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07Y1 - 캐스터용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캐스터용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07Y1
KR200186107Y1 KR2020000000994U KR20000000994U KR200186107Y1 KR 200186107 Y1 KR200186107 Y1 KR 200186107Y1 KR 2020000000994 U KR2020000000994 U KR 2020000000994U KR 20000000994 U KR20000000994 U KR 20000000994U KR 200186107 Y1 KR200186107 Y1 KR 200186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buffer member
buffer
present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섭
Original Assignee
정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섭 filed Critical 정광섭
Priority to KR2020000000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차나 기타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물품의 저면에 설치되어 대차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는 캐스터의 몸체와 회동팔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 내부에는 회동팔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부드럽게 완충하여주는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캐스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의 내부 완충공간의 존재로 인해 완충부재가 더욱 부드럽게 변형되면서 완충하여주므로 캐스터의 완충성능이 더욱 향상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캐스터용 완충부재{member of absorb shock for caster}
본 고안은 캐스터(cas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차나 기타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물품의 저면에 설치되어 대차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옮기기 위한 대차나 기타 무거운 물품의 하면에는 대차 등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캐스터를 설치한다. 이러한 캐스터는 대차 등의 하면에 설치 가능한 몸체와 그 몸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회동팔과 회동팔에 설치되는 바퀴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캐스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캐스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스터(100)는 대차 등의 하부에 설치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회동팔(120)과 회동팔(12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130)와 몸체(110)와 회동팔(12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14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에 대차 등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공(111)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쪽으로 회동팔(1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커트(112)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는 회동팔(120)이 지지볼트(113)를 통해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 부근에 바퀴(130)가 결합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동팔(120)은 두 팔부재(121, 122)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를 연결편(124)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팔(120)과 몸체(110)의 사이 즉, 몸체(110) 하면 연결편(124) 상으로는 스프링(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140)은 바퀴(130)에 미치는 충격력을 완충하여주어 대차 상에 탑재된 물품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바퀴(130)가 바닥의 돌출부를 타고 넘는 경우 바퀴(130)에 힘이 작용하면 그 힘은 회동팔(120)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회동팔(120)은 지지볼트(113)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동한다. 이 때 연결편(124)은 그 위에 설치된 스프링(140)을 위쪽으로 밀어주고, 스프링(140)은 수축하면서 몸체(110) 위쪽으로 전달되는 힘을 완충하여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캐스터에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스프링을 사용하는 관계로 스프링(140)이 수축, 팽창운동을 할 때 연결편(124)과 몸체(110) 등과의 접촉에 따라 마찰음에 의한 소음공해를 발생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캐스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캐스터용 완충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캐스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가 사용된 캐스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J-J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K-K에 따른 단면도,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그 단면도,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캐스터 110 : 몸체
113 : 지지볼트 115 : 핀
120 : 회동팔 121, 122 : 팔부재
124 : 연결편 130 : 바퀴
150 : 캐스터용 완충부재 152 : 완충공간
154 : 핀구멍 155 : 충진재
본 고안의 목적은 대차 등의 하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바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회동팔을 구비하는 캐스터에 사용하기 위한 캐스터용 완충부재에 있어서, 몸체와 회동팔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 내부에는 회동팔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부드럽게 완충하여주는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완충부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탄성체로는 고무로 만드는 것이 좋으며,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통형, 구형 또는 럭비공 모양 등 그 설치공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위 완충공간 내부에는 압축공기, 산소, 수소, 질소, 헬륨가스 등의 기체나 물 등의 액체나 그리스 등의 교질체로된 충진재가 채워진 구성으로 하면 더욱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가 사용된 캐스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J-J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150)가 적용된 캐스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100)는 대차 등의 저면에 설치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측에 지지볼트(113)를 통해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회동팔(120)과 회동팔(120)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130)와 핀(115)에 의해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하여주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15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팔(120)은 두 팔부재(121, 122)를 나란히 배치하고, 이를 연결편(124)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연결편의 상측면은 대략 완충부재(150)의 외주면 형태의 곡면모양을 하고 있다.
도 3∼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150)는 대략 원통형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그 형상은 캐스터(100)의 종류나 주변 부품의 배치위치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150)의 내부에는 완충공간(1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완충공간(152)은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바퀴(130)의 충격력을 더욱 부드럽게 완충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완충공간(152)은 도 4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형태로 하나의 통합된 공간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분할된 공간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완충공간(152)에는 필요에 따라 압축공기를 주입하거나 아니면 헬륨가스 등의 기체를 주입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 윤활유 등의 액체나 그리스와 같은 교질의 물질로 된 충진재(155)를 충진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완충공간(152)을 갖는 완충부재(150)의 재질로는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또 몸체(11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핀구멍(154)을 형성하여두는 것이 좋다. 몸체(110)와 연결편(124) 사이에 완충부재(150)를 설치할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핀구멍(154)은 필요치 않다.
도 7은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K-K에 따른 단면도이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150)가 설치되는 부분의 주변 여건에 따라서 그 형상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그 내부에는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충공간(1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완충공간(152)은 바퀴(130)에 미치는 충격력을 더욱 부드럽게 완충하여 줄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완충공간(152)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충진재(155)를 채워주면 좋다. 중앙에 설치된 것은 핀구멍(154)이다.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그 단면도, 도 10a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그 단면도이다.
도 9a∼도 9b에 나타낸 완충부재(150)는 그 형상을 럭비공 형태로 구성한 것이고, 도 10a∼도 10b에 나타낸 완충부재(150)는 구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150)의 내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완충공간(1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완충공간(152)에 압축공기나 기타 기체, 액체, 교질유 등 충진재(155)가 채워져 있다. 이러한 완충공간(152)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용 완충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캐스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의 내부 완충공간의 존재로 인해 완충부재가 더욱 부드럽게 변형되면서 완충하여주므로 캐스터의 완충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2)

  1. 대차 등의 하면에 설치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바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회동팔을 구비하는 캐스터에 사용하기 위한 캐스터용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회동팔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측 내부에는 상기 회동팔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부드럽게 완충하여주는 완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완충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공간 내부에는 기체나 액체 또는 교질체로 된 충진재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용 완충부재.
KR2020000000994U 2000-01-14 2000-01-14 캐스터용 완충부재 KR200186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94U KR200186107Y1 (ko) 2000-01-14 2000-01-14 캐스터용 완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994U KR200186107Y1 (ko) 2000-01-14 2000-01-14 캐스터용 완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107Y1 true KR200186107Y1 (ko) 2000-06-15

Family

ID=1963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994U KR200186107Y1 (ko) 2000-01-14 2000-01-14 캐스터용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466B1 (ko) * 2001-03-22 2004-03-11 경창정공 주식회사 완충형 캐스터
KR100696860B1 (ko) 2006-07-31 2007-03-20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466B1 (ko) * 2001-03-22 2004-03-11 경창정공 주식회사 완충형 캐스터
KR100696860B1 (ko) 2006-07-31 2007-03-20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청소차량의 흡입구 바퀴 충격 완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161B1 (en) Industrial caster wheel with elastomeric spring/damper member
KR200412713Y1 (ko) 캐스터의 완충장치
KR100352254B1 (ko) 서스펜션 유니트
CN110077184B (zh) 一种麦克纳姆轮全向移动机器人独立悬架结构
US6478316B1 (en) Roller arrangement for wheeled luggage
JP4651658B2 (ja) 緩衝キャスター
WO1994017694A1 (en) Caster for isolating shock and vibration loads
JP2009512492A (ja) スケートボード用トラック
JP2010149653A (ja) 衝撃吸収キャスター
KR200186107Y1 (ko) 캐스터용 완충부재
JP2975974B2 (ja) 車両用ローリング減殺装置
JP3998396B2 (ja) キャスター
CN211075508U (zh) 一种汽车领域用发动机磁流变悬置减振装置
US5288060A (en) Shock absorbing suspension
KR200474896Y1 (ko) 무진동, 무소음, 무충격 및 무독성 기능을 모두 구비한 캐스터
KR200239408Y1 (ko) 캐스터
KR100422466B1 (ko) 완충형 캐스터
CN112389130A (zh) 一种具有缓冲避震功能的脚轮
JP3635458B2 (ja) 旋回式キャスター
CN218921929U (zh) 一种行李箱用避震轮组
KR102252408B1 (ko) 완충 기능을 가진 캐스터
JP6251466B2 (ja) 緩衝キャスター
CN216478677U (zh) 一种带限位缓冲功能的汽车底盘减振器
JPH08113178A (ja) 自転車用前輪緩衝装置
CN109304989A (zh) 脚轮以及安装该脚轮的游乐用车、手推车和拉杆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