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860B1 -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860B1
KR100696860B1 KR1020060072126A KR20060072126A KR100696860B1 KR 100696860 B1 KR100696860 B1 KR 100696860B1 KR 1020060072126 A KR1020060072126 A KR 1020060072126A KR 20060072126 A KR20060072126 A KR 20060072126A KR 100696860 B1 KR100696860 B1 KR 10069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racket
rotation
rotat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Priority to KR102006007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4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siliently, by means of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청소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흡입구와 바퀴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청소차량에 구비되어 각종 쓰레기나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바퀴를 지지하되,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충격발생시 바퀴와 함께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전방 회전브라켓; 상기 흡입구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또 다른 바퀴를 지지하되,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충격발생시 바퀴와 함께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후방 회전브라켓; 상기 전방 회전브라켓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전방 회전브라켓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하는 전방 완충수단; 및 상기 후방 회전브라켓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후방 회전브라켓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하는 후방 완충수단;으로 구성된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전방 회전브라켓, 후방 회전브라켓, 흡입구, 충격, 완충수단

Description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of wheel which is installed in suction device of street cleaning truck}
도 1 은 흡입구가 구비된 살수차의 측면도,
도 2 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격 완화장치가 흡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방 회전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방 회전브라켓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후방 회전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후방 회전브라켓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청소차량의 주행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전방 회전브라켓과 후방 회전브라켓이 회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방 회전브라켓 (110) : 전방 힌지브라켓
(120) : 전방 회전부재 (130) : 전방 바퀴 지지부재
(200) : 후방 회전브라켓 (210) : 후방 힌지브라켓
(220) : 후방 회전부재 (230) : 후방 바퀴 지지부재
(300) : 전방 완충수단 (400) : 후방 완충수단
본 발명은 바퀴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면에 있는 각종 먼지와 쓰레기 및 물을 회수하기 위해 청소차량에 장착된 흡입구가 노면에 근접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흡입구에 구비된 바퀴의 파손의 방지하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노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도로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청소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청소차량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차량은 회전하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노면에 부착된 각종 쓰레기들을 분리시킴과 더불어 한쪽으로 몰아준 다음, 흡입구를 통해 쓰레기를 진공흡입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청소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청소시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노면에 부착된 쓰레기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일부 청소차량에서는 물을 고압분사하는 살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청소작업의 진행 중 상기 흡입구는 노면과 근접한 상태로 적당한 거리가 유지되어야만 쓰레기 및 물을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가 노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구비된 바퀴는 노면과 접촉하여 구름운동을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흡입구가 노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흡입구를 지지하게 된다.
도 1은 흡입구가 구비된 살수차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흡입구 바퀴(10)는 고정브라켓(20)에 의해 흡입구(30)의 전후 양측에 설치된 고정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청소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고정브라켓(20)이 파손되거나 바퀴(10)의 교체주기가 짧은 단점을 갖고 있다. 즉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바퀴에는 많은 충격이 발생되며, 이처럼 발생된 충격은 바퀴와 흡입구를 연결하는 고정브라켓에 그대로 전달되어 고정브라켓의 용접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흡입구의 무게를 지탱하는 바퀴의 마모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므로 바퀴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흡입구와 바퀴를 연결하는 브라켓 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퀴의 마모 속도를 늦추어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청소차량에 구비되어 각종 쓰레기나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바퀴를 지지하되,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충격발생시 바퀴와 함께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전방 회전브라켓;
상기 흡입구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또 다른 바퀴를 지지하되,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충격발생시 바퀴와 함께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후방 회전브라켓;
상기 전방 회전브라켓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전방 회전브라켓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하는 전방 완충수단; 및
상기 후방 회전브라켓과 상기 흡입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후방 회전브라켓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하는 후방 완충수단;으로 구성된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격 완화장치가 흡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충격 완화장치는 전방 회전브라켓(100)과, 후방 회전브라켓(200)과, 전방 완충수단(300) 및 후방 완충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 완화장치는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충격이 발생되면 전방 회전브라켓(100)과 후방 회전브라켓(200)이 바퀴(10,10`)와 함께 회전각운동하게 되며, 이때 전후방 완충수단(300,400)이 전방 회전브라켓(100)과 후방 회전브라켓(2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전방 회전브라켓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상기 전방 회전브라켓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회전브라켓(100)은 흡입구(30)의 전방에 위치하는 바퀴(10)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방 힌지브라켓(110)과, 전방 회전부재(120)와,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힌지브라켓(110)은 흡입구(30)의 전면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회전부재(120)는 전방 힌지브라켓(110)에 축결합되어 축(121)을 중심으로 회전각운동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결속공(122)이 구비되어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전방 회전부재(120)가 차량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 스토퍼(12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스토퍼(123)는 전방 회 전부재(12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로서, 전방 스토퍼(123)의 상단부가 전방 힌지브라켓(110)에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전방 회전부재(12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려 할 때는 전방 스토퍼(123)가 전방 힌지브라켓(110)에 구속되어 전방 회전부재(12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고, 반면 전방 회전부재(120)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려 할 때는 전방 힌지브라켓(110)으로부터 전방 스토퍼(123)가 멀어지게 됨으로써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전방 회전부재(1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전방 스토퍼(123)는 전방 회전부재(120)와 전방 힌지브라켓(110)을 연결하는 축(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전방 회전부재(120)의 전방향 회전은 억제하는 반면, 후방향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는 전방 회전부재(120)에 구비된 결속공(122)을 관통하는 볼트(131)에 의해 전방 회전부재(120)에 고정되며, 바퀴(10)가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전방 회전부재(120)에 형성된 결속공(122)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이므로, 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퀴(10)의 마모가 발생된 경우, 전방 회전부재(120)와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를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131)를 풀어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의 위치를 바퀴(10) 마모량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방 회전브라켓(100)은 전방 힌지브라켓(110)이 흡입구(30)에 설치되고, 전방 힌지브라켓(110)에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 전방 회전부재(120)에 바퀴(10)를 지지하는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가 볼트(131)로 체결되 어 일체화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충격 발생시 전방 회전부재(120)와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가 차량의 후방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전방 회전부재(120)와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를 고정하는 볼트(131)가 체결력이 저하되어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에 유동이 발생할 경우,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구(124)가 상기 전방 회전부재(120)의 측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림 방지구(124)는 전방 회전부재(120)의 측면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서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의 후면에 밀착되어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상기 후방 회전브라켓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상기 후방 회전브라켓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 회전브라켓(200)은 흡입구(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바퀴(10`)를 지지하는 것으로, 후방 힌지브라켓(210)과, 후방 회전부재(220)와,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힌지브라켓(210)은 흡입구(30)의 후면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회전부재(220)는 후방 힌지브라켓(210)에 축결합되어 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결속공(222)이 구비되어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후방 회전부재(220)가 차량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방 스토퍼(22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스토퍼(223)는 후방 회전부 재(220)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로서, 후방 스토퍼(223)의 하단부가 후방 힌지브라켓(210)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후방 회전부재(220)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려 할 때는 후방 스토퍼(223)가 후방 힌지브라켓(210)에 구속되어 후방 회전부재(220)의 회전을 억제하게 되고, 반면 후방 회전부재(220)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회전하려 할 때는 후방 힌지브라켓(210)으로부터 후방 스토퍼(223)가 멀어지게 됨으로써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후방 회전부재(2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후방 스토퍼(223)는 후방 회전부재(220)와 후방 힌지브라켓(210)을 연결하는 축(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후방 회전부재(220)의 전방향 회전은 억제하는 반면, 후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는 후방 회전부재(220)에 구비된 결속공(222)을 관통하는 볼트(231)에 의해 후방 회전부재(220)에 고정되며, 바퀴(10`)가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후방 회전부재(220)에 형성된 결속공(222)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이므로, 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퀴(10`)의 마모가 발생된 경우, 후방 회전부재(220)와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를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231)를 풀어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의 위치를 바퀴(10`) 마모량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후방 회전브라켓(200)은 후방 힌지브라켓(210)이 흡입구(30)에 고정되고, 후방 힌지브라켓(210)에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 후방 회전부재(220)에 바퀴(10)를 지지하는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가 볼트(231)로 체결되 어 일체화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충격 발생시 후방 회전부재(220) 및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가 차량의 후방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후방 회전부재(220)와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를 고정하는 볼트(231)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에 유동이 발생할 경우,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 방지구(224)가 상기 후방 회전부재(220)의 측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림 방지구(224)는 후방 회전부재(220)의 측면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서 볼트(231)에 의해 후방 회전부재(220)에 고정된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의 전면에 밀착되어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완충수단(300)은 전방 회전브라켓(100)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 상기 전방 힌지브라켓(110)의 하부이며 전방 회전브라켓(100)과 흡입구(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흡입구(3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방 완충수단(300)은 고무재질의 완충패드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전방 회전브라켓(100)의 회전시 충격을 완화하게 되며, 흡입구(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 완충수단(400)은 후방 회전브라켓(200)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을 탄성력을 가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 상기 후방 힌지브라켓(210)의 상부이며 후방 회전브라켓(200)과 흡입구(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흡입구(30)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방 완충수단(400)은 고무재질의 완충패 드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후방 회전브라켓(200)의 회전시 충격을 완화하게 되며, 흡입구(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격 완화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청소차량의 주행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전방 회전브라켓과 후방 회전브라켓이 회전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노면에 접촉하여 구름운동을 하도록 흡입구(30)에 구비된 바퀴(10,10`)가 노면상의 요철부위와 같이 고르지 못한 노면을 지나갈 경우, 흡입구(30)의 전후에 구비된 바퀴(10,10`)에는 바퀴(10,10`)를 상부로 들어올림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힘이 바퀴(10,10`)에 작용하게 되면, 전방 회전브라켓(100)의 전방 회전부재(120)와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는 전방 힌지브라켓(110)의 축(121)을 중심으로 차량의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전방 회전부재(120)와 흡입구(30)의 사이에 배치된 전방 완충수단(300)이 전방 회전부재(120)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발생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후방 회전브라켓(200)의 후방 회전부재(220)와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가 후방 힌지브라켓(210)의 축(221)을 중심으로 차량의 후방으로 회전하며, 이때 후방 회전부재(22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후방 완충수단(400)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와 바퀴를 연결하는 브라켓의 충격발생시 바퀴와 함께 회전하며 완충수단에 의해 충격의 완화되도록 구성되어 흡입구의 이동을 지지하는 바퀴 및 이 바퀴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바퀴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바퀴의 마모량을 줄여 바퀴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삭제
  2. 청소차량에 구비되어 각종 쓰레기나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30)의 전면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전방 힌지브라켓(110)과, 상기 전방 힌지브라켓(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전방 힌지브라켓(110)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전방 스토퍼(123)가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결속공(122)이 구비된 전방 회전부재(120)와, 상기 전방 회전부재(120)에 구비된 결속공(122)을 관통하는 볼트(131)에 의해 전방 회전부재(120)와 결합되고, 바퀴(10)를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로 이루어져 충격발생시 바퀴(10)와 함께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방 회전브라켓(100);
    상기 흡입구(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또 다른 바퀴(10`)를 지지하되,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바퀴(1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충격발생시 바퀴(10`)와 함께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후방 회전브라켓(200);
    상기 전방 회전브라켓(100)과 상기 흡입구(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전방 회전브라켓(100)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하는 전방 완충수단(300); 및
    상기 후방 회전브라켓(200)과 상기 흡입구(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후방 회전브라켓(200)의 회전시 완충작용을 하는 후방 완충수단(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회전부재(12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방 회전부재(1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방 회전부재(120)와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를 결합하는 볼트(131)의 체결이 느슨해질 경우, 전방 바퀴 지지부재(130)가 후방으로 밀리를 것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구(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완충수단(300)과 상기 후방 완충수단(40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완충패드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회전브라켓(200)은
    상기 흡입구(30)의 후면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후방 힌지브라켓(210);
    상기 후방 힌지브라켓(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후방 회전브라켓(200)이 차량의 전방으로 회전하려 할 때 후방 힌지브라켓(210)에 구속되어 후방 회전브라켓(200)의 회전을 억제하는 후방 스토퍼(223)가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결속공(222)이 구비된 후방 회전부재(220); 및
    상기 후방 회전부재(220)에 구비된 결속공(222)을 관통하는 볼트(231)에 의해 후방 회전부재(220)와 결합되고, 상기 바퀴(10`)를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회전부재(22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후방 회전부재(2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방 회전부재(220)와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를 결합하는 볼트(231)의 체결이 느슨해질 경우, 후방 바퀴 지지부재(230)가 후방으로 밀리를 것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구(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KR1020060072126A 2006-07-31 2006-07-31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KR100696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126A KR100696860B1 (ko) 2006-07-31 2006-07-31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126A KR100696860B1 (ko) 2006-07-31 2006-07-31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860B1 true KR100696860B1 (ko) 2007-03-20

Family

ID=4156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126A KR100696860B1 (ko) 2006-07-31 2006-07-31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8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9507A (ja) * 1990-03-27 1991-12-10 Maeda Road Constr Co Ltd 洗掘、洗浄処理装置
JPH11152720A (ja) 1997-11-20 1999-06-08 Komatsu Ltd 路面マーク洗浄車
KR200186107Y1 (ko) 2000-01-14 2000-06-15 정광섭 캐스터용 완충부재
KR20010069427A (ko) * 2001-03-22 2001-07-25 손덕수 완충형 캐스터
KR200243624Y1 (ko) 2001-05-10 2001-10-15 배원식 대차의 바퀴 장치
KR20020043624A (ko) * 2000-08-10 2002-06-10 기노시타 고타 이동 통신 시스템, 그 리소스 전환 방법, 그것에 포함되는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20020073893A (ko) * 2001-03-16 200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 장치
KR100524513B1 (ko) 2003-11-14 2005-11-02 광 섭 정 캐스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9507A (ja) * 1990-03-27 1991-12-10 Maeda Road Constr Co Ltd 洗掘、洗浄処理装置
JPH11152720A (ja) 1997-11-20 1999-06-08 Komatsu Ltd 路面マーク洗浄車
KR200186107Y1 (ko) 2000-01-14 2000-06-15 정광섭 캐스터용 완충부재
KR20020043624A (ko) * 2000-08-10 2002-06-10 기노시타 고타 이동 통신 시스템, 그 리소스 전환 방법, 그것에 포함되는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20020073893A (ko) * 2001-03-16 200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패턴 형성을 위한 식각 장치
KR20010069427A (ko) * 2001-03-22 2001-07-25 손덕수 완충형 캐스터
KR200243624Y1 (ko) 2001-05-10 2001-10-15 배원식 대차의 바퀴 장치
KR100524513B1 (ko) 2003-11-14 2005-11-02 광 섭 정 캐스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436240000 *
200273893000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8859A (en) High efficiency squeegee
JP2915832B2 (ja) 床洗浄機械
US20210047793A1 (en) Sweeping blade device with adjustable blades
CN106943089B (zh) 一种活动式刮吸装置
CN109024411B (zh) 一种扫刷装置和扫地机
CN203729246U (zh) 吸尘车组合式吸嘴
CN108396695B (zh) 一种道路清洁车
CN109235216A (zh) 一种除线车
CN110714496A (zh) 一种自动清理铲刀的平地机
CN211571571U (zh) 洒水车用智能型扫地机构
KR100305920B1 (ko) 제설날 분리형 제설장치
KR101373803B1 (ko) 레일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696860B1 (ko)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US8074776B2 (en) All-terrain vehicle
KR100757361B1 (ko) 살수장치와 브러시가 구비된 살수차
KR20120016352A (ko) 노면 청소기
CN111676875A (zh) 一种用于精细化作业的环卫车边刷清扫装置
KR100937975B1 (ko) 진동저감장치가 장착된 4륜 구동 다목적 도로관리 작업차
CN115281568B (zh) 洗地机的推磨式连接机构以及洗地机
JP2005226320A (ja) 清掃装置及び方法
KR101807240B1 (ko) 후방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방식으로 결합된 탑승식 청소차 집수판
CN212742340U (zh) 用于精细化作业的环卫车边刷清扫装置
CN113914181A (zh) 安装在大型划线清除车前端部的新型组合式划线清除装置
JP4373319B2 (ja) 走行装置および作業機械
US20080115316A1 (en) Vacuum Having Wheels And Shock Absorbing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