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909B1 -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 소자 및 상기소자용 배면 기판 - Google Patents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 소자 및 상기소자용 배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909B1
KR100697909B1 KR1020010014860A KR20010014860A KR100697909B1 KR 100697909 B1 KR100697909 B1 KR 100697909B1 KR 1020010014860 A KR1020010014860 A KR 1020010014860A KR 20010014860 A KR20010014860 A KR 20010014860A KR 100697909 B1 KR100697909 B1 KR 10069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adhesive
porous body
delete delete
re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508A (ko
Inventor
마시코히로아키
니시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9Complete cover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544Addition polymer is perhaloge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제거제를 피복하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물질, 및 상기 시이트 물질의 주변부에 설치된 접착 부재로 형성된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이하, "EL"이라 함) 소자, 및 EL 소자용 배면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EL 소자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 소자 및 상기 소자용 배면기판{FIXING MEMBER,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MEMBER AND BACKING SUBSTRATE FOR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 부재 및 이를 사용한 EL 소자의 한 양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고정 부재의 제조 공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제조 공정을 위에서 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부재의 다른 양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 부재의 또다른 양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 부재를 사용한 EL 소자의 배면 기판의 한 양태를 예시한 것이다.
부호 설명
8 : 제거제
9 : 고정 부재
10 : 시이트 물질
10a : 통기부
11 : 접착 부재
본 발명은 EL 소자 내의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제거제를 상기 EL 소자 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EL 소자, 및 상기 EL 소자용 배면 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대용 기기와 같은 각종 기기의 표시장치 또는 발광 소자 등에는 발광체로서 EL 소자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EL 소자는 고온 조건하에서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발광 휘도 및 발광 균일도와 같은 발광능이 초기 단계에 비해 극히 열화되는 단점을 수반한다. 이러한 발광능의 열화는 EL 소자 내부에서 그 구성 부품 또는 구성 재료의 표면에 흡착된 수분 또는 외부에서 침투한 수분 또는 산소나 유기 기체와 같은 기체로 인한 비-발광 부분(흑점)의 발생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발광능 열화의 원인을 제거할 목적으로, JP-A-9-148066호(본원에서, "JP-A-"는 "미심사된 일본 특허 공개공보"를 의미한다)는 수분을 화학적으로 흡착하면서 습기를 흡착한 경우에도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건조 수단을 내부에 갖춘 EL 소자를 제안하고 있다. 고형화 후에, 건조 수단이 될 화합물이 상기 소자 내부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EL 소자는 건조 수단이 될 화합물을 고형화하는 단계를 요구하므로, 고형화를 위한 시간 및 설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EL 소자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EL 소자 및 상기 소자용 배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제거제를 피복하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물질, 및 시이트 물질의 주변부에 설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제거제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첫 번째 양태로 제공하고, 상기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EL 소자를 두 번째 양태로 제공하며, EL 소자의 배면 기판을 세 번째 양태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는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제거제를 피복하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물질, 및 상기 시이트 물질의 주변부에 설치된 접착 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는, 제거제를 고정 부재와 EL 소자의 내면 사이에 피복하여 협지하도록 용이하게 EL 소자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거제의 고형화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EL 소자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 통기부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 루어진 다공체로 구성하는 경우, 내열성이 탁월하여 가열된 환경 하에서도 EL 소자를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 통기부를 결정 구조를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다공체로 구성하는 경우, 결정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가 다공체의 공극크기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재료이기 때문에 EL 소자 내의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 통기부를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다공체로 구성하는 경우, 가공성이 탁월하여 통기부의 가공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다공체의 공극크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물질이므로, EL 소자 내의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여 EL 소자의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재활용이 용이한 재료를 사용 후에 재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부재용 접착제로는, 접착제의 안정조건 하에서, 즉, 접착제가 경화성 접착제인 경우에는 경화 후에, 접착제가 고온-용융 접착제인 경우에는 충분히 냉각한 후에, 또는 접착제가 감압성 접착제인 경우는 접착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사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디에틸 에테르, 헥산,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n-메틸-2-피롤리돈(NMP)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중에서 70 중 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 중량%의 겔 분율을 갖는 한 어떠한 접착제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유기 용매에서 70 중량% 미만의 겔 분율을 가지는 접착제는 유기 용매와의 상용성이 극히 양호하여 EL 소자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유기물의 기체가 접착제로부터 방출되는 경향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겔 분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다: 첫 번째로, 접착제 표본의 초기 중량(W1)(약 0.1g)을 측정한 후 표본을 표적 유기 용매(약 100 ml)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표본이 유기 용매에 168 시간(7 일간) 동안 잠기도록 한다. 아직 겔화되지 않은 부분은 유기 용매에 용해된다. 불용성 물질을 건조시킨 후에, 잔여물(겔화된 부분)의 중량(W2)을 측정하고 겔 분율을 하기의 수학식 1을 기초로 하여 계산한다.
Figure 112001006406809-pat00001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 접착 부재의 두께는 취급성의 관점에서 1 내지 500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를 구성하는 접착 부재가 내부에 기재 층을 가지는 적층체인 경우, 고정 부재의 탄성율이 높아질 수 있고, 이는 고정 부재의 고정 작업 효율을 향상시켜 EL 소자의 제조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EL 소자에서, 고정 부재는 EL 소자의 내측 표면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시이트 물질 및 접착 부재로 형성된 단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EL 소자에서, 제거제는 소자의 배면 기판에 미리 부착되어 있으며, 이는 EL 소자의 제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를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 부재 및 이 고정 부재를 사용한 EL 소자의 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EL 소자는 각각 접시 형상인 표면 기판(1) 및 배면 기판(2)을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밀봉재(3)로 밀봉하여 얻어진 유기 EL 소자이다. 표면 기판(1)의 접시 형상의 오목한 부분의 상면에 양극(4), 유기 발광층(5) 및 음극(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적층체(7)를 구성하며, 배면 기판(2)의 접시 형상의 오목한 부분의 하면(내면)에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8)가 고정 부재(9)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9)는 전체적으로 통기성을 가지는 통기부(10a)로 이루어진 시이트 물질(10) 및 상기 시이트 물질(10)의 한쪽 면의 주변부에 형성된 접착 부재(11)로 형성된다. 이 접착 부재(11)는 내부에 하나의 기재 층(12)을 가지는 3개 층(기재 층(12) 및 이 기재 층의 양쪽 면에 설치된 접착제 층(13))의 적층체이다. 상기 고정 부재(9)는 상기 배면 기판(2)의 접시 형상의 오목한 부분 하면에 접착되어 제거제(8)를 덮어 오목한 부분의 하면 사이에 삽입 상태로 고정시킨다. 제거제(8)는 시이트 물질(10)의 통기부(10a)에 의해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한다. 여기서, 적층체(7)는 표면 기판(1)에서 형성되며, 배면 기판(2)은 적층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위치한다.
이하에서 구성 요소를 더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시이트 물질(10)의 통기부(10a)는 통기성(투습성을 포함)이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 한 예는 PTFE로 구성된 다공체, 결정 구조를 가진 고분자로 구성된 다공체 및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다공체를 포함한다. 시이트 물질의 고 통기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재료로 구성된 비다공체도 또한 통기부(10a)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재료 중 둘 이상을 통기부(10a)를 형성하기 위해 혼합 또는 적층시키거나 조합할 수 있다. 통기부(10a)의 두께 또는 다공성에 제한은 없으나, 두께는 보통 1 내지 300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0 ㎛이고 다공성은 보통 2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5%이다. 통기부(10a)의 공극크기도 상기 제거제(8)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그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0 ㎛이다. 특히 시이트 물질(10)이 EL 소자의 음극(6)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을 때, 시이트 물질(10)는 바람직하게는 쿠션(cushioning) 특성을 가진다. 통기부(10a)가 PTFE로 구성된 다공체로부터 제조되었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탄성율 향상의 관점에서 10 ㎛ 이상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결정 구조를 가진 고분자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4-메틸-펜텐-1, 폴리-1-부텐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단체로 사용하거나, 공중합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접착 부재(11)를 구성하는 접착 층(13)의 접착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유용한 접착제의 예는 감압성 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자외선, 열, 습기 등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 2액 혼합형 접착제 및 상온경화형(cold-setting) 접착제 를 포함한다. 실리콘, 아크릴계 또는 고무계 재료로 제조된 감압성 접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층(12)는 열가소성 막, 열경화성 플라스틱 막, 금속 박 또는 부직포로 제조된다.
제거제(8)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흡착제, 흡습제(건조제) 또는 탈산소제(산소 흡취제)가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수증기, 산소 및 유기 물질 증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화합물이 제거제(8)로 바람직하다. 건조제로는, 수분을 물리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수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는 실리카 겔, 분자 체(제올라이트 등), 활성 알루미나,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설페이트, 금속 할라이드, 퍼클로레이트, 카보네이트, 오산화인, 수산화칼슘, 수산화리튬알루미늄, 활성 금속 및 유기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탈산소제의 예로는 활성탄, 실리카 겔, 분자 체,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철을 들 수 있다. 유기 기체의 흡착제의 예로는 활성탄, 실리카 겔 및 분자 체를 들 수 있다. 제거제(8)로는 상기 예시된 무기 화합물 및/또는 유기물을 다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결합제의 역할을 하는 합성 수지와 가열 혼합한 후에 사용할 수 있고, 이후 고형화된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9)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제조되고 EL 소자 내에 고정된다. 도 2 및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형 분리대(separator)(14) 상에 접착 부재(11)의 구성 요소를 소정의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시키고, 이 접착 부재(11) 상에 상기 시이트 물질(10)을 접착시켜 다수의 고정 부재를 분리대(14) 상에 제조한다. 자동 장착기에 의해 분리대(14) 상의 고정 부재(9)를 픽업(pick up)하여 배면 기판(2)(도 1 참조)의 접시 형상의 오목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제거제(8)(도 1 참조)를 피복하도록 접착시켜서 EL 소자에 고정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거제(8)를 배면 기판(2) 상에 미리 부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그것이 EL 소자의 제조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상기 양태에 따르면, 통기성이 있는 통기부(10a)를 갖는 시이트 물질(10) 및 시이트 물질(10)의 주변부에 형성된 접착 부재(11)를 갖는 고정 부재(9)는 EL 소자의 배면 기판(2)의 내측에 접착될 수 있으며, 배면 기판(2)과 고정 부재(9) 사이에 제거제(8)를 피복된 상태로 삽입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9)가 시이트 물질(10) 및 접착 부재(11)로부터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고정 부재(9)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어서 고정 부재(9)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게다가, 제거제(8)는 고정 부재(9)의 접착과 같은 간단한 작업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EL 소자의 제조 단가도 낮출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거제(8)가 피복된 상태로 고정 부재(9)와 배면 기판(2) 사이에 삽입되어 비산이 방지되고, 그 결과 EL 소자에 대한 제거제(8)의 악영향이 억제될 수 있다.
접착 부재(11)는 내부에 기재 층(12)이 있어서 증가된 탄성율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분리대(14)로부터 고정 부재(9)를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쉽게 픽업할 수 있게 하므로, 자동 장착기를 사용하여 픽업하고 이어서 배면 기판(2)에 접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 부재(9)를 사용함으로써 EL 소자의 자동 생산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낮은 제조 단가로 단시간에 EL 소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PTFE로 구성된 다공체가 통기부(10a)에 사용되는 경우, PTFE가 내열성이 뛰어나므로 제조된 EL 소자는 가열 환경에서도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다.
통기부(10a)가 결정 구조를 가진 고분자로 구성된 다공체로 제조되는 경우, 결정 구조를 가진 고분자는 다공체의 공극크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므로 EL 소자 내의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통기부(10a)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다공체로 제조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성이 우수하므로 통기부(10a)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일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다공체의 공극크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므로 EL 소자 내의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격이 저렴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EL 소자의 제조 단가를 추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는 쉽게 재생할 수 있는 재료이므로 재활용에 의해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부재의 다른 양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양태에서, 통기부(10a)는 상기 첫 번째 양태의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다공체이며, 접착 부재(21)는 상기 첫 번째 양태에 따른 접착 층(13)으로부터 형성되나 접착 부재 내에는 기재 층(12)(도 1 참조)이 없다. 다른 부분들은 상기 첫 번째 양태의 것과 유사하며 동일한 부재들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고정 부재(22)는 접착 부재(21) 내에 기재 층(12)이 없으므로 접착 부재(21)의 탄성율이 증가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통기부(10a)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다공체로 제조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고정 부재(22)의 탄성율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분리대(14)(도 2 참조)로부터 고정 부재(22)를 픽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양태에서와 유사한 효과 및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 부재의 또다른 양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양태에서, 시이트 물질(31)은 그 중앙 부분에 상기 첫 번째 양태와 유사한 통기부(10a)를 가지나, 통기부의 다른 부분은 비다공체(32)로 제조된다. 이 비다공체(3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기부(10a) 및 비다공체(32)는 접착제 또는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된다. 비다공체(32)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경우, 열융합에 의해 둘을 접합할 수 있다. 다른 부분은 상기 다른 양태의 것과 유사하며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고정 부재(33)를 사용하는 경우, 통기부(10a) 대 비다공체(32)의 면적비를 변화시킴으로써, 통기부(10a) 단독 제어에 의한 것보다 더 광범위한 범위에서 시이트 물질(31)의 강도 또는 기체 성분의 투과성을 제어할 수 있다. 분리대(14)(도 2 참조)로부터의 픽업 비는 시이트 물질(31)의 강도를 제어하여 개선될 수 있으며, 기체 성분의 처리 속도는 기체 성분의 투과성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첫 번째 양태와 비슷한 효과 및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양태 각각에서, 양극(4), 유기 발광층(5) 및 음극(6)은 표면 기판(1)의 오목한 부분의 위쪽 표면 위에 차례로 적층되어 적층체(7)를 형성한다. 상기 층들 위에 추가적으로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또는 정공 주입층이 1층으로 또는 다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EL 소자 내의 공간은, 밀봉 기체가 봉입되거나 또는 진공 상태로 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 하는 다공체의 제조 공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로는 압출된 막을 연신하는 제조 방법, 양용매(good solvent)중에 용해된 수지를 빈용매(poor solvent)중에서 석출시키는 제조 방법 및 과립상 수지를 가온 상태에서 가압성형하여 얻어진 다공체 성형물을 절삭하여 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생성물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고정 부재(9)이다. 첫 번째로, 열융합하고 압출된 폴리프로필렌을 25℃에서 종축으로 1.5배의 연신율로 연신시키고 130℃에서 종축으로 다시 연신시키고 치수를 조절하고 열경화를 위해 130℃에서 2 분간 가열하여 35 ㎛의 폴리프로필렌 다공체(시이트 물질 (10))를 제조한다. 그 다음에, 25 ㎛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막(토레이 사(Toray Industries, Inc.)제, "루미러(Lumirror)")을 기재로 하여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를 40 ㎛의 두께로 기재의 양면에 도포하여 접착 부재(11)를 얻었다. 상 기 감압성 접착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28 중량부, 아크릴산 12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시바 가이기 아제(Ciba Geigy AG)제, "이르가큐어 651(IRGACURE 651)") 0.1 중량부를 사용하여 제조된 예비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에서 자외선에 노출시켜 부분 중합을 일으켜서 약 45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피복가능한 시럽(감압성 접착제)을 얻었다. 접착 부재(11)는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부분 중합된 시럽 100 중량부에 라디칼 쇄 종결제로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 0.4 중량부 및 가교제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혼합하고 기재의 양면에 도포한 후에, 생성된 기재를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5 mw/cm2의 광강도를 가지는 고압 수은 램프의 900 mJ/cm2의 자외선에 노출시켜 광중합을 일으켜서 40 ㎛ 두께의 광중합된 층을 가지는 접착 부재(11)를 얻었다. 생성된 감압성 접착제의 톨루엔 불용 비율은 90%이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시이트 물질(10) 및 접착 부재(11)는 도 1에 예시된 대로 고정 부재(9)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으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EL 소자는 활성 알루미나를 제거제(8)로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수득된 EL 소자의 발광층의 50배 확대 사진을 제조 직후에 촬영하였다. 상기 EL 소자를 실온에서 500 시간 보관한 후에 발광층의 50배 확대 사진을 촬영하였다. 상기 확대 사진들을 비교관찰한 결과, 보관 이후에 흑점이 면적비로 1.1배 성장하였으며 고정 부재(9)는 EL 소자로부터 탈착되지 않았고 픽업성이 양호하다(하 기에 기재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픽업성>
"픽업성"이라는 용어는 분리대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된 고정 부재(9)의 분리대로부터의 박리도를 의미한다. 고정 부재(9)가 분리대를 120° 회전시킴으로써 분리대로부터 자연스럽게 박리될 경우, 픽업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박리되지 않을 경우는 픽업성이 나쁘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2
기재로 25 ㎛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막 대신에 25 ㎛ 두께의 스테인레스 박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확대 사진을 촬영하고 비교관찰하였다. 그 결과, 보관 이후에 흑점은 면적비로 1.1배 성장하였고, 고정 부재(9)는 EL 소자로부터 탈착되지 않았으며 픽업성은 양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교예 1
고정 부재(9) 및 제거제(8)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확대 사진을 촬영하고 비교관찰하였다. 그 결과, 흑점이 면적비로 5배 성장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교예 2
활성 알루미나가 배면 기판(2) 상에 형성된 사각형 테두리(enclosure) 상에 위치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EL 소자를 형성하였다. 확대 사진을 촬영하고 유사하게 비교관찰하였다. 그 결과, 보관 후에 흑점이 면적비로 1.3배 성장하였고 제거제(8)가 EL 소자 내에 비산되어서 음극에 손상을 주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는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제거제를 피복하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물질, 및 상기 시이트 물질의 주변부에 설치된 접착 부재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제거제를 EL 소자의 고정 부재와 내벽면 사이에 피복된 상태로 협지시킴으로써 제거제의 접착을 간단하게 하여 EL 소자의 제조 단가를 낮춘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의 통기부가 PTFE로 된 다공체인 경우,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생성된 EL 소자를 가열 환경하에서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통기부가 결정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로 된 다공체인 경우, 고분자가 다공체의 공극크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재료이므로 EL 소자 내의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 통기부가 열가소성 수지로 된 다공체인 경우, 가공성이 우수하여 통기부를 간단히 가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되는 경우, 다공체의 공극크기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고, 게다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가격이 저렴하므로 EL 소자의 제조 단가를 더 낮출 수 있다. 더욱이, 간단히 재활용되는 재료이므로, 사용 후의 재활용으로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는, 1 내지 5000 ㎛의 범위인 두께의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부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는, 내부에 기재 층을 가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접착 부재의 탄성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의 강점에 따라, 장형 분리대 상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 부재를 변형시키지 않고 분리대로부터 픽업할 수 있으므로, EL 소자의 제조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고, 따라서 EL 소자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EL 소자에서는, 고정 부재가 상기 시이트 물질 및 접착 부재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EL 소자의 내면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어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EL 소자용 배면 기판에서는, 제거제가 미리 배면 기판에 부착되어 EL 소자의 제조 작업이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구체적인 양태를 언급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는 그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본 발명의 여러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8)

  1. 소정의 기체 성분을 제거하는 제거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주변부 이외의 부분에서 상기 제거제를 피복하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물질, 및 상기 시이트 물질의 주변부에 설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가 내부에 기재 층을 갖는 적층체인, 고정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다공체로 제조된 고정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결정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다공체로 제조된 고정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다공체로 제조된 고정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고정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가 70 중량% 이상의 겔 분율을 갖는 접착제로 제조된 고정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가 1 내지 5000 ㎛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고정 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가 1 내지 5000 ㎛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고정 부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14. 제 6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15. 제 7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16. 제 8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용 배면 기판.
  22. 제 6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용 배면 기판.
  23. 제 7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용 배면 기판.
  24. 제 8 항에 따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소자용 배면 기판.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10014860A 2000-03-23 2001-03-22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 소자 및 상기소자용 배면 기판 KR100697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2889A JP3558578B2 (ja) 2000-03-23 2000-03-23 固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ならびにその背面基板
JP00-82889 2000-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508A KR20010090508A (ko) 2001-10-18
KR100697909B1 true KR100697909B1 (ko) 2007-03-20

Family

ID=1859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60A KR100697909B1 (ko) 2000-03-23 2001-03-22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 소자 및 상기소자용 배면 기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96179B2 (ko)
EP (1) EP1137325B1 (ko)
JP (1) JP3558578B2 (ko)
KR (1) KR100697909B1 (ko)
CN (1) CN1274185C (ko)
AT (1) ATE512564T1 (ko)
TW (1) TW5113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6682B2 (ja) 2000-03-28 2010-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272819B2 (ja) 2001-01-10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JP4010845B2 (ja) * 2002-03-28 2007-1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素子
JP2003317936A (ja) * 2002-04-24 2003-11-07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3323973A (ja) * 2002-04-26 2003-11-14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WO2004006628A1 (ja) 2002-07-08 2004-01-15 Dynic Corporation 吸湿性成形体
JP3650101B2 (ja) * 2003-02-04 2005-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89195A1 (en) 2003-03-24 2004-09-3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Devices including, methods using, and compositions of reflowable getters
TWI288448B (en) * 2004-09-10 2007-10-11 Toshiba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586077B1 (en) * 2010-06-22 2016-12-14 Koninklijke Philips N.V.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separating foil
KR101927942B1 (ko) * 2012-02-09 2018-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9700A1 (en) * 1998-06-12 2000-01-05 TDK Corporation Organic EL displa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7557A (en) * 1979-03-16 1982-11-02 Sharp Kabushiki Kaisha Glass sealed thin-film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free of moistur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5189405A (en) * 1989-01-26 1993-02-23 Sharp Kabushiki Kaisha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JPH04267096A (ja) * 1991-02-21 1992-09-22 Sharp Corp 薄膜elパネル
JPH09148066A (ja) 1995-11-24 1997-06-06 Pioneer Electron Corp 有機el素子
US6198220B1 (en) * 1997-07-11 2001-03-06 Emagin Corporation Sealing structur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2845239B1 (ja) * 1997-12-17 1999-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薄膜el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81071A (en) * 1998-05-18 2000-06-27 Motorola, Inc. Electroluminesc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encapsulating
US6280559B1 (en) * 1998-06-24 2001-08-28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bonding light-transmitting substrates
US6268695B1 (en) * 1998-12-16 2001-07-31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nvironmental barrier material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JP3409764B2 (ja) * 1999-12-28 2003-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9700A1 (en) * 1998-06-12 2000-01-05 TDK Corporation Organic EL displa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58578B2 (ja) 2004-08-25
US20010033946A1 (en) 2001-10-25
JP2001267067A (ja) 2001-09-28
ATE512564T1 (de) 2011-06-15
KR20010090508A (ko) 2001-10-18
EP1137325A2 (en) 2001-09-26
EP1137325B1 (en) 2011-06-08
CN1321057A (zh) 2001-11-07
CN1274185C (zh) 2006-09-06
EP1137325A3 (en) 2003-04-16
US6696179B2 (en) 2004-02-24
TW511393B (en)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543B1 (ko) 전기 발광 소자용 부재 및 이를 내장한 전기 발광 소자
KR100697909B1 (ko)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 소자 및 상기소자용 배면 기판
KR100986539B1 (ko) 흡착 로드식 접착제를 사용한 유기 전자 장치의 캡슐화
CA2381230A1 (en) Encapsul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JP344765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1407818B1 (en) Sheet for treating gaseous ingredient and electroluminescent element employing the same
JP2001277395A (ja) 気体成分処理シート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93421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
US20030137061A1 (en) Encapsulation of organic polymer electronic devices
US20040180236A1 (en) Sheet for treating gaseous ingredient and electroluminescent element employing the same
JP2002043055A (ja)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78999A (ja) 気体成分処理シート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1267063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4311177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およびこの部材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