스크모터(20)에 의해 회전된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모터(20)는 베이스 플레이트(42) 상에배치되고 이곳에 고정된다. 또한 제15도에 도시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2)는 고정 나사(43)에 의해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에 고정된다. 따라서, 디스크(20)와 턴 테이블(6)모두는 구동 유니트(21)의 베이스(22)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동 유니트(21)는 상기 베이스(22)에 배치된 전기부품을 갖는데, 상기 전기 부품은 적어도 광 픽업 유니트(5), 디스크 모터(20) 및 광 픽업 이동 모터(25)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유니트(21)는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에 수용된다. 이동 유니트의 전기 부품은 구동 유니트(21)를 동작시키기 위해 섀시(10)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44)은 광 픽업(5)으로 부터 출력된 재생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신호 처리 회로와, 상기 디스크 모터(10)와 광 픽업이동 모터(25)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2)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유니트와 상기 구동 유니트(21)는 삽입 방향(B)과 출구 방향(A)에서 삽입 위치와 디스크-변경위치사이에서 이동할수 있기 때문에, 이동 유니트와 인쇄회로 기판(44)의 전기부품간의 전기적 접속은 가요성 인쇄회로(FPC) 케이블(45)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46)는 섀시(10)의 인쇄회로 기판(44)에 배치되고, 또한 접속기(46)는 인쇄회로 기판(4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47)는 베이스 플레이트(42)에 배치되고, 또한 커넥터(47)는 이동 유니트(또는 구동 유니트 ; 21)의 전기 부품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인쇄 회로(FPC)케이블(45)은 커넥터(46)에 고정된 커넥터부를 갖는 (인쇄회로기판44의 측상에서)제1아암부와, (구동 유니트의 측상에서)제2아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이동 유니트(또는 구동 유니트21)의 커넥터와 인쇄 회로 기판(44)의 커넥터는 FPC 케이블(45)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FPC 케이블(45)은 상기 섀시(10)에 부착된 평평한 단일층 구조이기 때문에, CD롬 디스크 장치(1)에 작은 높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FPC 케이블이 단순구조이고 비용이 싸기 때문에, CD-롬 디스크 장치(1)의 값싼 제조 비용을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CD-롬 디스크 장치(1)에 대하여, 구동 유니트(21)의 커넥터(47)를 이동 유니트의 전기 부품(픽업 유니트5, 디스크 모터20 및 픽업 이동 모터25)에 전기적으로 결합한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CD-롬 디스크 장치(1)는 커넥터(47)를 이동 유니트의 전기적 부품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가요성 케이블(48)을 포함한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케이블(48)은 베이스 부(48a), 제1연장부(48d), 제2연장부(48b), 제3연장부(48d) 및 제4연장부(48e)를 포함한다. 가요성 케이블의 베이스 부(48a)는 고정 나사(50)에 의해 섀시(10)의 정면에 고정된다. 제1연장부(48b)는 베이스 부(48a)로부터 트레이 로킹 유니트(8)으로 연장된다. 제3연장부(48d)는 픽업 유니트(5)로 연장된다. 제4연장부(48e)는 베이스 부(48a)를 커넥터(47)에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커넥터(47) 및 픽업 유니트(5), 그리고 이동 유니트의 픽업 이동 모터(25)간의 전기적 결합은 베이스 플레이트(42)에 인쇄되는 인쇄 와이어링(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성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케이블(48)은 구동유니트(21)의 커넥터(47)를 이동 유니트의 전기 부품(픽업 유니트5, 디스크 모터20 및 픽업 이동 모터25)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는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리드 와이어 선과 점프 선은 가요성 케이블(48)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제19도는 CD-롬 디스크 장치(1)의 트레이 슬라이딩 유니트(4)와 트레이 푸싱 유니트(7)를 나타낸다. 제20a, 제20b 및 제20c는 CD-롬 디스크 장치(1)의 트레이 푸싱 유니트(7)의 기능을 나타낸다.
제19도를 보면, 트레이 푸싱 유니트(7)가 논의 되어 있다. 트레이(2)는 출구 방향(A)에서 디스크-변경위치로 이동되며, 트레이 푸싱 유니트(7)는 디스크-변경위치에서의 트레이(2)가 출구 방향(A)에서 더 이동되는 방지한다.
트레이 푸싱 유니트(7)는 이곳에 형성된 슬롯(52, 53 및 54)을 가진 레버(51)와, 코일 스프링(56)을 포함한다. 2개의 연결핀(54 및 55)은 섀시(10)의 측벽(10a)상의 이동 가능 레일(17)에 제공되며, 또한 연결 핀(54 및 55)은 상기 이동 가능 레일(17)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된다. 레버(51)의 슬롯(52 및 55)은 연결 핀(54 및 55)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56)은 방향(A)에 있는 레버(51)를 코일 스프링(56)의 작용력으로 밀게된다. 레버(51)는 측벽(10c)상의 이동가능 레일(17)의 후면 단부에 배치된다. 섀시(10)는 섀시(10)의 베이스부(10a)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돌출부(57)를 갖는다. 돌출부(58)는 레버(51)의 후면 단부에 제공되고, 또한 돌출부(58)는 레버(51)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된다. 레버(51)는 레버(51)의 정면에서 연결 핀(59)을 갖는다. 상기 코일 스프링(56)의 한 단부는 연결 핀(59)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56)의 다른 단부는 연결 핀(54)에 부착된다.
상기 레버(51)의 슬롯(52 및 53)이 이동 가능 레일(17)의 연결 핀(54 및 55)에 연결되기 때문에, 레버(51)는 출구 방향(A) 및 삽입 방향(B)에서 제1 및 제2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트레이(2)는 출구 방향(A)에서 디스크-변경 위치로 이동될 때, 레버(51)의 돌출부(58)는 섀시(10)의 돌출부(57)에 부착된다. 따라서, 트레이 푸싱 유니트(7)는 디스크 변경-위치에서의 트레이(2)가 출구 방향(A)에서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0a, 제20b 및 제20c를 보면, 트레이 푸싱 유니트의 기능이 기술되어 있다.
제20a는 트레이(2)가 디스크-변경위치로 밀려 나올때의 트레이 푸싱 유니트(7)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2)가 디스크 변경위치에 있을 때, 레버(51)의 돌출부(57)는 섀시(10)의 돌출부(57)에 부착된다. 출구 방향(A)에서 디스크-변경위치로 부터의 트레이(2)의 추가 이동은 트레이 푸싱 유니트(7)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51)는 제20a도의 화살표L로 표시된 거리(L)에 의해 이동가능 레버(17)의 후면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제20b도는 레버(51)의 후방단이 섀시(10)의 후방벽(10d)에 인접할때까지 트레이(2)가 삽입 방향(B)으로 섀시(10)에 삽입될 때, 트레이 푸싱 유니트(7)의 상태를 도시한다. 트레이(2)가 제20b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삽입 방향(B)으로 추가로 삽입될 때, 섀시(10)의 후방벽(10d)과 인접한 후방단을 가지는 레버(51)는 코일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방출 방향(A)으로 트레이(2)를 방출시킨다.
제20c도는 트레이(2)가 삽입 방향(B)으로 삽입 위치에 이동될 때, 트레이 푸싱 유니트(7)의 상태를 도시한다. 삽입 위치에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는 트레이 유니트(8)에 의해 로크된다. 그러나, 레버(51)는 코일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방출 방향(A)으로 트레이(2)를 계속하여 민다.
CD-ROM 디스크 장치(1)의 전방 베즐상의 방출 스위치(12)가 동작기에 의해 미끌어질 때,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 유니트는 트레이 로킹 유니트(8)로부터 로크된다. 언로크 동작에 의해, 트레이(2)는 코일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방출 방향(A)으로 이동되고, 트레이 푸싱 유니트(15)는 제20b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CD-ROM 디스크 장치(1)상의 동작기는 전방 베즐(11)을 고정하여 방출 방향으로 디스크 변환 위치에 트레이(2)를 추가로 민다.
제21도는 CD-ROM 디스크 장치(1)의 서브 섀시(3) 및 트레이 로크 유니트(8)를 도시한다. 제22도는 트레이(2)가 삽입 위치에 로크될 때, 트레이 로킹 유니트(8)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23도는 트레이(2)가 트레이 로킹 유니트(8)로부터 로크되지 않을 때, 트레이 로킹 유니트(8)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21 내지 23도를 참조하여, 트레이 로킹 유니트(8)는 서브 섀시(3)의 마운팅 표면(3b)상에 배열된다. 트레이 로킹 유니트(18)는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49), 로크핀(60), 로크 레버(61), 및 위급 레버(62)를 가진다.
로크핀(60)은 섀시(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한다. 로크레버(61)는 서브 섀시(2)의 프레임(3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샤프트상에 회전하여 지지된다. 로크레버(61)는 아암부(65) 및 접속 아암(67)을 포함한다. 아암부분(65)은 아암부분(65)의 전방 가장자리에 후크(64)를 가리며, 후크(64)는 섀시(10)의 로크핀(60)과 접속하거나 분리된다. 솔레노이드(49)는 플러저(66)을 포함한다. 로크레버(61)의 접속아암(67)은 솔레노이드(49)의 플러저에 접속된다. 아암부분(65)의 후크(64)는 탭핑 표면(68)을 가진다. 아암부분(65)은 위쪽으로 연장하는 핀(69)을 가지며, 핀(69)은 위급레버(62)와 맞물리거나 분리된다. 제2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스프링(70a)은 플러저(66)가 코일스프링(70a)의 탄성력에 의해 방향(c)으로 밀려지도록 솔레노이드(49)에 배열된다.
솔레노이드(49)는 전방베즐(11)상의 방출스위치(12)가 동작기에 의해 미끌어질 때 전자기력에 의해 방향(D)으로 플러저(66)를 이동시킨다. 플러저(66)이 로크레버(61)의 연결아암(67)과 맞물리기 때문에, 로크레버(61)는 플러저(66)의 이동에 의해 샤프트(63) 주위로 회전된다.
트레이(2)가 삽입방향(B)으로 삽입위치에 이동될 때, 서브 섀시(3)는 섀시(10)에 관해 삽입방향(B)으로 역시 이동하고, 이때, 로크레버(61)는 로크핀(60)에 접근한다. 트레이(2)가 삽입위치에 다다를 때, 후크(64)의 탭핑표면(68)은 섀시(10)의 로크핀(60)을 통과하고 로크레버(61)의 후크(64)는 로크핀(60)과 맞물린다. 트레이(2)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 서브섀시(3)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레이 로크유니트(8)에 의해 로크될 때, 서브섀시(3)에 배열된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는 삽입위치에 로크된다.
전방베즐(11)상의 방출스위치(12)가 동작기에 의해 미끌어질 때, 솔레노이드(49)의 플러저(66)는 전자기력에 의해 방향(D)으로 이동된다. 로크레버(61)는 플러저(66)의 이동에 의해 샤프트(3)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크레버(61)의 후크(64)는 섀시(10)의 로크핀(6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시기에 서브 섀시(3)가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레이 로크유니트(8)로부터 로크되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는 삽입 위치 및 디스크 변환위치 사이로 다시 이동한다.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급레버(62)는 위급레버(62)가 방향(A) 및 방향(B) 양쪽으로 이동하도록 서브 섀시(3)의 프레임(3a)에 배열된다. 위급레버(62)는 위급레버(2)의 전방단에 접속표면(70)을 가지며, 접속표면(70)은 전방베즐(11)의 후방표면에 배치된다. 전방베즐(11)은 접속표면(70)의 대응 위치에 삽입홀(71)(제25도에 도시됨)을 가진다. 위급레버(62)는 위급레버(62)의 후방단에 측면으로 연장하는 탭핑후크(72)를 가지며, 탭핑후크(72)는 로크레버(61)의 핀(69)과 맞물려지거나 분리된다. 에머전시레버(62)는 코일 스프링(73)을 가진다. 코일스프링(73)의 한쪽단은 에머전시레버(62)에 고정되고, 그것의 다른쪽 단은 서브 섀시(3)에 고정된다. 그래서, 에머전시레버(62)는 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에 의해 방향(A)으로 밀려진다.
상기된 에머전시레버(62)는 솔레노이드(49)가 작동하지 않거나 개인용 컴퓨터의 전력감소가 발생하지 않을 때 트레이 로크장치(8)로부터 트레이(2)를 서로 로크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삽입위치에 고정된 트레이(2)는 에머전시레버(62)를 사용하여 트레이 로크유니트(8)로부터 로크될 수 없다. 그러므로, 동작기는 어떤 위급상황에서 CD-ROM 디스크 장치(1)내의 삽입위치로부터 방출방향(A)으로 트레이(2)를 밀어낸다.
제24도는 트레이 로크유니트(8)의 에머전시레버(62)를 도시한다. 제2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급상황이 발생할 때, 동작기는 삽입홀(7)로부터 전방베즐(11)에 니들(24)을 삽입한다. 니들(74)은 에머전시레버(62)의 접속표면(70)과 접촉하고, 방향(B)으로 에머전시레버(62)를 민다. 에머전시레버(62)의 탭핑후크(72)는 로크레버(61)의 핀(69)과 맞물리고, 방향(B)으로 로크레버(61)를 민다. 이때 로크레버(61)는 에머전시레버(62)의 이동에 의해 샤프트(63) 주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로크레버(61)의 후크(64)는 섀시(10)의 로크핀(60)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래서,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는 에머전시레버(62)를 사용함으로써 트레이 로크유니트(8)로부터 서로 로크되지 않는다. 트레이(2)를 포함하는 이동유니트가 트레이 푸싱 유니트(7)에 의해 섀시(10)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동작기는 위급상황시 CD-ROM 디스크 장치(1)로부터 트레이(2)를 밀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솔레노이드(49)의 플러저(66)가 이동되는 방향(C 및 D)은 트레이(2)가 CD-ROM 디스크장치(1)로 이동되는 방향(B 및 A)에 45°각이다. CD-ROM 디스크장치(1)가 설치되는 노트북 크기 개인용 컴퓨터는 수행되고, 어떤 충격은 CD-ROM 디스크장치(1)에 주어진다. 플런저((66)의 이동방향(C 및 D)이 트레이(2)의 이동방향(B 및 A)에 45°각이도록 솔레노이드(49)가 배열되기 때문에, 트레이(2)가 충격으로 인한 트레이 로크유니트(8)로부터 로크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구성은 트레이(2)가 섀시(10)로부터 돌연히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CD-ROM 디스크장치(1)가 충격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5도는 CD-ROM 디스크장치(1)의 커버 플레이트(9)를 도시한다. 제26a 및 26b도는 CD-ROM 디스크장치(1)의 커버 플레이트(9)의 기능을 도시한다.
제25도 내지 2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버 플레이트(9)는 다수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부분(75),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U 모양부분(76), 및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중심부분(77)을 가진다. 커버 플레이트(9)는 얇은 강철시트를 압축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커버 플레이트(9)는 유니트 섀시(10)에 배치된 부분 및 그안에 삽입된 CD-ROM를 보호하기 위하여 CD-ROM 디스크장치(1)에 제공된다. 커버 플레이트(9) 세기의 적당한 레벨을 유지하기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6)는 압축형성에 의해 이들 돌출부분(75, 76 및 77)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아래 돌출부분(75)의 양은 약 0.6mm로 소정되고, 아래쪽 돌출부분(76)의 양은 약 0.4mm 소정되고, 위쪽 돌출부분(77)의 양은 약 0.15mm로 소정된다.
제26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래쪽 돌출부분(75)의 양은 돌출부분(75, 76 및 77)중 최소이다. 커버 플레이트(9)의 돌출부분(75, 76 및 77)은 부분(75)에 그것의 주변 기록 디스크(78)에 가장 가깝도록 형성되고, 기록 디스크(78)는 트레이(2)상의 턴 테이블(6)에 의해 고정된다.
제26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격이 CD-ROM 디스크장치(1)의 커버 플레이트(9)에 방향(H)으로 주어질 때, 기록 디스크(78)는 탄력적으로 변형되기 쉽다. 기록 디스크(78)가 탄력적으로 변형될 때, 커버 플레이트(9)중심 돌출부분(77)의 내부 표면은 턴 테이블(6)의 상부에 접속하고, 커버 플레이트(9)의 돌출부분(75)은 기록 디스크(78)의 주변과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 디스크(78)의 방사방향으로 커버 플레이트(9) 및 기록 디스크(78) 사이의 접촉영역의 폭은 약 1mm로 소정된다.
기록 디스크(78)가 CD-ROM인 경우, CD-ROM은 그것의 하부 표면 상에 데이터 기록층 및 그것의 상부 표면중에 비기록 주변층을 가진다. CD-ROM의 방사방향으로 CD-ROM의 비기록 주변 영역 폭은 약 2mm이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9)의 구성은 충격이 CD-ROM 디스크장치(1)에 주어질 때 기록 디스크(78)의 기록 데이타가 손상받는 것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는 상기 실시예의 CD-ROM 디스크 장치뿐 아니라 콤팩트 디스크장치, 자기 광학 디스크장치 및 다른 광학 디스크장치에 적용된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의 CD-ROM 디스크 장치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의 케이싱에 이루어진 내장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다른 전기장치를 위한 다른 디스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인쇄회로기판을 가진 섀시와; 기록 디스크를 지지하고, 서부섀시 및 이 서부섀시위의 전기부를 가지며, 삽입위치와 디스크 변화위치사이에서 삽입방향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섀시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 유니트와;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기 서브섀시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기 전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커넥터 및;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기 전기부가 상기 섀시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커넥터에 부착되고,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기 서브섀시 아래에 배치된 제1커넥터부를 가진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위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은 상기 제2커넥터에 부착된 제2커넥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베이스부, 커버부 및 하부 공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니트는 상기 베이스부내에 수용되며, 상기 이동 유니트위의 기록 디스크의 돌출부의 바닥은 상기 커버부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공동부는 상기 섀시의 우측 및 좌측중 한 측면에서 상기 커버부 아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는 상기 이동 유니트위의 상기 기록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는 픽업 유니트, 디스크 모터 및 픽업 이동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니트위의 상기 기록 디스크는 상기 디스크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픽업 유니트는 상기 픽업 이동 유니트에 의해 상기 기록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디스크 모터의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크 모터는 상기 이동 유니트의 상기 서브섀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판은 상기 이동 유니트위에 지지된 기록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은 상기 섀시에 부착된 아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은 배출방향으로 뻗기 위해 다시 접히는 아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은 상기 제1커넥터부에 부착되고,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의 상기 제1커넥터부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가진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19960010709A 1995-07-26 1996-04-10 높이를 낮게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갖는디스크장치 KR100230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90736A JP3094854B2 (ja) 1995-07-26 1995-07-26 ディスク装置
JP1995-190736 1995-07-26
JP1995-193492 1995-07-28
JP07193492A JP3079959B2 (ja) 1995-07-28 1995-07-28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077A KR970008077A (ko) 1997-02-24
KR100230565B1 true KR100230565B1 (ko) 1999-11-15

Family

ID=2650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709A KR100230565B1 (ko) 1995-07-26 1996-04-10 높이를 낮게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갖는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51284A (ko)
KR (1) KR100230565B1 (ko)
TW (1) TW4236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798B1 (ko) * 2000-02-12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D20377A (id) * 1997-06-30 1998-12-03 Sony Corp Aparat pemutar ulang dan atau perekaman dari medium perekaman
JP3714779B2 (ja) * 1997-11-04 2005-11-0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20010097075A (ko) * 2000-04-19 2001-11-08 최승팔 장식용 블럭
JP2002260366A (ja) * 2001-03-05 2002-09-13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再生ユニット
US20040205785A1 (en) * 2001-04-10 2004-10-14 Shoji Takahashi Disc drive
EP1426964A4 (en) * 2001-08-16 2006-06-28 Citizen Watch Co Ltd DRIVE DEVICE
JP4016696B2 (ja) * 2001-09-04 2007-12-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板及びそのフレキシブル配線板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KR100772364B1 (ko) * 2001-11-08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004022005A (ja) * 2002-06-12 2004-01-22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WO2004017307A2 (en) * 2002-08-16 2004-0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optical disk drive,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KR100493034B1 (ko) * 2002-11-13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JP3969288B2 (ja) * 2002-11-19 2007-09-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駆動装置
JP4069327B2 (ja) * 2002-11-27 2008-04-0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100505655B1 (ko) * 2002-12-05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US7334238B2 (en) * 2003-04-21 2008-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device having fixing parts for directly fixing a frame of the optical disk device to an electronic device
KR100524967B1 (ko) * 2003-05-28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US20060221801A1 (en) * 2003-08-26 2006-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 N.V. Drive for disc shaped optical data carrier
US20060262656A1 (en) * 2003-08-26 2006-11-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rive for disc shaped optical data carrier
JP2005129202A (ja) * 2003-10-02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20050108740A1 (en) * 2003-11-18 2005-05-19 Hong-Chi Teng Movement for disk player
US20050180271A1 (en) * 2004-02-17 2005-08-18 Orion Electric Company, Ltd. Disk device provided with substrate at to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k device with simplified adjusting step
JP2005235308A (ja) * 2004-02-19 2005-09-02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ディスクドライブユニット、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20060080688A1 (en) * 2004-03-05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apparatus
JP4831959B2 (ja) * 2004-04-09 2011-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ならびに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ピックアップ
JP4664625B2 (ja) * 2004-06-30 2011-04-06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
US8117627B2 (en) * 2005-10-28 2012-02-14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unit with folding circuit board
TWI270057B (en) * 2005-11-04 2007-01-01 Asustek Comp Inc Optical disc drive
US7992159B2 (en) * 2006-03-14 2011-08-02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with such optical pickup device mounted thereon
US20080166904A1 (en) * 2006-10-16 2008-07-10 Quanta Storage Inc. Flexible cable for optical disk drive
TWI382407B (zh) * 2008-08-07 2013-01-11 Quanta Storage Inc 光碟機排線防護裝置
JP4543115B1 (ja) * 2009-03-06 2010-09-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KR101761333B1 (ko) * 2011-08-17 2017-07-25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플랙서블 평판 케이블을 사용하는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1330819B1 (ko) * 2012-05-11 2013-1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13246843A (ja) * 2012-05-24 2013-12-09 Hitachi-Lg Data Storage Inc Oddアーカイブ装置
KR20140019932A (ko) * 2012-08-07 2014-02-18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684A (en) * 1988-01-25 1990-10-23 Conner Peripherals, Inc. Low height disk drive
US5301178A (en) * 1990-02-22 1994-04-05 Olypus Optical Co., Ltd. Drive unit for optical memory device with portion of drive means mounted outside a sealing means
JP3031160B2 (ja) * 1994-03-16 2000-04-1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798B1 (ko) * 2000-02-12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51284A (en) 2000-11-21
KR970008077A (ko) 1997-02-24
TW423693U (en) 200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565B1 (ko) 높이를 낮게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을 갖는디스크장치
KR100301550B1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
US6910218B2 (en) Slim type optical disc drive
EP0606112B1 (en)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US6266312B1 (en) Disk ejection mechanism with slidable eject switch
WO2001093270A2 (en) Disk drive array system
US6529461B1 (en) Disk apparatus having a contacting member contacting an outermost area of a disk for protecting the disk from damage due to a shock
US6208605B1 (en) Tray guide mechanism for easy assembly of a disk drive
US20060028804A1 (en) Ejector,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047784B2 (ja) ディスク装置
EP0606111B1 (en) Expansion card slot
US20030202447A1 (en) Disk unit realizing reduction in thickness and stable vibration characteristic
JP3047785B2 (ja) ディスク装置
JP3465919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405611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47786B2 (ja) ディスク装置
JP3094854B2 (ja) ディスク装置
JP2922047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US7379396B2 (en) Rotary disk type storage device
JP3079957B2 (ja) ディスク装置
KR101520500B1 (ko) 컴퓨터 기억장치
JP285197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10106248A (ja) ディスク装置
KR10082834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1067859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